KR102138893B1 - 스프링을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프링을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893B1
KR102138893B1 KR1020190162578A KR20190162578A KR102138893B1 KR 102138893 B1 KR102138893 B1 KR 102138893B1 KR 1020190162578 A KR1020190162578 A KR 1020190162578A KR 20190162578 A KR20190162578 A KR 20190162578A KR 102138893 B1 KR102138893 B1 KR 102138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ed
vibration
generating unit
vibration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수
강승일
박동식
Original Assignee
이민수
강승일
박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수, 강승일, 박동식 filed Critical 이민수
Priority to KR102019016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6Placing by using several means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18Placing by vibr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8Placing of hollow pipes or mould pipes by means arranged inside the piles o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6/00Drives for drilling with combined rotary and percussive action
    • E21B6/02Drives for drilling with combined rotary and percussive action the rotation being continuous
    • E21B6/04Separate drives for percussion and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오거 본체와, 상기 오거 본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측에 결합된 케이싱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소켓 사이에, 탈부착 가능한 바이브로 함마로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진동 발생 유닛; 및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의 상단과 하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진동 발생 유닛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을 상하 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프링을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Detachable vibro-hammer with spr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drilling and ground reinforcement thereof}
본 발명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거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 건축공사, 해안선 보호, 토양 유실공사, 인공호수, 도로건설, 자연하천 등의 토목공사 또는 건축물 공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하 벽체로부터의 토사 유출, 무너짐, 물의 흐름차단을 위하여 흙막이 공사, 차수벽, 파일공사 등을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흙막이 공사나 파일 공사는 터파기를 하면서 시공하거나 지중에 미리 차단벽이나 파일을 설치한 상태에서 시행하게 되며, 이 터파기 공사는 주위의 환경, 지중의 토질 상태, 공사장 주위의 건물 배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시공되고 있다.
시공방법 중 지하구조물을 건설할 때는 파낼 부위의 외곽으로부터 파낸 부위 쪽으로 토사가 붕괴되거나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파일로 구성되는 벽체는 영구 구조물(永久構造物)로서 축조되거나 H 빔, 콘크리트 파일, 파이프 형상의 파일 등을 이용한 가설구조물(假說構造物)로서 축조되는 경우가 있다.
시트파일 또는 가설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트파일, H빔, 원통형 파일 등을 지중에 박거나 인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파일 즉, 시트파일이나 파일, H빔 등을 박거나 인출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오거를 구비한 천공장비를 필요로 한다.
천공장비에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지면을 굴착하는 상부오거와, 상부오거의 하측에 마련되어 케이싱을 이용하여 지면을 천공하는 하부오거가 마련된다.
이중 하부오거는 구동 방식에 따라 회전식 오거와 진동식 오거로 구분된다.
회전식 오거는 감속기를 이용하여 하단에 결합된 케이싱을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상부오거의 스크류의 굴착속도나 굴착토의 원활한 배토 작업에 따라 케이싱을 원하는 천공심도까지 배치시킨다. 그리고, 파일 근입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케이싱을 회전시켜 인발하도록 구성된다.
진동식 오거는 진동을 발생시켜 하단에 결합된 케이싱을 상하 운동시키고, 이를 통해 케이싱을 지중으로 근입하거나 인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회전식 오거와 진동식 오거를 별도 구비하고, 필요시에 해당 오거를 천공장비에 장착하여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오거의 교체과정에서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을 위해서는 회전식 오거와 진동식 오거를 모두 구비해야함에 따라, 고가의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식 오거를 개조하여 회전식 오거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장치를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조형 오거는 고가의 개조비용이 발생되고, 진동장치가 오거에 일체로 마련됨에 따라, 진동장치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오거 전체의 사용이 불가능 하여 작업을 지연시키거나, 다른 오거를 임대해서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707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거 장비를 개조하거나, 별도의 바이브로 함마를 구비하지 않고, 기존 오거 장비에 장착하거나 해체 가능하여 바이브로 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오거 본체와, 상기 오거 본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측에 결합된 케이싱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소켓 사이에, 탈부착 가능한 바이브로 함마로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진동 발생 유닛; 및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의 상단과 하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진동 발생 유닛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을 상하 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오거 본체는, 천공기에 설치되는 본체부;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유닛; 및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회전 유닛의 둘레에 배치되는 결합 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유닛과 동축(coaxial) 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회전 유닛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소켓; 상기 결합 러그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소켓과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오거 본체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며, 내측에 상기 진동 발생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스프링이 동축 상태로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진동 발생 유닛과 동축 상태로 정렬되는 베어링 유닛; 상기 베어링 유닛을 매개로 상기 진동 발생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 발생 유닛과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연결 소켓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동력 전달 관; 및 상기 동력 전달 관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 전달 관과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동력 전달 관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 소켓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프렌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프링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과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진동 발생 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을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의 하단과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의 하단 사이에 개재되고, 진동 발생 유닛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진동 발생 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을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소켓의 내주면에는 키 홈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 전달 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키 홈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소켓과 함께 회전되거나, 상기 키 홈을 따라 상하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키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결합 러그의 양 측면을 지지하고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결합 러그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제1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1 스프링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스프링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베어링 유닛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동력 전달 관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외력을 전달받아 상하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기어박스의 일 측에 배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진동 발생부; 상기 기어박스의 타 측에 배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진동 발생부; 상기 제1 진동 발생부의 동력을 상기 제2 진동 발생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제1 진동 발생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 발생부는, 상기 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구동축; 상기 제1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 피동축; 상기 제1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크랭크 유닛; 상기 제1 피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피동축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크랭크 유닛; 및 상기 제1 구동축 및 상기 제1 피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동축 및 상기 제1 피동축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축 베어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 발생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와 결합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구동축; 상기 제2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2 피동축; 상기 제2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크랭크 유닛; 상기 제2 피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피동축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4 크랭크 유닛; 및 상기 제2 구동축 및 상기 제2 피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구동축 및 상기 제2 피동축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축 베어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1 피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피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 동력 전달 기어; 상기 제1 동력 전달 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2 동력 전달 기어; 상기 제2 동력 전달 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3 동력 전달 기어; 및 상기 제2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3 동력 전달 기어에 맞물려 회전되어 상기 제2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4 동력 전달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방법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오거 본체와, 상기 오거 본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측에 결합된 케이싱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소켓 사이에, 탈부착 가능한 바이브로 함마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바이브로 함마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진동 발생 유닛 및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의 상단과 하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진동 발생 유닛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을 상하 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천공 및 지반보강 시공방법은, 천공기의 레더에 상부오거를 장착한 후 상부로 올려 상기 스크류를 장착하고, 상기 바이브로 함마가 장착된 하부오거를 상기 레더에 장착하여 일정 높이로 올린 후 상기 구동 소켓에 상기 케이싱을 장착하는 장치 장착단계; 상기 바이브로 함마의 상하 운동 및 회전 운동으로 상기 케이싱을 압입하면서 상기 상부오거로 굴착하는 케이싱 압입 및 굴착단계; 상기 케이싱과 상기 하부오거를 분리 후 상기 상부오거와 상기 하부오거를 들어 올려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천공완료 및 지반보강 준비단계;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PHC파일을 근입한 후 상기 PHC파일을 타격하여 천공된 깊이까지 근입하거나, H-Beam 및 철근조립체를 근입한 후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시멘트를 타설하는 파일 근입 및 시멘트 타설 단계;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오거에 상기 케이싱을 결합시키는 케이싱 인발 준비단계; 및 상기 하부오거를 통해 상기 케이싱을 역회전 시키고,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싱에 진동을 가해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는 케이싱 인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를 오거 본체에 부착하거나, 탈거 가능하여, 오거 본체를 개조하지 않고 기존 오거 본체에 바이브로 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고, 이를 통해 신속한 작업 전환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양한 오거에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의 고장 시에도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만 탈거 후 오거 본체는 사용이 가능하여 작업의 지연을 예방하고, 장비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타 장비의 임대로 인해 비용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가 장착된 하부오거를 구비한 천공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가 장착된 하부오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가 장착된 하부오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가 오거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의 진동 발생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가 장착된 하부오거를 구비한 천공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이하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라 함)는, 천공기(A)에 설치되어 상부오거(auger, A1)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 중앙으로 상부오거(A1)의 스크류(A11)가 통과하며, 하부에 물막이 기능을 수행하고, 내부로 PHC 파일(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또는 빔, 철근조립체 및 시멘트가 인입되며, 하측에 케이싱(A3)이 결합되는 하부오거(1)에 장착된다. 하부오거(1)에 장착된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는 하부오거(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부에 결합된 케이싱(A3)을 회전시키고, 케이싱(A3)에 진동을 주어 케이싱(A3)을 설정된 굴착 깊이까지 천공한다.
여기서, 천공기(A)는 크레인(A6), 크레인(A6)에 설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가 장착된 하부오거(1)가 설치되는 레더(A5), 그리고 레더(A5)에 설치되어 하부오거(1)의 상부에 배치되고, 천공을 위한 스크류(A11)가 결합되어 스크류(A11)의 회전을 제어하는 상부오거(A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A11)는 천공 깊이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스크류(A11)의 하단에는 비트(A111)가 마련될 수 있다.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가 장착된 하부오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가 장착된 하부오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는 하부오거(1)의 오거 본체(11)와 구동 소켓(13) 사이에 탈부착 된다.
구체적으로,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부오거(1)의 오거 본체(11)와, 오거 본체(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측에 결합된 케이싱(A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하부오거(1)의 구동 소켓(13) 사이에, 탈부착된다.
따라서, 하부오거(1)는 오거 본체(11)와 구동 소켓(13) 사이에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가 장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가 탈거된 상태에서도 오거 본체(11)와 구동 소켓(13)을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오거 본체(11)는 본체부(111), 회전 유닛(112) 및 결합 러그(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1)는 천공기(A)의 레더(A5)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1)의 일 측에는 천공기(A)의 레더(A5)에 결합되어 레더(A5)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11)는 슬라이더 유닛을 통해 소정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유닛(112)은 일부가 본체부(11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와 결합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에 결합된 케이싱(A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유닛(112)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모터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정 회전수로 감속하여 감속주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에 의해 하부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부 및 모터부와 감속부가 설치되는 케이싱부를 포함하는 구동감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유닛(112)은 피니언기어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출력기어를 포함하고, 케이싱부와 볼트로 결합되며, 내부 중앙으로 스크류(A11)가 통과하는 출력기어박스부, 그리고 출력기어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부 중앙으로 스크류(A11)가 통과하고, 하부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공 출력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 유닛(112)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러그(113)는 본체부(111)의 하측에 구비되어 본체부(111)의 외측으로 노출된 회전 유닛(112)의 둘레에 배치되고,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구동 소켓(13)은 케이싱(A3)과 결합되어 케이싱(A3)을 지지한다. 그리고, 구동 소켓(13)은 오거 본체(11)에 결합되어 오거 본체(11)로부터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달받거나,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에 결합되어 오거 본체(11)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가 오거 본체(11)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구동 소켓(13)은 오거 본체(11)에 마련된 회전 유닛(112)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구동 소켓(13)은 회전 유닛(112)으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측에 결합된 케이싱(A3)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가 오거 본체(11)에 장착되는 경우, 구동 소켓(13)은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에 마련된 프렌지 유닛(128)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구동 소켓(13)은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를 통해 회전력 및 진동을 전달받아, 하측에 결합된 케이싱(A3)에 진동을 전달하고, 케이싱(A3)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가 오거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의 진동 발생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는 내부에 마련된 캠의 편심운동과 탄성체에 의한 상하운동을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오거 본체(11)의 회전 유닛(11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측에 결합된 구동 소켓(13)에 회전력과 진동을 전달한다.
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는 연결 소켓(121), 케이스(122), 진동 발생 유닛(123), 복수의 스프링(124, 125), 베어링 유닛(126), 동력 전달 관(127) 및 프렌지 유닛(128)을 포함한다.
연결 소켓(121)은 회전 유닛(112)에 결합되어 회전 유닛(112)과 동축(coaxial) 상태로 정렬되고, 회전 유닛(112)으로부터 회전력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소켓(121)은 동력 전달 관(127)과 결합되어 동력 전달 관(127)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소켓(121)의 내주면에는 동력 전달 관(127)에 마련된 키(127A)와 결합되는 키 홈(121A)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소켓(121)은 키 홈(121A)에 결합된 키(127A)를 가압하여 동력 전달 관(127)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연결 소켓(121)에 마련된 키 홈(121A)은 연결 소켓(121)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진동 발생 시 동력 전달 관(127)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키(127A)와 연결 소켓(121)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22)는 결합 러그(113)에 결합되어 연결 소켓(121)과 동축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러그(113)에 결합된 케이스(122)는 오거 본체(11)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스(122)는 진동 발생 유닛(123) 및 복수의 스프링(124, 125)을 통해 진동이 발생되거나, 연결 소켓(121), 동력 전달 관(127) 및 프렌지 유닛(128)이 회전될 경우에도, 오거 본체(11)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122)는 제1 결합부(122A), 제2 결합부(122B) 및 제3 결합부(12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2A)는 좌우 방향을 따라 결합 러그(113)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어 결합 러그(113)의 양 측면을 지지하고, 제1 결합부(122A)와 결합 러그(113)를 관통하는 체결부재(122D)를 통해 결합 러그(113)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122A)는 케이스(122)의 상부에 복수로 마련되어 복수의 결합 러그(113)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22B)는 제1 결합부(122A)의 하측에 배치되고, 진동 발생 유닛(123)의 상측에서 진동 발생 유닛(1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스프링(124)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프링(124)의 타단은 진동 발생 유닛(123)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122B)는 제1 스프링(124)의 내주면을 지지하여 제1 스프링(124)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함은 물론, 제1 스프링(124)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122B)에는 스프링 형태의 제1 스프링(12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 스프링(124)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결합부(122C)는 제2 결합부(122B)에 대향 배치되고, 진동 발생 유닛(123)의 하측에서 진동 발생 유닛(1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스프링(125)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스프링(125)의 일단은 진동 발생 유닛(123)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3 결합부(122C)는 제2 스프링(125)의 내주면을 지지하여 제2 스프링(125)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함은 물론, 제2 스프링(125)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결합부(122C)에는 스프링 형태의 제2 스프링(12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2 스프링(125)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 유닛(123)은 케이스(122)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되고, 체결 유닛(123G)을 통하여 제1 스프링(124) 및 제2 스프링(125)와 함께 케이스(122)에 결합되어 케이스(122)와 동축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발생 유닛(123)은 내부에 마련된 캠의 편심운동과, 진동 발생 유닛(123)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어 진동 발생 유닛(1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스프링(124) 및 제2 스프링(125)에 의해 상하 운동을 수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유닛(123)의 편심 운동을 통해 진동이 발생되면, 진동에 의해 제1 스프링(124) 및 제2 스프링(125)에 상하 방향으로 탄성작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진동 발생 유닛(123)이 탄성작용 중인 제1 스프링(124) 및 제2 스프링(125)에 가압되어 상하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진동 발생 유닛(123)과 연결된 베어링 유닛(126), 동력 전달 관(127), 프렌지 유닛(128) 및 구동 소켓(13)이 진동 발생 유닛(123)과 함께 상하 운동을 수행하여 하측에 결합된 케이싱(A3)에 진동을 전달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진동 발생 유닛(123)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진동 발생 유닛(123)은 기어박스(123A), 제1 진동 발생부(123B), 제2 진동 발생부(123C), 동력 전달부(123D) 및 모터(123E)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박스(123A)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베어링 유닛(126)이 결합되고, 내부에 동력 전달 관(127)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어박스(123A)의 상면은 제1 스프링(124)에 의해 지지되고, 기어박스(123A)의 하면은 제2 스프링(1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어박스(123A)는 제1 진동 발생부(123B) 및 제2 진동 발생부(123C)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제1 스프링(124) 및 제2 스프링(125)으로 전달하고, 전달된 진동에 의해 신축 되도록 탄성 작용을 수행하는 제1 스프링(124) 및 제2 스프링(125)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가압되어 상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어박스(123A)에는 안착홈(123A1) 및 관통공(123A2)이 마련될 수 있다.
안착홈(123A1)은 기어박스(123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123A1)은 기어박스(123A)의 상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어박스(123A)의 상부에 마련된 안착홈(123A1)에는 제1 스프링(124)의 타단이 안착되어 지지되고, 기어박스(123A)의 하부에 마련된 안착홈(123A1)에는 제2 스프링(125)의 일단이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123A1)이 형성된 부위에는 체결 유닛(123G)이 관통되는 결합공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안착홈(123A1)은 좌우 방향을 따라 기어박스(123A)의 일 측 및 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관통공(123A2)은 전후 방향을 따라 기어박스(123A)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공(123A2)은 좌우 방향을 따라 기어박스(123A)의 일 측 및 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기어박스(123A)의 일 측 및 타 측에 마련된 복수의 관통공(123A2) 사이에는 복수의 관통공(123A2)과 연결된 연결홈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어박스(123A)의 일 측에 마련된 관통공(123A2)에는 제1 진동 발생부(123B)가 배치되고, 기어박스(123A)의 타 측에 마련된 관통공(123A2)에는 제2 진동 발생부(123C)가 배치되며, 복수의 관통공(123A2) 사이에 마련된 연결홈에는 동력 전달부(123D)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부(123B)는 기어박스(123A)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123A2)에 수용되고,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기어박스(123A)의 일 측(123A)에 배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부(123B)는 제1 구동축(123B1), 제1 피동축(123B2), 제1 크랭크 유닛(123B3), 제2 크랭크 유닛(123B4) 및 제1 축 베어링 유닛(123B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축(123B1)은 모터(123E)와 결합되어 모터(123E)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제1 크랭크 유닛(123B3) 및 제1 피동축(123B2)과 결합되어 제1 크랭크 유닛(123B3) 및 제1 피동축(123B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축(123B1)에는 제1 축 베어링 유닛(123B5)이 결합되어 제1 크랭크 유닛(123B3)의 전, 후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축(123B1)은 제1 크랭크 유닛(123B3)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제1 피동축(123B2)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제1 축 베어링 유닛(123B5)이 결합되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에는 제1 크랭크 유닛(123B3)과의 결합을 위하여 돌기 또는 홈 형태의 결합수단이 마련되고, 제2 결합부에는 제1 피동축(123B2)과의 결합을 위하여 돌기 또는 홈 형태의 결합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피동축(123B2)은 제1 구동축(123B1)에 결합되고, 제1 구동축(123B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 구동축(123B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피동축(123B2)은 제2 크랭크 유닛(123B4) 및 동력 전달부(123D)와 결합되고, 제2 크랭크 유닛(123B4) 및 동력 전달부(123D)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피동축(123B2)에는 제1 축 베어링 유닛(123B5)이 결합되어 제2 크랭크 유닛(123B4)의 전, 후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피동축(123B2)은 제2 크랭크 유닛(123B4) 및 동력 전달부(123D)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1 축 베어링 유닛(123B5)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에는 제2 크랭크 유닛(123B4) 및 동력 전달부(123D)와의 결합을 위하여 돌기 또는 홈 형태의 결합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피동축(123B2)의 단부에는 축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되어 제1 구동축(123B1)의 단부, 즉, 제1 구동축(123B1)의 제2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크랭크 유닛(123B3)은 제1 구동축(123B1)에 결합되고, 제1 구동축(123B1)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크랭크 유닛(123B3)은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크랭크 유닛(123B3)은 제1 구동축(123B1)의 회전 시 제1 구동축(123B1)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기어박스(123A)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크랭크 유닛(123B3)의 내주면에는 제1 구동축(123B1)과의 결합을 위하여 돌기 또는 홈 형태의 결합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크랭크 유닛(123B4)은 제1 피동축(123B2)에 결합되고, 제1 피동축(123B2)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크랭크 유닛(123B4)은 제1 크랭크 유닛(123B3)과 동시에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기어박스(123A)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크랭크 유닛(123B4)은 제1 크랭크 유닛(123B3)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크랭크 유닛(123B4)은 제1 피동축(123B2)의 회전 시 제1 피동축(123B2)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기어박스(123A)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크랭크 유닛(123B4)의 내주면에는 제1 피동축(123B2)과의 결합을 위하여 돌기 또는 홈 형태의 결합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축 베어링 유닛(123B5)은 제1 구동축(123B1) 및 제1 피동축(123B2)에 결합되어, 제1 구동축(123B1) 및 제1 피동축(123B2)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 베어링 유닛(123B5)은 제1 구동축(123B1)에 결합되어 제1 크랭크 유닛(123B3)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베어링과, 제1 피동축(123B2)에 결합되어 제2 크랭크 유닛(123B4)의 전방 및 동력 전달부(123D)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진동 발생부(123C)는 기어박스(123A)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123A2)에 수용되고,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기어박스(123A)의 타 측(123A)에 배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진동 발생부(123C)는 제2 구동축(123C1), 제2 피동축(123C2), 제3 크랭크 유닛(123C3), 제4 크랭크 유닛(123C4) 및 제2 축 베어링 유닛(123C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축(123C1)은 동력 전달부(123D)와 결합되어 동력 전달부(123D)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제3 크랭크 유닛(123C3) 및 제2 피동축(123C2)과 결합되어 제3 크랭크 유닛(123C3) 및 제2 피동축(123C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축(123C1)에는 제2 축 베어링 유닛(123C5)이 결합되어 제3 크랭크 유닛(123C3)의 전, 후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축(123C1)은 제3 크랭크 유닛(123C3), 동력 전달부(123D) 및 제2 피동축(123C2)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축 베어링 유닛(123C5)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에는 제3 크랭크 유닛(123C3) 및 동력 전달부(123D)와의 결합을 위하여 돌기 또는 홈 형태의 결합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의 단부에는 축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되어 제2 피동축(123C2)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피동축(123C2)은 제2 구동축(123C1)에 결합되어 제2 구동축(123C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구동축(123C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피동축(123C2)은 제4 크랭크 유닛(123C4)과 결합되어 제4 크랭크 유닛(123C4)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피동축(123C2)에는 제2 축 베어링 유닛(123C5)이 결합되어 제4 크랭크 유닛(123C4)의 전, 후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피동축(123C2)은 제4 크랭크 유닛(123C4)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제2 구동축(123C1)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제2 축 베어링 유닛(123C5)이 결합되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에는 제4 크랭크 유닛(123C4)과의 결합을 위하여 돌기 또는 홈 형태의 결합수단이 마련되고, 제2 결합부에는 제2 구동축(123C1)과의 결합을 위하여 돌기 또는 홈 형태의 결합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제3 크랭크 유닛(123C3)은 제2 구동축(123C1)에 결합되고, 제2 구동축(123C1)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3 크랭크 유닛(123C3)은 제1 크랭크 유닛(123B3) 및 제2 크랭크 유닛(123B4)과 동시에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기어박스(123A)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크랭크 유닛(123C3)은 제1 크랭크 유닛(123B3) 및 제2 크랭크 유닛(123B4)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크랭크 유닛(123C3)은 제2 구동축(123C1)의 회전 시 제2 구동축(123C1)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기어박스(123A)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크랭크 유닛(123C3)의 내주면에는 제2 구동축(123C1)과의 결합을 위하여 돌기 또는 홈 형태의 결합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제4 크랭크 유닛(123C4)은 제2 피동축(123C2)에 결합되고, 제2 피동축(123C2)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4 크랭크 유닛(123C4)은 제1 크랭크 유닛(123B3), 제2 크랭크 유닛(123B4) 및 제3 크랭크 유닛(123C3)과 동시에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기어박스(123A)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크랭크 유닛(123C4)은 제1 크랭크 유닛(123B3), 제2 크랭크 유닛(123B4) 및 제3 크랭크 유닛(123C3)과 동일한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크랭크 유닛(123C4)은 제2 피동축(123C2)의 회전 시 제2 피동축(123C2)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기어박스(123A)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크랭크 유닛(123C4)의 내주면에는 제2 피동축(123C2)과의 결합을 위하여 돌기 또는 홈 형태의 결합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축 베어링 유닛(123C5)은 제2 구동축(123C1) 및 제2 피동축(123C2)에 결합되어, 제2 구동축(123C1) 및 제2 피동축(123C2)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축 베어링 유닛(123C5)은 제2 구동축(123C1)에 결합되어 제3 크랭크 유닛(123C3)의 전방 및 동력 전달부(123D)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3 베어링과, 제2 피동축(123C2)에 결합되어 제4 크랭크 유닛(123C4)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4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23D)는 일부는 기어박스(123A)의 복수의 관통공(123A2)에 배치되어 제1 진동 발생부(123B) 및 제2 진동 발생부(123C)와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는 기어박스(123A)의 복수의 관통공(123A2) 사이에 마련된 연결홈에 배치되어 제1 진동 발생부(123B) 및 제2 진동 발생부(123C)에 결합된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 전달부(123D)는 제1 진동 발생부(123B) 및 제2 진동 발생부(123C)와 연결되어 제1 진동 발생부(123B)의 동력을 제2 진동 발생부(123C)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 전달부(123D)는 제1 피동축(123B2)에 결합되어 제1 피동축(123B2)과 함께 회전되는 제1 동력 전달 기어(123D1), 제1 동력 전달 기어(123D1)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2 동력 전달 기어(123D2), 제2 동력 전달 기어(123D2)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3 동력 전달 기어(123D3) 및 제2 구동축(123C1)에 결합되고, 제3 동력 전달 기어(123D3)에 맞물려 회전되어 제2 구동축(123C1)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4 동력 전달 기어(123D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부(123D)는 기어박스(123A)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2 동력 전달 기어(123D2) 및 제3 동력 전달 기어(123D3)에 각각 결합되어 제2 동력 전달 기어(123D2) 및 제3 동력 전달 기어(123D3)와 함께 회전되는 복수의 지지축(123D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지축(123D5)은 제2 동력 전달 기어(123D2)에 결합되어 제2 동력 전달 기어(123D2)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지지축 및 제3 동력 전달 기어(123D3)에 결합되어 제3 동력 전달 기어(123D3)와 함께 회전되는 제2 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지지축(123D5)과 각 지지축(123D5)에 결합되는 제2 동력 전달 기어(123D2) 및 제3 동력 전달 기어(123D3)에는 상호 결합을 위하여 돌기 또는 홈 형태의 결합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부(123D)는 각 지지축(123D5)에 결합되어 각 지지축(123D5)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제3 축 베어링 유닛(123D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축 베어링 유닛(123D6)은, 복수의 지지축(123D5) 중 제2 동력 전달 기어(123D2)에 결합되는 제1 지지축에 결합되어 제2 동력 전달 기어(123D2)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5 베어링과, 제3 동력 전달 기어(123D3)에 결합되는 제2 지지축에 결합되어 제3 동력 전달 기어(123D3)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6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23E)는 제1 진동 발생부(123B)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123E)는 제1 진동 발생부(123B)의 제1 구동축(123B1)과 결합되고, 동력을 발생시켜 제1 구동축(123B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23E)는 유압을 통해 제어될 수 있는 유압 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모터(123E)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진동 발생 유닛(123)은 보호 커버(123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커버(123F)는 기어박스(123A)의 전면 및 후면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제1 진동 발생부(123B), 제2 진동 발생부(123C) 및 동력 전달부(123D)를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커버(123F)는 기어박스(123A)의 전면 및 후면에 결합되어 기어박스(123A)에 마련된 관통공(123A2)의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1 진동 발생부(123B), 제2 진동 발생부(123C) 및 동력 전달부(123D)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커버(123F)는 기어박스(123A)의 전면에 결합되어 제1 진동 발생부(123B)와 제2 진동 발생부(123C)의 일단이 노출되는 관통공(123A2)의 제1 개구부를 차폐하는 복수의 제1 커버부재 및 기어박스(123A)의 후면에 결합되어 제1 진동 발생부(123B), 제2 진동 발생부(123C) 및 기어박스(123A)의 타단이 노출되는 관통공(123A2)의 제2 개구부를 차폐하는 복수의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스프링(124, 125)은 진동 발생 유닛(123)의 상단과 하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진동 발생 유닛(123)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면 탄성력에 의해 진동 발생 유닛(123)을 가압하여 상하 운동시킨다.
복수의 스프링(124, 125)은 제1 스프링(124) 및 제2 스프링(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프링(124)은 케이스(122)의 상단과 진동 발생 유닛(123)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 발생 유닛(1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프링(124)은 케이스(122)의 상단과 진동 발생 유닛(123)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일단은 케이스(122)의 제2 결합부(122B)에 지지되고, 타단은 진동 발생 유닛(123)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프링(124)은 진동 발생 유닛(1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진동 발생 유닛(123)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거나 신장되며 진동 발생 유닛(123)을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프링(124)은 케이스(122), 제1 스프링(124) 및 진동 발생 유닛(123)을 관통하여 케이스(122)에 결합되는 체결 유닛(123G)을 통하여 케이스(122)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프링(124)은 체결 유닛(123G)에 의해 체결 유닛(123G)의 중심축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진동 발생 유닛(1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유닛(123G)은 케이스(122), 제1 스프링(124) 및 진동 발생 유닛(123)을 관통하여 케이스(122)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볼트부재와, 볼트부재의 하단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체결 유닛(123G)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프링(124)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진동 발생 유닛(1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스프링(125)은 케이스(122)의 하단과 진동 발생 유닛(123)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 발생 유닛(1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스프링(125)은 케이스(122)의 하단과 진동 발생 유닛(123)의 하단 사이에 개재되어, 일단은 진동 발생 유닛(123)의 하단에 지지되고, 타단은 제3 결합부(122C)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프링(125)은 진동 발생 유닛(1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진동 발생 유닛(123)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거나 신장되며 진동 발생 유닛(123)을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프링(125)은 케이스(122), 제1 스프링(124), 진동 발생 유닛(123) 및 제2 스프링(125)를 관통하여 케이스(122)에 결합되는 체결 유닛(123G)을 통하여 케이스(122)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프링(125)은 체결 유닛(123G)에 의해 체결 유닛(123G)의 중심축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진동 발생 유닛(1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프링(125)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진동 발생 유닛(1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 유닛(126)은 진동 발생 유닛(123)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진동 발생 유닛(123)과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동력 전달 관(127)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어링 유닛(126)은 진동 발생 유닛(123)의 상면에 결합되어 동력 전달 관(127)과 결합되는 제1 지지 베어링(126A) 및 진동 발생 유닛(123)의 하면에 결합되어 프렌지 유닛(128)과 결합되는 제2 지지 베어링(126B)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 관(127)은 베어링 유닛(126)을 매개로 진동 발생 유닛(123)에 결합되어 진동 발생 유닛(123)과 동축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동력 전달 관(127)의 상단은 연결 소켓(121)에 결합되고, 동력 전달 관(127)의 하단은 제2 지지 베어링(126B)을 통해 프렌지 유닛(128)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 전달 관(127)은 연결 소켓(12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진동 발생 유닛(123)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프렌지 유닛(128)에 회전력을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 관(127)의 외주면에는 연결 소켓(121)의 내주면에 마련된 키 홈(121A)에 결합되어 연결 소켓(12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연결 소켓(121)과 함께 회전되거나, 진동 발생 유닛(123)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키 홈(121A)을 따라 상하 운동하는 돌기 형태의 키(127A)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렌지 유닛(128)은 동력 전달 관(127)의 하측에 결합되어 동력 전달 관(127)과 동축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렌지 유닛(128)의 하측에는 구동 소켓(13)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렌지 유닛(128)은 동력 전달 관(127)과 함께 회전되어 구동 소켓(13)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동력 전달 관(127)과 함께 상하 운동하여 구동 소켓(13)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방법(이하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방법'이라 함)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오거 본체(11)와, 오거 본체(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측에 결합된 케이싱(A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소켓(13) 사이에,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가 장착된 하부오거(1)를 포함하는 천공기(A)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서,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는 오거 본체(11)와, 구동 소켓(13) 사이에 탈부착 된다. 따라서, 하부오거(1)는 오거 본체(11)와 구동 소켓(13) 사이에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가 장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가 탈거된 후에도 오거 본체(11)와 구동 소켓(13)을 결합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진동 발생 유닛(123) 및 진동 발생 유닛(123)의 상단과 하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진동 발생 유닛(123)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면 탄성력에 의해 진동 발생 유닛(123)을 상하 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스프링(124, 125)을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천공 및 지반보강 시공방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본 천공 및 지반보강 시공방법은 천공기(A)의 레더(ladder, A5)에 상부오거(A1)를 장착한 후 상부로 올려 스크류(A11)를 장착하고,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가 장착된 하부오거(1)를 레더(A5)에 장착하여 일정 높이로 올린 후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와 연결된 구동 소켓(13)에 케이싱(A3)을 장착(S110)한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본 천공 및 지반보강 시공방법은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의 상하 운동 및 회전 운동으로 케이싱(A3)을 지중으로 압입하면서 상부오거(A1)로 지면을 굴착한다(S120). 여기서,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는 지반의 상태에 따라 회전 운동 모드, 상하 운동 모드, 회전 및 상하 운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되어 케이싱(A3)을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회전 운동 모드로 설정된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는 케이싱(A3)에 회전력만을 전달하고, 상하 운동 모드로 설정된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는 케이싱(A3)에 진동만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및 상하 운동 모드로 설정된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는 케이싱(A3)에 회전력과 진동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본 천공 및 지반보강 시공방법은 케이싱(A3)과 하부오거(1)를 분리 후 상부오거(A1)와 하부오거(1)를 들어 올려 케이싱(A3)으로부터 이격시킨다(S130). 이때, 케이싱(A3)의 내부로 흙이나 이물질이 들어가 케이싱(A3)을 막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작업이 지연될 경우 케이싱(A3)의 입구를 막아 이물의 유입을 방지한다.
도 10,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본 천공 및 지반보강 시공방법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장비를 이용하여 케이싱(A3)의 내부에 PHC파일(A4)을 근입한 후, 항타 장비를 이용해 PHC파일(A4)을 타격하여 천공된 깊이까지 PHC파일(A4)을 근입하거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장비를 이용하여 케이싱(A3)의 내부에 H-Beam(A4) 및 철근조립체(A4)를 근입한 후 케이싱(A3)의 내부에 시멘트를 타설한다(S140). 참고로, 케이싱(A3)의 내부로 PHC파일(A4) 또는 H-Beam(A4) 및 철근조립체(A4)의 설치는 지반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6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본 천공 및 지반보강 시공방법은 케이싱(A3)을 인발하기 위하여 하부오거(1)에 케이싱(A3)을 결합시킨다(S150). 그리고, 하부오거(1)를 통해 케이싱(A3)을 역회전 시키고, 선택적으로 케이싱(A3)에 진동을 가해 케이싱(A3)을 인발한다(S160).
구체적으로, 본 천공 및 지반보강 시공방법은 케이싱(A3)의 내부에 PHC파일(A4)을 근입했을 때는 하부오거(1)를 통해 케이싱(A3)을 역회전하여 지중으로부터 케이싱(A3)을 인발하고, 케이싱(A3)의 내부에 H-Beam(A4) 및 철근조립체(A4)를 근입했을 때는 하부오거(1)를 통해 케이싱(A3)을 역회전하면서 케이싱(A3)에 진동을 주어 케이싱(A3)을 인발한다. 그러나, 본 천공 및 지반보강 시공방법은 반드시 상기 방법으로 케이싱(A3)을 인발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PHC파일을 근입했을 때도 역회전과 진동을 병행하여 케이싱(A3)을 인발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를 오거 본체(11)에 부착하거나, 탈거 가능하여, 오거 본체(11)를 개조하지 않고 기존 오거 본체(11)에 바이브로 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고, 이를 통해 신속한 작업 전환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양한 오거에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의 고장 시에도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만 탈거 후 오거 본체(11)는 사용이 가능하여 작업의 지연을 예방하고, 장비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타 장비의 임대로 인해 비용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천공 작업시 연속 회전과 진동을 동시에 주므로 분리형 오거의 빠른 작업속도를 얻을 수 있어 작업효율이 높고, 회전을 멈추고 진동만 주거나 진동을 멈추고 회전만 줄 수 있으므로 하부에 암반이 있는 지역에서 특히 작업 효율이 높다.
또한, 진동의 발생 시 복수의 탄성부재(124, 125))가 완충작용을 하여 장비에는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 하고, 인발하고자 하는 케이싱(A3)으로 최대한 진동의 영향이 작용되도록 하여, 인발 시 오버하중을 줄여 장비의 파손, 마모 등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콘크리트 말뚝 공법의 최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케이싱(A3)의 인발시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진동 및 회전을 통해 토압이나 물리적인 현상을 제거하여 케이싱(A3)을 쉽게 인발할 수 있고, 근입된 철근조립체(A4)가 케이싱(A3)과 함께 올라오거나, H-Beam(A4)이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타설된 콘크리트가 진동에 의해 잘 다져져 기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하부오거 11. 오거 본체
111. 본체부 112. 회전 유닛
113. 결합 러그 12.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121. 연결 소켓 121A. 키 홈
122. 케이스 122A. 제1 결합부
122B. 제2 결합부 122C. 제3 결합부
122D. 체결부재 123. 진동 발생 유닛
123A. 기어박스 123A1. 안착홈
123A2. 관통공 123B. 제1 진동 발생부
123B1. 제1 구동축 123B2. 제1 피동축
123B3. 제1 크랭크 유닛 123B4. 제2 크랭크 유닛
123B5. 제1 축 베어링 유닛 123C. 제2 진동 발생부
123C1. 제2 구동축 123C2. 제2 피동축
123C3. 제3 크랭크 유닛 123C4. 제4 크랭크 유닛
123C5. 제2 축 베어링 유닛 123D. 동력 전달부
123D1. 제1 동력 전달 기어 123D2. 제2 동력 전달 기어
123D3. 제3 동력 전달 기어 123D4. 제4 동력 전달 기어
123D5. 지지축 123D6. 제3 축 베어링 유닛
123E. 모터 123F. 보호 커버
123G. 체결 유닛 124. 제1 스프링
125. 제2 스프링 126. 베어링 유닛
126A. 제1 지지 베어링 126B. 제2 지지 베어링
127. 동력 전달 관 127A. 키
128. 프렌지 유닛 13. 구동 소켓
A. 천공기 A1. 상부오거
A11. 스크류 A111. 비트
A3. 케이싱 A4. PHC파일, H-Beam, 철근조립체
A5. 레더 A6. 크레인

Claims (11)

  1.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오거 본체(11)와, 상기 오거 본체(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측에 결합된 케이싱(A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소켓(13) 사이에, 탈부착 가능한 바이브로 함마(12)로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진동 발생 유닛(123); 및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의 상단과 하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을 상하 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스프링(124, 125)을 포함하고,
    상기 오거 본체(11)는,
    천공기(A)에 설치되는 본체부(111),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유닛(112), 및
    상기 본체부(11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11)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회전 유닛(112)의 둘레에 배치되는 결합 러그(113)를 포함하며,
    상기 탈부착 가능한 바이브로 함마(12)는 상기 회전 유닛(112)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유닛(112)과 동축(coaxial) 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회전 유닛(112)으로부터 회전력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소켓(121)과,
    상기 결합 러그(113)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소켓(121)과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오거 본체(11)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며, 내측에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 및 상기 복수의 스프링(124, 125)이 동축 상태로 배치되는 케이스(122),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과 동축 상태로 정렬되는 베어링 유닛(126),
    상기 베어링 유닛(126)을 매개로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과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연결 소켓(12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동력 전달 관(127), 및
    상기 동력 전달 관(127)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 전달 관(127)과 동축 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동력 전달 관(127)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 소켓(13)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프렌지 유닛(128)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프링(124, 125)은 케이스(122)의 상단과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진동 발생 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을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스프링(124), 및
    상기 케이스(122)의 하단과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의 하단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진동 발생 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을 상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스프링(125)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소켓(121)의 내주면에는 키 홈(121A)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 전달 관(127)의 외주면에는 상기 키 홈(121A)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소켓(121)과 함께 회전되거나, 상기 키 홈(121A)을 따라 상하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키(127A)가 마련되며,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베어링 유닛(126)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동력 전달 관(127)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스프링(124) 및 상기 제2 스프링(125)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외력을 전달받아 상하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기어박스(123A),
    상기 기어박스(123A)의 내부에 수용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기어박스(123A)의 일 측에 배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진동 발생부(123B),
    상기 기어박스(123A)의 타 측에 배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진동 발생부(123C),
    상기 제1 진동 발생부(123B)의 동력을 상기 제2 진동 발생부(123C)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 전달부(123D), 및
    상기 제1 진동 발생부(123B)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모터(123E)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 발생부(123B)는 상기 모터(123E)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123E)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구동축(123B1)과,
    상기 제1 구동축(123B1)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동축(123B1)과 함께 회전되는 제1 피동축(123B2),
    상기 제1 구동축(123B1)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구동축(123B1)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크랭크 유닛(123B3),
    상기 제1 피동축(123B2)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피동축(123B2)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크랭크 유닛(123B4), 및
    상기 제1 구동축(123B1) 및 상기 제1 피동축(123B2)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동축(123B1) 및 상기 제1 피동축(123B2)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축 베어링 유닛(123B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진동 발생부(123C)는 상기 동력 전달부(123D)와 결합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123D)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구동축(123C1)과,
    상기 제2 구동축(123C1)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구동축(123C1)과 함께 회전되는 제2 피동축(123C2),
    상기 제2 구동축(123C1)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구동축(123C1)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크랭크 유닛(123C3),
    상기 제2 피동축(123C2)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피동축(123C2)과 함께 회전하며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4 크랭크 유닛(123C4), 및
    상기 제2 구동축(123C1) 및 상기 제2 피동축(123C2)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구동축(123C1) 및 상기 제2 피동축(123C2)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축 베어링 유닛(123C5)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부(123D)는 상기 제1 피동축(123B2)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피동축(123B2)과 함께 회전되는 제1 동력 전달 기어(123D1),
    상기 제1 동력 전달 기어(123D1)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2 동력 전달 기어(123D2),
    상기 제2 동력 전달 기어(123D2)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3 동력 전달 기어(123D3), 및
    상기 제2 구동축(123C1)에 결합되고, 상기 제3 동력 전달 기어(123D3)에 맞물려 회전되어 상기 제2 구동축(123C1)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제4 동력 전달 기어(123D4)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123A)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안착홈(123A1)이 마련되고,
    상기 기어박스(123A)의 상부에 마련된 안착홈(123A1)에는 제1 스프링(124)의 타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며,
    상기 기어박스(123A)의 하부에 마련된 안착홈(123A1)에는 제2 스프링(125)의 일단이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기어박스(123A)의 일 측에 마련된 관통공(123A2)에는 상기 제1 진동 발생부(123B)가 배치되고,
    상기 기어박스(123A)의 타 측에 마련된 관통공(123A2)에는 제2 진동 발생부(123C)가 배치되며,
    상기 진동 발생 유닛(123)은 기어박스(123A)의 전면 및 후면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제1 진동 발생부(123B), 제2 진동 발생부(123C) 및 동력 전달부(123D)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123F)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123F)는 기어박스(123A)의 전면에 결합되어 제1 진동 발생부(123B)와 제2 진동 발생부(123C)의 일단이 노출되는 관통공(123A2)의 제1 개구부를 차폐하는 복수의 제1 커버부재,
    및 기어박스(123A)의 후면에 결합되어 제1 진동 발생부(123B), 제2 진동 발생부(123C) 및 기어박스(123A)의 타단이 노출되는 관통공(123A2)의 제2 개구부를 차폐하는 복수의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프링(125)은 상기 케이스(122), 제1 스프링(124), 진동 발생 유닛(123) 및 제2 스프링(125)를 관통하여 케이스(122)에 결합되는 체결 유닛(123G)을 통하여 케이스(122)에 고정되고,
    상기 안착홈(123A1)이 형성된 부위에는 체결 유닛(123G)이 관통되는 결합공이 마련되며,
    상기 안착홈(123A1)은 기어박스(123A)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기어박스(123A)의 일 측 및 타 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22)는,
    상기 결합 러그(113)의 양 측면을 지지하고 체결부재(122D)를 통해 상기 결합 러그(113)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합부(122A);
    상기 제1 스프링(124)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1 스프링(124)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합부(122B); 및
    상기 제2 스프링(125)의 타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스프링(125)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결합부(122C)를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12).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62578A 2019-12-09 2019-12-09 스프링을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 KR102138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578A KR102138893B1 (ko) 2019-12-09 2019-12-09 스프링을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578A KR102138893B1 (ko) 2019-12-09 2019-12-09 스프링을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893B1 true KR102138893B1 (ko) 2020-07-28

Family

ID=7183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578A KR102138893B1 (ko) 2019-12-09 2019-12-09 스프링을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8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459A (ja) * 1992-02-28 1993-09-17 Kenchiyoo:Kk 振動発生装置
KR100970772B1 (ko) 2009-12-11 2010-07-16 박정열 오거 및 파일 바이브레이션 햄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50244B1 (ko) * 2018-06-18 2019-02-21 동명중기계 (주) 진동 바이브로 하부오거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보강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459A (ja) * 1992-02-28 1993-09-17 Kenchiyoo:Kk 振動発生装置
KR100970772B1 (ko) 2009-12-11 2010-07-16 박정열 오거 및 파일 바이브레이션 햄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50244B1 (ko) * 2018-06-18 2019-02-21 동명중기계 (주) 진동 바이브로 하부오거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보강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772B1 (ko) 오거 및 파일 바이브레이션 햄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16132B1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파일 시공장치
KR101950244B1 (ko) 진동 바이브로 하부오거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보강 시공방법
KR102138899B1 (ko) 진동고무를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
CN105586872A (zh) L桩与矩形桩矩形锁扣设备
KR102138893B1 (ko) 스프링을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
KR101726229B1 (ko) 바이브레이션 해머를 이용한 파일의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공법
KR100911914B1 (ko) 건설장비용 진동 파쇄기
CN105421352A (zh) H桩与矩形桩矩形插接设备
JP5557503B2 (ja) 鋼管杭の挿入方法
JP2005282043A (ja) 山留め壁の補強方法
KR100996444B1 (ko) 개량형 마이크로 파일 시공방법과 개량형 마이크로 파일 구조체 및 개량형 마이크로 파일 구조체의 요철단면관
KR101615810B1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시트파일 시공장치
JP2005337003A (ja) 地盤穿孔装置
JP5443928B2 (ja) ソイルセメント構造物の構築方法、ソイルセメント構造物
KR101696169B1 (ko) 진동항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방법
KR100592041B1 (ko) 연약지반의 기초파일구축을 위한 무천공압입식 케이싱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파일구축공법(오지오 파일공법)
JP2972853B2 (ja) 鋼管配設孔形成装置及び鋼管矢板形成方法
RU48333U1 (ru) Вибропробивное инъек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90090421A (ko) 지반개량장치 및 시공방법
KR20060127465A (ko) 다방향 2중 복합 실드형 굴착기
JP2003105794A (ja) 操作アームの制振機構
CN218880845U (zh) 一种组合斜桩撑施工装置
RU54967U1 (ru) Вибропроб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5586875A (zh) L桩与矩形桩v形插扣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