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898B1 - 접속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컨트롤센터 - Google Patents

접속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컨트롤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898B1
KR101211898B1 KR1020117009077A KR20117009077A KR101211898B1 KR 101211898 B1 KR101211898 B1 KR 101211898B1 KR 1020117009077 A KR1020117009077 A KR 1020117009077A KR 20117009077 A KR20117009077 A KR 20117009077A KR 101211898 B1 KR101211898 B1 KR 101211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device
slit
contactor
pai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260A (ko
Inventor
다카히로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7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04Isolating-contacts, e.g. mountings or shiel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Patch Board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제1 도체와 제2 도체와의 전기적인 접속이나 단로를 실시하는 종래의 접속장치는 판스프링을 'U'자로 절곡하여 형성한 1쌍의 다리부를 가지는 접촉자를 절연케이스에 수용한 것이었다. 그 때문에 통전용량을 저하시키지 않고, 박형화한 접속장치를 얻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의 접속장치는 판스프링에 슬릿을 넣어 형성한 1쌍의 다리부를 가지는 접촉자를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통전용량을 저하시키지 않고, 박형화한 접속장치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접속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컨트롤센터 {CONNECTION DEVICE AND CONTROL CENT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력플랜트에 사용되는 모터 등의 기동제어나 그 보호를 행하는 컨트롤센터의 기능유니트에 이용되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접속장치는 판스프링을 'U'자로 절곡하여 형성한 1쌍의 다리부를 가지는 클립 모양의 접촉자를 절연케이스에 수납한 것으로서, 그 'U'자의 절곡부 근방인 복부(腹部)에 기능유니트 측의 전선을 용접 등으로 접속한 다음, 상기 1쌍의 다리부의 사이에 컨트롤센터의 모선(母線)인 블레이드(blade)를 삽발(揷拔, 삽입하거나 빼냄)함으로써, 상기 기능유니트 측의 전선과 상기 블레이드와의 전기적인 접속이나 단로(斷路)를 실시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평6-233421호 공보(단락 0006, 도 8)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종래의 접속장치에 이용되는 접촉자는 판스프링을 'U'자로 절곡한 것이기 때문에, 폭이 넓은 구조체가 된다. 이와 같은 접촉자를 절연케이스에 수납한 접속장치의 폭은 블레이드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폭이 넓어진다. 한편, 컨트롤센터에 수납되는 기능유니트는 공간절약화의 요구로부터 박형화가 요구되며, 이것에 수반하여 기능유니트에 이용되는 접속장치도 박형화가 요구된다. 그러나, 판스프링의 폭을 좁게 한 접촉자를 이용하여, 접속장치의 박형화를 하려고 하면, 접촉자에 흐르는 전류밀도가 높아져, 필요한 통전용량의 확보가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여, 통전용량을 줄이지 않고, 종래의 접속장치보다 박형의 접속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속장치는, 제1 도체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제2 도체를 파지하는 1쌍의 다리부가 형성된 접촉자를 절연케이스에 수용한 접속장치에 있어서, 도전성의 판스프링에 슬릿을 넣음으로써 상기 1쌍의 다리부를 형성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스프링에 슬릿을 넣음으로써 1쌍의 다리부를 가지는 접촉자를 형성하고, 이 접촉자를 절연케이스에 수용함으로써, 접속장치의 폭(블레이드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른 폭)이 판스프링의 폭에 의존하지 않게 되어, 박형이고 또한 통전용량의 큰 접속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이용되는 접촉자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접속장치의 구성 및 블레이드로의 삽발방향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이용되는 접촉자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2에 이용되는 탄성부재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접촉자에 실시형태 2의 탄성부재를 장착했을 때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3에 이용되는 접촉자의 상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4에 이용되는 접촉자의 상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5에 이용되는 접촉자의 상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5에 이용되는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탄성부재를 실시형태 5의 접촉자에 장착했을 때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5에 이용되는 접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5의 접속장치에 블레이드(30)를 파지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6에 이용되는 접촉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6에 이용되는 접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7에 이용되는 기능유니트의 외관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7에 이용되는 컨트롤센터의 외관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이용되는 접속장치의 주된 구성부가 되는 접촉자의 구조도이며, (a)에 상면도, (b)에 측면도, (c)에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이 접촉자를 절연케이스에 수납한 접속장치의 구성 및 컨트롤센터의 블레이드로의 삽발방향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촉자에 대해서 판스프링의 폭만큼을 넓게 한 접촉자의 상면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 중의 각 부위에서 도 1과 동일 부분 내지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이용되는 접촉자(10)는 인청동(燐靑銅, phosphor bronze)이나 강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의 판스프링에 Y형의 슬릿(11)을 넣음으로써 1쌍의 제1 다리부(12a)와 제2 다리부(12b)를 형성하고, 각각의 다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컨트롤센터의 모선(제2 도체)인 블레이드를 파지하기 위한 접촉부(13a)와, 상기 블레이드를 삽입하기 쉽게 하는 가이드부(13b)를 형성하며, 기능유니트 측의 전선(제1 도체)과 접속 가능한 접속부(20)를 장착한 것이다.
접촉자(10)의 Y형의 슬릿(11)이나 접촉부(13a), 가이드부(13b) 등의 형성은 1매의 판스프링 모재를 프레스기 등에 의해서 뽑기가공하거나, 재단기나 레이저 가공기, 와이어 가공기 등으로 절출(切出)가공하거나 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가공 후에 열처리를 시행함으로써, 최적의 탄성 특성을 판스프링에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1 다리부(12a)와 제2 다리부(12b)의 사이에 블레이드(30)를 파지하는 탄성 특성을 가진 접촉자(10)를 얻을 수 있다.
접촉부(13a)의 접촉면의 형상은 각봉(角棒) 모양의 블레이드(30)와 면접촉시키기 때문에, 그 블레이드의 형상에 맞춘 형태인 평면 모양으로 하고 있다. 접속부(20)는 접속선을 판스프링의 접속개소(21)에 용접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접속부는 반드시 접속선을 이용할 필요성은 없으며,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 모재로부터 절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이용되는 접속장치(1)는 도 1의 접촉자(10)를 절연케이스(14)에 수용한 것으로서, 접속선(20)이 그 절연케이스(14)의 외벽을 관통하고 있어, 기능유니트 측의 전선과 접속 가능하다. 또 절연케이스(14)에는 접촉자(10)의 다리부(12)의 사이에 블레이드(30)를 삽입할 때, 상기 블레이드(30)와 절연케이스(14)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절삭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접속장치(1)는 도 2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접촉자(10)의 한 쌍의 다리부(12a, 12b) 사이에 컨트롤센터의 블레이드(30)를 삽발할 수 있어, 상기 기능유니트 측의 전선과 상기 블레이드와의 전기적인 접속이나 단로를 실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접촉자에 대해서 판스프링의 폭만큼을 넓게 한 접촉자이며, 이와 같이 판스프링의 두께를 바꾸지 않고, 다리부(12a, 12b)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접촉자에 흐르는 전류밀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판스프링에 슬릿을 마련하기 때문에 1쌍의 다리부를 가지는 접촉자를 얻을 수 있으며, 설령 폭이 좁은 접속장치(판스프링의 얇은 접촉자를 이용했다)라도 접촉자(10)의 다리부(12a, 12b)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통전용량을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박형이고 또한 통전용량의 큰 접속장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2.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실시형태 2에 이용되는 접촉자에 장착되는 탄성부재의 구조도이며, (a)에 상면도, (b)에 측면도, (c)에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이 탄성부재를 도 1의 접촉자에 장착했을 때의 상면도이다. 또한, 도 5 중의 각 부위에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부분 내지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이용되는 탄성부재(15)는 판스프링을 'C'자로 굽혀 형성한 것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탄성부재(15)는 접촉자(10)의 다리부(12)상에 끼워 넣어져, 슬릿(11)의 폭을 보다 좁히도록 탄성력을 준다. 실시형태 2의 접속장치(1)는 상기와 같은 탄성부재를 장착한 접촉자(10)를 절연케이스(14)에 수용한 것이다.
실시형태 2의 접속장치(1)의 다리부(12)의 사이에 블레이드(30)를 삽입하면, 블레이드(30)는 다리부(12)의 사이에 작용하는 탄성력과 탄성부재(15)의 탄성력이 서로 중첩되기 때문에 강하게 파지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블레이드(30)와 접속장치(1)의 접촉부(13a)와의 접합면에서의 마이크로한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전기적인 접촉저항이 내려가기 때문에, 접속장치(1)로서의 신뢰성이 높아진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를 가진다.
실시형태 3.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실시형태 3에 이용되는 접촉자의 상면도이다. 또한, 도 6 중의 각 부위에서 도 1과 동일 부분 내지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이용되는 접촉자(10)는 'Y'자 모양의 슬릿의 밑동부에 타원 모양의 구멍(16)을 마련하여 종단(終端)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슬릿의 밑동부의 구조를 곡면으로 종단한 것이다. 탄성성을 작용하는 슬릿의 밑동부가 곡면으로 종단되어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30)의 삽입에 수반하여 다리부(12)로부터 가해지는 힘은 그 곡면에 따라서 분산되며, 그 결과, 슬릿의 밑동부의 탄성 특성이 안정된다. 따라서, 컨트롤센터의 블레이드(30)의 삽발을 재현성 좋게 실시할 수 있으며, 또 슬릿의 밑동부의 피로 파괴나 소성변형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4.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실시형태 4에 이용되는 접촉자의 상면도이다. 또한, 도 7 중의 각 부위에서 도 1 및 도 2과 동일 부분 내지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이용되는 접촉자(10)는 'I'자 모양의 슬릿을 구비하여 그 밑동부를 곡면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접촉자(10)를 이용한 접속장치(1)라도 실시형태 1 내지 3의 접속장치와 마찬가지로, 1쌍의 제1 다리부(12a)와 제2 다리부(12b)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컨트롤센터의 블레이드(30)의 삽발할 수 있고, 또, 구멍(16a)의 효과에 의해,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슬릿의 밑동부의 소성변형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를 가진다.
실시형태 5.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실시형태 5에 이용되는 접촉자의 상면도이며, 도 9는 그 접촉자에 장착하는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탄성부재를 장착한 접촉자의 상면도이며, 도 11은 이들을 절연케이스에 수용한 접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블레이드를 파지한 접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2 중의 각 부위에서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부분 내지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이용되는 접촉자(10)는 동판 등의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지만, 스프링성에 관해서는 약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판에 Y형의 슬릿(11)을 넣음으로써 형성한 1쌍의 제1 다리부(12a)와 제2 다리부(12b)를 구비하고, 각각의 다리부(12)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블레이드(30)를 파지하는 접촉부(13a)와, 블레이드를 삽입하기 쉽게 하는 가이드부(13b)를 형성하며, 또, 접촉부(13a)와 반대 측에 기능유니트 측의 전선과 접속 가능한 접속부(20)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Y형의 슬릿(11)은 제1 슬릿부(11a), 제2 슬릿부(11b), 제3 슬릿부(11c), 제4 슬릿부(11d) 및 블레이드(30)를 파지하는 접촉부(13a)를 벽면으로 하는 제5 슬릿부(11e)로 이루어진다. 제4 슬릿부(11d)의 틈새 폭은 제1 슬릿부(11a)보다 좁게 절삭되며, 제5 슬릿부(11e)에 블레이드(30)를 삽입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틈새 폭이 없어지도록,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탄성부재(15)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다. 1쌍의 다리부(12)에는 탄성부재(15)를 장착하기 위한 홈을 가진 한 쌍의 단차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접촉자(10)의 작성은 프레스기 등을 이용한 뽑기가공이 다량 생산하는데 있어서 우수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이용되는 탄성부재(15)는 인청동이나 강판 등의 스프링재로 형성된 타원 모양의 링부재를 타원형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절곡부(15a)에서 절곡함으로써, 측면 및 상면에서 보아 'U'자 모양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15a)의 짧은 길이방향의 내경은 슬릿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얻기 위해, 다리부(12)에 형성된 한 쌍의 단차부(17)의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다. 또, 탄성부재(15)의 폭은 절곡부(15a)로부터 끝으로 감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재(15)에 이용하는 스프링재는 반드시 도전성을 가질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다른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재라도 되고, 그 경우의 가공은 금형 성형이 적합하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탄성부재(15)의 절곡부(15a)는 접촉자(10)에 형성된 1쌍의 단차부(17)에 맞닿을 때까지 슬라이드 삽입되고, 또, 단차부(17)의 홈에 끼워맞춰져 고정된다. 이 때, 접촉자(10)의 제4 슬릿부(11d)는 탄성부재(15)의 탄성력에 의해서 틈새가 없어질 때까지 눌러 좁혀진다. 즉 탄성부재(15)의 장착에 의해, 가령 스프링성이 거의 없는 도전재료로 구성된 접촉자(10)라도 장착한 탄성부재(15)가 가지는 스프링 작용에 의해, 그 제1 다리부(12a)와 제2 다리부(12b)의 사이에 블레이드(30)를 강하고 파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 소성변형 하기 쉬운 접촉자(10)의 상하면을 'U'자 모양의 탄성부재(15)가 끼워지지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므로, 특히 접촉자(10)의 다리부(12)의 변형이 억제되어, 소성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접촉자(10)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를 가진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이용되는 접속장치(1)는 도 10의 탄성부재(15)를 장착한 접촉자(10)를 절연케이스(14)에 수용하고, 그 접속부(20)를 상기 절연케이스(14)의 밖으로 낸 것이다. 이 접속부(2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부품(21)을 스웨이징(swaging)하여 기능유니트 측의 전선(22)(제1 도체)과 일체로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접속장치(1)는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에서 그 접촉자(10)의 한 쌍의 다리부(12a, 12b) 사이(제5 슬릿부(11e))에 컨트롤센터의 블레이드(30)를 삽발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30)가 다리부(12a, 12b) 사이에 삽입되면, 틈새가 없었던 제4 슬릿부(11d)에 틈새가 발생하여, 탄성부재(15)도 넓혀진다. 넓혀진 탄성부재(15)의 탄성력은 증가하여, 다리부(12)에 마련된 접촉부(13a)로 블레이드(30)를 강하게 파지하므로, 전기적인 접속도 확실한 것이 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5에 이용되는 접속장치(1)는 상기 기능유니트 측의 전선과 상기 컨트롤센터의 모선인 타원 막대 모양의 블레이드(30)와의 전기적인 접속이나 단로를 확실히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접촉저항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이용되는 접촉자(10)의 접촉부(13a)의 면형상은 타원 막대 모양의 블레이드(30)의 표면에 대해서 면접촉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블레이드(30)의 형상에 맞춘 접촉면 형상을 접촉자(10)의 접촉부(13a)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이용되는 접촉자(10)는 스프링성이 약한 도전재료인 동판을 이용했지만, 스프링성이 강한 다른 어떠한 도전성의 재료를 이용해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이용되는 접촉자(1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실시형태 6.
실시형태 1 내지 5의 접속장치에서는 절연케이스에 수납하는 접촉자를 1매로 하고 있었지만, 접촉자의 수를 복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접촉자를 수납할 수 있는 절연케이스를 이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2매의 접촉자를 수납하는 절연케이스의 경우, 케이스 내가 2단으로 구분되고, 그 구분된 각각의 단에 접촉자를 수용한 것으로 하면 된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형태 6에 이용되는 접촉자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그것을 이용한 접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 및 도 14 중의 각 부위에서 도 1 내지 도 12와 동일 부분 내지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이용되는 접촉자는 실시형태 5에 이용되는 탄성부재(15)를 장착한 접촉자(도 10 참조)에 관통하는 접속용의 도시하지 않은 리벳구멍을 마련한 2매의 접촉자(10a, 10b)와, 이 2매의 접촉자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리벳구멍을 마련한 도시하지 않은 'U'자형의 도체 스페이서(10c)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리벳구멍에 리벳(18)을 삽입하여 접속한 것이다. 이 때, 상기 2매의 접촉자(10a, 10b)는 리벳(18)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며, 각 접촉자(10a, 10b)의 제5 슬릿부(11e)를 함께 블레이드(30)에 대향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체 스페이서(10c)는 접촉자(10a, 10b)에 이용되는 탄성부재(15)의 서로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두께는 탄성부재(15)의 두께의 2배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이용되는 접속장치(1)는 상기 실시형태 6에 이용되는 탄성부재를 장착한 2매의 접촉자(10a, 10b)를 1개의 절연케이스(14)에 수용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실시형태 6에 의하면, 1개의 접속장치(1)에 2매의 접촉자(10a, 10b)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1매일 때보다 통전용량이 커진다. 또, 접속에 리벳(18)을 이용함으로써, 각 접촉자(10a, 10b)의 제5 슬릿부(11e)를 함께 회전시켜 블레이드(30)에 대향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용이하게 블레이드(30)를 제5 슬릿부(11e)에 삽입할 수 있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를 가진다. 바꾸어 말하면, 접속장치(1)의 조립시에, 2매의 접촉자(10a, 10b)에 형성된 각 제5 슬릿부(11e)의 방향을 서로 정확하게 맞추지 않더라도, 리벳구멍에 리벳(18)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블레이드(30)를 제5 슬릿부(11e)에 삽입할 수 있는 접속장치(1)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실시형태 6에서는 2매의 접촉자(10)를 1개의 리벳(18)으로 고정했지만, 리벳(18)의 축부의 지름보다 리벳구멍의 지름을 크게 함으로써, 복수의 리벳으로 고정해도 각각의 접촉자(10)를 요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블레이드(30)를 제5 슬릿부(11e)에 삽입할 수 있다. 또, 접촉자(10)를 2매로 했지만, 3매 이상의 접촉자(10)를 이용해도 동일한 접속장치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실시형태 7.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기능유니트의 외관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이용되는 컨트롤센터의 외관도이다.
도 15의 (a)의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이용되는 기능유니트(40)는 전동기 회로의 개폐제어나 그 보호를 행하기 위해서, 전면(前面)에 배선용 차단기 조작핸들(41), 상태 표시나 전동기 제어 등을 행하는 조작표시장치(42) 등을 배치한 것이다.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배선용 차단기, 전자접촉기 등의 주회로 기기, 도시하지 않은 전류센서나 계전기 등의 제어회로기기가 수용되어 있다. 도 15의 (b)의 저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유니트(40)의 배면에는 기능유니트(40)와 외부의 삼상교류를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센터(50)의 3개의 블레이드(30)를 접속하는 접속장치(1)가 3대 배치되어 있다. 이 접속장치(1)에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6에서 설명한 접속장치(1)를 이용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기능유니트(40)는 내부를 다단으로 나눈 컨트롤센터(50)의 단마다 장착되고, 금속제의 케이스(52)에 마련된 전면도어(51)의 개폐에 의해,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의하면, 기능유니트(40)에 박형이고 또한 통전용량의 큰 접속장치(1)를 이용함으로써, 기능유니트(40)도 박형으로 할 수 있고, 그 결과, 다수의 기능유니트(40)를 수납한 공간절약형 컨트롤센터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1 접속장치, 10 접촉자,
11 슬릿, 12 다리부,
13a 접촉부, 13b 가이드부,
14 절연케이스, 15 탄성부재,
16 타원 모양의 구멍, 17 단차부,
18 리벳, 20 접속부,
22 기능유니트 측의 전선(제1 도체), 30 컨트롤센터의 블레이드(제2 도체),
40 기능유니트, 50 컨트롤센터

Claims (13)

  1. 제1 도체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제2 도체를 파지하는 1쌍의 다리부가 형성된 접촉자를 절연케이스에 수용한 접속장치에 있어서, 도전성의 판스프링에 슬릿을 넣음으로써, 상기 1쌍의 다리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슬릿의 형상을 Y형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2. 제1 도체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제2 도체를 파지하는 1쌍의 다리부가 형성된 접촉자를 절연케이스에 수용한 접속장치에 있어서, 도전성의 평판에 슬릿을 넣음으로써, 상기 1쌍의 다리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슬릿의 형상을 Y형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폭을 좁히는 탄성부재를 상기 접촉자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슬릿의 밑동부를 곡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슬릿의 밑동부를 타원 모양의 구멍으로 종단(終端)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 도체와 면접촉하는 형상의 접촉부를 1쌍의 다리부 각각의 대향하는 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 도체를 접촉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다리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홈을 가진 단차부를 다리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타원 모양의 링부재를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U'자 모양으로 굽혀지도록 형성하고, 측면 및 평면에서 보아 'U'자 모양으로 굽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탄성부재를 접촉자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접촉자를 1개의 절연케이스에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리벳으로 접속되고, 상기 리벳을 회전축으로 하는 복수의 접촉자를 1개의 절연케이스에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접속장치를 구비한 기능유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센터.
  13. 삭제
KR1020117009077A 2008-11-17 2008-11-17 접속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컨트롤센터 KR101211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03345 WO2010055548A1 (ja) 2008-11-17 2008-11-17 接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トロ-ルセ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260A KR20110057260A (ko) 2011-05-31
KR101211898B1 true KR101211898B1 (ko) 2012-12-13

Family

ID=4216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077A KR101211898B1 (ko) 2008-11-17 2008-11-17 접속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컨트롤센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100847B2 (ko)
KR (1) KR101211898B1 (ko)
CN (1) CN102204022B (ko)
DE (1) DE112008004167B4 (ko)
MY (1) MY171756A (ko)
TW (1) TWI369046B (ko)
WO (1) WO2010055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5188B2 (ja) * 2011-01-28 2014-07-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77487B2 (ja) * 2011-06-17 2016-08-24 株式会社ヨコオ 検査用コネクタ及び検査用中継コネクタ装置
JP5802158B2 (ja) * 2012-03-21 2015-10-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アクチュエータ
KR101589056B1 (ko) * 2015-02-06 2016-01-27 주식회사 코리아 인스트루먼트 인쇄 회로기판용 커넥터
JP6339541B2 (ja) * 2015-09-15 2018-06-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DE102017112548B4 (de) * 2017-06-07 2019-01-24 Lisa Dräxlmaier GmbH Elektrische kontakteinrichtung und metallische aufnahme für eine elektrische kontakteinrichtung
CN110492264A (zh) * 2019-09-02 2019-11-22 广州番禺电缆集团有限公司 一种电缆连接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6956A (ja) * 2007-01-16 2008-07-31 Yazaki Corp 接続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35072B (de) * 1961-07-18 1962-08-23 Harting Elektro W Flach-Kontaktelement fuer elektrische Steckvorrichtungen
NL137793B (ko) * 1967-06-05 1900-01-01
US4140360A (en) * 1977-10-13 1979-02-20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mass termination of flat multiple wire cable
CA1140227A (en) * 1979-10-19 1983-01-25 Harry H. Kokken Method of terminating shielded electrical cable and an assembly comprising an electrical connector terminating such cable
AU8440882A (en) * 1981-06-25 1983-01-06 Amp Incorporated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tact
DE3731625A1 (de) * 1987-09-19 1989-03-30 Asea Brown Boveri Aus flachmaterial gebildetes kontaktstueck
JP2853949B2 (ja) * 1993-01-28 1999-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差込接続装置
DE4306795C2 (de) * 1993-03-04 1995-01-19 Grote & Hartmann Kontaktelement
JPH07111888B2 (ja) * 1993-07-12 1995-11-29 不二電機工業株式会社 電源用クリップ
JP3087617B2 (ja) * 1994-07-21 2000-09-11 住友電装株式会社 圧接端子を備えた電気接続箱
US6280253B1 (en) * 1999-04-22 2001-08-2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connecting electrical circuits and components
EP1635425B1 (en) * 2003-06-18 2014-11-26 Furukawa Electric Co., Ltd. Connection terminal
CN100477403C (zh) * 2003-06-18 2009-04-08 三菱电线工业株式会社 连接端子
JP2006114268A (ja) * 2004-10-13 2006-04-27 Sumitomo Electric Ind Ltd 接触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接触子対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6956A (ja) * 2007-01-16 2008-07-31 Yazaki Corp 接続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55548A1 (ja) 2012-04-05
CN102204022B (zh) 2014-03-12
KR20110057260A (ko) 2011-05-31
CN102204022A (zh) 2011-09-28
TW201021336A (en) 2010-06-01
TWI369046B (en) 2012-07-21
JP5100847B2 (ja) 2012-12-19
WO2010055548A1 (ja) 2010-05-20
MY171756A (en) 2019-10-28
DE112008004167B4 (de) 2016-04-14
DE112008004167T5 (de)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898B1 (ko) 접속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컨트롤센터
KR102249177B1 (ko) 클램핑력이 향상된 전기 단자
CN102884682B (zh) 电接触元件
EP2483969B1 (en) One-piece conductive clip for push-in wire connector
EP2568539B1 (en) Conductor connection tool and relay unit comprising the same
JP6400607B2 (ja) ばね締付接点および電気導体用結合端子
JP2011512618A (ja) 電気接続デバイス
JP2018110100A (ja) 電気導体と接触するばね締付接点、導体接続端子およびばね締付接点の製造方法
CN104466462A (zh) 线状导体连接用端子
JP2005353567A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路基板モジュール
KR20140006853A (ko) 환형의 스프링 컨택을 포함하는 고전류 커넥터
US8083538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with separation point and contact arrangement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KR101643218B1 (ko)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EP2962364B1 (en) Spring clip and connection box
KR20060060622A (ko) 전기 커넥터
CN109075464B (zh) 电接线端子以及方法
JP5454629B2 (ja) コネクタ端子
US9825376B2 (en) Pressure welding contact having a bellows type terminal and pressure welding connector
US7025622B2 (en) Contact element terminal with a contact element and method for contacting a conductor with a contact element
EP3226351B1 (en) Terminal device and wiring apparatus with same
JP2016018700A (ja) 圧接端子
CN110892585B (zh) 电插塞连接器和插塞连接器系统
EP3024093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device
CN214797792U (zh) 一种压入式端子及连接器
JP5952668B2 (ja)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