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828B1 -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828B1
KR101211828B1 KR1020100116211A KR20100116211A KR101211828B1 KR 101211828 B1 KR101211828 B1 KR 101211828B1 KR 1020100116211 A KR1020100116211 A KR 1020100116211A KR 20100116211 A KR20100116211 A KR 20100116211A KR 101211828 B1 KR101211828 B1 KR 101211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
derived protein
solution
weight
protei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862A (ko
Inventor
김대덕
홍순선
송충길
알렉스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8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로리포솜은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므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약제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dvanced adipose stem cells derived protein extracts stabilized with proliposome}
본 발명은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advanced adipose stem cells derived protein extracts; AAPE)은 사람 지방 조직에서 분리한 줄기세포(human adipose derived stem cells)를 배양하였던 배양액(조건 배지; conditioned media)을 0.45 μm 주사기 필터로 여과한 뒤 동결건조기로 동결 건조시켜 파우더 형태로 제조된다.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피부 줄기세포는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 표면으로 이동하며, 분화된 피부 세포는 기능을 다한 후 사멸하게 된다. 죽은 피부 세포가 층상 구조로 쌓인 것이 각질층으로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각질층의 손실과 줄기 세포에 의한 재생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줄기세포에 의한 피부 조직 재생과정은 줄기세포에서 분비된 복합 단백질에 의해 조절되고, 복합 단백질의 대부분은 성장 인자라고 알려져 있다.
AAPE의 조건 배지에는 세포가 분비한 성장 인자를 비롯한 150여 가지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AAPE는 상처 치료 촉진, 염증 억제, 색소 침착 개선, 항산화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지방 조직을 비롯한 중배엽 조직 유래 성체 줄기 세포가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분비한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된 바 있다. 즉, AAPE는 피부 장벽 재생을 촉진하여 수분 손실을 막고, 염증 및 면역 반응을 억제하여 상처 및 면역 반응에 의한 가려움을 완화하는 복합적인 약리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APE의 주요 효능 성분인 단백질들은 공통적으로 탈아미드화, 이성화, 산화 그리고 가수분해와 같은 화학적 불안정성과 함께, 또한 변성, 응집, 표면 흡착 그리고 침전등과 같은 물리적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백질의 효능이 떨어지거나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수분을 많이 함유한 에멀젼, 크림제 등의 조성에서는 AAPE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그에 따른 효능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수분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을 통해 단백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리포솜은 인지질로 이루어진 이중막을 가지는 소포체로써 제조가 쉬우며 친수성 및 소수성 약물 모두 봉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또한 세포막 구조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약물전달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리포솜은 약물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약물의 경피 흡수를 증가시키는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리포솜은 약물 운반체로서 약학제제 및 화장품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리포솜 수용액의 물리적 특성을 최적화 하지 않으면 안정성이 감소하여 응집 또는 융합에 따른 침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물이 수용액 상에 쉽게 방출 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또한 단백질 의약품의 경우 수용액 상에서 쉽게 변성이 일어날 수 있는 단점을 지닌다.
따라서, AAPE를 함유하며 안정성 및 효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장기간 보관 가능한 리포솜 제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의 안정성 및 효능을 증가시키며 장기간 보관 가능한 리포솜 제제를 연구한 결과, 당류와 리포솜으로 이루어진 프로리포솜 분말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으며 프로리포솜 내의 AAPE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안정성이 증가하였고 피부 적용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AAPE)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AAPE는 지방 줄기세포를 혈청 배지 중에서 계대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 중에서 배양하여 얻어진 지방 줄기세포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10 ~ 30 kDa 단백질이 포함되도록 분획한 분획; 상기 분획의 농축물; 및 상기 분획의 동결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로리포솜은 물에 AAPE 및 안정화제를 용해시킨 용액과 유기용매에 지질을 용해시킨 용액을 혼합한 후, 유기용매와 물을 제거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프로리포솜은 AAPE 0.1 내지 5 중량%, 지질 1 내지 20 중량%, 안정화제 0.1 내지 10 중량% 및 지지제인 잔량의 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리포솜은 과립의 표면에 AAPE와 지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 전까지 고형의 분말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AAPE의 보관 시 물에 의한 변성과정을 방지할 수 있어 AAPE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또한 피부에 적용 가능한 수용액으로 수화할 경우 즉시 리포솜이 형성됨에 따라 기존 리포솜의 피부투과 특성을 가지므로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난황 포스파티딜콜린,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디미리스토일 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딜콜린,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콜린, 디라우릴 포스파티딜콜린,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콜린, 난황 레시틴 및 대두 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질이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포함되면 지지제인 당에 균일하게 얇은 지질막을 형성하는데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폴리올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 그리고 폴록사머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정화제가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포함되면 수화후 리포솜 형성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당류는 만니톨, 글루코오스, 소르비톨, 슈크로스, 락토스 및 푸코스(fucose)와 같은 당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면 AAPE의 함량이 줄어들어서 효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유효성분인 AAPE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학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 정도에 따라 투여 방법이 결정되는데, 통상적으로는 국소 투여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학조성물 중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분말의 상태로 보관하다가 사용 직전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엘렉시르제,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경고제, 로션제, 연고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은 지방 줄기세포를 혈청 배지 중에서 계대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 중에서 배양하여 얻어진 지방 줄기세포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10 ~ 30 kDa 단백질이 포함되도록 분획한 분획; 상기 분획의 농축물; 및 상기 분획의 동결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에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과 안정화제를 용해시킨 제1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유기용매에 지질을 용해시킨 제2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용액과 상기 제2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당류 지지체를 첨가한 회전증발 응축기에 상기 혼합용액을 추가하여 응축교반하면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프로리포솜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리포솜을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은 지방 줄기세포를 혈청 배지 중에서 계대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 중에서 배양하여 얻어진 지방 줄기세포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10 ~ 30 kDa 단백질이 포함되도록 분획한 분획; 상기 분획의 농축물; 및 상기 분획의 동결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프로리포솜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 1 중량부에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0.1 내지 5% 중량부과 안정화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용해시킨 제1용액을 제조하며, 유기용매 1 중량부에 지질 1 내지 20% 중량부를 용해시킨 제2용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리포솜은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의 장기간 보관과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킬 뿐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효과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프로리포솜은 안정성과 치료효과를 향상시킨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또는 화장품의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프로리포솜의 형태를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수화된 프로리포솜의 형태를 투과전자 현미경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지방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의 안정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시간에 따른 아토피 유도 마우스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동물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치료 후 혈중 IgE level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치료 후 피부 조직을 H&E 염색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프로리포솜 제조
1.9 g 지방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과 625 mg 폴록사머 407을 5 mL 물에 녹인 후 4 g 대두 포스파티딜콜린이 녹아있는 625 mL 에탄올과 혼합하여 초음파처리(sonicator)를 통하여 균일화 하였다. 이때, 상기 지방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25341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상기 용액을 68.375 g 소르비톨이 들어있는 둥근 플라스크에 추가한 후 초음파 처리를 통하여 균일화 시킨 후 37℃ 회전증발 응축기에서 건조시키고 남아있는 용매는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지방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함유 프로리포솜을 수득하고 수득한 프로리포솜을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상기 프로리포솜을 사용하기 전에 수화시켜 리포솜을 형성한 후 바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리포솜 제조
50 mg 지방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과 8.5 mg 폴록사머 407을 260 μL 물에 녹인 후 54.8 mg 대두 포스파티딜콜린이 녹아있는 10 mL 에탄올과 함께 500 mL 둥근 플라스크에 넣어 혼합하여 회전증발응축기로 용매를 제거하고 잔여 용매 제거를 위하여 하루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필름은 10% (w/v) 소르비톨 수용액에 재분산한 후 초음파 처리를 통하여 균일화된 리포솜 수용액을 얻었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프로리포솜을 주사전자 현미경 및 투과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입자 형태를 확인하였다. 도 1에서 지지제로 사용된 소르비톨과 블랭크 프로리포솜 그리고 지방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함유 프로리포솜을 주사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각각 75배와 350배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르비톨 지지제는 표면이 불규칙하지만 프로리포솜을 제조 후에는 소르비톨 지지제 표면이 균일해진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지질과 사용된 지방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이 지지제 표면에 잘 코팅되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지방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함유 프로리포솜을 물에 수화시킨 후 만들어진 리포솜을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10,000배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프로리포솜의 모양은 구형 또는 타원형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실시예 2에 의해 형성된 프로리포솜을 물에 재분산한 리포솜 용액과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리포솜의 입자 크기와 표면 전하를 전기영동 광산란 분광 광도기(ELS-Z, Otuska, Japan)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와 표면전하를 측정하였다.
표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해 만들어진 리포솜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Zeta 전위 크기 polydispersity
AAPE 프로리포솜 -51.33 mV 589 nm 0.307
블랭크 프로리포솜 -51.58 mV 593 nm 0.323
Liposomes in Water -15.75 mV 239 nm 0.331
Liposomes in Sorbitol Solution -4.40 mV 503 nm 0.304
<실험예 3>
지방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함유 프로리포솜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화한 프로리포솜을 8℃, 25℃ 그리고 37℃에 각각 보관하면서 일정 시간 별로 입자의 크기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지방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한 건조한 분말의 프로리포솜을 8℃에 보관하면서, 정해진 시간에 수화시켜 입자의 크기를 즉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표 2는 수화된 프로리포솜의 수용액에서의 입자의 변화를 다양한 온도에서 측정한 것으로서, 건조한 분말 형태의 프로리포솜으로 보관할 때와 입자의 크기 변화를 통해 물리적인 안정성을 비교한 것이다.
day 수화한 프로리포솜 건조 프로리포솜
8℃ 25℃ 37℃ 8℃
size (nm) poly-
dispersity
size (nm) poly-
dispersity
size (nm) poly-
dispersity
size (nm) poly-
dispersity
1 584 0.302 591 0.314 592 0.306
2 628 0.337 642 0.343 627 0.320 557 0.342
3 633 0.330 651 0.322 649 0.335 543 0.361
4 624 0.307 640 0.340 638 0.329 594 0.333
5 598 0.300 639 0.304 597 0.289 591 0.352
6 617 0.359 677 0.363 637 0.299 581 0.347
7 600 0.298 673 0.279 645 0.325 599 0.342
11 584 0.344 750 0.299 620 0.306 593 0.340
18 583 0.335 ND ND 613 0.330
(ND: not determined)
상기 결과는 수화된 프로리포솜은 보관 온도와 상관없이 입자의 크기는 거의 동일하며 11일까지 측정시 초기에 비해 커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리포솜을 수화한 후 일주일 내에 사용시 입자의 특성은 변하지 않으므로 리포솜의 안정성이 유지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18일째 결과를 보면 25℃ 그리고 37℃에서 수화된 리포솜 수용액은 오염되어 측정이 불가한 것으로 보아 수화 후 빠른 시간 내에 사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건조한 프로리포솜은 8℃에서 18일까지 보관하여도 수화 후에 입자의 크기 변화가 전혀 없으므로, 더욱 안정성을 유지하며 장기 보관 후 바로 수화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4>
실시예 2에 의해 형성된 프로리포솜을 물에 재분산한 리포솜 용액과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리포솜 내의 지방줄기 유래 단백질 추출물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SDS page를 이용하여 지방줄기 유래 단백질의 분자량 변화를 관찰 하였다.
도 3은 시간에 따른 지방줄기 유래 단백질 추출물의 안정성을 평가한 것으로, 상온에서 건조된 리포솜은 단백질의 안정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었지만, 수화된 리포솜에 단백질의 양은 감소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14일간 보관시 수화된 리포솜의 경우 40% 이하의 단백질 양을 나타내고 있어 장기보관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조된 프로리포솜의 경우 14일 이후에도 안정성이 유지되므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함유 프로리포솜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마우스 등에 아토피 질병을 인위적으로 유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NC/Nga mice의 아토피 유도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유도되었다. 즉, 생후 5주령(체중 20g)인 아토피 마우스 (NC/Nga 마우스; 중앙실험동물, Seoul, Korea) 9 마리를 1주일 동안 적응시킨 후, 아토피 비유발군 (정상군), 대조군 (vehicle liposome)과 시험군 (AAPE liposome)으로 분류하여 각각 3마리씩 배치하였다.
아토피 유발을 촉진하기 위해 NC/Nga 마우스 6 마리의 등 뒤 털을 제거한 뒤 일주일에 3번씩(총 6회) 1% DNCB (1-chloro 2,4-dinitrobenzene) 용액 200 ㎕를 마우스의 등 전체에, 100 ㎕를 양쪽 귀에 면봉으로 도포하였다. 이때, 상기 1% DNCB 용액은 아세톤과 올리브유를 3:1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도 4는 시간에 따른 아토피가 유발된 마우스의 모양을 나타낸 것으로, 육안적으로 전체 등 부위에 홍반과 부종 뿐만 아니라 가피탈피와 출혈까지 나타내므로, 등과 귀의 피부에 사람의 아토피성 피부염과 매우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리포솜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토피가 유발된 마우스를 3 마리씩 2 그룹으로 나눈 후, 대조군의 동물에는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프로리포솜(vehicle liposomes)을, 시험군의 동물에는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함유 프로리포솜(AAPE liposomes) 300 ㎕를 마우스의 등 부분에, 100 ㎕를 양쪽 귀에 면봉으로 1일 1회 1주 동안 도포하였다. 이때, 비히클과 AAPE 리포솜은 각각의 분말 1g을 증류수 1ml에 녹여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도 5는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프로리포솜(vehicle liposomes)과 시험군의 동물에는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함유 프로리포솜(AAPE liposomes)을 아토피가 유발된 마우스에 도포 후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프로리포솜(vehicle liposomes)과 시험군의 동물에는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함유 프로리포솜(AAPE liposomes)을 아토피가 유발된 마우스에 도포 1주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혈청 중의 IgE의 양을 ELISA kit (BD OptEIATM ELISA set, BD Bioscience)으로 정량한 것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의 대표적인 면역학적 지표인 혈청 내 IgE 수준을 ELISA를 통해 측정해 본 결과, 정상군에서 381±181 ng/ml, 대조군에서 6076±1952 ng/ml, 시험군에서 3553±582 ng/ml로 측정되었으며, AAPE 리포솜을 도포한 시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 < 0.05).
도 7은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프로리포솜(vehicle liposomes)과 시험군의 동물에는 지방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함유 프로리포솜(AAPE liposomes)을 아토피가 유발된 마우스에 도포 1주 후에 귀와 등피부를 적출하여 10% 포르말린에 고정하고 탈수시킨 후 파라핀에 포매하여 5 ㎛ 두께로 박절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실시하여 피부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표피와 진피에서의 피부염에 관련된 병변을 관찰한 것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피부 병변의 조직검사 : 정상군은 표피, 진피, 기준선이 ×100에서 관찰되었고, 대조군은 ×100에서 표피가 진피 쪽으로 두껍게 내려가 현저하게 확장되어 피부 부종과 염증이 많이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고, 각막 비후증(hyperkeratosis) 뿐만 아니라 흑색가시세포증(acanthosis)이 관찰되었으며, 과립층이 두꺼워지며, 모낭(hair follicle)을 따라서도 두꺼워진 것이 관찰되었다. 진피에서는 호산구를 포함한 염증세포들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AAPE 리포솜을 도포한 시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진피의 두께가 줄었다.
2) 귀 병변의 조직검사 : 정상군은 표피, 진피, 뼈가 ×100에서 관찰되었고, 대조군은 ×100에서 표피와 진피가 부종으로 현저하게 확장되었고 백혈구의 침윤도 나타났다. 시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표피와 진피의 두께가 현저히 줄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은 지방 줄기세포를 혈청 배지 중에서 계대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 중에서 배양하여 얻어진 지방 줄기세포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10 ~ 30 kDa 단백질이 포함되도록 분획한 분획; 상기 분획의 농축물; 및 상기 분획의 동결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프로리포솜은 물에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및 안정화제를 용해시킨 용액과 유기용매에 지질을 용해시킨 용액을 혼합한 후, 유기용매와 물을 제거하여 얻어진 것이며,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0.1 내지 5 중량%, 지질 1 내지 20 중량%, 안정화제 0.1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난황 포스파티딜콜린,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디미리스토일 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 포스파티딜콜린,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콜린, 디라우릴 포스파티딜콜린,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콜린, 난황 레시틴 및 대두 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폴록사머, 폴리올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로 이루어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소르비톨, 만니톨, 글루코오스, 슈크로스, 락토스 및 푸코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7.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은 지방 줄기세포를 혈청 배지 중에서 계대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 중에서 배양하여 얻어진 지방 줄기세포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10 ~ 30 kDa 단백질이 포함되도록 분획한 분획; 상기 분획의 농축물; 및 상기 분획의 동결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프로리포솜은 물에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및 안정화제를 용해시킨 용액과 유기용매에 지질을 용해시킨 용액을 혼합한 후, 유기용매와 물을 제거하여 얻어진 것이며,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0.1 내지 5 중량%, 지질 1 내지 20 중량%, 안정화제 0.1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8. 물에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과 안정화제를 용해시킨 제1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유기용매에 지질을 용해시킨 제2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용액과 상기 제2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당류 지지체를 첨가한 회전증발 응축기에 상기 혼합용액을 추가하여 응축교반하면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프로리포솜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리포솜을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은 지방 줄기세포를 혈청 배지 중에서 계대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 중에서 배양하여 얻어진 지방 줄기세포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10 ~ 30 kDa 단백질이 포함되도록 분획한 분획; 상기 분획의 농축물; 및 상기 분획의 동결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프로리포솜 분말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물 1 중량부에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 0.1 내지 5% 중량부과 안정화제 0.1 내지 10% 중량부를 용해시킨 제1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리포솜 분말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유기용매 1 중량부에 지질 1 내지 20% 중량부를 용해시킨 제2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리포솜 분말의 제조방법.
KR1020100116211A 2010-11-22 2010-11-22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211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211A KR101211828B1 (ko) 2010-11-22 2010-11-22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211A KR101211828B1 (ko) 2010-11-22 2010-11-22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862A KR20120054862A (ko) 2012-05-31
KR101211828B1 true KR101211828B1 (ko) 2012-12-12

Family

ID=4627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211A KR101211828B1 (ko) 2010-11-22 2010-11-22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3668A1 (ko) * 2014-03-07 2015-09-11 (주)세포바이오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을 함유하는 면역 반응 억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491A1 (ko) * 2016-03-31 2017-10-0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줄기세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47169B1 (ko) * 2017-06-30 2020-08-24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가려움증 억제 또는 개선 용도
CN109568270A (zh) * 2018-12-27 2019-04-0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含脂肪干细胞分泌物的脂质体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341B1 (ko) * 2008-04-21 2009-11-09 (주)프로스테믹스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341B1 (ko) * 2008-04-21 2009-11-09 (주)프로스테믹스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3668A1 (ko) * 2014-03-07 2015-09-11 (주)세포바이오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을 함유하는 면역 반응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862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961B1 (ko) 엑소좀의 동결건조 방법
KR102148011B1 (ko)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의 동결건조제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조성물
ES2965939T3 (es) Composición que comprende un exosoma derivado de células madre como ingrediente eficaz para su utilización en la prevención o alivio de prurito
KR102309958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45188B1 (ko) 지방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염 개선 용도
KR101211828B1 (ko) 지방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프로리포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EP2563370B1 (de) Verwendung einer phospholipid und glycyrrhizinsäure enthaltenden zusammensetzung zur entfernung von subkutanen fettansammlungen durch subkutane lipolyse
KR101732844B1 (ko) 국소 피부 전달용 항염증 지질 나노 전달체를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EP3811933A1 (en) Lyophilized preparation of stem cell-derived exosomes, and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WO2023077397A1 (en) Use of mangosteen fruit shell extract in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 treating psoriasis
DE60008077T2 (de) Matrixproteinzusammensetzungen um Apoptose zu induzieren
KR102337357B1 (ko)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HU218946B (hu) Stroncium (II) valamely szervetlen sója topikális alkalmazása szemviszketés, szem- és/vagy szemhéjfájdalmak és szem- és/vagy szemhéjérzékenység kezelésére alkalmas gyógyszerkészítmények előállítására
TWI788228B (zh) 山竹果殼萃取物用於製備治療褥瘡的藥物的用途
CN117298164A (zh) 山竹果壳萃取物用于制备治疗褥疮的药物的用途
TW202319063A (zh) 山竹果殼提取物用於製備治療乾癬的藥物的用途
WO2017188844A1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при комплексном лечении дерматозов
JP2016514696A (ja) 微細乾燥粒子状レスベラトロール活性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局所製剤
CN114748468A (zh) 一种治疗青春痘的组合物
RU2362568C1 (ru) Кожная мазь
WO2017188843A1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комплексного лечения дермато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