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360B1 -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360B1
KR101211360B1 KR1020100081651A KR20100081651A KR101211360B1 KR 101211360 B1 KR101211360 B1 KR 101211360B1 KR 1020100081651 A KR1020100081651 A KR 1020100081651A KR 20100081651 A KR20100081651 A KR 20100081651A KR 101211360 B1 KR101211360 B1 KR 101211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rotrusion
pressure plate
connector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668A (ko
Inventor
이장섭
Original Assignee
동원철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철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철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3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흐르는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플링 내부의 고무슬리브 내측면에, 길이가 서로 다른 한 쌍의 돌기를 다수 개 형성하고, 길이가 긴 돌기의 상부에 돌기커버구를 더 형성하여 더욱 완벽한 수밀성을 확보하게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커플링(10)과, 상기 커플링(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무슬리브(20)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파이프의 결합시 수밀을 위해 상기 고무슬리브(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25); 및 상기 볼트(40)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커플링(10)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25)는, 상기 고무슬리브(20)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기(26); 상기 제1돌기(26)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26)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제2돌기(27); 및 상기 제2돌기(27)의 상부에 상기 제1돌기(26)가 형성된 방향으로 굴곡되어 휘어있는 돌기커버구(28)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30)는, 일단이 상기 커플링(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굴곡된 형태의 제1가압판(31); 상기 제1가압판(31)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된 채 꺽쇠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커플링(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판(32); 및 상기 제2가압판(32)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2가압판(32)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꺽쇠형의 제3가압판(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CONNECTOR FOR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흐르는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플링 내부의 고무슬리브 내측면에, 길이가 서로 다른 한 쌍의 돌기를 다수 개 형성하고, 길이가 긴 돌기의 상부에 돌기커버구를 더 형성하여 수밀성을 확보하며, 커플링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볼트체결에 의해 조여질수록 커플링을 가압하여 더욱더 완벽한 수밀성을 확보하게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흐르는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파이프의 양단을 맞대어 용접하는 용접방식과, 파이프 양단에 연결용 플랜지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는 플랜지방식, 파이프 양단을 커플링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커플링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용접방식은 작업 조건이 까다롭고, 설치 후 용접부위 혹은 다른 부위가 노후 또는 파손될 경우에 부분적인 보수가 곤란하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며, 플랜지 방식은 별도의 플랜지를 파이프 양단에 형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래서, 용접하기 어려운 소재로 이루어진 파이프나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용이한 커플링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본적인 커플링방식에 의한 연결은 커플링 내부에 고무슬리브를 구비하여, 커플링을 조일 경우 파이프와 커플링 사이에 고무슬리브가 압착되게 하여 수밀성을 확보하려 하였으나 유체의 압력에 의해 고무슬리브에 틈새가 생겨 누수가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플링이 헐거워져 파이프가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가 서로 다른 한 쌍의 돌기를 다수 개 형성하고, 길이가 긴 돌기의 상부에 돌기커버구를 더 형성하여 수밀성을 확보하도록 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부가 볼트체결에 의해 조여질수록 커플링을 가압하여 파이프의 유동을 방지하고, 더욱더 완벽한 수밀성을 확보 하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커플링(10)과, 상기 커플링(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무슬리브(20)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파이프의 결합시 수밀을 위해 상기 고무슬리브(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25); 및 상기 볼트(40)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커플링(10)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25)는, 상기 고무슬리브(20)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기(26); 상기 제1돌기(26)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26)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제2돌기(27); 및 상기 제2돌기(27)의 상부에 상기 제1돌기(26)가 형성된 방향으로 굴곡되어 휘어있는 돌기커버구(28)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30)는, 일단이 상기 커플링(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굴곡된 형태의 제1가압판(31); 상기 제1가압판(31)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된 채 꺽쇠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커플링(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판(32); 및 상기 제2가압판(32)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2가압판(32)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꺽쇠형의 제3가압판(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제3가압판(33)의 타단에는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40)에 의한 체결시 상기 제2가압판(32)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3가압판(33)의 외표면으로 접혀지도록 제4가압판(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가 서로 다른 한 쌍의 돌기를 커플링 내부의 고무슬리브의 내측면에 다수 개 형성하고, 길이가 긴 돌기의 상부에는 돌기커버구를 더 형성하여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고정부가 볼트체결에 의해 조여질수록 커플링을 가압하여 파이프의 유동을 방지하고, 더욱더 완벽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가 연결되기 전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가 연결된 후의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부의 볼트 체결전,후의 측면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부의 볼트 체결전,후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을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는 볼트(40)에 의해 체결되는 커플링(10)과, 상기 커플링(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무슬리브(20)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슬리브(20)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부(25)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25)는 제1돌기(26), 제2돌기(27), 돌기커버구(28)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돌기(26)는 상기 고무슬리브(2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26)의 일측에는 제1돌기(26)에 이격되어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제2돌기(2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돌기(27) 상부에는 상기 제1돌기(26) 방향으로 굴곡되어 휘어있는 상기 돌기커버구(28)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돌기부(25)는 상기 고무슬리브(2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링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데, 상기 돌기부(25)는 일정 길이로 상기 제1돌기(26)가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26)가 형성된 곳보다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돌기(26)가 구비된 방향으로 휘어있는 상기 돌기커버구(28)를 구비한 상기 제2돌기(27)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기부(25)는 파이프의 규격에 따라 상이하나, 가능한 한 수밀을 완벽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10개 정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커플링(10)의 양측에서 파이프(50)가 연결되어 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50)가 상기 제2돌기(27)를 상기 제1돌기(26) 방향으로 밀면서 압착하게 되며, 상기 제2돌기(27)의 돌기커버구(28)는 상기 제1돌기(26)를 감싸 안듯이 압착하게 되어 수밀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기커버구(28)가 제1돌기(26)를 상측에서 압착하고 있음에 따라 파이프 내부의 유체가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통해 배출된 경우, 상기 돌기커버구(28)를 들어올리면서 제1돌기(26)를 넘어가야 하나, 파이프가 가압하고 있음으로써 거의 불가능하게 되며, 또한 돌기커버구(28)와 파이프의 사이를 통해 넘어가야 하나, 이 또한 상면은 파이프가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고 하면은 제1돌기(26)가 압착된 상태로 지지하고 있음으로써 유체가 돌기커버구(28)를 넘어 또 다른 돌기부(20)로 이동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1~3개의 돌기부만 구비되어도 수밀에 영향이 없으나, 한번 시공후 장기간 동안 그대로 사용함에 따라 혹여 발생될 수 있는 누수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 적어도 5개정도, 양측을 합하면 10개정도의 돌기부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커플링(10)의 양측에는 상기 볼트(40)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고정부(30)가 형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30)는 일단이 상기 커플링(10)의 외주면에 굴곡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제1가압판(31)과, 상기 제1가압판(31)에 결합된 채 꺽쇠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커플링(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판(32)과, 상기 제2가압판(32)에 결합된 채 상기 제2가압판(32)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꺽쇠형의 제3가압판(33)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부(30)는 일단이 상기 커플링(10)의 외주면에 결합된 채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후 다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커플링(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가압판(31)과, 상기 제1가압판(3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후 다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커플링(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2가압판(32)과, 상기 제2가압판(32)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가압판(32)의 내측 방향의 상측으로 형성된 후 다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커플링(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3가압판(3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가압판(32)이 굴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볼트(40)에 의한 체결시 굴곡된 부위가 펼쳐지면서 커플링(10)에 밀착되어 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가압판(32)에는 상기 볼트(40)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40)가 관통되어 체결될 경우 더욱 큰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2가압판(32)에는 보강편(3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가압판(32)이 상기 볼트(40)에 의해 조여짐에 따라 상기 제1가압판(31)의 내각이 커지면서 펴지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2가압판(32)의 내각이 좁아지면서 상기 제2가압판(32)의 양단은 상기 커플링(10)을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가압판(33)의 타단에는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4가압판(34)이 구비된다.
상기 제4가압판(34)은 상기 볼트(40)에 의한 체결시 상기 제2가압판(32)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3가압판(33)의 외표면으로 접혀지도록 제4가압판(34)이 형성되어 진다.
즉, 상기 볼트(40)에 의해 조여지는 경우, 상기 제2가압판(32)의 내각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제2가압판(32)의 내주면에 상기 제4가압판(34)이 접촉되면서 제3가압판(33)이 구비된 방향으로 접혀지게 되고, 상기 제4가압판(34)에 의해 상기 제3가압판(33)의 내각도 좁아지면서 상기 제4가압판(34)과 연결된 상기 제3가압판(33)의 타단이 상기 커플링(10)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커플링(10)의 양측면 단부는 상기 고무슬리브(20)가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커플링(10)의 양측면 단부를 내측방향으로 구부려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상기 파이프(50)의 연결시 상기 제2돌기(27)의 돌기커버구(28)가 상기 제1돌기(26)를 감싸안듯이 압착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50)의 연결된 부위로 유체가 배출되더라도 배출된 유체의 누수 없이 수밀성을 완벽히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30)의 제2가압판(32)이 볼트체결에 의해 조여질수록 상기 제2가압판(32)의 양단과 상기 제3가압판(33)의 타단이 상기 커플링(1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파이프(50)의 유동을 방지하고, 더욱더 완벽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며,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커플링 20: 고무슬리브
25: 돌기부 26: 제1돌기
27: 제2돌기 28: 돌기커버구
30: 고정부 31: 제1가압판
32: 제2가압판 33: 제3가압판
34: 제4가압판 35: 보강편
40: 볼트 50: 파이프

Claims (3)

  1. 삭제
  2.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커플링(10)과, 상기 커플링(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무슬리브(20)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파이프의 결합시 수밀을 위해 상기 고무슬리브(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25); 및
    상기 볼트(40)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커플링(10)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25)는, 상기 고무슬리브(20)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기(26);
    상기 제1돌기(26)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돌기(26)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제2돌기(27); 및
    상기 제2돌기(27)의 상부에 상기 제1돌기(26)가 형성된 방향으로 굴곡되어 휘어있는 돌기커버구(28)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30)는, 일단이 상기 커플링(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굴곡된 형태의 제1가압판(31);
    상기 제1가압판(31)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된 채 꺽쇠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커플링(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판(32); 및
    상기 제2가압판(32)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2가압판(32)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꺽쇠형의 제3가압판(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가압판(33)의 타단에는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40)에 의한 체결시 상기 제2가압판(32)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3가압판(33)의 외표면으로 접혀지도록 제4가압판(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KR1020100081651A 2010-08-23 2010-08-23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KR10121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651A KR101211360B1 (ko) 2010-08-23 2010-08-23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651A KR101211360B1 (ko) 2010-08-23 2010-08-23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668A KR20120018668A (ko) 2012-03-05
KR101211360B1 true KR101211360B1 (ko) 2012-12-13

Family

ID=4612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651A KR101211360B1 (ko) 2010-08-23 2010-08-23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3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788A (ja) 2001-06-06 2002-12-18 Dainippon Plastics Co Ltd パッキングリング
JP2003120867A (ja) * 2001-10-16 2003-04-23 Sho Bond Coupling Kk 管継手
JP2006009914A (ja) 2004-06-24 2006-01-12 Calsonic Kansei Corp 差し込みパイプ継手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788A (ja) 2001-06-06 2002-12-18 Dainippon Plastics Co Ltd パッキングリング
JP2003120867A (ja) * 2001-10-16 2003-04-23 Sho Bond Coupling Kk 管継手
JP2006009914A (ja) 2004-06-24 2006-01-12 Calsonic Kansei Corp 差し込みパイプ継手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668A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146B1 (ko) 고 밀폐성을 갖는 가스배관장치
KR100943986B1 (ko)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KR100977308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0908009B1 (ko) 관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200410284Y1 (ko) 상수도용 가스켓
KR100959091B1 (ko) 수밀성이 우수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KR101211360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KR20080004907U (ko) 관체 연결구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100329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KR20120008808A (ko) 분기관 연결구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200439628Y1 (ko) 하수도 분기구
CN210318910U (zh) 增压密封垫片
KR200368081Y1 (ko) 분기관 연결구조
KR100694885B1 (ko) 관 연결 장치
KR100845953B1 (ko) 배관 연결구
KR200197322Y1 (ko)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
KR200395246Y1 (ko) 면접촉부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의 인장봉
JP3187036U (ja) クランプリング
TWI656295B (zh) Outlet flange structure of the pump in the tube
KR101323342B1 (ko) 수압 시험용 커플링 장치
KR200456758Y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1185104B1 (ko) 수도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