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272B1 -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272B1
KR101210272B1 KR1020080114899A KR20080114899A KR101210272B1 KR 101210272 B1 KR101210272 B1 KR 101210272B1 KR 1020080114899 A KR1020080114899 A KR 1020080114899A KR 20080114899 A KR20080114899 A KR 20080114899A KR 101210272 B1 KR101210272 B1 KR 101210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service
user
situa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5976A (ko
Inventor
최재훈
임명은
방선리
김대희
박수준
박선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14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272B1/ko
Priority to US12/482,792 priority patent/US9019097B2/en
Publication of KR2010005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약복용 지원 장치는 봉지약을 각각 보관하는 다수의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약복용 스케줄에 따라 해당 컨테이너에서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보관된 봉지약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보관된 봉지약의 존재 여부 및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약상자; 및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인식 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아이디 및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약상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황 감지부와, 상기 상황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태 데이터를 통해 약복용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 인식부와, 인식된 상황을 통해 약복용을 위한 서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실행부를 갖는 약복용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장기간 봉지 형태로 포장된 약을 복용해야 하는 사용자가 정시에 정확한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약복용 지원 장치,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사용자 인식 장치, 서버, 봉지약, 약복용 스케줄, 상황 감지, 상황 인식, 약 배출.

Description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Medicine-taking service apparatus, medicine box,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edicine-taking service}
본 발명은 약복용 지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약복용 지원 시스템에서 일상 생활에서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는 사용자들의 약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6-S-007-03, 과제명: 유비쿼터스 건강관리용 모듈 시스템].
만성질환자나 고령자와 같이 일상 생활에서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는 사용자들은 정확한 시간에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한다.
하지만, 고령자와 같이 기억력 감퇴 등의 원인으로 인해 별도의 복약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실제 정확한 시간에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때문에 최근에는 고령자가 약복용 스케줄에 쉽게 적응하고,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분량의 약을 복용하도록 계획적인 약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개발된 약복용 지원에 대한 기술들을 고령자에게 실제 적용한 결과에 의하면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종래의 약복용 지원 기술 중 대표적인 기술은 시계와 알림 장치를 부착한 약병 또는 약상자 등의 약복용 지원 장치가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약복용 지원 장치는 약복용 시간이 설정되면, 설정된 시간에 LED 및 소리나 음성을 통해 약복용 시간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다른 기술로는 약상자에 센서와 통신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자의 약복용 상태를 다른 서버에 전송하는 장치들도 있다. 이들 장치들은 커버에 센서를 장착하고, 커버가 열리면 사용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간주하며, 약복용 상태를 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약복용 상황을 관리한다.
그러나 처방에 따라 제조된 약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약의 오복용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봉지로 포장되어 환자에게 제공되는데, 종래의 장치들은 이러한 봉지로 포장된 약들에 대한 서비스가 불가능하며, 한 명의 사용자가 하루에 여러 종류의 약을 복용해야 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즉, 사용자는 한가지 질병에 대해 아침, 점심, 저녁에 대해 서로 다른 약을 복용할 수 있으며, 하루에 고혈압, 당료, 심장병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약을 복용할 수 있는데, 종래의 장치들은 이러한 경우에 대해 고려하고 있지 않다.
또한, 종래의 장치들은 단기간에 복용할 수 있는 약만을 보관 및 서비스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만성질환과 같이 장기간 약을 복용해야 하는 경우, 종래의 장치들은 약을 매일 분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장치들은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약복용 서비스를 수행하므로 예를 들어 종래의 장치들은 사용자가 약을 소지하여 외출한 경우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봉지약으로 포장된 약에 대한 사용자의 약복용 지원을 하기 위한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기간 약복용 지원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약을 스케줄에 따라 복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약복용 장치 및 그 방법,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인식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약복용 상황을 파악하고, 인터넷을 통해 약복용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약복용 서비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약복용 지원 장치는, 봉지약을 각각 보관하는 다수의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약복용 스케줄에 따라 해당 컨테이너에서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보관된 봉지약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보관된 봉지약의 존재 여부 및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약상자; 및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인식 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아이디 및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약상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황 감 지부와, 상기 상황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태 데이터를 통해 약복용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약복용 상황을 통해 약복용을 위한 서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실행부를 갖는 약복용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약복용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인식 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아이디 및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고, 봉지약을 보관하는 약상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황 감지부; 상기 상황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태 데이터를 통해 약복용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약복용 상황을 통해 약복용을 위한 서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약상자는, 낱개의 봉지약을 개별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덮개를 갖으며, 봉지약을 각각 보관하고, 보관된 봉지약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봉지약이 존재하면, 약복용 스케줄에 따라 보관된 봉지약을 배출하는 다수의 컨테이너; 상기 각 컨테이너로부터 배출되는 봉지약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상기 각 컨테이너에 보관된 봉지약을 배출하기 위한 버튼; 및 상기 봉지약의 배출을 알리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약복용 지원 방법은, 약복용 서비스 장치 및 봉지약을 보관하는 약상자를 갖는 약복용 지원 시스템에서, 상기 약복용 서비스 장치가 상기 보관된 봉지약의 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및 상기 약상자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약복용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약복용 상황에 따라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서비스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봉지약을 보관하는 약상자 및 상기 약상자의 약복용 스케줄을 관리하는 약복용 서비스 장치 갖는 약복용 지원 시스템에서, 상기 약상자에 의한 약복용 지원 방법으로서, 상기 약복용 서비스 장치에 의해 생성된 약복용 스케줄에 따라 배출 명령을 수신하면, 해당 컨테이너에 형성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컨테이너에 봉지약이 존재하는 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해당 컨테이너에 봉지약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해당 컨테이너에 형성된 전동 모터의 구동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봉지약을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봉지약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된 결과에 따라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기간 봉지 형태로 포장된 약을 복용해야 하는 사용자가 정시에 정확한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약복용에 대한 적응력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질병에 대한 치료 비용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기간 정기적으로 정확하게 약을 복용해야 하는 사용자들을 위한 약복용 지원 시스템 및 약복용 지원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복용 지원 시스템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복용 지원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약복용 지원 시스템(100)은 휴대기기(10)와 통신하는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 사용자 인식 장치(120), 약상자(130) 및 서버(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와 약상자(130)는 하나로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하나로 구성된 장치를 약 복용 지원 장치라 칭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 및 약상자(130)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는 상황 감지부(111), 약복용 스케줄 생성부(112), 상황 인식부(113) 및 서비스 실행부(11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황 감지부(111)는 사용자 인식 장치(120)로부터 발신되는 무선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고, 약상자(130)로부터 수신되는 여러 신호들을 통해 약상자의 상태를 감지한다. 즉, 상황 감지부(111)는 사용자의 상태 감지를 위해, 수신된 무선 신호에서 사용자 아이디 및 신호 세기(RF 세기)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황 감지부(111)는 확인된 사용자 아이디(ID)를 하기 <표 1>과 같은 미리 설정된 사용자 매핑 테이블에서 검색함으로써 해당 사용자를 인식하고, 파악된 신호 세기를 하기 <표 2>와 같은 미리 설정된 거리 매핑 테이블에서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와의 거리 상황을 인식한다.
사용자 ID
A 1
B 2
RF(dBm) 거리(m) 상황
90~75 0~1 인접
75~alpha 1~7 확인
Alpha< 7~8 미확인
상기 <표 2>에서 상황은 거리에 따라 "인접", "확인" 및 "미확인"으로 구분되며, 인접은 사용자가 스마트 약상자(130)에 가까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섬세한 약복용 서비스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확인은 사용자가 화면, 메시지 음성 등의 일반적인 약복용 서비스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에 있음을 의미한다. 미확인은 사용자가 일반적인 약복용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상태로서, 휴대기기(10)를 통해 SMS나 통화 등의 특별한 서비스가 필요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황 감지부(111)는 약복용 스케줄 생성부(112)에서 생성되어 미리 저장된 약복용 스케줄들 중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약복용 스케줄을 검색하고, 약상자의 상태 감지를 위해, 약상자 아이디, 컨테이너 상태(약존재 유무), 배출 명령(버튼 눌림 여부), 모터(회전 여부), 표시부(LCD) 등의 정보를 감지한다. 따라서 상황 감지부(111)는 상태 데이터들(상기 인식된 사용자, 거리 및 검색된 약복용 스케줄과, 상기 약상자의 상태 감지에 따라 감지된 정보들)을 상기 상황 인식부(113)로 전달한다.
약복용 스케줄 생성부(112)는 해당 약에 대한 처방 데이터를 입력받아 입력된 처방 데이터를 이용하여 약복용 스케줄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상황 인식부(113)는 상기 상황 감지부(111)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및 약상자의 상태 감지를 통해 얻은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약복용 상황을 인식한다.
서비스 실행부(114)는 상기 상황 인식부(113)에서 인식된 약복용 상황에 따라 약복용 알림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생성 및 시각화(실행)함으로써 약복용 서비스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인식 장치(120)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1), 무선 신호(RF) 발신 및 배터리 확인부(122), 전원 스위치(123), 착용부(124, 125)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약상자(130)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약 상자(130)는 다수의 컨테이너(131), 표시부(LCD)(132), 배출 버튼(133), 배출구(134), 전원선(135) 및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1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컨테이너(131)에는 각각 덮개(137)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137)에는 하나의 투입구(138)가 형성된다. 그리고 약상자(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약상자(130)는 인터넷이나 전화선이 필요하며, 분리형일 경우 USB를 통해 외부 컴퓨터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컨테이너(131)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제어부(201), 전동 모터(202), 회전축(203), 실리콘 벨트(204) 및 제1 및 제2 센서(205, 206)로 구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제어부(201)는 약상자(13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해당 약을 배출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부착된 PCB 형태로 형성된다.
전동 모터(202)는 봉지약을 이동시키기 위해 실리콘 벨트(204)를 회전시키고, 보관된 봉지약이 제2 센서(206)에 접촉될 때까지 구동하며, 회전축(203)은 전동 모터(202)의 양측에 형성되어 실리콘 벨트(20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실리콘 벨트(204)는 전동 모터(202)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 시 봉지약이 밀착되어 마찰에 의해 봉지약을 밖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제1 센서(205)는 해당 컨테이너 안에 보관된 봉지약이 존재하는 지를 판별하기 위한 접촉센서이며, 제2 센서(206)는 배출구(134) 영역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봉지약을 감지하는 접촉센서이다.
그러면 이와 같은 약복용 지원 시스템(100)에서의 약복용 지원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약상자(130)의 컨테이너(131)에서 봉지약을 배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약상자에서 약을 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약상자(130)가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로부터 특정 컨테이너에 대한 봉지약 배출 명령을 받으면, 302단계에서 약상자(130)는 상기 특정 컨테이너에 약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약이 존재하지 않으면, 303단계에서 약상자(130)는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로 약 없음을 알리고, 표시부(132)에 약 없음을 표시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
반면, 약이 존재하면, 304단계에서 약상자(130)는 전동 모터(202)를 구동시켜서 실리콘 벨트(204)를 회전시킨 후 이러한 실리콘 벨트(204)를 통해 상기 특정 컨테이너에 보관된 봉지약을 배출하도록 한다.
305단계에서 약상자(130)는 상기 특정 컨테이너로부터 복용할 약이 포함된 봉지약이 배출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봉지약이 배출되지 않은 경우 306단계에서 봉지약이 미배출되었음을 표시부(132)에 표시하고, 상기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로 봉지약의 미배출을 알린 후 동작을 종료한다. 이때, 약상자(130)는 상기 304단계 내지 306단계를 몇 번 반복 수행하여 최종 미배출 판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약상자(130)는 전동 모터(202)를 제어하여 실리콘 벨트(204)를 약간 후진 구동한 다음, 다시 전진 구동시킴으로써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반면, 305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봉지약이 배출된 경우에는 307단계에서 약상자(130)는 표시부(132)에 봉지약 배출을 표시하고, 상기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로 봉지약 배출을 알린 후 동작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약복용 서비스 장치에서의 약복용 지원을 위한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약복용 서비스 장치에 의한 약복용 지원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는 각 사용자와 해당 약상자(130)의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상태 데이터들을 상황 인식부(113)로 전달한다. 즉, 사용자의 상태 감지를 위해,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는 사용자 인식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 거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에 대한 해당 약복용 스케줄을 확인한다. 또한, 확인된 사용자에 대한 해당 약상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는 약상자에 대한 아이디를 확인하고, 컨테이너 상태(약 존재 여부), 버튼(눌림 여부), 모터(회전 여부), LCD 등을 감지한다.
402단계에서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는 상황 감지부(111)로부터 전달받은 상태 데이터들을 통해 약복용 상황을 인식한다.
403단계에서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약복용 상황에 대한 전이도를 이용하여 현재 감지된 상태 데이터와 이전의 약복용 상황에 따라 다음 상황을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게 약복용을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생성한다.
404단계에서 생성된 서비스를 실제 장치에 음성, 이미지, SMS 메시지, LED, 약 배출 등으로 시각화한다.
삭제
이후,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는 시스템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시스템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401단계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 반면, 시스템이 종료된 경우에는 상기 약복용 지원하기 위한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의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은 약복용 지원 방법에서 각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의 상황 감지부(111)에서 각 사용자와 해당 약상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와 해당 약상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상황 감지부(111)는 사용자 인식 장치(120) 및 약상자(130)를 검색한다.
그런 다음 502단계에서 상황 감지부(111)는 검색된 사용자 인식 장치(120)로부터 사용자 아이디 및 사용자와의 거리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상태 데이터를 수집한다. 503단계에서 상황 감지부(111)는 검색된 약상자(130)로부터 약상자의 상태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약상자의 상태 데이터는 LCD 메시지, 컨테이너마다 봉지약 존재 여부, 모터(회전 여부) 상태, 버튼(눌림 여부) 상태, 약 배출 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504단계에서 상황 감지부(111)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약복용 스케줄을 검색하고, 505단계에서 데이터 퓨전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에 따라 필요한 상태 데이터들만을 모아 상황 인식부(113)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의 상황 인식부(113)에서 감지된 상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약복용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약복용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601단계에서 상황 인식부(113)는 상황 감지부(111)로부터 필요한 상태 데이터들만(이하, 퓨전 데이터라 칭함)을 수신하고, 602단계에서 수신한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서비스되어야 할 약복용 스케줄을 탐색한다. 여기서, 약복용 스케줄 탐색은 스케줄 집합 데이터에서 서비스되지 않은 가장 오래된 약복용 스케줄이거나 현재 버튼이 눌린 즉, 배출 명령을 받은 컨테이너에 대한 약복용 스케줄을 먼저 선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케줄에 대한 탐색 인덱스를 이용한다.
603단계에서 상황 인식부(113)는 상기 도 8의 약복용 상황에 대한 전이도에서 현재 상황에서 도착 가능한 후보 약복용 상황을 탐색한다.
604단계에서 상황 인식부(113)는 상기 퓨전 데이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후보 상황들만을 필터링한 후, 605단계에서 필터링된 상황들의 우선순위를 비교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 즉, 상황 인식부(113)는 필터링된 상황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상황을 최종 약복용 상황으로 판단한다. 이 때, 필터링된 상황들의 우선 순위는 사용자에 의해 기 정의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의 서비스 실행부(114)에서 서비스 생성 및 서비스 시각화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생성 및 서비스 시각화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여 서비스 생성에 대해 설명하면, 701단계에서 서비스 실행부(114)는 XML 형태로 구축된 약복용 서비스 템플릿 집합에서 현재 상황에 대응되는 템플릿을 탐색한다.
702단계에서 서비스 실행부(114)는 현재 약복용 지원 시스템에서 설정된 서비스 항목만을 상기 탐색된 템플릿에서 필터링한다.
703단계에서 서비스 실행부(114)는 필터링된 서비스 항목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될 항목의 내용을 완성하여 화면 서비스 생성을 수행한다. 즉, 서비스 실행부(114)는 사용자 이름, 복용 시간 및 방법, 약 위치 등의 내용을 이미지, 메시지, 음성 서비스 템플릿과 결합시켜 화면 서비스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704단계에서 서비스 실행부(114)는 필터링된 서비스 항목을 이용하여 약상자에 표현될 버튼의 LED, LCD 메시지, 약 배출 등의 서비스 내용을 완성한다.
705단계에서 서비스 실행부(114)는 생성된 화면 서비스 및 약상자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 단위로 퓨전한 후, 706단계에서 퓨전된 서비스를 서비스 큐(707)에 삽입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여 서비스 시각화에 대해 설명하면, 708단계에서 서비스 실행부(114)는 상기 서비스 큐(707)로부터 읽어온 서비스들을 스케줄링한다. 즉, 서비스 실행부(114)는 중복되는 서비스를 제거하고, 우선순위와 서비스 시간에 따라 스케줄링하여 서비스를 추출한다. 이 때, 우선순위는 사용자에 의해 기 정의된 것이다.
709단계에서 서비스 실행부(114)는 추출된 서비스에서 화면 서비스와 약상자 서비스를 각각 분리한다. 이후, 710단계에서 서비스 실행부(114)는 화면 서비스를 시각화 즉, 화면에 표시될 서비스 항목들을 시각화하고, 711단계에서 약상자 서비스를 시각화 즉, 약상자 LED, LCD, 모터에 각각 서비스를 수행한다.
712단계에서 서비스된 사용자의 약복용 상태를 서버(140)로 전송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복용 지원 시스템(100)의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는 약복용 스케줄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복용 스케줄을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는 약상자(130)의 각 컨테이너(131)에 대한 시간을 설정하고, 복용 횟수 및 기간을 설정한다. 그런 다음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는 의사, 약사, 간병인 또는 가족 등의 사용자로부터 약복용 시 주의 사항이나 방법 등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고, 약복용 서비스의 시작 날짜와 시간을 입력받는다. 이에 따라 약복용 서비스 장치(110)는 입력된 데이터들을 중심으로 날짜별 약복용 스케줄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이를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복용 지원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복용 서비스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식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약상자에서 약을 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약복용 서비스 장치에 의한 약복용 지원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복용 상황에 대한 전이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와 해당 약상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약복용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생성 및 서비스 시각화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

Claims (18)

  1.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인식 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아이디 및 신호 세기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인식 및 사용자와의 거리 상황을 인식하고, 봉지약을 보관하는 약상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상황 감지부;
    상기 상황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태 데이터를 통해 약복용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약복용 상황을 통해 약복용을 위한 서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용할 약에 대한 처방 데이터를 이용하여 약복용 스케줄을 자동 생성하는 약복용 스케줄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감지부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아이디와 대응되는 사용자를 인식하고, 미리 설정된 신호 세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 세기를 통해 사용자와의 거리 상황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약복용 스케줄을 검색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서비스 장치.
  4. 삭제
  5. 삭제
  6. 봉지약을 각각 보관하는 다수의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약복용 스케줄에 따라 해당 컨테이너에서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보관된 봉지약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보관된 봉지약의 존재 여부 및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약상자; 및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인식 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아이디 및 신호 세기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인식 및 사용자와의 거리 상황을 인식하고, 상기 약상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상황 감지부와, 상기 상황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태 데이터를 통해 약복용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약복용 상황을 통해 약복용을 위한 서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실행부를 갖는 약복용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지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복용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가 외출 시 휴대기기로 상기 약복용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지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복용 서비스 장치는 복용할 약에 대한 처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약복용 스케줄을 자동 생성하는 약복용 스케줄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지원 장치.
  9. 약복용 서비스 장치 및 봉지약을 보관하는 약상자를 갖는 약복용 지원 시스템에서, 상기 약복용 서비스 장치가 상기 보관된 봉지약의 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복용 서비스 장치의 상황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를 인식 및 사용자와의 거리 상황을 인식하고 상기 약상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약복용 서비스 장치의 상황 인식부에 의해 감지된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약복용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약복용 서비스 장치의 서비스 실행부에 의해 인식된 약복용 상황에 따라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실행부에 의해 생성된 서비스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지원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복용 서비스 장치의 약복용 스케줄 생성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약복용 스케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지원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상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식 장치 및 약상자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사용자 인식 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식 장치가 장착된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와의 거리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검색된 약상자의 동작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한 약복용 스케줄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약복용 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 필요한 데이터들만을 모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지원 방법.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약상자의 동작 상태 데이터는 약상자 아이디, 보관된 약의 존재 유무, 버튼 눌림 여부, 전동모터의 회전 여부, 표시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지원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약복용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서비스할 약복용 스케줄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후보 약복용 상황을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후보 약복용 상황들 중 필요한 데이터의 조건에 만족시키는 후보 약복용 상황들만을 필터링하는 단계; 및
    필터링된 상황들 중 기 정의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상황을 최종 약복용 상황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지원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인식된 약복용 상황에 따라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약복용 서비스 템플릿 집합에서 상기 인식된 약복용 상황에 대응되는 템플릿을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템플릿들 중 해당 서비스 항목에 대한 템플릿을 필터링하는 단계;
    화면에 표시될 항목의 내용을 필터링된 해당 템플릿과 결합하여 화면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
    약상자에 대한 내용을 필터링된 해당 템플릿과 결합하여 약상자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화면 서비스 및 약상자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 단위로 서비스 퓨전하는 단계; 및
    서비스 퓨전된 서비스를 서비스 큐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지원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생성된 서비스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큐에서 출력되는 서비스들 중 중복되는 서비스를 제거한 나머지 서비스들을 기 정의된 우선순위와 서비스 시간에 따라 스케줄링하여 서비스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서비스에서 화면 서비스와 약상자 서비스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화면 서비스에 대한 화면에 표시될 서비스 항목들을 시각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약상자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복용 지원 방법.
  17. 삭제
  18. 삭제
KR1020080114899A 2008-11-18 2008-11-18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10121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899A KR101210272B1 (ko) 2008-11-18 2008-11-18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US12/482,792 US9019097B2 (en) 2008-11-18 2009-06-11 Medication service apparatus, medication box,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med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899A KR101210272B1 (ko) 2008-11-18 2008-11-18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976A KR20100055976A (ko) 2010-05-27
KR101210272B1 true KR101210272B1 (ko) 2012-12-10

Family

ID=4217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899A KR101210272B1 (ko) 2008-11-18 2008-11-18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19097B2 (ko)
KR (1) KR101210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472A (ko)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모바일 기기 기반 복약 관리 시스템
KR20230034488A (ko) 2021-09-02 2023-03-10 임준영 다기능 스마트 자동 약통 배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793B1 (ko) * 2010-07-14 2012-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상자
ITVR20110084A1 (it) * 2011-04-28 2012-10-29 Alessandro Persona Distributore di farmaci per reparti ospedalieri o simili e metodo di distribuzione intelligente di farmaci
KR101311470B1 (ko) * 2011-12-16 2013-09-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약상자 표준 지원 시스템
KR20170011039A (ko)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오디씨 약보관용기의 중량검출에 따른 복약 지원 시스템
CN106060144A (zh) * 2016-06-22 2016-10-26 深圳市亿蟠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的家居智能药箱管理系统
US9731103B1 (en) 2017-01-13 2017-08-15 Berkshire Biomedical, LLC Computerized oral prescription administration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7016799B (zh) * 2017-05-22 2022-08-12 深圳享当当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无触点租赁物品id身份识别、充电的装置及方法
US10792226B2 (en) 2017-06-07 2020-10-06 Berkshire Biomedical, LLC Refill and dosage management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computerized oral prescription administration devices
WO2019017708A1 (ko) * 2017-07-19 2019-01-24 박서준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CN110944618A (zh) * 2017-07-19 2020-03-31 朴序晙 通过装置及服药管理装置
KR101851942B1 (ko) * 2017-11-09 2018-06-04 박영세 활동감지 기반의 원격 복약 관리 방법
US10441509B2 (en) 2018-03-16 2019-10-15 Berkshire Biomedical, LLC Computerized oral prescription administration with refillable medication dispensing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729860B1 (en) 2019-05-22 2020-08-04 Berkshire Biomedical, LLC Computerized oral prescription administration for securely dispensing a medication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430725B1 (ko) * 2020-05-26 2022-08-08 주성덕 약 자동지급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2116753A (zh) * 2020-08-31 2020-12-22 同济大学 一种自助门诊机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9157A (en) * 1991-12-23 1994-02-22 Vitafit International, Inc. Medicine reminder and storage device
US6163736A (en) * 1998-06-19 2000-12-19 Halfacre; Van Tamper resistant programmable medicine dispenser
US6107911A (en) * 1999-01-11 2000-08-22 Perrone; Stephen C. Self-contained, programmable, time interval alarm reminder device for eyedrop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a means for affixing such to an eyedrop/medication container
US6762678B2 (en) * 2000-06-27 2004-07-13 Susanne Arens Scuba driver communication and tracking device
US6961285B2 (en) * 2000-07-07 2005-11-01 Ddms Holdings L.L.C. Drug delivery management system
US6861954B2 (en) * 2001-03-30 2005-03-01 Bruce H. Levin Tracking medical products with integrated circuits
US20020149472A1 (en) * 2001-04-11 2002-10-17 Roe Bonnie A. Medication control and dispensing box
US7369919B2 (en) * 2001-11-30 2008-05-06 Vonk Glenn P Medication adherence system
US6985870B2 (en) 2002-01-11 2006-01-10 Baxter International Inc. Medication delivery system
US7002476B2 (en) * 2003-01-30 2006-02-21 Leap Of Faith Technologies, Inc. Medication compliance system
AU2004248558A1 (en) * 2003-05-30 2004-12-23 Astrid Keene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pharmaceutical prescriptions
JP2005013488A (ja) 2003-06-26 2005-01-20 Toppan Forms Co Ltd 薬収納具及びこれを用いた薬服用管理システム
US8019471B2 (en) 2004-04-24 2011-09-13 Inrange Systems, Inc. Integrated, non-sequential, remote medication management and compliance system
JP4786198B2 (ja) 2005-02-28 2011-10-05 潤 今井 服薬用管理装置
JP4672394B2 (ja) 2005-02-28 2011-04-20 潤 今井 服薬用管理装置
US8044778B2 (en) * 2007-07-12 2011-10-25 Henry Schein, Inc. Injection device and case with reporting ability
KR200440603Y1 (ko) 2006-12-13 2008-06-23 황도균 약 보관함
US8108068B1 (en) * 2007-12-27 2012-01-31 Boucher Gary R Prescription medic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472A (ko)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모바일 기기 기반 복약 관리 시스템
KR20230034488A (ko) 2021-09-02 2023-03-10 임준영 다기능 스마트 자동 약통 배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976A (ko) 2010-05-27
US20100123576A1 (en) 2010-05-20
US9019097B2 (en)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272B1 (ko)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US11207243B2 (en) System, method, and module for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US9235690B2 (en) Medication dispenser with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EP2958486B1 (en) Treatment administration unit
US20170235919A1 (en) Information provider system
US20030086338A1 (en) Wireless web based drug compliance system
KR101042245B1 (ko) 약복용 지원 장치, 약상자, 약 보관용 컨테이너 및 약 복용지원 방법
CN102791310A (zh) 药物注射装置和数据收集系统
KR20120007267A (ko)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CN102949179A (zh) 用于药物递送系统的用户界面特征
KR20120072109A (ko) 약복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6438B1 (ko)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JP2015228082A (ja) 服用証跡管理端末、服用証跡管理システム及び服用証跡管理方法
US20190282450A1 (en) System, method, and module for integrated medication management
KR101497307B1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140139998A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134950A (ko) 퍼스널 디스펜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86170B1 (ko)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TWM495849U (zh) 具有用藥提醒及確認的電子藥盒
KR20150039341A (ko) 복약 관리장치
CN109523657A (zh) 一种智能药箱的控制方法及系统
KR101147996B1 (ko) 개인용 투약 장치
KR101426607B1 (ko) 복약 관리장치
EP2225616B1 (en) Medication dispenser with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KR101421809B1 (ko) 복약 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