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793B1 - 약상자 - Google Patents

약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793B1
KR101164793B1 KR20100067938A KR20100067938A KR101164793B1 KR 101164793 B1 KR101164793 B1 KR 101164793B1 KR 20100067938 A KR20100067938 A KR 20100067938A KR 20100067938 A KR20100067938 A KR 20100067938A KR 101164793 B1 KR101164793 B1 KR 101164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box
cartridge
compartment
medica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6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266A (ko
Inventor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6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793B1/ko
Priority to PCT/KR2010/005552 priority patent/WO2012008648A1/ko
Publication of KR2012000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61J7/04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automatically changing in response to a schedule deviatio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30Compliance analysis for taking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상자{A PILL BOX}
본 발명은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에 관한 것이다.
약은 질병이나 부상, 기타 신체의 이상을 치료, 완화 및 예방하기 위해 생물에게 투여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도 일년에 수 차례 약을 복용하게 마련이며,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일생 동안 주기적으로 복약을 해야 하기도 한다. 이러한 약들은 각각 서로 다른 화학적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약마다 인체 내에서 흡수 및 분해되는 작용과정이 달라 대부분 복약시간이 미리 정해져 있다. 따라서 올바른 투약효과를 위해서는 약의 성분과 목적 및 약효의 지속시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약제를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약에 대한 처방전을 작성하는 의사나 약사는 투약시간에 대해 기상 후, 식전, 식후 및 취침 전 등과 같이 가능한 일반인들의 생활패턴에 맞춰 복용약제, 복약시간 및 방법 등에 대해 안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약지도는 의?약사들의 구두에 따라 설명되며 이후 복약과정에서 복용자의 기억과 주의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므로 복용자 개개인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복약스케줄에 따른 효과적인 복용을 기대하기 힘들다. 특히 분초를 다투는 현대인의 경우 바쁜 일상생활로 인하여 외출 시에 항상 약을 소지하여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약제를 올바로 복용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더욱이 아동이나 노인의 경우에는 일반인에 비해 주의력이 약할 수 있어 별도의 복약관리가 없다면 실제로 정확한 시간에 복약스케줄에 따라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복약여부를 기억하지 못해 약을 오?남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약관리를 보조하는 별도의 기록지를 이용하여 왔다. 별도의 기록지란 복용약제 및 복약시기가 제공되어 복용자가 이에 따라 복약한 뒤 복약 사실을 하나하나 기록하는 노트나 메모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지를 이용한 복약관리는 사람이 수기로 작성하는 것이어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기 힘들 수 있다. 복용자가 매번 복약 시마다 기록지에 복약사실을 수기로 기록하는 것은 누락이나 오기의 우려가 크며, 양로원이나 보육시설 등에서 간호인에게 기록하도록 하는 경우라도 모든 복약여부를 빠짐없이 기록하기란 현실적으로 곤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최근에는 정해진 시기에 복용해야 하는 약을 분류하여 수납해 놓는 약상자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상자는 기록지에 복약기록을 하는 것에 비해서는 복약순응도면에서 유리하지만 크기나 무게상 휴대하기 곤란하고 복약시기별로 약을 분류하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번거로울 뿐 아니라 분류 시 실수로 약이 잘못 수납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복용자에게 복약시간을 알리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명종 등을 이용해야 하므로 체계적인 복약관리를 위해서는 아직 미흡한 점이 많다.
따라서, 사회가 발전하여 점차적으로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일반인은 물론 유아나 노인의 경우에도 올바른 복약을 위해 사용하기 간편하면서도 높은 복약순응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복약지도 및 복약관리를 위한 약상자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약을 효과적으로 복용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복약순응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건강관리서버 등과 연동하여 종합적인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정해진 복약시기에 정해진 약제를 복용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약상자에 수납되는 카트리지 내의 구획의 절대적인 위치를 파악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약상자에 임의의 방향으로 카트리지를 삽입하여도 스스로 카트리지의 방향을 파악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약상자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에 수용되어 회전하고,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구획을 가지고, 복수의 구획에 중 적어도 하나의 구획의 위치를 반영하는 식별패턴이 일면에 형성된 카트리지, 식별패턴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가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의 개구에 대한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에 수용되어 회전하고,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구획을 가지고, 복수의 구획에 중 적어도 하나의 구획의 위치를 반영하는 식별패턴이 일면에 형성된 카트리지, 카트리지가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 식별패턴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가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의 개구에 대한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에 근거하여 특정구획이 개구와 연통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에 수용되어 회전하고,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구획을 가지고, 복수의 구획에 중 적어도 하나의 구획의 위치를 반영하는 식별패턴이 일면에 형성된 카트리지, 카트리지가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 식별패턴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복약스케줄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센서부가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의 개구에 대한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에 근거하여 특정구획이 개구와 연통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고, 복약스케줄에 근거하여 특정구획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케이스, 케이스에 수용되어 회전하고,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구획을 포함하고, 각각 회전축에 대한 구획의 방향을 반영하는 복수의 식별패턴이 형성된 카트리지, 복수의 식별패턴 중 하나의 식별패턴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가 감지한 식별패턴에 근거하여 상기 구획의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에 수용되어 회전하고, 회전에 따라 이동하고 약을 수용하는 복수의 구획을 포함하고, 회전축에 대한 특정구획의 방향을 각각 반영하는 복수의 식별패턴이 형성된 카트리지, 복수의 식별패턴 중 하나의 식별패턴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가 감지한 식별패턴에 근거하여 특정구획의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케이스, 케이스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 일면의 제1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구조물, 카트리지 일면의 제2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구조물, 제1구조물을 감지하는 제1센서, 제2구조물을 감지하는 제2센서 및 제1센서 및 제2센서가 감지한 결과의 조합에 따라 카트리지의 회전값을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케이스에 수용되어 회전하되, 회전에 따라 어느 하나가 개구와 연통되는 복수의 구획을 포함하고, 복수의 구획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패턴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개구와 연통된 구획에 대응하는 식별패턴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감지한 식별패턴에 근거하여, 개구와 연통된 구획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용자가 복약관리에 따라 복약하도록 함으로써, 복용자의 복약순응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상자가 카트리지 내의 구획의 절대적인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복약스케줄에 따라 정해진 구획에서 약이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상자에 카트리지를 삽입할 때, 임의의 방향으로 삽입하여도 자동으로 복약스케줄에 따른 순서로 구획이 개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약확인을 통해 복용자가 약물을 오 ?남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상자가 건강관리서버 등과 연동되므로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복약관리가 이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올바른 복약관리를 통해 약 복용의 효과가 향상되므로, 복용자가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의료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획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패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패턴이 정보를 반영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별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지도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3은 약상자가 연통되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 또는 변형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한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기재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복약관리시스템이란, 처방받은 약을 올바르게 복용할 수 있도록 복약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복약관리는 효과적인 복약을 위한 복약지도 및 복약시기에 복약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복약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지도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하도록 하는 복약지시 및 약을 오용 또는 남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남용방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약관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강관리서버(10), 약상자(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환자, 복용자 등의 피건강관리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 관리 및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는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 또는 약상자(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약상자(100)는 약을 보관할 수 있으며,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지도를 하거나 복약확인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건강관리서버(10), 약상자(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는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교환은 유무선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건강관리서버(10), 약상자(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는 이러한 정보교환 및 유무선통신을 통해, 복용자와 복용자의 건강관리자(health manager)를 보다 가깝게 이어주고 서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복약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건강관리자란, 환자 또는 복용자의 건강에 관한 지도 및 관리를 수행하는 사람 또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자는 의사, 약사, 간호사 및 간병인 등일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사람들이 하는 역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건강관리서버(10), 이동통신단말기(20) 및 약상자(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건강관리서버(10)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건강관리서버(10)는 환자, 복용자 등의 피건강관리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 관리 및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러한 건강관리서버(10)는 병원이나, 약국 및 건강관리센터 중 적어도 하나의 장소에 마련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각종 단말 또는 그 외의 서버 등과 통신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와 통신하는 장치는, 예를 들어 병원측 단말기(11), 병원측 서버, 약국측 단말기(12), 약국측 서버, 건강관리센터측 단말기(13), 건강관리센터측 서버, 복용자측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20), 약상자(100) 및 그 외의 건강관리관련단말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유무선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와 각 기기들은 인터넷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어, 의사는 병원측 단말기(11)를 통해 건강관리서버(10)와 통신할 수 있다. 또는, 복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20)나 약상자(100) 등을 통해 건강관리서버(10)로부터 건강관리서버(10)가 제공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건강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는 인증된 외부기기로만 건강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는 약국측 단말기(12)가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약사면허번호를 입력받아 허가된 약사면허번호인지 판단하여 유효한 약사면허인 경우에만 약국측 단말기(12)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에 관한 정보는 환자나 복용자 개개인의 신상에 관한 것이므로 건강관리서버(10)는 이와 같은 인증절차를 통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건강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복약관리를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는 복용자정보, 처방전정보, 복약스케줄 및 복약확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정보에 대한 간략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복용자정보는 약을 복용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용자정보는 복용자의 이름, 성별, 연령, 체중, 혈압, 혈당, 병력 및 그 외의 복용자의 건강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건강관리자나 복용자로부터 복용자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저장된 복용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자는 건강관리서버(10)가 제공하는 복용자정보를 이용하여 복용자의 건강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는 병원측 단말기(11)를 이용하여 건강관리서버(10)에 접근하여 복용자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복용자정보를 참고하여 약을 처방하거나 진료를 할 수 있다.
처방전정보는 복용자에게 처방된 약품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처방전정보는 처방된 개인에 관한 정보 및 처방된 약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전정보는 피처방자정보, 처방자정보, 처방시간, 처방약품의 명칭, 처방약품의 분류, 조제방법, 복약방법 및 복약 시의 주의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방법은 복약시기나 복약스케줄, 약품의 복용량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복약 시의 주의사항은 복약 시 병용금기약품이나 예상되는 부작용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이러한 처방전정보를 처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이와 같이 저장된 처방전정보는 제공할 수 있다. 복용자나 건강관리자는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복약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는 의사측 단말기를 거쳐 처방자로부터 처방전정보를 얻어 저장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약사측 단말기를 통해 약사에게 저장된 처방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약사는 별도의 처방전, 예를 들어 종이 처방전 등이 없이도 건강관리서버(10)에 접속함으로써 약 제조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강관리서버(10)를 통한 처방전정보의 송수신을 통해 약사나 피처방자는 보다 편리하게 약을 제조하고 또 구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의사 등의 처방자는 약 처방 시 건강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현재 피처방자의 과거의 처방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약의 경우 그 화학적 성분에 따라 병용하여서는 아니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건강관리서버(10)는 처방자에게 복용자의 과거의 처방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처방자가 약 처방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복약스케줄은 복용자가 약을 복용해야 하는 일정일 수 있다. 이러한 일정은 복약시기에 관한 정보 및 각 복약시기마다 복용해야 하는 약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약스케줄은 일 단위나 주 단위 또는 월 단위의 일정일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처방자나 건강관리자로부터 복약스케줄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건강관리서버(10)는 저장된 복용자정보 및 처방전정보를 근거로 복약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복용자의 약상자(100)나 이동통신단말기(20)로 복약스케줄을 전송할 수 있다. 약상자(100)나 이동통신단말기(20)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용자에게 복약시기에 약을 복용하도록 복약지시를 할 수 있다. 이로써, 복용자는 복약시기를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약함으로써 복약순응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20)나 약상자(100)는 처방전정보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복약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복약확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확인정보는 복용자가 복약했는지 여부 및 약의 복용이 복약스케줄에 따라 이루어졌는지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복용자나 약상자(1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 복약확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복약확인정보를 의사나 약사 등의 건강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자는 이러한 복약확인정보를 이용해 복용자의 복약여부 및 복약순응도 등을 알 수 있고 이에 근거하여, 복용자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복약관리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에 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단말기(20)는 복약관리에 대한 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 또는 약상자(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는 건강관리서버(10)나 약상자(100)와의 통신을 통해 복약스케줄이나 복약확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는 이와 같이 획득된 정보를 복용자에게 제공하여 복약지시를 하거나 또는 복용자나 약상자(100)로부터 복약확인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건강관리서버(10)로 송출하여 건강관리서버(10)에서 복용자의 복약확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에 낙상감지센서가 있는 경우에는, 복용자가 낙상한 경우 이를 건강관리서버(10)나 복용자의 가족측 단말기(21), 응급구조대측 단말기(22) 및 건강관리자측 단말기(23)와 통신하여 이를 알릴 수 있다.
끝으로, 약상자(100)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약상자(100)는 약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약상자(100)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지시를 하고, 약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복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확인한 복약여부에 대한 복약확인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약상자(100)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케이스(110), 카트리지(120), 개구(115) 및 뚜껑(116)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약상자(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다른 구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120)는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구획(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구획(130)은 약을 수용할 수 있다. 개구(115)는 복수의 구획(130)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어 그 구획(130)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뚜껑(116)은 여닫히는 동작을 통해 개구(115)를 개폐함으로써, 개구(115)를 통해 상기 구획(130)이 개방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케이스(110), 카트리지(120), 개구(115) 및 뚜껑(116)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케이스(110)에 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분해도이다.
케이스(110)는 약상자(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약상자(100)는 거취용 약상자(100) 또는 휴대용 약상자(100)일 수 있다. 여기서 약상자(100)가 휴대용인 경우에는, 케이스(110)는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는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는 휴대가 간편하므로, 복용자가 장소에 구애됨 없이 약상자(100)를 휴대함으로써, 외출하는 때에도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을 복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케이스(110)에는 약상자(100)의 다른 구성요소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20)가 케이스(1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10)는 내부에 수납된 구성요소를 보호하기에 적합한 강도를 가진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나 강화플라스틱일 수 있다.
케이스(110)에는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에는 약이 수용된 카트리지(120)가 수납됨으로써 케이스(110) 내에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10)는 내부에 수용된 약제가 변질되지 아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제는 빛이나 온도 또는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이에 따라 변질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빛이 투과되지 아니하는 재질 또는 온도나 습도가 전달되지 아니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로 마련된 케이스(110)는 내부의 약재가 변질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는 불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케이스(110)는 일측에 구멍이 있어 통풍이 자유롭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는 약상자(100)의 다른 구성들, 예를 들어 카트리지(12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구성들은 케이스(110)에 탈?부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20)는 케이스(110)에 부착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되고, 탈착됨으로써 케이스(1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이런 구성들이 탈?부착되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분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는 상부케이스(110a)와 하부케이스(11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케이스(110a)와 하부케이스(110b)는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케이스(110a)와 하부케이스(110b)는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고 외부의 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케이스(110a)와 하부케이스(110b)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림쇠를 마련하여 이러한 걸림쇠의 작용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부케이스(110a)와 하부케이스(110b)에는 나선형의 홈을 마련하여 홈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분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는 일면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멍을 통해 약상자(100)의 다른 구성들이 케이스(110)로 출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20)는 구멍을 통해 케이스(110)로 삽입되거나 케이스(110)에서 토출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된 케이스(110)는 구성요소가 용이하게 출입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케이스(110)에는, 카트리지(120)가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 카트리지(120)의 출입이 용이한 케이스(110)는 카트리지(120)에 다량의 약제를 투입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약상자(100)에는 후술할 개구(115)가 마련되어 이를 통해 약이 약상자(100)로 출입할 수 있으나, 이러한 개구(115)는 복약시기에 약이 배출되는 용도이므로 다량의 약이 한번에 투입되는 용도로는 적절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120)가 케이스(110)로부터 출입이 가능한 약상자(100)는, 카트리지(120)가 케이스(110)로부터 토출됨으로써 다량의 약을 카트리지(120)에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약상자(100)는 약사가 조제한 약을 약상자(100)에 투약하는 경우 또는 처방받은 약을 복용자가 직접 약상자(100)로 투입하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트리지(120) 및 카트리지(120)에 포함되는 구획(130)에 대하여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120)의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13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130)의 단면도이다.
카트리지(120)는 케이스(110)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120)는 케이스(11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가 원통형상인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20)는 원통형상 또는 원형판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케이스(110)가 직육면체의 박스형상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20)도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120)는 케이스(110) 내에 수용되어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약상자(100)의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 또는 후술할 약상자(100)의 구동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원형 카트리지(120)의 경우에는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직육면체형 카트리지(120)는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120)에는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120)는 약을 보관하기 적합한 재질일 수 있다. 케이스(110)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약제는 빛이나 온도 또는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이에 따라 변질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120)는 약이 변질되지 아니하도록 빛을 차단하거나 온도나 습도가 급격하게 변하지 아니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20)는 불투명한 재질로 마련되어 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120)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카트리지(120)의 통풍이 자유롭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120)는 복수의 구획(1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카트리지(120)에는 복수의 구획(13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130)들은 카트리지(120)의 내부의 서로 분리된 일정한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20)에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설치하여 내부 공간을 분리함으로써 카트리지(120) 내부에 복수의 구획(130)을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구획(130)에는 각각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구획(130)에는 1회 복용분량의 약제가 수용될 수 있다. 구획(130)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약상자(100)에 복수의 복용분량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20)의 구획(130)이 10개인 약상자(100)는, 하루 1회 복용해야 하는 약을 10 일치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구획(130)에는 순서대로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복용자는 구획(130)이 설치된 순서대로 복약함으로써 복약순서에 따라 복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획(130)은 카트리지(120) 내에 일정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구획(130)의 수가 많을수록 다량의 약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획(130)의 수가 많으면 적은 경우에 비해 한번에 투약하여 보관할 수 있는 분량이 많아지므로 자주 약을 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나아가 보관할 수 있는 약의 분량이 늘어나므로 복용자가 약이 없어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용하지 못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구획(130)의 수를 무한정으로 늘릴 수는 없다. 약상자(100)가 거취용 또는 휴대용일 수 있는데, 특히 휴대용인 경우에는 케이스(110)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성을 위하여 무게나 공간의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약상자(100)의 카트리지(120) 내의 구획(130)의 수는 약상자(100)의 용도, 휴대성, 공간적인 제약, 무게의 제한, 투약편리성 및 복약관리에 용이성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20)는 7개의 구획(130)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주일 단위로 약을 투입해주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약을 투입하는 것을 기억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획(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120)의 내부에 격벽을 설치하여 공간을 분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카트리지(120)에는 중심으로부터 외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있어 이로 인해 복수의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복수의 구획(1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카트리지(120)에는 카트리지(120)의 측면과 평행하거나 또는 측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있어 이로 인해 복수의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복수의 구획(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구획(130)은 후술할 개구(115)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이 수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약들은 복약스케줄 등에 따라 약상자(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에서는, 약을 수용하는 구획(130)이 개방됨으로써 그 구획(130) 내부에 수용된 약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구획(130)이 개방됨으로써 약이 배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의 배출은 구획(130)이 개방되는 것만으로 수행되지는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획(130)이 개방된 상태에서 약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약이 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획(130)의 일면이 이동함에 따라 약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구획(130)이 개방된 상태에서 약상자(100)가 도립상태가 됨에 따라 중력에 따라 약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구획(130)의 일면은 일정한 경사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130)의 각 일면이 개구(115)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구획(130)의 일면에 경사가 있는 경우에는 약상자(100)로부터 약이 배출되는 약상자(100)의 기울기의 범위가 보다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약상자(100)의 경우에는 도립상태는 물론 수직상태에서도 약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경사가 마련된 구획(130)을 포함하는 약상자(100)는 약이 배출되기 용이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구(115) 및 뚜껑(116)에 대하여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분해도이다.
개구(115)는 약상자(1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일측은 케이스(110)의 상면, 하면 또는 측면일 수 있다.
이러한 개구(115)는 약이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약은 수mm에서 수cm의 크기를 가지므로 개구(115)는 수 mm에서 수 c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15)는 수 cm의 지름을 가진 원형, 반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원형 또는 반원형의 개구(115)는 복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원형이나 반원형일 수 있다. 복용자는 개구(115)를 통해 알약 등의 약제를 섭취할 수 있다.
개구(115)는 구획(130)을 개방할 수 있다. 또는 개구(115)는 구획(130)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15)는 구획(130)과 연결되어 개구(115)와 구획(130)이 서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구획(130)을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115)와 구획(130)이 연결되는 것은 개구(115) 및 구획(130)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대응하는 지점으로 이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의 카트리지(120)가 후술할 구동부(180)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구획(130)이 개구(115)와 연결되는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연통될 수 있다.
구획이 복수인 경우에는, 개구(115)는 복수의 구획(130)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15)는 특정한 하나의 구획(130)과 연통되어 그 구획(130)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한 구획(130)은 복약스케줄에 따라 현재 복약시기에 복용해야 하는 약이 수용된 구획(130)일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구획(130) 중 하나의 구획(130)이 개방될 때, 어느 구획(130)이 개방될지는 구획(130)과 개구(115)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되는 구획(130)은 개구(115)와 연통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구획(130)일 수 있다.
뚜껑(116)은 개구(115)를 열거나 막을 수 있다. 다시 말해, 개구(115)는 뚜껑(11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구획(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구획(130)은 개구(115)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뚜껑(116)은 개구(115)를 여닫음으로써 연통된 구획(130)의 개방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복약시기가 아닌 경우에 개구(115)와 카트리지(120)가 연결된 것만으로 약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뚜껑(116)은 개구(115)를 개폐함으로써 복용자가 원하는 때에만 약상자(100)로부터 약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뚜껑(116)은 케이스(110) 상의 개구(115)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116)은 개구(115)와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개구(115)에 장착되거나 나선형의 홈을 마련하여 회전에 의해 개구(115)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은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다른 구성에 대하여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190), 복약관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75),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는 입력부(101), 외부로 출력을 하는 출력부(102), 약상자(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3) 및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신부(190), 저장부(175), 입력부(101), 출력부(102), 전원부(103) 및 제어부(17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부(1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유무선망을 통한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일 수 있다. 유선통신은 예를 들어, RS-232 또는 USB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통신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기기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를 포함하는 각종 단말기 또는 건강관리서버(10) 등일 수 있다. 통신부(190)는 외부기기로부터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통신부(190)는 외부기기로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복용자정보, 처방전정보, 복약스케줄 및 복약확인정보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을 통해 약상자(100)는 건강관리서버(10), 이동통신단말 및 그 외의 외부기기와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복약관리를 할 수 있다.
입력부(101)는 사용자 등으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입력부(101)는 예를 들어, 복수의 버튼, 터치패드, 음성인식장치, 마우스, 광마우스, 약상자(100)의 동작을 인식하는 장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입력부(101)를 통해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출력부(102)는 외부로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02)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장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출력부(102)를 통해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복용자정보, 처방전정보, 복약스케줄 및 복약확인정보일 수 있다. 저장부(175)는 통신부(190), 입력부(101)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정보를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통신부(190), 출력부(102)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75)는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플래쉬메모리, RAM, ROM, 하드디스크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75)는 약상자(100)에 내장된 형태 또는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전원부(103)는 약상자(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03)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103)는 약상자(100) 내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전원부(103)는 예를 들어, 건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건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한 건전지일 수 있다. 또는 전원부(103)는 무선방식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또는 전원부(103)는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여 이를 약상자(10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03)는 태양전지(solar cell)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약상자(100)가 복약관리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약관리는 예를 들어, 복약지시, 오남용방지 또는 복약확인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서 도 2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카트리지(120)에 복수의 구획(130) 중 적어도 하나 위치를 반영하는 식별패턴(140)이 형성되고, 카트리지(12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80) 및 상기 식별패턴(140)을 감지하는 센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부(180), 식별패턴(140) 및 센서부(16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부(180)는 카트리지(120)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80)는 카트리지(120)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카트리지(120)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80)는 카트리지(120)가 직선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20)가 원형인 경우에 구동부(180)는 카트리지(12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120)는 케이스(110)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80)는 모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식별패턴(14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120)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패턴(14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패턴(140)이 정보를 반영하는 방법에 관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별패턴(140)을 나타낸 도면이다.
식별패턴(140)은 카트리지(120)의 위치, 방향, 회전각도 또는 배치상태 등을 반영할 수 있다. 카트리지(120)에 복수의 구획(130)이 마련된 경우에는, 식별패턴(140)은 복수의 구획(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구획(130)의 위치, 방향 또는 배치상태 등을 반영할 수 있다. 식별패턴(140)은 후술할 센서부(160)에 의해 감지되는데 제어부(170)는 감지된 결과에 따라 카트리지(120)의 위치, 방향 또는 배치상태 등을 판단하거나 또는 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약상자(100)의 원형 카트리지(120)는 지름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격벽에 의해 복수의 구획(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별패턴(140)은 복수의 구획(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구획(130)에 대응될 수 있다. 또는 식별패턴(140)은 복수의 구획(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구획(130)의 위치, 방향, 배치상태, 회전값, 연통여부 등을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구획(130)의 위치란, 카트리지(120) 내에서의 절대적인 위치 또는 개구(115)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일 수 있다. 또 구획(130)의 방향이란, 도 12의 회전축(R)을 중심으로 각 구획(130)이 위치하는 절대적인 방향 또는 개구(115)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일 수 있다. 개구(115)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은 회전축(R)에 대하여 개구(115)와 적어도 하나의 구획(130)이 이루는 각도로 표현될 수 있다. 또 구획(130)의 배치상태란, 구획(130)이 개구(115)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는 순서 또는 그 순서에 따른 배열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 회전값이란, 카트리지(120)가 회전한 각도 또는 개구(115)와 복수의 구획(130) 중 하나의 구획(130)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연통여부란, 복수의 구획(130) 중 어느 구획(130)이 연통되었는지 또는 각각의 구획(130)이 연통되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패턴(140)은 복수의 하위 식별패턴의 집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하위 식별패턴 각각은 각각 복수의 구획(130)에 대응하거나 또는 각각 복수의 구획(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구획(130)의 위치, 방향, 배치상태, 회전값, 연통여부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약상자(100)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구획(130)이 제1구획(130a)이고, 시계방향 순으로 제2구획(130b), 제3구획(130c) 등이라면, 제1식별패턴(140a)은 제1구획(130a)에 대응되고, 제2식별패턴(140b)은 제2구획(130b)에, 제3식별패턴(140c)은 제3구획(130c)에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식별패턴(140a)은 하나의 특정구획이 제1위치에 있음을, 제2식별패턴(140b)은 하나의 특정구획이 제2위치에 있음을 반영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위치는 카트리지(120) 내에서 구획(130)의 절대적인 위치 또는 개구(115)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식별패턴(140a)은 특정구획이 제1방향, 제2식별패턴(140b)은 특정구획이 제2방향에 있음을 반영할 수 있다. 역시 방향은 구획(130)의 절대적인 방향 또는 개구(115)나 회전중심 등의 일정한 지점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한 예를 들어, 구획(130)이 n개 인 경우에는 각 방향은 2π/7 간격일 수 있다. 이때, 방향은 회전축(R)에 대하여 특정구획과 카트리지(120) 상의 특정지점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으며, 특정지점이란 개구(115)가 형성된 지점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식별패턴(140a)은 카트리지(120) 또는 특정구획이 회전한 각도가 제1각도, 제2식별패턴(140b)은 카트리지(120) 또는 특정구획이 회전한 각도가 제2각도임을 반영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예를 들어, 구획(130)의 총 수가 4개인 경우에는 복수의 하위 식별패턴에 의해 반영되는 각도는 90도 간격일 수 있다. 각각 제1각도는 0도, 제2각도는 90도, 제3각도는 180도, 제4각도는 270도일 수 있다. 다시 더욱 상세히 예를 들어, 구획(130)의 총 수가 7개인 경우에는 각 각도는 2π/7 간격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각각 0도, 51.4도, 102.8도, 150d.3도, 205.7도, 257.1도, 308.5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식별패턴(140a)은 제1구획(130a)이 연통된 것을, 제2식별패턴(140b)은 제2구획(130b)이 연통된 것을 반영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패턴(140)은 카트리지(120)에 마련될 수 있다. 식별패턴(140)은 카트리지(1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120)의 일면은 하면 또는 측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패턴(140)은 카트리지(12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패턴(140)은 후술할 센서부(16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데, 카트리지(120)의 하면에 식별패턴(140)이 마련된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부(160)를 설치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식별패턴(140)에 있어서, 복수의 하위 식별패턴은 반드시 하나의 구획(130)이 있는 하면에 위치해야 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하위 식별패턴들은 후술할 구조물(15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그 구조물(150)들은 위치적으로 인접해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이러한 식별패턴(140)에 포함되는 구조물(150)들은 동시에 센서부(160)에 의해 감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식별패턴(140)이 상술한 다양한 정보를 반영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패턴(140)은 복수개의 구조물(150)의 조합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150)이란 후술한 센서(165)나 스위치에 의해 그 유무가 검출 또는 감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물(150)은, 카트리지의 일면에 물리적으로 돌출된 돌출물, 천공된 슬릿,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물질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150)에 의해 식별패턴(140)이 정보를 반영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패턴(140)은 복수의 구조물(150)의 유무의 조합에 따라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패턴(140)은 2개의 구조물(150)의 유무에 따라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조물(150a) 및 제2구조물(150b)이 있는 경우에는 제1정보를 반영하고, 제1구조물(150a)은 있고 제2구조물(150b)이 없는 경우에는 제2정보를 반영하고, 제1구조물(150a)이 없고 제2구조물(150b)이 있는 경우에는 제3정보를 반영하고, 제1구조물(150a) 및 제2구조물(150b)이 없는 경우에는 제4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130)에 대응되거나 특정한 구획(130)의 위치, 방향, 연통여부, 배치상태, 각도, 회전값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구획(130)이 마련된 약상자(100)에서, 제1정보는 특정구획이 개구(115)와 이루는 각도가 0도임을, 제2정보는 90도임을, 제3정보는 180도임을, 제4정보는 270도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정보는 제1구획(130a)이 연통되었음을, 제2정보는 제2구획(130b)이 연통되었음을, 제3정보는 제3구획(130c)이 연통되었음을, 제4정보는 제4구획(130d)이 연통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대로 이러한 구조물(150)의 조합에 의한 식별패턴(140)은 그 구조물(150)의 유무의 조합에 따라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n개의 구조물(150)의 조합에 의한 식별패턴(140)은 최대한 n^2 개의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구획(130)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구조물(150)의 조합으로 식별패턴(140)이 마련되며, 도 16과 같이 8개의 구획(130)이 있는 경우에는 3개의 구조물(150)의 조합으로 식별패턴(140)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8개 이하의 구획(130) 즉 7개나 6개의 구획(130)이 있는 경우에도 3개의 구조물(150)의 조합으로 식별패턴(14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식별패턴(140)은 적은 구조물(150)을 이용하여 많은 정보를 반영하므로 효율적으로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150)은 카트리지(120)의 일면 상의 회전반경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패턴(140)이 3개의 구조물(150)에 의해 정보를 반영하는 때에, 적어도 하나의 제1구조물(150a)은 제1회전반경(R1)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2구조물(150b)은 제2회전반경(R2)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3구조물(150c)은 제3회전반경(R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반경 상에 구조물(150)이 형성되는 식별패턴(140)은 카트리지(120)가 회전하여도 동일한 반지름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센서부(160)가 이를 감지하기 용이하며 보다 적은 수의 센서(165)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센서부(160)에 대하여 도 17, 도 18, 도 19,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60)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165)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165)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60)의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60)의 단면도이다.
센서부(160)는 식별패턴(140)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식별패턴(140)의 적어도 일부 또는 그 배치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식별패턴(140)이 복수의 하위 식별패턴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센서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식별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감지한 결과를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케이스(11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65)는 케이스(11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165)는 케이스(110)에 장착 또는 수납된 카트리지(120)에 형성된 식별패턴(140)과 마주보는 케이스(110)의 일면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적어도 하나의 센서(165)를 포함하는 센서부(160)는 상기 식별패턴(140)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식별패턴(140)을 형성하는 구조물(150)을 감지하는 센서(1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16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하위패턴이 n개의 구조물(150)의 유무에 따라 정보를 반영하는 때에는, 센서(165)는 n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130)이 16개인 경우에는 식별패턴(140)은 4개의 구조물(150)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센서(165)는 4개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센서(165)는 식별패턴(140)을 형성하는 구조물(150)이 마련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패턴(140)을 형성하는 복수의 구조물(150)이 회전반경으로부터 외곽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마련된 경우에는 복수의 센서(165)도 이에 대응되는 배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패턴(140)을 형성하는 복수의 구조물(150)이 카트리지(120)의 일면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때에는 복수의 센서(165)도 케이스(110) 상에 같은 양식으로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센서(165)들은 식별패턴(140)의 일부 또는 하나의 하위 식별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하위 식별패턴을 구성하는 제1구조물(150a)이 카트리지(120)의 제1회전반경(R1) 상에 마련되고, 제2구조물(150b)이 카트리지(120)의 제2회전반경(R2) 상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센서(165a)는 케이스(110)의 제1회전반경(R1)의 한 지점 상에 마련되어 제1구조물(150a)을 감지할 수 있고, 제2센서(165b)는 케이스(110)의 제2회전반경(R2)의 한 지점 상에 마련되어 제2구조물(150b)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되어 식별패턴(140)의 배치상태가 변하더라도 식별패턴(140)을 형성하는 구조물(150)들은 항상 일정한 회전반경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최소한의 센서(165)로 상기 식별패턴(140)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센서(165)는 각각 그에 대응하는 구조물(150)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165)는 구조물(150)을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65)가 스위치인 경우에는 돌출물이 있는 경우 돌출물에 의해 연결되어 신호를 발생하고, 돌출물이 없는 경우에는 단락되어 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센서(165)는 돌출물인 구조물(150)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센서(165)는 광센서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광센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발광부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이고, 수광부는 포토다이오드(photodiode)일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50)이 카트리지의 일면을 천공 또는 관통하여 마련된 슬릿인 경우에는, 슬릿이 없는 때는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반사되어 수광되어 신호를 발생하고, 슬릿이 있는 때는 빛이 반사되지 아니하므로 수광되지 않아 신호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광센서는 슬릿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구조물(150)이 반사판인 경우에는, 반사판에 의해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반사되는 것을 수광함으로써 반사판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이와 같이 구조물(150)을 센싱하여 그 유무를 감지하는 디지털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식으로 작동하는 센서(165)는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지도방법에 대하여 도 1,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지도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3는 약상자(100)가 연통되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약지도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때, 약상자(100)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지도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약지도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약지도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처방전정보 및 복약스케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S101). 복약관리시스템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처방전정보는 복용자에게 처방된 약품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 복약스케줄은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는 일정일 수 있다. 이러한 복약스케줄은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는 시간인 복약시기 및 각 복약시기에 복용하는 약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상자(100)의 제어부(170)는 통신부(190)를 통해, 이러한 처방전정보 및 복약스케줄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이동통신단말기(20), 건강관리서버(10) 및 각종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제어부(170)는, 입력부(101)를 통해, 처방전정보 및 복약스케줄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받은 처방전정보 및 복약스케줄 중 적어도 하나는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약상자(100)의 제어부(170)는, 저장된 처방전정보에 근거하여 복약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복약스케줄은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
카트리지(120)는 케이스(11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S101). 토출된 카트리지(120)는 약상자(100)외부로 전부 노출될 수 있다.
카트리지(120)의 복수의 구획(130)에는 약이 수용될 수 있다(S102). 예를 들어,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된 카트리지(120)에 약사 또는 복용자 등의 사용자가 약제를 복수의 구획(130)에 수용되도록 하거나 또는 외부장치가 복약스케줄 및 처방전정보에 따라 약을 각 구획(130)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구획(130)에 투입되는 약은 복약스케줄에 따라 서로 다른 약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획(130a)에는 제1약제가, 제2구획(130b)에는 제2약제가, 제3구획(130c)에는 다시 제1약제가 수용될 수 있다.
각 구획(130)에 약이 수용된 후, 카트리지(120)는 케이스(110)에 수용될 수 있다(S103). 이때,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약상자(100)가 원통형인 경우에는 복용자로서는 카트리지(120)가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방향을 모를 수 있다. 따라서, 약상자(100)는 카트리지(120)가 케이스(110)에 삽입되는 때에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수의 구획(130) 중 해당 복약스케줄에 복용해야 하는 약이 수용되는 구획(130)이 개구(115)와 연통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센서부(160)는 케이스(110)에 수용된 카트리지(120)의 식별패턴(140)을 감지할 수 있다(S104).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60)는 복수의 센서(16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165)는 상기 식별패턴(140)을 형성하는 구조물(150)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또는 광센서는 돌출물, 슬릿 또는 반사판 등의 구조물(150)을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센서부(160)는 상기 카트리지(120)의 식별패턴(14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식별패턴(140)에 포함되는 복수의 하위 식별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60)는 식별패턴(14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위 식별패턴을 감지함으로써, 식별패턴(140)의 배치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이와 같이 식별패턴(140)을 감지한 결과를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상기 감지한 결과에 따라 카트리지(120)의 위치, 방향, 회전각도 또는 배치상태 등을 판단할 수 있다(S105). 또는 약상자(100)는 상기 감지한 결과에 따라 복수의 구획(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구획(130)의 위치, 방향, 배치상태, 회전값, 연통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어부(170)는 상기 센서부(160)가 감지한 결과를 전송받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송받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패턴(140)이 복수의 구조물(150)에 따라 형성된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는 센서(165)가 복수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각각의 센서(165)로부터 신호를 획득하거나 획득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한 신호의 조합에 의해 상기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개의 구획(130)을 포함하는 카트리지(120)에 대한 식별패턴(140)은 적어도 3개의 구조물(150)들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구조물(150)을 감지하는 센서(165)는 3개일 수 있다. 이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65)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조합은 각각 복수의 구획(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구획(130)의 위치 등을 반영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센서(165)가 모두 구조물(150)을 감지한 경우에는 제1구획(130a)이 개구(115)와 연통되는 위치에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3개의 센서(165)가 모두 구조물(150)을 감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7구획이 개구(115)와 연통되는 위치에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130)은 카트리지(120)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것이므로, 하나의 구획(130)의 위치를 파악하면 다른 구획(130)의 위치는 상대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 제1구획(130a)이 연통된 것 또는 제7구획이 연통된 것에 의해 제1 내지 제7구획 모두의 위치가 파악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와 같이 상기 감지결과에 따라 카트리지(120)의 위치, 방향, 회전각도, 배치상태 또는 복수의 구획(130)의 위치, 방향, 배치상태, 회전값, 연통된 구획(130)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복수의 구획(130) 중 특정구획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구획은 복약스케줄에 따라 현재 복약시기에 복용해야 하는 약이 들어있는 구획(130)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술한대로 복약스케줄을 획득하고, 저장부(175)가 복약스케줄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복약스케줄에 근거하여 복약시기에 복용해야 하는 약이 수용된 구획(130)을 결정할 수 있다(S106).
약상자(100)는 특정구획이 개구(115)와 연결됨에 따라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S107).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구획은 복약스케줄에 따라 현재 복약시기에 복용할 약이 수용된 구획(130)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결정에 따라 정해진 특정구획이 개구(115)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약상자(100)의 카트리지(120)는 회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에 따라 카트리지(120)에 형성된 복수의 구획(130)은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구동부(180)를 제어하여 카트리지(120)를 회전시켜 특정구획이 개구(115)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특정구획은 개구(115)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80)는 카트리지(120)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구동부(180)는 카트리지(120)가 불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20)는 복수의 구획(130) 중 하나가 개구(115)와 연통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구획(130)의 수가 n개인 경우에는 카트리지(120)는 각 구획(130)이 개구(115)와 연통되는 n개의 상태가 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180)가 불연속적으로 카트리지(12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개구(115)와 구획(130)의 연통이 보다 확실해지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구동부(180)는 예를 들어 모터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히 예를 들어, 스텝모터일 수 있다. 이러한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약상자(100)는 복약관리에 있어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가 이와 같이 구동부(180)를 제어하여 하나의 구획(130)을 연통시키는 시기는 복약스케줄에 따른 복약시기에 수행될 수 있다. 복약시기가 아닌 경우에 구획(130)가 개구(115)를 연통시키면 불필요하게 약이 배출될 가능성이 있는바, 복약시기에 구동부(180)를 제어함으로 이런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특정구획이 현재 복약시기에 상응하는 구획(130)인 경우에 복용자는 이로부터 약을 꺼내 복용할 수 있다(S108). 이로써 약상자(100)에 의한 복약관리가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약상자(100)에 따르면,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용해야 하는 약을 복용자에게 제공하므로 복용자가 약을 오용하거나 남용하지 않고 복약시기에 복용할 수 있다. 이로써 복용자의 복약순응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복약관리 및 복약지도를 통해 사회구성원의 건강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건강관리서버 11: 병원측 단말기
12: 약국측 단말기 13: 건강관리센터측 단말기
20: 이동통신단말기 21: 가족측 단말기
22: 응급구조대측 단말기 23: 건강관리자측 단말기
100: 약상자 101: 입력부 102: 출력부 103: 전원부
110: 케이스 110a: 상부케이스 110b: 하부케이스
115: 개구 116: 뚜껑
120: 카트리지 130: 구획 130a: 제1구획 130b: 제2구획
130c: 제3구획 130d: 제4구획
140: 식별패턴 140a: 제1식별패턴 140b: 제2식별패턴 140c: 제3식별패턴
150: 구조물 150a: 제1구조물 150b: 제2구조물 150c: 제3구조물
160: 센서부 165: 센서
165a: 제1센서 165b: 제2센서 165c: 제3센서
170: 제어부 175: 저장부 180: 구동부 190: 통신부
R: 회전축 R1: 제1회전반경 R2: 제2회전반경 R3: 제3회전반경

Claims (32)

  1.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회전하고,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구획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구획에 중 적어도 하나의 구획의 위치를 반영하는 식별패턴이 일면에 형성된 카트리지;
    상기 식별패턴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획의 개구에 대한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에 근거하여, 특정구획이 상기 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약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복약스케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약스케줄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구획을 결정하는
    약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패턴은,
    상기 카트리지 일면의 제1회전반경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구조물 및 상기 카트리지 일면의 제2회전반경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구조물을 포함하는
    약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구조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구조물은,
    상기 카트리지의 일면을 관통하여 마련된 슬릿인
    약상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구조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구조물은,
    돌출물인
    약상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광센서 및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약상자.
  8.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구획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에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축에 대한 상기 구획의 방향을 반영하는 특정 구조물의 조합이 형성된 카트리지;
    상기 특정 구조물의 조합의 식별패턴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식별패턴에 근거하여 상기 구획의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상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은, 상기 구획의 방향이 상기 개구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때에 상기 개구와 연통되는
    약상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구획이 상기 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약상자.
  11. 제10항에 있어서,
    복약스케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은, 상기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이 수용되는
    약상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조물의 조합은, 적어도 두 개의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구조물의 조합에 반영되는 구획의 방향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구조물의 유무에 따라 결정되는
    약상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구조물은,
    상기 카트리지 일면의 제1반경에 마련되는 제1구조물 및 상기 카트리지 일면의 제2반경에 마련되는 제2구조물을 포함하는
    약상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구조물은,
    상기 카트리지의 일면을 관통하여 마련된 슬릿 또는 돌출물인
    약상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두 개의 센서를 포함하는
    약상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센서는,
    광센서 또는 스위치인
    약상자.
  17.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회전하고, 상기 회전에 따라 이동하고 약을 수용하는 복수의 구획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획에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축에 대한 특정구획의 방향을 각각 반영하는 특정 구조물의 조합이 형성된 카트리지;
    상기 특정 구조물의 조합의 식별패턴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식별패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구획의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상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구획이 실질적으로 상기 개구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약상자.
  19. 제18항에 있어서,
    복약스케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약스케줄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구획을 결정하는
    약상자.
  20. 제19항에 있어서,
    복약스케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획은, 상기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이 수용되는
    약상자.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조물의 조합은, 적어도 두 개의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구조물의 조합에 반영되는 특정구획의 방향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구조물의 유무에 따라 결정되는
    약상자.
  22.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 일면의 제1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구조물;
    상기 카트리지 일면의 제2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구조물;
    상기 제1구조물을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제2구조물을 감지하는 제2센서; 및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가 감지한 결과의 조합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의 회전값을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상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약이 수용되는 복수의 구획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획은, 상기 회전값에 따라 하나의 구획이 상기 개구와 연통되는
    약상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값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구획 중 특정구획이 상기 개구와 연통되도록 제어하는
    약상자.
  25. 제24항에 있어서,
    복약스케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약스케줄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구획을 결정하는
    약상자.
  26. 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회전하되, 상기 회전에 따라 어느 하나가 개구와 연통되는 복수의 구획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획 각각에 대응하는 특정 구조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개구와 연통된 구획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구조물의 조합의 식별패턴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감지한 식별패턴에 근거하여, 상기 개구와 연통된 구획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상자.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특정구획이 연통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약상자.
  28. 제27항에 있어서,
    복약스케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약스케줄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구획을 결정하는
    약상자.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조물의 조합은, 적어도 두개의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구조물의 유무에 따라 각각 상기 복수의 구획을 반영하는
    약상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카트리지의 일면을 관통하여 마련된 슬릿 또는 돌출부인
    약상자.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두 개의 센서를 포함하는
    약상자.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광센서 또는 스위치인
    약상자.
KR20100067938A 2010-07-14 2010-07-14 약상자 KR101164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7938A KR101164793B1 (ko) 2010-07-14 2010-07-14 약상자
PCT/KR2010/005552 WO2012008648A1 (ko) 2010-07-14 2010-08-20 약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7938A KR101164793B1 (ko) 2010-07-14 2010-07-14 약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66A KR20120007266A (ko) 2012-01-20
KR101164793B1 true KR101164793B1 (ko) 2012-07-11

Family

ID=4546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7938A KR101164793B1 (ko) 2010-07-14 2010-07-14 약상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4793B1 (ko)
WO (1) WO201200864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631B1 (ko) * 2015-05-14 2017-05-04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모바일 기기 기반 복약 관리 시스템
KR20210033643A (ko) * 2019-09-19 2021-03-29 남승현 스마트 약통
KR20220050394A (ko) 2020-10-16 2022-04-25 정성욱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623B1 (ko) * 2012-04-27 2013-08-30 권나영 복용 편의장치
CN104606046B (zh) * 2013-11-04 2017-10-17 廖小欧 一种药盒及其使用方法
WO2016196140A1 (en) * 2015-06-03 2016-12-08 Nuvizen Sensor-based medication systems
KR101675766B1 (ko) * 2015-09-08 2016-11-1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약품 보관장치
KR102087420B1 (ko) * 2018-08-01 2020-04-23 주식회사 써랜라잇 주식 또는 간식의 선택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급식기
KR102198610B1 (ko) * 2018-11-16 2021-01-06 주식회사 엔케이어드벤스 사물인터넷기술과 하나되어 온습도 기능을 제어하고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향정신성의약품 자동 관리장치
CN110680740A (zh) * 2019-11-14 2020-01-14 国药集团川抗制药有限公司 一种分药器
CN111110558A (zh) * 2020-02-13 2020-05-08 西安文理学院 一种多功能智能药盒及其配药出药方法
CN111481445B (zh) * 2020-05-26 2024-06-21 北京石油化工学院 关爱老人智能辅助取药装置
CN111658515B (zh) * 2020-06-10 2022-12-09 深圳市医护宝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药盒及智能取药系统
KR102632894B1 (ko) * 2021-08-20 2024-02-06 이나현 알약 분리통
KR102433957B1 (ko) * 2021-11-29 2022-08-19 로이바이오(주) 구독경제 기반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능성 캡슐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제공하기 위한 카트리지형 기능성 캡슐 정량 분배기
KR102360890B1 (ko) * 2021-11-29 2022-02-09 로이바이오(주) 구독경제 기반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능성 캡슐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제공하기 위한 카트리지형 기능성 캡슐 정량 분배기의 제어방법
CN114392189B (zh) * 2022-01-13 2024-02-02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一种腔体可变的多功能药盒
CN114432155B (zh) * 2022-01-27 2023-06-09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智能供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489A (ja) * 2002-04-03 2004-01-08 Kiyoshi Hikitani 薬供給装置
JP4905081B2 (ja) * 2005-11-22 2012-03-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医療用患者照合システム、穿孔機、与薬容器設置台、プレート装着ブロック、穿孔プレート、与薬容器
KR100872577B1 (ko) * 2008-05-02 2008-12-08 박두환 자동 약 공급 및 투약시각 알림장치
KR101210272B1 (ko) * 2008-11-18 2012-1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복용 서비스 장치, 약상자, 약복용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631B1 (ko) * 2015-05-14 2017-05-04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모바일 기기 기반 복약 관리 시스템
KR20210033643A (ko) * 2019-09-19 2021-03-29 남승현 스마트 약통
KR102311651B1 (ko) * 2019-09-19 2021-10-08 남승현 스마트 약통
KR20220050394A (ko) 2020-10-16 2022-04-25 정성욱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8648A1 (ko) 2012-01-19
KR20120007266A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793B1 (ko) 약상자
KR101233799B1 (ko)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KR101164792B1 (ko)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Minaam et al. Smart drugs: Improving healthcare using smart pill box for medicine reminder and monitoring system
CN102245151B (zh) 分配器
US9233051B2 (en) Blister holder provided with means designed to detect the number of extracted products from the blister and with GSM/GPRS communication means to remotely dialogue with a control center
CA2855392C (en) Medication event monitoring system
ES2440486T3 (es) Envase blíster personalizado
EP2579830B1 (en) Tablet dispenser
US20170326033A1 (en) Portable drug dispenser
WO2009080309A2 (en) Device for dispensing solid preparations
KR101953750B1 (ko) 복약관리용 약 디스펜서
US20110270442A1 (en) Ambulatory medication on demand dispenser
US9785750B2 (en) Medicine organizer
WO2012013723A1 (en) Pharmaceutical product dispenser
US11890258B2 (en) Smart pill box
US11311460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cure storage for dispensing of opioids (SSDO)
EP2201925A1 (en) Dispenser
KR101164013B1 (ko) 약품 보관함
JP2017225639A (ja) 服薬管理装置及び薬剤保管装置
KR101573512B1 (ko)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TWM510169U (zh) 具有定時提醒與自動供藥功能之智慧旋轉藥盒
TWM575336U (zh) 智慧型給藥裝置
KR20130000090A (ko) 투약 관리 장치
EP4011349A1 (en) Drug-do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