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394A -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394A
KR20220050394A KR1020200134022A KR20200134022A KR20220050394A KR 20220050394 A KR20220050394 A KR 20220050394A KR 1020200134022 A KR1020200134022 A KR 1020200134022A KR 20200134022 A KR20200134022 A KR 20200134022A KR 20220050394 A KR20220050394 A KR 20220050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medication
cartridge
automatic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욱
정승용
Original Assignee
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욱 filed Critical 정성욱
Priority to KR102020013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0394A/ko
Publication of KR20220050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36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resulting from removing a drug from, or opening, a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61J7/0445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for preventing drug dispensing during a predetermined time peri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5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for dispensing of multiple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 시간에 약을 공급받고 약복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활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자동 약공급 장치는 내부에 복수의 약카트리지가 장착되며, 상기 약카트리지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약카트리지 각각에 대응하게 선택된 약이 인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약인출수단, 및 복약정보를 획득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상기 약인출수단을 통해 상기 약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약을 지시하고 출력되게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Automatic Medication Supply Device and System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 시간에 약을 공급받고 약복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활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현시점에서 과거에 비하여 평균연령과 체력이 크게 향상되었지만, 고혈압, 당료 등 성인병 환자와 혼자사는 독거노인이 점차 늘어나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성인병 치료를 위한 약복용이 아니더라도 체력과 건강관리를 위하여 매일 각종 비타민제나 건강보조제를 복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성인병 환자나 독거노인을 비롯한 상비약 복용자는 매일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정해진 시간에 약이 공급되고 약복용 여부가 확인되는 약공급장치가 필요하다.
기존의 약공급장치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05339(이하, 특허문헌1 이라함), 한국 특허공보 10-1233799(이하, 특허문헌2 이라함), 10-1164793(이하, 특허문헌3 이라함), 10-1164792(이하, 특허문헌4 이라함)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복약관리장치는 약통케이스(10)의 외면에 탈부착되는 탄성밴드부재(110)가 설치되어 있고, 센서부(120), 통신모듈(135), 메모리(140), 오디오 출력부(160), 디스플레이(180), 전원공급부(19) 등을 포함하고 있다. 특허문헌1은 센서부(120)을 통해 탄성밴드부재(1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복약여부를 파악하고 약통케이스(10)의 약갯수를 파악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서는 약상자(100)의 하우징(110)에 알약을 구획보관하는 보관함(120)이 수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10)에 기술기센서(140)와 개방센서(150)가 구비되어 제어부(160)에서 보관함(120)으로부터 약 배출을 파악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3에서는 약상자(100)의 케이스(110)에 구획된 카트리지(120)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120)에 구획위치를 반영하는 식별패턴(140)과 식별패턴(140)을 감지하는 센서부(16)가 구비되어 카트리지(120)의 구획의 절대위치를 파악하여 정해진 구획에서 약배출을 파악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4에서는 약상자(100)의 하우징(110)에 복수의 약보관함(120)이 구비되어 있고, 약보관함(120)에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40)가 구비되어 약배출을 파악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탄성밴드부재(110)의 움직임만을 통해서 약통케이스(10)의 약인출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2 및 특허문헌3에서는 구획된 보관함(120)에 개별 약인출을 위한 구성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2 내지 특허문헌4에서는 정해진 규격 알약만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약을 보관하는데 적용하기 어렵운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1 :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05339(2015.01.14) 특허문헌2 : 한국 특허공보 10-1233799(2013.02.08) 특허문헌3 : 한국 특허공보 10-1164793(2012.07.05) 특허문헌4 : 한국 특허공보 10-1164792(2012.07.05)
본 발명의 제1과제는 본체에 다양한 형태의 약을 보관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약을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약섭취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과제는 본체에서 약카트리지를 분리하여 휴대가능하여 정해진 시간에 필요한 약을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과제는 약복용시간을 인지시켜 사용자가 잊지않고 약섭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약섭취여부가 외부관리자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한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과제는 약카트리지를 휴대할 경우 사용자의 활동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응급상황시 외부기관에 알려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로 한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약공급 장치는 내부에 복수의 약카트리지가 장착되며, 약카트리지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약카트리지 각각에 대응하게 선택된 약이 인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약인출수단, 및 복약정보를 획득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상기 약인출수단을 통해 상기 약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약을 지시하고 출력되게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카트리지는 분리하여 휴대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약인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약카트리지에 일정 축회전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약인출이 표시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약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알림수단과 약중복 인출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카트리지는 회전을 통해 가루약을 배출하는 가루약 배출 카트리지 또는 회전을 통해 알약을 배출하는 알약 배출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알약 배출 카트리지는 알약을 수용하여 회전에 의해 알약을 순차적을 배출시키는 나선형 회전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카트리지는 배출구에 배출 센서가 구비되어 배출된 약의 용량을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약공급 시스템은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사용자의 약복용 상태나 상기 약카트리지의 약 유무를 판단하여 사용자나 외부의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통신수단, 사용자의 활동을 감지하는 활동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외부에 알려주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와 통신수단 및 모니터링부를 제어하여 약인출 내용이나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감지하여 외부에 알려주는 제어 시스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부는 상기 약카트리지의 휴대 시 사용자의 활동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응급상황 시 외부기관에 이를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명칭에 따르면, 환자나 독거노인을 위해 병원 및 지역 시설과 연계하여 인터넷으로 약 관리 및 응급 상황 발생 시 구조요청을 보냄으로써 환자나 독거노인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약공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약 수량과 유통기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환자나 독거노인의 응급 상황 발생 시 빠른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나 독거노인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공급 시스템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약공급 장치(1)는 본체(10), 복수의 약인출수단(20), 및 제어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의 약카트리지(40)에서 자동으로 약이 인출되어 사용자에게 복약정보에 따라 약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의 본체(10)는 내부에 복수의 약카트리지(40)가 장착되고, 상기 약카트리지(4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1)이 구비되어 약카트리지(40)의 회전을 통해 약을 카트리지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 다양한 형태의 약을 보관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약을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약섭취를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약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알림수단(11)과 약중복 인출방지수단(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인출수단(20)은 약카트리지(40) 각각에 대응하게 선택된 약이 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의 약카트리지(40)에 각각 설치되어 약카트리지(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약인출수단(20)은 스테핑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30)은 복약정보를 획득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상기 약인출수단(20)을 통해 상기 약카트리지(4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약을 지시하고 출력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에 입력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복약시간에 약이 본체(10)에서 자동으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복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는 터치 모니터(50)가 설치되어 터치 모니터(50)를 통해 복용할 약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복약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용할 약을 복약시간에 맞춰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의 약카트리지(40)는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휴대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약인출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본체(10)에서 약카트리지(40)를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정해진 시간에 필요한 약을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의 약카트리지(40)에 일정 축회전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42)과 약인출이 표시되는 표시수단(43)을 포함하고, 상기 약카트리지(40)는 회전을 통해 가루약을 배출하는 가루약 배출 카트리지(40A) 또는 회전을 통해 알약을 배출하는 알약 배출 카트리지(40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약 배출 카트리지(40B)는 알약을 수용하여 회전에 의해 알약을 순차적을 배출시키는 나선형 회전봉(40b)을 포함하고, 상기 약카트리지(40)는 배출구에 배출 센서(44)가 구비되어 배출된 약의 용량을 상기 표시수단(43)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즉, 상기 약카트리지(40)는 가루약이나 알약을 수용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상기 약카트리지(40)의 회전을 통해 일정 용량의 가루약이나 알약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약카트리지(40)에 설치된 감지수단(42)을 통해 약의 배출을 확인하고, 상기 약카트리지(40)의 표시수단(43)을 통해 약인출이 상기 터치 모니터(5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약카트리지(40)에 통신 모듈을 연결하여 약 공급 상태를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약공급 시스템(100)은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사용자의 약복용 상태나 상기 약카트리지(40)의 약 유무를 판단하여 사용자나 외부의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통신수단(110), 사용자의 활동을 감지하는 활동감지수단(121)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외부에 알려주는 모니터링부(120), 및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와 통신수단(110) 및 모니터링부(120)를 제어하여 약인출 내용이나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감지하여 외부에 알려주는 제어 시스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부(130)는 상기 약카트리지(40)의 휴대 시 사용자의 활동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응급상황 시 외부기관에 이를 알려줄 수 있다.
즉, 상기 자동 약공급 시스템(100)을 통해 약복용시간을 인지시켜 사용자가 잊지않고 약섭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약섭취여부가 외부관리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약공급 시스템(100)을 통해 자동 약공급 장치(1)의 약카트리지(40)를 휴대할 경우 사용자의 활동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응급상황시 외부기관에 알려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 약공급 시스템(100)은 자동 약공급 장치(1)의 본체(10)에 원하는 복약시간을 설정하고, 그 복약시간에 맞춰 약인출수단(20)인 스테핑 모터를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약을 공급할 수 있다.
혼자사는 환자나 독거노인에게 긴급 사항이 발생할 경우,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에 구비된 별도의 긴급 버튼을 누르게 되면, 등록된 정보로 구조신호가 보내지고, 상기 신호는 지정된 보건소나 병원 및 보호자에게 보내져 구조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의 약인출수단(20)이 동작 후 일정 시간이 자나면 상기 본체(10)의 알림수단(11)을 통해 알람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1차적으로 복용시간을 알려주고, 알람 발생 후 다시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등록된 정보로 복용이 안되었음을 알려줌으로써 이 사실을 지정된 보건소나 병원 및 보호자에게 보내져 현장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에 설치된 약중복 인출방지수단(12)을 통해 치매 환자의 경우 약을 과다하게 복용할 수 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에 설치된 약카트리지(40)의 감지수단(42)을 통해 약카트리지(40)에 약이 떨어진 것을 감지하여 보호자나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자동 약공급 시스템(100)의 통신수단(110) 및 제어 시스템부(130)를 통해 등록된 환자 스마트폰의 블루투스(Bluetooth) 신호를 감지하여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외출로 판단하여 이를 관리자 또는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공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약공급 시스템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 약공급 시스템(100)을 통해 사용자의 집에 각각 자동 약공급 장치(1)가 설치되고,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는 통신수단(110)을 통해 보호자나 기관에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에서 발생하는 상황은 통신수단(110)의 신호를 통해 보호자나 기관의 모니터링부(120)로 전송되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와 통신수단(110) 및 모니터링부(120)는 제어 시스템부(130)를 통해 제어됨으로써 자동 약공급 장치(1)의 상태나 사용자의 상태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에서 약이 조제되고, 이 약을 사용자에게 공급한 후, 약 공급을 확인한 상태에서 피드백을 주게 되며, 정상적인 약 복용이 확인되지 않으면, 시간 지연 후 다시 알람을 발생시킨다.
정상적인 약 복용이 확인되면 알람이 해지되나 정상적인 약 복용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1)에서 통신수단(110)을 통해 보호자나 관리자에게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를 통해 보호자나 관리자는 사용자의 집을 방문하여 현장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나 독거노인을 위해 병원 및 지역 시설과 연계하여 인터넷으로 약 관리 및 응급 상황 발생 시 구조요청을 보냄으로써 환자나 독거노인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약공급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약 수량과 유통기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환자나 독거노인의 응급 상황 발생 시 빠른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나 독거노인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자동 약공급 장치 10: 본체
11: 알림수단 12: 약중복 인출방지수단
20: 약인출수단 30: 제어수단
40: 약카트리지 40A: 가루약 배출 카트리지
40B: 알약 배출 카트리지 40b: 나선형 회전봉
41: 구동수단 42: 감지수단
43: 표시수단 44: 배출 센서
50: 터치 모니터 100: 자동 약공급 시스템
110: 통신수단 120: 모니터링부
121: 활동감지수단 130: 제어 시스템부

Claims (9)

  1. 내부에 복수의 약카트리지가 장착되며, 상기 약카트리지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약카트리지 각각에 대응하게 선택된 약이 인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약인출수단; 및
    복약정보를 획득하고 복약시기가 도래한 때 상기 약인출수단을 통해 상기 약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약을 지시하고 출력되게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약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카트리지는 분리하여 휴대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약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약카트리지에 일정 축회전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약인출이 표시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약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약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알림수단과 약중복 인출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자동 약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카트리지는 회전을 통해 가루약을 배출하는 가루약 배출 카트리지 또는 회전을 통해 알약을 배출하는 알약 배출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알약 배출 카트리지는 알약을 수용하여 회전에 의해 알약을 순차적을 배출시키는 나선형 회전봉을 포함하는 자동 약공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카트리지는 배출구에 배출 센서가 구비되어 배출된 약의 용량을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공급 장치.
  8. 제 1 항의 자동 약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사용자의 약복용 상태나 상기 약카트리지의 약 유무를 판단하여 사용자나 외부의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통신수단;
    사용자의 활동을 감지하는 활동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외부에 알려주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자동 약공급 장치와 통신수단 및 모니터링부를 제어하여 약인출 내용이나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감지하여 외부에 알려주는 제어 시스템부;를 포함하는 자동 약공급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부는 상기 약카트리지의 휴대 시 사용자의 활동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응급상황 시 외부기관에 이를 알려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약공급 시스템.
KR1020200134022A 2020-10-16 2020-10-16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50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022A KR20220050394A (ko) 2020-10-16 2020-10-16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022A KR20220050394A (ko) 2020-10-16 2020-10-16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394A true KR20220050394A (ko) 2022-04-25

Family

ID=8145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022A KR20220050394A (ko) 2020-10-16 2020-10-16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039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792B1 (ko) 2010-07-14 2012-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KR101164793B1 (ko) 2010-07-14 2012-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상자
KR101233799B1 (ko) 2010-06-28 2013-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KR20150005339A (ko) 2013-07-05 2015-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약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799B1 (ko) 2010-06-28 2013-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KR101164792B1 (ko) 2010-07-14 2012-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KR101164793B1 (ko) 2010-07-14 2012-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상자
KR20150005339A (ko) 2013-07-05 2015-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약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3181B2 (en) Tablet dispenser system
EP2485704B1 (en) Medication dispenser
KR101164792B1 (ko)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KR101953750B1 (ko) 복약관리용 약 디스펜서
KR101233799B1 (ko)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US20160371462A1 (en) Medication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JP2009516263A5 (ko)
KR101368644B1 (ko) 약제 배출장치
EP1870071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information of auxiliary tray and method thereof
KR101016438B1 (ko)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KR20150072111A (ko) 복약관리 방법, 복약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복약관리 시스템
US20150327691A1 (en) Multi-functional homecare device
JP6401989B2 (ja) 薬収納装置及び服薬管理システム
KR20180087796A (ko) 약 복용 지원 장치
KR20210125154A (ko) 복약 관리 시스템
JP2009273502A (ja) 投薬監視装置
KR20160134950A (ko) 퍼스널 디스펜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139998A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JP2014083057A (ja) 服薬管理システム
KR20110138735A (ko) 약제 배출장치
KR101164013B1 (ko) 약품 보관함
KR20170011039A (ko) 약보관용기의 중량검출에 따른 복약 지원 시스템
KR20220050394A (ko) 자동 약공급 장치 및 시스템
TW201130479A (en) Active administration reminder system
JP6883792B2 (ja) 服薬管理システム及び服薬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