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689B1 -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립장의 침출수 배출방법 - Google Patents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립장의 침출수 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689B1
KR101209689B1 KR1020110049890A KR20110049890A KR101209689B1 KR 101209689 B1 KR101209689 B1 KR 101209689B1 KR 1020110049890 A KR1020110049890 A KR 1020110049890A KR 20110049890 A KR20110049890 A KR 20110049890A KR 101209689 B1 KR101209689 B1 KR 101209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ate
order plate
drainage
collecting pipe
installation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605A (ko
Inventor
최은철
Original Assignee
매크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크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크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9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68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8Subterranean disposal, e.g. in boreholes or subsurface fra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4Sealing l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출수 우려 지역의 매립장에 대한 침출수 배출 방법에 있어서,
매립장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차수판을 연속 반복적으로 수직하게 설치하는 차수판 설치 단계(S1); 차수판 설치후 차수판의 외측 토양을 걷어내는 터파기 단계(S2); 터파기 단계후 바닥에 집수조와 연결되는 집수관을 설치하는 집수관 설치 단계(S3); 차수판의 외측 표면에 침출수를 배수시키는 배수홀이 배열 형성된 배수시트를 밀착시키되, 상기 배수홀이 상하로 위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매립지를 향하도록 하며 하측단이 상기 집수관과 연통되도록 설치하는 배수시트 설치 단계(S4); 상기 배수시트 설치후 터파기를 통해 걷어낸 토양을 다시 채움시키는 토양 채움 단계(S5); 토양 채움후 설치된 차수판을 해체시키는 차수판 해체 단계(S6);를 수행하여서 된다.

Description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립장의 침출수 배출방법{a waste leachate drain method of landfill}
본 발명은 매립장의 침출수 배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몰시 매몰된 가축으로부터 발생되는 침출수를 외부로 신속하고 안정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수질 및 토양 오염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립장의 침출수 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매립장이라 함은, 각종 쓰레기를 매립시키는 장소를 말하는 것으로 쓰레기 매립장이라 하나, 최근 구제역의 빈번한 발생에 따라 소, 돼지를 집단으로 매몰시키는 가축 매립장이 성행하고 있고 이에 대한 환경 오염의 우려가 사회적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상기한 매립장은 공통적으로 매몰량에 의해 침출수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한 침출수를 통해 수질 및 토양 오염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매립장에서는 침출수의 유출이 차단되도록 차단 및 집수 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여 처리하여야 된다.
하지만, 최근 발생된 가축 매립장의 경우 매몰량이 급작스럽게 많아 처리 시설이 있는 곳에서 매몰시키지 못하고 우사 등지의 빈 장소에 터파기를 한 후 바로 매몰 또는 비닐 등으로 차단벽을 형성시킨 후 매몰시키게 됨에 따라 주변 지역의 오염이 크게 우려되고 있다.
상기한 침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기존 침출수 처리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이 아래와 같이 제시되고 있다.
첫째; 매립장에 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침출수를 수질기준에 맞게 처리한 후 방류하는 방법.
둘째; 집수된 침출수를 배수관로를 통해 주변 처리장으로 보내 처리하는 방법.
셋째; 집수된 침출수를 탱크조를 갖춘 차량 등의 수송수단으로 인근 처리장으로 운반하여 처리하는 방법.
넷째; 소각 처리 시설을 통해 소각하는 방법.
다섯째; 매물지에 차수벽 등을 설치한 후 매립 처리하는 방법.
등이 있었고, 이는 현장에서 매립량을 판단하여 처리하여 왔었다.
하지만, 최근의 경우 구제역이 급속도로 번짐에 따라 침출수 처리시설이 없는 장소 또는 침출수 처리시설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주변에 터파기를 한 후 바로 매몰시켜 왔기 때문에 다량의 침출수가 토양으로 누출되는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구제역 등에 의한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 우려 지역에서 침출수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배수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침출수가 배수시트에 형성된 배수홈을 통해 이동되도록 하여 모세관 현상, 표면장력, 사이펀 현상의 조합이 가능함에 따라 배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침출수 우려 지역의 매립장에 대한 침출수 배출 방법에 있어서,
매립장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차수판을 연속 반복적으로 수직하게 설치하는 차수판 설치 단계; 차수판 설치후 차수판의 외측 토양을 걷어내는 터파기 단계; 터파기 단계후 바닥에 집수조와 연결되는 집수관을 설치하는 집수관 설치 단계: 차수판의 외측 표면에 침출수를 배수시키는 배수홀이 배열 형성된 배수시트를 밀착시키되, 일측단이 상기 집수관과 연통되게 설치하는 배수시트 설치 단계; 터파기를 통해 걷어낸 토양을 다시 채움시키는 토양 채움 단계; 차수판을 해체시키는 차수판 해체 단계;를 수행하여서 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시트는, 일측 표면에 배수홀이 배열 형성된 것을 적용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터파기 단계에서, 상기 차수판의 외측면에 토양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않고 경사각을 이루도록 한 후 그 경사면에 상기 배수시트 설치 단계에서의 배수시트가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차수판 설치 단계에서, 상기 차수판이 이격공간을 갖는 2겹의 형태로 설치되도록 하고, 설치된 차수판과 차수판 사이의 이격공간을 연결재를 통해 연결되도록 한 다음 터파기 단계를 수행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집수관과 연결되는 집수조에 펌프 및 필터가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구제역 등에 의한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 우려 지역에서 침출수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배수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출수가 배수시트에 형성된 배수홈을 통해 이동됨에 따라 모세관 현상, 표면장력, 사이펀 현상의 조합으로 침출수를 별도의 배수조로 빠르게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립장의 침출수 배출방법의 시공 과정을 (a) - (e)의 순서로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도 1의 공정을 단계로 보인 흐름도,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서 차수판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1 또는 도 2에서 배수시트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의 도시에 의하여 다수개의 차수판(100)과, 배수홀(220)이 배열 형성된 배수시트(200), 상기 배수시트(200)들이 연결되는 집수관(300) 및 집수조(400)를 준비 하여서 된다.
상기 차수판(100)은,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금속재의 판형 소재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 걸림 절곡단(120)(140)이 각각 형성되어 연속 반복적인 배열시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게 된다.
즉, 상기 차수판(100) 하나를 수직하게 지면에 박아서 세우고 다른 하나를 지면 박아서 세우게 되면 양단 걸림 절곡단(120)(140)이 서로 걸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방으로의 틈새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차수판(100)은 수직 하중에 따른 휨 변형을 방지하고자 절곡 또는 경사각(160)을 갖는 형상을 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시트(200)는, 도 4 및 도 5의 도시에 의하여 합성수지 소재로 프레스 또는 압출 성형된 것이며, 일면에 배수홀(240)이 배열 형성된다.
상기 배수시트(200)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프레스 또는 압출 성형된 유연성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며, 일면에 배수홀(240)이 배열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양면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배수홀(240)이 일면에 형성되는 경우 배수홀(240)이 형성된 면이 아랫쪽 즉, 지면에 아랫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홀(240)의 간격은 0.1-0.4 mm 이고, 상기 배수홀(240)의 개방구(220) 간격은 1.5mm - 2.0mm의 간격을 가진다.
상기 개방구(220)는, 실질적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유입구의 역할을 취한다.
상기 배수홀(240)은 직경이 큰 배수공과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공의 직경에 비해 폭이 좁은 개방구(220)로 형성된다.
상기한 배수시트(200)를 토양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연직 또는 최소한 2도 이상의 경사 기울기를 이루도록 설치하게 되면, 토양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간극 수가 개방구를 통해 배수공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수공에 저장된 간극 수량이 많아짐에 따라 모세관현상에 의해 지표면으로 상승하게 되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배수시트(200)에 연결되는 상기 집수관(300)을 통해 집수조(400)로 배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반에 설치된 배수시트(200)는 두루말이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작업 현장에서 필요한 단위 길이 만큼씩 절단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작업 현장에서 상기 배수시트(200)를 수직 및 경사 방향의 밀착은 물론 호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시트(200)는 설치시 배수홀(240)이 형성된 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설치하면 된다.
또한, 상기 집수관(300)에 상기 배수시트(200)의 연결시에는 집수관(300)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상기 배수시트(200)의 단부를 연결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홀(240)이 외부로부터 간섭없이 상기 집수관(300)의 내로 위치되도록 연결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수개의 차수판과 배수시트를 통해 침출수 우려지역의 침출수를 아래와 같이 배수시킬 수 있다.
침출수 우려 지역의 매립장에 대한 침출수 배출 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면,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매립장의 매몰지(M)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차수판(100)을 연속 반복적으로 수직하게 설치하는 차수판 설치 단계(S1)를 수행한다. 이때, 차수판(100)을 햄머 등의 기구 및 크레인 등을 통해 지면에 수직으로 연속 반복해서 설치 하면 된다. 상기 차수판(100) 설치후 차수판(100)의 외측 토양을 걷어내는 터파기 단계(S2)를 수행하고, 상기 터파기 단계(S2)후 바닥에 집수조(400)와 연결되는 집수관(300)을 설치하는 집수관 설치 단계(S3)를 수행한다. 상기 집수관(300)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에 상기 배수시트(200)의 일단이 끼워져 배수홀(240)을 통한 침출수가 상기 집수관(300)의 내부로 연통될 수 있도록 슬릿홀이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 그런다음 차수판(100)의 외측 표면에 침출수를 배수시키는 배수홀(240)이 배열 형성된 배수시트(200)를 밀착시키되, 일측단이 상기 집수관(300)과 연통되게 설치하는 배수시트 설치 단계(S4)를 수행하고, 터파기를 통해 걷어낸 토양을 다시 채움시키는 토양 채움 단계(S5)를 수행하며, 연속해서 설치된 차수판(100)을 해체시키는 차수판 해체 단계(S6)를 수행하면 된다.
상기 터파기 단계(S2)에서는, 상기 차수판(100)의 외측면에 토양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않고 경사각을 이루도록 한 후 그 경사면에 상기 배수시트 설치 단계(S4)에서의 배수시트(200)가 밀착되도록 함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터파기 단계(S2)에서 걷어낸 토양이 많아 깊이가 깊은 경우 집수관 설치 단계(S3)와 배수시트 설치 단계(S3)를 2차에 걸쳐 실시하면 된다.
즉, 상기 터파기 단계(S2)후, 집수관(300)과 배수시트(200)를 설치한 다음, 토양을 다시 채움시키는 토양 채움 단계(S5)를 수행하고, 이후 그 상측에 집수관(300)과 배수시트(200)를 설치한 다음 토양 채움 단계(S5)를 설치하면 된다.
다시말해, 상기 터파기 단계(S2)에서의 터파기 깊이가 깊은 경우 2차, 3차 연속 반복해서 실시하면 된다.
또한, 상기 터파기 단계(S2)후, 터파기의 깊이에 따라 상기 집수관 설치 단계(S3)와 배수시트 설치 단계(S4)에서 상기 집수관과 연결시 배수시트를 양방향 또는 각각 지그재그 방향으로 하여 연속 반복 배열 설치함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차수판 설치 단계(S1)에서는, 상기 차수판(100)이 이격공간을 갖는 2겹의 형태로 설치되도록 하고, 설치된 내측 차수판(100)과 외측 차수판(100) 사이의 이격공간을 연결재를 통해 연결되도록 한 다음 터파기 단계(S2)를 수행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집수관(300)과 연결되는 집수조(400)에 침출수 배출을 위한 펌프 및 침출수로부터 유해성분을 필터링 시키는 필터 그리고, 냄새를 차단하는 탈취기 (410)가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집수조(400)에는 침출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420)이 더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420)에는 펌프는 물론 각종 병원균, 바이러스, 악취 등을 제거하는 탈취기(410) 등이 더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차수판
200: 배수시트
300: 집수관
400: 집수조

Claims (8)

  1. 침출수 우려 지역의 매립장에 대한 침출수 배출 방법에 있어서,
    매립장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차수판을 연속 반복적으로 수직하게 설치하는 차수판 설치 단계(S1);
    차수판 설치후 차수판의 외측 토양을 걷어내는 터파기 단계(S2);
    터파기 단계후 바닥에 집수조와 연결되는 집수관을 설치하는 집수관 설치 단계(S3):
    차수판의 외측 표면에 침출수를 배수시키는 배수홀이 배열 형성된 배수시트를 밀착시키되, 상기 배수홀이 상하로 위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매립지를 향하도록 하며 하측단이 상기 집수관과 연통되도록 설치하는 배수시트 설치 단계(S4);
    상기 배수시트 설치후 터파기를 통해 걷어낸 토양을 다시 채움시키는 토양 채움 단계(S5);
    토양 채움후 설치된 차수판을 해체시키는 차수판 해체 단계(S6);를 수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 배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시트는, 일측 또는 양측 표면에 배수홀이 배열 형성된 것을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 배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파기 단계에서,
    상기 차수판의 외측면에 토양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않고 적어도 2% 이상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한 후 그 경사면에 상기 배수시트 설치 단계에서의 배수시트가 밀착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 배출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수판 설치 단계에서,
    상기 차수판이 이격공간을 갖는 2겹의 형태로 설치되도록 하고, 설치된 차수판과 차수판 사이의 이격공간을 연결재를 통해 연결되도록 한 다음 터파기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 배출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수관과 연결되는 집수조에 침출수 이동을 위한 펌프 및 필터링을 위한 필터 그리고 탈취기가 설치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 배출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수판은,
    금속재의 판형 소재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좌우 양단부에 걸림 절곡단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차수판의 연속 반복적인 배열시 양단부가 서로 걸림 연결되는 것을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 배출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파기 단계(S2)후, 터파기의 깊이에 따라 상기 집수관 설치 단계(S3)와 배수시트 설치 단계(S4) 및 토양 채움 단계(S5)를 하측 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속 반복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 배출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파기 단계(S2)후, 터파기의 깊이에 따라 상기 집수관 설치 단계(S3)와 배수시트 설치 단계(S4)에서 상기 집수관과 연결시 배수시트를 양방향 또는 각각 지그재그 방향으로 하여 연속 반복 배열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몰지의 침출수 배출 방법.
KR1020110049890A 2011-05-26 2011-05-26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립장의 침출수 배출방법 KR101209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890A KR101209689B1 (ko) 2011-05-26 2011-05-26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립장의 침출수 배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890A KR101209689B1 (ko) 2011-05-26 2011-05-26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립장의 침출수 배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605A KR20120131605A (ko) 2012-12-05
KR101209689B1 true KR101209689B1 (ko) 2012-12-07

Family

ID=4751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890A KR101209689B1 (ko) 2011-05-26 2011-05-26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립장의 침출수 배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1780A (zh) * 2013-12-30 2014-04-23 深圳市胜义环保有限公司 垃圾填埋场雨污分流系统及其分流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171B1 (ko) 2011-02-23 2011-11-18 강종호 긴급 살처분 가축 매몰지 보호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171B1 (ko) 2011-02-23 2011-11-18 강종호 긴급 살처분 가축 매몰지 보호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1780A (zh) * 2013-12-30 2014-04-23 深圳市胜义环保有限公司 垃圾填埋场雨污分流系统及其分流方法
CN103741780B (zh) * 2013-12-30 2016-05-25 深圳市胜义环保有限公司 垃圾填埋场雨污分流系统及其分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605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20853B (zh) 基于污染阻控的地下水中dnapl污染修复系统和方法
CN104138896A (zh) 用于污染土壤的原位抽注修复装置及修复方法和安装方法
JP2008100161A (ja) カルシウムスケールの除去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集排水管構造及び集排水管
KR101209689B1 (ko) 구제역에 의한 가축 매립장의 침출수 배출방법
US8292543B2 (en) Multi-planar gas recovery bioreactor
JP5070694B2 (ja) 汚染土壌・地下水の封じ込め工法
KR101016718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가스 배제정 구조
KR101038806B1 (ko) 오수용 맨홀
KR100558152B1 (ko) 폐기물 매립장의 호기성 촉진 시스템
JP5063115B2 (ja) 汚染した土壌から汚染物質を除去する方法
JP5140543B2 (ja) 遮断壁構築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地盤浄化方法
DE19938922B4 (de) Grundwasserreinigung Flow- and Treat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JP6138024B2 (ja) 汚染水ブロックエリア生成方法及び装置
JP2006320842A (ja) 汚染土壌の浄化処理方法と浄化処理装置
JP2015113655A (ja) 排水装置および浸透システム
KR101411476B1 (ko)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
CN219335318U (zh) 垃圾填埋场导排收集装置
JP4180965B2 (ja) 高い遮水性能を有する排水構造
CN217601646U (zh) 一种具有截污功能的水封井
JP4600337B2 (ja) フッ素汚染地下水の浄化方法
KR101288604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용 유지관리 유닛
JP3211248U (ja) 地下汚染水除去装置
KR100719883B1 (ko) 도로 터널 내부의 배수처리시설
CN210712816U (zh) 多层排水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