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256B1 -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256B1
KR101209256B1 KR1020100105829A KR20100105829A KR101209256B1 KR 101209256 B1 KR101209256 B1 KR 101209256B1 KR 1020100105829 A KR1020100105829 A KR 1020100105829A KR 20100105829 A KR20100105829 A KR 20100105829A KR 101209256 B1 KR101209256 B1 KR 101209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esh
cloth
net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525A (ko
Inventor
천중태
김동춘
Original Assignee
김동춘
천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춘, 천중태 filed Critical 김동춘
Priority to KR102010010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25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01D39/083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32B5/07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characterised by th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mechanically connected to another layer by sewing, stitching, hook-and-loop fastening or stitch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woven fabric layer
    • B32B5/26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woven fab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수면에 누설된 기름성분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유흡착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이 흡수되지 아니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실을 사용한 그물망을 다수 장으로 포개어 놓은 다음, 각 그물망의 가장자리 부분을 일체로 재봉 또는 접착시켜 유흡착포를 형성시키되, 유흡착포의 외측에 위치하는 그물망으로부터 유흡착포의 내측에 위치하는 그물망으로 갈수록 망목의 크기가 크게 되도록 함으로서, 유흡착포를 이루는 그물망의 망목을 통하여 기름성분이 매우 효과적으로 흡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흡착된 기름성분이 유흡착포의 내측으로 유도되어 복잡하게 얽힌 그물실에 갇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각종 기름성분의 제거작업을 한층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유흡착포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유흡착포의 제조단가를 저렴하게 하면서도, 흡착된 기름성분의 용이한 회수 및 유흡착포의 재사용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보다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유흡착포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흡착포(10)는, 다수 장의 그물망을 적층식으로 포개어 각 그물망의 외주연부를 일체로 재봉 또는 접착시켜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그물망은, 수분이 흡수되지 아니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실을 사용하여 소정 치수의 망목을 가지도록 엮은 것이며, 상기 유흡착포(10)는 그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1장 또는 다수 장의 내부망(2)과, 상기 내부망(2)의 상,하측에 위치하는 1장 또는 다수 장의 외부망(1)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외부망(1)과 내부망(2)의 사이에 1장 또는 다수 장의 중간망(3)을 추가로 삽입시켜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망(1)으로부터 중간망(3)을 거쳐 내부망(2)으로 갈수록 해당 그물망의 망목 치수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Recyclable and eco-friendly pad for absorbing oil on inland or outland water}
본 발명은, 수분이 흡수되지 아니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실을 사용한 그물망을 다수 장으로 포개어 놓은 다음, 각 그물망의 가장자리 부분을 일체로 재봉 또는 접착시켜 유흡착포를 형성시키되, 유흡착포의 외측에 위치하는 그물망으로부터 유흡착포의 내측에 위치하는 그물망으로 갈수록 망목의 크기가 크게 되도록 함으로서, 기름성분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제거와 기름성분의 손쉬운 회수 및 흡착포의 재사용이 가능토록 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연안해역을 운항하는 많은 선박으로부터 크고 작은 기름 유출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누설된 기름이 연안해역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조류를 따라 해안선이나 갯바위 등지로 밀려 들어와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고, 내륙의 호소(湖沼) 등지에도 주변의 도심지나 공장 또는 송수관이나 유조차 등으로부터 유출된 각종 기름성분에 의하여 수질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연안해역을 포함하는 외수면이나 호소 등지의 내수면으로 누출된 기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기름을 중화시키는 유화제를 살포하는 방법과, 유흡착포로 기름을 흡착시킨 후 이를 수거하여 처리하는 방법과, 기름이 수면을 타고 확산되지 않도록 기름방지막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중에서 유화제를 살포하는 방법은, 기름을 중화시켜 제거할 수는 있으나, 유화제의 화학적 성분에 의하여 2차적인 수질오염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으며, 기름방지막을 설치하는 방법은, 수면에 떠 있는 기름성분이 확산되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시킬 수는 있으나, 수면에 떠 있는 기름을 실질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내,외수면으로 누출된 기름을 제거하는 데 가장 널리 적용되는 방법은 유흡착포를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유흡착포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다공성 직물이나 부직포를 주머니 형상으로 엮은 다음, 그 내부에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조류의 깃털 등을 채워서 만든 유흡착포, 또는 볏집과 같은 다공성 소재를 특정한 형상으로 엮어서 만든 유흡착포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흡착포는, 기름의 흡수를 위하여 흡착포의 외부측과 내부측에 제공되는 공극을 보다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활용하지 못함에 따라, 기름성분이 흡착포의 표면에만 주로 부착되고, 흡착포의 내부로 깊숙히 스며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기름흡착 성능의 저하로 말미암아 내,외수면의 기름을 제거하는 작업시에 대량의 유흡착포와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조류의 깃털을 사용한 유흡착포나 볏집을 엮어서 만든 제품은 그 부피가 다소 크게 되어 작업자들이 손쉽게 사용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당 소재 자체가 기름과 함께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수분의 흡수량에 비례하여 유흡착포를 통한 기름의 제거효율이 한층 더 저하됨은 물론, 기름의 제거작업을 수행한 이후에 유흡착포의 무게가 무겁게 됨으로서 유흡착포의 취급과 운반 또한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요인들로 인하여, 종래의 유흡착포를 내,외수면의 기름제거작업에 실질적으로 활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었으며, 기름제거작업에 한 번 사용된 유흡착포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전량 폐기처분시켜야 하고, 유흡착포로부터 기름성분을 회수하는 것 또한 거의 불가능하게 됨으로서,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와 유흡착포의 폐기나 소각에 따른 2차적인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모세관 구조를 가지는 프로펠린사를 종이실과 함께 공극을 가지는 직물지로 제직하여 이를 유흡착포로 사용토록 함으로서, 누출된 기름을 빠른 시간내에 흡착 및 제거토록 하는 한편, 흡착포를 건져낼 때 기름이 붙은 채로 건져낼 수 있도록 한 것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등록번호: 10-0862043, 공고일자: 2008년 10월 09일)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유흡착포에 있어서도, 종이실에 물과 기름이 동시에 흡착되어 기름의 제거효율이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과, 기름제거작업을 수행한 이후 유흡착포의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과, 프로펠린사로 흡착된 기름성분의 회수가 어려운 문제점을 내포하는 것이며, 특히 모세관 구조를 가지는 프로펠린사를 경사로 하고, 종이실을 위사로 한 직물지로 유흡착포를 제조함으로서, 유흡착포의 가격이 다소 비싸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분이 흡수되지 아니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실을 사용한 그물망을 다수 장으로 포개어 놓은 다음, 각 그물망의 가장자리 부분을 일체로 재봉 또는 접착시켜 유흡착포를 형성시키되, 유흡착포의 외측에 위치하는 그물망으로부터 유흡착포의 내측에 위치하는 그물망으로 갈수록 망목의 크기가 크게 되도록 함으로서, 유흡착포를 이루는 그물망의 망목을 통하여 기름성분이 매우 효과적으로 흡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흡착된 기름성분이 유흡착포의 내측으로 유도되어 복잡하게 얽힌 그물실에 갇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각종 기름성분의 제거작업을 한층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유흡착포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유흡착포의 제조단가를 저렴하게 하면서도, 흡착된 기름성분의 용이한 회수 및 유흡착포의 재사용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보다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유흡착포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흡착포는, 다수 장의 그물망을 적층식으로 포개어 각 그물망의 외주연부를 일체로 재봉 또는 접착시켜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그물망은, 수분이 흡수되지 아니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실을 사용하여 소정 치수의 망목을 가지도록 엮은 것이며, 상기 유흡착포는 그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1장 또는 다수 장의 내부망과, 상기 내부망의 상,하측에 위치하는 1장 또는 다수 장의 외부망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외부망과 내부망의 사이에 1장 또는 다수 장의 중간망을 추가로 삽입시켜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망으로부터 중간망을 거쳐 내부망으로 갈수록 해당 그물망의 망목 치수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흡착포를 선박으로 예망하는 방식의 대형 범포식 흡착포로 형성시키되, 해당 유흡착포의 하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침자가 연결 설치되고, 유흡착포의 상부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자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흡착포를 이루는 각각의 그물망이 제공하는 망목을 통하여 점성유체인 기름성분이 용이하게 흡착되는 한편, 유흡착포의 외측면으로 흡착된 기름성분이 각 그물망에 제공된 망목을 통하여 유흡착포의 내측으로 신속하게 유도되므로, 유흡착포를 이용한 기름제거작업을 보다 손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유흡착포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망으로부터 유흡착포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망으로 갈수록 그물망의 망목 치수가 증대되도록 함으로서, 외부망으로부터 내부망에 이르기까지 기름성분이 보다 더 신속하게 흡착 및 유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한편, 내부망보다 좁은 망목을 가지는 외부망 및 각각의 그물망이 형성하는 복잡한 그물실 구조에 의하여, 유흡착포의 내측으로 유도된 기름성분이 쉽게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유흡착포를 이루는 각각의 그물망이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실을 사용하기 때문에, 점성유체인 기름성분만이 그물망의 망목을 통하여 주로 흡착되고 그물실을 통한 수분의 흡수는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서, 종래의 각종 유흡착포에 비하여 기름의 흡착 및 제거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한편, 기름의 제거작업을 수행한 이후에도 유흡착포의 무게가 그다지 무겁지 않게 됨으로서, 기름제거작업에 사용된 유흡착포의 취급과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다수 장의 그물망을 적층식으로 포개어 각 그물망의 외주연부를 재봉시키는 간단한 구조와 제조방식이 적용됨으로서, 조류의 깃털이나 볏집 등을 사용한 종래의 유흡착포에 비하여 그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펠린사와 종이실을 직조시킨 유흡착포에 비하여 그 제조단가는 크게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름제거작업에 사용된 유흡착포로부터 기름성분을 분리시키는 탈유 및 세척작업 또한 매우 손쉽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름성분의 합리적인 재활용 및 유흡착포의 재사용이 동시에 가능하게 됨으로서,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와 유흡착포의 폐기 처분에 따른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다 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흡착포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흡착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유흡착포의 분해사시도.
도 3의 (가) 내지 (라)는 본 발명에 따른 유흡착포의 재봉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흡착포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범포식 유흡착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유흡착포를 선박으로 예망하여 기름제거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흡착포의 실시예를 종류별로 나타낸 도표.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10)는, 도 1과 도 2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장의 그물망을 적층식으로 포개어 각 그물망의 외주연부를 일체로 재봉 또는 접착시킴으로서, 각각의 그물망에 제공된 망목(網目: 그물눈)이 기름성분의 흡착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한편, 각각의 그물망이 제공하는 복잡하게 얽힌 그물실 구조에 의하여 흡착된 기름이 내부에 갇히도록 한 유흡착포(10)를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 유흡착포(10)를 이루는 각각의 그물망은, 수분이 흡수되지 아니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실을 사용하여 소정 치수의 망목(사각이나 마름모 또는 원형)을 가지도록 엮어서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그물망의 대표적인 예로는 양파를 담는 주머니로 사용되는 양파망을 들 수 있다.
그 이외에도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또는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섬유로 방사하여 그물실을 형성시킨 다음, 해당 그물실을 편망기(編網機)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소정 치수의 망목을 가지도록 그물 형상으로 엮은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망 제품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흡착포(10)는 내,외수면으로 누설된 기름성분을 흡착시켜 제거토록 함은 물론, 유흡착포(10)로 흡착된 기름성분을 유흡착포(10)로부터 손쉽게 분리(탈유) 및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유흡착포(10)의 재사용 또한 가능토록 하는 것이므로, 각각의 그물망을 형성하는 그물실은 한 가닥의 섬유가 되도록 하거나, 2가닥 또는 3가닥 정도의 섬유를 꼬아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그물망을 형성하는 그물실을 여러 다발의 얇은 섬유로 꼬아서 제조하게 되면, 기름성분의 흡착력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섬유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기름이 흡착되므로, 이를 유흡착포(10)로부터 탈유 및 회수하는 작업이 까다롭게 됨은 물론이고, 유흡착포(10)의 제조단가 역시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각각의 그물망을 형성하는 그물실은 한 가닥으로부터 최대 3가닥의 섬유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유흡착포(10)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술적 요부는, 다수 장의 그물망을 적층식으로 포개어 유흡착포(10)를 제조하되, 유흡착포(10)의 외측에 위치하는 그물망으로부터 유흡착포(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그물망으로 갈수록 해당 그물망의 망목 크기가 증대되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그물망의 적층구조에 의하여 기름성분의 흡착에 필요한 공극, 즉 망목의 배치를 최적화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망목의 배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유흡착포(10)를 사용하여 기름의 제거작업을 수행할 경우, 유흡착포(10)의 외측에 위치하는 그물망으로부터 유흡착포(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그물망까지 기름성분이 보다 더 신속하게 흡착 및 유도될 수 있는 한편, 내부측 그물망보다 좁은 망목을 가지는 외부측 그물망 및 그물실간의 엇갈린 배치구조에 의하여, 유흡착포(10)의 내측으로 유도된 기름성분이 외부측으로 쉽게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로서는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포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1장 또는 다수 장의 내부망(2)과, 상기 내부망(2)의 상,하측에 위치하는 1장 또는 다수 장의 외부망(1)으로 유흡착포(10)를 구성토록 하는 한편, 상기 내부망(2)의 망목이 외부망(1)의 망목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외부망(1)과 내부망(2)은 각각 1장 내지 2장 정도를 적용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외부망(1)과 내부망(2)의 적용갯수는 각각 3장 이상이 될 수도 있으며, 내부망(2)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외부망(1)을 2장 이상 적용시키는 경우에는,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망(1)의 망목이 내측에 위치하는 외부망(1)의 망목보다 작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내부망(2)을 2장으로 하는 경우, 각각의 내부망(2)은 동일한 망목 치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망(2)을 3장 이상으로 하는 경우에 한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내부망(2)의 망목이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망(2)의 망목보다 작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유흡착포(10)의 구조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각의 그물망을 외부망(1)과 내부망(2)으로 구분하였으나, 해당 그물망의 위치에 맞추어 망목의 치수는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며, 그 원리는 앞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유흡착포(10)의 외측으로부터 유흡착포(10)의 내측으로 갈수록 그물망의 망목 치수가 증대되도록 한 것과 일맥 상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그물망의 망목 치수(사각형 또는 마름모형 망목인 경우는 한 변의 길이, 원형의 망목인 경우는 그 직경)는, 외부망(1)의 경우 1mm ~ 3mm의 범위내가 되도록 하고, 내부망(2)의 경우 0.5cm ~ 2cm의 범위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외부망(1)의 망목 치수를 1mm ~ 3mm 범위내로 하는 이유는, 내,외수면으로 누출되는 대부분의 기름이 벙커씨유와 같은 중질유임을 감안하여, 외부망(1)을 통한 기름의 신속하고 용이한 흡착이 가능하도록 최소 1mm 이상의 망목을 제공하는 한편, 흡착된 기름이 외부망(1)을 거쳐 다시 흘러내리지 않도록 최대 망목 치수를 3mm 정도로 제한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내부망(2)의 망목 치수를 0.5cm ~ 2cm의 범위내로 하는 이유는, 외부망(1)을 통하여 흡착된 기름성분이 유흡착포(10)의 내부로 신속히 유도될 수 있도록 외부망(1)의 망목보다는 큰 치수를 가지도록 하는 한편, 외부망(1)의 내측에서 외부망(1)의 그물실과 함께 복잡한 그물구조를 제공토록 함에 따라, 내부망(2)으로 유도된 기름성분이 그 점착력에 의하여 내부망(2)의 망목 및 그물실 구조에 갇혀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 제 7도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유흡착포(10)의 그물망 배치구조를 도표화시켜 종류별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유흡착포(10)가 도 7에 기재된 종류로 한정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외부망(1)과 내부망(2)을 2장 이상으로 하여 유흡착포(10)를 제조하는 경우, 외부망(1)과 내부망(2)의 망목 치수 범위내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그물망이 외측에 위치하는 그물망보다 큰 망목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위에서 제시된 치수범위 역시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흡착코자 하는 기름의 성분에 따라 외부망(1)과 내부망(2)의 망목 치수는 조정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유흡착포(10)는 도 2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유흡착포(10)를 기준으로 외부망(1)과 내부망(2)의 사이에 1장 또는 다수 장의 중간망(3)이 삽입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중간망(3)의 망목이 외부망(1)의 망목보다는 크고 내부망(2)의 망목보다는 작은 치수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유흡착포(10)의 경우, 상기 외부망(1)의 망목 치수는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1mm ~ 3mm가 되도록 하며, 중간망(3)의 망목 치수는 0.5cm ~ 1cm가 되도록 하고, 내부망(2)의 망목 치수는 1.5cm ~ 3c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망목의 치수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동일한 맥락을 가지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흡착포(10)는 중간망(3)의 적용에 따라 그물망의 개수가 최소 5장 이상이 되므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경우(최소 3장)보다 내부망(2)의 망목 치수를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서, 기름성분이 외부망(1)과 중간망(3)을 거쳐 내부망(2)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 제 8도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유흡착포(10)의 그물망 배치구조를 도표화시켜 종류별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유흡착포(10)가 도 8에 기재된 종류로 한정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3의 (가) 내지 (라)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유흡착포(10)의 외관형태를 나열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유흡착포(10)는 수건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소형흡착포와, 마대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중형흡착포와,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대형흡착포와 같은 다양한 치수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소형흡착포의 경우는 도 3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그물망의 외주연부만을 일체로 재봉시킨 외곽재봉선(4)에 의하여 유흡착포(10)를 제조하면 되고, 중형 또는 대형흡착포의 경우는 도 3의 (다) 및 (라)에서와 같이 외곽재봉선(4)의 내측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보조재봉선(5)을 추가로 형성시킴으로서, 유흡착포(10)에 필요한 구조적인 강도를 확보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유흡착포(10)에 있어, 각각의 그물망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방식은 재봉방식이 가장 적합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의 그물망 외주연부를 열융착 방식으로 접착시킬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유흡착포(10)의 제조단가를 절감시키는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열융착된 유흡착포(10)의 가장자리 부분이 날카롭고 단단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손에 쥐고 사용하는 소형흡착포에는 적용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흡착포(10)를 사용하여 내,외수면의 기름제거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각각의 그물망이 제공하는 망목을 통하여 점성유체인 기름성분이 용이하게 흡착되는 한편, 유흡착포(10)의 외측면으로 흡착된 기름성분이 각 그물망에 제공된 망목을 통하여 유흡착포(10)의 내측으로 신속하게 유도되므로, 유흡착포(10)를 이용한 기름제거작업을 보다 손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흡착포(10)의 외측에 위치하는 그물망, 즉 외부망(1)으로부터 유흡착포(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그물망, 즉 내부망(2)으로 갈수록 그물망의 망목 치수가 증대되도록 함으로서, 외부망(1)으로부터 내부망(2)에 이르기까지 기름성분이 보다 더 신속하게 흡착 및 유도될 수 있는 한편, 내부망(2)보다 좁은 망목을 가지는 외부망(1) 및 각각의 그물망이 형성하는 복잡한 그물실 구조에 의하여, 유흡착포(10)의 내측으로 유도된 기름성분이 쉽게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유흡착포(10)를 이루는 각각의 그물망이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실을 사용하기 때문에, 점성유체인 기름성분만이 그물망의 망목을 통하여 주로 흡착되고 그물실을 통한 수분의 흡수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각종 유흡착포에 비하여 기름의 흡착 및 제거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기름의 제거작업을 수행한 이후에도 유흡착포(10)의 무게가 수분의 하중에 의하여 무겁게 되는 상황 또한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서, 기름제거작업에 사용된 유흡착포(10)의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유흡착포(10)는 다수 장의 그물망을 적층식으로 포개어 각 그물망의 외주연부를 재봉시키는 간단한 구조와 제조방식이 적용됨으로서, 조류의 깃털이나 볏집 등을 사용한 종래의 유흡착포에 비하여 그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펠린사와 종이실을 직조시킨 유흡착포에 비하여 그 제조단가는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름의 제거작업에 사용된 본 발명의 유흡착포(10)를 통하여 고압수를 분사시키거나 또는 기름의 제거작업에 사용된 본 발명의 유흡착포(10)를 원심분리기에 투입시켜 세척하게 되면, 각각의 그물망에 부착된 기름성분을 매우 손쉽고 용이하게 탈유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유흡착포(10)를 이루는 각각의 그물망을 따로 분리시켜 위와 같은 탈유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탈유된 기름은 유수분리기나 오일회수기 등을 사용하여 물 또는 이물질과 최종적으로 분리시킴으로서, 기름성분의 손쉬운 회수 및 재활용이 가능하며, 탈유과정에서 세척된 본 발명의 유흡착포(10)는 내,외수면의 기름제거작업에 다시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와 유흡착포(10)의 폐기 처분에 따른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유흡착포(10)를 선박(9)으로 예망하는 방식의 대형 범포식 흡착포가 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유흡착포(10)의 하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침자(沈子)(6)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유흡착포(10)의 상부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자(浮子)(7)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대형 범포식 유흡착포(10)에 침자(6)와 부자(7)를 설치하는 이유는, 내,외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존재하는 기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유흡착포(10)의 하단부는 일정 깊이만큼 수중에 잠기도록 하고, 유흡착포(10)의 상단부는 일정 높이만큼 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함으로서, 유흡착포(10)로 기름성분을 가두어 모으는 방식의 제거작업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기 대형 범포식 유흡착포(10)를 도 6과 같은 방식으로 예인로프(8)를 사용하여 선박(9)과 연결시킨 다음,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의 영역으로 대형 범포식 유흡착포(10)를 예망하게 되면, 내,외수면에 누설된 광범위한 영역의 기름제거작업 또한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바, 도 6에서 도면부호 8a로 도시된 것은, 대형 범포식 유흡착포(10)를 일정폭만큼 벌려주기 위한 전개판이 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대형 범포식 유흡착포(10) 또한 매우 다양한 형태와 치수가 적용될 수 있으나, 선박(9)으로 유흡착포(10)를 예망하는 작업의 특성상 도 5를 기준으로 하여, 1.5m ~ 3m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50m ~ 200m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대형 범포식 유흡착포(10)의 세척 및 탈유에는 고압세척방식을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실질적인 예로서, 대형 범포식 유흡착포(10)를 롤러에 감아 놓은 다음, 롤러에 감겨진 유흡착포(10)를 일측 방향으로 풀어내어 이송시키는 동시에, 유흡착포(10)의 상부측에서 고압수를 분사시켜 유흡착포(10)의 탈유 및 세척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와 같이 세척된 유흡착포(10)가 다른 롤러측으로 감겨져 들어가도록 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유흡착포(10)를 이루는 그물망에 있어 그물실의 직경에 관하여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유흡착포(10)의 크기와 사용처 및 그물망의 적용갯수 등을 고려하여 그물실의 직경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례로 소형흡착포나 중형흡착포의 경우는 그물실의 직경이 0.5mm ~ 1mm 정도가 적합하고, 대형 범포식 흡착포의 경우는 그물실의 직경이 1mm ~ 2mm 정도가 적합하다.
그러나, 그물망을 이루는 그물실의 직경이 가늘게 될 수록, 동일 면적당 많은 개수의 망목을 확보할 수 있어 기름의 흡착성능은 향상되지만, 그물망의 강도가 약하게 되어 그물망의 손상이 쉽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그물실의 직경이 굵게 될 수록 그물망의 강도는 우수하게 되지만, 동일 면적당 망목의 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기름의 흡착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그물실의 직경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외부망 2 : 내부망 3 : 중간망
4 : 외곽재봉선 5 : 보조재봉선 6 : 침자
7 : 부자 8 : 예인로프 8a : 전개판
9 : 선박 10 : 유흡착포

Claims (5)

  1. 삭제
  2. 내,외수면의 기름제거에 사용되는 유흡착포(10)에 있어서,
    상기 유흡착포(10)는, 다수 장의 그물망을 적층식으로 포개어 각 그물망의 외주연부를 일체로 재봉 또는 접착시켜서 형성되고,
    상기 유흡착포(10)를 형성하는 각각의 그물망은, 수분이 흡수되지 아니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실을 사용하여 소정 치수의 망목(網目: 그물눈)을 가지도록 엮어서 되며, 유흡착포(10)의 외측으로부터 유흡착포(10)의 내측으로 갈수록 그물망의 망목 치수가 증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
  3. 내,외수면의 기름제거에 사용되는 유흡착포(10)에 있어서,
    상기 유흡착포(10)는, 다수 장의 그물망을 적층식으로 포개어 각 그물망의 외주연부를 일체로 재봉 또는 접착시켜서 형성되고,
    상기 유흡착포(10)를 형성하는 각각의 그물망은, 유흡착포(10)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1장 또는 다수 장의 내부망(2)과, 상기 내부망(2)의 상,하측에 위치하는 1장 또는 다수 장의 외부망(1)으로 이루어지며, 수분이 흡수되지 아니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실을 사용하여 상기 외부망(1)의 망목 치수는 1mm ~ 3mm가 되고, 내부망(2)의 망목 치수는 0.5cm ~ 2cm의 망목(網目: 그물눈)을 가지도록 엮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
  4. 내,외수면의 기름제거에 사용되는 유흡착포(10)에 있어서,
    상기 유흡착포(10)는, 다수 장의 그물망을 적층식으로 포개어 각 그물망의 외주연부를 일체로 재봉 또는 접착시켜서 형성되고,
    상기 유흡착포(10)를 형성하는 각각의 그물망은, 유흡착포(10)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1장 또는 다수 장의 내부망(2)과, 상기 내부망(2)의 상,하측에 위치하는 1장 또는 다수 장의 외부망(1)과, 상기 외부망(1)과 내부망(2)의 사이에 위치하는 1장 또는 다수 장의 중간망(3)으로 이루어지며, 수분이 흡수되지 아니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실을 사용하여 상기 외부망(1)의 망목 치수는 1mm ~ 3mm가 되고, 중간망(3)의 망목 치수는 0.5cm ~ 1cm가 되며, 내부망(2)의 망목 치수는 1.5cm ~ 3cm의 망목(網目: 그물눈)을 가지도록 엮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흡착포(10)는 선박(9)으로 예망하는 방식의 대형 범포식 흡착포가 되며,
    상기 유흡착포(10)의 하단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침자(沈子)(6)가 연결 설치되고, 유흡착포(10)의 상부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자(浮子)(7)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
KR1020100105829A 2010-10-28 2010-10-28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 KR101209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829A KR101209256B1 (ko) 2010-10-28 2010-10-28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829A KR101209256B1 (ko) 2010-10-28 2010-10-28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525A KR20120044525A (ko) 2012-05-08
KR101209256B1 true KR101209256B1 (ko) 2012-12-06

Family

ID=4626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829A KR101209256B1 (ko) 2010-10-28 2010-10-28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2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1767B1 (en) * 2022-12-20 2024-02-06 Hongfang Shen Scum absorb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2909B2 (ja) * 2017-10-26 2022-03-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緩衝体、キャスク並びに緩衝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2909B2 (ja) * 2017-10-26 2022-03-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緩衝体、キャスク並びに緩衝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525A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5297C (fi) Vaetskeupptagande tvaoskiktig textilprodukt
CN104874232B (zh) 一种海上除油专用吸油毡布及其制备吸油毡布的方法
KR20130098985A (ko) 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개선된 저-에너지 시스템
CA2090695C (en) Process of collecting and processing non-aqueous drip-liquids
US20120006761A1 (en) Absorbent material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110284450A1 (en) Reusable Pads For Removing Liquid Contaminants
KR101938616B1 (ko) 유류제거용 친환경 흡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09256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내외수면 유흡착포
KR100862043B1 (ko)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기름 제거용 흡착포
KR100811878B1 (ko) 기름 흡착제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기름 흡착장치
JP6044391B2 (ja) 袋体
KR101885359B1 (ko) 플라타너스 열매의 털을 이용한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CN203947453U (zh) 一种复合吸油毯
CN107823916B (zh) 一种新型吸油装置
CA2990464A1 (en) Organic compound adsorbing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6722027B2 (ja) 油の吸着装置
RU13645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жидких углеводородов от воды
KR101989677B1 (ko) 사람의 머리카락과 동물의 털을 상호 혼합한 흡착제가 구비된 필터 및 기름방지막
KR20170095103A (ko) 오일 제거용 흡착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38892A (ja) 油吸収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08170A (ja) 油吸収処理材
GB2337690A (en) Absorbing pollutants from surfaces
RU243101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оемов от загрязнений
JP3113227U (ja) 木炭内蔵マット
JP2004230249A (ja) 油水分離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