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991B1 - 오니수거부에 압송펌프를 수반하여 제공되는 진흙,뻘의 수거 및 흡착장치 - Google Patents

오니수거부에 압송펌프를 수반하여 제공되는 진흙,뻘의 수거 및 흡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991B1
KR101208991B1 KR1020100088608A KR20100088608A KR101208991B1 KR 101208991 B1 KR101208991 B1 KR 101208991B1 KR 1020100088608 A KR1020100088608 A KR 1020100088608A KR 20100088608 A KR20100088608 A KR 20100088608A KR 101208991 B1 KR101208991 B1 KR 101208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d
sludge
water
pump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407A (ko
Inventor
이경숙
김원태
Original Assignee
이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숙 filed Critical 이경숙
Priority to KR1020100088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9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4Solvent extraction of solutions which are liquid
    • B01D11/0426Counter-current multistage extraction towers in a vertical or sloping position
    • B01D11/0434Counter-current multistage extraction towers in a vertical or sloping position comprising rotating mechanisms, e.g. mixers, rotational oscillating motion, mix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0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 B01D2247/104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using an impell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종래의 방법으로 수중 바닥면에 적층되어 있는 오니퇴적물을 준설하고자 할때에는 바닥면에 침적되어 80~90% 정도로 응집되어 있던 고농도의 오니퇴적물을 물과 희석시켜 10~20% 정도로 희석된 오니퇴적물(진흙, 뻘)을 물과 함께 배출시키는 결과로 오니퇴적물의 응집도를 낮춰서 준설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으로, 본원에서는 고농도 상태의 오니퇴적물의 응집도를 훼손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고효율로 오니퇴적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수면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선체나 바지선 등에서 아암이나 붐을 이용하여 수거부를 수중 바닥면에 닿도록 내리고 수중 바닥면의 오니퇴적물(모래, 흙, 오니 및 각종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준설장치에서, 수중 바닥면에서 오니퇴적물을 버켓(바가지)형상의 오목부에 수용하여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수거부 몸체에 오니퇴적물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마련되고 오니퇴적물을 이송하는 압송펌프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제공되고, 수거부 몸체의 하단부에는 오니퇴적물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오니혼탁방지패드가 마련되는 구성을 가짐으로 오니퇴적물의 응집도를 훼손하지 않고 고효율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오니퇴적물 준설장치 및 상기의 준설장치를 이용하는 준설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오니수거부에 압송펌프를 수반하여 제공되는 진흙,뻘의 수거 및 흡착장치{A sludge dredging apparatus having pump-equipped pickup bin}
본 발명은 하상 바닥면의 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한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준설선과 오니수거부 간에 아암을 이용 연결하되, 아암을 이용하여 오니수거부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오니수거부에 압송펌프를 내장하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오니퇴적물(진흙, 뻘)을 흡입하여 신속하게 외부의 퇴적물저류조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오니퇴적물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니준설이란 하천이나 해안의 바닥에 쌓인 흙이나 모래, 오니와 같은 퇴적물을 제거하여 바닥을 깊고 평평하게 정화시키는 작업을 일컫는 말로서, 특히 수중에 오니퇴적물층이 쌓이게 되면 수질에 심각한 오염을 일으키고 주변 생태계를 파손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근대에 들어 급속히 산업발달을 이루어온 우리의 수질환경은 대조적으로 급격히 악화되어 전국토의 하천, 호수, 강 등이 오염되어 4대강 정비사업이 수행되고 있는 현실에서 수중 밑바닥에 침적되어 있는 오염된 오니퇴적물(진흙, 뻘)의 제거가 필요하다.
상기의 기술분야에서 수중 바닥면의 오니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해 개시된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0610302호에 '해.수저 퇴적 오니 제거선'에 개시된 선행기술에서는 엔진, 발전기, 공기압축기, 공기압조절기 등이 구비된 수중 퇴적 오니 제거선에서, 상기 제거선의 선수 외측 하부에 설치되어 오니호스 및 공기호스가 구비된 수중작업용 오니제거장치와 상기 장치에 부착되어 포스트 가이더 내부로 상하 이동하는 포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오니제거장치부와 상기 오니제거장치부와 연결된 리프트와이어를 이동시키는 갑판 중앙의 리프트윈치와 선체 중앙 상부와 연결된 붐와이어 및 붐지지봉에 의해 지지되고 중앙에 리프트롤러가 설치된 붐 가로대로 구성된 붐과 상기 오니호스 및 공기호스를 각각 권취시키는 갑판상 양측의 크래들윈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송지지부와 선미하부에 설치된 자항추진기와 상기 공기호스와 연결되어 갑판상부에 설치된 압축공기분배기를 모두 결합하여 구성되는 수중 오니퇴적물 제거선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2006-30086호에 개시되어 있는 '원격조정용 준설장치'의 공보를 통하여 제시된 기술은 원격조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람이 준설장비를 운행하면서 발생하는 인명피해의 위험부담을 없이하고, 궤도형으로 주행부가 제작되어 수중의 진흙이나 모래, 오니토 속에서도 원활한 운행이 가능하며, 커터와 고압 물분사기 등이 설치되어 있어 폐기물을 파쇄하거나 침전된 오니를 수압으로 원활히 제거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최근 4대강 살리기 작업현장과 관련하여 4대강의 수중 바닥면에 쌓여있는 모래와 흙, 오니를 준설하는 작업이 한창 진행중인데, 대부분의 작업현장에서는 도 1a에 제시된 유사형태의 준설선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 1b에 제시되는 포크레인 굴삭기를 이용하여 준설작업을 실시하고 있는바, 도 1a나 도 1b에 제시되는 장비를 이용하여 준설작업이 시행되는 경우 수중 바닥면에 쌓여 있던 오니층과 각종 이물질들이 부유하며 수중 바닥면을 혼탁시키게 되고 인근 수역의 하천까지 오염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생태계 교란을 가져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도 1a는 종래의 준설선의 준설작업 실시양태를 도면을 통하여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종래 포크레인 굴삭기를 이용하여 준설작업을 실시하는 적용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작업형태는 수상에 바지선 형태의 오니준설선을 띄우고 오니준설선에서 하천의 밑바닥을 훑어가면서 쌓여진 오니퇴적물(진흙, 뻘)을 제거하는 작업형태를 나타낸 것인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오니준설선(1)의 운전석(2)에 운전자가 앉아서 아암(3)과 붐(4)을 이용하여 수거부(10)를 작동시켜 오니퇴적물를 배출시키는 작업을 할 때, 수거부(10)가 양쪽으로 개구된 파이프 형태의 흡입구(8)를 갖거나 또는 일측으로만 개구된 형태의 흡입구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어 운전자가 아암(3)이나 붐(4)을 이용하여 준설하고자 하는 부위로 수거부(10)의 흡입구(8)를 이동시키며 수거대상 오니퇴적물를 흡입하게 되는바, 이 때 작업의 실시양태는 흡입구(8)의 양 개구부 또는 일 개구부를 오니퇴적물에 들이 대어 좌,우로 이동하면서 오니퇴적물를 흡입시켜 배출구(9) 및 배출구와 연결된 오니흡입호스(7a)를 통하여 진공흡입펌프(6)와 연계되어 배출시키게 되고, 또한 진공흡입펌프(6)와 퇴적물저류조(5) 사이에는 오니배출호스(7b)를 통하여 퇴적물저류조(5)까지 이송되는 시스템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의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 수중에 침적되어 있는 진흙, 뻘을 수거부의 흡입구(8)가 바닥면에 응집된 상태로 있던 진흙, 뻘을 이리 저리 휘저어주는 결과가 되어서 제거대상물인 진흙이나 뻘을 분산시켜서 응집도를 낮추게 되며 흙탕물을 일으키면서 전면을 식별하기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고, 80~90% 정도로 응집되어 있던 고농도의 진흙, 뻘을 물과 희석시켜 10~20% 정도로 희석된 진흙, 뻘을 물과 함께 배출시키는 결과가 되어 처리효율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좁은 하천이나 강가에서는 도 1b에 제시되는 형태의 포크레인(6)에서 운전자가 아암(7)을 이용하여 버켓(8)으로 수중 바닥면 쌓여진 오니퇴적물(진흙, 뻘)을 제거하는 작업형태로 실시되는바, 버켓(8)을 이용하여 수중 바닥면을 파내서 수상으로 들어 올리게 될 때 수중 바닥면에 적층되어 있던 오니퇴적물(진흙, 뻘)과 이물질 등을 분산시켜서 흙탕물을 일으키게 되며 물과 함께 퍼 올리는 결과로 오니퇴적물의 응집도를 급격히 낮추게 되며 오니퇴적물이 사방으로 번지면서 수면을 혼탁하게 부유시켜 하천이나 호수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원에서는 상기의 두 가지 케이스 모두 적용하여 고농도 상태의 진흙,뻘의 응집도를 훼손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고효율로 진흙,뻘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방안 및 수단을 찾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수면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선체나 바지선 등에서 아암이나 붐을 이용하여 수거부를 수중 바닥면에 닿도록 내리고 수중 바닥면의 진흙,뻘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준설장치에서, 수중 바닥면에서 진흙,뻘을 버켓(바가지) 형상의 오목부에 수용하여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수거부 몸체에 진흙,뻘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마련되고 진흙,뻘을 이송하는 압송펌프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제공되고, 수거부 몸체의 하단부에는 진흙,뻘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혼탁방지패드가 마련되는 구성을 가짐으로 진흙,뻘의 응집도를 훼손하지 않고 고효율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진흙,뻘의 수거 및 흡착장치 및 진흙,뻘 수거 및 흡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굴착기(포크레인)의 버켓구조를 개량/변형시켜 버켓구조에도 진흙,뻘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마련되고 진흙,뻘을 이송하는 압송펌프를 내장하는 구성의 진흙,뻘 제거용 버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에서는 수중 진흙,뻘 제거작업을 하는 준설선 또는 포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준설선과 포크레인은 각각 수거장치 또는 버켓을 끼우기 위한 아암부나 또는 붐부를 구비하도록 하고, 준설선의 아암부나 또는 붐부에 본원의 수거부나 버켓부가 끼워져서 수중 바닥면의 진흙,뻘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거부나 버켓의 변형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본원에서는 수중에 침적되어 고농도 상태로 응집되어 있는 진흙,뻘의 응집도를 훼손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고효율로 진흙,뻘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방안 또는 수단을 찾기 위한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으로서, 수중 바닥면의 진흙,뻘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능하는 수거 및 흡착장치에서, 오니준설선이나 포크레인의 아암 또는 붐에 연결되어 수중 바닥면에서 진흙,뻘을 수거수단의 오목부에 수용하여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수거부 몸체가 진흙,뻘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진흙,뻘을 이송하는 압송펌프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제공되고, 수거부 몸체의 하단부에는 진흙,뻘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진흙,뻘 혼탁방지패드가 마련되는 구성을 가짐으로 진흙,뻘의 응집도를 훼손하지 않고 고효율로 배출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상기 진흙,뻘을 이송하는 압송펌프는 회전축의 작동부가 시작단측에는 압송임펠러로 형성되고, 끝단측에는 이송스크류가 형성되며, 상기 압송임펠러는 펌프의 내면측에 인접해 있는 부분의 외경이 크게 형성되고 끝단측을 향해 외경이 점차로 작아지는 구조로 높은 흡입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진흙,뻘을 펌프의 내면측에 형성된 배출통로로 밀어내는 구조의 압송펌프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진흙,뻘을 이송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개시되는 진흙,뻘의 제거수단은 오니준설선이나 포크레인의 아암에 연결되어 수중 바닥면에서 진흙,뻘을 수거부의 오목부에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진흙,뻘 제거 및 흡착장치를 이용하되, 수거부 몸체가 진흙,뻘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와 진흙,뻘을 이송하기 위한 압송펌프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제공되고, 수거부 몸체의 하단부에는 진흙,뻘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혼탁방지패드가 포함되어 수거부 몸체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진흙,뻘 제거 및 흡착장치의 수거부를 진흙,뻘이 모인 곳에 투입시켜 수거부의 흡입구로 진흙,뻘을 흡입하고 압송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정이 포함되어 제공되는 제거수단에 의해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원발명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란 기재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용하면 오니 준설선에서 수중 바닥면의 진흙,뻘을 제거하고자 할 때 더욱 짧은 시간에 고농도의 진흙,뻘을 효과적으로 흡입/배출할 수 있으며, 종래의 오니퇴적물 수거장치나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하천 밑바닥의 모래와 흙을 퍼내는 준설작업을 수행할 때에도 수중 바닥면의 진흙,뻘이 분산되어 주변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최소한으로 막아줌으로써 자연 생태계를 보전하면서 하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 준설선의 준설작업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1a는 종래 포크레인의 준설작업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오니준설선에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수거부구조가 연결되어 발명이 구현되는 적용예시도.
도 3은 본원의 수거부에 부설되어 사용되는 압송펌프의 적용예시도
도 4는 굴삭기(포크레인)에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버켓구조가 연결되어 발명이 구현되는 적용예시도.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구현 적용예를 도면을 통하여 제시하기에 앞서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도면의 실시양태 예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을 바람직하게 구현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겸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 란에서 제시된 도 1a 및 도 1b에 제시된 두 가지 케이스의 장치에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경우 고농도 상태로 진흙,뻘의 응집도를 훼손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고효율로 진흙,뻘을 배출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일 적용예는 기존 오니준설선의 아암이나 붐, 또는 포크레인의 아암이나 붐에 연결하여 사용/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도 2는 오니준설선의 수거부에 본원의 기술사상을 도입하여 구현한 것이고, 도 3은 본원의 오니준설선 수거부에 장착되는 진흙,뻘 압송펌프의 일 적용양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포크레인의 버켓부에 본원의 기술사상을 도입하여 구현한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오니준설선의 아암(3)이나 붐(4)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수거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도 1a에 제시되는 형태의 오니준설선에 본원의 기술사상이 도입되는 수거부(5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도 2a에 제시된 수거부(5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수거부(50) 케이스(51)의 상단 중앙판(52)에는 오니준설선의 아암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53) 및 진흙,뻘을 이송하기 위한 압송펌프(4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실시양태를 나타내고 있는바, 중앙부에 연결부(53, 53')가 위치하고 양 단부 쪽으로 각각 진흙,뻘 압송펌프(4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제공되고, 상기 압송펌프(40)의 유입부(41)는 수거부의 배출구(54)와 연결되는 연결관(55)과 결합되고, 진흙,뻘 압송펌프의 배출부(42)는 외부의 퇴적물저류조(5)에 연결되는 배출호스(7b)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수거부(50) 케이스(51)의 하단 둘레로는 진흙,뻘혼탁방지패드1(56)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고, 수거부(50)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진흙,뻘이 혼탁방지패드1(56)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수거부(50) 케이스(51) 내부로 외부의 물이 유입도지 않도록 하여 진흙,뻘의 응집도를 훼손하지 않고 엑기스 상태로 외부로 펌핑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에 제시되는 수거부(50) 케이스(51)의 상단 양측으로 설치되는 진흙,뻘 압송펌프(40)의 일 적용예를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도 2a는 본원에서 적용되는 압송펌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의 수거부(50)에 설치가능한 압송펌프(40)는 본체 하부로 볼트체결공이 구비되어 있는 평판상의 지지판(11)이 수거부(50)의 상단 중앙판(52)의 양 단부쪽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압송펌프의 내면측으로는 나선상으로 삭설된 배출통로(12)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통로(12)는 깊이가 가장 낮게 삭설된 배출시작단(12a)에서 부터 깊이가 가장 깊게 삭설된 배출끝단(12b)으로 갈수록 점차로 깊어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압송펌프 본체의 상부에는 배출통로(12)의 배출끝단(12b)과 연결되는 토출구(13)가 형성되며, 이 토출구(13)에는 배출호스(7b)가 연결되어 펌핑되는 진흙,뻘을 퇴적물저류조(5)로 보내도록 연결된다.
상기 압송펌프(40)에는 회전축(20)이 베어링 등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20)의 입력부(21)는 펌프의 이면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돌출되어 모터(도시 없음)에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축(20)의 작동부(22)는 펌프의 내면 측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돌출되어 제공되는데, 상기한 작동부(22)의 시작단측(22a)에는 압송임펠러(23)가 형성되어 있고, 끝단측(22b)에는 이송스크류(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송임펠러(23)는 펌프의 내면측에 인접해 있는 부분의 외경이 가장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끝단측(22b)을 향해 갈수록 외경이 점차로 작아지면서 도면상으로 볼 때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휘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0)이 도면의 회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때 흡입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진흙,뻘을 펌프의 내면측에 형성된 배출통로(12) 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압송임펠러(23)는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이송스크류(24)는 작동부(22)의 끝단측(22b)에서 흡입되는 진흙,뻘을 압송임펠러(23)쪽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담당하게 되는바, 상기와 같이 작동부(22)에 형성된 압송임펠러(23)와 이송스크류(24)는 펌프의 내면측에 결합되는 케이싱에 의하여 은폐되는데, 상기 케이싱에는 압송임펠러(23)를 감싸주는 흡입부(31)와 이송스크류(24)를 감싸주는 이송부(32) 그리고 진흙,뻘제거장치 수거부(50)의 배출구(54)와 연계된 연결관(55)과 연결되는 유입부(41)의 연결부(33)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기 압송임펠러(23)가 형성된 작동부(22)의 시작단측(22a)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으로 볼때 좌측의 외경이 가장 크고 우측의 외경이 가장 작은 좌광우협한 원추형 형상으로 구성하는 경우 시작단측(22a)이 끝단측(22b)의 외경에 비하여 비교적 큰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의 흡입부(31)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좁아지며 진흙,뻘 토출압을 크게 증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압송펌프(40)의 일측 하부에는 밸브(34)가 장설되어 있는 드레인관(35)이 설치되는데, 상기한 드레인관(35)은 펌프가 가동한 후 배출통로(12)에 잔존하는 진흙,뻘을 세척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배출통로(12)가 잔존하는 진흙,뻘이 남아서 굳게 되거나 또는 동절기에 결빙으로 인한 동파 사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포크레인의 버켓부(60)에 구현된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버켓(60)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그 단면도이며, 도 4c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b에 제시되는 형태의 포크레인의 아암(7)에 버켓(60)의 연결부(64)가 결합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버켓의 오목부 내부로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버켓(60)의 하우징(61) 내부로 상단에서 중앙부 쪽으로 흡입구(62)가 뚫려 있으며, 상기 흡입구의 외측 통로에 도 3에 제시된 형태의 압송펌프(40)가 버켓(60)의 일측에 설치되되, 도 4c에서 확인할 수 있는바와 같이 상기 압송펌프(40)의 유입관(41)은 버켓 하우징(61)의 흡입구(62)까지 연결된 관로(63)에 연결되어 진흙,뻘을 흡입하도록 기능하게 되고, 압송펌프(40)의 배출관(42)은 도 1a의 배출호스(7b)와 연결되어 진흙,뻘을 퇴적물저류조(5)로 보내도록 연결되는 구성은 도 2의 실시양태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버켓(60)의 하우징(61) 외연을 따라 진흙,뻘혼탁방지패드 2(65)가 설치되어 버켓 내부에 수용된 진흙,뻘이 혼탁방지패드 2(65)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버켓하우징(61) 외부의 물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서 진흙,뻘의 응집도를 훼손하지 않고 진흙,뻘엑기스만을 외부로 펌핑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수중 바닥면의 진흙,뻘을 흡입하여 높은 효율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진흙,뻘 제거장치가 상기의 도 2 내지 도 4의 실시형태로 제시되는 오니준설장치를 이용하여 고농도 상태로 진흙,뻘의 응집도를 훼손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고효율로 진흙,뻘을 배출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11 : 압송펌프 지지판 12 : 배출통로
13 : 토출구 20 : 회전축
21 : 입력부 22 : 작동부
23 : 압송임펠러 24 : 이송스크류
30 : 하우징 31 : 흡입부
32 : 이송부 33 : 연결부
34 : 밸브 35 : 드레인관
40 : 압송펌프 41 : 압송펌프 유입부
42 : 압송펌프 배출부 50 : 오니 수거부
51 : 수거부 케이스 52 : 중앙판
53 : 연결부 54 : 배출구
55 : 연결관 56 : 오니혼탁방지패드1
60 : 버켓부 61 : 버켓 하우징
62 : 버켓 흡입구 63 : 관로
64 : 버켓 연결부 65 : 오니혼탁방지패드2

Claims (4)

  1. 오니준설선이나 포크레인의 아암에 연결되어 수중 바닥면의 진흙,뻘을 오목부에 수용 및 흡입하여 외부의 진흙,뻘 저류조로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진흙,뻘의 수거 및 흡착장치에 있어서,
    수중 바닥면의 진흙,뻘을 수용 및 흡입하는 버켓이 오목홈을 갖는 하우징을 이루고,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진흙,뻘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진흙,뻘 혼탁방지패드가 마련되며, 하우징의 중심부에 진흙,뻘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뚫려 있으며, 하우징의 상단이나 측면 일측으로는 압송펌프가 설치되되, 압송펌프의 유입관은 버켓 하우징의 흡입구까지 연결된 관로를 갖고 압송펌프의 배출관은 배출호스와 연결되어 진흙,뻘 저류조로 보내도록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오목홈에 모인 진흙,뻘의 응집도를 훼손하지 않고 고효율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바닥면의 진흙,뻘 수거 및 흡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진흙,뻘을 이송하는 압송펌프는 회전축(20)의 작동부(22)가 시작단측(22a)에는 압송임펠러(23)로 형성되고, 끝단측(22b)에는 이송스크류(24)가 형성되며, 상기 압송임펠러(23)는 펌프의 내면측에 인접해 있는 부분의 외경이 크게 형성되고 끝단측(22b)을 향해 외경이 점차로 작아지는 구조로 높은 흡입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진흙,뻘을 펌프의 내면측에 형성된 배출통로(12)로 밀어내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바닥면의 진흙,뻘 수거 및 흡착장치.
  3. 수중 바닥면의 진흙,뻘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진흙,뻘 수거 및 흡착방법에 있어서,
    수중 바닥면의 진흙,뻘을 수용 및 흡입하는 버켓이 오목홈을 갖는 하우징 형태로 제공되고,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진흙,뻘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혼탁방지패드가 설치되며, 하우징의 중심부는 수중 바닥면의 진흙,뻘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뚫려 있으며, 하우징의 상단이나 측면 일측으로는 압송펌프가 설치되되, 압송펌프의 유입관은 버켓 하우징의 흡입구까지 연결된 관로를 갖고 압송펌프의 배출관은 배출호스와 연결되어 진흙,뻘 저류조까지 보내주는 구성을 이루어서 오목홈에 모인 진흙,뻘의 응집도를 훼손하지 않고 고효율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흙,뻘 수거 및 흡착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진흙,뻘을 이송하는 압송펌프는 회전축(20)의 작동부(22)가 시작단측(22a)에는 압송임펠러(23)로 형성되고, 끝단측(22b)에는 이송스크류(24)가 형성되며, 상기 압송임펠러(23)는 펌프의 내면측에 인접해 있는 부분의 외경이 크게 형성되고 끝단측(22b)을 향해 외경이 점차로 작아지는 구조로 높은 흡입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진흙,뻘을 펌프의 내면측에 형성된 배출통로(12)로 밀어내는 압송공정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압송펌프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흙,뻘 수거 및 흡착방법.
KR1020100088608A 2010-09-09 2010-09-09 오니수거부에 압송펌프를 수반하여 제공되는 진흙,뻘의 수거 및 흡착장치 KR101208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608A KR101208991B1 (ko) 2010-09-09 2010-09-09 오니수거부에 압송펌프를 수반하여 제공되는 진흙,뻘의 수거 및 흡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608A KR101208991B1 (ko) 2010-09-09 2010-09-09 오니수거부에 압송펌프를 수반하여 제공되는 진흙,뻘의 수거 및 흡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407A KR20120026407A (ko) 2012-03-19
KR101208991B1 true KR101208991B1 (ko) 2012-12-06

Family

ID=46132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608A KR101208991B1 (ko) 2010-09-09 2010-09-09 오니수거부에 압송펌프를 수반하여 제공되는 진흙,뻘의 수거 및 흡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9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727A (ja) 1982-07-01 1984-01-11 Sumitomo Kaiyo Kaihatsu Kk 水底泥土の浚渫装置
KR200301737Y1 (ko) * 2002-10-17 2003-01-24 김원태 오니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727A (ja) 1982-07-01 1984-01-11 Sumitomo Kaiyo Kaihatsu Kk 水底泥土の浚渫装置
KR200301737Y1 (ko) * 2002-10-17 2003-01-24 김원태 오니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407A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7372B2 (en) Apparatus for the dredging of sediments from the seabed
KR930008637B1 (ko) 준설장치
JP6456007B1 (ja) 撹拌剥離式吸引装置、撹拌剥離式吸引システム及び撹拌剥離式吸引工法
JP4713930B2 (ja) 浚渫装置
JP5209624B2 (ja) 水中濃縮セル、沈殿物分離機及び沈殿物濃縮方法
KR100991725B1 (ko) 흡입식 준설장치
CN1277999C (zh) 海底水力疏浚的方法
JP3288643B2 (ja) 液状物回収装置
CN205604319U (zh) 一种挖泥船
KR101208991B1 (ko) 오니수거부에 압송펌프를 수반하여 제공되는 진흙,뻘의 수거 및 흡착장치
KR101444401B1 (ko) 준설사업 중 배출되는 배출수 여과장치
KR20140050940A (ko) 수중 퇴적물 제거장치
KR101030786B1 (ko) 사이펀원리를 이용한 슬러지처리장치
KR20060030086A (ko) 원격조정용 준설장치
KR100650111B1 (ko) 준설장치
KR101925607B1 (ko) 하천, 호소의 퇴적오니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퇴적오니 처리 공법
JP7132051B2 (ja) 浚渫装置
JP2659015B2 (ja) 浚渫装置
JPH03250125A (ja) 砂採取設備の濁水流出防止装置
KR100655789B1 (ko) 수압차를 이용한 퇴적물 회수 장치 및 회수방법
KR101269978B1 (ko) 인공호수의 진흙, 뻘 및 침적물을 동시 제거하는 수중정화방법
WO2018142591A1 (ja) 湖、池、河川、運河等における濁水吸引装置と、その濁水吸引方法
KR20010019487A (ko) 오니토 준설방법 및 그 장치
KR100597989B1 (ko) 수두차를 이용한 고정식 해저, 수저 퇴적 오니 제거장치
JPH0438332A (ja) 浚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