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078B1 -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078B1
KR101208078B1 KR1020120009921A KR20120009921A KR101208078B1 KR 101208078 B1 KR101208078 B1 KR 101208078B1 KR 1020120009921 A KR1020120009921 A KR 1020120009921A KR 20120009921 A KR20120009921 A KR 20120009921A KR 101208078 B1 KR101208078 B1 KR 10120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driving
ligh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주)프리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리모 filed Critical (주)프리모
Priority to KR1020120009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외부로 광을 출사하는 외장램프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미등신호와 방향지시신호를 포함한 램프 구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된 커넥터부와, 모듈본체에 장착되어 백색광을 출사하는 제1광원부와, 모듈본체에 장착되어 황색광을 출사하는 제2광원부와, 제1광원부를 온/오프 구동하는 제1구동부와, 제2광원부를 온/오프 구동하는 제2구동부와, 커넥터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며, 미등신호만 수신되면 제1광원부가 발광되게 제1구동부를 제어하고, 미등신호와 방향지시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면 제1광원부의 발광은 오프시키고 제2광원부가 방향지시신호에 따라 점멸을 반복하면서 구동되게 제1 및 제2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자동차의 외장램프 유니트에 의하면, 미등신호 및 방향지시신호에 대응되게 발광을 제어하면서도 구동듀티를 가변시켜 주간에도 상시 발광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해지면서도 안전 사고 예방을 보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exterior lamp unit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미등신호와 방향지시신호에 대응하여 발광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외측에는 야간 또는 흐린 날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전조등, 주행상태를 타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알리기 위한 각종 시그널램프가 장착되어 있다.
통상적인 시그널 램프를 나열해보면, 후진등, 미등, 차폭등, 방향지시등, 비상점멸등, 브레이크등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시그널 램프는 주로 필라멘트 방식의 전구가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를 다수 개 어레이시킨 구조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램프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한 차량의 외장용 램프의 경우 해당 램프를 전체적으로 온/오프 하는 방식으로만 구동하도록 되어 있어, 미등 및 방향시지등을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미등신호와 방향지시신호를 포함한 램프구동신호에 따라 발광패턴을 결정하여 발광될 수 있는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는 자동차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외부로 광을 출사하는 외장램프 유니트에 있어서,미등신호와 방향지시신호를 포함한 램프 구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된 커넥터부와; 모듈본체에 장착되어 백색광을 출사하는 제1광원부와; 상기 모듈본체에 장착되어 황색광을 출사하는 제2광원부와; 상기 제1광원부를 온/오프 구동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광원부를 온/오프 구동하는 제2구동부와;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미등신호만 수신되면 상기 제1광원부가 발광되게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미등신호와 상기 방향지시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면 상기 제1광원부의 발광은 오프시키고 상기 제2광원부가 상기 방향지시신호에 따라 점멸을 반복하면서 구동되게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부는 자동차의 시동온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단자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시동온신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미등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는 주간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미등신호 유지시 상기 제1구동부를 통해 상기 제1광원부에 적용하는 제1구동듀티 보다 더 높은 듀티인 제2구동듀티로 상기 제1광원부가 구동되게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광원부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백색 발광다이오드가 적용되고, 상기 제2광원부는 황색광을 출사하는 황색 발광다이오드가 적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미등신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지시신호의 수신이 중단되면, 상기 제1광원부를 설정된 듀티 증가패턴에 따라 상기 제1구동듀티에 도달 할 때까지 구동듀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구동되게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광원부와 상기 제2광원부는 하나의 백색발광다이오드에 두개의 황색발광다이오드가 어레이된 기본모듈이 상기 모듈 본체에 다수 어레이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시동온신호를 수신하는 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모듈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의 구동전력으로 이용하도록 구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에 의하면, 미등신호 및 방향지시신호에 대응되게 발광을 제어하면서도 구동듀티를 가변시켜 주간에도 상시 발광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해지면서도 안전 사고 예방을 보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램프 유니트가 적용된 자동차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외장 램프 유니트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외장 램프 유니트의 제어계통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 램프 유니트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램프 유니트가 적용된 자동차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외장 램프 유니트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외장 램프 유니트의 제어계통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장 램프 유니트(100)는 자동차(10)에 장착되어 자동차(10)의 외부로 광을 출사하도록 자동차(10)의 전면에 설치된 전조 램프 브라켓(2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외장 램프 유니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모듈본체(110)가 제어 케이블(115)을 통해 직렬로 띠 형태로 다수 어레이 되어 있고, 제어 케이블(115)의 일단에 커넥터부(130)와 모듈제어부(140)가 접속된 구조로 되어 있다.
모듈본체(110)에는 하나의 백색발광다이오드(W)(121)에 두 개의 황색발광다이오드(Y)(122)가 어레이된 기본모듈(120) 세개가 어레이 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본체(210)는 전조 램프 브라켓(20)의 미등 램프 장착용 소켓(30)을 통해 장착할 수 있는 소켓 장착용 벌브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듈본체(210)는 다각형 봉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앞서 설명된 기본모듈(120)이 장착되어 있고, 후술되는 모듈 제어부(140)와 소켓(30)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복수개의 중계 접속단자(215)가 마련되면 된다.
여기서, 중계 접속단자(215)는 모듈제어부(140)의 제어본체(140a)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광원부는 후술되는 모듈 제어부(140)에 제어되며 백색광을 출사하는 백색발광다이오드(121)들로 되어 있다.
제2광원부는 후술되는 모듈 제어부(140)에 제어되어 황색광을 출사하는 황색 발광다이오드(122)들로 되어 있다.
여기서, 하나의 백색발광다이오드(121)에 대해 두 개의 황색발광다이오드(122)가 매칭 되게 기본모듈(120)이 형성되어 있고, 기본모듈(120)이 모듈본체(110)(210)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색발광다이오드(121)들 끼리는 동일한 제어신호선(115a)을 통해 어레이되어 연동구동될 수 있게 되어 있고, 황색발광다이오드(122)들 끼리는 또 다른 제어신호선(115b)을 통해 어레이되어 동일 색상끼지 연동구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커넥터부(130)는 시동온신호, 미등신호, 방향지시신호를 포함한 램프 구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부(130)는 시동온신호를 수신하는 제1단자(131)와, 미등신호를 수신하는 제2단자(132), 방향지시신호를 수신하는 제3단자(133) 및 그라운드(GND) 선 접속용 제4단자(134)가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부(130)의 제1 내지 제4단자(131 내지 134)의 접속 구조는 해당 신호선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암커넥터 형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구동부(151)는 모듈 제어부(140)에 제어되어 제1광원부의 백색발광다이오드(121)가 온/오프 되게 구동한다.
제2구동부(152)는 모듈 제어부(140)에 제어되어 제2광원부의 황색발광다이오드(122)가 온/오프 되게 구동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및 제2 구동부(151)(152)로서 3단자 스위치 소자인 트랜지스터가 각각 적용되었고, 모듈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원(Vcc)(160)으로부터 대응되는 백색 발광다이오드(121) 또는 황색발광다이오드(122)로의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모듈제어부(140)는 커넥터부(1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다.
여기서 모듈제어부(140) 및 제1 및 제2구동부(151)(152)는 제어본체(140a)에 내장되어 있고, 커넥터부(130)는 제어본체(140a)에 노출되게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커넥터부(130)는 제어본체(140a)와 연장 케이블을 통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본체(140)와 모듈본체(110)(210)와의 접속부분은 탈착 가능한 커넥터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듈 제어부(140)는 제2단자(132)를 통해 미등신호만 수신되면 제1광원부인 백색발광다이오드(121)들만 발광되게 제어하고, 미등신호와 방향지시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면 제1광원부인 백색발광다이오드(121)들의 발광은 중지시키고 제2광원부인 황색발광다이오드(122)들만 방향지시신호에 따라 점멸을 반복하면서 구동되게 제어한다.
또한, 모듈 제어부(140)는 미등신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방향지시신호가 중단되면, 제1광원부의 백색발광다이오드(121)가 설정된 듀티 증가패턴에 따라 제1구동듀티에 도달 할 때까지 구동듀티를 점진적으로 증가되게 제1구동부(151)를 제어한다.
일 예로서, 제1구동듀티가 40%로 설정된 경우, 모듈 제어부(140)는 미등신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방향지시신호가 중단되면, 백색발광다이오드(121)가 10%의 구동듀티에서부터 시작하여 설정된 스텝업 기간 이후 5%씩 구동듀티가 증가하게 하면서, 15%, 20%, 25%, 30%, 35%, 40%의 순으로 구동듀티를 증가시키고, 40%에 도달한 이후에는 40%의 구동듀티를 유지하도록 제1구동부(151)를 제어한다.
여기서, 모듈 제어부(140) 내에는 제3단자(133)를 통해 수신되는 방향지시신호가 점멸 반복신호에 해당하는 하이신호와 로우신호를 반복할 때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 하이신호가 다시 반복되지 않으면 방향지시신호가 중단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축된다. 즉, 모듈 제어부(140)는 방향지시신호의 하이신호의 에지를 기준으로 다음 하이신호가 수신될 때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 된 시간이 설정된 지연시간을 초과하면 방향지시신호가 중단된 것으로 처리하도록 구축되면 된다.
모듈 제어부(140)는 제1단자(131)를 통해 시동온신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미등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는 주간모드로 판단하고, 미등신호시 제1광원부에 적용하는 제1구동듀티 보다 더 높은 듀티인 제2구동듀티로 제1광원부가 발광되게 제1구동부(151) 제어한다.
일 예로서, 모듈 제어부(140)는 제1단자(131)를 통해 시동온신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미등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는 제1광원부의 백색발광다이오드(121)가 80% 구동듀티로 발광되게 제1구동부(151)를 제어하고, 미등신호가 제2단자(132)를 통해 수신되면 야간모드로 판단하여 백색발광다이오드(121)가 40% 구동듀티로 발광되게 제1구동부(151)를 제어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듀티는 설정된 구동주기 동안 구동온되는 시간의 비율을 말한다.
이 경우 주간에도 자동차(10)가 시동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모듈본체(110)(120)를 통해 광이 외부로 조사됨으로써 자동차의 인식율이 향상됨으로써 안전사고의 예방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모듈제어부(140)는 시동온신호가 수신되는 제1단자(13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전력 및 전원공급원(Vcc)(160)의 전력으로 이용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자동차의 외장램프 유니트(100)는 미등신호와, 방향지시신호를 처리하되, 미등신호와 방향지시신호가 동시에 수신된 상태에서는 방향지시신호에만 대응되게 발광이 제어됨으로써 신호 표시 인식율을 높일 수 있고, 주간에서도 차량식별을 위한 발광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안전 사고 예방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4)

  1. 삭제
  2. 자동차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외부로 광을 출사하는 외장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미등신호와 방향지시신호를 포함한 램프 구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된 커넥터부와;
    모듈본체에 장착되어 백색광을 출사하는 제1광원부와;
    상기 모듈본체에 장착되어 황색광을 출사하는 제2광원부와;
    상기 제1광원부를 온/오프 구동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광원부를 온/오프 구동하는 제2구동부와;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미등신호만 수신되면 상기 제1광원부가 발광되게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미등신호와 상기 방향지시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면 상기 제1광원부의 발광은 오프시키고 상기 제2광원부가 상기 방향지시신호에 따라 점멸을 반복하면서 구동되게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를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자동차의 시동온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단자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시동온신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미등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는 주간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미등신호 유지시 상기 제1구동부를 통해 상기 제1광원부에 적용하는 제1구동듀티 보다 더 높은 듀티인 제2구동듀티로 상기 제1광원부가 구동되게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장램프 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부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백색 발광다이오드가 적용되고, 상기 제2광원부는 황색광을 출사하는 황색 발광다이오드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장램프 유니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미등신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지시신호의 수신이 중단되면, 상기 제1광원부를 설정된 듀티 증가패턴에 따라 상기 제1구동듀티에 도달 할 때까지 구동듀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구동되게 상기 제1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광원부와 상기 제2광원부는 하나의 백색발광다이오드에 두개의 황색발광다이오드가 어레이된 기본모듈이 상기 모듈 본체에 다수 어레이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시동온신호를 수신하는 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모듈제어부 및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의 구동전력으로 이용하도록 구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장램프 유니트.
KR1020120009921A 2012-01-31 2012-01-31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 KR10120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921A KR101208078B1 (ko) 2012-01-31 2012-01-31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921A KR101208078B1 (ko) 2012-01-31 2012-01-31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078B1 true KR101208078B1 (ko) 2012-12-04

Family

ID=4790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921A KR101208078B1 (ko) 2012-01-31 2012-01-31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526A1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833Y1 (ko) 2009-01-22 2009-09-03 최정곤 자동차 보조등 제어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833Y1 (ko) 2009-01-22 2009-09-03 최정곤 자동차 보조등 제어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526A1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55543B2 (en) 2015-01-13 2018-04-24 Silicon Works Co., Ltd. Lamp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5584B2 (en) Distinctive hazard flash patterns for motor vehicles and for portable emergency warning devices with pulse generators to produce such patterns
US7642908B2 (en) Elevated light system for vehicles
EP2722226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for vehicle lamp
CN106585484B (zh) 车辆后部照明系统
CN209955857U (zh) 显示自动驾驶以及电池充电量的车辆用灯具系统
CN110997407B (zh) 自动驾驶车辆
US8569953B2 (en) Multi-function vehicle light assembly
US8441194B2 (en) Multi-function vehicle light assembly
US7808376B2 (en) Continuous enhanced vehicle hazard warning lights
KR101208078B1 (ko) 자동차의 외장 램프 유니트
KR20110092108A (ko) 차량용 통합 엘이디램프
CN202115418U (zh) 机动车载led图文信息显示系统
JP2013184521A (ja) 車輌用灯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10881873U (zh) 用于机动车辆的照明系统
KR200380315Y1 (ko) Led식 자동차 후미등
CN205871891U (zh) 具有照明功能的汽车后视镜
CN111405707B (zh) 一种车用led流光灯电路
KR100950323B1 (ko) 자동차의 외장 램프 구동장치
JP2006347191A (ja) 車両用灯具
JP3165457U (ja) 車両の補助ランプ
CN111511081B (zh) 一种车辆、车灯控制装置及其车灯控制电路与方法
US20150100213A1 (en) Vehicle alerting device
US11692682B2 (en) Rear light unit of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said rear light unit
KR100728829B1 (ko) 차량용 고광도 미등장치
JP2013256211A (ja) 車両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