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022B1 -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022B1
KR101208022B1 KR1020110049041A KR20110049041A KR101208022B1 KR 101208022 B1 KR101208022 B1 KR 101208022B1 KR 1020110049041 A KR1020110049041 A KR 1020110049041A KR 20110049041 A KR20110049041 A KR 20110049041A KR 101208022 B1 KR101208022 B1 KR 101208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hift
optical film
liquid crystal
patter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영
손인성
박성식
박승원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9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022B1/ko
Priority to US13/477,570 priority patent/US20120300159A1/en
Priority to JP2012117261A priority patent/JP2012242842A/ja
Priority to EP12169187A priority patent/EP2527881A1/en
Priority to CN2012101647382A priority patent/CN102830458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9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cal effect, e.g. anti-reflection or filt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Abstract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편광층과 후면편광층의 사이에 액정층을 구비하고, 상기 액정층과 상기 전면편광층의 사이에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구비하되,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은, 층을 이루는 백그라운드층과 상기 백그라운드층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하여 시청각도 및 계조수준에 따라 다른 색으로 상기 액정층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 렌즈부에 입사된 빛의 출사 방향을 분산시켜, 서로 이격된 상기 렌즈부 사이를 통과하는 빛과 혼합시킨다.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은 상기 액정층과 상기 전면편광층의 사이에 구비되는 전면기판이거나,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기판과 상기 전면편광층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CD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절률 구배를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고도로 정보화 되어감에 따라서 이미지 디스플레이(image display) 관련 부품 및 기기가 현저하게 진보하고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장치용,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장치용, 등으로서 현저하게 보급되고 있으며, 대형화와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하나로써,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LCD의 기본 구조와 구동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종래의 VA 모드 LCD를 예로 들면, 두 개의 편광층(110, 120)의 광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투명 전극(140)이 코팅된 두 개의 투명 기판(130) 사이에 복굴절 특성을 보이는 액정층(150)이 위치된다. 구동 전원부(180)에 의해 전기장이 인가되면, 액정분자가 전기장에 수직으로 움직여 배열된다.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빛은 후면편광층(120)을 통과한 후 선편광이 되고,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off 상태인 경우 액정은 기판에 대해 수직 배향되어 있으므로, 선편광된 빛은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후면편광층(120)과 수직인 전면편광층(11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 상태인 경우 액정은 전기장에 의해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두 직교 편광층(110, 120)의 광축 사이에 수평 배향되어 있어서 후면편광층을 통해 선편광된 빛은 액정층을 통과하면서 전면편광층에 도달하기 직전에 편광 상태가 90도 회전된 선편광, 원편광 또는 타원편광 상태로 변화하여 전면편광층을 통과하게 된다. 전기장의 세기를 조절하면 액정의 배열 상태가 수직 배향에서 점차 수평 방향으로 배향 각도가 변화하며 이때 나오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시청각에 따른 액정의 배향 상태와 광투과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화소(220) 내에 액정분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시청각에 따라 배열 상태가 다르게 보이게 된다.
정면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210),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는 거의 수평 배향(212)으로 보이게 되며, 화면이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게 된다. 화면의 정면에서 볼 때(230),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232) 화소(220) 내의 액정분자의 배열과 동일하게 보인다. 정면의 우측에서 바라볼 때(250),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는 수직 배향(252)으로 보이게 되며, 화면이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게 된다.
따라서, LCD는 시청각 변화에 따른 빛의 세기와 색의 변화가 발생하며 자발광 디스플레이에 비해 시야각이 크게 제한된다. 따라서, 시야각 개선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도 3은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를 두 개의 부분 화소, 즉 제1 화소부(320)과 제2 화소부(340)로 분할하여 각 화소부의 액정 배열 상태가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한다. 시청자가 보는 방향에 따라 제1 화소부(320)에서의 액정의 배열 상태와 제2 화소부(340)에서의 액정의 배열 상태가 동시에 보이게 되며, 시청자에게 보이는 빛의 세기는 각각의 화소부의 빛의 세기의 합이 된다.
즉, 정면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310), 제1 화소부(320)의 액정은 수평 배향(312)으로 보이고 제2 화소부(340)의 액정은 수직 배향(314)으로 보이게 되며, 제1 화소부(320)에 의해 화면이 밝게 보일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정면의 우측에서 바라볼 때(350), 제1 화소부(320)의 액정은 수직 배향(352)으로 보이고 제2 화소부(340)의 액정은 수평 배향(354)으로 보이게 되며, 제2 화소부(340)에 의해 화면이 밝게 보일 수 있게 된다. 정면에서 볼 때(330)는 각 화소부의 배열 상태와 동일하게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가 볼 때 화면의 밝기는 시청각이 변함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해지며 화면에 대한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이 된다. 따라서, 시청각 변화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색변화 정도가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굴절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성이 LCD 패널에서 화소(440) 내의 액정분자와 동일하며,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와 대칭이 되는 광학필름(420)이 추가된다. 시청자가 보는 방향에 따라 화소(440) 내의 액정의 배열 상태와 광학필름(420)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해, 시청자에게 보이는 빛의 세기는 각각에 의한 빛의 세기의 합이 된다.
즉, 정면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410), 화소(440) 내의 액정은 수평 배향(414)으로 보이고 광학필름(420)에 의한 가상 액정은 수직 배향(412)으로 보이게 되며, 빛의 세기는 각각의 합이 된다. 마찬가지로, 정면의 우측에서 바라볼 때(450), 화소(440) 내의 액정은 수직 배향(454)으로 보이고 광학필름(420)에 의한 가상 액정은 수평 배향(452)으로 보이게 되며, 빛의 세기는 각각의 합이 된다. 정면에서 볼 때(430)는 화소(440) 내의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와 광학필름(420)의 배열 상태가 각각 동일하게 보이게 된다(432, 434).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더라도, 여전히 시청각에 따른 컬러 시프트(color shift)는 존재하여 시청각이 증가함에 따라 색변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TN 모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 반전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청각 증가에 따른 컬러 시프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반전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시프트 현상을 개선하면서도, 헤이즈 발생 억제를 통하여 명실명암비 및 이미지 해상도(resolution, sharpness) 저하를 개선하고, 이중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층을 이루는 백그라운드층과 상기 백그라운드층에 형성되는 복수의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부의 굴절률과 상기 백그라운드층의 굴절률은 상기 렌즈부의 굴절률로부터 점진적으로 상기 백그라운드층의 굴절률로 변화되는 굴절률 구배를 가져, 액정층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하여 시청각도 및 계조수준에 따라 다른 색으로 상기 액정층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에서, 상기 렌즈부에 입사된 빛의 출사 방향을 분산시켜, 서로 이격된 상기 렌즈부 사이를 통과하는 빛과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부는, 상기 백그라운드층과 인접하는 1L부위를 갖고, 상기 백그라운드층은 1B부위 내지 nB부위를 갖되, 상기 1B부위는 상기 nB부위보다 더 상기 1L부위에 가깝고, 상기 1B부위의 굴절률은 상기 nB부위의 굴절률보다 더 상기 1L부위의 굴절률에 가깝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그라운드층은, 상기 렌즈부와 인접하는 1B부위를 갖고, 상기 렌즈부는 1L부위 내지 nL부위를 갖되, 상기 1L부위는 상기 nL부위보다 더 상기 1B부위에 가깝고, 상기 1L부위의 굴절률은 상기 nL부위의 굴절률보다 더 상기 1B부위의 굴절률에 가깝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백그라운드층 및 렌즈부 모두가 굴절률 구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부의 폭 방향을 따른 1차원 굴절률 구배만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부의 깊이 방향을 따른 중심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굴절률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청각 증가에 따른 컬러 시프트 현상을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을 확보하고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반전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이중상 발생을 억제하고, 헤이즈 발생 억제를 통하여 명실명암비 및 이미지 해상도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기술과 관련된 도면이다.
도 1은 LCD의 기본 구조와 구동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시청각에 따른 액정의 배향 상태와 광투과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41은 비교실시예과 관련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비교실시예들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는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렌즈부의 깊이/폭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렌즈부의 간격/피치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렌즈부의 간격/피치의 비와 투과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7는 렌즈부의 단면의 모양과 이중상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3은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과 밀착되게 설치하여,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7는 CCFL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2440MH)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LED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X2440)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5는 S-PVA 패널을 채용한 46인치 LCD TV(모델명: LH46CSPLBC)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6은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구비하지 않은 S-IPS 모드 LCD TV의 색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7는 도 36의 LCD TV에 자가 점착성을 갖는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고, 색변화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8 내지 도 40은 렌즈부의 사이즈와 이중상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1은 렌즈부의 사이즈와 모아레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2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관련된 도면들이다.
도 42 내지 도 44는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컬러시프트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비교 실시예>
이하에서는 비교 실시예를 설명한다. 비교 실시예를 통하여,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의 컬러시프트 저감의 원리를 먼저 살펴본다. 이어서,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으로 인한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을 억제하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 반전의 개선에 효과적임을 살펴본다.
도 5 및 도 6은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방에 구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20)은 백그라운드층(background layer)(21)과 렌즈부(23)를 구비한다.
백그라운드층(21)는 광을 투과시키는 물질이 층을 이루어 형성된다. 백그라운드층(21)은 투명 고분자 수지, 특히 자외선 경화성 투명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23)는 소정 깊이로 음각으로 백그라운드층(21)에 형성된다. 렌즈부는 광을 굴절시켜, 컬러시프트를 개선한다. 렌즈부(23)는 색혼합(color mixing) 효과에 의해, 시청각이 증가함에 따라 색변화를 감소시킨다. 렌즈부 간 간격에 비해 렌즈부의 폭이 작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면의 법선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많이 투과시킬 수 있다.
렌즈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면의 법선 방향으로 발광되는 빛의 방향을 변화하여 법선에 벗어나는 방향으로 변경시키고, 디스플레이 패널 면의 법선에 벗어나는 방향으로 나오는 빛의 일부를 법선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즉, 렌즈부가 시청각에 따라 발광되는 빛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색혼합을 유도하여 컬러시프트를 개선할 수 있다.
렌즈부(23)는 다각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다각형단면 물결 패턴, 다각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다각형단면 벌집 패턴, 다각형단면 도트 패턴, 다각형단면 동심원 패턴, 반원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원형단면 물결 패턴, 반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원형단면 벌집 패턴, 반원형단면 도트 패턴, 반원형단면 동심원 패턴, 반타원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타원형단면 물결 패턴, 반타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타원형단면 벌집 패턴, 반타원형단면 도트 패턴, 반타원형단면 동심원 패턴, 반오벌(oval)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오벌단면 물결 패턴, 반오벌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오벌단면 벌집 패턴, 반오벌단면 도트 패턴, 및 반오벌단면 동심원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다각형단면은, 삼각형단면, 사다리꼴단면, 사각형단면, 등일 수 있다. 또한, 반오벌단면은 원호 및 타원호 이외의 기타 곡선 궤적을 그릴 수 있다. 또한, 반원형, 반타원형 및 반오벌은, 각각 원형, 타원형 및 오벌을 정확히 1/2로 나눈 도형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렌즈부의 단면 중 일부가 원호, 타원호, 포물선을 포함하는 도형을 의미한다. 즉, 양변이 타원호이고 바텀(Bottom)이 직선인 도형도 상기 반타원형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단면이 좌우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에도, 수평 스트라이프 패턴, 수직 스트라이프 패턴, 등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하 시청각 보상에 효과적이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좌우 시청각 보상에 효과적이다.
모아레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렌즈부(23)는 백그라운드층(21)의 변에 대하여 소정의 바이어스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 스트라이프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렌즈부(23)는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가 백그라운드층(21)의 일면에 일정한 주기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다.
렌즈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마주하는 백그라운드층의 배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시청자를 마주하는 백그라운드층의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렌즈부는 백그라운드층의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렌즈부는 복수 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의미는, 광학필름의 단면 상에서, 음각 렌즈부가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되고, 음각 렌즈부들 사이에 광을 투과시키는 백그라운드층의 평탄면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컨대 반타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의 렌즈부는, 비록 시청자 측에서 바라보면 매트릭스 패턴을 이루는 단일 렌즈부로 보여지지만, 광학필름의 단면 상에서는 복수 개의 반타원형단면 렌즈부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렌즈부에 해당된다.
도 8은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백그라운드층(21)은 지지체(backing)(2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25)는 자외선 투과성을 가지는 투명한 수지 필름 또는 유리 기판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염화비닐(PVC), TAC(TriAcetate Cellulos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체의 굴절률은 백그라운드층의 굴절률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부(23)를 형성하는 방법은, 지지체(25)의 일면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렌즈부의 거울 상이 표면에 형성된 성형 롤을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음각홈을 형성한다. 그 후, 다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렌즈부(23)가 형성된 백그라운드층(21)을 완성한다.
그러나,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열프레스법이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사출 성형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층의 음각홈을 얻을 수 있다.
도 9는 렌즈부의 깊이(D)/폭(W)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눈으로 구별되는 컬러시프트 정도는 △u'v'=0.004 이상이다. 따라서, 시청각 0도에서 60도 사이에서 최대 △u'v'=0.02 수준의 컬러시프트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컬러시프트 특성이 가장 우수한 S-IPS 패널 기준)이 눈으로 구별되는 컬러시프트 개선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색변화(color shift) 개선율이 20% 이상(최대 △u'v'=0.016 이하)이어야 한다. 도 9의 그래프에서 색변화 개선율이 20% 이상이 되려면 렌즈부 깊이/폭의 비가 0.25 이상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렌즈부의 깊이/렌즈부의 폭의 비가 6을 초과하면, 통상적인 렌즈부 형성 방법으로는 필름의 제조가 불가능하므로, 렌즈부의 깊이/렌즈부의 폭은 6 이하가 되어야 한다.
도 10은 렌즈부의 간격(c)/피치(P)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도 10의 그래프에서 컬러시프트 개선율이 20% 이상이 되려면,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의 피치의 비는 0.95 이하이어야 한다.
도 11은 렌즈부의 간격(C)/피치(P)의 비와 투과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 피치의 비가 클수록 필름 투과율은 상승한다. 필름 투과율이 50% 이상이 되어야 상품으로 가치가 있으며 투과율이 50%이상이 되려면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 피치의 비가 0.5 이상 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의 그래프로부터 바람직한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 피치는 0.5~0.95가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는 렌즈부의 단면의 모양과 이중상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렌즈부의 폭 27㎛, 깊이 81㎛, 피치 90㎛)의 곡률을 변화시키면서, 이중상(ghost)을 관찰한 결과 반타원형 단면을 갖는 렌즈부가 이중상 발생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반타원형에서 삼각형으로 갈수록, 즉 곡률이 감소할수록 고스트(허상)가 또렷하게 관찰된다. 도 13 내지 도 17는 원상의 휘도와 허상의 휘도 분포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이중상 및 헤이즈가 발생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 앞에 장착하는 경우,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으로부터 이격되고 그 거리가 커질수록 이중상이 뚜렷하다. 도 19은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 이중상이 발생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이중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상을 왜곡시키게 된다. 이에 컬러시프트를 저감시키면서도, 이중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더하여,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전술한 이중상의 문제뿐 아니라,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 사이의 평탄면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외광을 렌즈부가 확산시켜 헤이즈가 발생하는 문제도 갖는다. 즉,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과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한 외광이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과 공기(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공기) 사이의 계면, 그리고 공기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 또는 다중 반사된 후 렌즈부에 입사되고 그리고 나서 확산되어 헤이즈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명실명암비를 떨어뜨려 패널의 시인성을 저하시킨다. 이에,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의 이중상 발생 및 헤이즈 발생을 개선할 수 있는 해결책이 요구된다.
도 21 내지 도 23은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의 이중상 및 헤이즈 제거의 방안들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1는 비교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중상이 제거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3은 다른 비교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밀착시킴으로써, 이중상 및 헤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1과 같이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점착제(31)를 매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하거나, 도 23과 같이, 자가 점착성을 갖는 물질로 백그라운드층을 형성하고 그 백그라운드층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부착시킴으로써,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됨이 없이 단순 밀착되어, 그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밀착된 경우 이중상과 원상의 간격이 매우 작아서 구분하기 어렵다.
이때, 렌즈부는 시청자 측이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측을 향하는 것이 헤이즈 저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자가 점착성을 갖는 백그라운드층은, 자외선으로 경화가 가능한 투명 탄성 중합체(elastomer)로 이루어져 쉽게 디스플레이 패널과 직부착될 수 있다. 재료로는 아크릴계 일레스토머, 실리콘(silicone)계 일레스토머(PDMS), 우레탄계 일레스토머, 폴리비닐부티랄(PMB) 일레스토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EVA) 일레스토머, 폴리비닐에테르계 일레스토머, 포화무정형 폴리에스테르계 일레스토머, 멜라민수지계 일레스토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도 2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광에 의한 헤이즈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샘플 시청각 60도에서 측정한 휘도값
블랙 패널 1.73 nit
디스플레이 패널/공기/반타원형단면 렌즈부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12.27 nit
디스플레이 패널/PSA/반타원형단면 렌즈부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2.58 nit
디스플레이 패널/공기/PET 필름 3.87 nit
측정 방법은 외광 D65 240 lux 조건에 흑색 기판에 샘플을 붙이고 좌우 시청각 60도에서, 반사되는 빛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외광은 샘플의 위쪽에 존재하기 때문에, 정반사에 해당되는 부분은 샘플 아래쪽에서 관측이 가능하며, 난반사는 전(全) 방향에서 관측할 수 있다. 따라서, 샘플의 아래쪽이 아닌 측방 60도에서 난반사된 빛을 측정하여 외광에 의한 반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또는 직부착)된 경우, 측정된 반사 헤이즈는 2.58 nit로, 이격되어 공기층이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 매우 적으며, 심지어 렌즈부를 갖지 않는 PET 필름과 비교하여서도 반사 헤이즈가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7는 CCFL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2440MH)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SS320 고니오미터(goniometer)를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 0~60도까지 10도 간격으로 색좌표를 측정하여 컬러시프트로 환산하여 도 24을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25를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개선율이 25.5%(상) 및 65.4%(하)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CS-1000을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0도) 및 상하 30도 50도 각도에서 W,R,G,B의 그레이 레벨별 휘도를 측정하여 도 26을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27를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적용시 감마 커브의 선형성이 회복되어 계조 반전 현상이 개선되며, 각도별 감마 커브간의 변화가 상당히 축소되며, 감마 곡선의 왜곡이 줄어듬을 알 수 있었다.
도 28 내지 도 31은 LED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X2440)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SS320 고니오미터(goniometer)를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 0~60도까지 10도 간격으로 색좌표를 측정하여 컬러시프트로 환산하여 도 28를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29을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개선율이 30.9%(상) 및 63.5%(하)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CS-1000을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 30도 50도 각도에서 W,R,G,B의 그레이 레벨별 휘도를 측정하여 도 30을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31을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적용시 감마 커브의 선형성이 회복되어 계조 반전 현상이 개선되며, 각도별 감마 커브간의 변화가 상당히 축소되며, 감마 곡선의 왜곡이 줄어듬을 알 수 있었다.
도 32 내지 도 35은 S-PVA 패널을 채용한 46인치 LCD TV(모델명: LH46CSPLBC)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SS320 고니오미터(goniometer)를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 0~60도까지 10도 간격으로 색좌표를 측정하여 컬러시프트로 환산하여 도 32를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33을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개선율이 48.7%(좌) 및 53.7%(우)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감마 커브 왜곡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CS-1000을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과 좌측 30도 50도 각도에서 W,R,G,B의 그레이 레벨별 휘도를 측정하여 도 34을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35를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적용시 각도별 감마 커브간의 변화가 상당히 축소됨을 알 수 있었다.
도 36은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구비하지 않은 S-IPS 모드 LCD TV의 색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7는 도 36의 LCD TV에 자가 점착성을 갖는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렌즈부의 폭 30㎛, 깊이 60㎛, 피치 83㎛, 반타원형 단면)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고, 색변화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색변화 개선율은 50%를 나타내었다.
도 38 내지 도 40은 렌즈부의 사이즈와 이중상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1은 렌즈부의 사이즈와 모아레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자가 점착성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부착하고, 렌즈부의 피치가 45㎛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의 이중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렌즈부의 깊이/폭의 비와 렌즈부 간 간격/피치의 비를 만족하면서, 피치가 45㎛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피치가 0.01㎛ 이하인 경우, 상기한 빛의 반사, 굴절 또는 산란 효과에 의한 색 혼합(color mixing)보다는 필름의 굴절률과 공기의 굴절률의 중간인 박막처럼 작용하여 그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렌즈부의 피치는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표 2는 각 샘플의 렌즈부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이때, 렌즈부의 깊이/폭의 비와 렌즈부 간 간격/피치의 비는 모두 동일하다.
샘플(sample) 폭(Width)(㎛) 깊이(Depth)(㎛) 피치(Pitch)(㎛)
#6_ref. 20 62.5 90
#6_P1 10 31.25 45
#6_P2 6 18.75 27
#6_P3 4 12.5 18
도 38 내지 도 40은 원형(circular) 이미지를, 중심을 지나는 선을 따라 휘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을 지나는 선과 이미지가 만나게 되는 두 교차점에서, 샘플 #6_ref.에서는 두 개의 피크가 나타나는데 반하여, 도 38의 샘플 #6_P1, 도 39의 샘플 #6_P2, 도 40의 샘플 #6_P3으로 갈수록, 이중상 발생이 저감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플 #6_ref.에서는 모아레가 발생되는데 반하여, 샘플 #6_P1에서는 모아레가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
지금까지 비교 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앞쪽에 배치함으로써 컬러시프트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 반전을 개선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앞쪽에 밀착시켜 배치함으로써, 이중상 및 헤이즈 문제를 개선할 수 있었다.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및 계조 반전 개선 그리고 이중상 및 헤이즈 저감의 원리 및 구성은, 본 발명에서도 핵심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더하여, 구배굴절률(Gradient Index)의 개념을 도입하여, i) 헤이즈 증가로 인한 화질의 sharpness 저하 및 명실명암비 저하, ii) 이중상 증가, 등의 문제를 더욱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42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포함한다.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은 전형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 전방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서 액정층의 전방에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광학필름은 백그라운드층(21)과 렌즈부(24)를 포함한다. 광학필름은, 액정층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하여 시청각도 및 계조수준에 따라 다른 색으로 상기 액정층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에서, 상기 렌즈부에 입사된 빛의 출사 방향을 분산시켜, 서로 이격된 상기 렌즈부 사이를 통과하는 빛과 혼합시킨다.
렌즈부의 굴절률과 백그라운드층의 굴절률은 렌즈부의 굴절률로부터 점진적으로 백그라운드층의 굴절률로 변화되는 굴절률 구배를 가진다. 여기서, "점진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변화를 의미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연속적인 변화도 가능하며, 이 경우 후술하는 n의 크기가 적어도 2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며, 크면 클수록 연속적인 변화에 가깝게 되기 때문에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렌즈부는 폭 방향(x 방향)을 따라 1차원 굴절률 구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렌즈부와 인접하는 백그라운드층의 소정 부위를 1B부위라 하고, 1B부위와 인접하는 렌즈부의 부위를 1L부위라 하고, 1L부위보다 더 1B부위로부터 먼 렌즈부의 부위를 nL부위라 할때, 1L부위의 굴절률은 상기 nL부위의 굴절률보다 더 1B부위의 굴절률에 가까울 수 있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예컨대, n이 2라 할 때, 도 42의 사다리꼴단면 렌즈부의 중심 부위를 2L부위라 하고, 사다리꼴단면 렌즈부의 사변에 인접하는 부위들을 1L부위라 하며, 이 1L부위와 가까운 백그라운드층의 부위를 1B부위라 할 때, 1B부위의 굴절률는 2L부위의 굴절률보다는 1L부위의 굴절률과 가깝다.
여기서, 1B부위, 1L부위 및 nL부위는,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렌즈부가 폭 방향을 따라 1차원 굴절률 구배를 가질 수 있다.
삭제
또한, 렌즈부는 그 깊이 방향(z 방향)을 따른 중심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굴절률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백그라운드층은 렌즈부의 폭 방향을 따라 1차원 굴절률 구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백그라운드층과 인접하는 렌즈부의 소정 부위를 1L부위라 하고, 1L부위와 인접하는 백그라운드층의 부위를 1B부위라 하고, 1B부위보다 더 1L부위로부터 먼 백그라운드층의 부위를 nB부위라 할때, 1B부위의 굴절률은 상기 nB부위의 굴절률보다 더 1L부위의 굴절률에 가까울 수 있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여기서, 1L부위, 1B부위 및 nB부위는, 렌즈부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백그라운드층이 렌즈부의 폭 방향을 따라 1차원 굴절률 구배를 가질 수 있다.
삭제
또한, 백그라운드층은 렌즈부의 깊이 방향을 따른 중심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굴절률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렌즈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지지체의 일면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렌즈부의 거울 상이 표면에 형성된 성형 롤을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음각홈을 형성한다. 그 후, 다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음각홈이 형성된 백그라운드층을 완성한다. 그리고 나서, 음각홈에 저굴절률의 모노머를 과량 함유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음각홈에 충진시킨 후 고온(예컨대 80도 정도) 처리 후 자외선 경화시켜 렌즈부를 형성한다. 고온 열처리 동안에 모노머가 경화된 백그라운드층으로 미그레이션(Migration) 및 확산되어 굴절률이 구배를 보이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렌즈부 및 백그라운드층 모두가 굴절률 구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다양한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2에서는, 렌즈부(24)가 백그라운드층(21)에 매입(buried)된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비교실시예들의 렌즈부는 음각 구조를 가짐으로써, 백그라운드층의 굴절률과 음각 렌즈부 내의 공기의 굴절률(대략 1)은 큰 차이를 갖는다. 이로 인하여, 음각 렌즈부에 의한 빛의 굴절 및 반사에 의하여 이중상 생성이 상대적으로 큰 한계를 갖는다. 또한, 음각 렌즈부에 의해 생성된 투과 및 반사 헤이즈에 의해 명실명암비 및 이미지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좋지 못한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기를 대신하여 구배굴절률 렌즈부를 두어, 급격한 굴절률 차이에 의한 반사를 줄임으로써, 헤이즈 및 이중상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구배굴절률 렌즈부(24)의 배치 형태는 매우 다양하며 그 크기 또한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빛의 확산 정도 및 정면 투과율은 렌즈부의 폭(width)과 피치 (pitch)에 따라 변화한다. 피치가 너무 좁을 경우 정면으로 출광되는 빛이 감소하게 되어 정면 투과율이 큰 폭으로 떨어지게 되나 많은 양의 정면 빛이 측면에서 혼합되게 되므로 컬러시프트나 계조 왜곡은 크게 향상 될수 있다. 따라서 정면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컬러시프트나 계조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렌즈부의 설계 및 최적화가 중요하다.
좌우 혹은 상하와 같이 특정 한 방향으로만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1차원 굴절률 구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TN, PVA, IPS 등 모드에 따라 구별하지 않고 적용할 수 있으며 그 효과 역시 액정 모드에 따라 조금씩 상이할 수 있다.
도 43 및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 보호용 투명 기판(2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안티포크필름, 반사방지필름, 편광필름, 위상차(phase retardation) 필름, 등 다양한 기능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설명 도면 부호 32는 점착제층을 나타낸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층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점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재료로서, 아크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비닐부티랄 접착제(PMB),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EVA), 폴리비닐에테르, 포화무정형 폴리에스테르, 멜라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컬러시프트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LCD 장치 내 액정물질의 복굴절에 의해서 나타나는 컬러시프트를 결과값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Monte carlo method의 광학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청각에 따른 색좌표값을 시뮬레이션하였다.
구배굴절률 렌즈부(24)가 색혼합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Bare LCD TV를 모델링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었고, 그 TV 전면에 구배굴절률 렌즈부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을 배치 후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은 후, 이들을 비교하였다. 폭이 45㎛이고 깊이가 50㎛인 구배굴절률 렌즈부를 좌우 방향으로만 피치 90㎛으로 임의로 배치할 경우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도 45와 같았다.
위 시뮬레이션의 기준이 되는 Bare LCD TV는 PVA모드의 LED 백라이트 LCD TV이며, 결과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 컬러시프트가 30%이상 개선되는 결과를 얻었다.

Claims (18)

  1. 층을 이루는 백그라운드층과
    상기 백그라운드층에 형성되는 복수의 렌즈부를 포함하고,
    액정층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하여 시청각도 및 계조수준에 따라 다른 색으로 상기 액정층으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에서, 상기 렌즈부에 입사된 빛의 출사 방향을 분산시켜, 서로 이격된 상기 렌즈부 사이를 통과하는 빛과 혼합시키되,
    상기 렌즈부는, 상기 백그라운드층과 인접하는 1L부위를 갖고,
    상기 백그라운드층은 1B부위 내지 nB부위를 갖되, 상기 1B부위는 상기 nB부위보다 더 상기 1L부위에 가깝고,
    상기 1B부위의 굴절률은 상기 nB부위의 굴절률보다 더 상기 1L부위의 굴절률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L부위, 상기 1B부위 내지 상기 nB부위는 상기 렌즈부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렌즈부의 폭 방향을 따라 1차원 굴절률 구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 이상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층은, 상기 렌즈부와 인접하는 1B부위를 갖고,
    상기 렌즈부는 1L부위 내지 nL부위를 갖되, 상기 1L부위는 상기 nL부위보다 더 상기 1B부위에 가깝고,
    상기 1L부위의 굴절률은 상기 nL부위의 굴절률보다 더 상기 1B부위의 굴절률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B부위, 상기 1L부위 내지 상기 nL부위는 상기 렌즈부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렌즈부의 폭 방향을 따라 1차원 굴절률 구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 이상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폭 방향을 따른 굴절률 구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깊이 방향을 따른 중심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굴절률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다각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다각형단면 물결 패턴, 다각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다각형단면 벌집 패턴, 다각형단면 도트 패턴, 다각형단면 동심원 패턴, 반원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원형단면 물결 패턴, 반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원형단면 벌집 패턴, 반원형단면 도트 패턴, 반원형단면 동심원 패턴, 반타원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타원형단면 물결 패턴, 반타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타원형단면 벌집 패턴, 반타원형단면 도트 패턴, 반타원형단면 동심원 패턴, 반오벌(oval)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오벌단면 물결 패턴, 반오벌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오벌단면 벌집 패턴, 반오벌단면 도트 패턴, 및 반오벌단면 동심원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백그라운드층에 매입(buried)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층은 자가 점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14. 제1항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의 상기 렌즈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대향하는 상기 백그라운드층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은 점착제를 매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층은 자가 점착성을 가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49041A 2011-05-24 2011-05-24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8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041A KR101208022B1 (ko) 2011-05-24 2011-05-24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13/477,570 US20120300159A1 (en) 2011-05-24 2012-05-22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JP2012117261A JP2012242842A (ja) 2011-05-24 2012-05-23 カラーシフト低減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具備する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EP12169187A EP2527881A1 (en) 2011-05-24 2012-05-24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CN2012101647382A CN102830458A (zh) 2011-05-24 2012-05-24 用于降低色偏的光学膜和具有该光学膜的液晶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041A KR101208022B1 (ko) 2011-05-24 2011-05-24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022B1 true KR101208022B1 (ko) 2012-12-05

Family

ID=4654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041A KR101208022B1 (ko) 2011-05-24 2011-05-24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300159A1 (ko)
EP (1) EP2527881A1 (ko)
JP (1) JP2012242842A (ko)
KR (1) KR101208022B1 (ko)
CN (1) CN1028304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5740B (zh) * 2015-06-23 2018-12-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视角扩大膜及包括其的广视角薄膜晶体管液晶显示装置
CN105824060B (zh) * 2016-03-14 2017-12-05 北川瑞辉科技有限公司 提高明室对比度功能膜
JP6922880B2 (ja) * 2017-04-19 2021-08-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構造体および表示装置
JP6447654B2 (ja) * 2017-04-19 2019-0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構造体および表示装置
JP6650132B2 (ja) * 2018-04-09 2020-02-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構造体および表示装置
CN111323961B (zh) 2017-04-19 2020-11-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结构体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446A (en) 1996-12-18 2000-08-15 Blankenbecler; Richard Color separation optical plate for use with LCD panel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55897T1 (de) * 1990-05-21 1997-08-15 Nashua Corp Mikrolinsen-bildschirme aus photopolymerisierbaren materialien und verfahren zur ihrer herstellung
JP2679642B2 (ja) * 1994-09-01 1997-11-19 日本電気株式会社 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4123294B2 (ja) * 1995-11-10 2008-07-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570710B1 (en) * 1999-11-12 2003-05-27 Reflexite Corporation Subwavelength optical microstructure light collimating films
US7538844B2 (en) * 2005-04-29 2009-05-26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ulti-domain in-plane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s with interleaved common and pixel chevron-shaped electrodes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divide electrode structure into two regions
US7317579B2 (en) * 2005-08-11 2008-01-0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graded-index microlenses
WO2008072599A1 (ja) * 2006-12-11 2008-06-19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
JP2008275761A (ja) * 2007-04-26 2008-11-13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7701636B2 (en) * 2008-03-06 2010-04-20 Aptina Imaging Corporation Gradient index microlenses and method of formation
CN101625428A (zh) * 2008-07-11 2010-01-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扩散板
JP2010080007A (ja) * 2008-09-26 2010-04-08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1557267B1 (ko) * 2009-10-15 2015-10-06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8698985B2 (en) * 2009-11-30 2014-04-15 Samsung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CD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00770B1 (ko) * 2011-01-11 2012-11-13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446A (en) 1996-12-18 2000-08-15 Blankenbecler; Richard Color separation optical plate for use with LCD pa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00159A1 (en) 2012-11-29
EP2527881A1 (en) 2012-11-28
CN102830458A (zh) 2012-12-19
JP2012242842A (ja)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544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21470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0770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8022B1 (ko)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0769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8021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002281A1 (en) Phase difference element and display unit
KR1011958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0768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1105469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plural display panels and surface irregularities
TW202323872A (zh) 顯示器
KR101181952B1 (ko)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18864B1 (ko) 눈부심방지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장치
KR101490775B1 (ko)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22551775A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20100128385A (ko) 컬러시프트저감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컬러시프트저감필름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