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470B1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470B1
KR101221470B1 KR1020110050615A KR20110050615A KR101221470B1 KR 101221470 B1 KR101221470 B1 KR 101221470B1 KR 1020110050615 A KR1020110050615 A KR 1020110050615A KR 20110050615 A KR20110050615 A KR 20110050615A KR 101221470 B1 KR101221470 B1 KR 101221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hift
liquid crystal
layer
crystal display
optica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2040A (ko
Inventor
이진훈
염지윤
정상철
손인성
박승원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0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470B1/ko
Priority to JP2012118305A priority patent/JP2012247781A/ja
Priority to EP12169211A priority patent/EP2527882A1/en
Priority to US13/480,795 priority patent/US20120300160A1/en
Priority to CN2012101668158A priority patent/CN102799016A/zh
Publication of KR2012013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9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cal effect, e.g. anti-reflection or filt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2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viewer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구비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는, 컬러시프트 저감층과; 외광차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층을 이루는 백그라운드층과 상기 백그라운드층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 또는 양각 렌즈부를 포함하고, 액정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하여 시청각도 및 계조수준에 따라 다른 색으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에서, 렌즈부에 입사된 빛의 출사 방향을 분산시켜, 서로 이격된 상기 렌즈부 사이를 통과하는 빛과 혼합시키고, 상기 외광차폐층은 광흡수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흡수 물질은 가시광선의 전 파장대를 흡수하는 흑색 물질이다.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CD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각 또는 양각의 렌즈부를 갖는 컬러시프트 저감층과 광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외광차폐층을 구비하여 시청각에 따른 컬러시프트를 개선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고도로 정보화 되어감에 따라서 이미지 디스플레이(image display) 관련 부품 및 기기가 현저하게 진보하고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장치용,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장치용, 등으로서 현저하게 보급되고 있으며, 대형화와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하나로써,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LCD의 기본 구조와 구동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종래의 VA 모드 LCD를 예로 들면, 두 개의 편광필름(110, 120)의 광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투명 전극(140)이 코팅된 두 개의 투명 기판(130) 사이에 복굴절 특성을 보이는 액정분자(150)가 삽입, 배열된다. 구동 전원부(180)에 의해 전기장이 인가되면, 액정분자가 전기장에 수직으로 움직여 배열된다.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빛은 제1 편광필름(120)을 통과한 후 선편광이 되고,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off 상태인 경우 액정은 기판에 대해 수직 배향되어 있으므로, 선편광된 빛은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제1 편광필름(120)과 수직인 제2 편광필름(11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 상태인 경우 액정은 전기장에 의해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두 직교 편광필름(110, 120)의 광축 사이에 수평 배향되어 있어서 제1 편광필름을 통해 선편광된 빛은 액정분자를 통하면서 제2 편광필름에 도달하기 직전에 편광 상태가 90도 회전된 선편광, 원편광 또는 타원편광 상태로 변화하여 제2 편광필름을 통과하게 된다. 전기장의 세기를 조절하면 액정의 배열 상태가 수직 배향에서 점차 수평 방향으로 배향 각도가 변화하며 이때 나오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시청각에 따른 액정의 배향 상태와 광투과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화소(220) 내에 액정분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시청각에 따라 배열 상태가 다르게 보이게 된다.
정면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210),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는 거의 수평 배향(212)으로 보이게 되며, 화면이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게 된다. 화면의 정면에서 볼 때(230),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232) 화소(220) 내의 액정분자의 배열과 동일하게 보인다. 정면의 우측에서 바라볼 때(250),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는 수직 배향(252)으로 보이게 되며, 화면이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게 된다.
따라서, LCD는 시청각 변화에 따른 빛의 세기와 색의 변화가 발생하며 자발광 디스플레이에 비해 시야각이 크게 제한된다. 따라서, 시야각 개선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도 3은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를 두 개의 부분 화소, 즉 제1 화소부(320)과 제2 화소부(340)로 분할하여 각 화소부의 액정 배열 상태가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한다. 시청자가 보는 방향에 따라 제1 화소부(320)에서의 액정의 배열 상태와 제2 화소부(340)에서의 액정의 배열 상태가 동시에 보이게 되며, 시청자에게 보이는 빛의 세기는 각각의 화소부의 빛의 세기의 합이 된다.
즉, 정면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310), 제1 화소부(320)의 액정은 수평 배향(312)으로 보이고 제2 화소부(340)의 액정은 수직 배향(314)으로 보이게 되며, 제1 화소부(320)에 의해 화면이 밝게 보일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정면의 우측에서 바라볼 때(350), 제1 화소부(320)의 액정은 수직 배향(352)으로 보이고 제2 화소부(340)의 액정은 수평 배향(354)으로 보이게 되며, 제2 화소부(340)에 의해 화면이 밝게 보일 수 있게 된다. 정면에서 볼 때(330)는 각 화소부의 배열 상태와 동일하게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가 볼 때 화면의 밝기는 시청각이 변함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해지며 화면에 대한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이 된다. 따라서, 시청각 변화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색변화 정도가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굴절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성이 LCD 패널에서 화소(440) 내의 액정분자와 동일하며,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와 대칭이 되는 광학필름(420)이 추가된다. 시청자가 보는 방향에 따라 화소(440) 내의 액정의 배열 상태와 광학필름(420)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해, 시청자에게 보이는 빛의 세기는 각각에 의한 빛의 세기의 합이 된다.
즉, 정면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410), 화소(440) 내의 액정은 수평 배향(414)으로 보이고 광학필름(420)에 의한 가상 액정은 수직 배향(412)으로 보이게 되며, 빛의 세기는 각각의 합이 된다. 마찬가지로, 정면의 우측에서 바라볼 때(450), 화소(440) 내의 액정은 수직 배향(454)으로 보이고 광학필름(420)에 의한 가상 액정은 수평 배향(452)으로 보이게 되며, 빛의 세기는 각각의 합이 된다. 정면에서 볼 때(430)는 화소(440) 내의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와 광학필름(420)의 배열 상태가 각각 동일하게 보이게 된다(432, 434).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더라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전히 시청각에 따른 컬러 시프트(color shift)는 존재하여 시청각이 증가함에 따라 색변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광학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TN 모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 반전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청각 증가에 따른 컬러 시프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시프트 현상을 개선하면서도,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반전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외광에 의한 헤이즈 발생 및 명실명암비 저하를 더욱 개선할 수 잇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구비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로서, 컬러시프트 저감층과; 외광차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층을 이루는 백그라운드층과 상기 백그라운드층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 또는 양각 렌즈부를 포함하고, 액정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하여 시청각도 및 계조수준에 따라 다른 색으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에서, 렌즈부에 입사된 빛의 출사 방향을 분산시켜, 서로 이격된 상기 렌즈부 사이를 통과하는 빛과 혼합시키고, 상기 외광차폐층은 광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흡수 물질은, 가시광선의 전 파장대를 흡수하는 흑색 물질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청각 증가에 따른 컬러 시프트 현상을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을 확보하고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시프트 현상을 개선하면서도,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반전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광에 의한 헤이즈 발생 및 명실명암비 저하를 더욱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LCD의 기본 구조와 구동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시청각에 따른 액정의 배향 상태와 광투과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의 LCD의 시청각에 따른 컬러 시프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비교실시예들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층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렌즈부의 깊이/폭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렌즈부의 간격/피치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렌즈부의 간격/피치의 비와 투과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8는 렌즈부의 단면의 모양과 이중상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4은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디스플레이 패널과 밀착되게 설치하여,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5의 S-PVA 모드 LCD TV에 있어서, 자가 점착성을 갖는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고, 색변화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6은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구비하지 않은 S-IPS 모드 LCD TV의 색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7는 도 26의 LCD TV에 자가 점착성을 갖는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고, 색변화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8 내지 도 31는 CCFL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2440MH)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5은 LED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X2440)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6 내지 도 39는 S-PVA 패널을 채용한 46인치 LCD TV(모델명: LH46CSPLBC)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0 내지 도 42는 렌즈부의 사이즈와 이중상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3은 렌즈부의 사이즈와 모아레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비교 실시예>
이하에서는 비교 실시예를 설명한다. 비교 실시예를 통하여, 컬러시프트 저감층의 컬러시프트 저감의 원리를 먼저 살펴본다. 이어서, 컬러시프트 저감층으로 인한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을 억제하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 반전의 개선에 효과적임을 살펴본다.
도 6 및 도 7은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전형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방에 구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시프트 저감층(20)은 백그라운드층(background layer)(21)과 렌즈부(23)를 구비한다.
백그라운드층(21)는 광을 투과시키는 물질이 층을 이루어 형성된다. 백그라운드층(21)은 투명 고분자 수지, 특히 자외선 경화성 투명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23)는 소정 깊이로 음각 또는 양각으로 백그라운드층(21)에 형성된다. 렌즈부는 광을 굴절시켜, 컬러시프트를 개선한다. 렌즈부(23)는 색혼합(color mixing) 효과에 의해, 시청각이 증가함에 따라 색변화를 감소시킨다. 렌즈부 간 간격에 비해 렌즈부의 폭이 작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면의 법선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많이 투과시킬 수 있다.
렌즈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면의 법선 방향으로 발광되는 빛의 방향을 변화하여 법선에 벗어나는 방향으로 변경시키고, 디스플레이 패널 면의 법선에 벗어나는 방향으로 나오는 빛의 일부를 법선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즉, 렌즈부가 시청각에 따라 발광되는 빛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색혼합을 유도하여 컬러시프트를 개선할 수 있다.
렌즈부(23)는 다각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다각형단면 물결 패턴, 다각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다각형단면 벌집 패턴, 다각형단면 도트 패턴, 반원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원형단면 물결 패턴, 반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원형단면 벌집 패턴, 반원형단면 도트 패턴, 반타원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타원형단면 물결 패턴, 반타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타원형단면 벌집 패턴, 반타원형단면 도트 패턴, 반오벌(oval)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오벌단면 물결 패턴, 반오벌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오벌단면 벌집 패턴 및 반오벌단면 도트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다각형단면은, 삼각형단면, 사다리꼴단면, 사각형단면, 등일 수 있다. 또한, 반오벌단면은 원호 및 타원호 이외의 기타 곡선 궤적을 그릴 수 있다. 또한, 반원형, 반타원형 및 반오벌은, 각각 원형, 타원형 및 오벌을 정확히 1/2로 나눈 도형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렌즈부의 단면 중 일부가 원호, 타원호, 포물선을 포함하는 도형을 의미한다. 즉, 양변이 타원호이고 바텀(Bottom)이 직선인 도형도 상기 반타원형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단면이 좌우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에도, 수평 스트라이프 패턴, 수직 스트라이프 패턴, 등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하 시청각 보상에 효과적이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좌우 시청각 보상에 효과적이다.
모아레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렌즈부(23)는 백그라운드층(21)의 변에 대하여 소정의 바이어스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 스트라이프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렌즈부(23)는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가 백그라운드층(21)의 일면에 일정한 주기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 6에서는 렌즈부(23)가 백그라운드층(21)에 대하여 음각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렌즈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마주하는 백그라운드층의 배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시청자를 마주하는 백그라운드층의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렌즈부는 백그라운드층의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렌즈부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의미는, 광학필름의 단면 상에서, 렌즈부가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되고, 렌즈부들 사이에 광을 투과시키는 백그라운드층의 평탄면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컨대 반타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의 렌즈부는, 비록 시청자 측에서 바라보면 매트릭스 패턴을 이루는 단일 렌즈부로 보여지지만, 광학필름의 단면 상에서는 복수 개의 반타원형단면 렌즈부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렌즈부에 해당된다.
도 9는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백그라운드층(21)은 백킹(backing)(2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백킹(25)은 자외선 투과성을 가지는 투명한 수지 필름 또는 유리 기판이 바람직하다. 백킹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염화비닐(PVC), TAC(TriAcetate Cellulos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백킹의 굴절률은 백그라운드층의 굴절률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부(23)를 형성하는 방법은, 백킹(25)의 일면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렌즈부의 거울 상이 표면에 형성된 성형 롤을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음각홈을 형성한다. 그 후, 다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렌즈부(23)가 형성된 백그라운드층(21)을 완성한다.
그러나,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열프레스법이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사출 성형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층의 음각홈을 얻을 수 있다.
도 10은 렌즈부의 깊이(D)/폭(W)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눈으로 구별되는 컬러시프트 정도는 △u'v'=0.004 이상이다. 따라서, 시청각 0도에서 60도 사이에서 최대 △u'v'=0.02 수준의 컬러시프트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컬러시프트 특성이 가장 우수한 S-IPS 패널 기준)이 눈으로 구별되는 컬러시프트 개선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색변화(color shift) 개선율이 20% 이상(최대 △u'v'=0.016 이하)이어야 한다. 도 10의 그래프에서 색변화 개선율이 20% 이상이 되려면 렌즈부 깊이/폭의 비가 0.25 이상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렌즈부의 깊이/렌즈부의 폭의 비가 6을 초과하면, 통상적인 렌즈부 형성 방법으로는 필름의 제조가 불가능하므로, 렌즈부의 깊이/렌즈부의 폭은 6 이하가 되어야 한다.
도 11은 렌즈부의 간격(c)/피치(P)의 비와 컬러시프트 개선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도 11의 그래프에서 컬러시프트 개선율이 20% 이상이 되려면,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의 피치의 비는 0.95 이하이어야 한다.
도 12는 렌즈부의 간격(C)/피치(P)의 비와 투과율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 피치의 비가 클수록 필름 투과율은 상승한다. 필름 투과율이 50% 이상이 되어야 상품으로 가치가 있으며 투과율이 50%이상이 되려면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 피치의 비가 0.5 이상 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의 그래프로부터 바람직한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 피치는 0.5~0.95가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8는 렌즈부의 단면의 모양과 이중상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렌즈부의 폭 27㎛, 깊이 81㎛, 피치 90㎛)의 곡률을 변화시키면서, 이중상(ghost)을 관찰한 결과 반타원형 단면을 갖는 렌즈부가 이중상 발생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반타원형에서 삼각형으로 갈수록, 즉 곡률이 감소할수록 고스트(허상)가 또렷하게 관찰된다. 도 14 내지 도 18는 원상의 휘도와 허상의 휘도 분포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이중상 및 헤이즈가 발생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디스플레이 패널 앞에 장착하는 경우,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으로부터 이격되고 그 거리가 커질수록 이중상이 뚜렷하다. 도 20은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 이중상이 발생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이중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상을 왜곡시키게 된다. 이에 컬러시프트를 저감시키면서도, 이중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더하여,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전술한 이중상의 문제뿐 아니라,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 사이의 평탄면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외광을 렌즈부가 확산시켜 헤이즈가 발생하는 문제도 갖는다. 즉, 컬러시프트 저감층과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한 외광이 컬러시프트 저감층과 공기(컬러시프트 저감층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공기) 사이의 계면, 그리고 공기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 또는 다중 반사된 후 렌즈부에 입사되고 그리고 나서 확산되어 헤이즈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명실명암비를 떨어뜨려 패널의 시인성을 저하시킨다. 이에, 컬러시프트 저감층의 이중상 발생 및 헤이즈 발생을 개선할 수 있는 해결책이 요구된다.
도 22 내지 도 24은 컬러시프트 저감층의 이중상 및 헤이즈 제거의 방안들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2는 비교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중상이 제거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4은 비교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저감층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밀착시킴으로써, 이중상 및 헤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2과 같이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점착제(31)를 매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하거나, 도 24과 같이, 자가 점착성을 갖는 물질로 백그라운드층을 형성하고 그 백그라운드층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부착시킴으로써,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됨이 없이 단순 밀착되어, 그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밀착된 경우 이중상과 원상의 간격이 매우 작아서 구분하기 어렵다.
이때, 렌즈부는 시청자 측이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측을 향하는 것이 헤이즈 저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는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자가 점착성을 갖는 백그라운드층은, 자외선으로 경화가 가능한 투명 탄성 중합체(elastomer)로 이루어져 쉽게 디스플레이 패널과 직부착될 수 있다. 재료로는 아크릴계 일레스토머, 실리콘(silicone)계 일레스토머(PDMS), 우레탄계 일레스토머, 폴리비닐부티랄(PMB) 일레스토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EVA) 일레스토머, 폴리비닐에테르계 일레스토머, 포화무정형 폴리에스테르계 일레스토머, 멜라민수지계 일레스토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도 22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광에 의한 헤이즈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샘플 시청각 60도에서 측정한 휘도값
블랙 패널 1.73 nit
디스플레이 패널/공기/반타원형단면 렌즈부의 컬러시프트 저감층 12.27 nit
디스플레이 패널/PSA/반타원형단면 렌즈부의 컬러시프트 저감층 2.58 nit
디스플레이 패널/공기/PET 필름 3.87 nit
측정 방법은 외광 D65 240 lux 조건에 흑색 기판에 샘플을 붙이고 좌우 시청각 60도에서, 반사되는 빛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외광은 샘플의 위쪽에 존재하기 때문에, 정반사에 해당되는 부분은 샘플 아래쪽에서 관측이 가능하며, 난반사는 전(全) 방향에서 관측할 수 있다. 따라서, 샘플의 아래쪽이 아닌 측방 60도에서 난반사된 빛을 측정하여 외광에 의한 반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컬러시프트 저감층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또는 직부착)된 경우, 측정된 반사 헤이즈는 2.58 nit로, 이격되어 공기층이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 매우 적으며, 심지어 렌즈부를 갖지 않는 PET 필름과 비교하여서도 반사 헤이즈가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25는 도 5의 S-PVA 모드 LCD TV에 있어서, 자가 점착성을 갖는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렌즈부의 폭은 30㎛, 깊이 60㎛, 피치 83㎛, 반타원형 단면)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고, 색변화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5의 색변화 개선율은 52%를 나타내었다.
도 26은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구비하지 않은 S-IPS 모드 LCD TV의 색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7는 도 26의 LCD TV에 자가 점착성을 갖는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렌즈부의 폭 30㎛, 깊이 60㎛, 피치 83㎛, 반타원형 단면)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고, 색변화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색변화 개선율은 50%를 나타내었다.
이 밖에, TN 모드 LCD도 마찬가지로 컬러시프트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TN 모드 액정 LCD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계조 반전 개선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1는 CCFL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2440MH)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SS320 고니오미터(goniometer)를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 0~60도까지 10도 간격으로 색좌표를 측정하여 컬러시프트로 환산하여 도 28을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층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29를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개선율이 25.5%(상) 및 65.4%(하)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CS-1000을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0도) 및 상하 30도 60도 각도에서 W,R,G,B의 그레이 레벨별 휘도를 측정하여 도 30을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층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31를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저감층 적용시 감마 커브의 선형성이 회복되어 계조 반전 현상이 개선되며, 각도별 감마 커브간의 변화가 상당히 축소되며, 감마 곡선의 왜곡이 줄어듬을 알 수 있었다.
도 32 내지 도 35은 LED BLU 및 TN 패널을 채용한 LCD 모니터(모델명: BX2440)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SS320 고니오미터(goniometer)를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 0~60도까지 10도 간격으로 색좌표를 측정하여 컬러시프트로 환산하여 도 32를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층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33을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개선율이 30.9%(상) 및 63.5%(하)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계조 반전 및 감마 커브 왜곡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CS-1000을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 30도 60도 각도에서 W,R,G,B의 그레이 레벨별 휘도를 측정하여 도 34을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층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35을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저감층 적용시 감마 커브의 선형성이 회복되어 계조 반전 현상이 개선되며, 각도별 감마 커브간의 변화가 상당히 축소되며, 감마 곡선의 왜곡이 줄어듬을 알 수 있었다.
도 36 내지 도 39은 S-PVA 패널을 채용한 46인치 LCD TV(모델명: LH46CSPLBC)에서,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에 의한 컬러시프트 개선과 감마 커브 왜곡의 개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SS320 고니오미터(goniometer)를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우 0~60도까지 10도 간격으로 색좌표를 측정하여 컬러시프트로 환산하여 도 36를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층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37을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개선율이 48.7%(좌) 및 53.7%(우)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감마 커브 왜곡 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기기로 CS-1000을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면과 좌측 30도 60도 각도에서 W,R,G,B의 그레이 레벨별 휘도를 측정하여 도 38을 얻었고, 컬러시프트 저감층 샘플을 패널에 직부착한 후 동일하게 측정하여 도 39를 얻었다. 그 결과, 컬러시프트 저감층 적용시 각도별 감마 커브간의 변화가 상당히 축소됨을 알 수 있었다.
도 40 내지 도 42는 렌즈부의 사이즈와 이중상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3은 렌즈부의 사이즈와 모아레 발생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과 밀착되게 설치하고, 렌즈부의 피치가 45㎛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의 이중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렌즈부의 깊이/폭의 비와 렌즈부 간 간격/피치의 비를 만족하면서, 피치가 45㎛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0.01㎛ 이하 크기의 렌즈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한 빛의 반사, 굴절 또는 산란 효과에 의한 색 혼합(color mixing)보다는 필름의 굴절률과 공기의 굴절률의 중간인 박막처럼 작용하여 그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렌즈부의 피치는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표 2는 각 샘플의 렌즈부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이때, 렌즈부의 깊이/폭의 비와 렌즈부 간 간격/피치의 비는 모두 동일하다.
샘플(sample) 폭(Width)(㎛) 깊이(Depth)(㎛) 피치(Pitch)(㎛)
#6_ref. 20 62.5 90
#6_P1 10 31.25 45
#6_P2 6 18.75 27
#6_P3 4 12.5 18
도 40 내지 도 42는 원형(circular) 이미지를, 중심을 지나는 선을 따라 휘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을 지나는 선과 이미지가 만나게 되는 두 교차점에서, 샘플 #6_ref.에서는 두 개의 피크가 나타나는데 반하여, 도 40의 샘플 #6_P1, 도 41의 샘플 #6_P2, 도 42의 샘플 #6_P3으로 갈수록, 이중상 발생이 저감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플 #6_ref.에서는 모아레가 발생되는데 반하여, 샘플 #6_P1에서는 모아레가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
전술한 비교 실시예의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앞쪽에 배치함으로써 컬러시프트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앞쪽에 밀착시켜 배치함으로써, 이중상 및 헤이즈 문제를 해소할 수 있었다. 또한, 감마 커브 왜곡 및 계조 반전을 개선할 수 있었다.
비교실시예의 컬러시프트 및 계조 반전 개선을 위한 구성 그리고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 억제를 위한 구성은, 본 발명에서도 핵심 구성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더하여, 외광에 의한 헤이즈 발생 및 명실명암비 저하를 더욱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전술한 도 2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외광은 헤이즈를 발생시키고 명실명암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컬러시프트 저감층을 패널에 밀착시켜 상당 정도 헤이즈 저감 및 명실명암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컬러시프트 저감층과 패널로 입사한 외광은, 공기와 패널의 계면 그리고 공기와 컬러시프트 저감층의 계면에서 확산 반사되어 블랙 영상의 휘도값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명실명암비를 떨어뜨려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백그라운드층과 백킹 사이의 계면 그리고 백킹의 전면에서 일어나는 외광의 반사도, 반사 헤이즈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헤이즈로 인하여, 블랙 화면에서 휘도가 높아 화면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고, 블랙 휘도 증가로 명실 명암비가 증가하고, 시인성을 저하시킨다.
도 44은 명실명암비 향상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컬러시프트 저감층(20)과 외광차폐층(30)을 포함한다. 이 밖에, 백킹(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4의 광학필터는 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외광차폐층(30), 백킹(25) 및 컬러시프트 저감층(20)을 포함한다.
외광차폐층(30)은 광흡수 물질(31)을 포함한다. 외광차폐층(30)은 컬러시프트 저감층(20)보다는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광차폐층(30)은 흡수 특성이 블랙인 광흡수 물질, 즉, 가시광선 전파장에 대하여 흡수성을 갖는 흑색 광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흑색 광흡수 물질로 인하여, 외광차폐층의 투과색의 색좌표는 바람직하게는 D65 광원 하에서 L*이 50 이하, a* 및 b*는 -30 ~ +30의 값을 갖는다. 흑색 광흡수 물질은 카본 블랙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본 블랙 색소 3g(1wt% 용액 형태)을 MEK 용매 52g에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코팅하여 외광차폐층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외광차폐층은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광흡수 물질은 수지에 혼합되어 외광차폐층을 이룰 수 있다.
광흡수 물질을 백그라운드층 또는 백킹에 포함시켜, 별도의 외광차폐층 없이, 백그라운드층 또는 백킹이 외광차폐층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점착제층이 외광차폐층의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광흡수 물질은 점착제에 혼합된 형태를 가질 것이다. 또한, 외광차폐층은 다른 광학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다른 광학 기능성 층에 광흡수 물질을 포함시켜, 외광차폐층의 역할을 겸하도록 할 수 있다.
백킹(25)은 컬러시프트 저감층(20)과 외광차폐층(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컬러시프트 저감층과 외광차폐층은, 백킹의 배면 및 전면에 각각 직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 백킹으로 컬러시프트 저감층과 외광차폐층을 모두 지지할 수 있어, 백킹의 수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백킹(25)은 생략될 수 있다.
표 3은 외광차폐층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외광차폐층을 갖지 않는 비교 실시예의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패턴 형태 필터 구성 외광반사
헤이즈
(nit)
도트 패턴 컬러시프트 저감층 (렌즈부 시청자 방향) 34.46
컬러시프트 저감층(렌즈부 시청자 방향)/외광차폐층(PMMA+블랙 광흡수 물질) 3.85
반타원형단면 패턴 컬러시프트 저감층 (렌즈부 시청자 방향)/외광차폐층(PMMA+블랙 광흡수 물질) 1.53
컬러시프트 저감층 (렌즈부 패널 방향)/외광차폐층(PMMA+블랙 광흡수 물질) 1.5
컬러시프트 저감층 (렌즈부 내에 확산비드 1중량% 충진, 렌즈부 패널 방향 2.49
컬러시프트 저감층 (렌즈부 내에 확산비드 1중량% 충진, 렌즈부 패널 방향/외광차폐층(PMMA+블랙 광흡수 물질) 1.7
컬러시프트 저감층 (렌즈부 내에 0.3μm TiO2 확산비드 0.2중량% 충진, 렌즈부 패널 방향 7.77
컬러시프트 저감층 (렌즈부 내에 0.3μm TiO2 확산비드 0.2중량% 충진, 렌즈부 패널 방향/외광차폐층(PMMA+블랙 광흡수 물질) 3.05
컬러시프트 저감층 (렌즈부 내에 0.3μm TiO2 확산비드 0.5중량% 충진, 렌즈부 패널 방향 11.68
컬러시프트 저감층 (렌즈부 내에 0.3μm TiO2 확산비드 0.5중량% 충진, 렌즈부 패널 방향/외광차폐층(PMMA+블랙 광흡수 물질) 6.19
외광 반사 헤이즈는 외광이 반사되어 산란되는 정도를 나타내고, 낮을수록 바람직하다. 외광 반사 측정 방법은 외광이 패널 정면으로부터 상방 40도 위치에 있고 패널면에서의 조도가 300 lux 조건일 때, 패널에 샘플을 붙이고 좌우 50도 측방으로 반사되는 빛의 휘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광차폐층이 헤이즈를 저감시킴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는 패널 보호용 투명 기판, 안티포그층, 반사방지층, 편광필름, 위상차(phase retardation) 필름, 등 다양한 기능성 필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광학필터를 구성하는 각 구성층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점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재료로서, 아크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비닐부티랄 접착제(PMB),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EVA), 폴리비닐에테르, 포화무정형 폴리에스테르, 멜라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Claims (17)

  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구비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로서,
    컬러시프트 저감층과;
    외광차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층을 이루는 백그라운드층과 상기 백그라운드층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 또는 양각 렌즈부를 포함하고, 액정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하여 시청각도 및 계조수준에 따라 다른 색으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에서, 렌즈부에 입사된 빛의 출사 방향을 분산시켜, 서로 이격된 상기 렌즈부 사이를 통과하는 빛과 혼합시키고,
    상기 외광차폐층은 광흡수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렌즈부의 단면은 타원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물질은 가시광선의 전 파장대를 흡수하는 흑색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D65 광원 하에서 외광차폐층의 투과색의 색좌표가 L*이 50 이하, a* 및 b*는 -30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물질은 카본 블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 물질은 상기 백그라운드층에 포함되어, 상기 외광차폐층은, 상기 백그라운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차폐층은, 상기 광흡수 물질이 수지에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차폐층은, 상기 광흡수 물질이 점착제에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차폐층은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층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터는 백킹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층은 상기 백킹의 배면에 직코팅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광차폐층은 상기 백킹의 전면에 직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층은 자가 점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의 깊이/렌즈부의 폭의 비가 0.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 간 간격/렌즈부의 피치의 비가 0.5 ~ 0.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의 피치가 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15. 제1항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의 렌즈부는,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대향하는 상기 백그라운드층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는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50615A 2011-05-27 2011-05-27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21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615A KR101221470B1 (ko) 2011-05-27 2011-05-27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118305A JP2012247781A (ja) 2011-05-27 2012-05-24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用カラーシフト低減光学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具備する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EP12169211A EP2527882A1 (en) 2011-05-27 2012-05-24 Optical filter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13/480,795 US20120300160A1 (en) 2011-05-27 2012-05-25 Optical filter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CN2012101668158A CN102799016A (zh) 2011-05-27 2012-05-25 用于降低色偏的滤光器和具有该滤光器的液晶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615A KR101221470B1 (ko) 2011-05-27 2011-05-27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040A KR20120132040A (ko) 2012-12-05
KR101221470B1 true KR101221470B1 (ko) 2013-01-11

Family

ID=4654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615A KR101221470B1 (ko) 2011-05-27 2011-05-27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300160A1 (ko)
EP (1) EP2527882A1 (ko)
JP (1) JP2012247781A (ko)
KR (1) KR101221470B1 (ko)
CN (1) CN1027990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9230B2 (en) 2012-12-21 2015-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ms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KR101616918B1 (ko) 2013-05-31 2016-04-29 제일모직주식회사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201540758A (zh) * 2014-03-28 2015-11-01 Dow Corning 經組態以均等透射整個光譜的光之組成物及形成該組成物之方法
JP6159386B2 (ja) * 2014-12-31 2017-07-05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液晶表示装置用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CN104570538B (zh) * 2015-01-27 2017-1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20180062231A (ko) * 2016-11-30 2018-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상 필름, 반사방지 필름 및 표시 장치
CN107845668B (zh) 2017-11-14 2020-04-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KR102334956B1 (ko) * 2018-11-01 2021-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램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63889B1 (ko) 2019-01-11 2020-10-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18032B1 (ko) 2020-02-20 2021-10-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486A (ko) * 2008-07-01 2010-01-11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색보상 확산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3389A (ko) * 2009-08-31 2011-03-08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9642B2 (ja) * 1994-09-01 1997-11-19 日本電気株式会社 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2004294506A (ja) * 2003-03-25 2004-10-21 Wintek Corp フレネルレンズ反射層を持つ液晶ディスプレー
KR20050043073A (ko) * 2003-11-05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필터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EP1761806B1 (en) * 2004-06-17 2013-02-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n optical separating filter
US7889289B2 (en) * 2005-11-04 2011-02-15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prism sheet
TWI447443B (zh) * 2006-02-28 2014-08-01 Fujifilm Corp 偏光板及液晶顯示器
US8208097B2 (en) * 2007-08-08 2012-06-26 Samsung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Color compensation multi-layered member for display apparatus, optical filter for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90039546A (ko) * 2007-10-18 2009-04-22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외광 차폐 필름 및 그를 구비하는 표시장치용 필터
US8427768B2 (en) * 2008-09-22 2013-04-23 Samsung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Optical filter for compensating for color shift provided in front of a display panel of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601634B1 (ko) * 2008-12-04 2016-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JP5946236B2 (ja) * 2009-07-06 2016-07-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557267B1 (ko) * 2009-10-15 2015-10-06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52959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필터기판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486A (ko) * 2008-07-01 2010-01-11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색보상 확산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23389A (ko) * 2009-08-31 2011-03-08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040A (ko) 2012-12-05
JP2012247781A (ja) 2012-12-13
US20120300160A1 (en) 2012-11-29
EP2527882A1 (en) 2012-11-28
CN102799016A (zh)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470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0770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29544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0769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8021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8022B1 (ko)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58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0768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81952B1 (ko)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66411A (ko) 눈부심방지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장치
KR101181951B1 (ko)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490775B1 (ko)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20077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6220B1 (ko) 컬러시프트저감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컬러시프트저감필름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