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768B1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768B1
KR101200768B1 KR1020110003525A KR20110003525A KR101200768B1 KR 101200768 B1 KR101200768 B1 KR 101200768B1 KR 1020110003525 A KR1020110003525 A KR 1020110003525A KR 20110003525 A KR20110003525 A KR 20110003525A KR 101200768 B1 KR101200768 B1 KR 101200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liquid crystal
color shift
pattern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174A (ko
Inventor
박성식
박승원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3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768B1/ko
Priority to JP2012002576A priority patent/JP2012145943A/ja
Priority to US13/348,220 priority patent/US20120182502A1/en
Priority to EP12150953A priority patent/EP2477061A3/en
Priority to CN2012100109147A priority patent/CN102590921A/zh
Publication of KR20120082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6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with positional variation of the diffusing properties, e.g. gradient or patterned diffus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구비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으로서, 층을 이루는 백그라운드층과 상기 백그라운드층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 렌즈부와, 상기 음각 렌즈부 내에 부분 충진된 부분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충진부는 광확산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분충진부는, 상기 광확산물질이 기재에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광확산물질과 상기 기재의 굴절률은 서로 다르다.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CD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각 렌즈부 및 부분충진부를 구비하여 시청각에 따른 컬러시프트를 개선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고도로 정보화 되어감에 따라서 이미지 디스플레이(image display) 관련 부품 및 기기가 현저하게 진보하고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장치용,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장치용, 등으로서 현저하게 보급되고 있으며, 대형화와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하나로써,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전압 및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LCD의 기본 구조와 구동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종래의 VA 모드 LCD를 예로 들면, 두 개의 편광필름(110, 120)의 광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투명 전극(140)이 코팅된 두 개의 투명 기판(130) 사이에 복굴절 특성을 보이는 액정분자(150)가 삽입, 배열된다. 구동 전원부(180)에 의해 전기장이 인가되면, 액정분자가 전기장에 수직으로 움직여 배열된다.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빛은 제1 편광필름(120)을 통과한 후 선편광이 되고,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off 상태인 경우 액정은 기판에 대해 수직 배향되어 있으므로, 선편광된 빛은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제1 편광필름(120)과 수직인 제2 편광필름(11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 상태인 경우 액정은 전기장에 의해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두 직교 편광필름(110, 120)의 광축 사이에 수평 배향되어 있어서 제1 편광필름을 통해 선편광된 빛은 액정분자를 통하면서 제2 편광필름에 도달하기 직전에 편광 상태가 90도 회전된 선편광, 원편광 또는 타원편광 상태로 변화하여 제2 편광필름을 통과하게 된다. 전기장의 세기를 조절하면 액정의 배열 상태가 수직 배향에서 점차 수평 방향으로 배향 각도가 변화하며 이때 나오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시청각에 따른 액정의 배향 상태와 광투과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화소(220) 내에 액정분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시청각에 따라 배열 상태가 다르게 보이게 된다.
정면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210),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는 거의 수평 배향(212)으로 보이게 되며, 화면이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게 된다. 화면의 정면에서 볼 때(230),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232) 화소(220) 내의 액정분자의 배열과 동일하게 보인다. 정면의 우측에서 바라볼 때(250),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는 수직 배향(252)으로 보이게 되며, 화면이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게 된다.
따라서, LCD는 시청각 변화에 따른 빛의 세기와 색의 변화가 발생하며 자발광 디스플레이에 비해 시야각이 크게 제한된다. 따라서, 시야각 개선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도 3은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를 두 개의 부분 화소, 즉 제1 화소부(320)과 제2 화소부(340)로 분할하여 각 화소부의 액정 배열 상태가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한다. 시청자가 보는 방향에 따라 제1 화소부(320)에서의 액정의 배열 상태와 제2 화소부(340)에서의 액정의 배열 상태가 동시에 보이게 되며, 시청자에게 보이는 빛의 세기는 각각의 화소부의 빛의 세기의 합이 된다.
즉, 정면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310), 제1 화소부(320)의 액정은 수평 배향(312)으로 보이고 제2 화소부(340)의 액정은 수직 배향(314)으로 보이게 되며, 제1 화소부(320)에 의해 화면이 밝게 보일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정면의 우측에서 바라볼 때(350), 제1 화소부(320)의 액정은 수직 배향(352)으로 보이고 제2 화소부(340)의 액정은 수평 배향(354)으로 보이게 되며, 제2 화소부(340)에 의해 화면이 밝게 보일 수 있게 된다. 정면에서 볼 때(330)는 각 화소부의 배열 상태와 동일하게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가 볼 때 화면의 밝기는 시청각이 변함에 따라 동일 또는 유사해지며 화면에 대한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이 된다. 따라서, 시청각 변화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색변화 정도가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굴절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성이 LCD 패널에서 화소(440) 내의 액정분자와 동일하며,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와 대칭이 되는 광학필름(420)이 추가된다. 시청자가 보는 방향에 따라 화소(440) 내의 액정의 배열 상태와 광학필름(420)의 복굴절 특성으로 인해, 시청자에게 보이는 빛의 세기는 각각에 의한 빛의 세기의 합이 된다.
즉, 정면의 좌측에서 바라볼 때(410), 화소(440) 내의 액정은 수평 배향(414)으로 보이고 광학필름(420)에 의한 가상 액정은 수직 배향(412)으로 보이게 되며, 빛의 세기는 각각의 합이 된다. 마찬가지로, 정면의 우측에서 바라볼 때(450), 화소(440) 내의 액정은 수직 배향(454)으로 보이고 광학필름(420)에 의한 가상 액정은 수평 배향(452)으로 보이게 되며, 빛의 세기는 각각의 합이 된다. 정면에서 볼 때(430)는 화소(440) 내의 액정분자의 배열 상태와 광학필름(420)의 배열 상태가 각각 동일하게 보이게 된다(432, 434).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더라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전히 시청각에 따른 컬러 시프트(color shift)는 존재하여 시청각이 증가함에 따라 색변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청각 증가에 따른 컬러 시프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시프트 현상을 개선하면서도, 이중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구비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으로서, 층을 이루는 백그라운드층과 상기 백그라운드층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 렌즈부와, 상기 음각 렌즈부 내에 부분 충진된 부분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충진부는 광확산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분충진부는, 상기 광확산물질이 기재에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광확산물질과 상기 기재의 굴절률은 서로 다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컬러시프트 현상을 개선하면서도, 이중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LCD의 기본 구조와 구동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시청각에 따른 액정의 배향 상태와 광투과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시청각에 따른 명암비 변화 및 컬러 시프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학필름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의 LCD의 시청각에 따른 컬러 시프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제1 타입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7은 제2 타입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비교 실시예>
이하에서는 제1 타입 비교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제1 타입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10-2009-0052883호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6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20)은, 백그라운드층(21)과 음각 렌즈부(23)와 완전충진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완전충진부(26)는 예컨대, 수지 재질의 기재(27)에 광확산물질(28)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제2 타입 비교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7은 제2 타입 비교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제2 타입 비교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렌즈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광학필름은 전형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방에 구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필름(20)은 백그라운드층(background layer)(21)과 렌즈부(23)를 구비한다.
백그라운드층(21)은 광을 투과시키는 물질이 층을 이루어 형성된다. 백그라운드층(21)은 투명 고분자 수지, 특히 자외선 경화성 투명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23)는 소정 깊이로 음각으로 백그라운드층(21)에 형성된다. 렌즈부는 광을 굴절시켜, 컬러시프트를 개선한다. 렌즈부(23)는 색혼합(color mixing) 효과에 의해, 시청각이 증가함에 따라 색변화를 감소시킨다. 렌즈부 간 간격에 비해 렌즈부의 폭이 작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면의 법선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많이 투과시킬 수 있다.
렌즈부(23)는 디스플레이 패널 면의 법선 방향으로 발광되는 빛의 방향을 변화하여 법선에 벗어나는 방향으로 변경시키고, 디스플레이 패널 면의 법선에 벗어나는 방향으로 나오는 빛의 일부를 법선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즉, 렌즈부가 시청각에 따라 발광되는 빛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색혼합을 유도하여 컬러시프트를 개선할 수 있다.
렌즈부(23)는 다각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다각형단면 물결 패턴, 다각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다각형단면 벌집 패턴, 다각형단면 도트 패턴, 반원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원형단면 물결 패턴, 반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원형단면 벌집 패턴, 반원형단면 도트 패턴, 반타원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타원형단면 물결 패턴, 반타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타원형단면 벌집 패턴, 반타원형단면 도트 패턴, 반오벌(oval)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오벌단면 물결 패턴, 반오벌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오벌단면 벌집 패턴 및 반오벌단면 도트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렌즈부는 상기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다각형단면은 삼각형단면, 사다리꼴단면, 사각형단면, 등일 수 있다. 또한, 반오벌단면은 원호 및 타원호 이외의 기타 곡선 궤적을 그릴 수 있다. 또한, 반원형, 반타원형 및 반오벌은, 각각 원형, 타원형 및 오벌을 정확히 1/2로 나눈 도형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렌즈부의 단면 중 일부가 원호, 타원호, 포물선을 포함하는 도형을 의미한다. 즉, 양변이 타원호이고 상변(또는 하변)이 직선인 도형도 상기 반타원형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단면은 좌우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부(23)는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가 백그라운드층(21)의 일면에 일정한 주기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다. 또한, 예컨대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에도, 수평 스트라이프 패턴, 수직 스트라이프 패턴, 등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하 시청각 보상에 효과적이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좌우 시청각 보상에 효과적이다.
모아레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렌즈부(23)는 백그라운드층(21)의 변에 대하여 소정의 바이어스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라이프 패턴의 경우, 스트라이프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렌즈부(23)는 시청자를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백그라운드층(21)의 양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다른 비교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는 반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비교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은 백그라운드층(21)를 지지하는 백킹(backing)(25)을 구비할 수 있다.
백킹(25)은 자외선 투과성을 가지는 투명한 수지 필름 또는 유리 기판이 바람직하다. 백킹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염화비닐(PVC), TAC(TriAcetate Cellulos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렌즈부(23)를 형성하는 방법은, 백킹(25)의 일면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렌즈부의 거울 상이 표면에 형성된 성형 롤을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음각홈을 형성한다. 그 후, 다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렌즈부(23)가 형성된 백그라운드층(21)을 완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열프레스법이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사출 성형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층의 음각홈을 얻을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이중상 및 헤이즈가 발생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 앞에 장착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격되고 그 거리가 커질수록 이중상이 뚜렷하다. 도 12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 이중상이 발생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이중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상을 왜곡시키게 된다. 이에 컬러시프트를 저감시키면서도, 이중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더하여,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전술한 이중상의 문제뿐 아니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렌즈부 사이의 평탄면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외광을 렌즈부가 확산시켜 헤이즈가 발생하는 문제도 갖는다. 즉,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과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한 외광이 광학필름과 공기(광학필름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공기) 사이의 계면, 그리고 공기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 또는 다중 반사된 후 렌즈부에 입사되고 그리고 나서 확산되어 헤이즈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명실명암비를 떨어뜨려 패널의 시인성을 저하시킨다. 이에,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의 이중상 발생 및 헤이즈 발생을 개선할 수 있는 해결책이 요구된다.
도 14 내지 도 16은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의 이중상 및 헤이즈 제거의 방안들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4는 또 다른 비교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은 도 1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중상이 제거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또 다른 비교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광학필름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밀착시킴으로써, 이중상 및 헤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과 같이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점착제(31)를 매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하거나, 도 16과 같이, 자가 점착성을 갖는 물질로 백그라운드층을 형성하고 그 백그라운드층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부착시킴으로써, 이중상 및 헤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됨이 없이 단순 밀착되어, 그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밀착된 경우 이중상과 원상의 간격이 매우 작아서 구분하기 어렵다.
이중상(ghost)을 관찰한 결과, 반타원형 단면을 갖는 렌즈부가 이중상 발생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는 시청자 측이 아닌 디스플레이 패널측을 향하는 것이 헤이즈 저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아래 표1은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도 1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광에 의한 헤이즈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샘플 시청각 60도에서 측정한 휘도값
블랙 패널 1.73 nit
디스플레이 패널/공기/반타원형단면 렌즈부의 필름 12.27 nit
디스플레이 패널/PSA/반타원형단면 렌즈부의 필름 2.58 nit
디스플레이 패널/공기/PET 필름 3.87 nit
측정 방법은 외광 D65 240 lux 조건에 흑색 기판에 샘플을 붙이고 좌우 시청각 60도에서, 반사되는 빛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외광은 샘플의 위쪽에 존재하기 때문에, 정반사에 해당되는 부분은 샘플 아래쪽에서 관측이 가능하며, 난반사는 전(全) 방향에서 관측할 수 있다. 따라서, 샘플의 아래쪽이 아닌 측방 60도에서 난반사된 빛을 측정하여 외광에 의한 반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착된 경우, 측정된 반사 헤이즈는 2.58 nit로, 이격되어 공기층이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 매우 적으며, 심지어 렌즈부를 갖지 않는 PET 필름과 비교하여서도 반사 헤이즈가 상당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자가 점착성을 갖는 백그라운드층은, 자외선으로 경화가 가능한 투명 탄성 중합체(elastomer)로 이루어져 쉽게 디스플레이 패널과 직부착될 수 있다. 재료로는 아크릴계 일레스토머, 실리콘(silicone)계 일레스토머(PDMS), 우레탄계 일레스토머, 폴리비닐부티랄(PMB) 일레스토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EVA) 일레스토머, 폴리비닐에테르계 일레스토머, 포화무정형 폴리에스테르계 일레스토머, 멜라민수지계 일레스토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7은 도 5의 S-PVA 모드 LCD TV에 있어서, 도 16의 자가 점착성을 갖는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렌즈부의 폭은 30㎛, 깊이 60㎛, 피치 83㎛, 반타원형 단면)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고, 색변화 개선율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17의 색변화 개선율은 52%를 나타내었다.
< 본 발명>
전술한 제1 타입 비교 실시예의 광학필름은 상대적으로 컬러시프트 개선 효과가 크지 않은 한계가 있다. 반면 제2 타입 비교실시예의 광학필름은 렌즈부의 깊이가 크면 컬러시프트 개선 효과가 크지만 이중상이 발생하고, 렌즈부의 깊이가 작으면 이중상은 감소하지만 컬러시프트 개선 효과가 작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컬러시프트 개선 효과를 크게 가져가면서도 이중상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1 비교실시예와 제2 비교실시예를 통합함으로써,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광학필름(2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구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20)은, 백그라운드층(21)과 음각 렌즈부(23)와 부분충진부(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백그라운드층은 층을 이룬다.
음각 렌즈부는 백그라운드층에 형성된다. 음각 렌즈부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의미는, 광학필름의 단면 상에서, 음각 렌즈부가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되고, 음각 렌즈부들 사이에 광을 투과시키는 백그라운드층의 평탄면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컨대 반타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의 렌즈부는, 비록 시청자 측에서 바라보면 매트릭스 패턴을 이루는 단일 렌즈부로 보여지지만, 광학필름의 단면 상에서는 복수 개의 반타원형단면 렌즈부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렌즈부에 해당된다.
부분충진부(29)는 음각 렌즈부(23) 내에 부분 충진된다. 부분충진부는 광확산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부분충진부는 고분자 수지 재질의 기재(27)에 광확산물질(28)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기재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광확산물질로는 광확산비드(beads)와 같은 광확산입자일 수 있다.
광확산물질과 기재의 굴절률은 서로 다르며, 굴절률 차이가 클수록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굴절률 차이가 적어도 0.01 이상이어서 확산을 잘 시킬 수 있는 평균 직경 0.1㎛ 이상의 구형 물질일 수 있다. 또한, 광확산물질은, 모든 파장의 빛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백색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확산물질은 렌즈부의 폭보다 작아야 한다. 큰 경우, 광확산물질을 백그라운드의 렌즈부 내에 충진시키기가 어려워진다. 광확산물질들은 2종 이상의 크기 및 굴절율을 가질 수 있고, 광확산물질의 재질, 굴절률, 크기 및 입도 분포 등을 이용하여 적합한 광학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광확산물질은 PMMA, 염화비닐, 아크릴계 수지, PC계, PET계, PE계, PS계, PP 계, PI계 수지, 유리 및 실리카 TiO2와 같은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부분충진부의 기재의 굴절률과 백그라운드층의 굴절률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굴절률이 다른 경우, 부분충진부의 기재의 굴절률이 백그라운드층의 굴절률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부분충진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백킹(25)의 일면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렌즈부와 반대 형상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성형용 롤을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렌즈부를 형성한다. 그 후, 다시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렌즈부(23)가 형성된 백그라운드층(21)을 완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열프레스법이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사출 성형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렌즈부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그 렌즈부에 광확산물질이 혼합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공급한 후, 고무 재질의 스퀴지(squeegee)와 메탈 재질의 블레이드(blade)를 사용하여 부분 충진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부분충진부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확산물질이 포함된 부분 충진부와 음각 렌즈부 역할을 하는 미충진부에 의해 컬러시프트 개선 효과의 상승을 가져오는 한편, 미충진부의 깊이가 깊지 않아 이중상은 감소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표 2는 렌즈부를 부분 충진한 경우와 완전 충진한 경우의 컬러시프트 개선률을 비교한 결과이다.
렌즈부 내에 굴절률 1.5의 기재와 굴절률 1.59, 평균 직경 6㎛의 광확산비드 1wt%를 충진하고 좌우 시청각 증가에 따른 컬러시프트(Δu'v')를 측정하였다.
샘플 Δu'v'(max) 컬러시프트 개선률(%)
PS(n=1.59)
6㎛ 1wt%
완전 충진 0.077 16.3%
부분 충진 0.054 41.3%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부분 충진), 컬러시프트 개선 효과가 더 큼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는 전술한 렌즈부 및 부분충진부가 형성된 백그라운드층의 단일 필름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여기에, 패널 보호용 투명 기판, 안티포크층, 반사방지층, 편광필름, 위상차(phase retardation) 필름, 등 다양한 기능성 필름이 상호 적층되어 다층 광학필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광학필터를 구성하는 각 구성층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점착 또는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재료로서, 아크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비닐부티랄 접착제(PMB),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EVA), 폴리비닐에테르, 포화무정형 폴리에스테르, 멜라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Claims (13)

  1.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구비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름으로서,
    층을 이루는 백그라운드층과
    상기 백그라운드층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 렌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음각 렌즈부는, 기재에 혼합된 광확산물질이 부분 충진되어 있는 부분 충진부, 및
    상기 광확산 물질이 충진되어 있지 않은 미충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미충진부는 공기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물질과 상기 기재의 굴절률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백그라운드층의 굴절률은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백그라운드층의 굴절률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굴절률은 상기 백그라운드층의 굴절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고분자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물질은, 광확산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층은 자가 점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다각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다각형단면 물결 패턴, 다각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다각형단면 벌집 패턴, 다각형단면 도트 패턴, 반원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원형단면 물결 패턴, 반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원형단면 벌집 패턴, 반원형단면 도트 패턴, 반타원형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타원형단면 물결 패턴, 반타원형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타원형단면 벌집 패턴, 반타원형단면 도트 패턴, 반오벌(oval)단면 스트라이프 패턴, 반오벌단면 물결 패턴, 반오벌단면 매트릭스 패턴, 반오벌단면 벌집 패턴 및 반오벌단면 도트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11. 제1항의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의 렌즈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대향하는 상기 백그라운드층의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03525A 2011-01-13 2011-01-13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0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525A KR101200768B1 (ko) 2011-01-13 2011-01-13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002576A JP2012145943A (ja) 2011-01-13 2012-01-10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用カラーシフト低減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具備する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US13/348,220 US20120182502A1 (en) 2011-01-13 2012-01-11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EP12150953A EP2477061A3 (en) 2011-01-13 2012-01-12 Optical film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CN2012100109147A CN102590921A (zh) 2011-01-13 2012-01-13 用于降低色偏的光学薄膜和具有该光学薄膜的液晶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525A KR101200768B1 (ko) 2011-01-13 2011-01-13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174A KR20120082174A (ko) 2012-07-23
KR101200768B1 true KR101200768B1 (ko) 2012-11-13

Family

ID=4547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525A KR101200768B1 (ko) 2011-01-13 2011-01-13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82502A1 (ko)
EP (1) EP2477061A3 (ko)
JP (1) JP2012145943A (ko)
KR (1) KR101200768B1 (ko)
CN (1) CN1025909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8409B2 (en) 2015-08-17 2018-08-14 Samsung Display Co., Ltd.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717B1 (ko) * 2019-04-30 202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9642B2 (ja) * 1994-09-01 1997-11-19 日本電気株式会社 透過型液晶表示装置
US6297908B1 (en) * 1998-06-05 2001-10-02 Dai Nippon Printing Co., Ltd. Directional light-diffusing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a display device that uses same
KR100765308B1 (ko) * 2001-03-17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06145884A (ja) * 2004-11-19 2006-06-08 Sony Corp 反射型偏光子及びカラー液晶表示装置
US7502085B2 (en) * 2005-04-26 2009-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functional transparent plate in prismatic structure on retarder provided on polarizer above display panel assembly
JP5352956B2 (ja) * 2006-02-14 2013-1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プロジェクタ及び電子機器
JP2007271865A (ja) * 2006-03-31 2007-10-18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2008003232A (ja) * 2006-06-21 2008-01-10 Fujifilm Corp 光学シート及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液晶表示装置
CN101542556B (zh) 2006-08-25 2012-05-23 学校法人日本齿科大学 医疗用实习装置
JP4976816B2 (ja) * 2006-11-06 2012-07-18 住友化学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072480B2 (ja) * 2007-08-10 2012-11-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セントラル 液晶表示装置
CN101903824B (zh) * 2007-12-21 2012-09-05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面板,液晶显示装置和液晶显示面板的制造方法
JP2010008475A (ja) * 2008-06-24 2010-01-14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US8427768B2 (en) * 2008-09-22 2013-04-23 Samsung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Optical filter for compensating for color shift provided in front of a display panel of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95850B1 (ko) * 2009-06-15 2012-11-05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8409B2 (en) 2015-08-17 2018-08-14 Samsung Display Co., Ltd.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174A (ko) 2012-07-23
EP2477061A2 (en) 2012-07-18
US20120182502A1 (en) 2012-07-19
CN102590921A (zh) 2012-07-18
JP2012145943A (ja) 2012-08-02
EP2477061A3 (en)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770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29544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21470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532950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光学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具備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200769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8021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8022B1 (ko)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140006A (ja) 光路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518535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光学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具備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1958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0768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81952B1 (ko) 컬러시프트 저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81951B1 (ko)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20077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06220B1 (ko) 컬러시프트저감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컬러시프트저감필름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