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971B1 - 정제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정제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971B1
KR101207971B1 KR1020100096662A KR20100096662A KR101207971B1 KR 101207971 B1 KR101207971 B1 KR 101207971B1 KR 1020100096662 A KR1020100096662 A KR 1020100096662A KR 20100096662 A KR20100096662 A KR 20100096662A KR 101207971 B1 KR101207971 B1 KR 10120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lifter
tablet
rotating body
rot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276A (ko
Inventor
이원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to KR1020100096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97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9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olog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에 설치되는 제1회전부와, 상기 리프터에 설치되는 제2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터의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드럼고정부를 회전시키는 제3회전부를 포함하는 정제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제공급장치 {Tablet Feed Apparatus}
본 발명은 정제코팅기에 부착되는 정제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제약사는 정제코팅기에 코팅할 약재 공급 방식으로 작업자 수동방식과 별도로 구입한 독립형 리프터를 활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독립형 리프터를 활용하는 방식은 현장 작업자에 의해서 작업 전 코팅할 약재를 이동시키고, 정제코팅기 내부에 투입하는 준비 작업을 거쳐서 작업이 진행된다.
코팅할 약재의 전체 중량은 정제코팅기의 생산 용량에 따라서 수십킬로그램에서 수백킬로그램까지 다양하며, 이를 식품, 의약용 드럼에 넣어서 일정한 높이까지 작업자가 또는 반자동식의 장치를 이용해서 들어올리게 된다.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우, 자체 중량도 무겁고, 드럼 회전 위치변화에 따른 안전사고, 남성/여성의 작업자 특성 등에 제약과 위험이 있다. 정제코팅기와 분리된 독립식 리프팅기 운영 시는 작업자의 동선 간섭, 작업공간의 일정부분 할당, 해당기종에만 국한하여 사용하는 등 작업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984-0006291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2-17700호, 공개특허공보 제2003-0006690호, 공개특허공보 제2003-009147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087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제자동공급 장치를 리프터 장치화하고, 이 장치를 정제코팅기 몸체와 연결하여 최적화된 부피 및 위치에 장착해서 사용의 효율과 작업자의 편리성 도모를 하는 정제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제공급장치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에 설치되는 제1회전부와, 상기 리프터에 설치되는 제2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터의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드럼고정부를 회전시키는 제3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리프터의 외형과 동형의 중공부를 갖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체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체는,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된 원형실린더와, 상기 원형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부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리프터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베이스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제공급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 제3회전부를 포함하여 작업자의 인력에 대한 부분을 자동화하여 작업방식 개선과 편리성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착탈 가능한 정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어느 작업 환경에도 사용이 용이할 수 있고,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동선이 단축되고 집약적 작업범위를 갖게 되므로, 넓어진 동선 공간 확보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쾌적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회전부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제2회전부의 분해도.
도 4는 도 1의 적용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회전부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2회전부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적용 실시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제자동공급장치는, 리프터(2)와, 상기 리프터(2)에 설치되는 제1회전부(3)와, 상기 리프터(2)에 설치되는 제2회전부(6)와, 상기 제1회전부(3)와 상기 제2회전부(6)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터(2)의 레일(20)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부(7)와, 상기 승강부(7)에 설치되어 드럼고정부(9)를 회전시키는 제3회전부(11)를 포함한다.
[리프터(2)]
리프터(2)는 전면에 레일(20)이 형성된다.
후술할 승강부(7)가 상기 레일(20)에 맞물려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리프터(2)의 상부에는 제1회전부(3)가 설치되고, 상기 리프터(2)의 하부에는 제2회전부(6)가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부(3)와 상기 제2회전부(6) 사이에서 상기 리프터(2)의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부(7)가 설치된다.
[제1회전부(3)]
제1회전부(3)는 리프터(2)의 외형과 같은 형태의 중공부를 갖는 회전체(310,320)와, 상기 회전체(310,320)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체(310,320)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체(31,32)를 포함하며, 리프터(2)의 상부에 설치된다.
회전체(310,320)는 제1회전체(310)와 제2회전체(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체(310)와 상기 제2회전체(320)가 결합되는 형태이다.
상기 제1회전체(310)는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반원통 형태이며, 양단에는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체(310)의 결합돌기(미도시)는 1개가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상기 제1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의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은 리프터(2) 회전 시, 후술할 고정체(31,32)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리프터(2)와 제1회전체(310)의 회전을 원활히 한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2회전체(320)는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반원통 형태이며, 양단에는 상기 제1회전체(310)의 결합돌기(미도시)가 삽입되는 결합홈(320a)이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체(320)의 결합홈(320a)은 상기 제1회전체(310)의 결합돌기(미도시)의 개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의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은 리프터(2) 회전 시, 후술할 고정체(31,32)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리프터(2)와 제2회전체(320)의 회전을 원활히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2회전체(320)의 결합홈(320a)에 상기 제1회전체(310)의 결합돌기(미도시)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회전체(310,320)는 리프터(2)의 회전 시, 상기 리프터(2)와 원활히 회전하도록 상기 리프터(2)와 후술할 고정체(31,32)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체(310,320)는 후술할 고정체(31,32)에 형성된 수용홈(34,35)에 삽입된다.
고정체(31,32,33)는 리프터(2)와 후술할 회전체(310,3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체(31,32,33)는 후술할 회전체(310,3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34,35)이 형성된 원형실린더(31,32)와, 상기 원형실린더(31,32)에 설치되어 제1회전부(3)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33)를 포함한다.
상기 원형실린더(31,32)는 제1반원형실린더(31)와 제2반원형실린더(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반원형실린더(31)와 상기 제2반원형실린더(32)가 결합되는 형태이다.
상기 제1반원형실린더(31)는 내측에 수용홈(34)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체(3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제1반원형실린더(31)의 양단에는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미도시)는 2개가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제2반원형실린더(32)는 내측에 수용홈(35)이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체(3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제2반원형실린더(32)의 양단에는 결합홈(32a)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32a)은 상기 제1반원형실린더(31)의 결합돌기(미도시)의 개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반원형실린더(32)의 결합홈(32a)에 상기 제1반원형실린더(31)의 결합돌기(미도시)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반원형실린더(32)의 후방 하단에는 플랜지(33)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33)는 정제코팅기 등의 프레임(1)에 고정되도록 볼트 등이 삽입되는 고정홈(37)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37)은 제1회전부(3)가 프레임(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해 4개가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4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1회전부(3)는 후술할 승강부(7)와 후술할 제2회전부(6)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회전부(6)]
제2회전부(6)는 리프터(2)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61)와, 상기 돌출부(61)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베이스(6)를 포함한다.
리프터(2)의 하단에는 리프터 플레이트(25)가 더 설치되고, 리프터(2)와 상기 리프터 플레이트(25) 사이에는 리브(6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61)는 상기 리프터 플레이트(25)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중공을 갖는 원통 형태이다.
상기 돌출부(61)의 하부에는 회전베이스(6)가 설치된다.
회전베이스(6)는 상기 돌출부(61)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베이스 몸체(63)와, 상기 베이스 몸체(63)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64)와, 상기 베이스 몸체(63)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4) 사이에 형성된 리브(65)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몸체(63)는 중공을 갖는 원통 형태이며, 돌출부(61)를 수용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63)의 내부 직경은 상기 돌출부(61)의 외부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4)는 상기 베이스 몸체(63)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몸체(63)의 하단에 형성되며, 사각 형태인 것이 적당하다.
[승강부(7)]
제1회전부(3)와 제2회전부(6) 사이에서 리프터(2)의 레일(2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승강부(7)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7)의 상하 이동은, 리프터(2)의 상단부에 장착된 상부 스프로킷과, 리프터(2)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의 기어열에 결합되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승강부(7)에 연결된 체인과, 상기 스프로킷에 정/역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미도시)는 리프터(2)의 상단에 설치된 기어박스(8)에 내장된다.
이러한 승강부(7)의 상하 이동방식은 볼 스크류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승강부(7)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 기어박스(7)와, 상기 드럼회전 기어박스(7) 내부에 설치된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7)의 전면에는 제3회전부(11)가 설치된다.
상기 제3회전부(11)는 상기 드럼회전 기어박스(7)에 내장된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제3회전부(11)의 회전에 의해 드럼(10)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드럼고정부(9)가 설치된다.
상기 드럼고정부(9)는 상기 제3회전부(11)에 결합되어 드럼(10)을 물어잡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사용한 것이므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는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정제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회전부(3)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제2고정체(32)에 제2회전체(320)를 삽입한 후, 제2회전체(320)의 중공에 리프터(2)를 끼운다.
제1회전체(310)의 결합돌기(미도시)를 제2회전체(320)의 결합홈(320a)에 결합한다.
제1고정체(31)의 결합돌기(미도시)를 제2고정체(32)의 결합홈(32a)에 결합한다.
상기 제1회전부(3)를 다 조립한 후, 다음과 같이 제2회전부(6)를 조립한다.
리프터(2)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61)를 베이스 몸체(63)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정제공급장치를 정제코팅기(100)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코팅기(100)의 전면에는 정제투입구(14)가 형성되며, 상기 정제투입구(14)의 일측에 정제공급장치 설치 및 정제투입구(14)의 전방에 깔대기(13)를 전방보다 후방이 더 높도록 비스듬히 배치한다.
코팅할 약재를 담은 드럼(10)을 드럼운반용 카터(12)로 이동하여, 리프터(2) 전면에 위치시킨다.
리프터(2)의 드럼고정부(9)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기어박스(8)를 제어하여 드럼회전 기어박스(7)가 드럼고정부(9)에 드럼(10)을 적재할 수 있는 위치로 하강시킨다.
드럼고정부(9)로 드럼(10)을 고정시킨다.
리프터(2)의 기어박스(8) 내의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지정된 높이까지 상승을 하게 하여, 리프터(2)의 회전베이스(6)를 기반으로 부여된 회전 각도 내에서 회전하여 정제투입구(14)에 적절하게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드럼회전 기어박스(7)를 사용하여 드럼(10)을 회전시켜 정제투입구(14)에 정제를 부어 정제코팅기(100) 내부로 이동시킨다.
드럼(10) 안의 코팅약재를 정제코팅기 내부로 다 쏟은 후, 드럼(10)을 회전방향의 역순으로 원위치 시킨다.
리프터(2)의 기어박스(8)를 제어하여 드럼회전 기어박스(7)를 하강시킨 후, 드럼운반용 카터(12)에 안착시켜, 충진된 새 약재를 가져와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제공급장치는, 특히, 리프터 장치를 이용하는 정제공급장치에 적합하다.
1 : 전면프레임 30 : 하부프레임
2 : 리프터 20 : 레일
25 : 하부 플레이트 3 : 제1회전부
31 : 제1고정체 32 : 제2고정체
33 : 플랜지 34,35 : 수용홈
37 : 고정홈 310 : 제1회전체
320 : 제2회전체 32a,320a : 결합홈
5 : 하부 플레이트 6 : 회전베이스
61 : 돌출부 62 : 리브
63 : 베이스 몸체 64 : 베이스 플레이트
65 : 리브 7 : 승강부
8 : 기어박스 9 : 드럼고정부
10 : 드럼 11 : 제3회전부
12 : 드럼운전용 카터 100 : 정제코팅기
14 : 정제투입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리프터;
    상기 리프터에 설치되는 제1회전부;
    상기 리프터에 설치되는 제2회전부;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터의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드럼고정부를 회전시키는 제3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리프터의 외형과 동형의 중공부를 갖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회전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된 원형실린더와, 상기 원형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부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공급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리프터의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공급장치.
KR1020100096662A 2010-10-05 2010-10-05 정제공급장치 KR10120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662A KR101207971B1 (ko) 2010-10-05 2010-10-05 정제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662A KR101207971B1 (ko) 2010-10-05 2010-10-05 정제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276A KR20120035276A (ko) 2012-04-16
KR101207971B1 true KR101207971B1 (ko) 2012-12-04

Family

ID=4613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662A KR101207971B1 (ko) 2010-10-05 2010-10-05 정제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680B1 (ko) * 2018-11-01 2021-07-22 강경탁 수상 부유구조물 설치용 파일의 코팅 장치
KR102083113B1 (ko) * 2019-03-15 2020-04-23 김승호 정제의 품질 관리가 가능한 정제 투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242A (en) 1987-01-12 1988-10-04 Lorenz Bohle Mix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242A (en) 1987-01-12 1988-10-04 Lorenz Bohle Mix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276A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51579B (zh) 一种移动式可调节吊装工作台
KR101207971B1 (ko) 정제공급장치
CN105236200A (zh) 手摇式卷线器
CN110027799B (zh) 一种适用于油井耦合增油用的管道运输用调节固定装置
CN106477396A (zh) 重载钢带撑料架
CN202447879U (zh) 叉车变速器装配生产线
CN205734935U (zh) 一种箱体搬运机械手
CN112551427B (zh) 一种建筑工程用的粗圆管搬运装置
CN206328102U (zh) 升降装置
CN109109331B (zh) 一种聚乙烯预制直埋热水保温弯管穿管设备及使用方法
CN214988781U (zh) 贵金属化学生产用桶料转运装置
CN103934148A (zh) 涂覆机
CN201841381U (zh) 焊枪的同轴升降旋转机构
CN210885286U (zh) 一种用于灌装机的升降组件
CN211543592U (zh) 一种用于搬运铁屑的推车
CN209973737U (zh) 一种鳍片管上料装置
CN208168493U (zh) 垂直循环式旋转停车库
CN206240971U (zh) 一种钢带撑料架
CN208034013U (zh) 一种焊接回转平台
CN112276848A (zh) 一种用于机体智能制造的自动化装配装置
KR101196371B1 (ko) 약재자동공급장치
CN205328127U (zh) 用于瓶盖的立筒式收集装置
CN219469571U (zh) 一种送料机的升降送料机构
CN212639072U (zh) 一种管件铸造生产线上料装置
CN215481946U (zh) 一种用于表面施胶剂的装载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