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865B1 -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 Google Patents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865B1
KR101207865B1 KR1020040106806A KR20040106806A KR101207865B1 KR 101207865 B1 KR101207865 B1 KR 101207865B1 KR 1020040106806 A KR1020040106806 A KR 1020040106806A KR 20040106806 A KR20040106806 A KR 20040106806A KR 101207865 B1 KR101207865 B1 KR 101207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exhaust gas
opening
gas recirculation
val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050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티리
베른하르트 클리펠
더르크 슐리에슈에
Original Assignee
쿠퍼-스탠다드 오토모티브(도이칠랜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스탠다드 오토모티브(도이칠랜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쿠퍼-스탠다드 오토모티브(도이칠랜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7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0Flap valves; Rotary valves; Sliding valves; Resilien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2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10)는 밸브 개구부(14)와, 상기 밸브 개구부(14)를 폐쇄시키는 위치와 상기 밸브 개구부(14)를 해제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밸브 부재(16)를 구비하고, 흐름 안내 부재(24)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밸브 부재(16)는, 중심 흐름 축선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밸브 개구부(14)를 해제시키는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흐름 안내 부재(24) 뒤에 배치된다.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안내 부재, 개구부, 수납 챔버

Description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EXHAUST-GAS RECIRCULATION VAL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의 폐쇄 위치에서의 사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의 밸브 부재 개방중의 사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의 밸브 부재가 개방된 위치에서의 사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 14: 밸브 개구부(밸브 시트)
16: 밸브 부재 18:기체(基體)
24: 흐름 안내 부재 26: 플랜지
28: 리브 30: 수납 챔버
본 발명은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 분야에서는, 운전 상태에 따라 배기 가스가 신선한 공기 측으로 재순환되어 연료 소비 및 오염물 방출을 낮춰야 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피벗식 밸브 폐쇄 부재를 구비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가 DE 101 06 608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는데, 그 밸브 부재의 밸브 피벗 샤프트(valve pivot shaft)는 밸브 폐쇄 부재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면상에 밸브 폐쇄 부재에 대한 오프센터 위치(off-center position)를 갖는다.
그러한 밸브 피벗 샤프트의 배치는 다목적 밸브에 관한 DE 33 36 879 A1호로부터 도출된다. 상기 공보에 따르면, 특히 낮은 간섭 데드 스페이스(interfering dead space)를 나타내는 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고정 플랜지의 환형 돌출부상에 밸브 시트가 형성된다.
DE 27 03 687 A1호는 밸브가 흡입 매니폴드 내로 돌출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 라인을 폐쇄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흡입 매니폴드 내에 경사식 밸브(tiltable valve)가 배치되어 있는 배기 가스 재순환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DE 195 49 107 A1호는 배기 가스 재순환 라인이 흡입 매니폴드 내로 돌출하는 유사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배기 가스 재순환 라인은 그것의 단부에서는 축방향으로 폐쇄된 상태에 있고 한 지점에서는 반경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 있다. 배기 가스 재순환 라인의 돌출단을 에워싸는 밸브 부재 역시 마찬가지로 반경 방향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구멍은 배기 가스 재순환 라인의 개구부와 정렬되어 배기 가스 재순환 라인을 해제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EP 1 342 907 A2호는 제어 디스크들의 서로에 대한 역방향 회전 에 의하여 개폐되는 밸브 수단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들 제어 디스크들은 서로 정렬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거나, 또는 밸브가 폐쇄 상태에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들 제어 디스크가 각각 타방의 제어 디스크 개구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흐름 손실을 보다 효율적으로 회피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Exhaust-Gas Recirculation: EGR) 밸브를 설계하는 목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에 의하여 해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EGR 밸브는 밸브 개구부와 밸브 부재를 구비한다. 그 EGR 밸브는 대개 EGR 라인 내에 배치된다. 이 예에서는 특히 밸브 부재도 또한 EGR 라인 내에 배치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재순환되는 배기 가스 흐름 내에 배치된다. 또한, 이는 밸브 부재가 밸브 개구부를 해제시키는 위치에 특히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관해서는, 후술되는 조치, 즉 비록 밸브 부재가 EGR 라인 내에 배치되더라도 적어도 일부가 흐름 안내 부재 뒤에 배치되도록 하는 조치가 취해진다.
밸브 부재는 밸브 개구부를 폐쇄시키는 위치와 밸브 개구부를 해제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그 밸브 부재는 모든 종류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밸브 부재는 경사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하거나 또는 피벗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그 밸브 부재는 컵 형상을 취할 수도 있는데, 그 경우, 밸브 부재는 개폐 목적으로 왕복식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흐름 안내 부재가 고려된다. 밸브 개구부를 해제시키는 위치에서, 그 밸브 부재는, 중심 흐름 축선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흐름 안내 부재 뒤에 배치된다. 이 흐름 안내 부재는 본질적으로 밸브 부재의 개방 위치에서 배기 가스의 흐름을 밸브 부재를 지나 편리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그것도 밸브 개구부를 통한 흐름 손실이 없거나 또는 기껏해야 그 개구부를 통한 최소의 흐름 손실로서 가능한 한 멀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하여, 흐름 안내 부재는 EGR 밸브의 "고온(hot)"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 고온측으로부터의 배기 가스 흐름이 밸브와 만나서 그곳에서 흐름 안내 부재를 통해 특히 편리하게 안내되거나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고온"측 이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EGR 밸브가 배기 매니폴드에 특히 근접하게 및/또는 배기 가스 냉각기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조치 및 후술되는 조치는 본 발명에 따른 EGR 밸브가 그러한 구조에 적합하게 한다. 그러나, 그 밸브가 절대적으로 이러한 고온측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영역에도 마찬가지로 쉽게 배치될 수 있고, 또한 특히 흐름 안내 부재가 밸브 부재의 하류에 위치하게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 경사식 밸브 부재가 밀봉측에 장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이는 배기 가스에 의하여 야기되는 오염물 축적이 덜할 수 있다.
개구부를 해제시키는 위치에 있는 밸브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흐름 안내 부재 뒤에 배치된다고 하는 사실은 몇 가지 장점을 가져온다. 이러한 구성에 관하여 말할 수 있는 첫 번째의 것은 중심 흐름 축선으로부터 보았을 때 그것이 식별 가능하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밸브 부재가 개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에 보이는 것이 흐름 속의 그 위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 부재는 흐름 속의 이 지점에서, 즉 개방된 밸브 부재의 위치에서 흐름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흐름 안내 부재에 의하여 "덮이기" 때문이다. 흐름 안내 부재 뒤에서의 이 "덮인" 위치는 개방된 밸브 부재가 과도하게 흐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흐름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밸브 부재는 열 부하에 관한 한 편리하게 차폐된다. 흐름 안내 부재는 밸브 부재를 고온 배기 가스로부터 어느 정도 단열시키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밸브 부재를 "고온"측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개방된 위치에서, 밸브 부재는 흐름 안내 부재가 그것을 덮음으로써 실제로 과도한 열 부하를 받지 않는다.
EGR 밸브의 고온측 방향으로 밸브 부재를 개방하면, 모이는 배기 가스 압력이 밸브 부재를 폐쇄 상태로 압박하는 장점이 있다. 그것이, 폐쇄 상태에서 밸브 개구부의 폐쇄를 보장하기 위한 어떠한 복잡한 조치도 필요로 하지 않는 이유이다. 반면, 모이는 배기 가스 압력 자체는 밸브를 폐쇄 위치로 압박한다. 밸브 부재를 이 모이는 배기 가스 압력에 대항하여 개방시키는 것은 비교적 간단한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보장될 수 있다. 모이는 배기 가스 압력에 대항하여 밸브를 개방하는 것은 어떤 경우에서든 가스 압력에 대항하여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보장되어야 하는 경우보다는 실현하기가 더 쉽다. 본 발명에 따른 EGR 밸브의 개방과 관련하여, 이 개방 과정이, 예컨대 2003년 10월 24일자로 본 출원인이 유럽 특허청에 출원한 유럽 특허 출원(출원 번호 제03 024 509호) 및 2003년 3월 25일자로 출원한 유럽 특허 출원(출원 번호 제03 006 733호)에 따라서 성취될 수 있다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심지어, 회전식 밸브의 경우에 있어서의 회전 샤프트의 배치에 관해서도, 밸브 부재는 또한 EP 1 245 820 A1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설계될 수 있다. 전술한 출원들은 호명되는 특징부들에 관하여 본 출원의 일부를 이룬다. 마지막으로, EGR 밸브에만 흐름 안내 부재를 이용하는 것조차 이제까지 알려진 구성에 대하여 그것 자체의 장점을 제공하는 신규한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흐름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가능하기로는 전술한 바람직한 특징부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도 있지만 반드시 다른 전술한 특징부들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EGR 밸브는 본 출원의 주제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EP 1 342 907 A2의 주제와는 달리, 이 공지된 EGR 밸브의 경우, 제어 디스크 중 하나가 실제 다른 제어 디스크 뒤에 배치된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방"의 제어 디스크는 그 밸브의 일부를 형성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심사된다면, 밸브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 결과 이 제어 디스크는 흐름 안내 부재로 볼 수 없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에 따른 EGR 밸브의 흐름 안내 부재는 흐름 방향으로 임의의 연장부를 구비하여 흐름이 신뢰성 있게 안내되도록 하며, 개방된 밸브 부재는 흐름 제어 부재 "뒤"에 배치될 수 있는 반면, 그 밸브 부재는 폐쇄 상태에서 흐름 안내 부재 전방 또는 옆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후자는 흐름에 대하여 어떤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EGR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른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그 밸브 부재는 흐름에 대하여 그 개방이 흐름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행하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밸브 부재가 모이는 가스 압력에 저항하여 폐쇄된 채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특별한 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면 유리하다. 반대로, 모이는 가스 자체가 밸브 부재를 폐쇄 위치로 압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유리한 구성은, 밸브 부재가 그것의 개방 위치에서 고온 가스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열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흐름 안내 부재에 의하여 가능해진다.
현재로서는, 파이프 부분이 흐름 안내 부재로 바람직하다. 그 파이프는 원형 단면을 가져도 좋고, 이와 관련하여, EGR 라인의 단면에 적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성형된 흐름 안내 부재는 특히 양호한 흐름 안내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다른 파이프의 단면도 물론 가능하다. 가능한 예로는 타원형, 장방형 또는 다각형 단면이 있다.
아울러, EGR 라인 또는 밸브 개구부의 단면을 가로질러 흐름 안내 부재가 적어도 일단에서 비스듬하게 되어 있는 것이 편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예를 들면, 파이프 부분은 적어도 일단에서 중심 흐름 축선에 대하여 비스듬한 또는 경사진 형태로 절단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밸브 부재의 필요한 동작을 방해하는 일 없이 흐름 안내 부재가 갖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한 덮는 기능의 효과적인 장점을 취한다.
경사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하거나 피벗 가능한 구조가 현재로서는 밸브 부재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형의 동작은 밸브 부재가 특히 쉽게 흐름 안내 부재 뒤의 "보호되는" 위치를 점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밸브 부재가 왕복 운동을 할 때에도 역시 이러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경사식 밸브 부재의 회전 샤프트가 밸브 개구부의 평면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밸브 부재가 그것의 주변을 가로질러 연속되고 회전 샤프트의 부분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아서 특히 신뢰성 있는 밀봉을 이룬다고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회전 샤프트의 전술한 구성은 밸브 부재가 흐름 안내 부재 뒤의 보호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편리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는 회전 샤프트가 중심 흐름 축선에 대한 오프센터 위치를 갖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촉진된다. 그 결과, 밸브 개구부의 신뢰성 있는 폐쇄가 달성됨과 아울러 밸브 부재가 밸브 개구부로부터 매끄럽게 해제되도록, 밸브 시트에 대하여 밸브 부재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욱 선호되는 것은 밸브 부재가 밸브 개구부를 향한 측부에서 거의 원추형(테이퍼형) 또는 구형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는 밸브 개구와 접경하는 밸브 시트와의 특히 양호한 상호 작용을 허용한다.
마지막으로, EGR 밸브가 밸브 부재 개방 위치에 밸브 부재 수납 챔버를 포함하면 흐름 경로가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 수납 챔버는 그것의 형상과 관련하여 밸브 부재 자체의 형상 및 밸브 부재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는 밸브 부재가 그것의 개방 위치에서 흐름으로부터 완 전히 벗어나서 이동되어 극히 미미한 정도로 흐름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EGR 밸브(10)는 EGR 라인의 일부분 내에 배치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밸브는 그것의 각 단부에 EGR 라인 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12)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 개구부(14)는 예를 들어 원형으로서 밸브 시트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 밸브 시트와 연동하는 것은 밸브 부재(16)로서, 그 밸브 부재는 밸브 시트에 대응하게 거의 원형이다. 이 특별한 예에 있어서, 밸브 부재(16)는 밸브 개구부와 마주하는 측부의 구조가 구형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밸브 부재는 3개의 부분을 또한 구비한다. 제1 부분(18)은 밸브 시트와의 실제의 상호 작용을 위하여 환형 부재(20)가 부착되는 기체(基體)를 형성한다. 밸브 개구부와 마주하는 측부에는, 이 측부에서 구형 구성을 완성하는 제3 부재(22)가 있다.
기체(18)는 밸브 개구부의 이 영역에서 거의 원형인 구조를 갖는다. 암(arm)으로 설계될 수 있는 두 부분들은 일체적으로 이 영역에 연결되어 개별적인 회전 샤프트에 대한 연결을 보장하는데, 도 1은 단면도이기 때문에 이들 암 중 단지 하나만을 그 도면에서 식별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회전 샤프트가 밸브 개구부의 평면 외측으로, 그리고 중심 흐름 축선에 대해서도 오프센터되어 있기 때문에(회전 샤프트는 이 특정예에서 하방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그 회전 샤프트는 조립식 구조(sectional in design)일 수도 있다. 그 회전 샤프트의 전방부는 단면도인 관계로 도 1에서 식별할 수 없으며, 도 1의 도시에 따른 "후방"부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흐름 안내 부재(24)에 의하여 덮여 있다. 그러나, 그 회전 샤프트의 배치는 더욱 정밀한 다른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다.
흐름 안내 부재(24)는 도시된 밸브 구조에 한 측부으로부터(도 1의 도면에 따르면 우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플랜지(26)에 의하여 지지되는 파이프 부분이다. 도시된 예에서, 흐름 안내 부재를 형성하는 파이프는 우측 단부 영역에서만 EGR 라인의 내측과 접촉한다. 리브(ribs)(28)가 형성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도 역시 접촉은 간헐적으로만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 특히 이들 리브를 형성하는 것은 특히 EGR 밸브가 "고온"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고려된다. 이들 리브(28)의 영역에서만 발생하는 접촉은 흐름 안내 부재로의 열전달에 영향을 미친다. EGR 밸브가, 예컨대 "저온"측에 달리 구성된다면, 그 부착 방법도 달리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인데, 특히 리브(28)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흐름 안내 부재(24)는 그것이 밸브 개구부(14)와 마주하는 측부에서 비스듬하게 절단된다. 다시 말해서, 흐름 안내 부재는 한 측부가(도 1에 따르면 상측보다 하측이) 더 길다. 이러한 구조는 흐름 안내 기능을 만족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만, 개방을 위하여 필요한 밸브 부재(16)의 동작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또 다른 도면에서 더 쉽게 인식할 수 있겠지만, 이러한 동작은 시계 방향 회전으로 발생한다. 구조적으로 대체로 구형으로 오목하고 밸브 부재(16)의 동작 및 형상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수납 챔버(30)가 밸브 부재의 개방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수납 챔버(30)의 영역에서, 도시된 EGR 밸브(10)를 에워싸는 부위에서 영역(32)을 식별할 수 있는데, 이 영역(30)은 EGR 밸브와 일체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예컨대 밸브를 냉각하는 한편 필요한 구동 장치, 센서 등을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밸브 부재(16)가 개방하는 동안의 도 1에 도시된 EGR 밸브를 보여주고 있다. 밸브 시트(14)와 관련하여, 도 2는 밸브 시트(14)가 별도의 부재로서 EGR 밸브(10)의 기체(基體) 내로 삽입되고, 밸브 부재(16)와 연동하는 측부에서 원추형 또는 구형으로 비스듬하게 되어 있는 것을 명확히 하고 있다. 회전 샤프트가 밸브 부재(16)의 평면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밸브 부재는 EGR 라인의 도시된 부분의 연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회전 동작을 지향하는 밸브 부재(16)의 연부는 수납 부재(30)의 형상에 반영되는 원형 경로를 나타낸다. 밸브 부재(16)가 이동되는 영역 내에서 비스듬한 절단부가 흐름 안내 부재를 그것의 일단부에서 반대측보다 더 짧게 만들어서, 흐름 안내 부재(24)는 밸브 부재(16)의 전술한 동작을 허용하고, 방해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밸브 부재(16)의 완전히 개방된 위치를 도시하고 있는데, 그 위치는 밸브 개구부를 해제시킨다. 밸브 부재(16)는 수납 챔버(30) 내에 수용되어 대부분이 흐름 안내 부재(24)에 의하여 덮인다. 다시 말해서, 밸브 부재(16)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의 흐름 속의 지점으로부터 밸브 부재(16)를 보면, 밸브 부재는 거의 흐름 안내 부재(24) 뒤로 가려져 있다. 결국, 흐름이 개방된 밸브 부재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밸브 부재는 EGR 라인의 고온측에서 개방될 수 있고, 열에 관한 용어로 말한다면 흐름 안내 부재(24)에 의하여 차폐된다. 밸브 부재(16)의 평면은 흐름 안내 부재(24)의 외벽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연장됨으로써 사용가능한 구조적인 설계 공간을 특히 양호한 효과에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흐름을 효율적으로 안내하면서 그 흐름을 방해하지 않음으로써, 밸브에 의한 유체 흐름 손실을 더욱 효율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가 제공된다.

Claims (9)

  1. 밸브 개구부(14)와, 상기 밸브 개구부(14)를 폐쇄시키는 위치와 상기 밸브 개구부(14)를 개방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밸브 부재(16)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부재(16)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개방시키는 위치에 마련되는 수납 챔버(30)를 구비하며, 흐름 안내 부재(24)를 또한 구비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EGR) 밸브(10)로서, 상기 밸브 부재(16)는, 상기 흐름 안내 부재(24)의 유동 중심축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밸브 개구부(14)를 개방시키는 위치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흐름 안내 부재(24) 및 상기 수납 챔버(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16)는, 상기 밸브 개구부(14)의 개방 및 폐쇄시,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안내 부재(24)는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안내 부재(24)는 상기 밸브 개구부(14)와 마주하는 측부에서 비스듬하게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16)는 기울임(tiltable)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16)의 회전 샤프트는 상기 밸브 개구부(14)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16)의 회전 샤프트는 상기 유동 중심축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16)는 상기 밸브 개구부(14)를 향한 측부에 원추형(테이퍼형) 또는 구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챔버(30)는, 상기 밸브 부재(16)의 개방 위치에서 오목한 구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KR1020040106806A 2003-12-19 2004-12-16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KR101207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29491.2 2003-12-19
EP03029491A EP1544449B1 (de) 2003-12-19 2003-12-19 Abgasrückführvent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050A KR20050072050A (ko) 2005-07-08
KR101207865B1 true KR101207865B1 (ko) 2012-12-05

Family

ID=3448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806A KR101207865B1 (ko) 2003-12-19 2004-12-16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82315B2 (ko)
EP (1) EP1544449B1 (ko)
KR (1) KR101207865B1 (ko)
CN (1) CN100430593C (ko)
AT (1) ATE354726T1 (ko)
DE (1) DE50306597D1 (ko)
ES (1) ES2280684T3 (ko)
PT (1) PT1544449E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99A (ko) * 2015-06-24 2017-01-03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저압 egr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09976A1 (de) * 2004-06-25 2005-12-28 Cooper-Standard Automotive (Deutschland) GmbH Ventil im Bereich eines Verbrennungsmotors
DE102004054164B4 (de) * 2004-11-10 2011-06-16 Pierburg Gmbh Abgasrückführvorrichtung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ATE494472T1 (de) * 2005-03-31 2011-01-15 Cooper standard automotive deutschland gmbh Abgasrückführsystem
EP2025910B1 (de) 2007-07-30 2009-12-02 Cooper-Standard Automotive (Deutschland) GmbH Abgasrückführsystem
DE102008011416A1 (de) * 2008-02-27 2009-09-1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Turbolader mit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s Wastegate-Kanals
US9200532B2 (en) * 2012-09-13 2015-12-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urbine wastegate
JP6460012B2 (ja) * 2016-03-03 2019-01-30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ル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1689A (en) 1977-01-29 1979-10-23 Robert Bosch Gmbh Device for the control of gas admissions into the induction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104228A1 (de) 2000-04-17 2001-10-25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Mischung und Dosierung von Gasströmen an Verbrennungskraftmaschin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3147A (en) * 1953-08-26 1959-04-21 Fairchild Engine & Airplane Valve mechanism
US3575376A (en) * 1968-10-30 1971-04-20 Thiokol Chemical Corp Dual position valve
DE3336879A1 (de) 1983-10-11 1985-04-25 Harald 6707 Schifferstadt Hoffmann Ventilsitzeinrichtung, insbesondere fuer drehkegelstellventile
DE19549107A1 (de) * 1995-12-29 1997-07-03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Abgasrückführung mit einem im Ansaugkanal betätigbaren Schließelement
WO2001079680A1 (de) 2000-04-17 2001-10-25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mischung und dosierung von gasströmen an verbrennungskraftmaschinen
DE10106608A1 (de) 2001-02-13 2002-08-22 Pierburg Ag Abgasrückführsteuerventil für eine Brennktaftmaschine
ATE317062T1 (de) 2001-03-29 2006-02-15 Siebe Automotive Deutschland Gmbh Abgasrückführventil
DE10209335A1 (de) 2002-03-02 2003-09-11 Pierburg Gmbh Ventileinrichtung
EP1462643A1 (de) 2003-03-25 2004-09-29 Cooper-Standard Automotive (Deutschland) GmbH Ventil-Öffnungsmechanism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1689A (en) 1977-01-29 1979-10-23 Robert Bosch Gmbh Device for the control of gas admissions into the induction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104228A1 (de) 2000-04-17 2001-10-25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Mischung und Dosierung von Gasströmen an Verbrennungskraftmaschin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99A (ko) * 2015-06-24 2017-01-03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저압 egr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544449E (pt) 2007-04-30
ES2280684T3 (es) 2007-09-16
KR20050072050A (ko) 2005-07-08
US20050167629A1 (en) 2005-08-04
CN100430593C (zh) 2008-11-05
ATE354726T1 (de) 2007-03-15
DE50306597D1 (de) 2007-04-05
US7182315B2 (en) 2007-02-27
EP1544449A1 (de) 2005-06-22
EP1544449B1 (de) 2007-02-21
CN1637263A (zh)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3688B2 (ja) 回転ディーゼル電気排気ガス再循環弁
US9151218B2 (en) Variable capacity exhaust gas turbocharger
US11156151B2 (en) Regulating device for an exhaust turbocharger
US9127590B2 (en) Turbocharger
JP4468277B2 (ja) 流路切替弁
US8365813B2 (en) Switchable waste gas exchanger
JP4594128B2 (ja) 排気マニホールド
JP4306660B2 (ja) 内燃機関の吸気ポート構造
US7533659B2 (en) Exhaust-gas recirculation valve
KR101207865B1 (ko)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EP1859156B1 (en) By-pass and egr integrated valve
JP2007064277A (ja) 流体制御弁
JPH06213334A (ja) 内燃機関の排ガス管路のためのちょう形絞り弁装置
EP2556239B1 (en) Bypass valve for vehicle
JP2004190693A (ja) 流路切替弁
JP2011047290A (ja) Egrバルブ
KR101399417B1 (ko) Egr 쿨러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CN115324749A (zh) 用于车辆的排气系统的阀组件
US7131433B1 (en)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valve assembly
US6631707B1 (en) Device for recirculating the exhaust ga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133418B2 (ja) 動作が改良されたエンジン制御バルブ
JP2563930Y2 (ja) エンジン用マフラーのバルブ構造
CN213775558U (zh) 排气阀、排气管线和车辆
JP2004504575A (ja) 肉薄の管シール部を有するスロットルバルブ
JP7154460B2 (ja) 排気ガス再循環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