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353B1 - 접이식 보트 - Google Patents

접이식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353B1
KR101207353B1 KR1020120036645A KR20120036645A KR101207353B1 KR 101207353 B1 KR101207353 B1 KR 101207353B1 KR 1020120036645 A KR1020120036645 A KR 1020120036645A KR 20120036645 A KR20120036645 A KR 20120036645A KR 101207353 B1 KR101207353 B1 KR 10120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fold line
stern
folding
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유
이상석
박희진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마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마린
Priority to KR102012003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6Pontoons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2007/003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with foldable me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접는선을 따라 접어 보트의 폭을 반으로 감소시킨 후, 중앙부와 선미부 사이에 구비된 제2 접는선을 따라 접어 보트의 길이를 선미부만큼 감소시키고, 선수부와 중앙부 사이에 구비된 제1 접는선을 따라 접어 보트의 길이를 선수부만큼 감소시키는 3단계 접이방식 또는 중앙부에 제4 접는선을 형성한 4단계 접이방식을 적용하여 보트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일반 차량의 트렁크에도 접이식 보트가 충분히 수용되도록 하여 휴대성과 운반성을 극대화하고, 보트의 바닥면을 오각형 형태로 구성하고 측면에 측면 부력체를 장착함으로써, 수중에서 보트의 균형을 잡아주고 디자인적으로도 안정감을 제공하며 배허리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수부와 중앙부에 지지부재를 장착하여 보트 내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보트가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앞접이와 뒷접이를 형성하여 안정적인 보트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접이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선수부, 상기 선수부와 연결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와 연결되는 선미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수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 상기 중앙부와 상기 선미부 사이에는 각각 폭 방향으로 제1 접는선과 제2 접는선이 구비되고, 상기 선수부와 상기 중앙부 및 상기 선미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3 접는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보트{Foldable boat}
본 발명은 접이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접는선을 따라 접어 보트의 폭을 반으로 감소시킨 후, 중앙부와 선미부 사이에 구비된 제2 접는선을 따라 접어 보트의 길이를 선미부만큼 감소시키고, 선수부와 중앙부 사이에 구비된 제1 접는선을 따라 접어 보트의 길이를 선수부만큼 감소시키는 3단계 접이방식 또는 중앙부에 제4 접는선을 형성한 4단계 접이방식을 적용하여 보트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일반 차량의 트렁크에도 접이식 보트가 충분히 수용되도록 하여 휴대성과 운반성을 극대화하고, 보트의 바닥면을 오각형 형태로 구성하고 측면에 측면 부력체를 장착함으로써, 수중에서 보트의 균형을 잡아주고 디자인적으로도 안정감을 제공하며 배허리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수부와 중앙부에 지지부재를 장착하여 보트 내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보트가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앞접이와 뒷접이를 형성하여 안정적인 보트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접이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트는 단일체로 제작된 선체와 엔진 등으로 이루어진 모터를 이용한 자동식과, 노보트나 발구름에 의해 동력을 제공하는 수동식이 있다. 저수지 낚시나 연안에서 바다낚시를 즐기는 조사들 또는 레프팅 등에 사용되는 보트는 주로 고무로 제작된 보트나 합성수지로 선체를 제작한 것이 출시되어 있다.
고무보트의 경우 바람을 제거한 상태에서 접어서 보관한 후 사용장소에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고무보트를 팽창시켜 사용한다. 고무보트는 컴팩트한 사이즈로 접고 공기 주입을 통해 본래의 사이즈로 펴서 사용할 수 있어 차량을 이용한 이송 운반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가격도 싸다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보트 사용상의 안정성 문제, 즉 사용중 날카로운 물체에 접촉되면 파손의 위험이 있고 승선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합성수지 보트의 경우 별도의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보트를 싣고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합성수지 보트는 완제품을 운반하기 위해 별도의 운반수단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보관할 때에도 별도로 마련된 장소에 보관해야 하므로,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한편, 강이나 바다에서 사용하는 FRP 재질 또는 금속재질의 레저용 보트는 1, 2인용이라 하더라도 기본적인 사이즈가 있기 때문에 보통의 승용차나 레저용 차량에 탑재시켜 운반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레저용 보트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후방에 별도로 설치되는 보트 운반용 트레일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자동차의 트렁크에 실을 수 있어 운반이 편리하고, 보관시에는 부피와 점유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용시에 초보자라도 용이하게 원래의 보트 형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일반 차량의 트렁크에도 접이식 보트가 충분히 수용되도록 하여 휴대성과 운반성을 극대화하고, 수중에서 보트의 균형을 유지하고 디자인적으로도 안정감을 제공하며, 보트 내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보트가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보트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접이식 보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보트는 선수부, 상기 선수부와 연결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와 연결되는 선미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수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 상기 중앙부와 상기 선미부 사이에는 각각 폭 방향으로 제1 접는선과 제2 접는선이 구비되고, 상기 선수부와 상기 중앙부 및 상기 선미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3 접는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이식 보트는 상기 제3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폭을 반으로 감소시킨 후, 상기 제2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1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킨 후, 상기 제1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2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부는 폭 방향의 제4 접는선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3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폭을 반으로 감소시킨 후, 상기 제1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1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2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킨 후, 상기 제4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3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수부와 상기 선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접으면 선체 내부로 돌출되는 앞접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미부에는 전개도상 오각형의 뒷판 물막이가 구비되고, 상기 뒷판 물막이의 양측 단부에는 안으로 접으면 선체 내부로 삽입되고 밖으로 접으면 선체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뒷접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3 접는선을 따라 접어 보트의 폭을 반으로 감소시킨 후, 중앙부와 선미부 사이에 구비된 제2 접는선을 따라 접어 보트의 길이를 선미부만큼 감소시키고, 선수부와 중앙부 사이에 구비된 제1 접는선을 따라 접어 보트의 길이를 선수부만큼 감소시키는 3단계 접이방식 또는 중앙부에 제4 접는선을 형성한 4단계 접이방식을 적용하여 보트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일반 차량의 트렁크에도 접이식 보트가 충분히 수용되도록 하여 휴대성과 운반성을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트의 바닥면을 오각형 형태로 구성하고 측면에 측면 부력체를 장착함으로써, 수중에서 보트의 균형을 잡아주고 디자인적으로도 안정감을 제공하며 배허리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수부와 중앙부에 지지부재를 장착하여 보트 내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보트가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앞접이와 뒷접이를 형성하여 안정적인 보트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트의 전개도,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전개도에 따라 접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트의 분리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트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트의 후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트의 전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전개도에 따라 접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트의 분리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트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트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선수부(10)와 중앙부(30) 및 선미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의 전개도를 참조하면, 선수부(10)와 중앙부(30) 사이에는 폭 방향으로 제1 접는선(70)이 구비된다. 중앙부(30)와 선미부(50) 사이에는 제2 접는선(80)이 구비된다. 또한, 선수부(10)와 중앙부(30) 및 선미부(50)에 길이 방향으로 제3 접는선(90)이 구비된다. 이때, 제3 접는선(90)은 선수부(10)와 중앙부(30) 및 선미부(50)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되, 하나의 단일 라인(line)으로 구성된다. 또한, 중앙부(30)는 폭 방향의 제4 접는선(80a)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보트는 4단계의 접는 과정을 거쳐 작은 면적과 부피로 접혀진다. 먼저, 제3 접는선(90)을 따라 접어서 폭을 반으로 감소시킨다. 이때, 제3 접는선(90)을 따라 접는 방향은 도 2와 같이 보트의 상부면(사람이 승선하는 부분)이 오목해지는 방향, 즉 접혔을 때 보트의 상부면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접혀진다.
다음으로, 제1 접는선(70)을 따라 접어서 1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킨다.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선수부(10)를 접으면 보트의 길이가 선수부(10)만큼 감소된다.
다음으로, 제2 접는선(80)을 따라 접어서 2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킨다.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선미부(50)를 접으면 보트의 길이가 선미부(50)만큼 추가적으로 감소된다.
마지막으로, 제4 접는선(80a)을 따라 접어서 3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킨다.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4 접는선(80a)을 따라 접으면 보트의 길이가 도 4에 비해 대략 반 정도로 추가적으로 감소된다.
이때, 제1 접는선(70)을 따라 접는 방향과 제2 접는선(80)을 따라 접는 방향 및 제4 접는선(80a)을 따라 접는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와 같이 제2 접는선(80)을 따라 접힌 선미부(50)와 제1 접는선(70)을 따라 접힌 선수부(10)는 서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해 있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4 접는선 없이 3단계의 접는 과정을 거쳐 작은 면적과 부피로 접을 경우(이때, 중앙부(30)에는 제4 접는선이 형성되지 않음)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접는선(90)을 따라 접어서 폭을 반으로 감소시키고(1단계), 제2 접는선(80)을 따라 접어서 1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킨 후(2단계), 제1 접는선(70)을 따라 접어서 3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킨다(3단계).
이때, 제2 접는선(80)을 따라 접는 방향과 제1 접는선(70)을 따라 접는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접는선(80)을 따라 접힌 선미부(50)와 제1 접는선(70)을 따라 접힌 선수부(10)는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하게 된다.
접는선(70, 80, 80a, 90)을 포함하여 접히는 부분은 폴리에틸렌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나,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 또는 비닐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히는 부분은 보트의 다른 부분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보트의 다른 부분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3단계 또는 4단계를 통해 보트를 접어 보트의 면적과 부피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차량의 트렁크에도 삽입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선수부(10)에는 앞접이(12)가 구비된다. 앞접이(12)를 형성하기 위해 중앙 접는선(14)과 한 쌍의 양측 접는선(16)이 구비된다. 이때, 도 1을 기준으로 중앙 접는선(14)은 지면 상부방향으로 접히고(바깥으로 접음), 양측 접는선(16)은 지면 하부방향으로 접힌다(안쪽으로 접음). 따라서, 중앙 접는선(14)은 보트 위에서 볼 때 돌출되고 양측 접는선(16)은 보트 아래(바닥면)에서 볼 때 돌출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앞접이(12)는 보트 내부로 돌출되어 도 7과 같은 형상을 취하게 되며, 앞접이(12)가 풀리지 않도록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선수부(10)에는 앞판 물막이(20)가 구비되고, 중앙부(30)와 선미부(50) 일부에는 한 쌍의 옆판 물막이(32)가 구비된다. 옆판 물막이(32)를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양측 접는선(92)이 구비된다. 이때, 도 1을 기준으로 한 쌍의 양측 접는선(92)은 안쪽으로 접혀 도 7과 같이 옆판 물막이(32)를 형성한다.
중앙의 제3 접는선(90)은 접이식 보트의 운반시(이하, "운반 모드")에는 도 2와 같이 완전히 접히게 된다. 접이식 보트를 펼쳐서 승선할 경우(이하, "승선 모드")에는 도 8과 같이 제3 접는선(90)을 기준으로 양측 바닥면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힌다.
따라서, 제3 접는선(90)과 양측 접는선(92)을 접어 승선 모드로 하면 보트의 바닥면은 제3 접는선(9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5각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선 모드에서 보트의 바닥면이 5각형을 형성하기 때문에 수중에서 보트의 균형을 잡아주고 디자인적으로도 안정감을 표출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미부(50)에는 뒷판 물막이(52)가 구비된다. 뒷판 물막이(52)를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내측 접는선(56)과 한 쌍의 외측 접는선(58)이 구비된다. 이때, 도 1을 기준으로 한 쌍의 내측 접는선(56)은 바깥으로 접히고(보트 내부 방향으로 돌출), 한 쌍의 외측 접는선(58)은 안쪽으로 접힌다(보트 외부 방향으로 돌출). 이와 같이 접으면 뒷판 물막이(52)는 오각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오각형의 뒷판 물막이(52)의 양측 단부에는 한 쌍의 뒷접이(54)가 구비된다(도 6 참조). 도 6에는 한 쌍의 뒷접이(54)가 밖으로 형성되어 선체 외부로 돌출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한 쌍의 뒷접이는 안으로 접혀 선체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뒷판 물막이 형성방법과 반대로, 한 쌍의 내측 접는선(56)은 안쪽으로 접히고, 한 쌍의 외측 접는선(58)은 바깥으로 접힌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선미부(50)에는 선미 지지판과 선미 부력체가 구비될 수 있다.
선미 지지판은 뒷판 물막이(52)와 마찬가지로 오각형으로 형성되어 뒷판 물막이(52)의 내부에 결합된다. 선미 부력체는 뒷판 물막이(52)의 외부에 결합된다. 즉, 선미 지지판과 선미 부력체는 뒷판 물막이(52)를 가운데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밀착되어 있다. 이때, 선미 지지판과 선미 부력체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함께 뒷판 물막이(52)에 체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중앙부(30)와 선미부(50) 일부에는 양측에 측면 부력체(120)와 노걸이(130)가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측면 부력체(120)는 부력을 확보하고 접이식 보트의 배허리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노걸이(130)는 슬라이드 방식, 나사결합 방식 등을 적용하여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걸이(130)에는 한 쌍의 노(140)가 결합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선수부(10)와 중앙부(30) 및 선미부(50)의 가장자리에는 에지(105)가 구비된다. 에지(105)는 접이식 보트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지지역할과 물막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선수부(10)에는 선수 지지부재(110)가, 중앙부(30)에는 중앙 지지부재(115)가 구비되어 접이식 보트의 외형을 유지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선수부 12 - 앞접이
20 - 앞판 물막이 30 - 중앙부
32 - 옆판 물막이 50 - 선미부
52 - 뒷판 물막이 70 - 제1 접는선
80 - 제2 접는선 80a - 제4 접는선
90 - 제3 접는선 110 - 선수 지지부재
115 - 중앙 지지부재 120 - 측면 부력체
130 - 노걸이 140 - 노

Claims (5)

  1. 선수부, 상기 선수부와 연결되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와 연결되는 선미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수부와 상기 중앙부 사이, 상기 중앙부와 상기 선미부 사이에는 각각 폭 방향으로 제1 접는선과 제2 접는선이 구비되고, 상기 선수부와 상기 중앙부 및 상기 선미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3 접는선이 구비되며,
    상기 선미부에는 한 쌍의 내측 접는선과 한 쌍의 외측 접는선이 구비되어 전개도상 오각형의 뒷판 물막이가 구비되고, 상기 뒷판 물막이의 양측 단부에는 안으로 접으면 선체 내부로 삽입되고 밖으로 접으면 선체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뒷접이가 구비되며,
    상기 선미부에는 상기 뒷판 물막이를 사이에 두고 내부의 선미 지지판과 외부의 선미 부력체가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되며,
    상기 중앙부와 선미부 일부에는 양측에 측면 부력체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선수부와 중앙부 및 선미부의 가장자리에는 에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폭을 반으로 감소시킨 후, 상기 제2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1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킨 후, 상기 제1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2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폭 방향의 제4 접는선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3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폭을 반으로 감소시킨 후, 상기 제1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1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2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킨 후, 상기 제4 접는선을 따라 접어서 3차적으로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부와 상기 선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접으면 선체 내부로 돌출되는 앞접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트.
  5. 삭제
KR1020120036645A 2012-04-09 2012-04-09 접이식 보트 KR101207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645A KR101207353B1 (ko) 2012-04-09 2012-04-09 접이식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645A KR101207353B1 (ko) 2012-04-09 2012-04-09 접이식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353B1 true KR101207353B1 (ko) 2012-12-04

Family

ID=4790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645A KR101207353B1 (ko) 2012-04-09 2012-04-09 접이식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35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046B1 (ko) 2013-02-01 2014-11-13 허홍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롤업 구조의 소형 보트
KR101523465B1 (ko) * 2014-04-14 2015-05-28 윤동환 휴대용 접이식 보트
KR101523464B1 (ko) * 2014-04-14 2015-05-28 윤동환 휴대용 접이식 보트
KR20170019010A (ko) 2015-08-10 2017-02-21 정지회 휴대용 조립식 보트
KR101731774B1 (ko) * 2017-01-13 2017-04-28 김승기 접이식 카타마란 보트
KR102062983B1 (ko) 2018-05-28 2020-01-06 이인환 접이식 pp골판지 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1180A (en) 1971-02-15 1973-11-13 D Tanabe Collapsible portable boat and its method of assembly
US4225551A (en) 1977-01-20 1980-09-30 Robert Gault Boat hulls
KR200290043Y1 (ko) * 2002-07-06 2002-09-28 유영봉 조립식 보트
KR200352593Y1 (ko) 2004-02-17 2004-06-09 박익서 휴대용 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1180A (en) 1971-02-15 1973-11-13 D Tanabe Collapsible portable boat and its method of assembly
US4225551A (en) 1977-01-20 1980-09-30 Robert Gault Boat hulls
KR200290043Y1 (ko) * 2002-07-06 2002-09-28 유영봉 조립식 보트
KR200352593Y1 (ko) 2004-02-17 2004-06-09 박익서 휴대용 보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046B1 (ko) 2013-02-01 2014-11-13 허홍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롤업 구조의 소형 보트
KR101523465B1 (ko) * 2014-04-14 2015-05-28 윤동환 휴대용 접이식 보트
KR101523464B1 (ko) * 2014-04-14 2015-05-28 윤동환 휴대용 접이식 보트
KR20170019010A (ko) 2015-08-10 2017-02-21 정지회 휴대용 조립식 보트
KR101731774B1 (ko) * 2017-01-13 2017-04-28 김승기 접이식 카타마란 보트
KR102062983B1 (ko) 2018-05-28 2020-01-06 이인환 접이식 pp골판지 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353B1 (ko) 접이식 보트
US11731737B2 (en) Portable solar-electric watercraft
US6863014B2 (en) Inflatable kayak
KR100857809B1 (ko) 휴대용 접이식 보트
US5353733A (en) Folding boat with detachable land wheels
US20180065710A1 (en) Extendable hull system movable betwen mono-hull and multi-hull configurations
US8783204B1 (en) Collapsible kayak
US5052324A (en) Folding fishing boat apparatus
US6851382B2 (en) Floating collapsible utility trailer
US3303520A (en) Collapsible catamaran
US5257594A (en) Suitcase boat
US3079616A (en) Foldable floating platform
US6536367B1 (en) Floating collapsible utility trailer
JP2013237425A (ja) 開閉ボート
US4961397A (en) Challenge craft
KR101523465B1 (ko) 휴대용 접이식 보트
TWI569998B (zh) Folding combination boat
US3116496A (en) Folding boat hull
CN110435811A (zh) 浮式折叠组装船
US20200031430A1 (en) Multiple hull folding boat
KR101731774B1 (ko) 접이식 카타마란 보트
US6240872B1 (en) Foldable boat
KR101740232B1 (ko) 휴대용 조립식 보트
CN204415668U (zh) 一种新型可折叠的皮划艇
KR20150029270A (ko) 수륙양용트레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