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914B1 -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비누화하여 제조된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 - Google Patents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비누화하여 제조된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914B1
KR101206914B1 KR1020100037085A KR20100037085A KR101206914B1 KR 101206914 B1 KR101206914 B1 KR 101206914B1 KR 1020100037085 A KR1020100037085 A KR 1020100037085A KR 20100037085 A KR20100037085 A KR 20100037085A KR 101206914 B1 KR101206914 B1 KR 101206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microspheres
vinyl pivalate
vinyl
ionic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554A (ko
Inventor
심재진
웬방호아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91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8/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18/02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F18/04Vinyl esters
    • C08F18/08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6/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16/02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alcohol radical
    • C08F16/04Acyclic compounds
    • C08F16/06Polyvinyl alcohol ; Vinyl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0Aqueous medium with the aid of macromolecular disper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해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비누화하여 제조되는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은 분자량의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높은 전환율로 수득할 수 있는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얻은 높은 분자량의 폴리(피발산비닐)을 비누화하여 고 교대배열성을 나타내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비누화하여 제조된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PREPARATION METHOD OF POLY(VINYL PIVALATE) MICROSPHERES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IN AN IONIC LIQUID AND SYNDIOTACTICITY-RICH POLY(VINYL ALCOHOL) PREPARED BY SAPONOFICATION OF THE POLY(VINYL PIVALATE) MICROSPHERES}
본 발명은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해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비누화하여 제조되는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알코올)은 물에 녹는 특이한 고분자 물질로서 1924년 독일의 Herman과 Haehnel에 의해 발견되었고 이차 세계대전 이후 1948년 일본에서 공업화되어 섬유용 수지로 상업화가 되었다.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또는 폴리(피발산비닐)(PVPi) 등의 폴리(비닐에스테르)는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제조하기 위한 전구체로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폴리(피발산비닐)의 비누화에 의해 수득된 폴리(비닐알코올)은 선형의 결정성 중합체이며, 이는 산업분야에서 섬유, 바인더, 필름, 멤브레인, 약물전달시스템을 위한 약물, 암세포 괴사 색전물질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및 필름은 고기능성 물질로서 다른 고분자섬유 및 필름에 비해 우수한 충격 및 인장 강도, 인장계수, 내마모성, 내알칼리성, 산소차단성을 나타낸다. 폴리(비닐알코올)의 이러한 물성들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분자량, 비누화 정도 및 교대배열성이 증가되어야 한다.
폴리(비닐알코올)의 분자량과 함께 교대배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t-부틸기의 강한 입체효과를 나타내는 피발산비닐 등과 같은 다양한 비닐에스테르 단량체가 사용된다. 이러한 피발산비닐은 벌크중합법, 용액중합법, 에멀젼중합법, 현탁중합법 등에 의해 중합될 수 있다. 그러나, 벌크중합법 또는 용액중합법에 의해 폴리(비닐알코올)을 제조하는 경우 높은 전환율 및 분자량을 동시에 얻기 위해서는 여러 기술적 제한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개시제 및 안정제가 투입된 이온성액체 내에 피발산비닐 단량체를 첨가하여 자유라디칼 분산중합법을 수행하여 높은 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얻을 수 있는 제조방법을 개발하게 되었고, 이러한 높은 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비누화과정을 거쳐 폴리(비닐알코올)을 제조하는 경우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분자량의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높은 전환율로 수득할 수 있는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비누화하여 제조된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온성액체 내에 개시제 및 안정제를 투입한 후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이온성액체 내에 피발산비닐 단량체를 첨가하여 자유라디칼 분산중합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이온성액체 내에 개시제 및 안정제를 투입한 후 교반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온성액체로는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이하 [bmim][TFSI])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성액체는 높은 점도 및 낮은 분산성을 나타내어 이온성액체 내에서 피발산비닐 단량체에 대해 분산중합법을 사용하여 폴리(피발산비닐)을 중합하는 경우, 고분자라디칼이 낮은 비율로 확산되어 종결반응을 지연시켜 라디칼함량과 중합율이 변하지 않게 유지시킴으로서 높은 평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이온성액체에 대해 투입되는 개시제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이하 AIBN)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피발산비닐 단량체 대비 0.1~3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과정에서 상기 개시제가 피발산비닐 단량체 대비 낮은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폴리(피발산비닐)의 수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개시제가 피발산비닐 단량체 대비 높은 중량%를 사용하는 경우 평균분자량이 낮은 폴리(피발산비닐)이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이온성액체에 대해 투입되는 안정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피발산비닐 단량체 대비 1~2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과정에서 상기 안정제가 피발산비닐 단량체 대비 높은 중량%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작은 입자를 얻을 수 있으나 고분자의 물리적 성질이 저하될 수 있으며, 낮은 중량%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응집에 의해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입자직경 분산도가 증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온성액체에 투입된 개시제와 안정제를 교반한 후 피발산비닐 단량체를 첨가하여 자유라디칼 분산중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과정에서 피발산비닐 단량체는 상기 이온성액체 대비 5~3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자유라디칼 분산중합법은 55~75℃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자유라디칼 분산중합법을 55℃ 미만에서 수행하여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제조하는 경우 응집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낮은 수율로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온성액체 내에 개시제 및 안정제를 투입하고 교반한 후, 상기 이온성액체 내에 피발산비닐 단량체를 첨가하여 자유라디칼 분산중합법을 수행하여 수득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개시제 및 안정제를 투입된 이온성액체 내에 피발산비닐 단량체를 첨가하여 자유라디칼 분산중합법을 수행하여 얻은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는 높은 평균분자량을 가지게 되며 비누화에 의해 물성이 우수한 폴리(비닐알코올)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높은 분자량의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높은 전환율로 수득할 수 있는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얻은 높은 분자량의 폴리(피발산비닐)을 비누화하여 고 교대배열성을 나타내며 물성이 우수한 폴리(비닐알코올)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폴리(피발산비닐)의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험예 3에서 피발산비닐 단량체를 이온성액체 대비 각각 10 중량%(도 2(a)), 15 중량%(도 2(b)) 및 20 중량%(도 2(c))로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피발산비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험예 4에서 안정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피발산비닐 단량체 대비 각각 1 중량%(도 3(a)), 2 중량%(도 3(b)), 5 중량%(도 3(c)) 및 10 중량%(도 3(d))로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피발산비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험예 5에서 개시제로서 AIBN을 피발산비닐 단량체 대비 각각 0.5 중량%(도 4(a)), 1 중량%(도 4(b)) 및 2 중량%(도 4(c))로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피발산비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험예 6에서 55℃(도 5(a)), 65℃(도 5(b)) 및 75℃(도 5(c))의 중합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폴리(피발산비닐) 각각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한 폴리(비닐알코올)의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5 g의 [bmim][TFSI](Ionic Liquids Technologies, Germany, 99% 순도), 0.005 g의 AIBN 개시제 및 0.025 g의 폴리(비닐피롤리돈)(Aldrich)을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마그네틱바를 이용하여 교반하고,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30분 동안 질소를 퍼징하였다. 이후, 0.5 g의 피발산비닐 단량체(Aldrich, 99%)를 상기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예열된 배스 내에서 65℃에서 20시간 동안 분산중합을 수행하였다. 이후 분산중합을 멈춘 후 아이스 배스 내에서 냉각하고 수득된 고분자를 메탄올 내에서 침전시켰다. 이후 원심분리와 메탄올에 의한 세척을 3회 수행한 후 수득된 고분자를 4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하여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얻었다. 상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에 대해 CDCl3을 용매로 사용하여 1H NMR 스펙트럼((300 MHz, Bruker)을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 ml 내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피발산비닐) 0.5 g을 용해시켰다. 상기 폴리(피발산비닐)이 용해된 용액과 20% 수산화칼륨/메탄올/물(메탄올:물= 90:10 부피비)의 혼합용액을 55℃에서 교반하여 비누화과정을 수행하였다. 이후 얻어진 생성물은 여과하고 3회에 걸쳐 메탄올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 4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을 얻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에 대해 CDCl3 을 용매로 사용하여 1H NMR 스펙트럼((300 MHz, Bruker)을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bmim][TFSI] 대신 디메틸설폭사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중합을 수행하여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얻었다.
[비교예 2]
[bmim][TFSI]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벌크중합을 수행하여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얻었다.
시험예 1 - 폴리 ( 피발산비닐 ) 미소구체의 물성측정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에 대해 하기 물성측정방법에 따라 평균분자량, 다분산성지수 및 수율에 대해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균분자량과 다분산성지수는 겔침투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Waters Model 2414)에 의해 측정하였고, 수율은 중량분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평균분자량
(× 105 g/mol)
다분산성 지수(PDI) 수율(%)
실시예 1 1.66 1.98 61
비교예 1 1.06 2.29 56
비교예 2 1.01 2.37 5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피발산 비닐) 미소구체는 1.66 × 105 g/mol의 평균분자량을 나타내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보다 높은 평균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높은 점도를 가지며 낮은 확산성을 가지는 이온성액체인 [bmim][TFSI] 내에서 분산중합을 수행하여 폴리(피발산비닐)을 제조하는 경우 높은 점도의 이온성액체 내에서 고분자라디칼이 낮은 비율로 확산되어 종결반응을 지연시켜 라디칼함량과 중합율이 변하지 않게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라 [bmim][TFSI] 이온성액체 내에서 분산중합하여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제조하는 경우 디메틸설폭사이드 내에서 중합하는 비교예 1 및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벌크 중합하는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에 비해 높은 평균분자량을 가지며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다.
시험예 2 - 폴리 ( 피발산비닐 ) 미소구체의 1 H NMR 스펙트럼 분석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에 대해 1H NMR 스펙트럼을 측정한 도 1을 참조하면, 4.7-5.0 ppm에서의 피크는 폴리(피발산비닐)의 주쇄에서의 피발산비닐의 메틴프로톤(-CH-)의 특성을 나타낸다. 폴리(피발산비닐)의 주쇄에서의 피발산비닐체의 메틸렌프로톤(-CH2-)은 1.8 ppm에서 피크를 나타낸다. 1.2 ppm에서의 피크는 폴리(피발산비닐)의 메틸프로톤(-C(CH3)3)의 특성을 나타낸다. 상술한 도 1의 1H NMR 스펙트럼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피발산비닐)은 잔여 단량체 및 용매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 폴리 ( 피발산비닐 ) 미소구체의 분산 중합과정에서 피발산비닐 단량체의 사용함량에 따른 물성변화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피발산비닐 단량체의 사용함량에 따른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 물성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개시제 및 안정제의 사용함량의 변화없이 피발산비닐 단량체를 이온성액체 대비 각각 10 중량%, 15 중량% 및 20 중량%로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 제조된 각각의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평균분자량, 다분산성지수, 수율 및 평균입자직경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고,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에 대해 전자현미경 사진을 촬영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피발산비닐 단량체 사용함량 평균분자량
(× 105 g/mol)
다분산성 지수(PDI) 수율(%) 평균입자직경
(㎛)
10 중량% 1.66 1.98 61 1.68
15 중량% 1.04 2.64 65 1.69
20 중량% 0.97 2.80 67 2.2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발산비닐 단량체의 사용함량이 높은 경우 평균분자량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피발산비닐 단량체의 사용함량을 이온성액체 대비 10 중량%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는 단분산 형태로 제조됨을 알 수 있다. 반면, 피발산비닐 단량체의 사용함량을 이온성액체 대비 15 중량% 및 20 중량%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는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며 평균입자직경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반응 매개체에서 피발산비닐 단량체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폴리(피발산비닐)과 안정제 모두에 대해 매개체의 용해도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시험예 4 - 폴리 ( 피발산비닐 ) 미소구체의 분산 중합과정에서 안정제의 사용함량에 따른 물성변화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안정제의 사용함량에 따른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물성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개시제 및 피발산비닐 단량체의 사용함량의 변화없이 안정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피발산비닐 단량체 대비 각각 1 중량%, 2 중량%, 5 중량% 및 10 중량%로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 제조된 각각의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평균분자량, 다분산성지수, 수율 및 평균입자직경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고,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에 대해 전자현미경 사진을 촬영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안정제
사용함량
평균분자량
(× 105 g/mol)
다분산성 지수(PDI) 수율(%) 평균입자직경
(㎛)
1 중량% 1.48 2.17 43 -
2 중량% 1.52 2.15 46 1.77
5 중량% 1.66 1.98 61 1.68
10 중량% 1.70 1.94 63 1.21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정제를 피발산비닐 대비 1 중량%를 사용한 경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는 응집되어 큰 입자직경 분산도를 나타내어 제조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정제를 피발산비닐 대비 2 중량%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는 수율을 약간 향상되나 응집이 일어나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고 이로부터 안정제가 피발산비닐 대비 5 중량% 미만으로 사용된 경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는 중합과정에서 안정화정도가 충분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안정제를 피발산비닐 대비 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한 경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는 사용되는 안정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입자의 직경은 감소하나 수율 및 평균분자량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용되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양이 많은 경우 올리고머 폴리(비닐피롤리돈) 라디칼이 다른 입자와 응집하기 전에 안정제를 신속하게 흡착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5 - 폴리 ( 피발산비닐 ) 미소구체의 분산 중합과정에서 개시제의 사용함량에 따른 물성변화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개시제의 사용함량에 따른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물성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안정제 및 피발산비닐 단량체의 사용함량의 변화없이 개시제로서 AIBN을 피발산비닐 단량체 대비 각각 0.5 중량%, 1 중량% 및 2 중량%로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 제조된 각각의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평균분자량, 다분산성지수, 수율 및 평균입자직경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에 대해 전자현미경 사진을 촬영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개지제
사용함량
평균분자량
(× 105 g/mol)
다분산성 지수(PDI) 수율(%) 평균입자직경
(㎛)
0.5 중량% 1.85 2.27 44 -
1 중량% 1.66 1.98 61 1.68
2 중량% 1.45 2.23 63 2.14
상기 표 4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시제의 사용함량이 증가할수록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평균분자량은 감소하나 평균입자직경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개시제의 사용함량이 증가할수록 평균입자직경은 증가하게 되나 초기 중합 단계에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양은 감소한다. 개시제의 사용함량이 높은 경우 입자직경 분산도가 높아지고 이는 입자 성장 단계에서 2차 결정핵생성 단계에 영향을 미쳐 큰 직경의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와 함께 작은 직경의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형성하게 한다.
시험예 6 - 폴리 ( 피발산비닐 ) 미소구체의 분산 중합과정에서 중합온도에 따른 물성변화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중합과정에서 온도에 따른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물성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55℃, 65℃ 및 75℃의 중합온도에서 중합하여 제조된 각각의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평균분자량, 다분산성지수, 수율 및 평균입자직경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고,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에 대해 전자현미경 사진을 촬영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중합온도
(℃)
평균분자량
(× 105 g/mol)
다분산성 지수(PDI) 수율(%) 평균입자직경
(㎛)
55 1.42 2.14 40 1.67
65 1.66 1.98 61 1.68
75 1.76 2.50 64 1.72
상기 표 5 및 도 5를 참조하면 55℃ 에서 자유라디칼 분산중합을 수행하여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는 수율이 낮으며 일부 응집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65℃ 및 75℃에서 자유라디칼 분산중합을 수행하여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는 평균분자량과 수율이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또한, 중합온도가 증가할수록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평균입자직경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 폴리(비닐알코올)의 1 H NMR 스펙트럼 분석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폴리(비닐알코올)에 대해 1H NMR 스펙트럼을 측정한 도 6을 참조하면, 1.1 ppm에서 피발로일 프로톤(pivaloyl proton) 피크가 없는 것으로 보아 폴리(피발산비닐)이 완전히 비누화된 것을 알 수 있다. 4.1-4.7 ppm에서의 히드록시 프로톤 트리플렛으로부터 산출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입체규칙성은 이소택틱, 헤테로택틱 및 3가 교대배열(syndiotactic triad)에 대해 15.7, 48.8 및 35.5 %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폴리(피발산비닐)로부터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의 2가 교대배열 함량은 60.6%로 산출되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는 15,000이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피발산비닐)을 비누화하여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은 높은 교대배열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이온성액체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 내에 개시제 및 안정제를 투입한 후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이온성액체 내에 피발산비닐 단량체를 첨가하여 자유라디칼 분산중합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피발산비닐 단량체 대비 0.1~3 중량%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피발산비닐 단량체 대비 1~2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발산비닐 단량체는 상기 이온성액체 대비 5~30 중량%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유라디칼 분산중합법은 55~75℃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이온성액체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 내에 개시제 및 안정제를 투입한 후 교반하는 단계;
    상기 이온성액체 내에 피발산비닐 단량체를 첨가하여 자유라디칼 분산중합법을 수행하여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비누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유라디칼 분산중합법은 55~75℃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의 제조방법.
  15. 삭제
KR1020100037085A 2010-04-21 2010-04-21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비누화하여 제조된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 KR101206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085A KR101206914B1 (ko) 2010-04-21 2010-04-21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비누화하여 제조된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085A KR101206914B1 (ko) 2010-04-21 2010-04-21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비누화하여 제조된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554A KR20110117554A (ko) 2011-10-27
KR101206914B1 true KR101206914B1 (ko) 2012-11-30

Family

ID=4503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085A KR101206914B1 (ko) 2010-04-21 2010-04-21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비누화하여 제조된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3816A (zh) * 2019-06-03 2019-08-30 辽宁大学 一种高分子复合材料微球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662B1 (ko) * 2001-01-19 2005-04-08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피발산비닐의 저온 현탁중합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피발산비닐 및폴리비닐알코올
JP2006089747A (ja) 2004-09-23 2006-04-06 Ind Technol Res Inst フリーラジカル重合プロセス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ポリマー
US20100081765A1 (en) 2006-12-11 2010-04-01 Wacker Chemie Ag Free-radical polymerization proc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662B1 (ko) * 2001-01-19 2005-04-08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피발산비닐의 저온 현탁중합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의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피발산비닐 및폴리비닐알코올
JP2006089747A (ja) 2004-09-23 2006-04-06 Ind Technol Res Inst フリーラジカル重合プロセス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ポリマー
US20100081765A1 (en) 2006-12-11 2010-04-01 Wacker Chemie Ag Free-radical polymerization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554A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rsch et al. Thermo-responsive cellulose-based architectures: tailoring LCST using poly (ethylene glycol) methacrylates
Wang et al. Polymerization-induced self-assembly of acrylonitrile via ICAR ATRP
Hurtgen et al. Synthesis of thermo‐responsive poly (N‐vinylcaprolactam)‐containing block copolymers by cobalt‐mediated radical polymerization
Xin et al. Synthesis of cellulose-graft-poly (methyl methacrylate) via homogeneous ATRP
JP4086961B2 (ja) グラフトポリマー
CN110894251B (zh) 一种叔胺衍生物型含氯两亲聚合物及其由该聚合物制备的分离膜
CN108440702B (zh) 一种高热稳定性乙烯-四氟乙烯共聚物的制备方法
Jiang et al. Ambient temperature synthesis of narrow or monodisperse, highly cross-linked, and “living” polymer microspheres by atom transfer radical precipitation polymerization
PT2112171E (pt) Estabilizador de dispersão para polimerização em suspensão de um composto vinílico, e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um polímero vinílico
Tamate et al. Photo/thermoresponsive ABC triblock copolymer-based ion gels: photoinduced structural transitions
CN113061266A (zh) 一种基于多重非共价交联作用的高强度离子凝胶
KR20070097742A (ko) 염화비닐계 수지 제조용 분산제 및 이를 이용한 염화비닐계수지의 제조 방법
KR101206914B1 (ko)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분산중합법에 의한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폴리(피발산비닐) 미소구체를 비누화하여 제조된 고 교대배열 폴리(비닐알코올)
JP2014501803A (ja) フッ化ビニル重合およびフッ化ビニルポリマーの水分散液
CN109134769A (zh) 一种苝酰亚胺荧光染料的高分子化方法
CN114426639A (zh) α-烯烃-马来酸酐共聚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6785390B1 (ja) 導電性ポリマー水性分散液、導電性ポリマー塗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58927B1 (ko)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머의 제조방법
JP3285622B2 (ja) ブロック共重合体
KR102251268B1 (ko) 염화비닐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TWI303638B (en) Free radical polymerization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s with low polydispersity index and polymers obtained thereby
Zhuang et al.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electrolytes II: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 (acrylic acid‐co‐alkyl acrylate)
TWI836106B (zh) 乙烯醇系嵌段共聚物及其製造方法
CN114656591B (zh) 一种水溶性大分子光引发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Liu et al. One-pot synthesis of thermoresponsive cellulose-based miktoarm graft copolymer by simultaneous ATRP and R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