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261B1 - Adhesive plate for manufacturing OLED device - Google Patents

Adhesive plate for manufacturing OLED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261B1
KR101206261B1 KR1020110023955A KR20110023955A KR101206261B1 KR 101206261 B1 KR101206261 B1 KR 101206261B1 KR 1020110023955 A KR1020110023955 A KR 1020110023955A KR 20110023955 A KR20110023955 A KR 20110023955A KR 101206261 B1 KR101206261 B1 KR 101206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dhes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9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06092A (en
Inventor
안재곤
정기택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261B1/en
Publication of KR2012010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0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2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트상에서 점착 부재들의 점착력을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르게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기판을 점착하여 지지하는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기판 분리시에는 기판이 파손됨이 없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정 성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OLED 제조용 장비의 점착 플레이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s on the plat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adhering and supporting the substrate as a whole, and also allows the substrate to be easily separated without being damaged when the substrate is separated. It provi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of the equipment for manufacturing OLED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Description

OLED 제조용 장비의 점착 플레이트{Adhesive plate for manufacturing OLED device}Adhesive plate for manufacturing OLED equipment {Adhesive plate for manufacturing OLED device}

본 발명은 OLED를 제조하기 위한 장비에 이용되는 OLED 제조용 장비에서 기판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점착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plate for supporting and fixing a substrate in an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used in the equipment for manufacturing an OLED.

일반적으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유기EL이라고도 불리는데,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발광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 유기물질을 말한다.In general,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lso called organic EL, refers to a self-luminous organic material that emits itself by using an electroluminescence phenomenon that emits light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a fluorescent organic compound.

OLED를 활용해 TV나 휴대전화의 디스플레이를 만들거나 조명 기구를 생산할 때 필요한 장비가 OLED 증착 장비이다.OLED deposition equipment is needed to make display of TV or mobile phone using OLED and to produce lighting equipment.

OLED 증착 장비는 기판에 유기물질을 증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서, OLED 생산을 위한 핵심 장비이다.OLED deposition equipment is used to form a thin film by depositing organic materials on a substrate, and is a key equipment for OLED production.

OLED 제조용 증착 장비는 주로 진공 열 증착장비(Thermal evaporation system)가 이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증착 챔버의 상부에 기판이 도입되어 증착이 이루어지는 증착 공간부가 마련되고, 그 하부에 증착 물질을 공급하는 소스(source) 및 소스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 등이 구비된다.As a deposition equipment for OLED manufacturing, a vacuum evaporation system is mainly used. In general, a deposition space portion where a substrate is introduced and deposited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deposition chamber, and a source for supplying a deposition material thereunder. And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source.

이와 같은 진공 열 증착장비는 증착 공간부에 기판이 위치된 상태에서 소스에서 증발된 유기물(무기물도 가능)이 제공되어 기판에 유기물질을 증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Such a vacuum thermal evaporation apparatus is configured to deposit organic materials on a substrate by providing organic matter (possibly inorganic) evaporated from a source in a state where a substrate is positioned in a deposition space.

특히 기판은 마스크와 합착된 상태에서 증착이 이루어지는데, 증착 챔버 내에 마스크가 세팅되어 있는 조건에서 기판만 투입하는 방식, 증착 챔버 외부에서 기판과 마스크를 합착하여 증착 챔버 내에 투입하는 방식 등이 있다.In particular, the substrate is deposited in a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is bonded to the mask, such as a method of injecting only the substrat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mask is set in the deposition chamber, a method of bonding the substrate and the mask outside the deposition chamber to the deposition chamber.

어느 경우든 기판은 이를 지지하는 모듈에 세팅된 상태에서 증착 챔버 내에 투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either case, the substrate is generally introduced into the deposition chamber with the module supporting it.

기판을 모듈에 세팅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방식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점착 플레이트를 이용한 방식으로, 점착 플레이트에 기판을 고정한 상태로 증착 챔버 내에 투입하고, 증착 챔버 내의 고진공 환경에서 기판에 유기물질을 증착하게 된다.There are several ways to set the substrate in the module, one of which is using an adhesive plate, which is placed in the deposition chamber with the substrate fixed to the adhesive plate, and the organic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bstrate in a high vacuum environment in the deposition chamber. Will be deposited.

이러한 점착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기판을 고정하고 지지하는 방식에서는, 기판이 대형화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기판을 지지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In the method of fixing and supporting a substrate using such an adhesive plate, as the substrate is enlarged, a necessity of supporting the substrate more stably is required.

특히, OLED 제조용 증착 챔버는 고진공 상태 및 고온 환경에서 증착이 이루어지는바, 점착 플레이트에 구비된 모든 점착 부재(또는 점착척)가 동일한 점착력을 갖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점착력이 전체적으로 너무 크거나 약할 경우에 기판이 점착 플레이트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거나, 반대로 기판이 점착 플레이트에서 떨어지면서 기판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deposition chamber for OLED fabrication is carried out in a high vacuum and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since all the adhesive members (or adhesive chucks) provided on the adhesive plate a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adhesive force, so that the substrate may be too thick or too weak as a who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bstrate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adhesive plate, or the substrate may be broken while the substrate falls from the adhesive plate.

이상 설명한 배경기술의 내용은 이 건 출원의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contents of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are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hold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 can no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점착 플레이트에 구비된 점착 부재의 점착력을 위치별로 다르게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기판을 점착하여 지지하는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기판 분리시에는 파손됨이 없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정 성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OLED 제조용 장비의 점착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figur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 provi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for each position, improve the performance of supporting the adhesive to the substrate as a whole, and also breaks when separating the substr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of equipment for manufacturing OLED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rocess performanc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OLED 제조용 장비의 점착 플레이트는, 기판을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어 기판이 부착될 수 있도록 점착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점착 부재들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점착 부재들은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설치 위치에 따라 기판을 점착하는 점착력이 상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dhesive plate of the equipment for manufacturing O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plate for supporting the substrate; A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are provided on the plate to provide an adhesive force so that the substrate can be attached, the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force for adhering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n the plate is different .

상기 플레이트는 사각 판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점착 부재들은 사각 판형 위에 균일하게 배열되어 설치될 때, 상기 플레이트의 각 꼭지점에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과 꼭지점 외의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의 점착력이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ate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like structure, and when the adhesive members are uniformly arranged on the rectangular plate shape,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s provided in the region adjacent to each vertex of the plate differs from the adhesive members provided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vertex. It can be configured to.

이때, 상기 점착 플레이트는, 각 꼭지점에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의 점착력이 꼭지점 외의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의 점착력 보다 높은 점착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s provided in the region adjacent to each vertex is configured to have a higher adhesive force than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s provided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vertex.

상기 플레이트는 사각 판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점착 부재들은 사각 판형 위에 균일하게 배열되어 설치될 때, 상기 플레이트의 양쪽 모서리 부분에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과 양쪽 모서리 부분 외의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의 점착력이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plate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tructure, and when the adhesive members are uniformly arranged on the rectangular plate shape, the adhesive members are installed in an area adjacent to both corner portions of the plate and adhesive members provided in an area other than both corner portions.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adhesive force is different.

이때, 상기 점착 플레이트는, 양쪽 모서리 부분에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의 점착력이 양쪽 모서리 부분 외의 영역에 설리된 점착 부재들의 점착력 보다 높은 점착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s provided in the region adjacent to both corner portions is configured to have a higher adhesive force than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s installed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both corner portions.

한편, 상기 점착 플레이트는, 상대적으로 높은 점착력을 갖는 점착 부재들과 상대적으로 낮은 점착력을 갖는 점착 부재들이 상기 플레이트의 센터를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s having a relatively high adhesive strength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s having a relatively low adhesive strength are arranged in a symmetrical arrangement around the center of the plat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The main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clearly through examples such as 'detai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or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wherein In addition to the main problem solving means as described above, various problem sol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presented and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OLED 제조용 장비의 점착 플레이트는 점착 플레이트에 구비된 점착 부재의 점착력을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기판 점착하여 지지하는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기판 분리시에는 기판이 파손됨이 없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정 성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Sinc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of the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 provid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it improves the performance of supporting and sticking the substrate as a whole. It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providing an effect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rocess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플레이트를 이용한 OLED 제조용 장비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플레이트에서 점착 물질의 경도와 점착력의 세기를 보여주는 참고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6에 예시된 점착 플레이트의 주요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예시된 점착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점착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예시된 점착 플레이트의 배면 방향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점착 플레이트에 이용되는 디척킹 로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quipment for manufacturing OLED using the adhesi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showing an adhesi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ference graph showing the hardness of the adhesive material and the strength of the adhesive force in the adhesi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showing an adhesi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showing an adhesi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and detailed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an adhesi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the adhesive plate illustrated in FIG. 6.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dhesive chuck provided in the adhesive plate illustrated in FIG. 6.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illustrated in FIG. 6.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hucking rod used for the adhesive plate as illustrated in FIG. 6.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OLED 제조용 증착 장비는, 기판(S)이 도입되어 증착이 이루어지는 증착 챔버(20)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1, a depositi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LED includes a deposition chamber 20 in which a substrate S is introduced and deposition is performed.

증착 챔버(20)의 내부에는 상측 공간에 기판(S)이 위치되고, 하측 공간에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이루어진 증착 물질을 공급하는 증착물질 공급장치(30)가 위치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측 공간에 기판(S)이 위치되고 상측 공간에 증착물질 공급장치(30)가 위치되게 구성되거나, 기판(S)이 수직 또는 경사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기판(S)의 앞쪽에 증착물질 공급장치(30)가 위치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deposition chamber 20, the substrate S is positioned in the upper space, and the deposition material supply device 30 for supplying a deposition material made of an organic material or an inorganic material in the lower spac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position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the substrate S is positioned in the lower space and the deposition material supply device 30 is positioned in the upper space, or the substrate S is disposed in a vertical or inclined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deposition material supply device 30 in front of the).

이러한 기판(S) 및 증착물질 공급장치(30)의 배치 구성은 실시 조건에 따라 공지의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substrate S and the deposition material supply device 30 may be variously changed using a known structur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기판(S)은 점착 플레이트(10)에 일체로 세팅된 상태로 증착 챔버(20) 내에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기판(S)은 마스크와 합착된 상태로 투입되거나 또는 증착 챔버(20) 내에서 마스크와 합착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마스크는 생략하고 도시하였다.Preferably, the substrate S is introduced into the deposition chamber 20 in a state of being integrally set to the adhesive plate 10, and the substrate S is int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S is bonded to the mask or in the deposition chamber 20. In this case, the mask is bonded with the mask. In the drawings of this embodiment, the mask is omitted.

또한 상기 점착 플레이트(10)는 상기 증착 챔버(20) 내에서 이송 구조물(25) 또는 지지 구조물에 지지된 상태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10 is preferably position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transport structure 25 or the support structure in the deposition chamber 20.

점착 플레이트(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증착물질 공급장치(3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포인트 소스(Point source), 리니어 소스(Linear sourc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증착물질이 저장된 용기(또는 도가니)(31)를 가열하는 가열장치(33)가 구비된다.The deposition material supply device 30 may be configured of a point source, a linear source, and the like, which are commonly used. In addition, a heating device 33 for heating the container (or crucible) 31 in which the deposition material is stored is provided.

한편, 증착 챔버(20)의 내부에는 도면에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기판(S)에 증착되는 막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막두께 측정장치 등 증착 공정을 위한 여러 공지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various known configurations for the deposition process, such as a film thickness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the film thickness deposited on the substrate S, may be provided inside the deposition chamber 20.

이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점착 플레이트(10)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Now, various embodiments of the adhesive plat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참고로, 도 2, 도 4, 도 5에서는 점착 부재를 갖는 점착 플레이트를 예시한 실시예들이고, 도 6 내지 도 9는 점착 부재가 다른 구조(원형링 형상의 점착척)로 이루어진 점착 플레이트를 예시한 실시예의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는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가능하면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FIGS. 2, 4 and 5 illustrate embodiments of an adhesive plate having an adhesive member, and FIGS. 6 to 9 illustrate an adhesive plate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a circular ring-shaped adhesive chuck). Figures of one embodiment. In thes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nstituent parts,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is omitted if possible.

먼저, 도 2,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점착 부재를 갖는 점착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2, FIG. 4, FIG. 5, the adhesive plate 10 which has an adhesion member is demonstrated.

도 2를 참고하면, 점착 플레이트(10)는, 기판을 지지하는 플레이트(101)와, 이 플레이트(101)의 일측면(도 2 등에서 상면)에 구비된 점착 부재(105)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2, the adhesive plate 10 includes a plate 101 supporting a substrate and an adhesive member 10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late 101 (upper surface in FIG. 2, etc.).

플레이트(101)의 형상은 기판(S)의 형상에 맞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사각 구조의 기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각 판형 구조의 플레이트(101)를 예시하고 있다.The shape of the plate 101 is preferab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S.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ate 101 of the rectangular plate structure is illustrated so as to support the substrate of the rectangular structure.

이러한 플레이트(101)는 크게 외곽부(102)와 기판(S)이 고정되는 척킹부(103)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01)는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te 101 may be largely divided into the chucking part 103 to which the outer part 102 and the substrate S are fixed. At this time, the plate 101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aluminum material.

외곽부(102)는, 도 1을 참조하면, 증착 챔버(20) 내에서 이송 구조물(25) 또는 지지 구조물의 상부에 올려지는 구성 부분이다.The outer portion 102,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component that is mounted on top of the transfer structure 25 or the support structure within the deposition chamber 20.

이러한 외곽부(102)는 그 일측면(기판 부착면)에 전체적으로 점착 플레이트(10)가 충분할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보강판인 스테인리스 스틸판(103)이 더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곽부(102)의 상면이 손상되었을 때, 스테인리스 스틸판(103)만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하기 위해서이다.The outer portion 102 is preferably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a stainless steel plate 103, which is a reinforcing plate, is further attached to one side (substrate attaching surface) so that the adhesive plate 10 may have sufficient rigidity as a whole. This is to simply replace the stainless steel plate 103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102 is damaged.

척킹부(104)는 기판(S)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그 표면은 아노다이징 처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chucking part 104 is a part to which the board | substrate S adheres and is fixed, and the surface can be comprised by anodizing.

특히, 척킹부(104)에는 기판(S)이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점착력을 갖는 점착 부재(105)가 구비된다.In particular, the chucking unit 104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member 105 having an adhesive force so that the substrate S is attached and fixed.

점착 부재(105)는 플레이트(101)가 사각 판형으로 구성될 경우에 도 2 등의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1)의 척킹부(104)에 전체적으로 일정 간격마다 균일하게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hesive member 105 is configured to be uniformly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s a whole on the chucking portion 104 of the plate 101 when the plate 101 is configur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illustrated in FIG. 2 and the like. desirable.

이러한 점착 부재(105)는 실리콘 러버(silicon rubber) 또는 점착력을 갖는 아크릴(acrylic) 소재 등 공지의 점착력을 갖는 모든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adhesive member 105 may be configured using any material having a known adhesive force, such as silicone rubber or an acrylic material having adhesive force.

이와 같이 플레이트(10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점착 부재(105)들은 플레이트(101) 상에서 설치 위치에 따라 기판을 점착하는 점착력이 상이하도록 구성된다.As such, the adhesive members 105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101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adhesive strengths for adhering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n the plate 101.

즉, 도 2에서와 같이 플레이트(101)의 꼭지점 부분 쪽에 위치된 점착 부재(106)들의 점착력이 그 외의 부분에 위치된 점착 부재(107)들의 점착력보다 높도록 구성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s 106 positioned at the vertex portion side of the plate 101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adhesive members 107 positioned at the other portion.

이때 점착력의 크기 조절은 점착 부재(105)가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재로 구성될 경우에 물성을 조절하여 점착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ze of the adhesive force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physical properties when the adhesive member 105 is made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즉,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상 점착 소재의 경도가 높을수록 점착력의 세기가 떨어지고, 경도가 낮아질수록 점착력의 세기가 높아지는 점을 이용하여 점착 부재(105)의 점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 the higher the hardness of the adhesive material, the lower the strength of the adhesive force, and the lower the hardness, the higher the strength of the adhesive force, thereby controll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105.

따라서, 특정 점착 소재에, 소재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 예를 들면 유리섬유 등의 무기물을 첨가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점착 소재가 대부분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경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Therefore, the specific adhesive material can be formed by adding a functional material capable of adjusting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for example,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glass fiber. That is, since the adhesive material may be mostly made of a polymer material,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hardness by adding a functional material to control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material.

상기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1)의 꼭지점 부분에 위치되는 점착 부재(106)들의 점착력을 그 외의 다른 부분에 위치되는 점착 부재(107)들의 점착력보다 높게 형성하는 경우에, 기판의 꼭지점 부분이 플레이트(101)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에서 증착 챔버 내에 투입되어 위치되므로 기판이 플레이트(101)에서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든 점착 부재(105)에 점착력을 크게 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쉽게 떨어질 수 있는 꼭지점 부분 등에만 점착 부재(106)의 점착력을 크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부착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플레이트(101)에서 기판을 분리할 때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s 106 positioned at the vertex portion of the plate 101 is higher than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s 107 positioned at the other portion, the vertex portion of the substrate is formed in the plate ( Since it is placed in the deposition chamber in a state where it is firmly attached to the 101,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ubstrate falling from the plate (101).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106 only at a vertex portion or the like that can be relatively easily dropped without increasing the adhesive force to all the adhesive members 105, the substrate 101 is maintained in the plate 101 as well as maintaining the overall stable adhesion state. It is easy to separate even when separating.

도 4는 플레이트(101)의 양쪽 측면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는 점착 부재(106)의 점착력을 그 외 부분에 위치되는 점착 부재(107)의 점착력보다 높게 구성한 실시예를 보여준다.4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106 positioned at the corn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plate 101 is higher than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107 positioned at the other portions.

이는 통상 플레이트(101)의 양쪽 측면 부분에 증착 챔버(20; 도 1 참조) 내에서 롤러 등의 지지 구조물에 올려진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 과정에서 다른 부분보다 플레이트(101)의 양측면 모서리 부분 쪽에서 기판이 분리되기 쉽기 때문에 양측면쪽에 다른 부분의 점착 부재(107)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점착력을 갖는 점착 부재(106)들을 구성함으로써 기판의 양측 부분이 점착 플레이트(10)에서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t is usually moved in a state in which it is mounted on a supporting structure such as a roller in the deposition chamber 20 (see FIG. 1)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plate 101, so that both side edge portions of the plate 101 are moved than other portions during the movement process. Since the substrat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side, the adhesive members 106 having relatively higher adhesive force than the adhesive members 107 of the other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by minimizing falling of both sides of the substrate from the adhesive plate 10, thereby ensuring stable attachment. State can be maintained.

도 5는 플레이트(101)의 가운데 부분 및 이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대칭적으로 위치되는 점착 부재(106)의 점착력을 그 외의 다른 부분에 위치되는 점착 부재(107)의 점착력보다 높게 구성한 실시예를 보여준다.FIG. 5 illustrates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106 positioned symmetrically around the center portion of the plate 101 and the center portion thereof is higher than that of the adhesive member 107 positioned elsewhere. An example is shown.

이때에도 플레이트(101) 상에서 부분적으로만 점착 부재(105)의 점착력을 높여서, 기판을 부착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안정된 기판 부착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기판 분리시에도 전체 점착 부재(105)의 점착력을 높이는 것보다 원활하게 기판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105 is increased only partially on the plate 101, and thus the substrate is attached and supported, thereby maintaining a stable substrate attachment state and increas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entire adhesive member 105 even when the substrate is separated. The substrate can be separated more smoothly.

상기한 여러 실시예를 통해 예시한 구성 외에도, 실시 조건에 따라 플레이트(101) 상에 구성되는 점착 부재(105)들의 점착력을 플레이트(101)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점착력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through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s 105 formed on the plate 101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is configured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size of the adhesive forc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late 101 can do.

또한, 설치 위치에 따른 점착 부재(105)의 점착력을 2가지로 나누지 않고, 3가지 또는 그 이상의 점착력의 차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105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not divided into two, but it is also possible to comprise so that it may have a difference of three or more adhesive forces.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력이 상이한 점착 부재(105)를 갖는 점착 플레이트(10)의 기본 구조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다른 구조를 갖는 점착 플레이트(10)의 구성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10 hav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 105, the structur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10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as a whole is possible.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플레이트(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6 to 10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dhesive pla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 플레이트(10)가 플레이트(101)와 점착 부재(110)들로 이루어진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6, the adhesive plate 10 is composed of the plate 101 and the adhesive member 110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링 구조를 갖는 점착 부재(110)가 구성된다.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hesive member 110 having a circular ring structure is configured.

즉, 플레이트(101)의 척킹부(12)에 석션 홀(13), 디척킹 홀(15) 등이 구성되고, 기판(S)이 점착되어 고정되는 점착 부재(110)가 구성된다.That is, the suction hole 13, the dechucking hole 15, etc. are comprised in the chucking part 12 of the plate 101, and the adhesion member 110 which the board | substrate S adheres and is fixed is comprised.

석션 홀(13)은 점착 플레이트(10)에 관통되어 석션이 가능한 구조이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석션 홀(13)이 슬릿 구조로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고, 이 석션 홀(13)을 중심으로 부압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점착 플레이트(10)의 일측면에 석션 그루브(14)가 연속하여 형성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즉, 도면에서는 4 개의 디척킹 홀(15) 사이에 하나의 슬릿형 석셕 홀(13)이 각각 형성되고, 이 석션 홀(13)을 중심으로 각각의 디척킹 홀(15) 및 점착 부재(110) 둘레를 지나도록 석션 그루브(14)가 연결된 구조를 보여준다.The suction hole 13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the suction hole 13 penetrates the adhesive plate 10.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ction hole 13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slit structure, and the suction hole ( 13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suction grooves 14 are continuously formed on on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10 so that negative pressure can be uniformly formed. That is, in the drawing, one slit-shaped suction hole 13 is formed between the four dechucking holes 15, and each dechucking hole 15 and the adhesive member 110 are centered around the suction hole 13. The suction groove 14 is connected to pass through the perimeter.

이와 같은 구조로 석션 홀(13) 및 석션 그루브(14)의 구성은 점착 플레이트(10)의 일측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배치됨으로써 기판(S)을 균일하게 흡착하여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structure, the suction holes 13 and the suction grooves 14 may be uniform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dhesive plate 10 to uniformly adsorb and adhere the substrate S. FIG.

또한, 석션 홀(13)로부터 이어지는 석션 그루브(14)가 점착 부재(110)의 둘레에 지나가도록 형성됨으로써 기판(S)이 점착 부재(110)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점착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uction groove 14, which is continued from the suction hole 13, is formed to pass around the adhesive member 110, so that the substrate S may be adhered to the adhesive member 110 more firmly. .

상기 디척킹 홀(15)은 디척킹 작동을 위한 디척킹 로드(71; 도 10 참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이다. 디척킹 로드(71)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The dechucking hole 15 is a portion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dechucking rod 71 (see FIG. 10) for the dechucking operation. The dechucking rod 7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0.

상기 점착 부재(110)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척킹 홀(15)을 중심으로 원형 링 구조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adhesive member 1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structure around the dechucking hole 15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점착 부재(110)는, 디척킹 홀(15)의 둘레에서 플레이트(101)의 일측면 설치되는 원형 링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면에 구비되어 기판(S)이 부착되는 점착력을 제공하는 점착링(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dhesive member 110 is provided with a circular ring-shaped base plate 11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late 101 around the dechucking hole 15, and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1 to form a substrate (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dhesive ring 115 to provide an adhesive force to be attached).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플레이트(101)에 나사 조립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링(115)이 설치되는 안쪽 상면은 바깥쪽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base plate 111 may be installed on the plate 101 by a screw assembly method, and the inner upper surface on which the adhesive ring 115 is installed is forme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outer upper surface.

상기 점착링(115)은 점착력을 제공하는 소재로 구성되며,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점착 돌기(117)가 배치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hesive ring 115 is made of a material that provides the adhesive fo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projection 117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러한 점착링(115) 및 점착 돌기(117)는 앞서, 도 2, 도 4, 도 5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플레이트(101) 상의 위치에 따라 점착력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구성된다. 점착 부재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점착력이 달라지는 실시예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The adhesive ring 115 and the adhesive protrusion 117 is configured to change the size of the adhesive for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n the plate 101,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4, and 5.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adhesive force vari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dhesive member can be configur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repeated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점착 플레이트(10)는 상기 디척킹 홀(15)을 중심으로 점착 부재(110)의 베이스 플레이트(111)가 설치될 수 있도록 원형 구조의 홈부(121)가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면과 플레이트(101)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adhesive plate 10 has a groove 121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so that the base plate 111 of the adhesive member 110 may be installed around the dechucking hole 15, and the base plate 111 may be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01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height.

도 9는 점착 플레이트(10)의 타측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점착 플레이트(10)의 하부에는 외곽테(18) 사이로 다수의 리브(19)들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타측면 구조를 갖는 점착 플레이트(10)는 외곽테(18) 및 다수의 리브(19)를 통해 점착 플레이트(10)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경량화를 실현하면서도 강성은 유지될 수 있게 된다.FIG. 9 is a view illustrating the other side structure of the adhesive plate 1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ibs 19 are formed between the outer edges 18 at the lower portion of the adhesive plate 1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10 having the other sid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may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10 through the outer frame 18 and the plurality of ribs 19, thereby realizing light weight and maintaining rigidity.

한편, 상기 디척킹 로드(71)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Meanwhile, the dechucking rod 71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디척킹 로드(71)는 공기압이 주입되는 파이프형 로드(72)와, 이 로드(72)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팽창 수축하는 다이어프램(73)으로 이루어진다.The dechucking rod 71 is composed of a pipe-shaped rod 72 into which air pressure is injected, and a diaphragm 73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rod 72 to expand and contract.

상기 파이프형 로드(72)의 상단부에는 상기 다이어프램(73)을 지지하는 동시에 공기압이 주입되는 공간을 갖는 원형 플랜지 형상의 지지구(74)가 설치된다.The upper end of the pipe-shaped rod 72 is provided with a circular flange-shaped support 74 having a space for supporting the diaphragm 73 and the air pressure is inject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디척킹 로드(7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점착 플레이트(10)의 점착 부재(110)에 붙어 있는 기판(S)을 분리할 때, 로드(72)를 통해 다이어프램(73)을 팽창시킴으로써 기판(S)을 점착 부재(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The dechucking rod 7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xpands the diaphragm 73 through the rod 72 when the substrate S attached to the adhesive member 110 of the adhesive plate 10 is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By doing so, the substrate S can be separated from the adhesive member 110.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can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기판을 지지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점착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상에는 상기 기판이 부착될 수 있도록 점착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점착 부재들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점착 부재들은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설치 위치에 따라 기판을 점착하는 점착력이 상이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기판을 흡착하기 위한 부압이 형성되는 복수의 석션 홀과, 상기 복수의 석션 홀과 연결되는 석션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석션 그루브는 상기 점착 부재의 둘레를 지나도록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제조용 장비의 점착 플레이트.
An adhesive plate comprising a plate for supporting a substrate,
A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are provided on the plate to provide an adhesive force to attach the substrate, and the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adhere the substrate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position on the plate.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in which a negative pressure for adsorbing the substrate is formed, and suction grooves connected with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The suction groove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of the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continuously to pass through the circumference of the adhesive member.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사각 판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점착 부재들은 사각 판형 위에 균일하게 배열되어 설치될 때,
상기 플레이트의 각 꼭지점에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과 꼭지점 외의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의 점착력이 상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제조용 장비의 점착 플레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te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tructure,
When the adhesive members are installed uniformly arranged on a square plat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of the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s installed in the region adjacent to each vertex of the plat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s provided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vertex.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점착 플레이트는, 각 꼭지점에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의 점착력이 꼭지점 외의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의 점착력 보다 높은 점착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제조용 장비의 점착 플레이트.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of the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s installed in the area adjacent to each vertex is configured to have a higher adhesive force tha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s provided in the area other than the vertex.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사각 판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점착 부재들은 사각 판형 위에 균일하게 배열되어 설치될 때,
상기 플레이트의 양쪽 모서리 부분에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과 양쪽 모서리 부분 외의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의 점착력이 상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제조용 장비의 점착 플레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te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tructure,
When the adhesive members are installed uniformly arranged on a square plat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of the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s provided in the region adjacent to both corner portions of the plat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s provided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both corner portions.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점착 플레이트는, 양쪽 모서리 부분에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점착 부재들의 점착력이 양쪽 모서리 부분 외의 영역에 설리된 점착 부재들의 점착력 보다 높은 점착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제조용 장비의 점착 플레이트.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of the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s installed in the areas adjacent to both corner portions are configured to have a higher adhesive force tha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s placed in the areas other than the both corner portions.
청구항1 내지 청구항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플레이트는, 상대적으로 높은 점착력을 갖는 점착 부재들과 상대적으로 낮은 점착력을 갖는 점착 부재들이 상기 플레이트의 센터를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제조용 장비의 점착 플레이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te of the OLED manufactur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s having a relatively high adhesive force and the adhesive members having a relatively low adhesive force are arranged symmetrically around the center of the plate.
KR1020110023955A 2011-03-17 2011-03-17 Adhesive plate for manufacturing OLED device KR1012062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55A KR101206261B1 (en) 2011-03-17 2011-03-17 Adhesive plate for manufacturing OLE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55A KR101206261B1 (en) 2011-03-17 2011-03-17 Adhesive plate for manufacturing OLED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92A KR20120106092A (en) 2012-09-26
KR101206261B1 true KR101206261B1 (en) 2012-11-28

Family

ID=4711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955A KR101206261B1 (en) 2011-03-17 2011-03-17 Adhesive plate for manufacturing OLED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2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459B1 (en) * 2014-05-16 2014-10-06 김대현 A display substrate supporting device
KR101446460B1 (en) * 2014-05-16 2014-10-06 김대현 A display substrate support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1544A (en) 1991-04-25 2000-11-24 Sharp Corp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production apparatus
KR100586928B1 (en) 2005-03-16 2006-06-08 테크리카오엘이디 주식회사 Chucking and dechucking apparatus using glass-plate holding equipment in vacuum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1544A (en) 1991-04-25 2000-11-24 Sharp Corp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production apparatus
KR100586928B1 (en) 2005-03-16 2006-06-08 테크리카오엘이디 주식회사 Chucking and dechucking apparatus using glass-plate holding equipment in vacuum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92A (en)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189B1 (en) Transfer unit for micro device
TWI309993B (en)
US9771645B2 (en) Apparatus for deposition and substrate alignment method in the same
US20180212150A1 (en) Aligner structure and alignment method
KR102181329B1 (en) Lamination Equipment
TWI462665B (en) Adhesive chuck and substrate bonding apparatus
KR20200085507A (en) Transfer head for micro led
KR101206261B1 (en) Adhesive plate for manufacturing OLED device
KR101206243B1 (en) Adhesive chuck of device for manufacturing OLED
KR101108012B1 (en) Aligner for Large Size Substrate
KR20120134368A (en) Substrate chucking and de-chucking apparatus
CN109750257A (en) Mask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330726B1 (en) Substrate chuck/de-chuck device and method for chucking/de-chucking using it
CN109763095A (en) Mask plate supporting mechanism, alignment device, alignment method
WO2020093479A1 (en) Evaporation baffle mechanism and evaporation device
JP2015137391A (en) Substrate holder, and film deposition device
KR101367159B1 (en) Substrate support device of system for manufacturing OLED
KR20160087480A (en) Substrate cassette
KR20180000959A (en) Substrate alignment apparatus to prevent movement of the substrate and deposition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46459B1 (en) A display substrate supporting device
KR101446460B1 (en) A display substrate supporting device
KR102525220B1 (en) Chucking module and deposition apparatus of substrate having the same
CN10986043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and production method
KR101202744B1 (en) Substrate Chucking/De-chucking Apparatus
KR20180052443A (en) Deposition device having members to prevent sagging of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