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858B1 -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858B1
KR101205858B1 KR20120041569A KR20120041569A KR101205858B1 KR 101205858 B1 KR101205858 B1 KR 101205858B1 KR 20120041569 A KR20120041569 A KR 20120041569A KR 20120041569 A KR20120041569 A KR 20120041569A KR 101205858 B1 KR101205858 B1 KR 101205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weight
parts
oil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4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화
윤혜란
Original Assignee
(주)엔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5655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0585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나노텍 filed Critical (주)엔나노텍
Priority to KR20120041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8Polyhydroxylic acyclic 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20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 B09B3/21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using organic binders o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 C08J11/2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by treatment with organic 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J11/2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by treatment with organic oxyge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폐폴리우레탄을 분쇄한 분쇄물 100 중량부에 다가알콜인 글라이콜 50 내지 500 중량부를 첨가하여 120 내지 300℃로 가열하며 교반하는 제1단계; ii) 상기 혼합물에 아민계 올리고머 및 동식물성 오일 50 내지 150 중량부, 유기금속촉매 또는 아민 촉매 0.1 내지 50 중량부를 첨가하여 170 내지 400℃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제2단계; 및 iii) 상기 제2단계 혼합물을 충분히 반응시켜 글리콜해중합으로 인해 폐폴리우레탄을 폴리올로 전환한 후에 160 내지 180℃의 온도에서 항유화제 0.001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폴리우레탄 분말에 글리콜, 특정 촉매를 가하여 해중합을 행하여 액상화하고, 상기 조성물에 항유화제를 첨가하여 필터링 과정없이 폴리올을 획득하여 공정을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욱 질 높은 폴리올을 획득함으로써 폐기물자원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뿐만 아니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polyol from waste polyurethane using glycolysis}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폐기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하여 폴리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폴리우레탄 분말을 글리콜-해중합반응에 의해 폴리올로 전환하는 공정에서 효율이 높고 질이 우수한 재생폴리올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에테르를 구성성분으로 사용한 각종 발포체가 단열재료나 충격흡수제로 많이 쓰이고 있으며 폴리에스테르를 구성성분으로 한 폴리우레탄은 탄성체로서 내열성, 내용제성, 내마모성 및 저온특성 등이 우수하여 각종 공업재료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면포나 합성섬유에 도포하여 의료용, 가방용, 가구용 및 신발용 등 천연피혁 대용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폼의 종류로는 경질 폼, 연질 폼, 그리고 반 경질 폼으로 나누어지고, 플라스틱 및 고무 대체 품목으로서 산업 전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 경질 폴리우레탄은 단열성이 우수하여 에너지 절약을 위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어 오고 있다. 또한 경질 폴리우레탄은 자체의 단열성, 경량성, 완충성 등의 성질을 활용하여 단독 또는 타 재료와 복합화시켜 단열재, 경량 구조재, 완충재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자원 보호, 환경 보전이 중요하게 인식됨에 따라 각종 플라스틱 제품의 재생, 재사용 방법이 검토되고 있으며, 폴리우레탄 수지도 예외가 될 수 없다. 폐폴리우레탄은 선박, 자동차, 냉장고, 건축자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선박 및 건축자재와 같은 순수한 폐폴리우레탄의 경우 불순물 함유량이 낮아서 쉽게 해중합을 통한 폴리올을 합성해낼 수 있다.
그러나 냉장고, 자동차와 같은 내장재의 폐폴리우레탄의 경우 ABS 수지 등과 같은 다양한 고분자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서 폴리올 합성시 동일계 고분자 물질의 불순물이 함유된다. 이러한 고분자 불순물들은 폴리올과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 보이기 때문에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
폴리우레탄폼의 재활용 기술로는 물질재활용(Material recycling)과 해중합(depolymerization)과 같은 화학 반응을 포함하는 화학적 재활용(Chemical recycling)으로 나눌 수 있다.
폐폴리우레탄을 파쇄시켜서 그대로 이용하거나 분말화 또는 반죽화시켜서 다시 각종 제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물질재활용법은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각종 용매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을 해중합시키는 화학적 재활용(Chemical recycling)에는 물에 의한 가수분해, 각종 글리콜에 의한 해중합반응(glycolysis), 그리고 아민류에 의한 해중합반응(aminolysis) 등이 있다.
화학적 재생 방법 중 가수분해 방법은 매우 가혹한 조건이 필요한 반면 전환율이 낮아 경제적 측면에서 불리하고, 아민과 가수분해 방법은 부산물로 발암물질인 MDA가 많이 발생하여 좋지 못하다. 글리콜 분해반응은 반응을 조절하기 쉽고 비교적 경제적으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간단한 재활용 방법이다.
미국특허 제3,404,103호는 아민과 알칼리 금속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혹은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의 존재 하에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분해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4,110,266호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암모니아 또는 아민과 반응시켜 분해시키는 것에 의해 폴리올로 전환시키고, 폴리올, 우레아 및 아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분해산물을 오토클레이브에서 120-140℃의 고온에서 알킬렌 옥사이드와 반응시켜 아민을 폴리올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3355호는 폐경질폴리우레탄 폼 분말에 글리콜, 해중합촉매를 이용하여 해중합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분리함으로써 재생 폴리올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998-032323호는 폐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분말을 글리콜과, 해중합 촉매로서 루이스산 촉매, 무기 아세트산염, 또는 알칼리촉매 등에 의해 해중합하여 재생폴리올을 제조한 후, 50~260 메쉬의 필터를 장착하고 정제한 후 이를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이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들은 폐폴리우레탄을 해중합시켜 재생 폴리올을 제조한 경우에도 여전히 그 해중합 혼합물로부터 순수한 폴리올을 분리 수득하려면 필터링의 추가 공정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일반적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냉장고와 자동차의 내장재로 사용되고 발생한 폐폴리우레탄의 경우 다양한 불순물이 혼합되어 있는데, 물리적인 필터링 방식으로는 파울링 현상으로 인해서 분리가 되지 못하고 순수한 폴리올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경제성 및 제품가치가 현격히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글리콜 해중합반응에 의해 폐폴리우레탄을 폴리올로 합성하는 과정 중에 간단한 공정으로 해중합 혼합물로부터 순수한 폴리올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계속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물질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폐기물로부터 폴리올을 고효율로 분리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폐폴리우레탄폼을 분쇄한 분쇄물 100 중량부에 다가알콜인 글라이콜 50 내지 500 중량부를 첨가하여 120 내지 300℃로 가열하며 교반하는 제1단계;
ii) 상기 혼합물에 아민계 올리고머 및 동식물성 오일 50 내지 150 중량부, 유기금속촉매 또는 아민 촉매 0.1 내지 50 중량부를 첨가하여 170 내지 400℃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제2단계; 및
iii) 상기 제2단계 혼합물을 충분히 반응시켜 글리콜해중합으로 인해 폐폴리우레탄을 폴리올로 전환한 후에 160 내지 180℃의 온도에서 항유화제 0.001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항유화제는 노닐 페놀 에톡실레이트 수지(NPER), 도데실 페놀 에톡실레이트 수지(DPER), 옥틸 페놀 에톡실레이트 수지(OPER)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계 올리고머는 디(2,6-디메틸모폴리노에틸)에테르[DMDEE(di(2,6-dimethyl morpholinoethyl)ether)], 비스옥사졸리딘(Bisoxazolidine), 디에틸레이티드 톨루엔 디아민[DETDA(diethylated toluene diamine)], NMP(N-메틸-2-피롤리돈), 모폴린(Morpholine) 및 테트라메틸 프로필렌 디아민[TMPDA(Tetramethyl propylene di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식물성 오일은 팜유, 대두유, 채종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미강유 및 돈지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금속 촉매는 디부틸틴디라우릴레이트, 디부틸틴클로라이드, 디부틸틴옥사이드, 디옥틸틴클로라이드, 및 디옥틸틴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폴리우레탄 분말에 글리콜, 특정 촉매를 가하여 해중합을 행하여 액상화하고, 상기 조성물에 항유화제를 첨가하여 필터링 과정없이 폴리올을 획득하여 공정을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더욱 질 높은 폴리올을 획득함으로써 폐기물자원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뿐만 아니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폴리우레탄 발포폼에 비해 뒤지지 않는 성형성 및 단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재생폴리올을 사용한 폴리우레탄은 LNG 선박, 냉동창고, 자동차, 샌드위치 판넬용 등의 보온재 및 스프레이폼 원료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 공정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의 GPC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재생폴리올의 FT-IR 분석자료이다.
도 4a 및 도 4b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용 재생폴리올과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재생폴리올의 사진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i) 폐폴리우레탄폼을 분쇄한 분쇄물 100 중량부에 다가알콜인 글라이콜 50 내지 500 중량부를 첨가하여 120 내지 300℃로 가열하며 교반하는 제1단계; ii) 상기 혼합물에 아민계 올리고머 및 동식물성 오일 50 내지 150 중량부, 유기금속촉매 또는 아민 촉매 0.1 내지 50 중량부를 첨가하여 170 내지 400℃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제2단계; 및 iii) 상기 제2단계 혼합물을 충분히 반응시켜 글리콜해중합으로 인해 폐폴리우레탄을 폴리올로 전환한 후에 160 내지 180℃의 온도에서 항유화제 0.001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불순물이 많이 함유된 폐폴리우레탄폼을 화학적 재활용(Chemical recycling)법을 통해 재생폴리올을 제조할 시에 ABS와 같은 다양한 고분자 불순물이 혼입된 재생폴리올을 얻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물리적 필터링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글리콜 해중합반응에 의해 폐폴리우레탄을 폴리올로 합성하는 과정에서 항유화제를 첨가하여 순수한 폴리올을 얻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분리 회수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상기 폐폴리우레탄 분말은 50m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분말의 입자 크기가 5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 시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다가알콜인 폴리올(Polyol)은 다가(多價) 알코올, 즉 2개 이상의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을 글리콜 또는 디올(diol)이라고 하며, 그밖에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에테르화한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폴리에티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또는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을 사용한다.
제1단계 공정에서 폐폴리우레탄폼은 100 중량부 중 50 중량부를 먼저 넣어 교반시키며 분해온도로 올려주며, 분해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2단계에서 촉매를 넣어준 뒤 나머지 폐폴리우레탄을 넣어주게 된다.
제2단계 공정에서 아민계 올리고머는 소위 '소중합체'라 불리고, 디(2,6-디메틸모폴리노에틸)에테르[DMDEE(di(2,6-dimethyl morpholinoethyl)ether)], 비스옥사졸리딘(Bisoxazolidine), 디에틸레이티드 톨루엔 디아민[DETDA(diethylated toluene diamine)], NMP(N-메틸-2-피롤리돈), 모폴린(Morpholine) 및 테트라메틸 프로필렌 디아민[TMPDA(Tetramethyl propylene diamine)]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식물성 오일'이라 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팜유, 대두유, 채종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미강유 및 돈지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다. 유기금속 촉매는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BTDL, dibutyltindilaurate), 디부틸틴클로라이드(DBTC, dibutylthinchloride), 디부틸틴옥사이드(DBTO, dibutylthinoxide), 디옥틸틴클로라이드(DOTC, Dioctylthinchloride), 디옥틸틴옥사이드(DOTO, Dioctylthinoxide), 기타 유기물을 함유한 주석화합물, 납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민계 촉매로는 3급 아민(Tetriary Amine)계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트리에틸렌디아민(TEDA, triethylenediamine), 5-메틸-디에틸렌 트리아민(PMDETA, 5-methyl-diethylene triamine), 디-N,N-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BDMEE, di-N,N-dimethyl aminoethyl)ether), 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DMCHA, dimethylcyclohexylamine)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금속촉매, 아민촉매의 사용량은 폐폴리우레탄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i), ii)에서 토출되는 가스에는 폴리우레탄반응 또는 해중합반응 시 사용된 각종 유기용제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배출되는 가스를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다시 액상화하여 재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폐폴리우레탄폼으로부터 재생폴리올의 합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분해온도는 120 내지 300℃이고, 제2단계의 반응온도는 170 내지 4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3단계의 반응온도는 160 내지 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폐폴리우레탄폼으로부터 재생폴리올의 합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는 온도가 160 내지 180℃로 온도가 떨어졌을 때 항유화제를 폐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기준 0.001 내지 10 중량부 첨가한다. 소량의 양으로도 충분히 층분리가 가능하며 순수한 재생폴리올을 획득할 수 있다.
항유화제는 구체적인 분자구조로는 {Rn-A-O(R2O)m-H}l으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Rn은 알킬기로서 탄소수는 C1 내지 C30가 바람직하다. A는 방향족 화합물로서 벤젠, 톨루엔, 자이렌이 바람직하다. O는 산소를 의미한다. R2는 알킬기로서 탄소수 C1 내지 C5가 바람직하다. m은 부가중합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1 - 30이 바람직하다. H는 수소를 의미한다. l은 축합중합도를 의미하고, 바람직한 축합중합도는 l은 1 내지 50이다.
항유화제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노닐 페놀 에톡실레이트 수지(NPER; nonyl phenol ethoxylate resin), 도데실 페놀 에톡실레이트 수지(DPER; dodecyl phenol ethoxylate resin), 옥틸 페놀 에톡실레이트 수지(OPER; octyl phenol ethoxylate resin)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계열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분자구조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2031693694-pat00001
상기 식에서, n은 1~30, m은 1~30, l은 1~50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폴리우레탄 분말, 글리콜, 촉매 등을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폴리우레탄의 글리콜-해중합반응(glycolysis)을 하는 과정에서 해중합 반응 생성물인 폴리올 외에 다른 성분들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반응 생성물로부터 순수한 폴리올을 분리 수득하기 위해서 필터링을 하는 재생폴리올의 제조방법을 변형하여 필터링 대신 항유화제를 혼합하여 불순물 고분자물질들은 침전 제거하고 순수한 재생 폴리올의 분리 수득을 연속식으로 간편하고 고효율로 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180 ㎛ 이하의 구멍 크기를 갖는 필터를 통하여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도 도 4b에서 보는 것과 같이 순수한 폴리올을 얻기 용이하지 않으며 GPC와 FT-I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공정인 항유화제를 첨가함으로써 불순물 고분자물질을 쉽고 빠르게 반응기 아래로 침전시키고 순수한 폴리올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폐폴리우레탄 폼 50g을 분쇄기를 통하여 일정한 크기를 가지도록 제조하였다. 가열맨틀과 콘덴서, 교반장치, 온도조절기가 부착된 4구 플라스크를 장치하고, 상기 플라스크에 용매인 다가알콜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00g을 넣고 일부 폐폴리우레탄 폼을 넣어준 뒤 천천히 교반을 시키며 온도는 180℃까지 상승시켰다. 반응온도가 200℃에 도달하면 아민 촉매인 TEDA(Triethylene diamine) 0.5g, 팜유 75g 및 아민계 올리고머인 DMDEE(di(2,6-dimethylmopholinoethyl)ether) 25g을 첨가하고, 남은 폐폴리우레탄폼 50g을 천천히 투입시켜주어 스크랩이 해중합되어 용액상태가 되면 210℃로 상승시켰다. 210℃에서 약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미반응 스크랩이 보이지 않으면 반응을 종결시켰다. 온도가 약 180℃ 정도로 떨어질 때쯤 NPER(nonyl phenol ethoxylate resin) 0.7g를 투입시켜주고 약 1시간 동안 교반시켜 준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실시예 2
항유화제 NPER(nonyl phenol ethoxylate resin) 대신에 DPER(dodecyl phenol ethoxylate resin)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재생폴리올을 합성하였다.
비교예 1
4구 플라스크에 다가 알콜인 DPG를 60g을 넣고 폐폴리우레탄 폼 50g 중 일부를 넣어준 뒤 천천히 교반을 시키며 온도를 180℃까지 상승시켰다. 반응온도가 180℃에 도달하면 아민 촉매인 TEDA(Triethylene diamine) 0.5g, 팜유 75g 및 아민계 올리고머인 DMDEE 25g을 넣어주며, 남은 폐폴리우레탄 폼을 천천히 투입시켜주어 스크랩이 해중합되어 용액상태가 되면 210℃로 상승시켰다. 210℃에서 약 4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미반응 스크랩이 보이지 않으면 반응을 종결시켰다. 그리고 나서, 2시간 천천히 온도를 낮추고 숙성시킨 뒤, 150 ㎛ 구멍크기를 갖는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동일한 합성에서 실시예1에서 항유화제를 투입한 경우와 비교예1에서 150 ㎛ 구멍크기를 갖는 필터를 통과하여 제조된 폴리올을 도3에 비교하였다.
평가 및 결과
순수한 폴리올의 분리
실시예 1, 2에서 생성된 액상 혼합물로부터 폴리올을 분리하였으며, 비교예 1은 150 ㎛ 구멍크기를 갖는 필터를 통해 폴리올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1, 2에서 얻어진 액상 혼합물은 청명한 진한 갈색으르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1의 필터를 통하여 분리해 낸 폴리올에서는 이물질과 함께 섞여있는 진한 갈색을 띄었다.
FT-IR로 비교 확인하였을 때 순 폴리올에 필요한 요소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GPC로 분자량을 확인한 결과 항유화제를 사용한 재생폴리올의 분자량이 약 300g/mol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의 GPC 분석결과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필터를 통해 분리해 낸 폴리올은 1564g/mol이며, 항유화제를 사용하여 분리해낸 폴리올은 1865g/mol인 결과를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더욱 순수한 고분자화된 폴리올을 얻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재생폴리올의 FT-IR 분석자료이다. 항유화제를 첨가하여도 재생폴리올이 갖추어야 할 모든 조건을 갖추어 짐을 설명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비교예1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재생폴리올의 비교사진이다. 상용 재생폴리올은 불순물이 모두 제거되지 않은 둔탁한 갈색을 띄지만,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재생폴리올은 불순물이 제거된 청명한 갈색을 띈다.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폴리올을 재생하는데 있어 항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상용재생폴리올과는 현저히 다르게 청명한 재생폴리올을 수득할 수 있으며, GPC와 FT-IR의 분석결과로도 상용재생폴리올보다 순수한 고분자화된 폴리올을 얻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5)

  1. i) 폐폴리우레탄을 분쇄한 분쇄물 100 중량부에 다가알콜인 글라이콜 50 내지 500 중량부를 첨가하여 120 내지 300℃로 가열하며 교반하는 제1단계;
    ii) 상기 혼합물에 아민계 올리고머 및 동식물성 오일 50 내지 150 중량부, 유기금속촉매 또는 아민 촉매 0.1 내지 50 중량부를 첨가하여 170 내지 400℃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제2단계; 및
    iii) 상기 제2단계 혼합물을 충분히 반응시켜 글리콜해중합으로 인해 폐폴리우레탄을 폴리올로 전환한 후에 160 내지 180℃의 온도에서 항유화제 0.001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민계 올리고머는 디(2,6-디메틸모폴리노에틸)에테르[DMDEE(di(2,6-dimethyl morpholinoethyl)ether)], 비스옥사졸리딘(Bisoxazolidine), 디에틸레이티드 톨루엔 디아민[DETDA(diethylated toluene diamine)], NMP(N-메틸-2-피롤리돈), 모폴린(Morpholine) 및 테트라메틸 프로필렌 디아민[TMPDA(Tetramethyl propylene di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유기금속 촉매는 디부틸틴디라우릴레이트, 디부틸틴클로라이드, 디부틸틴옥사이드, 디옥틸틴클로라이드, 및 디옥틸틴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항유화제는 {Rn-A-O(R2O)m-H}l(단, Rn은 탄소수가 1~30인 알킬기; A는 벤젠, 톨루엔 또는 자이렌; R2는 탄소수가 1~5인 알킬기; m은 1~30인 부가중합도; l은 1~50인 축합중합도)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유화제는 노닐 페놀 에톡실레이트 수지(NPER), 도데실 페놀 에톡실레이트 수지(DPER), 옥틸 페놀 에톡실레이트 수지(OPER)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식물성 오일은 팜유, 대두유, 채종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미강유 및 돈지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
  5. 삭제
KR20120041569A 2012-04-20 2012-04-20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 KR101205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1569A KR101205858B1 (ko) 2012-04-20 2012-04-20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1569A KR101205858B1 (ko) 2012-04-20 2012-04-20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858B1 true KR101205858B1 (ko) 2012-11-28

Family

ID=4756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41569A KR101205858B1 (ko) 2012-04-20 2012-04-20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85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247B1 (ko) 2014-05-20 2014-10-08 (주)엔나노텍 특정 촉매를 이용한 재생폴리올의 합성방법 및 재생폴리올을 이용하여 색상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476223B1 (ko) * 2013-12-27 2014-12-24 (주)엔나노텍 재생폴리올을 이용하는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폴리올의 고효율 회수방법
KR101737394B1 (ko) 2014-09-25 2017-05-18 (주)엔나노텍 분진폭발 및 화재 예방이 가능한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재생폴리올의 합성방법
KR101999298B1 (ko) * 2018-10-17 2019-07-11 정우화인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폼 스크랩을 재활용한 경질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KR102192958B1 (ko) * 2020-03-11 2020-12-18 주식회사 천강 폐스판덱스의 해중합을 이용한 자원 재활용방법
KR102336340B1 (ko) 2020-06-18 2021-12-08 정우화인 주식회사 연질 폴리우레탄 스크랩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분산 폴리머 폴리올과 그 제조 방법
KR20230110849A (ko) 2022-01-17 2023-07-2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재생 폴리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재생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355B1 (ko) 2008-06-23 2009-04-17 주식회사 세호테크 폐 폴리우레탄폼으로부터 재생폴리올의 합성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재생폴리올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폼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355B1 (ko) 2008-06-23 2009-04-17 주식회사 세호테크 폐 폴리우레탄폼으로부터 재생폴리올의 합성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재생폴리올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폼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223B1 (ko) * 2013-12-27 2014-12-24 (주)엔나노텍 재생폴리올을 이용하는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폴리올의 고효율 회수방법
KR101447247B1 (ko) 2014-05-20 2014-10-08 (주)엔나노텍 특정 촉매를 이용한 재생폴리올의 합성방법 및 재생폴리올을 이용하여 색상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737394B1 (ko) 2014-09-25 2017-05-18 (주)엔나노텍 분진폭발 및 화재 예방이 가능한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재생폴리올의 합성방법
KR101999298B1 (ko) * 2018-10-17 2019-07-11 정우화인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폼 스크랩을 재활용한 경질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WO2020080619A1 (ko) * 2018-10-17 2020-04-23 정우화인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폼 스크랩을 재활용한 경질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KR102192958B1 (ko) * 2020-03-11 2020-12-18 주식회사 천강 폐스판덱스의 해중합을 이용한 자원 재활용방법
KR102336340B1 (ko) 2020-06-18 2021-12-08 정우화인 주식회사 연질 폴리우레탄 스크랩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분산 폴리머 폴리올과 그 제조 방법
KR20230110849A (ko) 2022-01-17 2023-07-2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재생 폴리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재생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858B1 (ko)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글리콜 해중합법을 이용한 폴리올의 제조방법
JP6144204B2 (ja) トルエンジイソシアネートの合成工程から排出されるタール廃棄物残渣からのトルエンジアミンの回収
US6750260B2 (en) Process for chemical recycling of polyurethane-containing scrap
CN104693397A (zh) 一种废旧聚氨酯制品回收利用方法
EP3794065A1 (en) Improved method of recycling polyurethane materials
US4336406A (en) Polyol extraction by high boiling alkanes
CN113402770A (zh) 一种聚氨酯降解回收再利用的方法
Bhandari et al. Chemical depolymerization of polyurethane foam via ammonolysis and aminolysis
US6515036B2 (en) Method of decomposing a polyurethane
EP4010414A1 (en) Improved method of recycling polyurethane materials
Liu et al. Degradation process investigation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in supercritical methanol
KR100536858B1 (ko)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분해회수 방법
CN103787894B (zh) 从甲苯二异氰酸酯制备过程中形成的残渣废料中回收甲苯二胺的方法
Olazabal et al. Upgrading polyurethanes into functional ureas through the asymmetric chemical deconstruction of carbamates
CN101445582B (zh) 一种回收、再生废弃聚氨酯树脂的方法
KR101012185B1 (ko) 폴리우레탄 폐기물로부터의 폴리올 분리 회수방법
Nikje Recycling of polyurethane wastes
ALAVI et al. Regeneration of polyol by pentaerythritol-assisted glycolysis of flexible polyurethane foam wastes
KR20210116800A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열가소성 폴리머의 단량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폴리머의 제조
KR101447247B1 (ko) 특정 촉매를 이용한 재생폴리올의 합성방법 및 재생폴리올을 이용하여 색상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00094142A (ko) 폴리우레탄 폐기물로부터 얻어진 폴리올로부터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76223B1 (ko) 재생폴리올을 이용하는 폐폴리우레탄으로부터 폴리올의 고효율 회수방법
US5635542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xyl-group-containing compounds from polyurethane polyurea and/or polyurea wastes
JP2000136264A (ja) 固体残さ分解方法
EP1229071A1 (en) Method of treating polyol recovered through decomposition and polyol recovered through de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826

Effective date: 20160421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