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725B1 -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725B1
KR101205725B1 KR1020100114688A KR20100114688A KR101205725B1 KR 101205725 B1 KR101205725 B1 KR 101205725B1 KR 1020100114688 A KR1020100114688 A KR 1020100114688A KR 20100114688 A KR20100114688 A KR 20100114688A KR 101205725 B1 KR101205725 B1 KR 101205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vi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419A (ko
Inventor
김헌성
Original Assignee
김헌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성 filed Critical 김헌성
Priority to KR1020100114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7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06T5/80

Abstract

본 발명은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수정체를 촬상하여 그 촬상정보를 출력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상정보를 입력받아 시청자의 시각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시각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생기는 래스터(raster) 일그러짐(distortion)을 보정함과 동시에 밝기를 제어하는 화면보정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시청자별로 상이한 시각 상태 즉 근시, 원시, 난시 및 시력 등을 측정하여 시각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시청자에 맞는 최적의 보정을 통해 정상적인 컬러 화상이 시청하도록 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Display system having function eyesight correction and recording media for the same}
본 발명은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시력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최적의 상태로 보정하는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어떤 물체를 본다는 건 그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우리 눈을 거치면서 굴절되어 망막에 상이 만들어지고, 이 정보가 뇌에 전달되어 그게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과정을 일컫는다. 이 가운데 빛의 굴절을 담당하는 기관은 각막과 수정체인데, 굴절에 이상이 생겨 망막보다 앞에서 초점을 맺는 걸 근시(myopia), 망막 뒤에 맺으면 원시(hyperopia)라 하고, 한 점에서 초점을 맺지 못할 때를 난시(astigmatism)라고 한다.
상기 근시라고 하더라도 물체를 눈에 가까이 가져가면 어느 위치에서는 망막에 상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 위치를‘원점(far point)’이라 하고, 눈에서부터 이곳까지의 거리를‘원점거리’라고 한다.
굴절에 문제가 없는 사람이라면 원점거리가 무한대일 테지만, 근시의 경우 대체 얼마나 가까이 가야 망막에 상이 맺히는가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이걸 나타내기 위해 쓰는 게 바로‘디옵터(diopter)’라는 단위로, 원점거리의 역수로 표현된다. 근시를 교정하기 위해 흔히 안경을 쓰는데, 안경의 도수가 바로 디옵터다. 예를 들어 원점거리가 2미터라고 한다면 디옵터는 0.5고,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0.5디옵터의 렌즈가 필요하다.
한편, 티브이(TV)나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는 그 자체의 화상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나, 이것은 화상의 색조 또는 화상의 범위를 조절하는데 그치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개개인의 시력 특성에 따라서 최적의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의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공개특허 제2000-039248호(발명의 명칭 : 노안 보정 기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는 노안의 정도에 따른 수정체의 상태를 검출하여 이 검출된 데이터에 따라 표시되는 화상의 컬러를 보정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 노안 보정 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0), 시청자의 눈을 촬상하는 카메라(10)와, 상기 카메라(10)의 촬상 정보로부터 시청자의 수정체의 노화 정도를 측정하여 그 보정값을 계산하며 보정된 값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30)로 가하는 콘트롤러(20)로 구성되어 개개인의 노안 정도에 따라 청색 화상의 발광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노안이라 하더라도 정상적인 색상의 컬러 화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노안에 한해서 정상적인 색상의 컬러 화상을 시청하도록 하는 것으로, 근시나 난시에 해당하는 시청자는 그대로 이전 화면을 시청해야만 하기 때문에 화상을 제대로 시청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시력 상태(근시 또는 원시 또는 난시)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최적의 상태로 보정하여 정상적으로 화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수정체를 촬상하여 그 촬상정보를 출력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상정보를 입력받아 시청자의 시각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시각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생기는 래스터(raster) 일그러짐(distortion)을 보정함과 동시에 밝기를 제어하는 화면보정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청자의 시력 보정 기능의 선택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하여 시청자의 눈을 촬상하는 기능, 상기 촬상을 통한 화상정보를 기반으로 시청자의 시각 상태를 분석하는 기능, 상기 분석에 따른 시각 상태와 시청자가 입력한 시각상태정보에 따라 기 저장한 보정값을 검색하여 읽어들이는 기능 및 상기 읽어들인 보정값으로 화면조정기능부(OSD)를 제어하여 볼록/오목조정 및 백라이트 램프를 조절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하면, 시청자별로 상이한 시각 상태 즉 근시, 원시, 난시 및 시력 등을 측정하여 시각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시청자에 맞는 최적의 보정을 통해 정상적인 컬러 화상이 시청하도록 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 노안 보정 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한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화면표시 제어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한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카메라(100), 디스플레이(200), 키입력부(300), 화면보정제어부(40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300)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시력 보정을 위한 사용자 선택을 위하여 시각상태정보(안경. 렌즈의 착용 유무 및 안경 렌즈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한다.
화면보정제어부(400)는 상기 카메라(100)로부터 촬상정보를 입력받아 시청자의 시각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시각상태정보(상기 시각상태정보는 근시, 원시, 난시, 시력, 안경(또는 렌즈) 착용 유무 및 안경 렌즈의 종류 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화면에 생기는 래스터(raster) 일그러짐(distortion)을 보정함과 동시에 밝기를 제어한다.
상기 화면보정제어부(400)는 시각 상태별(근시 또는 난시 또는 원시)로 보정값을 기 설정하고, 상기 키입력부(300) 및 카메라(100)로부터의 시각상태정보에 따라 설정된 해당 보정값으로 제어하는데, 이때, 상기 설정한 보정값은 시력에 따라 동일한 시각 상태(근시 또는 난시 또는 원시)라 하더라도 다른 값을 적용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보정제어부(400)는 상기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백라이트 램프(미도시)를 제어하여 영상의 밝기 정도를 조절하고, 화면조정기능부(OSD, 미도시)를 통해 볼록/오목조정을 제어하여 래스터 일그러짐을 보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화면표시 제어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시청자가 상기 키입력부(300)를 통해 시력 보정 기능을 선택함과 동시에 시각상태정보(안경. 렌즈의 착용 유무 및 안경 렌즈의 종류)를 입력하면(S1000), 디스플레이(200)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100)에서 시청자의 눈, 특히 수정체를 촬상하여 그 화상정보를 출력한다(S1100).
상기 S1100 단계에서 출력한 화상정보를 통해 보정제어부(400)는 시청자의 시각 상태를 분석하고(S1200), 분석에 따른 시각 상태와 시각상태정보에 따라 기 저장한 보정값을 검색하여 읽어들인다(S1300).
이때, 상기 기 저장한 보정값은 시력(예를 들어 0.5, 0.8 등)에 따라 동일한 시각 상태(근시 또는 난시 또는 원시)라 하더라도 다른 값이고, 시각상태정보는 키입력부(300) 및 카메라(100)로부터 입력된 정보이다.
이후, 상기 S1300 단계에서 읽어들인 보정값으로 화면조정기능부(OSD)를 제어하여 볼록/오목조정을 통해 디스플레이(200)의 화면에 생기는 래스터(raster) 일그러짐(distortion)을 보정함과 동시에 백라이트 램프를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조절한다(S1400).
예를 들어, 시청자가 근시인 경우 오목조정을 수행하여 초점거리를 앞으로 당기어 망막에 초점이 맺히도록 보정하고, 원시인 경우 볼록조정을 수행하여 초점거리를 길게하여 망막에 초점이 맺히도록 보정한다.
한편, 상기 보정제어부(400)는 상기 1000 단계에서 시청자가 시각상태정보(안경. 렌즈의 착용 유무 및 안경 렌즈의 종류) 입력시 착용중인 렌즈(또는 안경)의 오목한 정도나 볼록한 정도 및 시력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단계 1100 ~ 1300의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단계 1400으로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100 : 카메라 20 : 콘트롤러
30, 200 : 디스플레이 300 : 키입력부
400 : 보정제어부

Claims (6)

  1.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수정체를 촬상하여 그 촬상정보를 출력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상정보를 입력받아 시청자의 시각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시각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생기는 래스터(raster) 일그러짐(distortion)을 보정함과 동시에 밝기를 제어하는 화면보정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화면보정제어수단은 시각 상태별(근시 또는 난시 또는 원시)로 보정값을 기 설정하고, 시청자의 시각상태정보에 따라 설정된 해당 보정값으로 제어하는 것인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한 보정값은 시력에 따라 동일한 시각 상태(근시 또는 난시 또는 원시)라 하더라도 다른 값을 적용하는 것인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상태정보는 근시, 원시, 난시, 시력, 안경(또는 렌즈) 착용 유무 및 안경 렌즈의 종류 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제어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백라이트 램프를 제어하여 영상의 밝기 정도를 조절하고, 화면조정기능(OSD)의 볼록/오목조정을 제어하여 래스터 일그러짐을 보정하는 것인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삭제
KR1020100114688A 2010-11-17 2010-11-17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KR101205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688A KR101205725B1 (ko) 2010-11-17 2010-11-17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688A KR101205725B1 (ko) 2010-11-17 2010-11-17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419A KR20120053419A (ko) 2012-05-25
KR101205725B1 true KR101205725B1 (ko) 2012-11-28

Family

ID=4626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688A KR101205725B1 (ko) 2010-11-17 2010-11-17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7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336A1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에덴룩스 융합력 및 인식력 훈련이 가능한 시력훈련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8635A (ja) * 1998-03-25 2002-03-19 ダブリュ スティーヴン ジー マン 電子式ニュース取材、ドキュメンタリービデオの制作、フォトジャーナリズムにおいて、および生命・身体の安全のために用いるアイタップ・カメ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8635A (ja) * 1998-03-25 2002-03-19 ダブリュ スティーヴン ジー マン 電子式ニュース取材、ドキュメンタリービデオの制作、フォトジャーナリズムにおいて、および生命・身体の安全のために用いるアイタップ・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419A (ko)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95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dynamic “region of interest” in a display system
US9064445B2 (en) Transmission type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CN103026367B (zh) 用于渲染显示以补偿观看者的视力损伤的系统和方法
JP5222856B2 (ja) 画像表示装置、その表示方法、プログラム、集積回路、眼鏡型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自動車、双眼鏡、及び卓上型ディスプレイ
CN107111145B (zh) 头戴式显示装置和显示方法
US11150476B2 (en) Method for providing a display unit for an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
US10187634B2 (en) Near-eye display system including a modulation stack
CN105164576A (zh) 对适配于佩戴者的头戴式电光设备进行控制的方法
TW201800804A (zh) 頭戴式個人多媒體系統與視覺輔助裝置
CN104620161B (zh) 用于适配自适应眼镜片系统的光学功能的方法
JP2016139116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表示方法
KR101205725B1 (ko) 시력 보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JP2016130838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表示方法
US20020071047A1 (en) Sight enhancement device
US202301764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user's vision and performing calibration
KR102235903B1 (ko) 2개의 조도센서를 이용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최적화 방법
WO2017026942A1 (en) Apparatus for display adjustment and method thereof
US202203738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and evaluating a wearable heads-up display with integrated corrective prescription
WO2010098274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N113960800B (zh) 增强现实设备及其屈光度调节方法、存储介质
WO20222458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wearable heads-up display including integrated prescription lenses to produce aligned and color corrected images
WO2006049270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A3195634A1 (en) Vision correction display device, eye-tracking system and method to compensate for visual impairments
CN114690412A (zh) 头戴显示设备
CN113064278A (zh) 视觉增强方法、系统、计算机存储介质及智能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