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418B1 - 내충격 공기밸브 - Google Patents

내충격 공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418B1
KR101205418B1 KR1020120058448A KR20120058448A KR101205418B1 KR 101205418 B1 KR101205418 B1 KR 101205418B1 KR 1020120058448 A KR1020120058448 A KR 1020120058448A KR 20120058448 A KR20120058448 A KR 20120058448A KR 101205418 B1 KR101205418 B1 KR 101205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air
barrel
hole
baff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120058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16K24/04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the float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element,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following a substantially translational movement when actuated, e.g. also for actuating a pilo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16L55/055Valv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 공기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럴 내에 부력크기가 상이한 다수의 플로트가 설치되되, 상기 플로트는 관로상의 공기량에 따라 배럴 내에서 상, 하로 유동하면서, 공기가 배출되는 입출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수충격이 완화되도록 하고, 원수가 유입시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입출공을 즉시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내부에 상, 하로 유동되는 다수 플로트가 공기 또는 원수에 의해 좌, 우로 요동치며 흔들리지 않도록 다수의 가이드바를 설치하여, 플로트를 통한 공기배출효율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 배출시 공기밸브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경우, 공기밸브를 해체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지는 내충격 공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충격 공기밸브{Antishock Air Valve}
본 발명은 관로에 설치되어, 관로상의 공기량에 따라 공기 입출공을 조절하여 수충격을 완화시키고, 원수 유입즉시 공기의 입출공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내충격 공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수가 공급되는 관로에는 단수된 후 통수될 경우나 공사시 공기가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 된다. 관로에 들어간 공기는 배출시키지 않으면 상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로에는 공기 배출 목적의 밸브를 설치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 등의 상수 관로 상에는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밸브를 설치한다.
기존에 사용되는 공기밸브 설치는, 관로 사이에 T자형 분기관을 설치하고, 상기 분기관에 공기밸브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분기관에 직접 공기밸브를 설치할 경우 공기밸브의 청소 및 수리 점검 등에서 분기관으로 유입되는 상수를 차단할 수 없으므로, 분기관에 제수밸브를 설치하고 제수밸브의 후단에 공기밸브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공기밸브의 구성은, 공기밸브 본체, 공기밸브 본체를 제수밸브와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 공기밸브 본체 내부에 형성된 공간, 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부력으로 부상하는 공기볼을 구비하는 플로트 밸브체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존의 공기밸브는, 구형의 플로우트에 물에 섞인 이물질이 묻어 배수구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하여 완벽한 차수가 되지 않고, 배기구의 구경이 작아 공기의 흡배기량이 작아지므로 원활하게 공기의 흡배기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 배출 시 공기 유속이 매우 빠른 경우 플로우트가 미리 공기배출구를 막아 상수관 내의 공기 배출이 되지 않으며, 공기배출구측에 플로우트가 부딪히면서 강한 수충격이 발생하여 장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상의 공기량에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입출공의 크기가 자동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해 배럴 내에서 상, 하유동되는 다수의 플로트가 좌, 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 하방향으로만 가이드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공기배출이 가능토록 하며, 관로상 공기 배출시 공기와 함께 유입되어 배럴 내에 채워지게 있는 원수는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자유롭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관이 설치된 내충격 공기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 하단 입출공(12, 14)이 양단에 천공형성되어, 공기 및 원수가 유입출되는 배럴(10); 상기 배럴(10)의 내부 저면에서 하단 입출공(14)에 이격설치되는 배플(20); 상기 배럴(10)의 내부에서 배플(20)의 상단에 적층되는 다수의 플로트로 이루어지되, 하단 입출공(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또는 원수에 의해 각기 다른 부력으로 상, 하 유동되면서 관로상 공기를 배출시키는 플로트부(30); 상기 배럴(10)의 내주연과 플로트부(30)의 외주연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상호간 다수 이격설치되어, 유입출되는 공기 및 원수에 의해 플로트부(30)가 좌, 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 하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바(40); 상기 배럴(10) 외주연에 연통설치되어, 배럴(10) 내부의 원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밸브(51)가 설치되는 배출관(5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호간 서로다른 부력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플로트가 상, 하 유동되면서, 관로상의 공기량에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입출공의 개구 정도를 자동조절함으로써, 수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 하 유동되는 다수의 플로트가 배럴 내에서 공기 및 원수에 의해 좌, 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 하방향으로만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 배출을 위한 입출공의 조절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배출시 밸브 내로 유입되는 원수의 경우, 사용자가 공기밸브를 관로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공기밸브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단면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내충격 공기밸브를 통한 관로 내 공기배출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3은 도 2에서 배출되는 공기배출의 배기속도가 증가된 경우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4는 도 3에 이어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는 경우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5는 관로 내의 공기가 배출될 시, 내충격 공기밸브를 통한 공기흡입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공기밸브에 유입된 원수를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상, 하단 입출공(12, 14)이 양단에 천공형성되어, 공기 및 원수가 유입출되는 배럴(10); 상기 배럴(10)의 내부 저면에서 하단 입출공(14)에 이격설치되는 배플(20); 상기 배럴(10)의 내부에서 배플(20)의 상단에 적층되는 다수의 플로트로 이루어지되, 하단 입출공(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또는 원수에 의해 각기 다른 부력으로 상, 하 유동되면서 관로상 공기를 배출시키는 플로트부(30); 상기 배럴(10)의 내주연과 플로트부(30)의 외주연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상호간 다수 이격설치되어, 유입출되는 공기 및 원수에 의해 플로트부(30)가 좌, 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 하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바(40); 상기 배럴(10) 외주연에 연통설치되어, 배럴(10) 내부의 원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밸브(51)가 설치되는 배출관(5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로트부(30)는 상기 상단 입출공(12)이 연통되는 제 1홀(32)이 천공형성되며, 배플(20) 내에서 유입되는 관로상 공기에 의해 상, 하 유동되는 충격완화 플로트(31);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의 하단에 배치되되, 상기 제 1홀(32)보다 직경이 작으면서 제 1홀(32)과 연통되는 제 2홀(34)이 천공형성되며, 배플(20) 내에서 유입되는 관로상 공기에 의해 상, 하 유동되는 상단 플로트(33); 상기 상단 플로트(33)의 하단에 배치되어, 배플(20) 내로 유입되는 관로상 원수에 의해 상, 하 유동되면서 제 2홀(34)이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하단 플로트(3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 플로트(35)와 배플(20) 사이의 공기 또는 원수의 방향이 가이드되어, 상기 하단 플로트(35)가 배플(20)에 접촉시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하단 플로트(35)의 저면에서 배플(20)에 천공된 보조 유입홀(21)에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원추형 돌출부(3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주연 상단에 배럴(10)의 상면과 이격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단 입출공(12)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가 사방으로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부(6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충격 공기밸브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공기밸브(100)는 관로(ex: 상수도관)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관로를 상호간 연결하는 'T'자형 연결관 상단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관에 제수밸브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 관로상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배럴(10), 배플(20), 플로트부(30), 가이드바(40), 배출관(50)을 포함한다.
상기 배럴(10)은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했을시, 상,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단면의 관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배럴(10)의 상, 하단에는 상, 하단 플랜지(11, 13)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럴(10)의 상단에는 상단 플랜지(11)의 개구된 상단 입출공(12)을 통해 공기 또는 원수(ex: 하수, 물)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럴(10)의 하단에는 하단 플랜지(13)의 개구된 하단 입출공(14)을 통해 관로 내 공기 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상기 배럴(10)은 관로 내 공기 또는 원수가 하단 입출공(14)을 통해 배럴(10) 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 후 상단 입출공(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형태이지만, 이는 관로 내의 원수가 빠지게 되어, 후술될 배럴(10) 내 다수의 플로트가 하강되며 배럴(10) 하단에 내려앉았을 시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상단 입출공(12)을 통해 흡입되어 하단 입출공(14)을 통해 관로내로 유입될 수 있음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배럴(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연결부재(볼트 및 너트, 이는 후술될 다른 연결부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B)를 통해 배럴(10)의 상면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판 형태의 커버부(60)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배럴(10)의 상부로 관로상의 공기 또는 원수가 배출될 시, 배럴(10)의 상단 입출공(12)을 통해 상부로 솟아오르며 사방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막의 기능으로써, 배출되는 공기 또는 원수는 상단 입출공(12)을 통해 배출된 후 차단막에 부딪혀, 상단 입출공(12)과 차단막의 사이에서 주변으로 배출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배플(20)은 전술된 배럴(10)의 내부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배플(20)의 하단구조인 하단 플랜지(13)에 연결부재(B)를 통해 하단 입출공(14)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판재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배플(20)의 중앙에는 상, 하로 관통된 보조 유입홀(21)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이러한 상기 배플(20)의 상단에는 후술될 플로트부(30)의 하단 플로트(35), 상단 플로트(33), 충격완화 플로트(31)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상기 플로트부(30)는 전술된 배럴(10) 내에 적층되는 다수의 플로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작동 전 초기상태에서 다수의 플로트는 상기 배럴(10) 내 배플(20)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올려진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플로트부(30)의 다수의 플로트는 각각 원형단면을 가지며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충격완화 플로트(31),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의 전체 길이의 합보다, 상기 배럴(10)의 길이가 더 길도록 하여, 상기 플로트부(30)가 공기 또는 원수 등에 의해 배럴(10) 내에서 상, 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단,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는 배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기에, 배럴(10)의 직경보다 작아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각각의 두께 및 무게는 동일한 재질이라 가정시 충격완화 플로트(31) ≤ 상단 플로트(33) < 하단 플로트(35)의 순서가 되도록 하여, 충격완화 플로트(31),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의 부력크기가 차이 나도록 한다.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는 플로트부(30)를 이루는 3개의 플로트 중 최상단에 적층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 하로 관통된 제 1홀(32)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는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와 함께 배럴(10) 내에 하강되어 적층되어 잇다가, 관로 내의 배기 유속이 과속상태인 경우, 상기 배럴(10) 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이러한 배기 유속에 의해 상단 플로트(33)에서 이격되며 배럴(10) 내에서 상부로 들려 상승하게 되고, 상부로 들린 충격완화 플로트(31)는 배럴(10)의 상단 입출공(12)에 접촉되어 상단 입출공(12)을 막으면서, 상기 상단 입출공(1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1홀(32)을 통해서만 공기가 상단 입출공(12)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배기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이며, 상기 제 1홀(32)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충격완화 플로트(31)가 배럴(10)의 내부 상면과 부딪히는 충격이 완화되어 공기밸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단 플로트(33)는 전술된 충격완화 플로트(31)의 하단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충격완화 플로트(31)의 제 1홀(32)과 연통되는 제 2홀(34)을 중앙에 관통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 2홀(34)은 제 1홀(32)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단 플로트(33)는 배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배기속도가 충격완화 플로트(31)르 상부로 들어올린 후, 관로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고 원수가 유입됨에 따라 배럴(10) 내 공기압이 증가되는 경우, 상단 입출공(12) 측으로 상승되어 있는 충격완화 플로트(31)의 저면에 부착되도록 상승된다. (이때, 배럴(10) 내의 공기는 제 2홀(34)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는 상태가 된다.)이로써, 배기되는 공기는 충격완화 플로트(31)의 제 1홀(32)을 통해 상단 입출공(12)으로 배기가 되다가, 제 1홀(32)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의 제 2홀(34)을 통해 제 1홀(32)과 상단 입출공(12)으로 배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상기 상단 입출공(12), 제 1홀(32), 제 2홀(34)은 상호간 연통되는 형태를 가지게 되어, 공기의 배기속도가 다단의 형태로 감속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충격완화 플로트(31),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가 각각 순차적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다단으로 줄이면서 막아주게 되므로 배기속도가 감속된 후 닫히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공기의 배기속도를 감속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공기밸브 내부에서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단 플로트(35)는 전술된 상단 플로트(33)의 하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공기의 배기속도가 증가함으로써 충격완화 플로트(31)가 상승하고, 이어 상단 플로트(33)까지 상승된 이후, 배럴(10) 내의 공기가 제 2홀(34), 제 1홀(32), 상단 입출공(12)을 순차적으로 거쳐 배기되고, 배럴(10) 내부에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하단 플로트(35)는 원수에 부유되면서 배럴(10) 내부에서 상승되어 상단 플로트(33)의 저면에 밀착되어, 제 2홀(34)을 밀폐시킴으로써 배기가 완료되도록 하고 원수가 공기 유동로(제 2홀(34), 제 1홀(32), 상단 입출공(12))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하단 플로트(35)는 저면 중앙에 전술된 배플(20)의 보조 유입홀(21)에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는 역삼각형 형태의 원추형 돌출부(36)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승되었던 하단 플로트(35)가 하강될 시, 배플(20)에 부딪히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하단 플로트(35)와 배플(20) 사이의 공기가 원추형 돌출부(36)를 따라 보조 유입홀(21)을 통해 배플(20)의 하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의 저면 또는 상단 플로트(33)의 상면에는 패킹 등의 실링부재(S1)를 링 형태로 형성하여 충격완화 플로트(31)와 상단 플로트(33) 상호간의 접촉시 충격완화 및 실링(Sealing)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이며, 더불어, 충격완화 플로트(31)의 상면이 접촉되는 배럴(10)의 내부 상면에도 실링부재(S2)를 설치하고, 상단 플로트(33)의 제 2홀(34)과 접촉되는 하단 플로트(35)의 상면 중앙에도 패킹 등의 실링부재(S3)가 형성되도록 하여, 실링처리 및 충격완화 효과가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상기 실링부재라 함은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실리콘 등이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이다.)
상기 가이드바(40)는 전술된 배럴(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플로트부(30)를 이루며 배럴(10) 내에서 상, 하방향으로 각자 유동되는 충격완화 플로트(31),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는 유입되는 공기 및 원수에 의해 상, 하로 유동시, 배럴(10)의 내부에서 좌, 우방향으로도 요동치거나 흔들리며 상승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상호간 연통시켜야 하는 제 1, 2홀(32, 34)의 연통이 제대로 되지 않아 공기의 배기가 원활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기 다수의 가이드바(40)를 배럴(10) 내주연과 플로트부(30)의 외주연 사이의 이격공간에 설치한 것으로, 다수의 가이드바(40)는 배럴(10)과 플로트부(30)의 이격공간 내에서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시켜 배럴(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물론, 이러한 다수의 가이드바(40)는 일단이 배럴(10)의 내주연 상단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거나, 또는 하단 또한 배럴(10)의 내주연 하단에 고정되어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가이드바(40)의 길이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해질 수 있음이다.
상기 배출관(50)은 직립설치되는 전술된 배럴(10)의 외주연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연통되는 것으로, 관로의 공기 배출이 완료된 후, 배럴(10) 내에 유입된 원수를 빼내기 위해, 본 발명의 내충격 공기밸브를 관로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관로와 본 발명의 내충격 공기밸브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제수밸브를 잠근 후, 상기 배럴(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50)을 개방함으로써, 배럴(10) 내 원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배출관(50)의 일단은 배럴(10)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체이며, 이러한 배출관(50)의 개폐 여부 및 개폐량 조절을 위해 제어밸브(51)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원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배출관(50)은 배럴(10)의 외주연 하단부에 연통설치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배럴 11: 상단 플랜지
12: 상단 입출공 13: 하단 플랜지
14: 하단 입출공 20: 배플
21: 보조 유입홀 30: 플로트부
31: 충격완화 플로트 32: 제 1홀
33: 상단 플로트 34: 제 2홀
35: 하단 플로트 36: 원추형 돌출부
40: 가이드바 50: 배출관
51: 제어밸브 60: 커버부
B: 연결부재 S1, S2, S3: 실링부재

Claims (4)

  1. 상, 하단 입출공(12, 14)이 양단에 천공형성되어, 공기 및 원수가 유입출되는 배럴(10);
    상기 배럴(10)의 내부 저면에서 하단 입출공(14)에 이격설치되는 배플(20);
    상기 배럴(10)의 내부에서 배플(20)의 상단에 적층되는 다수의 플로트로 이루어지되, 하단 입출공(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또는 원수에 의해 각기 다른 부력으로 상, 하 유동되면서 관로상 공기를 배출시키는 플로트부(30);
    상기 배럴(10)의 내주연과 플로트부(30)의 외주연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상호간 다수 이격설치되어, 유입출되는 공기 및 원수에 의해 플로트부(30)가 좌, 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 하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가이드바(40);
    상기 배럴(10) 외주연에 연통설치되어, 배럴(10) 내부의 원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밸브(51)가 설치되는 배출관(5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로트부(30)는
    상기 상단 입출공(12)이 연통되는 제 1홀(32)이 천공형성되며, 배플(20) 내에서 유입되는 관로상 공기에 의해 상, 하 유동되는 충격완화 플로트(31);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의 하단에 배치되되, 상기 제 1홀(32)보다 직경이 작으면서 제 1홀(32)과 연통되는 제 2홀(34)이 천공형성되며, 배플(20) 내에서 유입되는 관로상 공기에 의해 상, 하 유동되는 상단 플로트(33);
    상기 상단 플로트(33)의 하단에 배치되어, 배플(20) 내로 유입되는 관로상 원수에 의해 상, 하 유동되면서 제 2홀(34)이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하단 플로트(35);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단 플로트(35)와 배플(20) 사이의 공기 또는 원수의 방향이 가이드되어, 상기 하단 플로트(35)가 배플(20)에 접촉시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하단 플로트(35)의 저면에서 배플(20)에 천공된 보조 유입홀(21)에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원추형 돌출부(3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 공기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연 상단에 배럴(10)의 상면과 이격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단 입출공(12)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가 사방으로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부(6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 공기밸브.
  3. 삭제
  4. 삭제
KR1020120058448A 2012-05-31 2012-05-31 내충격 공기밸브 KR101205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448A KR101205418B1 (ko) 2012-05-31 2012-05-31 내충격 공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448A KR101205418B1 (ko) 2012-05-31 2012-05-31 내충격 공기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418B1 true KR101205418B1 (ko) 2012-11-27

Family

ID=4756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448A KR101205418B1 (ko) 2012-05-31 2012-05-31 내충격 공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4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343B1 (ko) * 2013-07-23 2014-02-17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펌프제어밸브용 수충격 방지장치
KR20180061442A (ko) 2016-11-28 2018-06-08 (주) 삼진정밀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WO2020065373A1 (en) * 2018-09-25 2020-04-02 James Douglas Miller Air release valve
CN117146047A (zh) * 2023-11-01 2023-12-01 常州耐普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消声阀门设备及其工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643Y1 (ko) * 2003-12-05 2004-02-21 손석진 급속공기밸브
KR101009522B1 (ko) * 2010-07-06 2011-01-18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접이식 공기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643Y1 (ko) * 2003-12-05 2004-02-21 손석진 급속공기밸브
KR101009522B1 (ko) * 2010-07-06 2011-01-18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접이식 공기 밸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343B1 (ko) * 2013-07-23 2014-02-17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펌프제어밸브용 수충격 방지장치
KR20180061442A (ko) 2016-11-28 2018-06-08 (주) 삼진정밀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KR101944886B1 (ko) * 2016-11-28 2019-02-07 (주) 삼진정밀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WO2020065373A1 (en) * 2018-09-25 2020-04-02 James Douglas Miller Air release valve
CN117146047A (zh) * 2023-11-01 2023-12-01 常州耐普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消声阀门设备及其工作方法
CN117146047B (zh) * 2023-11-01 2024-02-23 常州耐普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消声阀门设备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886B1 (ko)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KR101205418B1 (ko) 내충격 공기밸브
US20170000094A1 (en) Segmented fish pump system
CN112762222B (zh) 一种浮球式排水阀
KR101363343B1 (ko) 펌프제어밸브용 수충격 방지장치
JP2013508591A (ja) 安全魚道
JP6492579B2 (ja) 負圧破壊弁
KR200456808Y1 (ko) 공기밸브장치
KR101571606B1 (ko) 거품 저감을 위한 수중위어를 갖는 방류구조물
KR20160111357A (ko) 응축수 배출 장치
CN202215795U (zh) 放水器
GB2141561A (en) Vortex valves
JP5937299B2 (ja) 排水装置用渦流式水面制御装置
KR101596785B1 (ko) 우수 저류용 역류방지 맨홀 덮개
US20170107711A1 (en) Powerless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KR101215474B1 (ko) 선박용 에어벤트라인의 드레인배출장치 설치구조
RU2547422C2 (ru) Резервуар с силовым замыканием
JP5718666B2 (ja) 吸排気弁装置
JPS6143592B2 (ko)
KR20190015780A (ko) 선박을 이용한 유출 기름 제거 장치
CN217537254U (zh) 用于减少吸气量的分区排污竖井结构
JP2013029112A (ja) ポンプ設備
JP5865491B2 (ja) 取水池および排水池を備えたプラント冷却施設
KR101519783B1 (ko) 거품 분리를 위한 우회유동을 갖는 거품저감 배수로 구조물
JPH0790828A (ja) 放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