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886B1 -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886B1
KR101944886B1 KR1020160159099A KR20160159099A KR101944886B1 KR 101944886 B1 KR101944886 B1 KR 101944886B1 KR 1020160159099 A KR1020160159099 A KR 1020160159099A KR 20160159099 A KR20160159099 A KR 20160159099A KR 101944886 B1 KR101944886 B1 KR 101944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at
barrel
hole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1442A (ko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160159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8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16L55/055Valv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 하단에 원추형의 여과배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 및 원수의 이물질을 여과하면서도 지속적인 공기 배출이 가능토록 하고,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유로를 가이드하여 급속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급속배기밸브와 비슷한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각기 다른 부력을 가지는 다수의 플로우트를 이용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입출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수충격이 완화되도록 한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AIR VALVE FOR FOREIGN OBJECT REMOVAL AND ALLEVIATING WATER IMPACT}
본 발명은 공기밸브에 유입출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관로상의 공기량에 따라 공기 입출공을 조절하여 수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수가 공급되는 관로에는 단수된 후 통수될 경우나 공사시 공기가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 된다. 관로에 들어간 공기는 배출시키지 않으면 상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로에는 공기 배출 목적의 밸브를 설치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 등의 상수 관로 상에는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밸브를 설치한다.
기존에 사용되는 공기밸브 설치는, 관로 사이에 T자형 분기관을 설치하고, 상기 분기관에 공기밸브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분기관에 직접 공기밸브를 설치할 경우 공기밸브의 청소 및 수리 점검 등에서 분기관으로 유입되는 상수를 차단할 수 없으므로, 분기관에 제수밸브를 설치하고 제수밸브의 후단에 공기밸브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공기밸브의 구성은, 공기밸브 본체, 공기밸브 본체를 제수밸브와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 공기밸브 본체 내부에 형성된 공간, 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부력으로 부상하는 공기볼을 구비하는 플로트 밸브체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존의 공기밸브는, 구형의 플로우트에 물에 섞인 이물질이 묻어 배수구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하여 완벽한 차수가 되지 않고, 배기구의 구경이 작아 공기의 흡배기량이 작아지므로 원활하게 공기의 흡배기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 배출 시 공기 유속이 매우 빠른 경우 플로우트가 미리 공기배출구를 막아 상수관 내의 공기 배출이 되지 않으며, 공기배출구측에 플로우트가 부딪히면서 강한 수충격이 발생하여 장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출원인은 등록특허 10-1205418호(2012.11.21.등록), 내충격 공기밸브를 기출원하여 등록받은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존의 등록특허의 경우,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 또는 원수내의 각종 이물질이, 내충격 공기밸브의 플로트부 주변에 뭉치게 되거나, 플로트부가 상, 하 유동시 접촉되는 공기밸브 내주연 곳곳에 고착화됨에 따라, 내충격 공기밸브의 작동자체에 문제가 발생되거나 제대로 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05418호(2012.11.21.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밸브를 통과하는 공기 및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공기밸브 내주연 및 내부의 플로트에 고착화되어, 밸브의 작동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재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 하단에 여과배기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면서 지속적인 공기배출이 가능토록 하면서, 관로상의 공기량에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입출공의 크기가 자동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고, 배기되는 공기를 급속배출시킬 수 있어 급속배기밸브와 비슷한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 하단 입출공(12, 14)이 양단에 천공형성되어, 공기 및 원수가 유입출되는 배럴(10); 상기 배럴(10)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 및 원수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통과시키는 제 1여과배기부(20); 상기 배럴(10)의 내부에서 제 1여과배기부(20)의 상단에 적층되는 다수의 플로트로 이루어지되, 하단 입출공(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또는 원수에 의해 각기 다른 부력으로 상, 하 유동되면서 관로상 공기를 배출시키는 플로트부(30); 상기 배럴(10)의 외주연에 연통설치되어, 배럴(10) 내에 유입된 원수를 배출하되, 배출되는 원수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출하는 배출관(50); 상기 배럴(10)의 외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면서 급속배출시키고,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 2여과배기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밸브를 사용함에 있어서, 자체적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며 지속적인 공기배출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충격에 강하여 수충격이 발생되는 현장에 손쉽게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간 서로다른 부력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플로트가 상, 하 유동되면서, 관로상의 공기량에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입출공의 개구 정도를 자동조절함으로써, 수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 하단에 원추형의 여과배기부를 구비함으로써, 급속배기밸브와 비슷한 배기성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동작으로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를 통한 관로 내 공기배출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2는 도 1에서 배출되는 공기배출의 배기속도가 증가된 경우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3은 도 2에 이어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는 경우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4는 관로 내의 공기가 배출될 시,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를 통한 공기흡입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에 유입된 원수를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상, 하단 입출공(12, 14)이 양단에 천공형성되어, 공기 및 원수가 유입출되는 배럴(10); 상기 배럴(10)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 및 원수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통과시키는 제 1여과배기부(20); 상기 배럴(10)의 내부에서 제 1여과배기부(20)의 상단에 적층되는 다수의 플로트로 이루어지되, 하단 입출공(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또는 원수에 의해 각기 다른 부력으로 상, 하 유동되면서 관로상 공기를 배출시키는 플로트부(30); 상기 배럴(10)의 외주연에 연통설치되어, 배럴(10) 내에 유입된 원수를 배출하되, 배출되는 원수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출하는 배출관(50); 상기 배럴(10)의 외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면서 급속배출시키고,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 2여과배기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여과배기부(20)는 상기 배럴(10)의 내주연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밀착되는 판재형태의 수평부(21)와, 상기 수평부(21)에서 상광하협 형태로 직경이 감소되며 하향 연장되는 원추형의 연장부(22)로 이루어져, 공기의 배출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면서 급속배출시키되, 다수의 천공홀(H)이 형성되어 통과되는 공기 및 원수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하단 여과망(23); 상기 하단 여과망(23) 상면에서, 수평부(2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부착형성되어, 상기 플로트부(30)의 최하단이 지지되도록 하며, 중앙에 유입홀(24)이 천공형성되는 지지판(2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기 또는 원수는 하단 여과망(23)의 연장부(22)를 통해 여과된 후 지지판(25)의 유입홀(24)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거나, 상기 원추형의 연장부(22)에 의해 지지판(25)이 밀착되지 않은 수평부(21)의 테두리 부분측으로 가이드되어, 수평부(21)의 천공홀(H)을 거치며 여과된 후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여과배기부(60)는 상기 배럴(10)의 외부 상단에 이격되어 수평설치되는 수평판(61); 상기 수평판(61)을 배럴(10)의 상부에 이격설치하기 위해, 수평판(61)과 배럴(10)의 상단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체(62); 상기 수평판(61)의 저면에서 배럴(10)의 상단 입출공을 향해,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상광하협 형태의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유입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배럴(10)의 상단 입출공(12) 또는 수평판(61)과 배럴(10) 사이의 측면으로 가이드시켜 고속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63); 상기 연결체(62)와 연결체(62) 사이마다 직립으로 설치되어, 고속배출 또는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이 여과된 후 통과되도록 하는 상단 여과망(6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로트부(30)는 상기 상단 입출공(12)이 연통되는 제 1홀(32)이 천공형성되며, 제 1여과배기부(20) 내에서 유입되는 관로상 공기에 의해 상, 하 유동되는 충격완화 플로트(31);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의 하단에 배치되되, 상기 제 1홀(32)보다 직경이 작으면서 제 1홀(32)과 연통되는 제 2홀(34)이 천공형성되며, 제 1여과배기부(20) 내에서 유입되는 관로상 공기에 의해 상, 하 유동되는 상단 플로트(33); 상기 상단 플로트(33)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 1여과배기부(20) 내로 유입되는 관로상 원수에 의해 상, 하 유동되면서 제 2홀(34)이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하단 플로트(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100)는 관로(ex: 상수도관)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관로를 상호간 연결하는 'T'자형 연결관 상단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관에 제수밸브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 관로상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배럴(10), 제 1여과배기부(20), 플로트부(30), 배출관(50), 제 2여과배기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배럴(10)은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했을시, 상,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단면의 관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배럴(10)의 상, 하단에는 상, 하단 플랜지(11, 13)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럴(10)의 상단에는 상단 플랜지(11)의 개구된 상단 입출공(12)을 통해 공기 또는 원수(ex: 하수, 물)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럴(10)의 하단에는 하단 플랜지(13)의 개구된 하단 입출공(14)을 통해 관로 내 공기 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상기 배럴(10)은 관로 내 공기 또는 원수가 하단 입출공(14)을 통해 배럴(10) 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 후 상단 입출공(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형태이지만, 이는 관로 내의 원수가 빠지게 되어, 후술될 배럴(10) 내 다수의 플로트가 하강되며 배럴(10) 하단에 내려앉았을 시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상단 입출공(12)을 통해 흡입되어 하단 입출공(14)을 통해 관로내로 유입될 수 있음이다.
상기 제 1여과배기부(20)는 전술된 배럴(10)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될 제 2여과배기부(60)와 함께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면서, 배기방향을 가이드하여 배기속도를 증가시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내충격 완화 공기밸브'의 성능을 급속배기밸브와 비슷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한 제 1여과배기부(20)는 수평부(21)와 연장부(22)로 이루어지는 하단 여과망(23)과, 지지판(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21)는 원판의 판재 형성으로, 배럴(10)의 내부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설치되어, 테두리가 배럴(10)의 내주연에 밀착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연장부(22)는 수평부(21)의 중앙에서 배럴(10)의 하단으로 연장형성되며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부(21)의 중앙에서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로 직경이 점차 감소되며 하향 연장되는 원추형의 형상을 가지는것으로, 이러한 역 원추형의 형상에 의해, 하단에서 상단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경사진 연장부(22)의 외주연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상부로 속도가 증가되어 급속배출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수평부(21)와 연장부(22)로 이루어지는 하단 여과망(23) 자체는 다수의 천공홀(H)이 형성되어 통과되는 공기 및 원수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기능 또한 가지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25)은 하단 여과망(23)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판재로, 전술된 수평부(2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수평부(21)의 상면에 부착형성되어, 상기 플로트부(30)의 최하단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될 플로트부(30)의 하단 플로트(35), 상단 플로트(33), 충격완화 플로트(31)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지지판(25)은 중앙에 유입홀(24)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또는 원수)는 하단 여과망(23)의 연장부(22)를 통해 여과된 후 지지판(25)의 유입홀(24)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원추형의 연장부(22)에 의해 지지판(25)이 밀착되지 않은 수평부(21)의 테두리 부분측으로 가이드되어, 수평부(21)의 천공홀(H)을 거치며 여과된 후 플로트부(30)의 외측을 향해 통과되어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플로트부(30)는 전술된 배럴(10) 내에 적층되는 다수의 플로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작동 전 초기상태에서 다수의 플로트는 상기 배럴(10) 내 지지판(25)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올려진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플로트부(30)의 다수의 플로트는 각각 원형단면을 가지며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충격완화 플로트(31),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의 전체 길이의 합보다, 상기 배럴(10)의 길이가 더 길도록 하여, 상기 플로트부(30)가 공기 또는 원수 등에 의해 배럴(10) 내에서 상, 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단,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는 배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기에, 배럴(10)의 직경보다 작아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각각의 두께 및 무게는 동일한 재질이라 가정시 충격완화 플로트(31) < 상단 플로트(33) < 하단 플로트(35)의 순서가 되도록 하여, 충격완화 플로트(31),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의 부력크기가 차이 나도록 한다.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는 플로트부(30)를 이루는 3개의 플로트 중 최상단에 적층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 하로 관통된 제 1홀(32)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는 후술될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와 함께 배럴(10) 내에 하강되어 적층되어 있다가, 관로 내의 공기가 하단 입출공(14)에서 제 1여과배기부(20)를 거쳐 상단 입출공(12)을 통해 배출되다가, 관로 내의 배기 유속이 과속상태인 경우 또는 관로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고 원수가 유입됨에 따라 배럴(10) 내 공기압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배럴(10) 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이러한 배기 유속에 의해 하단 플로트(35)에서 이격되며 배럴(10) 내에서 상부로 들려 상승하게 되고, 상부로 들린 충격완화 플로트(31)는 배럴(10)의 상단 입출공(12)에 접촉되어 상단 입출공(12)을 막으면서, 상기 상단 입출공(1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1홀(32)을 통해서만 공기가 상단 입출공(12)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배기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이며, 상기 제 1홀(32)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충격완화 플로트(31)가 배럴(10)의 내부 상면과 부딪히는 충격이 완화되어 공기밸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단 플로트(33)는 전술된 충격완화 플로트(31)의 하단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충격완화 플로트(31)의 제 1홀(32)과 연통되는 제 2홀(34)을 중앙에 관통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 2홀(34)은 제 1홀(32)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단 플로트(33)는 배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배기속도가 충격완화 플로트(31)를 상부로 들어올린 후, 관로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고 원수가 유입됨에 따라 배럴(10) 내 공기압이 증가되는 경우, 상단 입출공(12) 측으로 상승되어 있는 충격완화 플로트(31)의 저면에 부착되도록 상승된다. (이때, 배럴(10) 내의 공기는 제 2홀(34)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는 상태가 된다.)이로써, 배기되는 공기는 충격완화 플로트(31)의 제 1홀(32)을 통해 상단 입출공(12)으로 배기가 되다가, 제 1홀(32)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의 제 2홀(34)을 통해 제 1홀(32)과 상단 입출공(12)으로 배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상기 상단 입출공(12), 제 1홀(32), 제 2홀(34)은 상호간 연통되는 형태를 가지게 되어, 공기의 배기속도가 다단의 형태로 감속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충격완화 플로트(31),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가 각각 순차적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다단으로 줄이면서 막아주게 되므로 배기속도가 감속된 후 닫히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공기의 배기속도를 감속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 공기밸브 내부에서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단 플로트(35)는 전술된 상단 플로트(33)의 하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공기의 배기속도가 증가함으로써 충격완화 플로트(31)가 상승하고, 이어 상단 플로트(33)까지 상승된 이후, 배럴(10) 내의 공기가 제 2홀(34), 제 1홀(32), 상단 입출공(12)을 순차적으로 거쳐 배기되고, 배럴(10) 내부에 유입되는 원수에 의해 하단 플로트(35)는 원수에 부유되면서 배럴(10) 내부에서 상승되어 상단 플로트(33)의 저면에 밀착되어, 제 2홀(34)을 밀폐시킴으로써 배기가 완료되도록 하고 원수가 공기 유동로(제 2홀(34), 제 1홀(32), 상단 입출공(12))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하단 플로트(35)는 저면 중앙에 내부로 파여지는 형태의 함몰부(36)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승되었던 하단 플로트(35)가 하강될 시, 제 1여과배기부(20)의 지지판(25)에 부딪히는 면적을 줄여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상단 플로트(33)의 저면에도 적용되어, 상단 플로트(33)의 저면에도 또 다른 함몰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제 2홀(34)은 이러한 함몰부까지 연장형성되어 하단 플로트(35)의 중앙에 접촉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음이다.
(또한,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의 저면 또는 상단 플로트(33)의 상면에는 패킹 등의 실링부재(S1)를 링 형태로 형성하여 충격완화 플로트(31)와 상단 플로트(33) 상호간의 접촉시 충격완화 및 실링(Sealing)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이며, 더불어, 충격완화 플로트(31)의 상면이 접촉되는 배럴(10)의 내부 상면에도 실링부재(S2)를 설치하고, 상단 플로트(33)의 제 2홀(34)과 접촉되는 하단 플로트(35)의 상면 중앙에도 패킹 등의 실링부재(S3)가 형성되도록 하여, 실링처리 및 충격완화 효과가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상기 실링부재라 함은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실리콘 등이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이다.)
상기 가이드바(40)는 전술된 배럴(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플로트부(30)를 이루며 배럴(10) 내에서 상, 하방향으로 각자 유동되는 충격완화 플로트(31), 상단 플로트(33), 하단 플로트(35)는 유입되는 공기 및 원수에 의해 상, 하로 유동시, 배럴(10)의 내부에서 좌, 우방향으로도 요동치거나 흔들리며 상승하게 되는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다수의 가이드바(40)를 배럴(10) 내주연과 플로트부(30)의 외주연 사이의 이격공간에 설치한 것으로, 다수의 가이드바(40)는 배럴(10)과 플로트부(30)의 이격공간 내에서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시켜 배럴(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물론, 이러한 다수의 가이드바(40)는 일단이 배럴(10)의 내주연 상단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거나, 또는 하단 또한 배럴(10) 내부의 제 1여과배기부(20) 외곽쪽에서 지지판(25)과 수평부(21)를 연속 관통하며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가이드바(40)의 길이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해질 수 있음이다.
상기 배출관(50)은 직립설치되는 전술된 배럴(10)의 외주연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연통되는 것으로, 관로의 공기 배출이 완료된 후, 배럴(10) 내에 유입된 원수를 빼내기 위해,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를 관로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관로와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제수밸브를 잠근 후, 상기 배럴(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50)을 개방함으로써, 배럴(10) 내 원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배출관(50)의 일단은 배럴(10)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체이며, 이러한 배출관(50)의 개폐 여부 및 개폐량 조절을 위해 제어밸브(ex: 볼 밸브, 51)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원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배출관(50)은 배럴(10)의 외주연 하단부에 연통설치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
또한, 이러한 배출관(50)의 내부에는 여과망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도록 하여, 배출되는 원수의 이물질이 여과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
상기 제 2여과배기부(60)는 전술된 배럴(10)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술된 제 1여과배기부(20)와 함께,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면서, 공기의 배출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면서 배출되는 속도를 증가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제 2여과배기부(60)는 수평판(61), 연결체(62), 가이드부(63), 상단 여과망(64)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판(61)은 상기 배럴(10)의 외측 상단부에 이격되어,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되는 판재로, 배출되는 공기가 곧바로 수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체(62)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전술된 수평판(61)을 고정하면서, 수평판(61)과 배럴(10) 외측 상면과의 이격거리를 형성함으로써, 후술될 가이드부(63)와 상단 여과망(64)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 너트 등으로 이루어져, 수평판(61)을 배럴(10)의 상단에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63)는 전술된 수평판(61)의 저면에서 배럴(10)의 상단 입출공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직경이 하단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원추형 구조를 가진다. 이로써, 유입출되는 공기는 그 방향이 원추형의 가이드부(63)에 의해 배럴(10)의 상단 입출공(12) 또는 수평판(61)과 배럴(10) 사이의 측면으로 가이드되고, 가이드되면서 고속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상단 여과망(64)은 다수의 연결체(62)와 연결체(62) 사이마다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속으로 배출 또는 유입되는 공기가, 내부의 이물질이 여과되면서 통과(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배럴 11: 상단 플랜지
12: 상단 입출공 13: 하단 플랜지
14: 하단 입출공 20: 제 1여과배기부
21: 수평부 22: 연장부
23: 하단 여과망 24: 유입홀
25: 지지판 30: 플로트부
31: 충격완화 플로트 32: 제 1홀
33: 상단 플로트 34: 제 2홀
35: 하단 플로트 36: 함몰부
40: 가이드바 50: 배출관
51: 제수밸브 60: 제 2여과배기부
61: 수평판 62: 연결체
63: 가이드부 64: 상단 여과망
H: 천공홀 S1, S2, S3: 실링부재

Claims (5)

  1. 상, 하단 입출공(12, 14)이 양단에 천공형성되어, 공기 및 원수가 유입출되는 배럴(10);
    상기 배럴(10)의 내부 저면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 및 원수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통과시키는 제 1여과배기부(20);
    상기 배럴(10)의 내부에서 제 1여과배기부(20)의 상단에 적층되는 다수의 플로트로 이루어지되, 하단 입출공(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또는 원수에 의해 각기 다른 부력으로 상, 하 유동되면서 관로상 공기를 배출시키는 플로트부(30);
    상기 배럴(10)의 외주연에 연통설치되어, 배럴(10) 내에 유입된 원수를 배출하되, 배출되는 원수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출하는 배출관(50);
    상기 배럴(10)의 외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면서 급속배출시키고, 배출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 2여과배기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여과배기부(20)는 배럴(10)의 내주연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밀착되는 판재형태의 수평부(21)와, 상기 수평부(21)에서 상광하협 형태로 직경이 감소되며 하향 연장되는 원추형의 연장부(22)로 이루어져, 공기의 배출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면서 급속배출시키되, 다수의 천공홀(H)이 형성되어 통과되는 공기 및 원수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하단 여과망(23)과, 상기 하단 여과망(23) 상면에서, 수평부(2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부착형성되어, 상기 플로트부(30)의 최하단이 지지되도록 하며, 중앙에 유입홀(24)이 천공형성되는 지지판(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공기 또는 원수는 하단 여과망(23)의 연장부(22)를 통해 여과된 후 지지판(25)의 유입홀(24)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거나, 상기 원추형의 연장부(22)에 의해 지지판(25)이 밀착되지 않은 수평부(21)의 테두리 부분측으로 가이드되어, 수평부(21)의 천공홀(H)을 거치며 여과된 후 통과되며,
    상기 제 2여과배기부(60)는 배럴(10)의 외부 상단에 이격되어 수평설치되는 수평판(61)과, 상기 수평판(61)을 배럴(10)의 상부에 이격설치하기 위해, 수평판(61)과 배럴(10)의 상단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체(62)와, 상기 수평판(61)의 저면에서 배럴(10)의 상단 입출공을 향해,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상광하협 형태의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유입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배럴(10)의 상단 입출공(12) 또는 수평판(61)과 배럴(10) 사이의 측면으로 가이드시켜 고속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63)와, 상기 연결체(62)와 연결체(62) 사이마다 직립으로 설치되어, 고속배출 또는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이 여과된 후 통과되도록 하는 상단 여과망(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플로트부(30)는 상단 입출공(12)이 연통되는 제 1홀(32)이 천공형성되며, 제 1여과배기부(20) 내에서 유입되는 관로상 공기에 의해 상, 하 유동되는 충격완화 플로트(31)와, 상기 충격완화 플로트(31)의 하단에 배치되되, 상기 제 1홀(32)보다 직경이 작으면서 제 1홀(32)과 연통되는 제 2홀(34)이 천공형성되며, 제 1여과배기부(20) 내에서 유입되는 관로상 공기에 의해 상, 하 유동되는 상단 플로트(33)와, 상기 상단 플로트(33)의 하단에 배치되어, 제 1여과배기부(20) 내로 유입되는 관로상 원수에 의해 상, 하 유동되면서 제 2홀(34)이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하단 플로트(35)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단 플로트(35)는 저면 중앙에 내부로 파여지는 형태의 함몰부(36)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승되었던 하단 플로트(35)가 하강될 시, 제 1여과배기부(20)의 지지판(25)에 부딪히는 면적을 줄여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59099A 2016-11-28 2016-11-28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KR101944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099A KR101944886B1 (ko) 2016-11-28 2016-11-28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099A KR101944886B1 (ko) 2016-11-28 2016-11-28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442A KR20180061442A (ko) 2018-06-08
KR101944886B1 true KR101944886B1 (ko) 2019-02-07

Family

ID=6259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099A KR101944886B1 (ko) 2016-11-28 2016-11-28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5373A1 (en) * 2018-09-25 2020-04-02 James Douglas Miller Air release valve
CN109529479A (zh) * 2019-01-09 2019-03-29 任丘市瑞华星水暖器材有限公司 一种排气阀的过滤网
AU2020400387A1 (en) * 2019-12-10 2022-06-23 University Of Pretoria Air valve
CN112323905A (zh) * 2020-10-29 2021-02-05 山东中锐供水设备有限公司 一种方便调整水流量的供水设备
CN113802644A (zh) * 2021-09-18 2021-12-17 蓝深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无负压稳流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21B1 (ko) * 2010-10-20 2011-05-25 (주) 삼진정밀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장치
KR101205418B1 (ko) * 2012-05-31 2012-11-27 (주) 삼진정밀 내충격 공기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21B1 (ko) * 2010-10-20 2011-05-25 (주) 삼진정밀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장치
KR101205418B1 (ko) * 2012-05-31 2012-11-27 (주) 삼진정밀 내충격 공기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442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886B1 (ko) 이물질 제거 및 수충격 완화용 공기밸브
JP5555160B2 (ja) セパレータータンク
US7790023B1 (en) Adjustable floating weir apparatus
JP2010534288A5 (ko)
MY149876A (en) A well fluid separator tank for separation of fluid comprising water, oil and gas, use of such a tank, and a method for separating a well fluid including water, oil, and gas.
CN102734176A (zh) 多级离心泵机组
KR101205418B1 (ko) 내충격 공기밸브
CN109622251A (zh) 一种管式分离器
KR200456808Y1 (ko) 공기밸브장치
CN105268265A (zh) 一种天然气立式气液分离器
JP6905586B2 (ja) 嫌気性浄化装置用の脱ガス装置
CN202215795U (zh) 放水器
CN106474830B (zh) 气固分离装置
KR101841621B1 (ko)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AU2014369702B2 (en) Method and wet scrubber for removing particles from gases
RU87100U1 (ru) Газожидкостный сепаратор
SE541197C2 (sv) Avluftningsanordning vid en reservoar för ett hydraulsystem
US8944256B2 (en) Filter
CN102574028A (zh) 用于将油和气体与水分离的分离罐
CN110902760A (zh) 污油水分离装置及油水分离器
CN207192857U (zh) 溶气气浮罐
JP5490589B2 (ja) 吸引回収装置
JPS6143592B2 (ko)
KR100734242B1 (ko) 에어 압력 해소용 급속 에어 밸브
CN214611668U (zh) 一种油水分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