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850B1 -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850B1
KR101204850B1 KR1020110028122A KR20110028122A KR101204850B1 KR 101204850 B1 KR101204850 B1 KR 101204850B1 KR 1020110028122 A KR1020110028122 A KR 1020110028122A KR 20110028122 A KR20110028122 A KR 20110028122A KR 101204850 B1 KR101204850 B1 KR 101204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metal
scrap
inventory
yard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335A (ko
Inventor
최홍열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85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0Obtaining an average product from stored bulk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의 재고량을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관리함으로써 재고실사를 위한 인력 손실을 막을 수 있으며, 재고측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고철 관리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고철 수급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STOCK OF SCRAP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의 재고량을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은 제강공정에서 고철을 주원료로 전기로에 장입하여 녹임으로써 용강을 제조한 후 탄소(C)와 규소(Si)를 제거함과 동시에 슬래그 개질 및 탈산을 행하게 되며, 전로조업에서 정련된 용강은 다음단계로 이차 정련공정인 진공탈가스설비(RH설비)나 LF(Ladle Furnace) 또는 BAP(Bubbling And Power injection)설비를 이용하여 성분을 미세조정하거나 용강 중 개재물을 제거하는 일련의 공정을 거친 후 연속 주조 공정을 통해 주편을 제조한다.
이차 정련공정, 즉 래들정련은 전극봉에 의해 용강을 승온시키고 생석회를 투입하여 용강을 탈황시키며, 알루미늄이나 합금철, 칼슘 와이어 등을 첨가하여 용강의 알루미늄, 망간, 칼슘 등의 성분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위에서 설명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의 재고량을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관리함으로써 재고측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고철 관리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고철 수급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는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을 촬영하는 카메라; 기준 재고량 및 고철에 대한 특성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고철의 적재형상 및 특성값을 통해 재고량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 재고량과 비교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특성값은 고철의 등급, 등급에 따른 비중,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의 등급별 혼합비율을 포함하는 것;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발생시킨 알람을 출력하기 위한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준 재고량 및 특성값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고철의 적재형상과 제어부에서 산출된 재고량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고철의 재고량 관리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고철의 영상을 입력받은 제어부에서 적재형상을 분석하여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 고철에 대한 특성값을 적용하여 산출된 부피에 대응되는 재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재고량과 기준 재고량을 비교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특성값은 고철의 등급, 등급에 따른 비중,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의 등급별 혼합비율을 포함하는 것;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의 재고량을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관리함으로써 재고실사를 위한 인력 손실을 막을 수 있으며, 재고측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고철 관리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고철 수급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를 통해 관리되는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의 재고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를 통해 관리되는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는 카메라(10), 입력부(20) 및 제어부(30)를 비롯하여 알람부(40), 표시부(50), 저장부(60)를 포함한다.
카메라(10)는 야적장별로 설치되어 해당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5)의 적재형상을 촬영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적장에 설치된 카메라(10)를 통해 적재된 고철(5)을 촬영하여 제어부(30)로 전송함으로 영상을 통해 고철(5)의 적재형상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20)는 야적장에 적재할 고철(5)의 기준 재고량 및 적재된 고철(5)의 특성값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고철(5)의 특성값은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5)의 등급, 등급에 따른 부피비중,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5)의 등급별 혼합비율을 포함한다.
즉, 고철(5)의 등급은 생철, 중량고철, 경량고철, 가공철, 선반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부피비중은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고철(5)의 적재형상을 통해 부피를 산출할 경우 등급과 부피비중을 통해 고철(5)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5)의 등급별 혼합비율은 야적장에 고철(5)을 적재할 때 등급이 다른 고철(5)을 혼합하여 적재할 경우 적재된 고철(5)의 등급별 혼합비율을 파악함으로써 정확한 고철(5)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30)는 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된 고철(5)의 적재형상 및 특성값을 기반으로 재고량을 산출하고 기준 재고량과 비교하여 알람을 발생시킨다.
즉, 제어부(30)는 카메라(10)로 촬영된 영상을 통해 고철(5)의 적재형상에 따른 부피를 산출하고, 적재된 고철(5)의 특성값에 따라 등급 및 부피비중을 적용하여 고철(5)의 무게를 산출한다. 또한, 야적장에 고철(5)을 등급별로 혼합하여 적재한 경우에는 혼합비율에 따라 무게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고철(5)의 무게를 산출함으로써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5)의 재고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산출된 재고량과 기준 재고량을 비교하여 재고량이 부족할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고철의 수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알람부(40)는 제어부(30)에서 재고량과 기준 재고량을 비교하여 재고량이 기준 재고량에 미치지 못할 경우 발생된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재고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50)는 제어부(30)에서 처리되는 상황을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처리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60)는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기준 재고량 및 고철(5)의 특성값과 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된 고철(5)의 적재형상과 제어부(30)에서 산출된 재고량을 저장한다.
저장부(60)에 저장된 고철(5)의 적재형상 및 산출된 재고량은 관리자에 의해 가공되어 고철(5)의 수급을 계획하는 자료로 제공될 수 있어 관리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에 따르면,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5)을 카메라(10)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해 고철(5)의 적재형상을 분석하여 고철(5)의 부피를 산출하고, 고철(5)의 등급에 따른 부피비중을 적용하여 고철(5)의 부피에 대응되는 고철(5)의 재고량을 산출함으로써 실시간적으로 재고량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준 재고량과의 비교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켜 수급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의 재고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의 재고량 관리 방법은 야적장별로 설치된 카메라(10)를 통해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5)을 촬영한다(S10).
이어서, 제어부(30)는 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고철(5)의 적재형상을 분석하여 가로, 세로, 높이를 측정하여 고철(5)의 부피를 산출한다(S20).
이후 고철(5)의 특성값을 적용하여 산출된 부피에 대응되는 고철(5)의 무게를 산출함으로써 고철(5)의 재고량을 산출한다(S30).
고철(5)의 특성값은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5)의 등급, 등급에 따른 부피비중,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5)의 등급별 혼합비율을 포함한다.
즉, 고철(5)의 등급은 생철, 중량고철, 경량고철, 가공철, 선반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부피비중은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고철(5)의 적재형상을 통해 부피를 산출할 경우 등급과 부피비중을 통해 고철(5)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5)의 등급별 혼합비율은 야적장에 고철(5)을 적재할 때 등급이 다른 고철(5)을 혼합하여 적재할 경우 적재된 고철(5)의 등급별 혼합비율을 파악함으로써 정확한 고철(5)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30)는 이렇게 산출된 재고량을 기준 재고량과 비교하여 부족할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수급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다(S40)(S50).
이와 같이 이루어진 고철의 재고량 관리 방법에 따르면,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5)을 카메라(10)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해 고철(5)의 적재형상을 분석하여 고철(5)의 부피를 산출하고, 고철(5)의 등급에 따른 부피비중을 적용하여 고철(5)의 부피에 대응되는 고철(5)의 재고량을 산출함으로써 실시간적으로 재고량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준 재고량과의 비교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켜 수급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5 : 고철 10 : 카메라
20 : 입력부 30 : 제어부
40 : 알람부 50 : 표시부
60 : 저장부

Claims (7)

  1.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을 촬영하는 카메라;
    기준 재고량 및 상기 고철에 대한 특성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고철의 적재형상 및 상기 특성값을 통해 재고량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 재고량과 비교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특성값은 상기 고철의 등급, 상기 등급에 따른 비중, 상기 야적장에 적재된 상기 고철의 등급별 혼합비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시킨 상기 알람을 출력하기 위한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기준 재고량 및 상기 특성값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고철의 적재형상과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상기 재고량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5. 삭제
  6. 카메라를 통해 야적장에 적재된 고철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상기 고철의 영상을 입력받은 제어부에서 적재형상을 분석하여 부피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고철에 대한 특성값을 적용하여 산출된 상기 부피에 대응되는 재고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재고량과 기준 재고량을 비교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특성값은 상기 고철의 등급, 상기 등급에 따른 비중, 상기 야적장에 적재된 상기 고철의 등급별 혼합비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의 재고량 관리 방법.
  7. 삭제
KR1020110028122A 2011-03-29 2011-03-29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204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122A KR101204850B1 (ko) 2011-03-29 2011-03-29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122A KR101204850B1 (ko) 2011-03-29 2011-03-29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335A KR20120110335A (ko) 2012-10-10
KR101204850B1 true KR101204850B1 (ko) 2012-11-26

Family

ID=4728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122A KR101204850B1 (ko) 2011-03-29 2011-03-29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8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914B1 (ko) * 2019-03-07 2019-08-28 (주)에코에이블 야적 철스크랩 재활용 안내 시스템
KR20210124662A (ko) * 2020-04-07 2021-10-15 최현석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
KR102572455B1 (ko) * 2023-04-19 2023-09-01 주식회사 예본스틸 이미지분석 기반의 혼합 고철 폐기물 무게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577303B1 (ko) * 2023-04-26 2023-09-14 주식회사 예본스틸 이미지분석 기반의 혼합 고철 폐기물 분류 및 거래비용 산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579B1 (ko) * 2019-11-14 2020-07-02 울산과학기술원 브레이크벌크화물 검수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CN115561775B (zh) * 2022-09-26 2023-08-08 武汉物易云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激光雷达的混合场景高精度货物管理方法及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914B1 (ko) * 2019-03-07 2019-08-28 (주)에코에이블 야적 철스크랩 재활용 안내 시스템
KR20210124662A (ko) * 2020-04-07 2021-10-15 최현석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
KR102462840B1 (ko) * 2020-04-07 2022-11-04 최현석 철근의 재고관리 시스템
KR102572455B1 (ko) * 2023-04-19 2023-09-01 주식회사 예본스틸 이미지분석 기반의 혼합 고철 폐기물 무게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577303B1 (ko) * 2023-04-26 2023-09-14 주식회사 예본스틸 이미지분석 기반의 혼합 고철 폐기물 분류 및 거래비용 산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335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850B1 (ko) 고철의 재고량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5523368B (zh) 一种翻车机全自动给料方法和系统
US10052684B2 (en) Monitoring method for a continuous casting mould including building up a database
JP6304693B2 (ja) 電気炉の稼働中に電極材料の消耗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9676106A (zh) 一种控制连铸结晶器液面波动的方法及装置
CN112317713B (zh) 一种连铸控制方法及系统
JP6764315B2 (ja) 電気炉の運転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気炉ならびに電気炉の運転制御方法
TW201832900A (zh) 鑄造設備之資訊顯示系統
JP2018193681A (ja) コンクリートの締め固め管理装置
CN114774617B (zh) 钢包底吹氩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6363149A (zh) 炼钢连铸钢水过程温度动态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6825852B (zh) 一种u肋内焊焊丝余量的控制方法及装置
US9439247B2 (en) Electrode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KR101327588B1 (ko) 플럭스 충전율 판정 장치, 플럭스 충전율 판정 방법, 플럭스 충전율 판정 시스템 및 플럭스 충전율 판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CN104122873B (zh) 一种炼钢工艺数据管理系统与方法
KR101504280B1 (ko) 전기로 용융 슬래그 중 산화철 함량 예측방법
CN110666147A (zh) 冶金钢包加砂口调整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08958325A (zh) Lf-rh工序钢水温度预控装置及方法
JP2013208645A (ja) 溶接管理装置、溶接管理方法、及び溶接管理プログラム
JP2016169436A (ja) スラグのフォーミング鎮静剤の投入方法および投入装置
CN112296297A (zh) 一种控制水口堵塞的方法及电子设备
TW201639971A (zh) 高爐高鋁渣流動性之控制方法
KR100946059B1 (ko) 연속주조기의 레들 쉬라우드노즐 침적상태 감시방법
KR101735960B1 (ko) 코일의 폭 데이터 변환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34977A (ko) 압연기의 판쏠림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