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811B1 - 컨텐츠 이용 시스템, 기록 장치, 재생 장치 및 시스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이용 시스템, 기록 장치, 재생 장치 및 시스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811B1
KR101204811B1 KR1020050110194A KR20050110194A KR101204811B1 KR 101204811 B1 KR101204811 B1 KR 101204811B1 KR 1020050110194 A KR1020050110194 A KR 1020050110194A KR 20050110194 A KR20050110194 A KR 20050110194A KR 101204811 B1 KR101204811 B1 KR 101204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reproduction
data
time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5405A (ko
Inventor
겐 이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5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1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A/V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하고 까다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사용자가 선호하는 새로운 정보를 휴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휴대 정보 단말은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제어 동작에 기초하여 HDD로부터 추출되며 하위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상위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이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며, 이 기록한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이용한다.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는 선호 데이터베이스와 방송 예정 정보에 기초하여, 튜너부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이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 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휴대 정보 단말로부터 공급되는 재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선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선국 지시 정보를 갱신한다.
컨텐츠 이용 시스템, 기록 장치, 휴대 재생 장치, 재생 이력 정보, 튜너부

Description

컨텐츠 이용 시스템, 기록 장치, 재생 장치 및 시스템 제어 방법{CONTENT USE SYSTEM,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SYSTEM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컨텐츠 이용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록 장치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재생 장치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휴대 정보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휴대 정보 단말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선호 데이터베이스(preference databas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기록 이력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타임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재생 상황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 차트이다.
도 12는 휴대 정보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태스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 101A, 101B, 101C: 방송 수신 안테나, 102: 튜너부, 102A: 디지털 튜너, 102: 아날로그 텔레비전 튜너, 102C: 라디오 튜너, 103: 전환 회로, 104: 음성 처리부, 105: 음성 인코더, 106: 영상 처리부, 107: 영상 인코더, 110: 다중화/역다중화 회로, 121: 음성 디코더, 122: 출력 음성 처리부, 123: 음성 출력 단자, 124: 영상 디코더, 125: 출력 영상 처리부, 126: 영상 출력 단자, 130: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131: 통신 인터페이스, 132: 접속 단자, 133: 하위 장치 인터페이스, 134: 단자, 140: 제어부, 141: CPU, 142: ROM, 143: RAM, 144: EEPROM, 145: CPU 버스 145, 160: 클록 회로, 170: 조작 제어부, 200: 휴대 정보 단말, 201: 접속 단, 202: 상위 장치 인터페이스, 203: 데이터 처리부, 204: 플래시 메모리, 211: 영상 디코더, 212: 영상 처리부, 213: LCD, 214: 음성 디코더, 215: 음성 처리부, 216: 스피커, 220: 제어부, 220, 221: CPU, 222: ROM, 223: RAM, 224: EEPROM, 225: CPU 버스
본 발명은 하드 디스크 등의 대용량 기록 매체를 구비한 기록 장치와 휴대 정보 단말 등의 컨텐츠 재생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컨텐츠 이용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록 장치, 재생 장치 및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HDD(Hard Disk Drive)의 대용량화가 진행되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방송, CD(Compact Disc) 등의 미디어로부터 대량의 데이터를 HDD에 기록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은 대용량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기록 장치에서는, 방송이나 인터넷에 의해 제공되는 EPG(Electric Program Guide: 전자 프로그램 안내)에 포함되는 정보를 이용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컨텐츠)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기능을 제공한다.
HDD에 대하여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HDD는 가지고 다니기에는 부피가 너무 크다. 그러므로, HDD에 기록된 컨텐츠 중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부분만을 소형의 기록 매체로 옮기고, 이러한 소형의 기록 매체용의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집 밖이나 사무실 등의 외부에서 그 옮겨온 컨텐츠 부분을 이용하고 있다.
일본특허출원 JP2004-046959호 공보에는, HDD에 기록된 음악 컨텐츠에 대하여, 등화 처리, 잔향 처리(reverb process), 에코 처리, 노이즈 부가 처리 및/또는 그외 다른 처리를 수행한 다음, 이 음악 컨텐츠를 압축하고, 압축된 음악 컨텐츠를 HDD에 기록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HDD에 기록되는 음악 컨텐츠를 MD(Mini Disc(등록상표))라 불리는 소형의 광자기 디스크로 옮기고, 이것 을 MD의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여, 항상 원하는 상태에서 음악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본특허출원 JP2004-046959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특별한 조정을 행하지 않고서도, HDD로부터 MD로 옮긴 음악 컨텐츠를 항상 자신의 취향에 맞는 상태에서, MD의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여 향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HDD에 대량으로 기억 유지(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각종의 컨텐츠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여러 가지 고려되고 있다.
MD, 기록 가능한 CD, 및 이와 유사한 다른 기록 매체 외에도,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는, 이른바 메모리 카드 등을 기록매체로서 사용하는 재생 장치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는 HDD에 비하면 그 용량이 작아서, HDD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컨텐츠를 메모리에 기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HDD에 기록된 대량의 컨텐츠 중에서, 원하는 컨텐츠 부분만을 반도체 메모리가 이용된 메모리 카드로 옮겨서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옮긴 컨텐츠를 변경하는 것은 복잡하고 까다롭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텐츠를 변경하지 않고 동일한 컨텐츠를 반복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된다.
즉, 사용자는 HDD를 이용하는 기록 장치에 대량의 컨텐츠를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이러한 대용량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장소는 기록 장치가 위치하는 장소(예컨대, 집)이다. 사용자가 HDD에 축적한 컨텐츠를 야외 등에서 이용 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컨텐츠 부분을 적은 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등에 옮겨야 한다.
사용자가 대량으로 컨텐츠를 보존하고자 생각하는 것은, 실제로 기록된 컨텐츠(정보량)가 많은 것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컨텐츠(정보)가 반복되지 않는 것을 원하고 있으며, 이 의미는 용량이 적은 메모리 카드를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재생 장치에서도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컨텐츠의 전부를 이용하기 전이나 그 직후에 컨텐츠가 갱신되면, 대량으로 컨텐츠를 보존하는 경우와 동일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경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HDD 또는 그외 다른 대용량의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기록 장치와, 휴대용의 정보 단말기 등과 같은 재생 장치를 조합하며, 이용 가능한 대용량의 정보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복잡한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계속해서 갱신을 행하면서 원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2004년 11월 17일에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JP2004-332761에 관련된 발명의 대상을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장치 및 이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휴 대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기록 장치는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휴대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이력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재생 이력 정보 취득 수단; 재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된 컨텐츠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는 컨텐츠 데이터 추출 수단; 및 추출된 컨텐츠 데이터를 휴대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 데이터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휴대 재생 장치는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 취득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에 기초하여 재생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이력 정보 생성 수단; 및 생성된 재생 이력 정보를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재생 이력 정보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억된 컨텐츠 데이터를 휴대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이 기록 장치는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휴대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이력 정보를 취득하는 재생 이력 정보 취득 수단; 재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된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는 컨텐츠 데이터 추출 수단; 및 추출한 컨텐츠 데이터를 휴대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 데이터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휴대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이 휴대 재생 장치는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에 기초하여 재생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이력 정보 생성 수단; 및 생성된 재생 이력 정보를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재생 이력 정보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이 휴대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은 재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장치로부터 추출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록 장치와,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휴대 재생 장치를 구비하는 컨텐츠 이용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시스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 제공 방법은, 기록 장치로 하여금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 기록 장치로 하여금 휴대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이력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는 단계; 기록 장치로 하여금 재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된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하는 단계; 기록 장치로 하여금 추출한 컨텐츠 데이터를 휴대 재생 장치에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휴대 재생 장치로 하여금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하는 단계; 휴대 재생 장치로 하여금 취득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에 기초하여 재생 이력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휴대 재생 장치로 하여금 생성된 재생 이력 정보를 기록 장치에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선호하는 컨텐츠를 자동으로 기억시킬 수 있고, 이용 스타일을 하위 장치에 해당하는 재생 장치에 부합시키는 최신의 컨텐츠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하위 장치로서의 재생 장치를 통해 전송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목적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기록되지만, 이용 가능한 제한된 시간에 의해 시청이 불가능한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목적으로 하는 컨텐츠를,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재생 장치에 적절하게 전송할 수 있으며, 이 전송된 컨텐츠를 재생 장치를 통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의 개요]
도 1은 본 실시예의 컨텐츠 이용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컨텐츠 이용 시스템 및 시스템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시스템에 적용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상위 장치(parent apparatus)에 해당하는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와, 하위 장치(child apparatus)에 해당하는 휴대 정보 단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는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장치는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적용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는 크레이들(300)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접속된다. 휴대 정보 단말(200)이 크레이들(300)에 설치(배치)되면,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하위 장치 접속단(connection end)이 휴대 정보 단말(200)의 상위 장치 접속단에 접속된다. 또한,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와 휴대 정보 단말(200) 사이에서,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크레이들(300)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는 방송 신호 튜너를 포함하며, 선호 데이터베이스(preference database) 정보와 프로그램 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수신하여 선국(선택)하고, 이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하드 디스크에 기록(저장)할 수 있다. 선호 데이터베이스 정보는 재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갱신되며, 휴대 정보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튜닝 명령 정보로서 이용된다. 프로그램 표 데이터는 EPG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 예정 정보로서 이용된다.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는 휴대 정보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재생 이력 정보를 해석한다.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는 스타일 데이터베이스(style database)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타일 데이터베이스 정보는 휴대 정보 단말(200)의 이용 형태를 나타내며, 하드 디스크에 저장되는 방송 프로그램 중에서 생성된 스타일 데이터베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될 가능성이 높은 방송 프로그램을 휴대 정보 단말(200)에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휴대 정보 단말(200)은 컨텐츠를 재생하여 이용할 때마다 컨텐츠의 이용 이력을 생성하여 유지하고, 이것을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와 휴대 정보 단말(2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은, 휴대 정보 단말(200)이 크레이들(300)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자동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의 사용자는 복잡하고 까다로운 조작을 행하지 않고서도, 선호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선국하여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고, 필요한 방송 프로그램을 휴대 정보 단말(200)의 메모리로 옮겨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의 구성]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는, 디지털 튜너(102A), 아날로그 텔레비전 튜너(102B), 라디오 튜너(102C)를 포함하여 입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튜너부(102)를 포함한다. 이들 각 튜너에는 방송 수신 안테나(101A, 101B, 101C)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텔레비전 튜너(102B) 및 라디오 튜너(102C)에는, 전환 회로(103), 음성 처리부(104), 음성 인코더(105), 영상 처리부(106), 및 영상 인코더(107)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출력 시스템으로서,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는 음성 디코더(121), 출력 음성 처리부(122), 음성 출력 단자(123), 영상 디코더(124), 출력 영상 처리부(125), 및 영상 출력 단자(12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는 데이터의 다중화/역다중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다중화/역다중화(multiplexing/demultiplexing) 회로(110)를 포함하고, 기억 용량이 250 메가바이트 이상인 하드 디스크를 구비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30)를 포함하고 있다.
입출력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는 인터넷이나 그외 다른 광대역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131) 및 접속 단자(132)와, 하위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하위 장치(child apparatus) 인터페이스(133) 및 단자(13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는 본 실시예에 따라 여러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141), 판독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142),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143), 전기적 소거 가능하고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144)가, CPU 버스(145)를 통해 접속되어 구성된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또, 이 제어부(140)에는 현재 시각을 제공하고, 소정 기간의 계측(카운트)이 가능한 클록 회로(타이머)(160)와, 각종의 조작 키, 조작 스위치, 조작 손잡이 등을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의 각종의 조작 입력(지시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 제어부(170)가 접속되어 있다.
[기록시의 동작에 대하여]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의 기록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튜너부(102)는 3개의 상이한 방송파를 수신하여 선국하기 위하여, 3개의 튜너부를 가진다. 이들 3개의 튜너 중에서 하나가, 조작 제어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이나 후술하는 선호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에 따른 제어부 (140)의 제어에 의해 선택된다.
[디지털 튜너를 이용하는 경우]
먼저, 디지털 튜너(102A)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 튜너부(102A)는 디지털 BS/CS 튜너로서, BS 디지털 방송 신호 및 CS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선국할 수 있는 것이다.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용의 튜너부를 설치함으로써,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대하여도 수신하여 선국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선국하기 위해 수행되는 처리 동작은, BS 디지털 방송 신호나 CS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선국하는 경우와 대략 동일한 처리가 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성으로부터 수신 안테나(101A)에 의해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는 디지털 튜너(102A)에 공급된다. 디지털 튜너(102A)가 제어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사용자로부터의 선국 지시(tuning instruction)에 기초한 선국 제어 신호에 의하여, 목적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선국하고, 이 수신 및 선국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에 공급한다.
디지털 방송 신호는 프로그램 전송 경로로서 기능하는 채널마다,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라고 하는 선국 정보나, 전자 프로그램 안내표를 형성하기 위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데이터 등의 각종의 제어 데이터와 함께,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그 외의 각종의 데이터가 패킷화되고 다중화되어 송신된다. 다시 말해서, 디지털 방송 신호는 트 랜스포트 스트림(TS: Transport Stream) 신호의 형식으로 송신된다.
각 패킷에는 식별자(ID)가 부가되어 있고, 이 식별자에 의하여, PSI 데이터 및 EPG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 패킷이나 음성 패킷을 추출할 수 있다.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는 디지털 튜너(102A)로부터 공급되는 TS 신호에서 PSI 및 EPG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추출한 데이터를 제어부(140)에 공급하여, 프로그램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는 전자 프로그램 안내표를 형성하여, 이것을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표시하도록 출력하고, 전자 프로그램 안내표를 통해서 프로그램 선택이나 녹화 예약 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는, 선택된 프로그램의 기록을 지시받은 경우, 디지털 튜너(102A)로부터 공급되는 TS 신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영상 패킷 및 음성 패킷을 추출하여, 추출한 패킷과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새로운 TS 신호를 형성하고, 이것을 HDD(130)에 공급하여 하드 디스크에 기록한다.
이와 동시에,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는 디지털 튜너(102A)로부터의 공급되는 TS 신호에서 추출되는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비디오 패킷으로부터 영상 기본 스트림(ES: Elementary Stream)을 형성하고, 이 영상 ES를 영상 디코더(124)에 공급한다. 또한,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는 음성 패킷으로부터 음성 기본 스트림(ES: Elementary Stream)을 형성하여, 이것을 음성 디코더(121)에 공급한다.
음성 디코더(121)는 공급되는 음성 ES를 복호화 처리하고, 기저대역의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기저대역의 음성 데이터를 출력 음성 처리부(122)에 공급한다. 영상 디코더(124)는 공급되는 영상 ES를 복호화 처리하여, 기저대역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것을 출력 영상 처리부(125)에 공급한다.
그리고, 음성 ES와 영상 ES는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고, 음성 디코드(121), 영상 디코더(124)에서 MPEG 방식으로 복호화 처리를 행하게 된다.
출력 영상 처리부(125)는 영상 디코더(124)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와 후술하는 영상 처리부(106)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를 전환하고, 화면 합성, 필터링 처리, 및 그외 다른 처리 등을 행하며, 처리 후의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것을 영상 신호 출력 단자(126)를 통해 외부의 모니터 표시 장치 등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출력 영상 처리부(125)의 후단에 OSD(On Screen Display) 처리부를 설치하고, 화면 표시용의 그래픽스 및 문자 데이터의 생성을 행하고, 생성한 그래픽스나 텍스트 데이터를 OSD 처리부에 공급된 영상 데이터 상에 중첩하여, 제한된 영역 내에 표시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출력 형식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출력 음성 처리부(122)에서는, 음성 디코더(121)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와 음성 처리부(104)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를 전환하고, 필터링 처리, 페이드 처리, 대화 속도 변환 처리 등을 행하여, 처리 후의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 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며, 이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 출력 단자(123)를 통해 외부 스피커 등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서는, 디지털 튜너(102A)를 통해서 수신하고 선국한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것을 HDD(130)의 하드 디스크에 기록한다. 이와 동시에, 아날로그 영상 신호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형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송 신호의 형태로서 제공되는,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HDD(130)의 하드 디스크에 기록하면서, 그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에서 새롭게 형성하도록 한 TS 신호를,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인터페이스 회로 또는 디지털 입출력 단자를 통해서 다른 기기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반대로, 예를 들면 외부 기기 등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디지털 신호를 받아들여 이것을 HDD(130)의 하드 디스크에 기록하거나, 아날로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형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텔레비전 튜너 또는 라디오 튜너를 이용하는 경우]
텔레비전 튜너(102B) 또는 라디오 튜너(102C)를 통해서, 아날로그 신호의 입력을 받아들여, 이것을 하드 디스크(318)에 기록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로서 출력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텔레비전 튜너(102B)는 지상파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선국하고, 복조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취득하며, 이들을 입력 전환 회로(103)에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라디오 튜너(102C)는 AM 라디오 방송 신호 또는 FM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선국하고, 복조하여 전환 회로(103)에 공급한다.
입력 전환 회로(103)는, 제어부(1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목적으로 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입력 전환 회로(103)는 텔레비전 튜너(102B)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 및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출력과, 라디오 튜너(102C)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출력을 전환한다. 아날로그 음성 입력 단자 및 아날로그 영상 입력 단자가 설치되면, 이들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 전환 회로(103)에 공급하여, 전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외부의 아날로그 입력에도 대응할 수 있다.
입력 전환 회로(103)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음성 처리부(104)에 공급된다. 음성 처리부(104)는 공급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음성 데이터)로 변환된 후, 음성 인코더(105)에 공급한다. 음성 인코더(105)는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를 MPEG 데이터 압축 방식, 또는 그외 다른 소정의 데이터 압축 방식에 기초하여 데이터 압축 처리하고, 음성 ES를 형성하여, 이것을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에 공급한다.
한편, 전환 회로(103)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영상 처리부(106)에 공급된다. 영상 처리부(106)는 공급되는 영상 신호를 YC 분리 처리, 즉 휘도 신호 Y와 색차 신호 C로 분리하고, 이들 신호에 대하여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 크로마(chroma) 디코드 등의 처리를 가하고, 이들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 컴 퍼넌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06)는 프리필터링(prefiltering) 등의 각종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 후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 인코더(107)와 출력 영상 처리부(125)에 공급한다.
영상 처리부(106)는, 공급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동기 분리하여 얻은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필드 판별 신호에 기초하여, 각 회로 블록에 필요한 타이밍을 제공하는 클록 신호, 및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각 회로 블록에 공급한다.
영상 인코더(107)는 영상 처리부(106)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에 블록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이산 코사인 변환) 등의 부호화 처리를 가하여, 영상 ES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영상 ES를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에 공급한다.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는, 기록시에 음성 인코더(105)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ES, 영상 인코더(107)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ES, 및 각종 제어 신호에 대하여 다중화 처리를 수행한다. 즉, 기록시에 있어서,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는 MPEG 음성 ES, MPEG 영상 ES, 및 각종 제어 신호에 대하여 다중화 처리를 가하여, MPEG 시스템의 TS 신호 등을 생성한다. 생성된 TS 신호는 HDD(130)의 하드 디스크에 기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처리부(104)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는 음성 인코더(105)에 공급되고, 출력 음성 처리부(122)에도 공급된다. 또, 영상 처리부(106)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는 영상 인코더(107)에 공급되고, 출력 영상 처리부(125)에도 공급된다.
출력 음성 처리부(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를 D/A 변환함으로써, 출력용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여, 출력한다. 출력 영상 처리부(1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용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형성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텔레비전 튜너(102B) 또는 라디오 튜너(102C)를 통해서 공급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기록 매체(318)에 기록하는 처리와 병행하여, 기록 대상이 되는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텔레비전 튜너(102B) 또는 라디오 튜너(102C)를 통해서 취득한 신호로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드 디스크(318)로부터의 재생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가 HDD(130)의 하드 디스크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HDD(130)의 하드 디스크로부터 재생하려고 하는, 목적으로 하는 TS 신호가 판독된다. 이 판독된 TS 신호가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에 공급된다.
재생시에 있어서,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는 HDD(130)의 하드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TS 신호로부터, 영상 ES 및 음성 ES의 분리 처리를 행하고, 분리한 음성 ES를 음성 디코더(121)에 공급하고, 영상 ES를 영상 디코더(124)에 공급한다.
음성 디코더(121) 이후의 처리, 및 영상 디코더(124) 이후의 처리는, 디지털 튜너(102A)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의 처리와 동일하다. 더 상세하게 말하면, 음성 디코더(121)에 공급되는 음성 ES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형성되어 출력되고, 영상 디코더(124)에 공급되는 영상 ES로부터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형성되어 출력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123) 및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단자(126)에 후속하여 접속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TV) 세트를 통해서, HDD(130)의 하드 디스크로부터 판독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고, 이것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HDD(130)의 하드 디스크로부터 판독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HDD(130)의 하드 디스크로부터 판독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하위 장치 인터페이스(133)를 통해서, 크레이들(300)에 접속된 하위 장치(200)에 공급하고, 하위 장치(200)의 메모리에 기록하여,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하위 장치(200)에서 재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통신 접속 단자 및 통신 인터페이스의 이용]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는 통신 인터페이스(131) 및 통신 접속 단자(132)를 구비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31) 및 통신 접속 단자(132)는 전화 회선 등을 경유하여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그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종의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각종의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전 송할 수 있다.
송수신되는 여러 가지 데이터로서는,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외에, 각종의 프로그램이나 텍스트 데이터 등도 포함된다.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를 통해 HDD(130)에 기록될 수 있다.
다중화/역다중화 회로(110)와, 음성 디코더(121), 출력 음성 처리부(123), 및 오디오 출력 단자(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디오 신호 재생 시스템과, 영상 디코더(124), 출력 영상 처리부(125), 비디오 출력 단자(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 신호 재생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취득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고, 이들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통신 인터페이스(131) 및 통신 접속 단자(132)를 통해서 취득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나 제어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어, 이것을 EEPROM(144) 등에 기록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EPG 데이터를 미리 취득하여, 전자 프로그램 안내표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MPEG 방식의 압축을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압축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영 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비압축인 채로 처리할 수도 있다.
[휴대 정보 단말의 구성]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휴대 정보 단말(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장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에 적용한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2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크레이들(300)을 통해서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201), 상위 장치에의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상위 장치 인터페이스(202), 데이터 처리부(203), 및 플래시 메모리(204)를 구비하고 있다.
또, 휴대 정보 단말(200)은 영상 디코더(211), 영상 처리부(212),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영상 재생 시스템과, 음성 디코더(214), 음성 처리부(215), 및 스피커(2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성 재생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또, 휴대 정보 단말(200)은 이 단말의 각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제어부(220)는 CPU(221), ROM(222), RAM(223), EEPROM(224)이 CPU 버스(225)를 통해서 접속되어 구성된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ROM(222)에는 CPU(2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RAM(223)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할 때에, 주로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EEPROM(224)은, 이른바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휴대 정보 단말(200)의 전원이 차단된 후에도 유지하여야 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더 상세하 게 말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EEPROM(224)은 재생 이력 정보나 각종의 파라미터 등을 기억 유지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0)에는, 현재의 날짜(연월일) 및 현재의 시각을 제공하는 클록 회로(230)가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각종의 조작 제어키를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제어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 제어부(24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조작 제어부(240)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제어 입력을 받아들이고, 이것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2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220)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휴대 정보 단말(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정보 단말(200)은 크레이들(300)에 설치됨으로써, 접속단(201)을 통해서 상위 장치에 해당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접속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휴대 정보 단말(200)이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접속되면, 서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각종의 데이터는, 접속단(201)을 통해서 상위 장치 인터페이스(202)에 공급된다.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는 상위 장치 인터페이스(202)에 의해 변환되어, 휴대 정보 단말(200)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된다. 그리고, 상위 장치 인터페이스(202)는 요구 데이터 등의 각종의 제어 데이터 등을 제어부(220)에 공급하고,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며 TS 신호의 형식으로 된 컨텐츠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부(203)에 공급한다.
제어부(220)는 상위 장치 인터페이스(202)를 통해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 처리부(203)는 상위 장치 인터페이스(202)를 통해서 공급되는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로부터의 컨텐츠 데이터를, 제어부(220)의 제어에 기초하여, 플래시 메모리(204)에 기록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이것을 플래시 메모리(204)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조작 제어부(2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지시를 받으면, 데이터 처리부(203)를 제어하고, 플래시 메모리(204)로부터 재생이 요구된 컨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며, 이 판독한 컨텐츠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며, 영상 데이터를 영상 디코더(211)에 공급하고, 음성 데이터를 음성 디코더(214)에 공급한다.
영상 디코더(211)는 소정의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해당 방식에 따라 복호화 처리하고, 데이터 압축 이전의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여, 이것을 영상 처리부(212)에 공급한다. 영상 처리부(212)는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LCD(213)에 공급하기 위한 형식의 영상 신호를 형성하여, 이것을 LCD(213)에 공급한다. 이로써, 플래시 메모리(204)로부터 판독된 컨텐츠 데이터의 영상 데이터에 따른 이미지를 LCD(213)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음성 디코더(214)는 소정의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해당 방식에 따라 복호화 처리하고, 데이터 압축 이전의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여, 이것을 음성 처리부(215)에 공급한다. 음성 처리부(215)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스피커(216)에 공급하기 위한 형식의 음성 신호를 형성하여, 이것을 스피커(216)에 공급한다. 이로써, 플래시 메모리(204)로부터 판독된 컨텐츠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에 따른 음성을 스피커(216)로부터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200)의 제어부(220)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때마다, 어느 컨텐츠 데이터를 언제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이용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나, 컨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경우에 삭제 시각을 나타내는 로그 데이터 등으로 구성되는 재생 이력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204) 또는 EEPROM(224)에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 경우의 시각 정보는 제어부(220)가 클록 회로(230)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200)은 크레이들(300)에 설치되어, 상위 장치로서의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접속된 경우에, 재생 이력 정보를 상위 장치 인터페이스(202) 및 접속단(201)을 통해서 상위 장치로서의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위 장치로서의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는 하위 장치로서의 휴대 정보 단말(200)로부터 재생 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이것을 해석함으로써, 선국 지시 정보로서의 선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휴대 정보 단말(100)의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자동으로 녹화 및 녹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사용자의 휴대 정보 단말 및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 스타일을 예측함으 로써 스타일 데이터베이스(style database)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휴대 정보 단말(200)에 송신해야 할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며, 이것을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의 정보와 휴대 정보 단말의 정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시스템에 있어서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이나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등의 대량의 컨텐츠 데이터를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에 기억 유지하고, 이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하도록 하여, 각종의 컨텐츠 데이터를 휴대 정보 단말(200)을 통해서 이용하도록 한다.
즉, 컨텐츠 데이터를 대량으로 기억 유지하는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서도, 하위 장치로서의 휴대 정보 단말을 통해서, 언제 어디서라도 목적으로 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사용자를 번거롭게 하지 않으면서,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본 실시예의 컨텐츠 이용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리고, 사용자를 번거롭게 하지 않으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의 이용 환경을 구축하고 있으므로,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이나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등의 컨텐츠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신 및 선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는 하위 장치에 해당하는 휴대 정보 단말의 이용 상태를 파악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고서도, 휴대 정보 단말 (200)을 통해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로부터 추출하고,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하여 휴대 정보 단말(200)의 플래시 메모리(204)에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하드 디스크와 휴대 정보 단말(200)의 메모리에는 각종의 데이터베이스와 이력 정보를 기억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4는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있는 HDD(130)의 하드 디스크에 형성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하위 장치에 해당하는 휴대 정보 단말(200)의 메모리에 기억 유지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HDD(13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호 데이터베이스(1), 기록 이력 데이터(2), 스타일 데이터베이스(3), 및 프로그램 표 데이터(4)가 형성된다. 스타일 데이터베이스(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임 데이터베이스(31)와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이나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등의 컨텐츠 데이터가, 데이터 1, 데이터 2, 데이터 3,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로서 기록 유지된다. 도 4에 있어서, "데이터 1.video"는 "데이터 1"이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등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이며, "데이터 7.audio"는 "데이터 7"이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등의 음성 데이터만으로 이 루어지는 컨텐츠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컨텐츠 데이터가 하위 장치에 해당하는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제공된다.
선호 데이터베이스(1)는 선국 지시 정보(tuning instruction information)를 기억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사용자의 컨텐츠에 관한 기호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 유지한다. 기록 이력 데이터(2)는 HDD(130)에 기록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상세 정보를 기록 유지하는 것이며, HDD(130)에 기억 유지된 컨텐츠 데이터의 일람 리스트의 역할을 한다. 스타일 데이터베이스(3)는 휴대 정보 단말(200)의 이용 스타일 등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정보(이용 스타일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 유지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표 데이터(4)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다중화되어 제공되는 EPG 데이터,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다중화되어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 표 데이터, 라디오 방송 신호에 다중화되어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 표 데이터, 또는 인터넷을 통해서 취득하는 방송 프로그램 표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작성된다. 프로그램 표 데이터(4)는 수주일 분량의 각종의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예정(방송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는 동시에, 방송 프로그램의 각각에 대하여, 장르, 프로그램명, 출연자, 간단한 프로그램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 등도 포함한다.
한편, 하위 장치에 해당하는 휴대 정보 단말(200)의 메모리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200)의 플래시 메모리(204)에, 재생 상황 데이터(11), 삭제 이력 데이터(12), 및 상위 장치에 해당하는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이나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등의 컨텐츠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 컨텐츠 데이터는 데이터 1, 데이터 2, 데이터 3,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로서 기록 유지된다.
재생 상황 데이터(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정보 단말(200)에서의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삭제 이력 데이터(12)는 불필요하게 된 컨텐츠 데이터를 삭제하고 경우에, 삭제한 컨텐츠 데이터의 파일 이름과 삭제 시각을 기록하는데 이용된다.
도 5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1.video"는 "데이터 1"이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등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이며, "데이터 7.audio"는 "데이터 7"이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등의 음성 데이터만으로 이루어지는 컨텐츠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HDD(130)에 형성되는 각 데이터베이스 및 기록 이력 데이터의 내용이나 기능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정보 단말(200)의 플래시 메모리(204)에 형성되는 재생 상황 데이터의 내용이나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호 데이터베이스(1)]
먼저,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HDD(130)에 형성되는 선호 데이터베이스(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선호 데이터베이스(1)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선호 데이터베이스(1)는 사용자가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기호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장르, 프로그램명, 출연자, 키워드 1, 키워드 2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 유지하는 것 이다.
여기서, 장르는 컨텐츠의 장르를 나타낸 것으로서, 드라마, 스포츠, 뉴스, 버라이어티, 애니메이션, 영화 등과 같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프로그램명은 방송 컨텐츠의 프로그램 이름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사용자가 매회 시청하고 있는 연속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 등, 사용자가 선호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 출연자는 방송 프로그램의 출연자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출연자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키워드 1 및 키워드 2는, 예를 들면 "라면", "도예" 등과 같이 사용자의 기호나 취미 등에 관련되는 서술 정보이다.
따라서, 선호 데이터베이스(1)에 어떤 정보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는 장르, 프로그램명, 출연자, 키워드 1, 키워드 2 등의 정보를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조작 제어부(170)를 통해서 입력함으로써, 자신의 선호도를 등록할 수 있다. 또,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의 EPG, 프로그램 표 정보, 문자 다중 정보 등의 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로부터 장르, 프로그램명, 출연자, 키워드 등의 정보를 추출하고, 이것을 선호 데이터베이스(1)에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선호 데이터베이스(1)의 내용은, 후술 하지만, 휴대 정보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의 재생 상황 데이터(11)에 기초하여, 갱신이 가능하다.
선호 데이터베이스(1)에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프로그램 표 등의 프로그램 표 데이터(4)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방송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수신 및 선국하고, 이것을 HDD(130)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선호 데이터베이스(1)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장르가 "드라마"이고, 프로그램명이 "YYYY"이며, 출연자가 "XXX---"인 방송 프로그램이나, 장르가 "스포츠"이고, 키워드가 "BASEBALL" 또는 "야구"인 방송 프로그램이나, 장르가 "뉴스"이고, 프로그램명이 "뉴스 XXX"인 방송 프로그램이나, 장르가 "뉴스"이고, 프로그램명이 "뉴스 YY"인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지시를 기다릴 필요 없이, 자동으로 HDD(130)에 녹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로그램 표 데이터(4)의 정보를 선호 데이터베이스(1)의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한 경우에, 프로그램 표 데이터(4)의 정보에 있어서, 장르가 "스포츠"인 경우라도, 선호 데이터베이스(1)에 등록된 키워드인 "야구"이외의, 예를 들면 축구나 골프 등의 방송 프로그램은 녹화되지 않는다.
또, 프로그램 표 데이터(4)의 정보에 있어서, 장르가 "뉴스" 프로그램인 경우라도, 선호 데이터베이스(1)에 등록된 프로그램명이 상이한 뉴스 프로그램은 녹화되지 않는다. 또, 프로그램 표 데이터(4)의 정보에 있어서, 장르와 프로그램명이 일치하고 있어도, 선호 데이터베이스(1)에 등록된 출연자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이한 경우에는, 그 프로그램은 녹화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선호 데이터베이스(1)에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표 데이터(4)를 참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 프로그램만을 자동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녹화할 수 있게 된다.
[기록 이력 데이터(2)]
전술한 바와 같이, 선호 데이터베이스(1)와 프로그램 표 데이터(4)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도록 한 경우에는, 그 녹화하도록 한 프로그램에 관련되는 정보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록 이력 데이터 파일(2)에 추가 기록된다. 기록 이력 데이터 파일(2)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HDD(130)에 녹화한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파일 이름, 기록 일시와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 장르, 프로그램명, 출연자, 키워드 등의 각 정보가 추가 기록된다.
파일 이름은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HDD(130)에 기록할 때, 제어부(140)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이다. 제어부는 기록을 개시할 때 클록 회로(160)로부터 기록 일시(날짜와 시간)를 취득한다.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는, 제어부(140)가 튜너부(102)를 제어할 때에 사용한 선국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파악할 수 있다. 그 외의 장르, 프로그램명, 출연자, 키워드 등의 각종 정보는 주로 프로그램 표 데이터(4)로부터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이다.
도 7에 나타낸 기록 이력 데이터 파일(2)의 경우, 2004년 10월 19일 22:00 부터 22:55까지 방송한 방송 프로그램을, 파일 이름을 "데이터 1.video"로 하여 녹화한 것이 기록되어 있다. 파일 이름이 "데이터 1.video"인 데이터는 방송 채널이 "8" 채널로 방송되어, 장르가 "뉴스"이고, 프로그램명이 "뉴스 XXX"이며, 출연자가 "ZZ---"인 방송 프로그램인 것 등이 기록 유지된다.
이와 같이, 기록 이력 데이터 파일(2)에 기록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HDD(130)에는 어떠한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제공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 는 경우 등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한 경우, 도 7에 나타낸 기록 이력 데이터 파일에, 녹화한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이력 데이터가 형성되어 추가 기록된다. 이로써, 기록 이력 데이터(2)의 정보를 참조하는 것으로, 어떠한 컨텐츠 데이터가 HDD(13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정확하고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타임 데이터베이스(31)]
스타일 데이터베이스(3)를 구성하는 타임 데이터베이스(3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타임 데이터베이스(3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타임 데이터베이스(31)는 상위 장치에 해당하는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가 하위 장치에 해당하는 휴대 정보 단말(200)의 이용 스타일을 파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타임 데이터베이스(31)에는, 휴대 정보 단말(200)의 이용 스타일의 주기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1주일의 각 요일에 대한 정보로 분할된다. 타임 데이터베이스(31)는 하위 장치의 이용 개시 시각, 하위 장치의 이용 시간(전체 이용 시간(TTL)), 이용한 컨텐츠의 장르마다의 이용 시간, 컨텐츠의 이용 시간대 등의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하위 장치의 이용 개시 시각은 크레이들(300)에 설치되어 있던 휴대 정보 단말이, 크레이들(300)로부터 제거된 타이밍을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가 검지했을 때의 시각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200)은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로부터 최신의 컨텐츠 데이터의 제공을 수신하므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귀가한 야간에 크레이들(300)에 놓여져 새 로운 컨텐츠의 제공을 받은 후, 이튿날 아침의 외출시에 크레이들(300)로부터 제거하여 가지고 다닐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는, 크레이들(300)에 설치된 휴대 정보 단말(200)이 크레이들(300)로부터 제거되었을 경우에, 그 제거된 시점을 이용 개시 시각으로서 인식한다. 구체적으로는, 크레이들(300)과 휴대 정보 단말(200)의 접속점의 전기적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크레이들(300)에 설치된 휴대 정보 단말(200)이 크레이들(300)로부터 제거된 시점을 검출할 수 있고, 그 시점의 시각을 클록 회로(160)로부터 취득함으로써, 휴대 정보 단말의 이용 개시 시각을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용 시간(TTL) 및 이후의 정보, 즉 이용한 컨텐츠 데이터의 장르마다의 재생 시간이나 이용 시간대 등은, 후술하는 휴대 정보 단말(200)의 재생 상황 데이터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타임 데이터베이스(31)의 정보로부터, 휴대 정보 단말(200)의 사용자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매일 아침 7시 30분 전후에 휴대 정보 단말(200)를 크레이들(300)로부터 제거하고, 토요일과 일요일은 오전 10시 정도에 휴대 정보 단말(200)을 크레이들(300)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타임 데이터베이스(31)에 포함된 정보는 또한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매일 장르가 "뉴스"인 컨텐츠를 15분씩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장르가 "음악"인 컨텐츠도 목요일과 토요일을 제외한 요일에, 45분 이상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드라마" 또는 "버라이어티"라는 장르의 컨텐츠도 수요일과 토요일을 제외한 요일에, 40분 전후로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컨텐츠의 이용 시간대를, 이용 시간대 1 및 이용 시간대 2가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타임 데이터베이스(31)에 포함된 정보에 의하여, 휴대 정보 단말(200)은 하루 동안 어느 정도 이용되며 어떠한 장르의 컨텐츠 데이터가 어느 정도의 시간, 어떠한 시간대에서 이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는, 스타일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또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인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program-related database)(32)를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는 컨텐츠 데이터의 장르마다, 신선도(freshness) 정보(신선도 파라미터)와 보존 정보(보존 파라미터)를 가지는 것이다.
컨텐츠 데이터의 신선도 정보는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서, 각 컨텐츠 데이터를 HDD(130)에 기록하고 나서 하위 장치에 전송하기까지의 기간을 각 컨텐츠 데이터가 속하는 장르마다 함께 수치화한 정보이다.
이 컨텐츠 데이터의 신선도 정보는 각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HDD(130)에 기록되는 시점의 현재 시각을 클록 회로(160)로부터 취득하여 이것을 유지하고, 또,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된 시점의 현재 시각을 클록 회로(160)로부터 취득하여 이것을 유지함으로써, 각 컨텐츠 데이터마다, HDD(130)에 기록되면서부터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되기까지의 기간(시간)을 알 수 있어, 이것을 장르마다 가산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개수로 나눗셈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1일(24시간)을 값 "1"로 하여 계산하고 있다.
컨텐츠 데이터의 보존 정보는 각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하위 장치인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되는 시점부터 삭제되기까지의 기간을 각 컨텐츠 데이터가 속하는 장르마다 함께 수치화한 정보이다.
이 컨텐츠 데이터의 보존 정보는 각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로부터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된 시점의 현재 시각을 클록 회로(160)로부터 취득하여 이것을 유지해 두고, 또한 휴대 정보 단말(200)로부터 각 컨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시각의 제공을 받는 것에 의하여, 각 컨텐츠 데이터마다, HDD(130)로부터 전송되는 시점부터 휴대 정보 단말(200)에서 삭제되기까지의 기간(시간)을 알 수 있어, 이것을 장르마다 가산하여 컨텐츠 데이터 개수로 나눗셈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1일(24시간)을 값 "1"로 하여 계산하고 있다.
그리고,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삭제 시각은 휴대 정보 단말(200)에서 취득할 수 있다. 즉,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는 재생되어 이용되지만, 필요가 없어지면, 새로운 컨텐츠 데이터의 저장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휴대 정보 단말(200)의 사용자는 삭제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정보 단말(200)의 플래시 메모리(204)로부터 컨텐츠 데이터가 삭제되는 경우에, 삭제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파일 이름 등의 식별 정보와, 삭제 시점에서, 휴대 정보 단말의 제어부(220)가 클록 회로(230)로부터 취득하는 현재 시각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삭제 이력 데이터(12)로서 유지해 두고, 이것을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제공한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 시각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자신이 유지하는 각 컨텐츠 데이터의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제공했을 때의 시각과 각 컨텐츠 데이터의 휴대 정보 단말(200)에서의 삭제 시각으로부터 각 컨텐츠 데이터의 휴대 정보 단말(200)에서의 보존 기간을 알 수 있어, 이것을 장르마다 가산하여 컨텐츠 데이터 개수로 나눗셈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있어서 각 컨텐츠 데이터마다 관리하고 있는 휴대 정보 단말(200)의 전송 시각을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고, 휴대 정보 단말(200)의 제어부(220)가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200)로부터 컨텐츠의 제공을 받았을 경우에, 그 컨텐츠 데이터의 제공을 받았을 때 시각을 클록 회로(230)로부터 취득하고, 이것을 휴대 정보 단말(200)의 메모리에 각 컨텐츠 데이터마다 기억 유지하여 둠으로써, 휴대 정보 단말(200)에서 관리되고 있는 정보의 제공을 받아, 이것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경우에는, 휴대 정보 단말(200)의 제어부(220)에 있어서, 각 컨텐츠 데이터의 보존 기간을 계산하고,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제공 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르가 "뉴스"인 컨텐츠 데이터는, 이용 사이클이 빠르고, 소거 되기까지의 기간도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장르가 "스포츠"인 컨텐츠 데이터도, 이용 사이클은 비교적 빠르며, 보존 기간도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르가 "버라이어티"인 컨텐츠 데이터나, 장르가 "음악"인 컨텐츠 데이터는,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가 취득하고 나서 하위 장치에 전송하기까지의 기간도 비교적 길고(몇 일), 또 휴대 정보 단말(200)에서의 보존 기간도 비교적 길다.
따라서, 즉시성이 중요한 "뉴스"나 "스포츠" 등의 장르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는,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로부터 가능한 신속하게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하여야 하지만, "버라이어티"나 "음악"의 장르에 속하는 컨텐츠 데이터는 즉시 전송할 필요는 없고, 플래시 메모리(204)의 빈 용량 등을 고려하여, 3일 이상의 긴 주기로, 새로운 컨텐츠 데이터로 변경하면 된다.
타임 데이터베이스와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에 기초하여, 휴대 정보 단말(200)의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예측하여 추출하고 이것을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하여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사용자가 원하는 타이밍에서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재생 상황 데이터(11)]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위 장치인 휴대 정보 단말(200)에 의해 형성되고,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제공되는 재생 상황 데이 터(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휴대 정보 단말(200)에 의해 형성되는 재생 상황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상황 데이터는 날짜(재생일), 총 재생 시간, 재생된 컨텐츠 데이터의 파일 이름(재생 파일 이름)과 재생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시간, 재생 시간대를 포함한다.
휴대 정보 단말(200)에서, 조작 제어부(240)를 통해서, 목적으로 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지시받아 그 컨텐츠 데이터가 재생된 경우에, 그 컨텐츠 데이터의 파일 이름이 특정되는 동시에, 그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로부터 재생 종료까지의 시간이 클록 회로(230)로부터 취득되어 그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시간, 재생 시간대가 특정된다. 여기서 얻어진 재생 시간은 총 재생 시간에 가산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정보 단말(200)에서는, 재생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이용 상황을 나타내는 재생 상황 데이터가 형성된다. 이 재생 상황 데이터(11)와,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 시각을 나타내는 삭제 이력 데이터(12)가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전송되고,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형성되는 선호 데이터베이스(1)를 갱신하거나, 스타일 데이터베이스(3)를 형성하는 타임 데이터베이스(31)나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를 갱신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시스템에서, 하위 장치인 휴대 정보 단말(200)로부터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전송되는 재생 이력 정보는, 재생 상황 데이터(11)와 삭제 이력 데이터(12)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서는, 선호 데 이터베이스(1)와, 미리 취득하는 EPG 등으로 형성되는 프로그램 표 데이터(4)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수신 및 선국하여, HDD(130)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서는, 스타일 데이터베이스(3)의 타임 데이터베이스(31) 및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에 기초하여, 휴대 정보 단말(200)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컨텐츠 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컨텐츠 데이터를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하여, 휴대 정보 단말(200)의 플래시 메모리(204)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와 휴대 정보 단말의 동작]
본 실시예에 따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와 휴대 정보 단말(2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와 휴대 정보 단말(200)은 별개로 독립하여 동작하는 것이지만, 이하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정보 단말(200)을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접속된 크레이들(300)에 적절히 설치함으로써 접속 상태로 되어,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와 휴대 정보 단말(200)이 서로 각종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처리가 실행된다.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선호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단계 S101에서 EPG 등에 따라 프로그램 표 데이터(4)를 참조하고, 사용자가 선호할만한, 목적으로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수신 및 선국한다. 다음에,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단계 S102에서, 선국된 방송 프로그램 을 형성하는 방송 신호를 HDD(130)에 기록(저장)한다.
즉, 단계 S101의 처리에서,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선호 데이터베이스(1)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표 데이터(4)를 참조하고, 선호 데이터베이스(1)에 등록된 장르, 프로그램명, 출연자, 키워드 등이 일치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가 프로그램 표 데이터에 존재하는 경우, 클록 회로(160)가 제공하는 현재 시각에 기초하여 그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각의 도래(arrival)를 검출하고, 그 방송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수신 및 선국하며, 단계 S102의 처리에 의하여, 단계 S101에서 수신 및 선국한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단계 S103에서 하위 장치인 휴대 정보 단말(200)이 크레이들(300)에 설치(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단계 S103의 처리에서는, 제어부(140)가 크레이들(300)의 접속단의 전기적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휴대 정보 단말(200)이 크레이들(300)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03의 판단 처리에서, 휴대 정보 단말(200)이 크레이들(300)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는, 단계 S101 및 이에 후속하는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103의 판단 처리에서, 휴대 정보 단말(200)이 크레이들(300)에 설치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때는, 제어부(140)는 하위 장치 인터페이스(133)를 통해서 휴대 정보 단말(200)에 대하여, 재생 상황 데이터(11) 및 삭제 이력 데이터(12)의 제공을 요구하고, 하위 장치로부터 재생 상황 데이터(11) 및 삭제 이력 데이터(12)를 다운로드한다(단계 S104).
단계 S105에서,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휴대 정보 단 말(200)로부터 다운로드된,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 재생 상황 데이터(11)에 기초하여,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 타임 데이터베이스(31)를 갱신하고, 자신이 유지하는 각 컨텐츠 데이터를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한 시각과, 휴대 정보 단말(200)로부터의 삭제 시각을 나타내는 삭제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를 갱신한다.
단계 S105의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처리에서, 휴대 정보 단말(200)로부터의 재생 상황 데이터(11)에 기초하여, 선호 데이터베이스(1)의 정보도 갱신된다. 예를 들면, 재생된 컨텐츠 데이터(파일 이름)에 기초하여,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의 기록 이력 데이터를 참조하고, 이용한 컨텐츠 데이터의 장르, 프로그램명, 출연자, 키워드로서, 선호 데이터베이스(1)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를 추가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취득하여 이용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장르, 프로그램명, 출연자, 키워드라도, 소정 횟수 이상(예를 들면, 3회 이상) 이용되는 경우의 정보만을 추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단계 S106에서, 타임 데이터베이스(31) 및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32)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휴대 정보 단말(200)을 통해서 이용하는 컨텐츠 데이터로서,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해야 할 컨텐츠 데이터를 HDD(130)의 하드 디스크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컨텐츠 데이터를 하위 장치 인터페이스(133), 접속단(134), 및 크레이들(300)을 통해서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한다. 휴대 정보 단말(200)은 접속단(201) 및 상위 장치 인터페이스(202)를 통해서 컨텐츠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이것을 데이터 처리부(203)를 통 하여 플래시 메모리(204)에 기록(저장)하여, 이용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단계 S106의 처리에 있어서,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타임 데이터베이스(31) 및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위 장치의 이용 개시되는 시각을 예측하고, 그때까지 전송해야 할 컨텐츠 데이터로서, 신선도 정보가 작고, 확실하게 이용되고 있는 데이터나, 이용 빈도가 높은 장르의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게 된다.
재생 시간대 정보는 컨텐츠 데이터가 이용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용 스타일에 대하여, 통근 시간대에 뉴스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그러나, 영상이 있는 컨텐츠 데이터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있으므로, 음성만, 즉 라디오 방송의 뉴스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처리는, 주로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서의 처리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106의 처리에서,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로부터 휴대 정보 단말(200)에 컨텐츠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는 휴대 정보 단말(200)의 플래시 메모리(204)에 저장된다.
다음에, 휴대 정보 단말(2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휴대 정보 단말(2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휴대 정보 단말(200)은 크레이들(300)로부터 제거 및 운반되어 이용되지만, 전원 투입 후에는, 도 12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201에서, 휴대 정보 단말(200)의 제어부(220)는 조작 제어부(240)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대기한다. 조작 입력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 면, 단계 S202에서, 수신된 조작 입력이 재생 지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202의 판단 처리에서, 재생 지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는, 단계 S203에서 그 지시에 따른 처리, 예를 들면 음량이나 음질의 조정이나 화질의 조정 등의 지시된 처리가 실행되고, 단계 S201 및 그에 후속하는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202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재생 지시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제어부(220)는 데이터 처리부(203), 영상 시스템 및 음성 시스템을 제어하고, 재생 지시된 컨텐츠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204)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한다(단계 S204). 단계 S204의 처리에서는, 해당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각이 클록 회로(230)로부터 취득되어 이것이 유지된다.
휴대 정보 단말(200)의 제어부(200)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대기한다(단계 S205). 조작 입력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206에서, 받아들인 조작 입력은 재생 정지의 지시인가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206의 판단 처리에서, 재생 정지의 지시가 아닌 것으로 판단했을 때는, 단계 S207에서, 받아들인 지시, 예를 들면 음량 조정이나 화질 조정 등의 지시된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205 및 그에 후속하는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206의 판단 처리에서, 받아들인 조작 입력이 재생 정지의 지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클록 회로로부터 재생 종료 시각을 취득하고, 단계 S204에서 취득한 재생 개시 시각으로부터, 재생 시간이나 재생 시간대를 특정하며,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 재생 상황 데이터를 갱신하여(단계 S208), 단계 S201 및 그에 후속하는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정보 단말(200)에 재생 상황 데이터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용이 끝난 컨텐츠 데이터가 삭제되는 경우, 삭제된 컨텐츠 데이터의 파일 이름과 삭제 시각으로 이루어지는 삭제 이력 데이터가 형성되고, 이들 정보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제공되어 각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에 이용된다.
재생 상황 데이터에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 이력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재생 상황 데이터와 삭제 이력은 특성이 다른 데이터이며, 관리의 방법 등이 다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별개로 관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시스템에서,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서는 선호 데이터베이스(1) 및 프로그램 표 데이터(4)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 프로그램(컨텐츠)을 자동으로 수신 및 선국하고, HDD(130)에 축적할 수 있게 된다. 또,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서는, 스타일 데이터베이스(3)를 형성하는 타임 데이터베이스(31)와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휴대 정보 단말의 이용 스타일(이용 상황)에 따라 이용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HDD(130)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하고, 이것을 휴대 정보 단말(200)에 자동 전송하며, 휴대 정보 단말(200)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선호 데이터베이스(1) 및 스타일 데이터베이스(3)를 형성하는 타임 데이터베이스(31) 및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는 휴대 정보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재생 상황 데이터 및 삭제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속해서 갱신되어 휴대 정보 단말(200)의 이용 상황, 컨텐 츠 데이터의 이용 상황을 계속해서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그리고, 선호 데이터베이스(1)만을 갱신하고,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하여 이용하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는 사용자가 지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스타일 데이터베이스(3)를 구성하는 타임 데이터베이스(31) 및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만을 갱신하도록 하고, 선호 데이터베이스(1)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스타일 데이터베이스(3)는 하위 장치가 어떠한 컨텐츠를 운반하여, 어떻게 시청하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기호에 "드라마"와 특정한 출연자가 있어, 상위 장치가 그것을 녹화한 경우에, 이 사용자가 하위 장치를 통근 전철에서 사용하기 위해, 영상의 시청은 하지 않고, 또는 할 수 없는 스타일로 사용하는 경우, 상위 장치는 이 프로그램을 하위 장치에 전송하지 않는 등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 및 선국하여, HDD(130)에 저장하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의 내용의 해석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 압축 및 보존된다. 예를 들어, FM 음성이 녹음되었을 경우, 그 내용이 악곡인가, 이야기 소리인가에 따라, TV가 녹화되었을 경우에는 그 내용이 CM인가, 프로그램인가 등에 의하여, 각각 파일을 나누어 보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음악 컨텐츠 데이터만을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하도록 하거나, CM이 없는 프로그램 부분만을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동작은, 도 11의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지만, 실제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요한 3개의 태스크(task)로 되어 있어서, 몇 개의 휴대 정보 단말(200)이 크레이들(300)에 배치되어도, 적절히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태스크 1은 기록 개시 시각에 실행되는 태스크로서, 취득한 데이터를 RAM에 보존한다. 이 태스크는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 및 선국한 방송 프로그램을 취득하고(단계 S301), 이것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일시 보존을 위한 RAM 영역에 순서대로 확보하여, 데이터를 보존한다(단계 S302).
태스크 2는 태스크 1의 실행과 함께 실행되고, RAM에 보존된 데이터를 해석하여(단계 S401), 각 데이터에 대하여 의미를 부여하고(단계 S402), 의미마다 분할하여 HDD(130)에 보존한다(단계 S403). 분석 방법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CM(commercial messages)의 발췌, 음성의 2개국어/스테레오/모노럴을 자동 판별하고, CM 부분을 검출하여 발췌하는 방법 등이 있다.
태스크 3은 상위 장치내의 데이터가 갱신되었을 때, 하위 장치와 상위 장치가 접속되었을 때 등에 실행된다. 하위 장치 내의 재생 상황 데이터가 갱신되는 경우, 그 데이터가 하위 장치로부터 상위 장치에 제공되고(단계 S501), 상위 장치 내의 선호 데이터베이스 및 스타일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단계 S502). 최신의 스타일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위 장치 내의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하위 장치에서 시청을 원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 S503).
이와 같이, 태스크마다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300)에서, 언제 휴대 정보 단말(200)이 크레이들(300)을 통해서 접속되어도, 대응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이용 시스템에서, 하위 장치가 상위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위 장치는 사용자의 스타일에 맞추어 하위 장치의 정보를 갱신한다. 사용자는 하위 장치를 크레이들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나중에 외출시에 가지고 나가면, 언제 어디서라도 신선하며, 자신의 취향에 맞은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또, 하위 장치에서의 재생에 관한 정보는 재생 상황 데이터로서 하위 장치의 메모리에 보존되어 선호 데이터베이스 및 스타일 데이터베이스에 피드백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시청 스타일에 부합하는 컨텐츠가 하위 장치에 자동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로부터 휴대 정보 단말(200)에의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은, 스타일 데이터베이스(3)에 따른 자동 전송 외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하위 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하위 장치에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사용자는 하위 장치인 휴대 정보 단말(200)을 크레이들에 되돌리기 전에, 휴대 정보 단말(200)에 유지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하위 장치에 명시적으로 남길지, 남기지 않을지(삭제 여부)의 선택을 할 수 있다.
또,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의 이용 방법으로서,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뉴스 프로그램을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전송하고, 그날 중에 삭제되고 경우, 신선도 정보와 보존 정보를 '0'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위 장치로부터 하위 장치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신선도와 보존 기간 이 상기 언급한 것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컨텐츠 데이터가 우선하도록 한다. 즉, 신선도 정보가 작고, 보존 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확실하게 이용되는 정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로부터 휴대 정보 단말(200)에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휴대 정보 단말(200)의 플래시 메모리(204)의 빈 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플래시 메모리(204)의 기록 데이터를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의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정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휴대 정보 단말(2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의 실제의 보존 기간과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에 형성되어 있는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의 각 장르의 보존 정보를 비교하고, 보존 정보와 실제로 보존되어 있는 날짜의 차이가 작은 것만큼 우선하여 삭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100)의 HDD(13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정리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기록 이력 데이터(2)의 기록 일시에 기초하여, 기록된 날로부터 1주일이 경과한 컨텐츠 데이터는 자동으로 삭제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위 장치로서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를 사용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록매체로서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등의 대용량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기록 장치나 기록 재생 장치에 본 발명의 기록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사용되는 기록 매체는 하드 디스크에 한정되지 않고,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 리 등의 각종의 것을 사용하는 기록 장치, 기록 재생 장치에 본 발명의 기록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위 장치로서의 휴대 정보 단말이 플래시 메모리를 기록 매체로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의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하거나, 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광디스크나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을 사용하는 휴대 정보 단말에, 본 발명의 재생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 하위 장치로서의 휴대 정보 단말은,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메모리를 가지지 않고, 상위 장치로서의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 등으로 제공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재생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하위 장치에 해당하는 휴대 정보 단말이 상위 장치에 해당하는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로부터의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할 때마다, 이용 상황 데이터를 형성하고, 이것을 상위 장치에 되돌리도록 함으로써,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상위 장치에서 하위 장치에 전송해야 할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것을 하위 장치에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함으로써, 하위 장치가 상위 장치에 대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특정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제공을 요구하지 않고, 하위 장치에 해당하는 휴대 정보 단말은 하위 장치인 휴대 정보 단말의 이용 스타일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의 제공을 자동으로 받도록 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상위 장치에 해당하는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로부터 하위 장치에 해당하는 휴대 정보 단말로의 컨텐츠 데이터의 제공의 시간 등에 대하여도, 상위 장치인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가 하위 장치로부터의 재생 상황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하위 장치로서의 휴대 정보 단말 등의 기기가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가지지 않는 구성의 시스템은,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시스템과 같이 한정된 범위에 구축되어 상위 장치와 하위 장치가 항상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되는 시스템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위 장치로서의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와 하위 장치로서의 휴대 정보 단말은, 유선에 의해 접속 가능한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위 장치로서의 하드 디스크 기록 장치 등의 기기와 하위 장치로서의 휴대 정보 단말 등의 기기는, 전파나 광 등을 사용한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주로 방송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수신 및 선국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검색하고, 이것을 다운로드하여, HDD에 저장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선호 데이터베이스(1), 기록 이력 데이터(2), 스타일 데이터베이스(3)(타임 데이터 베이스(31) 및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베이스(32)를 포함), 재생 상황 데이터, 삭제 이력 데이터 등의 구성은 일례이며, 또한 많은 정보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유지하는 정보를 적게 할 수도 있다.
선호 데이터베이스(1)의 경우, 목적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국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있으면 되고, 또한, 스타일 데이터베이스(3)의 경우, 휴대 정보 단말(200)의 사용자의 이용 스타일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로서, 컨텐츠 데이터의 추출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되는 것과 같이, 각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로서는,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있으면 되고, 전술한 실시예에 사용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를 번거롭게 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를 자동으로 축적하고, 최신의 컨텐츠 또는 최신의 컨텐츠로서 이용 스타일에 따른 컨텐츠를 하위 장치로서의 재생 장치에 자동 전송하며, 이 컨텐츠를 하위 장치로서의 재생 장치를 통해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는 했지만, 시간이 없어서 시청할 수 없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컨텐츠를 사용자를 번거롭게 하지 않으면서, 재생 장치에 확실하게 전송하고, 재생 장치를 통해서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1)

  1.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장치; 및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휴대 재생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수단;
    상기 휴대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대한 재생 이력 정보를 취득하는 재생 이력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는 컨텐츠 데이터 추출 수단; 및
    상기 휴대 재생 장치에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컨텐츠 데이터 전송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재생 장치는,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을 생성하는 재생 이력 정보 생성 수단; 및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까지의 기간인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대한 재생 이력 정보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재생 이력 정보 전송 수단
    을 포함하는 컨텐츠 이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신호 수신 수단;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기초하여 방송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수신 제어 수단; 및
    수신한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로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 포함하는 컨텐츠 이용 시스템.
  3. 제1 컨텐츠 데이터를 휴대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기록 장치는,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수단;
    상기 휴대 재생 장치로부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대한 재생 이력 정보를 취득하는 재생 이력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하는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저장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는 컨텐츠 데이터 추출 수단; 및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휴대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 데이터 전송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은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까지의 기간인,
    기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신호 수신 수단;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수신 제어 수단;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로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록 장치.
  5.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휴대 재생 장치로서,
    상기 휴대 재생 장치는,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을 생성하는 재생 이력 정보 생성 수단; 및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재생 이력 정보 전송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관련된 것이고,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은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까지의 기간인,
    휴대 재생 장치.
  6.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장치와,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휴대 재생 장치를 구비하는 컨텐츠 이용 시스템에서의 이용을 위한 시스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 제어 방법은,
    상기 기록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휴대 재생 장치로부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대한 재생 이력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휴대 재생 장치에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을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을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대한 재생 이력 정보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은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까지의 기간인,
    시스템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신호의 수신을 제어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기록 장치로 하여금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 장치로 하여금 수신한 상기 방송 신호를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로서 기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제어 방법.
  8.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장치; 및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휴대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이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
    상기 휴대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대한 재생 이력 정보를 취득하는 재생 이력 정보 취득부;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는 컨텐츠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휴대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재생 장치는,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컨텐츠 데이터 취득부;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을 생성하는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대한 재생 이력 정보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재생 이력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은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까지의 기간인,
    컨텐츠 이용 시스템.
  9. 제1 컨텐츠 데이터를 휴대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기록 장치로서,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
    상기 휴대 재생 장치로부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대한 재생 이력 정보를 취득하는 재생 이력 정보 취득부;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하는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는 컨텐츠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휴대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컨텐츠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은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까지의 기간인,
    기록 장치.
  10. 기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휴대 재생 장치로서,
    상기 휴대 재생 장치는,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컨텐츠 데이터 취득부;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정지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을 생성하는 재생 이력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전송하는 재생 이력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에 관련된 것이고,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기간은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정지 시간까지의 기간인,
    휴대 재생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이력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휴대 재생 장치에 전송되어 온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휴대 재생 장치로부터 삭제된 시간까지의 삭제 이력 간격(deletion history interval)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 추출 수단은 상기 삭제 이력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록 장치.
KR1020050110194A 2004-11-17 2005-11-17 컨텐츠 이용 시스템, 기록 장치, 재생 장치 및 시스템 제어방법 KR101204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2761A JP4492305B2 (ja) 2004-11-17 2004-11-17 コンテンツ利用システム、記録再生装置、およびシステム制御方法
JPJP-P-2004-00332761 2004-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405A KR20060055405A (ko) 2006-05-23
KR101204811B1 true KR101204811B1 (ko) 2012-11-26

Family

ID=3570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194A KR101204811B1 (ko) 2004-11-17 2005-11-17 컨텐츠 이용 시스템, 기록 장치, 재생 장치 및 시스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43772B2 (ko)
EP (1) EP1659588A1 (ko)
JP (1) JP4492305B2 (ko)
KR (1) KR101204811B1 (ko)
CN (1) CN1801377B (ko)
TW (1) TWI2930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1132B2 (en) 2004-01-06 2012-02-07 Bose Corporation Remote controlling
US20070258346A1 (en) * 2006-05-02 2007-11-08 Zing Systems, Inc. Pc peripheral devices used with mobile media devices
JP4633711B2 (ja) * 2006-12-11 2011-0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録画再生装置
KR20080054973A (ko) * 2006-12-14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타임―쉬프트 기능을 제공하는방송수신장치 및 방법
WO2008126174A1 (ja) * 2007-03-13 2008-10-23 Pioneer Corporation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90013260A1 (en) * 2007-07-06 2009-01-08 Martin Keith D Intelligent music track selection in a networked environment
JP4992726B2 (ja) * 2008-01-08 2012-08-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処理装置、情報記録処理方法
US8989561B1 (en) * 2008-05-29 2015-03-24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erting users of the postponed recording of programs
JP4564561B2 (ja) * 2008-11-27 2010-10-20 株式会社東芝 時限管理装置および時限管理方法
JP2011166688A (ja) * 2010-02-15 2011-08-2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データ転送制御方法
US9131263B2 (en) 2010-07-09 2015-09-08 Sling Medi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removal of content from a distributed network
US20130054472A1 (en) * 2011-08-31 2013-02-28 Nc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ly downloading digital media items
JP6283586B2 (ja) * 2013-12-27 2018-02-2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コンテンツ録画方法、録画装置及び録画システム
JP5851065B1 (ja) * 2015-07-30 2016-02-03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通知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377A (ja) * 2002-03-14 2003-09-26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録画予約受付配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5302A (en) * 1990-06-15 1994-10-11 Arachnid, Inc.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computer jukeboxes
US6009234A (en) * 1995-04-14 1999-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reproducing information
GB2325537B8 (en) 1997-03-31 2000-01-31 Microsoft Corp Query-based electronic program guide
GB2364430B (en) 1997-04-04 2002-03-13 Bobry Ruben Kleiman System for selectively distributing music
EP0977200A4 (en) * 1998-02-19 2001-05-16 Sony Corp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DATA PROCESSOR
CN1128542C (zh) 1998-04-03 2003-11-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便携式视听系统
US6504990B1 (en) * 1998-11-12 2003-01-07 Max Abecassis Randomly and continuously playing fragments of a video segment
CN1197080C (zh) * 1999-05-28 2005-04-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半导体存储器卡、播放装置、记录装置、播放方法、记录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6192340B1 (en) * 1999-10-19 2001-02-20 Max Abecassis Integration of music from a personal library with real-time information
JP4936037B2 (ja) * 2001-08-31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085898A (ja) * 2001-09-12 2003-03-20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4106988B2 (ja) * 2002-07-11 2008-06-2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
AU2003280786A1 (en) * 2002-11-14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ewing history recording method and viewing history use method
JP4228719B2 (ja) * 2003-02-21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095479B2 (ja) * 2003-03-27 2008-06-04 日本放送協会 コンテンツ選択視聴装置、コンテンツ選択視聴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選択視聴プログラム
USD494188S1 (en) * 2003-09-22 2004-08-10 Benq Corporation Portable jukebox
US20050157746A1 (en) * 2004-01-16 2005-07-21 Celljump Ltd. Portable apparatus for providing a computer data and/or computer data program to a mobile computerize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7377440B2 (en) * 2005-02-16 2008-05-27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edia services manager for base station
US7523869B2 (en) * 2005-04-06 2009-04-28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mory availab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377A (ja) * 2002-03-14 2003-09-26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録画予約受付配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48283A (ja) 2006-06-08
KR20060055405A (ko) 2006-05-23
US7843772B2 (en) 2010-11-30
TW200635376A (en) 2006-10-01
JP4492305B2 (ja) 2010-06-30
CN1801377B (zh) 2010-09-29
TWI293005B (en) 2008-01-21
CN1801377A (zh) 2006-07-12
US20060120691A1 (en) 2006-06-08
EP1659588A1 (en)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811B1 (ko) 컨텐츠 이용 시스템, 기록 장치, 재생 장치 및 시스템 제어방법
KR100758833B1 (ko) 프로그램들을 재생하는 장치
JP3868820B2 (ja) 放送受信装置
KR100988688B1 (ko) 방송 시스템,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2534853A (ja) プログラム受信装置
JPH11252471A (ja) 番組及び番組情報を放送するセンター装置と端末装置
KR101007881B1 (ko) 방송 프로그램의 연속 녹화 제어 방법
JP2003046921A (ja) 番組の予約記録方法、番組予約記録装置、及び番組予約記録用プログラム。
JP2005167782A (ja) デジタル放送の記録方法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4229235A (ja) 受信再生装置
JP2003061036A (ja) インデックス情報の伝送方法、インデックス情報の受信方法、番組記録信号の再生方法、番組記録信号再生装置、及びインデックス情報の提供サービス
JP200633994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512974B2 (ja) 蓄積情報検索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US78101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list of recorded broadcasting programs
WO2006041247A1 (en) Method for recording multiple program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20040066594A (ko) Pvr장치 및 pvr장치에서의 vbi로부터 추출한epg에 의한 예약 녹화 방법
JP2005174405A (ja)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KR100914706B1 (ko) 방송 수신기 및 장면 정보 수신 방법
KR100735177B1 (ko) 저장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4248056A (ja) コンテンツ記録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ならびにコンテンツ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JP2001186432A (ja) 受信装置及び方法
KR20060079910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dmb 방송 프로그램 예약 녹화방법
JP2002290887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6319918A (ja) コンテンツ配信制御システム、情報端末、コンテンツ配信制御装置、コンテンツ配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43401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