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472B1 -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472B1
KR101204472B1 KR1020100070274A KR20100070274A KR101204472B1 KR 101204472 B1 KR101204472 B1 KR 101204472B1 KR 1020100070274 A KR1020100070274 A KR 1020100070274A KR 20100070274 A KR20100070274 A KR 20100070274A KR 101204472 B1 KR101204472 B1 KR 101204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rame
vertical
horizontal
surface finish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739A (ko
Inventor
김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담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담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담은창
Priority to KR102010007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4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3Connection of concrete parts using adhesive materials, e.g. mortar or glu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2Protecting metallic construction elements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5Connections of mullions and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건물 외벽에 강재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강재프레임에 유리 창호를 설치함에 있어서, 강재프레임과 창호연결구의 이온화에 따른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건물내부에서 강재프레임의 표면질감을 장식화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도 효율적인 천연 또는 인공석재를 포함하는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이 개시된다. 상기 커튼월은 수직재 및 수평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는 격자형태의 강재프레임; 및 상기 강재프레임에 창호연결구에 의하여 연결되는 창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튼월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와 수평재는 상기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에 의하여 감싸져 형성되어 수직재에 수평재에 연결되며, 상기 창호연결구는 이온화 방지패드에 의하여 배면부가 수직재에 체결볼트에 의하여 연결된다.

Description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및 그 시공방법{CURTAIN WALL USING STONE SURFACE MEMBER AND CURTAIN WALL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본 발명은 인공 또는 천연석재를 포함하는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건물 외벽에 강재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강재프레임에 유리재질의 창호를 설치함에 있어서, 단열효과가 뛰어나고, 강재프레임과 창호연결구의 이온화에 따른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건물 내부에서 강재프레임을 장식화 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도 효율적인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주체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에서 벽체는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하는 커튼 구실만 하기 때문에 이때의 벽체를 커튼월이라고 하며, 한국 건축 용어로는 ‘비내력 칸막이벽’이라고 한다.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유리 등을 사용한 벽면은 근대적인 건축양식으로 특히 외장용으로서 큰 기능을 갖는다.
커튼월은 특히 고층 또는 초고층건축에 많이 사용된다. 높이가 100 m 이상의 건물이면 외부에 비계조립이 어렵기 때문에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외벽 패널을 들어 올려서 붙이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패널은 규격화하여 통일되는 것이 특징이다.
종래, 석재로 만든 패널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커튼월을 시공할 경우, 도 1a에 도시와 같이 정착철물(1)들을 건물의 콘크리트 구조체(2, 외벽)에 정착시키고, 그 정착철물(1)들에 4각의 스틸파이프로 된 수직재(3)들을 용접하여 고정하고, 수직재(3)들의 일정높이마다 채널형의 스틸파이프로 된 수평재(4)들을 용접하여서 격자형의 트러스를 형성한 다음,
이 트러스의 수평재(4)들에 고정핀 (5a)을 구비한 앵글형철물(5)을 볼트, 너트로 고정하고, 그 앵글형철물(5)의 고정핀 (5a)을 패널(6, 창호등)의 상, 하측 마구리면에 형성된 원형홈(6a)에 끼우고 그 석재패널 (6)들을 앵글형철물(5)의 상부에 얹어서 지지시킨 다음, 석재패널(6)들이 접하는 줄눈부위에 코킹재(7)를 채워 마감하는 방식이 사용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석재패널에 의한 커튼월이 아닌 유리 창호에 의한 커튼월이 다수 시공되고 있으며, 이를 도 1b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틸 프레임(10)은 건축물의 외면에 배치되는 유리 창호(90)를 건축물의 골조부에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구조부이다.
이러한 스틸 프레임(10)은 강재를 롤링하여 성형되는 4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되, 그 전면에는 좌우의 표면(11)에서 중앙부에 오목접합부(12)가 부가되는 기술 구성을 가진다.
이 오목접합부(12)는 연결철물(20)이 스틸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구조부가 된다.
상기 연결철물(20)은 전체적으로 T형의 단면형상으로서 스틸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고정날개(21)와 상기 고정날개(21)의 중간부에서 외측으로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날개(22)를 가진다.
단열재(30)는 스틸 프레임(10)과 연결철물(20)의 오목접합부(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철물(20)을 통해서 전달되는 외기의 온도전달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연결나사(40)는 상기 연결철물(20)을 스틸 프레임(10)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 연결나사(40)는 그 머리부가 민머리를 가져서 연결철물(20)의 고정날개(21)가 스틸 프레임(10)의 오목접합부(12)에 고정될 때에 그 머리부가 고정날개(21)의 표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서 연결철물(20)의 고정날개(21)의 표면과 스틸 프레임(10)의 좌우표면(11)이 동일면에 위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스틸 프레임(10)의 오목접합부(12)와 연결철물(20)의 고정구조로 인하여 연결철물(20)의 고정날개(21)의 표면과 스틸 프레임(10)의 좌우표면(11)은 동일면 상에 위치된다.
그 결과, 고정날개(21)의 표면과 스틸 프레임(10)의 좌우표면(11)이 모두 유리 창호(90)를 고정하는 표면이 되므로 유리 창호(90)를 스틸 프레임(10)에 견고하게 접착하여 고정하기에 충분한 접착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유리 고정용 테이프(50)는 상기 연결철물(20)의 고정날개(21)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유리 창호(90)를 스틸 프레임(10)에 고정시킨다.
또한, 내부 구조용 실리콘(60)은 유리 고정용 테이프(50)의 외측에서 스틸 프레임(10)과 유리창호(90) 사이로 충진된다.
상기 내부 구조용 실리콘(60)은 유리 고정용 테이프(50)의 외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하중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부이다.
상기 연결철물(20)의 돌출날개(22)와 유리 창호(90)의 사이에 배치되는 백업재(70)는 백업재(70)의 외측으로 충진되는 외부 방수용 실리콘(80)이 불필요하게 허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부이다.
외부 방수용 실리콘(80)은 상기 백업재(70)의 외측으로 충진되어 유리 창호들(90,90)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에서 건축물 내부로 빗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부이다.
이에 종래 커튼월은 크게 수직재, 수평재로 구성되는 강재프레임, 창호 및 상기 창호를 강재프레임에 연결하는 매개부재 역할을 하는 창호연결구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재프레임은 건물 외부에 고정철물에 의하여 설치되는데 외부에 노출되므로 부식방지를 위하여 아연 도금된 부재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된다.
하지만, 강재프레임을 운반 및 설치하는 과정에서 표면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손상부위는 종래 단순 페인트 터치로 해결하는데 이는 불완전하여 결국 강재프레임이 부식됨에 따라 결로현상에 의하여 녹물이 흘러내리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재프레임은 강재로 제작한 것이 사용되고, 창호를 강재프레임에 연결시키기 위한 창호연결구는 부식방지 및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알루미늄과 강재가 서로 접할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화학반응에 의한 이온화현상에 의한 강재프레임 및 알루미늄의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강재프레임은 건물 내부에서 볼 때, 통상 회색계열의 격자 틀로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강재프레임은 창호의 중량을 모두 부담하게 되므로 부재의 단면이 커질 수밖에 없고, 단순히 강재질감만이 표현되므로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맞출 수 있는 인테리어 화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커튼월에 있어 강재프레임을 건물 외부에 설치함에 있어서, 간단하게 강재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재와 수평재에 삽입 설치하는 방식으로 천연 및 인공 석재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장착시킴으로써, 강재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증진시키면서 강재프레임을 인테리어화 할 수 있으며, 단열 및 이온화에 의한 강재프레임의 부식과 이로 인한 결로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커튼월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건물외벽에 장착되는 수직재 및 수평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격자형태의 강재프레임; 및 상기 강재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는 알루미늄 압출 형재를 포함하는 창호연결구에 의하여 강재프레임 전면에 부착되는 창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튼월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는 인공 또는 천연 석재 재질의 수직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가 외부에서 끼워져 접착제에 의하여 일체화되도록 하여 수평재에 연결되며, 상기 창호연결구는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에 의하여 배면부가 수직재인 전면에 체결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커튼월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재에도 수평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즉, 강재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재와 수평재를 다양한 표면질감과 칼라화 가능한 예컨대 인공 또는 천연석재로 제작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가 감싸도록 함으로써, 강재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고, 강재프레임의 인테리어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의 제작은 강재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되, 강재프레임과는 간단하게 접착제로 접착되도록 하여 설치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재 및 수평재는 강재의 표면 녹을 제거한 후 녹 방지 도장을 하도록 하되, 상기 표면 녹 제거는 쇼트 브라스팅으로 산화 녹을 제거 후 중 방식 도장을 하되, 150 내지 300 마이크 롬의 두께로 도장하여 부식방지에 만전이 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재는 T형 또는 관 형태의 부재로 형성되어 수직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는 수직재의 형태에 따른 T형 또는 관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커튼월을 제공하게 된다.
즉, 강재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재와 수평재는 다양한 형태의 부재가 이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맞추어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는 강재프레임을 감싸도록 하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재와 수평재는 수직재의 양 측면에 연결플레이트를 더 형성시키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수평재를 볼트 체결시켜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며, 상기 볼트체결은 수평재와 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된 타원형 홀이 서로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하되,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의 연결단부가 인공 또는 천연 석재 재질의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 양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의하여 볼트체결 되는 커튼월을 제공하게 된다.
즉, 강재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재와 수평재는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격자형태의 틀 형태로 설치된다. 이에 수직재에는 본 발명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가 설치되므로 이러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는 수직빔의 외부를 감싸지도록 하되 수직재와의 연결을 위하여 형성된 연결플레이트 또한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볼트와 너트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공 또는 천연 석재 재질의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의 연결단부는 단부 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단부 홈 내부에 볼트와 너트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단부 홈의 전면이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 외부 면에 접착에 의하여 부착되도록 하는 커튼월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호연결구는 수직재 전면에 설치된 폴리아미드 재질의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 상기 단열 및 이온화 방지패드 전면에 설치되는 알루미늄 압출형재;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전방으로부터 알루미늄 압출형재와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를 관통하여 수직재 전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아연 도금된 육각렌치볼트;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내측에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며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전방으로 파여진 홈 형태의 볼트 슬리브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 상기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볼트 슬리브부 외부에 후단부가 합성고무 개스킷에 의하여 끼워져 설치되며 전단면에 노출형재의 돌출배면부가 합성고무 개스킷 일체형재로 끼워져 접하도록 설치되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고정형재; 및 상기 노출형재 내부로부터 노출형재와 고정형재를 관통하여 돌출 알루미늄 압출 형재의 볼트 슬리브부 내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스크류 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재와 노출형재 사이에 고정형재 양측으로 창호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고정형재가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형 커튼월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출형재는 자연 측광 및 야광 발광 재를 첨가한 수지재질로 제작하거나 내부에 엘이디 발광램프를 내장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형재는 스크류볼트용 볼트홀이 형성된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과 일체화되는 전면판이 일체로 구분되어 결합된 것이 이용되도록 하고
상기 스크류볼트는 볼트부; 상기 볼트부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 전면에 파여진 홈으로써 렌치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렌치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커튼월을 제공하게 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은
첫째, 커튼월을 구성하는 강재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면서도 슬림화시킬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인 강재프레임을 이용한 커튼월 제공이 가능하다.
둘째, 상기 강재프레임은 다양한 칼라 및 석재질감을 가진 부재로써 인테리어화 할 수 있어 미관이 증진되며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커튼월 제공이 가능하다.
셋째, 커틀월을 강재프레임에 연결하는 연결철물에 해당하는 창호연결구가 강재로 제작되는 강재프레임과의 접촉에 의하여 이온화에 따른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하자발생의 여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커튼월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커튼월 시공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비 노출 방식의 커튼월의 연결플레이트가 설치된 수직재의 평면도, 수직재와 수평재의 연결단면도, 창호연결구의 조립도와 결합도,
도 3a, 도 3b 및 도 3c의 본 발명의 비 노출 방식의 커튼월 시공순서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노출 방식의 커튼월의 연결플레이트가 설치된 수직재의 평면도, 수직재와 수평재의 연결단면도 및 창호와 창호연결구의 결합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커튼월은 크게 비노출형 및 노출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는 창호를 연결시키는 창호연결구가 창호전면으로 노출되는 가의 차이에 의하여 구분되며,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발명에 의한 비 노출형 커튼월 >
본 발명의 커튼월은 도 2a와 같이 강재 제작된 수직재와 수평재를 격자형태의 조립틀로 제작하여 건물의 외벽에 고정시킨 강재프레임(100); 상기 강재프레임에 유리 창호(400)를 장착시키기 위한 창호연결구(200); 상기 강재프레임을 감싸도록 형성된 천연 또는 인조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 및 창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강재프레임(100)이 종래 건물의 외벽에 고정 설치될 때, 건물 내부에서 보이는 강재프레임(100)은 부식방지를 위하여 아연 도금된 표면을 보게 되는데 강재는 표면 질감이 다소 차가운 느낌이 들뿐만 아니라 대부분 부식방지를 위한 아연도금에 의한 회색계통의 표면색상을 가지므로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가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강재프레임(100)을 인조 또는 천연석재를 포함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로 감싸도록 하여 강재프레임(100)의 다양한 표면질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강재프레임(100)에 창호(400)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창호연결구(200)가 필요한데, 이러한 창호연결구(200)는 통상 부식방지를 위하여 알루미늄 부재로 제작하게 된다.
이에 강재로 제작된 강재프레임(100)과 알루미늄부재로 제작된 창호연결구(200)가 서로 연결되어 접하게 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금속(강재)과 비금속(알루미늄부재)이 화학 반응하여 이온화됨에 따른 부식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폴리아미드로 제작된 이온화 방지패드를 이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이온화 방지패드는 단열효과를 가질 수 있어 본 발명 에서는 이를 단열 및 이온화 방지패드(210)라 지칭하기로 한다.
먼저 수직재(110)와 수평재(120)로 구성되는 강재프레임(100)을 살펴본다.
이때, 상기 수직재와 수평재는 강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부식될 수 있다. 이에 통상 아연도금을 하여 부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게 되지만 이러한 도금은 제작 및 설치시 스크래칭 되는 등 손상이 발생할 경우 페인트붓으로 현장에서 보완하게 된다.
하지만 터치붓은 완벽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식이 진행될 수 있다. 이에 결로현상에 의하여 녹물이 발생하여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직 재 및 수평재는 강재의 표면 녹을 제거한 후 녹 방지 도장을 하도록 하되, 높은 압력에 분사한 작은 금속 알로 쇼트 브라스팅으로 산화 녹을 제거 후 중 방식 도장을 하되, 중도 상도 3회 도장으로 150 내지 300 마이크 롬의 두께로 도장 하여 산화 부식 될 수 있는 우려를 사전차단 하게 된다.
상기 수직재(110)는 다양한 단면 형태의 강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직재는 강재프레임으로써 유리창호가 건물 외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수직재(110)는 T형 단면, 타원형 단면과 같은 관 형태 부재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직재의 단면 형태는 강재프레임(100)의 구조적 연결 강성, 미관, 제작의 편의성,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T형 단면의 수직재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T형 단면의 수직재(110)는 도 2a와 같이 빌트업 방식으로 평판형태의 수직 및 수평강재(111,112)를 이용하여 T형 단면으로 용접 형성시키면 된다.
이러한 T형 단면의 수직재(110)는 후술되는 수평재(120)와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플레이트(113)가 수평재(120)의 연결위치를 고려하여 수직재(110)의 측면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연결플레이트(113)에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수평재(120)와 볼트(115)와 너트에 의한 체결을 위한 볼트홀(114)이 형성되어 있어 수평재(120)와 기계적 체결방식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 작업은 건물 외벽에 미리 설치된 수직재(120)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수직재와 수평재는 도 2b와 같이 수직재의 양 측면에 연결플레이트(113)를 더 형성시키고, 상기 연결플레이트(113)와 수평재(120)를 볼트(115) 체결시켜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며, 상기 볼트체결은 수평재와 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된 타원형 홀이 서로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수평재(120)는 도 3a와 같이 수직재(110)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격자형태의 강재프레임(100)을 형성시키게 되는데, 역시 다양한 단면 형태의 다양한 단면 형태의 강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을 것이며, 수평재와 함께, 강재프레임으로써 유리창호가 건물 외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재(120)는 예컨대, 상기 수직재(110)의 연결플레이트(113)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면을 가진 판재형태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연결플레이트(113)의 볼트홀(114)에 대응한 체결 볼트홀(124)이 연결부에 형성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볼트홀(124)은 커튼월에 작용하는 하중 및 온도에 의한 팽창 등을 고려하여 연결플레이트(113)와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의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재(110)와 수평재(120)는 건물 외부에서는 유리 창호(400)에 의하여 외관만 실루엣으로 보이지만 건물 내부에서는 표면이 그대로 노출된다.
이에 본 발명은 수직재(100)와 수평재(120)를 다양한 색상표현이 가능한 천연석재 또는 인조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300a,300b);가 감싸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이러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수직재(110)와 수평재(1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T형 단면의 수직재(110)를 감싸 형성될 수 있는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가 이용된다.
이에,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수직재(110)를 구성하는 수직 및 수평강재(111,112)와 후술되는 창호연결구(200)의 일부를 모두 감싸도록 형성시켜 건물 내부에서 수직재(110)와 창호연결구(200)는 모두 다양한 재질을 가진 질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어 강재프레임(100)이 인테리어화가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이러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를 천연석재 또는 인조석재로 제작하게 되면 강재프레임(100)은 마치 석재로 형성된 것으로 보일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과 형광표면에 의한 인테리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강재프레임(100)과 예컨대 석재용 접착제로 서로 일체화 시킬 수 있으며, 강재프레임(100)의 형상에 따라 미리 공장에서 그 형상을 세팅시킬 경우 수직재(110)와 수평재(120)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그 설치 시공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강재프레임(100)과 일체화 되어 강재프레임을 보강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강재프레임(100)을 보다 슬림하게 제작하고, 부족한 강성을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로 보완 할 경우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 추가 설치에 의한 비용 상승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수직재용으로써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예컨대 수직재(110)를 감싸는 수직재마감부(310)와 창호연결구(200)를 감싸는 창호연결구 마감부(320)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미리 공장에서 창호연결구(200)가 설치된 수직재(110)를 감싸도록 설치하고, 현장에서는 창호연결구(200), 수직재(110)와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건물 외벽에 미리 설치된 수평재(120)에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b와 같이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수직재(110) 뿐만 아니라 수평재(120)를 감싸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수직재 및 수평재 각각에 설치하게 되어 수직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a)와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b)로 크게 나눌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도 2b와 같이, 수직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a)와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b)는 서로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마감시킬 수 있게 되며, 연결플레이트(113)는 볼트(115)와 너트에 의하여 수직재와 수평재가 서로 겹쳐지도록 연결시키고 있어 그 부위에는 다는 부위보다 좀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게 되므로 이러한 연결부위도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에 의하여 감싸질 수 있도록
즉, 연결플레이트(113)에 형성되는 볼트(115)와 너트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공 또는 천연 석재 재질의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의 연결단부는 단부 홈(116)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단부 홈 내부에 상기 볼트와 너트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단부 홈의 전면이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 외부 면에 접착에 의하여 부착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창호연결구(200)는 강재프레임(100)에 창호(400)를 연결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종래 다양한 형태로 소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2c와 같이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 알루미늄 압출형재(220), 육각렌치볼트(230),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 고정형재(250)를 포함하게 되며, 고정형재(250)가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되어 비노출형 이라고 지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먼저, 도 2c와 같이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는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로 된 패드형태 부재로 앞서 살펴본 강재로 제작된 강재프레임(100)과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창호연결구(200)의 접촉부위에서 발생하는 이온화에 의한 부식방지 역할을 하는 패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는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배면부(221)에 슬라이딩 시키면서 삽입 설치하게 된다. 이에 수직재(110)의 연장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는 몸톰부(211)와 상기 몸통부(211) 양 단부에 꺽임부(2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꺽임부(212) 내측으로 양 측단부가 파여진 홈(222)으로 형성된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배면부(221)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압출형재(220)는 후술되는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가 장착되도록 하여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를 수직재(110)에 고정시키는 매개부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수직재(110)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일종의 채널부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형재(220)는 경량화를 위하여 통상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 것이 이용되며, 도 2a와 같이 아연 도금된 육각렌치볼트(230)에 의하여 수직재(110)에 고정된다.
즉, 육각렌치볼트(230)를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전방으로부터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와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를 관통하여 수직재(110) 전면을 관통하여 체결시켜 알루미늄 압출형재(220)를 설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재(220)는 단면형태를 기준으로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가 장착되는 측단부가 파여진 홈(222)이 형성된 배면부(221), 상기 배면부(221)의 양 단부로부터 내측공간부(S)를 형성하도록 연장된 양 측벽부(223); 상기 양 측벽부(223)의 단부로부터 양 측으로 연장된 전면부(224)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부(221)는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 단부는 파여진 홈(22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면부(224)는 도 2a와 같이 측벽부(222)의 양 외측으로 연장되어 앞서 살펴본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가 지지되도록 하며, 고정형재(250)로 감싸진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가 내측공간부(S)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전면부(224)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고정형재(250)로 감싸진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는 내측공간부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내측면에는 다양한 미 표시된 돌출걸림부(225)들을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배면부(221)와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에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육각렌치볼트(230)에 의하여 수직재(110)에 고정 설치된다.
즉, 육각렌치볼트(230)는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내측공간부(S)로부터 상기 배면부(221)에 형성된 볼트홀을 관통하고, 상기 배면부(221)의 볼트홀에 대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를 관통하여 최종 수직재(110)에 체결되어 알루미늄 압출형재(220)가 수직재(110)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육각렌치볼트(230)는 볼트부(231); 상기 볼트부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232); 상기 헤드부 전면에 파여진 홈으로써 렌치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렌치홈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이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는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내측공간부(S)에 삽입 장착되어 창호가 부착될 수 있는 일종의 어댑터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통상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것이 이용된다.
이에 이때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에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고정형재(250)가 감싸지도록 하여 단열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고정형재(250)로 감싸진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는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내측공간부(S)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면서 창호(400)가 도 3b와 같이 양 측방에 설치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게 된다.
이에 상기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는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내측공간부(S)에 삽입되는 몸통부(241)와 연결채널의 전면수평부 사이로 연장되는 돌출연장부(242)로 형성되며, 고정형재(250)는 창호부착용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고정형재(250)에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가 삽입되어 일체화된 것이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내측공간부(S)에 삽입되도록 하되, 돌출연장부(242)가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이격된 전면부(224)를 통하여 돌출되도록 세팅시키게 된다.
결국, 도 3b와 같이 연결플레이트(113)가 형성된 수직재(110)가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에 의하여 감싸지도록 하고, 상기 수직재(110)에 육각렌치볼트(230)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 창호연결구(200)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113)에 수평재(120)가 연결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고정형재(250)로 감싸진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에 창호(400)가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창호(400)의 설치방법은 먼저, 도 3c와 같이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에 삽입 설치된 고정형재(250)로 감싸진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를 기준으로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전면부(224)에 창호부착용 양면테이프(410)를 부착하고, 상기 창호부착용 양면테이프(410)의 전면에 창호(400)의 연결단부의 배면이 각각 접착되도록 하여 각 창호(400)의 연결단부면이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 양측으로 이격되어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고정형재(250)로 감싸진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를 구성하는 돌출연장부(242)의 전방 양 측면에는 백업재(420)를 형성시킨 후, 고정형재(250)로 감싸진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가 노출되지 않도록 창호(400)의 연결단부 전면에는 방수실런트(430)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창호부착용 양면테이프(410)에 부착된 창호(400)는 구조용 실런트(440)에 의하여 보다 확실하게 강재프레임(100) 및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창호(400)는 도 3c와 같이 이중으로 유리글라스가 이격되어 일체된 것이 이용되며, 건물 외부에서는 창호(400)만이 노출되고 이러한 창호(400)를 건물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강재프레임(100), 창호연결구(200),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노출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방식을 비노출형 커튼월이라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강재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재(110)뿐만 아니라, 수평재(120)도 역시 감싸도록 설치되며, 이때 수직재의 연결플레이트와 연결된 수평재(120)를 감쌀 수 있도록 미리 형상이 세팅된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b)를 강재프레임(100) 설치 후 별도로 수평재(120)에 삽입설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강재프레임(100)은 모두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300a,300b)와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b)에 모두 감싸져 설치되므로 건물 내부에서 강재프레임은 미관이 매우 뛰어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에 의한 비 노출형 커튼월의 시공방법 >
이에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비 노출형 커튼월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도 3a, 도 3b 및 도 3c와 같이,
먼저 수직재, 수평재를 포함하는 강재프레임(100), 창호연결구(200),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 및 창호(400)를 제작하여 준비하여 둔 상태에서,
먼저 건물외벽에 상기 강재프레임(10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강재프레임(100)는 수직재(110)와 수평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예컨대, 먼저, 수직재(110)를 건물외벽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재(110)에는 미리 연결플레이트(113)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수평재(120)를 수직재(110)와 일체화시킨 것이 설치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3b와 같이 강재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수직재(110)와 수평재(120)에 각각 수직재용 및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a,300b)가 감싸지도록 하게 된다.
이때, 적어도 수직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a)는 수직재(110) 제작 시 미리 서로 접착제에 의하여 일체화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b)는 현장에서 수평재(120)에 장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도 3c와 같이 앞서 살펴본 창호연결구(200)가 수직재(110) 전방에 돌출되도록 장착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창호연결구(200)는 미리 수직재(110)에 장착시켜 놓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창호연결구(200)를 이용하여 창호(400)를 노출형으로 설치하게 된다.
< 본 발명에 의한 노출형 커튼월 >
본 발명에 의한 노출형 커튼월은 앞서 살펴본 비노출형 커튼월과 대비하여 창호(400)를 설치함에 있어 창호연결구(200)를 구성하는 노출형재(260)가 창호 전방에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기본적으로 강재로 제작된 수직재와 수평재를 격자형태의 조립틀로 제작하여 건물의 외벽에 고정시킨 강재프레임(100); 상기 강재프레임에 유리창호(400)를 장착시키기 위한 창호연결구(200); 상기 강재프레임을 감싸도록 형성된 천연 또는 인조석재를 포함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 및 창호(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은 동일하다.
이하 도 4a, 도 4b 및 도 4c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먼저 수직재(110)와 수평재(120)로 구성되는 강재프레임(100)을 살펴본다.
수직재(110)는 앞서 다양한 단면 형태의 강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음을 살펴본 바와 같으며 강재프레임으로써 유리창호가 건물 외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임은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경우에는 T형 단면의 수직재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T형 단면의 수직재(110)는 역시 빌트업 방식으로 평판형태의 수직 및 수평강재를 이용하여 T형 단면으로 용접 형성시키면 된다.
이러한 T형 단면의 수직재(110)는 후술되는 수평재(120)와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플레이트(113)를 수평재(120)의 연결위치를 고려하여 수직재(110)의 측면에 부착시키게 된다.
이에 역시 연결플레이트(113)에는 수평재(120)와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을 위한 볼트홀(114)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에 의하여 수평재와 기계적 체결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수평재(120)는 수직재(110)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격자형태의 강재프레임(100)을 형성시키게 되는데, 역시 다양한 단면 형태의 다양한 단면 형태의 강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을 것이며, 수평재와 함께, 강재프레임으로써 유리창호가 건물 외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임은 동일하다.
이러한 수평재(120)는 예컨대, 상기 수직재(110)의 연결플레이트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면을 가진 판재형태의 부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연결플레이트의 볼트홀(114)에 대응한 체결 볼트홀(124)이 형성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역시 체결 볼트홀(124)은 커튼월에 작용하는 하중 및 온도에 의한 팽창 등을 고려하여 연결플레이트(113)와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의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직재(110)와 수평재(120)는 건물 외부에서는 유리창호에 의하여 외관만 실루엣으로 보이지만 건물 내부에서는 표면이 그대로 노출된다.
이에 본 발명은 수직재(100)와 수평재(120)를 다양한 색상표현이 가능한 천연석재 또는 인조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가 감싸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이러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수직재(110)와 수평재(1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T형 단면의 수직재(110)를 감싸 형성될 수 있는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가 이용됨은 동일하다.
이에,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수직재(110)를 구성하는 수직 및 수평강재(310,320)와 후술되는 창호연결구(200)의 일부를 모두 감싸도록 형성시켜 건물 내부에서 수직재(110)와 창호연결구(200)는 모두 다양한 재질을 가진 질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어 강재프레임(100)이 인테리어화가 가능하게 된다.
역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를 천연석재 또는 인조석재로 제작하게 되면 강재프레임(100)은 마치 석재로 형성된 것으로 보일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과 형광표면에 의한 인테리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역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강재프레임(100)과 예컨대 석재용 접착제로 서로 일체화 시킬 수 있으며, 강재프레임(100)의 형상에 따라 미리 공장에서 그 형상을 세팅시킬 경우 수직재(110)와 수평재(120)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그 설치 시공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역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강재프레임(100)과 일체화 되어 강재프레임을 보강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강재프레임(100)을 보다 슬림하게 제작하고, 부족한 강성을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로 보완 할 경우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 추가 설치에 의한 비용 상승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예컨대 수직재(110)를 감싸는 수직재마감부(310)와 창호연결구(200)를 감싸는 창호연결구마감부(320)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미리 공장에서 창호연결구(200)가 설치된 수직재(110)를 감싸도록 설치하고, 현장에서는 창호연결구(200), 수직재(110)와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건물 외벽에 미리 설치된 수평재(120)에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동일하다.
또한 도 4b와 같이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수직재(110) 뿐만 아니라 수평재(120)를 감싸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수직재 및 수평재 각각에 설치하게 되어 수직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a)와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b)로 크게 나눌 수 있음도 도 5b와 같이 동일하다.
나아가 도 4b와 같이, 수직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a)와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b)는 서로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마감시킬 수 있게 되며, 연결플레이트(113)는 볼트(115)와 너트에 의하여 수직재와 수평재가 서로 겹쳐지도록 연결시키고 있어 그 부위에는 다는 부위보다 좀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게 되므로 이러한 연결부위도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에 의하여 감싸질 수 있도록
즉, 연결플레이트(113)에 형성되는 볼트(115)와 너트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공 또는 천연 석재 재질의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의 연결단부는 단부 홈(116)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단부 홈 내부에 상기 볼트와 너트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단부 홈의 전면이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 외부 면에 접착에 의하여 부착되도록 함도 동일하다.
다음으로 창호연결구(200)는 도 4a 및 도 4c와 같이 강재프레임(100)에 창호(400)를 연결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종래 다양한 형태로 소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 알루미늄 압출형재(220), 육각렌치볼트(230),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 고정형재(250), 노출형재(260)및 스크류볼트(270)를 포함하게 되며, 노츨형재(260)가 외부에서 노출되도록 하여 노출형 이라고 지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역시,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는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로 된 패드형태 부재로 앞서 살펴본 강재로 제작된 강재프레임(100)과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창호연결구(200)의 접촉부위에서 발생하는 이온화에 의한 부식방지 역할을 하는 패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는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배면부(221)에 슬리이딩시키면서 삽입 설치하게 된다. 이에 수직재(110)의 연장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는 역시 도 2a, 도 4a 및 도 4c와 같이 몸톰부(211)와 상기 몸통부양 단부에 꺽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꺽임부 내측으로 양 측단부가 파여진 홈으로 형성된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배면부(221)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압출형재(220)는 역시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를 수직재(110)에 고정시키는 매개부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수직재(110)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일종의 채널부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형재(220)는 경량화를 위하여 통상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 것이 이용되며, 아연 도금된 육각렌치볼트(230)에 의하여 수직재(110)에 고정된다.
즉, 도 2a 및 도 4a와 같이 육각렌치볼트(230)를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전방으로부터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와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를 관통하여 수직재(110) 전면을 관통하여 체결시켜 알루미늄 압출형재(220)를 설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역시 도 2a 및 도 4a와 같이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재(220)는 단면형태를 기준으로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가 장착되는 측단부가 파여진 홈(222)이 형성된 배면부(221), 상기 배면부(221)의 양 단부로부터 내측공간부(S)를 형성하도록 연장된 양 측벽부(223); 상기 양 측벽부(223)의 단부로부터 양 측으로 연장된 전면부(224)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부(221)는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 단부는 파여진 홈(22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면부(224)는 도 2a와 같이 측벽부(223)의 양 외측으로 연장되어 앞서 살펴본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가 지지되도록 하며, 고정형재(250)로 감싸진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가 내측공간부(S)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전면부(224)는 서로 이격되어 역시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는 내측공간부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내측면에는 다양한 돌출걸림부(225)들을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배면부(221)와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육각렌치볼트(230)에 의하여 수직재(110)에 고정 설치된다.
즉, 육각렌치볼트(230)도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내측공간부(S)로부터 상기 배면부(221)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배면부(221)의 관통홀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를 관통하여 최종 수직재(110)에 체결되어 알루미늄 압출형재(220)가 수직재(110)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육각렌치볼트(230)는 역시 볼트부(231); 상기 볼트부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232); 상기 헤드부 전면에 파여진 홈으로써 렌치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렌치홈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이용됨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는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내측공간부(S)에 삽입 장착되어 창호가 부착될 수 있는 일종의 어댑터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통상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것이 이용됨은 동일하다.
이에 이때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의 후술되는 돌출연장부(242)에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고정형재(250)가 감싸지도록 하여 단열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전방부가 고정형재(250)로 감싸진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는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내측공간부(S)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는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내측공간부에 삽입되는 몸통부(241)와 연결채널의 전면수평부 사이로 연장되는 돌출연장부(242)로 형성되며, 고정형재(250)는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의 돌출연장부(242)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의 몸통부(241)가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내측공간부(S)에 삽입되도록 하되, 돌출연장부(242)가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이격된 전면부(224)를 통하여 돌출되도록 세팅시키게 된다.
결국, 연결플레이트(113)가 형성된 수직재(110)가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에 의하여 감싸지도록 하고, 상기 수직재(110)에 육각렌치볼트(230)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 창호연결구(200)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113)에 수평재(120)가 연결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고정형재(250)가 전방을 감싸고 있는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에 노출형재(260)에 의하여 창호(400)가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노출형재(260)를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의 돌출연장부(242)의 중앙부 전면에는 파여진 홈 형태의 볼트 슬리브부(243)가 형성되도록 하고,
노출형재(260) 내측으로부터 고정형재(250)를 관통하고,
상기 볼트 슬리브부(243)에 체결되는 스크류볼트(270)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형재(250)는 전체적으로 내측보강판(252)이 형성된 관형태의 부재로써 상기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의 볼트 슬리브부(243) 외부에 후단부가 합성고무 개스킷(251)에 의하여 끼워져 설치되며 전단면에 노출형재(260)의 돌출배면부가 합성고무 개스킷(251) 일체형재로 끼워져 접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에 합성고무 개스킷(251)은 재질적 특성으로 단열효과를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노출형재(260)는 스크류볼트(270)가 내측에서 설치될 수 있도록 스크류볼트용 볼트홀이 형성된 배면판(271)과 상기 배면판과 일체화되는 전면판(272)이 일체로 구분되어 결합된 것이 이용되며, 배면판(271)의 중장배면은 고정형재(250)에 합성고무 개스팃(251)에 의하여 장착된다.
이에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와 노출형재(260) 사이에 고정형재(250) 양측으로 창호(400)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고정형재(250)가 노출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창호(400)의 설치방법은 도 4c와 같이 먼저,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전면부(224)에 창호부착용 양면테이프(410)를 부착하고, 상기 창호부착용 양면테이프(410)의 전면에 창호(400)의 연결단부의 배면이 각각 접착되도록 하여 각 창호(400)의 연결단부가 고정형재(250) 양측으로 이격되어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양면테이프(410)의 측방에 내부 방수실런트(430)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노출형재(260)의 배면에는 백업재(420)를 형성시킨 후, 노출형재(260) 배면과 알루미늄 압출형재(220)의 전면부(224) 사이에 창호(400)가 배치되도록 하고, 백업재(420)의 측방에 외부 방수실런트(440)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창호부착용 양면테이프(410)에 부착된 창호(400)는 역시 방수실런트(440)에 의하여 보다 확실하게 강재프레임(100) 및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역시 상기 창호(400)는 이중으로 유리글라스가 이격되어 일체된 것이 이용되며, 건물 외부에서는 창호(400)와 노출형재(260)가 노출되고 이러한 창호(400)를 건물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강재프레임(100), 창호연결구(200),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노출되지 않아 이러한 방식을 노출형 커튼월이라 하게 된다.
또한, 역시 상기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는 강재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재(110)뿐만 아니라, 수평재(120)도 역시 감싸도록 설치되며, 이때 수직재의 연결플레이트와 연결된 수평재(120)를 감쌀 수 있도록 미리 형상이 세팅된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b)를 강재프레임(100) 설치 후 별도로 수평재(120)에 삽입설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강재프레임(100)은 모두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300a,300b)와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b)에 모두 감싸져 설치되므로 건물 내부에서 강재프레임은 미관이 매우 뛰어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에 의한 노출형 커튼월의 시공방법 >
이에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비 노출형 커튼월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역시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먼저 수직재, 수평재를 포함하는 강재프레임(100), 창호연결구(200),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 및 창호(400)를 제작하여 준비하여 둔 상태에서,
먼저 건물외벽에 상기 강재프레임(10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강재프레임(100)는 수직재(110)와 수평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예컨대, 먼저, 수직재(110)를 건물외벽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재(110)에는 미리 연결플레이트(113)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수평재(120)를 수직재(110)와 일체화시킨 것이 설치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역시 강재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수직재(110)와 수평재(120)에 각각 수직재용 및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a,300b)가 감싸지도록 하게 된다.
이때, 적어도 수직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a)는 수직재(110) 제작 시 미리 서로 접착제에 의하여 일체화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b)는 현장에서 수평재(120)에 장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앞서 살펴본 창호연결구(200)가 수직재(110) 전방에 돌출되도록 장착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창호연결구(200)는 미리 수직재(110)에 장착시켜 놓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창호연결구(200)를 이용하여 창호(400)를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알루미늄 압출형재(220)과 노출형재(260) 사이에 노출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100: 강재프레임
110: 수직재 120: 수평재
200: 창호연결구 210: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
220: 알루미늄 압출형재
230: 육각렌치볼트
240: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
250: 고정형재
260: 노출형재
270: 스크류볼트
300: 천연 또는 인조석재로 제작된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
300a: 수직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
300b: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
400: 창호

Claims (15)

  1. 건물외벽에 장착되는 수직재(110) 및 수평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격자형태의 강재프레임(100); 및 상기 강재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는 알루미늄 압출 형재를 포함하는 창호연결구(200)에 의하여 강재프레임 전면에 부착되는 창호(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튼월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110)는 인공 또는 천연 석재 재질의 수직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가 외부에서 끼워져 접착제에 의하여 일체화되도록 하여 수평재(120)에 연결되며, 상기 창호연결구(200)는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에 의하여 배면부가 수직재인 전면에 볼트(115)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창호연결구(200)는
    수직재 전면에 설치된 폴리아미드 재질의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210); 상기 단열 및 이온화 방지패드 전면에 설치되는 알루미늄 압출형재(220);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전방으로부터 알루미늄 압출형재와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를 관통하여 수직재 전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아연 도금된 육각렌치볼트(230);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내측에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며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전방으로 파여진 홈 형태의 볼트 슬리브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240); 상기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볼트 슬리브부 외부에 후단부가 합성고무 개스킷(251)에 의하여 끼워져 설치되며 전단면에 노출형재(260)의 돌출배면부가 합성고무 개스킷 일체형재로 끼워져 접하도록 설치되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고정형재(250); 및 상기 노출형재 (260) 내부로부터 노출형재와 고정형재를 관통하여 돌출 알루미늄 압출 형재의 볼트 슬리브부 내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스크류 볼트(270);를 포함하여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재와 노출형재 사이에 고정형재 양측으로 창호(400)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고정형재가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110) 및 수평재(120)는 강재의 표면 녹을 제거한 후 녹 방지 도장을 하도록 하되, 상기 표면 녹 제거는 쇼트 브라스팅으로 산화 녹을 제거 후 중 방식 도장을 하되, 150 내지 300 마이크 롬의 두께로 도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110)는 T형 또는 관 형태의 부재로 형성되어 수직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a)가 수직재(110)의 형태에 따른 T형 또는 관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120)에도 천연 또는 인공석재 재질의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300b)가 외부에서 끼워져 접착제에 의하여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110)와 수평재(1200는 수직재의 양 측면에 연결플레이트(113)를 더 형성시키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수평재를 볼트 체결시켜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며, 상기 볼트체결은 수평재와 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된 타원형 홀이 서로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하되,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의 연결단부가 인공 또는 천연 석재 재질의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 양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의하여 볼트체결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113)에 형성되는 볼트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공 또는 천연 석재 재질의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의 연결단부는 단부 홈(116)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단부 홈 내부에 볼트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단부 홈의 전면이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 외부 면에 접착에 의하여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형재(260)는 자연 측광 및 야광 발광 재를 첨가한 수지재질로 제작하거나 내부에 엘이디 발광램프를 내장되도록 하는 것을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형재(260)는 스크류볼트용 볼트홀이 형성된 배면판(261)과 상기 배면판과 일체화되는 전면판(262)이 일체로 구분되어 결합된 것이 이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볼트(270)는 볼트부; 상기 볼트부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 전면에 파여진 홈으로써 렌치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렌치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11. 삭제
  12. 건물외벽에 장착되는 수직재 및 수평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격자형태의 강재프레임(100); 및 상기 강재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는 알루미늄 압출 형재를 포함하는 창호연결구(200)에 의하여 강재프레임 전면에 부착되는 창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튼월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는 인공 또는 천연 석재 재질의 수직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가 외부에서 끼워져 접착제에 의하여 일체화되도록 하여 수평재에 연결되며, 상기 창호연결구는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에 의하여 배면부가 수직재인 전면에 체결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의 시공방법을
    건물외벽에 상기 강재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프레임에 수직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와 수평재용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설치하는 단계;
    수직재 전면에 설치된 폴리아미드 재질의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 상기 단열 및 이온화 방지패드 전면에 설치되는 알루미늄 압출형재;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전방으로부터 알루미늄 압출형재와 단열 및 이온화방지 패드를 관통하여 수직재 전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아연 도금된 육각렌치볼트; 상기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내측에 슬라이딩되어 장착되며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전방으로 파여진 홈 형태의 볼트 슬리브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 상기 돌출 알루미늄 압출형재의 볼트 슬리브부 외부에 후단부가 합성고무 개스킷에 의하여 끼워져 설치되며 전단면에 자연 측광 및 야광 발광 재를 첨가한 수지재질로 제작하거나 내부에 엘이디 발광램프가 내장된 노출형재의 돌출배면부가 합성고무 개스킷 일체형재로 끼워져 접하도록 설치되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고정형재; 및 상기 노출형재 내부로부터 노출형재와 고정형재를 관통하여 돌출 알루미늄 압출 형재의 볼트 슬리브부 내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스크류 볼트;를 포함하는 창호연결구를 이용하여 강재프레임에 창호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여 창호가 노출형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의 시공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00070274A 2010-07-21 2010-07-21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및 그 시공방법 KR101204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274A KR101204472B1 (ko) 2010-07-21 2010-07-21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274A KR101204472B1 (ko) 2010-07-21 2010-07-21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39A KR20120009739A (ko) 2012-02-02
KR101204472B1 true KR101204472B1 (ko) 2012-11-27

Family

ID=45834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274A KR101204472B1 (ko) 2010-07-21 2010-07-21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177B1 (ko) * 2012-04-17 2014-08-18 주식회사 케이씨씨 커튼월 단열시스템
KR101349109B1 (ko) * 2012-04-20 2014-01-23 유한회사 에스와이 외벽 고정 장치
CN103422593B (zh) * 2012-05-15 2015-10-28 深圳市方大建科集团有限公司 亚克力板幕墙的连接结构及其连接方法
KR101359429B1 (ko) * 2012-10-16 2014-02-07 정준원 스틸 커튼월용 프레임 및 그를 포함한 스틸 커튼월
CN103266703B (zh) * 2013-04-24 2015-11-04 瑞高(浙江)建筑系统有限公司 陶土板幕墙安装结构
CN103321334A (zh) * 2013-07-02 2013-09-25 苏州金螳螂幕墙有限公司 一种玻璃幕墙的装饰线条
CN103352528B (zh) * 2013-07-19 2015-10-28 湖南省金为型材有限公司 用于幕墙门窗的钢制龙骨框架
CN103572872B (zh) * 2013-11-12 2015-07-29 四川盛邦建设工程有限公司 石材幕墙龙骨结构及其安装方法
CN103821270B (zh) * 2014-02-26 2016-02-10 广西建工集团第四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陶土板幕墙安装结构
CN103993690A (zh) * 2014-05-24 2014-08-20 宁波华宝石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贴片石幕墙安装方法
CN104153505A (zh) * 2014-08-25 2014-11-19 中机中联工程有限公司 整体装配式石材柱及其装配方法
WO2016200037A1 (ko) * 2015-06-10 2016-12-15 동국제강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의 스틸 커튼월
CN107060166B (zh) * 2017-04-28 2019-02-19 武汉凌云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圆弧菱形石材幕墙
CN107268440A (zh) * 2017-05-23 2017-10-20 中建钢构有限公司 一种自行车高速路钢结构的防腐涂装施工方法
CN107035042B (zh) * 2017-06-09 2022-12-30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仿石材幕墙系统及其施工方法
CN109339317B (zh) * 2018-11-20 2023-09-26 江苏广源幕墙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玻璃幕墙组装调节装置
CN109537785A (zh) * 2018-12-20 2019-03-29 中机中联工程有限公司 一种背栓石材开缝防水幕墙
CN110042993A (zh) * 2019-04-29 2019-07-23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建筑外立面铝方通连接装置及连接方法
CN110284636A (zh) * 2019-06-12 2019-09-27 苏州金螳螂幕墙有限公司 一种装饰构件的装配式组框安装结构
CN113775090A (zh) * 2021-07-22 2021-12-10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仿古清水砖幕墙支撑结构及方法
CN114811535A (zh) * 2022-04-26 2022-07-29 上海宝冶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泛光照明系统的安装方法
CN114856049B (zh) * 2022-05-30 2024-05-03 中建八局西南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可拆卸幕墙挂件系统
CN115324361A (zh) * 2022-07-28 2022-11-11 中建东方装饰有限公司 一种异型立面拉索幕墙的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761Y1 (ko) * 2000-03-06 2000-07-15 정용주 조립식 석재 커튼월
KR200436543Y1 (ko) * 2006-11-14 2007-09-04 이호영 형틀타일
KR100848845B1 (ko) * 2006-08-04 2008-07-28 (주)무한이엔지 스틸 프레임을 이용한 유리 창호의 커튼 월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761Y1 (ko) * 2000-03-06 2000-07-15 정용주 조립식 석재 커튼월
KR100848845B1 (ko) * 2006-08-04 2008-07-28 (주)무한이엔지 스틸 프레임을 이용한 유리 창호의 커튼 월 구조
KR200436543Y1 (ko) * 2006-11-14 2007-09-04 이호영 형틀타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39A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472B1 (ko) 석재 재질의 강재프레임 표면마감재를 이용한 커튼월 및 그 시공방법
CN105507539B (zh) 一种轻质外墙点挂保温装饰板组合锚接体系及其施工方法
KR100989934B1 (ko) 조립식 커튼월 모듈의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85026B1 (ko) 스틸 알루미늄 조합형 유닛 타입 커튼월
CN105102092A (zh) 一种墙体及其施工方法
KR101235718B1 (ko) 유닛 타입 스틸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장착구조
KR20100087242A (ko) 홈 복층패널 고정구 및 캡
KR101281884B1 (ko) 장식판 단열패널을 이용한 커튼월시스템
CN111424864A (zh) 外附百叶铝格栅的节能幕墙系统及其安装方法
CN101497254A (zh) 一种保温板及其制作和安装方法
CN211369199U (zh) 一种双向排水槽幕墙
CN109537767A (zh) 一种单元板和窗一体化集成系统及其制作方法
KR20100040420A (ko) 건축물 벽체용 내,외장재 설치구조
CN109386066A (zh) 钢柱装配式装修的防火连接构造
CN211058047U (zh) 一种具有金属彩色饰面的装配式保温板
RU6713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фасадных плит
CN210798136U (zh) 一种新型墙体装饰复合板材
CN210288833U (zh) 一种与主体钢结构栓接的异型铝板吊挂系统
CN209509207U (zh) 一种钢柱装配式装修的防火连接构造
CN205777260U (zh) 无模数装配式结构装饰板系统
CN212026985U (zh) 一种竖向连接机构及采用该竖向连接机构的连接框架结构
KR20150133467A (ko) 커튼월의 포밍 스틸프레임 결합 구조와 그 결합방법
CN217557328U (zh) 铝板幕墙拼接缝结构
CN219931062U (zh) 一种用于大面积地下室施工的防渗漏墙板
CN214884708U (zh) 一种防水防腐保温幕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