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096B1 -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096B1
KR101204096B1 KR1020110008957A KR20110008957A KR101204096B1 KR 101204096 B1 KR101204096 B1 KR 101204096B1 KR 1020110008957 A KR1020110008957 A KR 1020110008957A KR 20110008957 A KR20110008957 A KR 20110008957A KR 101204096 B1 KR101204096 B1 KR 101204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image sensor
infrared
disposed
optica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632A (ko
Inventor
김영섭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096B1/ko
Priority to US13/358,715 priority patent/US20120194728A1/en
Publication of KR20120087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7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the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 controlling the colour, i.e. a spectral characteristic, of the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관련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은,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빛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1위치와 상기 광 경로로부터 벗어난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적외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외선 필터와, 상기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가변 초점 액정 렌즈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Image sensor modul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가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 모듈과,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센서는 가시광선 이외에 적외선도 감지하는데, 주간 촬영과 같이 가시광선의 양이 충분한 경우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를 사용하여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적외선을 차단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빛이 충분하지 않은 환경, 예컨대 야간 촬영의 경우에는 가시광선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에 적외선도 함께 촬영할 필요가 있으므로, 적외선 차단 필터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감시 카메라와 같이 주야간을 불문하고 상시적으로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 장치의 경우, 주간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를 이미지 센서의 전방에 배치하고 야간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를 이미지 센서의 전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적외선 차단 필터를 구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이동식 적외선 차단 필터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의 일례가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86124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동식 적외선 차단 필터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의 경우는 적외선 차단 필터가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광 경로에 진입 및 이탈됨에 따라서 후방 초점 거리(Back focal length)가 변동된다. 따라서 적외선 차단 필터의 이동에 따라서 영상의 초점이 맞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861241호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은,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기계적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861241호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은 복잡한 기계적 메커니즘으로 인하여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소형화가 어려우며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주간 촬영 및 야간 촬영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화에 유리한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은,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빛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1위치와 상기 광 경로로부터 벗어난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적외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외선 필터와, 상기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가변 초점 액정 렌즈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적외선 필터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적외선 필터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광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배치되는 더미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광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필터 및 상기 더미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광 경로에 나란한 방향의 회전 중심축선을 가지며 회전함에 따라서 그 일부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회전 이동체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필터는 상기 회전 이동체의 상기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빛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1위치와 상기 광 경로로부터 벗어난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적외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외선 필터와, 상기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가변 초점 액정 렌즈와, 상기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적외선 필터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적외선 필터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광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배치되는 더미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광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필터 및 상기 더미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광 경로에 나란한 방향의 회전 중심축선을 가지며 회전함에 따라서 그 일부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회전 이동체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필터는 상기 회전 이동체의 상기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주간 및 야간 촬영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 및 소형화에 매우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미지 센서 모듈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미지 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의 일부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카메라 모듈의 다른 일부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이미지 센서 모듈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1)은 하우징(400), 기판(110), 이미지 센서(100), 프레임(200), 구동부(250), 적외선 필터(210), 더미 필터(220) 및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를 구비한다.
하우징(400)은 기판(110), 이미지 센서(100), 프레임(200), 구동부(250), 적외선 필터(210),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 및 더미 필터(22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400)은 그 내부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을 외부의 이물질 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기판(110)은 이미지 센서(10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PCB) 혹은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 센서(100)는 빛은 받아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200)은 이미지 센서(100)의 수광면의 전방에 배치되며, 이미지 센서(100)로 유입되는 광 경로(A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프레임(200)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우징(400)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기판(110)의 상측면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구동부(250)는 프레임(20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서보 모터,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VCM) 등 각종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50)는 각종의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을 프레임(200)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시스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적외선 필터(210)는 프레임(200)에 배치되며, 적외선의 통과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적외선 필터(210)는 프레임(200)의 이동에 따라서, 이미지 센서(100)로 유입되는 빛의 광 경로(A1) 상에 배치되는 제1위치(P1)와, 이미지 센서(100)로 유입되는 빛의 광 경로(A1)로부터 이탈되는 제2위치(P2)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즉 적외선 필터(210)가 제1위치(P1)에 위치되면 적외선이 이미지 센서(100)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미 필터(220)는 적외선 필터(210)와 함께 프레임(200)에 배치되며,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모두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미 필터(220)는 적외선 필터(210)가 제2위치(P2)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위치(P1)에 위치되고, 적외선 필터(210)가 제1위치(P1)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광 경로(A1)에서 벗어난 제3위치(P3)에 위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200)에 배치된다. 더미 필터(220)가 제1위치(P1)에 위치되면 가시광선 및 적외선 모두가 이미지 센서(100)로 유입될 수 있다.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는 액정 분자의 배향의 변화에 따라서 굴절률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는 렌즈로서, 양 단자 사이의 걸리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그 초점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는 상용화되어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는 광 경로(A1) 상에 배치되며, 하우징(400)에 고정 결합된다. 즉 빛은 이미지 센서(100)로 유입되기 전에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를 통과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1)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이미지 센서 모듈(1)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2)의 일부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카메라 모듈(2)의 다른 일부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은 도 1의 이미지 센서 모듈(1)과 이에 결합된 렌즈 배럴(500)을 구비한다.
렌즈 배럴(500)은 이미지 센서 모듈(1)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주간 촬영시의 카메라 모듈(2)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 촬영시에는 적외선 필터(210)를 제1위치(P1)에 위치시키고 더미 필터(220)를 제3위치(P3)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렌즈 배럴(500)로 들어온 빛은 렌즈(510),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 및 더미 필터(220)를 거쳐 이미지 센서(100)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렌즈 배럴(500)로 들어온 입사광(L)의 초점이 이미지 센서(100)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렌즈(510) 및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의 초점 거리는 적절하게 조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필터(210)가 제1위치(P1)에 위치되면 렌즈 배럴(500)로 들어온 입사광(L)에서 적외선 성분이 차단된다. 따라서 빛의 가시 광선 성분 만이 이미지 센서(100)로 유입되며, 실제 육안으로 관찰한 것과 유사한 색상을 가지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야간 촬영시에는 가시 광선이 부족하기 때문에 식별 가능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이미지 센서(100)를 이용하여 적외선 영역의 빛도 감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100)로 유입되는 광 경로(A1)에 배치된 적외선 필터(210)를 그 광 경로(A1)로부터 치워줄 필요가 있다.
도 4는 카메라 모듈(2)의 야간 촬영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적외선 필터(210)는 제2위치(P2)로 이동되어 광 경로(A1)로부터 벗어나게 위치된다. 이때 광 경로(A1) 상에 위치한 제1위치(P1)에는 더미 필터(220)가 배치된다.
더미 필터(220)는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모두 통과시키므로, 렌즈 배럴(500)로 들어온 빛(L)은 렌즈(510),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 및 더미 필터(220)를 거쳐 이미지 센서(100)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100)는 가시 광선과 함께 적외선을 감지함으로써, 가시광선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식별 가능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더미 필터(220)와 적외선 필터(210)의 두께 또는 굴절률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더미 필터(220)를 제1위치(P1)에 위치시킬 경우, 도 4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광(L)의 초점이 이미지 센서(100) 상에 벗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100)를 통해서 얻은 영상이 흐릿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의 양 단간의 전압을 제어하여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의 굴절률을 변화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즉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의 초점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입사광(L)의 초점이 이미지 센서(100)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을 이용하면 주야간 촬영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물론,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를 이용함으로써 적외선 필터(210)의 이동시에도 영상의 초점이 흐트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은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861241호에 개시된 카메라 모듈과는 달리, 기계적으로 BFL을 변경시키지 않고도 입사광(L)의 초점을 이미지 센서(100) 상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서 단순한 기계적 메커니즘을 가짐으로써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소형화에 있어서도 매우 유리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2)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2)은 기판(110), 이미지 센서(100), 회전 이동체, 적외선 필터(210), 더미 필터(220), 추가 필터(230) 및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를 구비한다.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2)은 기판(110) 및 회전 이동체(201)가 배치될 수 있는 하우징(400)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판(110), 이미지 센서(100) 및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는 도 1의 이미지 센서 모듈(1)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 이동체(201)는 이미지 센서(100)로 유입되는 광 경로(A1)에 나란한 방향의 회전 중심축선(A2)을 가지며, 그 일부가 광 경로(A1)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회전 이동체(201)의 일부는 회전 이동체(201)가 회전함에 따라서 이미지 센서(100)로 유입되는 광 경로(A1) 상에 배치되는 제1위치(P1)와, 그 광 경로(A1)에서 벗어나는 제2위치(P2)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이동체(201)의 일부는 회전 이동체(201)의 회전에 따라서 제1위치(P1) 및 제2위치(P2) 뿐만 아니라, 광 경로(A1)의 외부에 배치되며 제2위치(P2)와는 구별되는 제3위치(P3)로도 이동될 수 있다. 즉 회전 이동체(201)가 회전함에 따라서 회전 이동체(201)의 일부분은 제1위치(P1), 제2위치(P2) 및 제3위치(P3)를 순환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210)는 적외선의 통과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제1위치 내지 제3위치(P1,P2,P3)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회전 이동체(201)의 상기 일부분에 배치된다. 즉 적외선 필터(210)는 회전 이동체(201)의 회전에 따라서 광 경로(A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위치 내지 제3위치(P1,P2,P3)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210)가 제1위치(P1)에 위치되면 이미지 센서(100)로 유입되는 빛에서 적외선 성분이 차단된다.
더미 필터(220)는 적외선 및 가시광선을 모두 통과시키는 것으로서, 적외선 필터(210)와 함께 회전 이동체(201)에 배치된다. 더미 필터(220)도 회전 이동체(201)의 회전에 따라서 제1위치 내지 제3위치(P1,P2,P3)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이동체(201)에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외선 필터(210)가 제1위치(P1)에 위치되면 더미 필터(220)는 제2위치(P2)에 위치되며, 적외선 필터(210)가 제2위치(P2)에 위치되면 더미 필터(220)는 제3위치(P3)에 위치된다.
추가 필터(230)는 적외선 필터(210) 또는 더미 필터(220)와는 다른 필터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적외선 필터(210) 또는 더미 필터(220)를 사용하기 적절하지 않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추가 필터(230)는 주간에서 야간으로 전환되는 과도기적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추가 필터(230)는 특정 파장의 빛만을 차단하는 것일 수도 있고, 적외선의 일부만을 차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추가 필터(230)도 적외선 필터(210) 및 더미 필터(220)와 함께 회전 이동체(201)에 배치되며, 회전 이동체(201)의 회전에 따라서 제1위치 내지 제3위치(P1,P2,P3)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외선 필터(210)가 제1위치(P1)에 위치되면 추가 필터(230)는 제3위치(P3)에 위치되며, 적외선 필터(210)가 제2위치(P2)에 위치되면 추가 필터(230)는 제1위치(P1)에 위치된다.
구동부(250)는 회전 이동체(201)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미지 센서 모듈(2)은, 구동부(250)를 제어하여 회전 이동체(201)을 회전시킴으로써 적외선 필터(210)를 제1위치 내지 제3위치(P1,P2,P3) 중 어느 하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주간 촬영시에는 적외선 필터(210)를 제1위치(P1)에 위치시키고, 야간 촬영시에는 적외선 필터(210)를 제2위치(P2) 또는 제3위치(P3)에 위치시킴으로써 주야를 불문하고 효과적인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2)은 추가 필터(230)를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주간 또는 야간 상황과는 다른 제3의 상황에도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한편, 제1위치(P1)에 적외선 필터(210), 더미 필터(220) 또는 추가 필터(230)가 교환적으로 배치됨에 따라서 입사광의 초점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이미지 센서 모듈(2)은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위치(P1)에 배치되는 필터의 종류에 관계없이 입사광의 초점을 이미지 센서(100) 상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에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1,3)은 더미 필터(220)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이미지 센서 모듈은 더미 필터(220)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1,3)의 프레임(200) 혹은 회전 이동체(201)에 있어서 더미 필터(220)가 배치되는 부분은 빈 공간으로 남겨져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이미지 센서 모듈(1)은 적외선 필터(210) 및 더미 필터(220)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5의 이미지 센서 모듈(3)과 같이 추가 필터(2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에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1,2)에 있어서,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는 적외선 필터(210) 및 더미 필터(22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는 이미지 센서(100)로 유입되는 광 경로(A1) 상이라면 어디든 배치될 수 있다. 즉 가변 초점 액정 렌즈(300)는 적외선 필터(210) 및 더미 필터(220)의 전방의 후방에도 배치될 수도 있고, 카메라 모듈(2)의 렌즈(510) 사이에도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3 ... 이미지 센서 모듈 2 ... 카메라 모듈
100 ... 이미지 센서 110 ... 기판
200 ... 프레임 201 ... 회전 이동체
210 ... 적외선 필터 220 ... 더미 필터
230 ... 추가 필터 250 ... 구동부
300 ... 가변 초점 액정 렌즈 A1 ... 광 경로
P1 ... 제1위치 P2 ... 제2위치
P3 ... 제3위치

Claims (12)

  1.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빛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1위치와, 상기 광 경로로부터 벗어난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적외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외선 필터와,
    상기 광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적외선 필터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를 이동함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빛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가변 초점 액정 렌즈를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필터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적외선 필터 대신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는 더미 필터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적외선 필터 및 상기 더미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에 나란한 방향의 회전 중심축선을 가지며, 회전함에 따라서 그 일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회전 이동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적외선 필터는,
    상기 회전 이동체의 상기 일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모듈.
  5.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빛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1위치와, 상기 광 경로로부터 벗어난 제2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적외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외선 필터와,
    상기 광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적외선 필터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를 이동함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빛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가변 초점 액정 렌즈와,
    상기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필터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적외선 필터 대신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는 더미 필터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적외선 필터와 상기 더미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에 나란한 방향의 회전 중심축선을 가지며, 회전함에 따라서 그 일부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회전 이동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적외선 필터는,
    상기 회전 이동체의 상기 일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필터와는 구별되며, 특정 파장의 빛만을 차단하거나 적외선의 일부만을 차단하며, 상기 적외선 필터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적외선 필터 대신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추가 필터를 더 구비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가시 광선 및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더미 필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적외선 필터, 상기 추가 필터 및 상기 더미 필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는 이미지 센서 모듈.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필터와는 구별되며, 특정 파장의 빛만을 차단하거나 적외선의 일부만을 차단하며, 상기 적외선 필터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적외선 필터 대신에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추가 필터를 더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가시 광선 및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더미 필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적외선 필터, 상기 추가 필터 및 상기 더미 필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10008957A 2011-01-28 2011-01-28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1204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957A KR101204096B1 (ko) 2011-01-28 2011-01-28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US13/358,715 US20120194728A1 (en) 2011-01-28 2012-01-26 Image sensor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957A KR101204096B1 (ko) 2011-01-28 2011-01-28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632A KR20120087632A (ko) 2012-08-07
KR101204096B1 true KR101204096B1 (ko) 2012-11-22

Family

ID=4657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957A KR101204096B1 (ko) 2011-01-28 2011-01-28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94728A1 (ko)
KR (1) KR1012040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2216B2 (en) 2012-08-30 2014-09-23 Raytheon Company Movable pixelated filter array
US9515112B2 (en) 2013-04-02 2016-12-06 Goog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lectable field of view functionality by providing an optical element into and out of an optical receiving path
CN105467720B (zh) * 2014-09-01 2019-07-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
TWI599810B (zh) * 2014-11-05 2017-09-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
US9667869B2 (en) * 2015-01-16 2017-05-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amera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horizontality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80013151A (ko) * 2016-07-28 2018-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7111211A (zh) * 2016-10-14 2017-08-29 深圳市瑞立视多媒体科技有限公司 可实现光学变焦的光学动捕摄像机
US11432712B2 (en) * 2017-06-28 2022-09-06 Karl Storz Imaging, Inc. Fluorescence imaging scope with dual mode focusing structures
EP3627815B1 (en) * 2018-09-19 2021-10-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device
CN111866313A (zh) * 2019-04-26 2020-10-30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摄像模块
CN113840050A (zh) * 2020-06-04 2021-12-2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摄像头模组、测温方法、装置以及终端
US11290625B1 (en) * 2020-12-21 2022-03-29 Changzhou Raytech Optronics Co., Ltd. Imaging assembly and camera with filtering devices with different light transmitt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0282A (ja) * 2007-09-26 2009-04-16 Citizen Holdings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6440B2 (ja) * 1997-08-28 2005-12-14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制御装置、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制御方法
WO2004005868A2 (en) * 2002-07-10 2004-01-1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Infrared camera system and method
KR100573697B1 (ko) * 2003-12-29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기기의 광학필터 절환 장치
US8629932B2 (en) * 2008-08-18 2014-01-14 Lensvector, Inc. Autofocus system and method
TW201011350A (en) * 2008-09-04 2010-03-16 E Pin Optical Industry Co Ltd Liquid crystal zoom lens
KR101502372B1 (ko) * 2008-11-26 201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CN101750696B (zh) * 2008-12-03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JP5222815B2 (ja) * 2009-09-08 2013-06-26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クフォーカス調整機構を具えた撮像装置
US8159533B2 (en) * 2009-10-21 2012-04-17 Yi-Jen Cheng Surveillance camera capable of recording color or monochrome images based on time settin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0282A (ja) * 2007-09-26 2009-04-16 Citizen Holdings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632A (ko) 2012-08-07
US20120194728A1 (en)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096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N101842728B (zh) 镜头镜筒以及透镜支撑构造
KR100900486B1 (ko) 촬상 장치용 광학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2007219199A (ja) 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及びレンズの製造方法
KR20200041062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10266678A (ja) 撮像装置
US7460171B2 (en) Lens apparatus having stop blade, optical filter and shutter blade
JP2005215160A (ja) 撮影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
EP3722872A1 (en) Optical apparatus
US20230209162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JP5868074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4120940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7005912A (ja) 電子撮像装置
JP2008046200A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4695969B2 (ja) 鏡筒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1228500A (ja) 光学装置
JP2004258195A (ja) カメラ
JP2007121494A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2020188348A (ja) 撮像装置、画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H09184952A (ja)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JP2010266749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KR101371836B1 (ko) 보이스코일 모터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N110389421B (zh) 镜筒
JP5677621B2 (ja) 撮像装置
WO2020004158A1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