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459B1 - 가열조리용 시트 - Google Patents

가열조리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459B1
KR101203459B1 KR1020100045516A KR20100045516A KR101203459B1 KR 101203459 B1 KR101203459 B1 KR 101203459B1 KR 1020100045516 A KR1020100045516 A KR 1020100045516A KR 20100045516 A KR20100045516 A KR 20100045516A KR 101203459 B1 KR101203459 B1 KR 101203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oking
sheet member
heat
bottom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887A (ko
Inventor
빈옥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노
Priority to KR1020100045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45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설치된 가열원으로부터의 열복사에 의해 식재를 구울 때에 상기 식재에서 나오는 수분, 기름연기, 냄새 등을 가둘 수 있어 가열조리기구 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식재를 가열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열선을 투과하는 내열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식재(31)를 수용하는 가열조리용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상기 가열조리용 용기 상에 배치되고, 상측에 설치된 가열원으로부터의 열복사에 의해 상기 식재(31)를 굽기 위해 사용된다.

Description

가열조리용 시트{Sheets for heating dishes}
본 발명은 가열조리용 용기에 씌워지는 가열조리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측에 배치된 가열원으로 부터의 열복사에 의해 식재를 굽기에 적합한 가열조리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정용 가스곤로, 가스테이블 등에 내장된 생선구이 그릴, 전기 오븐 등의 가열조리기구를 사용하여 생선 등의 식재를 가열조리하는 경우, 식재에서 나오는 수분 등이 아래로 떨어져 가열조리기구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호일 등의 시트를 식재의 아래쪽에 배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시트가 식재에서 나오는 수분 등을 받기 때문에 가열조리기구 내의 바닥면 뿐만 아니라, 가열조리기구 내에 배치된 구이망, 트레이 등의 조리용 보조부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가열조리기구나 조리용 보조부재의 청소나 손질을 단시간에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개 2004-329808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시트에 있어서는 식재의 아래쪽에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식재의 표면에서 상방으로 튀는 기름, 연기 등을 막을 수 없어 가열조리기구 내의 측면이나 천정면이 오염된다. 특히, 식재가 생선이나 육류와 같이 기름을 다량 함유하는 것인 경우에는 식재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기름 연기가 가열조리기구의 내부 뿐만아니라 주방 등과 같이 가열조리기구가 설치된 곳의 내부까지도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측에 설치된 가열원으로 부터의 열복사에 의해 식재를 구울 때에 그 식재에서 나오는 수분, 기름 연기, 냄새 등을 가둘 수 있어 가열조리기구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식재를 가열조리할 수 있는 위생적인 가열조리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열조리용 시트에 있어서는, 열선을 투과하는 내열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식재를 수용하는 가열조리용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상기 가열조리용 용기 상에 배치되고, 상측에 설치된 가열원으로 부터의 열복사에 의해 상기 식재를 굽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가열조리용 시트에 있어서는, 상기 내열수지필름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필름 또는 상기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코팅층을 표면에 갖는 내열수지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가열조리용 시트에 있어서는, 적어도 대향하는 한쌍의 단연부의 근방에는 감김 자국을 구비하여 상기 단연부가 상기 가열조리용 용기의 돌기부와 걸어 맞추어 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방에 설치된 가열원으로부터의 열복사에 의해 식재를 구울 때에 식재에서 나오는 수분, 기름연기, 냄새 등을 가둘 수 있고, 가열조리기구 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식재를 가열조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가열조리용 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가열조리용 세트의 모식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가열조리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가열조리용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시트부재에 의해 바닥이 있는 용기의 상면을 덮는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가열조리용 세트를 사용하여 식재를 가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가열조리용 세트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가열조리용 세트의 모식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가열조리용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가열조리용 시트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2에서 (a) 는 도 1에서의 A-A 화살표시단면을 나타내고, (b)는 도 1에서의 B-B 화상표시 단면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10은 본 실시예에서의 가열조리용 세트이며, 가열조리용 시트로서의 시트부재(11)와, 가열조리용 용기로서의 바닥이 있는 용기(21)로 구성되고, 식재(31)를 가열조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식재(31)는 가열조리 가능한 식료 또는 음료이면 되고, 예를 들어 육류, 생선, 야채, 곡물, 스프, 우유, 유지(油脂) 등이며, 고형물, 유동물, 자연식재, 가공식재 등, 어떠한 종류의 것이어도 된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식재(31)를 생선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시트부재(11), 바닥이 있는 용기(21), 식재(31) 등에서의 각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상대적인 것이며, 상기 시트부재(11), 바닥이 있는 용기(21), 식재(31) 등에서의 각 부분이 도면에 나타나는 자세인 경우에 적절하지만, 그 자세가 변화한 경우에는 자세의 변화에 따라 변경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이 있는 용기(21)는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평판상의 바닥부재(22)와, 상기 바닥부재(22)의 주연부에서 상방으로 향하여 이어지는 벽부재(23)을 구비하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이며, 상면 이외의 부분이 상기 바닥부재(22) 및 벽부재(23)에 의해 하면 및 측면이 획정된 공간인 수용공간(25)을 구비하고, 예를 들어 도기, 자기, 유리, 세라믹 등의 무기물로서, 열선을 투과할 수 없는 내열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재료는 상기 수용공간(25)의 내부에 식재(31)를 수용한 상태에서 전기오븐, 전기토스터, 오븐레인지 등의 가열조리기구 내에 배치되어 가열될 수 있을 정도의 내열성을 갖추고, 적외선 등의 열선을 투과하지 않고 흡수하는 것이면 어떤 종류의 것이어도 되는데, 전자레인지 내에서도 사용 가능한 것, 보온성이 높은 것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도기, 자기, 세라믹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 상기 바닥부재(22)의 평면형상은 대략 장방형이지만, 정방형, 삼각형, 오각 이상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벽부재(23)의 높이도 비교적 낮고,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얕은 오목형상의 접시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깊은 오목형상의 컵이나 공기와 같은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나는 예에서, 상기 바닥부재(22)의 표면에는 홈형상의 오목부로서의 제 1 오목부(22a) 및 제 2 오목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오목부(22a)는 식재(31)에서 스며나온 수분 등의 삼출성분이나 식재(31)의 표면에서 떨어진 비늘, 눌은 부분 등의 이탈성분 등을 수용한다. 또한, 제 2 오목부(22b)는 복수로서, 상기 제 1 오목부(22a)의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일단이 제 1 오목부(22a)의 측부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제 2 오목부(22b)는 상기 제 1 오목부(22a)보다 얕게 형성된 홈으로서, 그 바닥면은 상기 제 1 오목부(22a)로 향하여 경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식재(31)로부터의 삼출성분이나 이탈성분 등은 우선 제 2 오목부(22b) 내에 들어간 후에 제 1 오목부(22a)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오목부(22a)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가열조리 후에 식재(31)로부터의 삼출성분이나 이탈성분 등의 폐기처리 등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오목부(22a) 및 제 2 오목부(22b)의 수 및 배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오목부(22a) 또는 제 2 오목부(22b)는 적절히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나는 예에서, 바닥이 있는 용기(21)는 손잡이부로서의 돌출돌기부(24)를 갖는다. 벽부재(23)는 장방형의 바닥부재(22)의 장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벽부재(23a)와 장방형의 바닥부재(22)의 단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벽부재(23b)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돌기부(24)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벽부재(23a)의 각각의 상연부에서 외방으로 이어지도록 제 1 벽부재(23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리인들은 조리용 장갑 등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손가락으로 상기 돌출돌기부(24)를 잡을 수 있어 바닥이 있는 용기(21)를 쉽게 반송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돌기부(24)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으나, 그 외연부(24a)가 도면에 나타나는 예와 같이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측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돌기부(24)의 크기, 수 및 배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돌기부(24)는 적절히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시트부재(11)는 구체적으로는 내열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시트이며, 바람직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 부재이지만, 후술되는 가열조리기구(41)의 가열원(43)으로부터의 적외선 등의 열선을 투과하는 부재이면 되고, 반드시 가시광을 투과할 필요는 없다.
상기 내열수지필름은 구체적으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필름, 또는 이들의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코팅층을 표면에 갖는 내열수지필름으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이며, 충분한 내열성을 갖는 동시에, 슬라이딩성이 좋고, 조리된 생선 등의 식재(31)가 들러붙지 않는 특성을 갖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하, 수지 A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필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이하, 수지 B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이하, 수지 C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필름, 또는 상기 수지 A, 수지 B 혹은 수지 C의 코팅층을 표면에 갖는 내열수지필름으로서, 상기 수지 A, 수지 B 및 수지 C의 구조는 각각 하기 식 (a), (b), 및 (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다.
Figure 112010031158003-pat00001
Figure 112010031158003-pat00002
Figure 112010031158003-pat00003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수지 B)
Figure 112010031158003-pat00004
(RF : 퍼플루오로알킬기)
Figure 112010031158003-pat00005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수지 C)
Figure 112010031158003-pat00006
구체예로서, 상기 식 (a)에서 나타나는 수지 A 및 식(b)에서 나타나는 수지 B는 각각 듀퐁사가 개발한 등록상표 「테프론 PTFE」(융점 : 327[℃]) 및 「테프론 PFA」(융점 : 302~310[℃])로서, 높은 내열성과 낮은 표면마찰계수를 갖고, 슬라이딩성이 우수하며, 그 필름은 조리된 생선 등의 식재(31)가 들러붙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식(c)에서 나타나는 수지 C는 구 ICI사(현 빅트렉스사) 가 개발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로, 등록상표 「VICTREX」로서 시판되고 있다. 이 수지 C는 융점이 344[℃]의 높은 내열성을 갖는 동시에, 표면마찰계수가 낮고, 슬라이딩성이 우수하여, 그 필름은 조리된 생선 등의 식재(31)가 들러붙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수지 A, 수지 B 또는 수지 C의 코팅층을 표면에 갖는 내열수지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필름이나 아라미드(전방향족 폴리아미드) 필름 등의 내열수지필름의 표면에 상기 수지 A, 수지 B 또는 수지 C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이용하여 종래 공지의 방식에 의해 코팅층을 형성한 것이며, 내열성이 우수한 동시에 슬라이딩성이 우수하여 조리한 생선 등의 식재(31)가 들러붙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열수지필름의 두께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적절히 결정할 수 있으나, 통상 20~80[㎛]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필름의 유연성이 저하하고, 작으면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11)는 대략 장방형상의 커트시트이며, 평탄한 상태로 제공되어도 되지만, 미리 둥글게 감겨서 롤형상으로 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할 때에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감겨진 시트부재(11)를 펴서 사용한다.
또한, 도 4에서 12는 시트부재(11)에서의 감겨진 상태의 부분으로서의 롤부이다. 또한, 14는 시트부재(11)의 제 1 단연부로서, 롤부(12)의 축방향(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연부이며, 롤부(12)로부터 풀어내는 방향(도면에서 좌우방향)의 양단에 위치한다. 또한 도 4에는 시트부재(11)가 펼쳐지기 전의 상태에서 롤부(12)의 외면으로 노출되어 있던 제 1 단연부(14)만 나타나 있고, 다른쪽의 제 1 단연부(14)는 롤부(12)의 내부에 숨겨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13은 시트부재(11)의 제2 단연부로서, 롤부(12)로부터 풀어내는 방향으로 이어지는 한쌍의 단연부이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재(1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식재(31)를 수용한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개방된 상면을 덮기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시트부재(11)의 제 1 단연부(14)가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제 1 벽부재(23a)를 대략 따르고, 시트부재(11)의 제 2 단연부(13)가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제 2 벽부재(23b)를 대략 따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단연부(14)와 제 1 벽부재(23a)가 엄밀하게 평행이며, 제 2 단연부(13)와 제 2 벽부재(23b)가 엄밀하게 평행일 필요는 없고,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수용공간(25)의 상면이 시트부재(11)에 의해 덮이면 된다. 그러기 위해 상기 시트부재(11)는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상면보다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부재(11)는 롤형상으로 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롤부(12)로부터 풀어내도 소위 감김자국이 어느 정도 남아 있다. 이러한 감김자국은 그렇게 강한 것은 아니고, 시트부재(11)를 평탄한 상태로 장시간 유지하면 없어지는 것이지만, 롤부(12)로부터 풀어내는 방향의 양단, 즉 제 1 단연부(14)의 근방에서는 쉽게 없어지지 않고 남아 있다. 그 때문에 시트부재(11)의 한쌍의 제 1 단연부(14)의 근방에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둥글게 된 롤 잔류부(14a)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제 1 단연부(14)가 돌출돌기부(24)와 걸어맞추어지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잔류부(14a)가 돌출돌기부(24)의 외연부(24a)의 주위를 덮게 되므로 제 1 단연부(14)와 돌출돌기부(24)가 걸어맞추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부재(11)의 양측의 제 1 단연부(14)가 양측의 돌출돌기부(24)와 걸어맞추어지므로 시트부재(11)가 바닥이 있는 용기(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수용공간(25)의 상면은 시트부재(11)에 의해 덮여진 상태가 계속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후술되는 가열조리기구(41)가 환기장치, 송풍장치 등을 구비하고, 그 조리공간(42) 내의 공기가 유동하는 경우라도 수용공간(25)의 상면을 시트부재(11)로 계속 덮을 수 있다. 또한, 시트부재(11) 전체에 감김자국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롤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복원력에 의해 양측의 제 1 단연부(14)가 중심방향으로 끌어당겨지게 되는데, 롤 잔류부(14a)의 복원력이 더욱 강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 1 단연부(14)와 돌출돌기부(24)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경우는 없다.
도 2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수용공간(25) 내에 수용된 식재(31)와 수용공간(25)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시트부재(11)가 떨어져 있으나, 반드시 상기 식재(31)와 시트부재(11)이 떨어져 있을 필요는 없고, 상기 식재(31)와 시트부재(11)가 맞닿아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식재(31)의 상하방향의 치수가 바닥부재(22)의 표면에서 벽부재(23)의 상단까지의 높이치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식재(31)와 시트부재(11)가 맞닿고, 상기 시트부재(11)에서의 상기 식재(31)와 맞닿아 있는 부위가 부풀어오른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되어도 된다.
또한, 벽부재(23)의 상단부가 전체 범위에 걸쳐서 시트부재(11)에 맞닿아있지 않아도 된다. 즉, 벽부재(23)의 상단의 일부분과 시트부재(11)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상기 간극을 통하여 시트부재(11)에 의해 상면이 덮인 수용공간(25)의 내부와 바닥이 있는 용기(21)와의 공간이 연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수용공간(25)의 상면의 모두가 시트부재(11)에 의해 덮여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수용공간(25)의 상면의 일부분이 시트부재(11)에 의해 덮여 있지 않아 그 부분을 통하여 시트부재(11)에 의해 상면이 덮인 수용공간(25)의 내부와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외부와의 공간이 연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시트부재(11)는 감김자국이 완전히 없어진 것이어도 되고, 처음부터 감김자국이 남아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시트부재(11) 및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시트부재에 의해 바닥이 있는 용기의 상면을 덮는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가열조리용 세트를 사용하여 식재를 가열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우선 조리인들은 식재(31)를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수용공간(25) 내에 배치하고, 이어서 상기 수용공간(25)의 상면을 시트부재로 덮는다. 이 경우, 롤형상으로 감긴 상태로 제공된 시트부재(11)에서의 롤부(12)의 외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 1 단연부(14)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겨 롤부(12)로부터 약간 풀어내도록 한다.
이어서, 롤부(12)로부터 약간 풀어낸 제 1 단연부(14)를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한쪽(도면에서 좌측)의 돌출돌기부(24)에 걸어 걸리게 한다. 즉, 한쪽의 제 1 단연부(14)를 한쪽의 돌출돌기부(24)에서의 외연부(24a) 근방의 하면에 걸리게 하고, 상기 한쪽의 제 1 단연부(14) 근방의 롤 잔류부(14a)를 한쪽 돌출돌기부(24)의 외연부(24a)에 걸어맞추어지게 한다.
이어서, 롤부(12)를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다른쪽(도면에서 우측)으로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 때, 롤부(12)를 손가락으로 루즈하게, 즉 헐겁게 잡아 롤부(12)의 회전을 허용한다. 그러면 상기 롤 잔류부(14a)와, 한쪽 돌출돌기부(24)의 외연부(24a)와의 걸어맞춤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롤부(12)가 다른쪽으로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시트부재(11)가 롤부(12)에서 풀려나온다.
그리고, 시트부재(11)에서의 롤부(12)로부터 풀려나온 부분이 수용공간(25)의 상면 전체에 필적할 정도의 크기가 되고, 롤부(12)가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다른쪽 돌출돌기부(24)의 대략 상측에 도달하면, 롤부(1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롤부(12)의 내부에 숨어 있던 다른쪽 제 1 단연부(14)를 상기 다른쪽 돌출돌기부(24)에 걸어 걸리게 한다. 즉, 상기 다른쪽 제 1 단연부(14)를 다른쪽 돌출돌기부(24)에서의 외연부(24a) 근방의 하면에 걸리게 하고, 상기 다른쪽 제 1 단연부(14) 근방의 롤 잔류부(14a)를 다른쪽 돌출돌기부(24)의 외연부(24a)에 걸어맞추어지게 한다. 이 경우, 시트부재(11)의 대부분은 롤부(12)로부터 풀려나와 있으므로, 조리인들은 상기 다른쪽 제 1 단연부(14)를 쉽게 잡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식재(31)를 수용한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수용공간(25)의 개방된 상면이 시트부재(11)에 의해 덮인 상태가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시트부재(11)에서의 한쪽 제 1 단연부(14) 근방의 롤 잔류부(14a)를 한쪽 돌출돌기부(24)의 외연부(24a)에 걸어맞추어지게 한 후, 롤부(12)를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다른쪽으로 향하여 이동시키고, 시트부재(11)에서의 다른쪽 제 1 단연부(14) 근방의 롤 잔류부(14a)를 다른쪽 돌출돌기부(24)의 외연부(24a)에 걸어맞추어지게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시트부재(11)의 거의 전체를 롤부(12)에서 풀어낸 후에 시트부재(11)에서의 양쪽 제 1 단연부(14) 근방의 롤 잔류부(14a)를 양쪽 돌출돌기부(24)의 외연부(24a)에 거의 동시에 걸어맞추어지도록 해도 된다.
이어서, 조리인들은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식재(31)를 수용한 수용공간(25)의 상면이 시트부재(11)에 의해 덮인 바닥이 있는 용기(21)를 가열조리기구(41)의 조리공간(42) 내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공간(42) 내의 상부에 설치된 가열원(43)으로부터 복사된 적외선 등의 열선에 의해 식재(31)를 가열조리한다. 또한, 도 6에서 화살표(44)는 가열원(43)으로부터 열선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열조리기구(41)는 상부에 설치된 가열원(43)을 갖는 것이며, 예를 들어 전기오븐, 전기토스터, 오븐레인지 등이지만, 구체적으로는 조리공간(42) 내의 상부에 가열원(43)이 설치되고, 상기 가열원(43)으로부터 복사된 적외선 등의 열선에 의해 조리공간(42) 내의 식재(31)를 가열 조리하는 조리기구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가열조리기구(41)는 가정용 조리기구여도 되고,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하는 업무용 조리기구여도 된다. 또한, 상기 가열원(43) 외에,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발생장치 등의 가열장치, 조리공간(42)의 하부에 설치된 전기히터 등의 가열장치 등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원(43)과 병용하는 조리기구여도 된다. 또한, 상기 가열원(43)은, 예를 들어 적외선 램프, 시즈히터 등이지만, 적외선 등의 열선의 복사에 의해 식재(31)를 가열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종류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가열원(43)으로부터의 열선은, 예를 들어 근적외선이지만, 가시광선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원적외선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며, 어떠한 주파수대의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가열조리기구(41)를 작동시켜서 가열원(43)으로부터 열선을 복사시킨다. 그러면 화살표(4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열원(43)으로부터의 열선은 시트부재(11)를 투과하여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수용공간(25) 내에 진입하고, 식재(31)의 상면을 조사하여 상기 상면을 가열한다. 이로 인하여 식재(31)는 상측에 설치된 가열원(43)으로부터의 열복사에 의해 구이가 되도록 가열조리된다. 이 때에 가열된 식재(31)에서 나오는 수분, 기름연기, 냄새 등은 식재(31)를 수용한 수용공간(25)의 상면이 시트부재(11)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수용공간(25) 내에 가두어져서 가열조리기구(41)의 조리공간(42) 내에 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조리공간(42)의 내부가 식재(31)에서 나오는 수분, 기름연기, 냄새 등에 의해 오염되는 일이 없다.
또한, 벽부재(23)의 상단의 일부분과 시트부재(11) 사이에 간극이 생기거나 수용공간(25)의 상면의 일부분이 시트부재(11)에 의해 덮여있지 않거나 하여 수용공간(25)의 내부와 조리공간(42)의 내부가 어느 정도 연통하고 있는 경우라도 수용공간(25)의 상면의 대부분이 덮여 있으면 식재(31)에서 나오는 수분, 기름연기, 냄새 등이 조리공간(42)으로 튀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식재(31)에서 나오는 수분, 기름연기, 냄새 등에 의한 조리공간(42) 내부의 오염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가열된 식재(31)에서 스며나온 수분 등의 삼출성분이나 식재(31)의 표면에서 떨어져나온 비늘, 눌은 것 등의 이탈성분 등은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바닥부재(22)의 표면에 형성된 제 2 오목부(22b) 내에 들어간 후에 제 1 오목부(22a)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오목부(22a)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가열조리 후에 식재(31)로부터의 삼출성분이나 이탈성분 등을 쉽게 폐기처리할 수 있다. 또한,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청소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25) 내에 진입해도 식재(31)를 조사하지 않은 가열원(43)으로부터의 열선은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바닥부재(22) 및 벽부재(23)의 표면을 조사한다. 이 경우, 바닥이 있는 용기(21)는 열선을 투과하지 않고 흡수하므로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바닥이 있는 용기(21)는 온도가 상승하면, 그 자체가 일종의 열원으로서 기능하여 원적외선 등의 열선을 어느 정도 복사한다. 따라서, 상기 식재(31)는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바닥부재(22) 및 벽부재(23)의 표면으로부터의 열복사에 의해서도 생선구이가 되도록 가열조리된다.
이 경우,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바닥부재(22)의 표면은 제 1 오목부(22a) 및 제 2 오목부(22b)가 형성되어 요철로 되어 있으므로 표면적이 증대되어 있다. 또한, 요철 각 부의 표면의 방향이 변화하고 있으므로 타방향에서의 열선을 받을 수 있다. 그 때문에 가열원(43)으로부터 열선에 의해 조사되는 면적이 크고, 또 타방향으로부터의 열선을 흡수하므로 가열원(43)으로부터의 열복사에 의해 효율적으로 가열된다. 따라서,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열복사에 의한 식재(31)의 가열이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바닥부재(22)의 표면이 요철로 되어 있으므로 바닥이 있는 용기(21)가 일종의 열원으로서 기능할 때에는 열선을 복사하는 면적이 크고, 또 타방향으로 복사할 수 있다. 따라서 다량의 열선을 타방향으로 복사할 수 있고,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열복사에 의한 식재(31)의 가열이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가열조리기구(41)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원(43) 외에 조리공간(42)의 하부에 설치된 전기히터 등의 가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원(43)과 병용하는 조리기구인 경우에는 바닥이 있는 용기(21)가 조리공간(42)의 하부에 설치된 가열장치에 의해서도 가열되게 된다. 따라서,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온도가 더욱 상승하여 일종의 열원으로서의 기능이 더욱 강화되므로 식재(31)를 더욱 효과적으로 하방으로부터 가열조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가열조리기구(41)로서 시판되는 전기식 오븐토스터(조우지루 마호빈 주식회사제, 기종명 「ET-VT22」, 정격출력 : 1000[W])를 사용하여 식재(31)로서의 생선(마래미 토막)을 실제로 가열조리하였다. 또한, 상기 전기식 오븐토스터는 가열원(43) 외에 조리공간(42)의 하부에 설치된 전기히터 등의 가열장치를 구비하는 타입의 조리기구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식재(31)를 수용공간(25) 내에 수용하고, 상기 수용공간(25)의 상면을 시트부재(11)로 덮은 바닥이 있는 용기(21)를 상기 전기식 오븐토스터에 세트하고, 출력을 1000[W]로 설정하여 15~20분간 가열조리하였다. 그랬더니 균질하게 구워진 생선구이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식재(31)로부터의 삼출성분이나 이탈성분 등이 바닥이 있는 용기(21) 외부로 나오지 않고, 또 바닥이 있는 용기(21)로부터 생선구이를 쉽게 꺼낼 수 있고, 바닥이 있는 용기(21)에 생선구이의 고체형상 부착물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가열조리후, 시트부재(11)에 물을 흘려서 세정함으로써 조리전과 완전히 동일한 시트부재(11)을 얻을 수 있어 반복 사용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열선을 투과하는 내열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시트부재(11)를 열선을 투과할 수 없는 내열재료로 구성하고,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식재(3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5)을 갖는 바닥이 있는 용기(21)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하고, 상방에 설치된 가열원(43)으로부터의 열복사에 의해 식재(31)를 굽는다. 이로 인하여 식재(31)에서 나오는 수분, 기름연기, 냄새 등을 가둘 수 있어 가열조리기구(41) 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식재(31)를 가열조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각종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들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가열조리용 시트, 가열조리용 용기 및 가열조리용 세트에 적용할 수 있다.
10 : 가열조리용 세트 11 : 시트부재
13 : 제 2 단연부 14 : 제 1 단연부
21 : 바닥이 있는 용기 22 : 바닥부재
22a : 제 1 오목부 22b : 제 2 오목부
23 : 벽부재 23a : 제 1 벽부재
23b : 제 2 벽부재 24 : 돌출돌기부
25 : 수용공간 31 : 식재
43 : 가열원

Claims (7)

  1. 열원을 투과하는 내열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식재를 수용하는 가열조리용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상기 가열조리용 용기 상에 배치되고, 상측에 설치된 가열원으로 부터의 열복사에 의해 상기 식재를 굽기 위해 사용되는 가열조리용 시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대향하는 한 쌍의 단연부 근방에는 감김 자국을 구비하여 상기 단연부가 상기 가열조리용 용기의 돌기부와 걸어 맞추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용 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45516A 2010-05-14 2010-05-14 가열조리용 시트 KR101203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516A KR101203459B1 (ko) 2010-05-14 2010-05-14 가열조리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516A KR101203459B1 (ko) 2010-05-14 2010-05-14 가열조리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87A KR20110125887A (ko) 2011-11-22
KR101203459B1 true KR101203459B1 (ko) 2012-11-21

Family

ID=4539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516A KR101203459B1 (ko) 2010-05-14 2010-05-14 가열조리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4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4000A (ja) 1998-05-22 1999-12-07 Ajinomoto Co Inc 調理食品包装用積層材料
KR100747402B1 (ko) 2000-08-10 2007-08-07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내열성 수지 조성물, 이의 내열성 필름 또는 시트, 및 기재로서 상기 필름 또는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판
JP7089979B2 (ja) 2018-08-07 2022-06-23 株式会社フコク アクチュエー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4000A (ja) 1998-05-22 1999-12-07 Ajinomoto Co Inc 調理食品包装用積層材料
KR100747402B1 (ko) 2000-08-10 2007-08-07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내열성 수지 조성물, 이의 내열성 필름 또는 시트, 및 기재로서 상기 필름 또는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판
JP7089979B2 (ja) 2018-08-07 2022-06-23 株式会社フコク アクチュエ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87A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470B2 (en) Double walled domed electric roasting oven
JP7267322B2 (ja) 調理装置およびその構成要素
US20170251872A1 (en) Electric roasting oven having a domed lid and method of use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EP1348365A1 (en) Cooking containers
US9655471B2 (en) Disposable, non-absorbent, splatter guard
KR102096791B1 (ko) 에어프라이어, 오븐 등 간접열을 이용한 조리기구용 실리콘 냄비
KR101428024B1 (ko) 적외선 가열 조리기
US20190099039A1 (en) Portable electric grill having a domed lid and method of use
US20150305553A1 (en) Food condition maintaining device
JP5313290B2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装置
JP5814307B2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装置
CN201057945Y (zh) 一种微波炉用多功能烹饪锅
KR101203459B1 (ko) 가열조리용 시트
JP6000422B2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装置
CN104274065B (zh) 多功能炊具
JP5388793B2 (ja) 加熱調理用シート、加熱調理用容器及び加熱調理用セット
US20100051626A1 (en) Cooking device and method with improved temperature control
KR100655907B1 (ko) 원적외선 전기조리기
US20050279224A1 (en) Enclosures for food processing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JP5837157B2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装置
KR102309098B1 (ko) 하이라이트를 이용한 일인용 전기 조리장치
RU26737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EP3524106B1 (en) Splatter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