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781B1 -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 Google Patents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781B1
KR101202781B1 KR1020120035133A KR20120035133A KR101202781B1 KR 101202781 B1 KR101202781 B1 KR 101202781B1 KR 1020120035133 A KR1020120035133 A KR 1020120035133A KR 20120035133 A KR20120035133 A KR 20120035133A KR 101202781 B1 KR101202781 B1 KR 101202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molding
hollow
joint member
hollo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찬
김기헌
배종오
전범준
Original Assignee
대경건설산업(주)
(주)삼우아이엠씨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건설산업(주), (주)삼우아이엠씨,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경건설산업(주)
Priority to KR102012003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0Packing of plastic or elastic materials, e.g. wood, resin
    • E01C11/106Joints with only prefabricated packing; Pack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포장의 줄눈(10)의 폭 변화에 대응하여 폭이 변화하도록 탄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줄눈(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형성된 몸통부; 몸통부의 양단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를 제시함으로써,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미리 제조되면서도, 도로포장의 줄눈을 그 크기 변화와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PREFORMED SEALAN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AVEMENT}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로포장에 설치되는 성형줄눈재에 관한 것이다.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포장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홈 구조의 줄눈(10)을 형성한다(도 1).
이러한 줄눈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이를 통해 물, 제설제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도로포장이 동결융해 등의 영향으로 열화되고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줄눈을 메우기 위한 줄눈재가 시공된다.
도로포장체는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데, 이에 따라 포장체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의 간격도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된다.
줄눈재는 이와 같이 간격이 변화하는 줄눈에 설치되어 물, 제설제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해야 하므로, 여름철 포장체의 팽창으로 인하여 줄눈이 좁아지는 경우에 대응하여 변형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 겨울철 포창체의 수축으로 인하여 줄눈이 벌어지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늘어날 수 있어야 하고 동시에 줄눈 내벽과의 밀착을 유지하여 빗물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성형줄눈재는 이러한 줄눈재의 일종으로서,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종래의 성형줄눈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종래의 성형줄눈재는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미리 제조되는 것인 반면, 도로포장의 줄눈은 일정한 크기(폭 및 깊이)를 갖도록 시공하기 어렵고, 시공 이후에도 온도변화에 따른 도로포장의 수축팽창으로 인하여 그 크기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성형줄눈재와 줄눈 사이의 틈을 통한 수분의 침투를 막기 어렵다.
둘째, 동절기에 포장체는 수축하므로 줄눈의 폭은 확대되는데, 종래의 성형줄눈재는 저온으로 인하여 탄성팽창성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줄눈재와 줄눈 내벽 사이에 틈이 생김에 따라 차수 기능도 떨어지게 된다.
즉, 줄눈재와 줄눈 내벽 사이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외부의 물이나 돌이 침투하는 것을 막는 형식이기 때문에 물의 침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미리 제조되면서도, 도로포장의 줄눈을 그 크기 변화와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포장의 줄눈(10)의 폭 변화에 대응하여 폭이 변화하도록 탄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줄눈(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형성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양단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을 제시한다.
상기 줄눈(10)의 내부 폭에 대응하여, 상기 몸통부의 외면이 상기 줄눈(10)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몸통부의 심부에 중공부(11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통부의 상단 중앙에는 함몰부(14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몰부(140)는 삼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부(110)의 상단은 상기 함몰부(140)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부(110)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중공이 확대된 확대 중공부(11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부(110)의 외측 부분의 두께(a)는 상기 확대 중공부(112)의 외측 부분의 두께(b)와 내측 부분의 두께(c)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통부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줄눈(10)에 대한 삽입 시 접히도록,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형성된 접힘용 홈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힘용 홈부(120)는 삼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부(110)의 하단은 상기 접힘용 홈부(120)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부(110)의 하부에는 양측으로 중공이 확대된 확대 중공부(11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부(110)의 외측 부분의 두께(a)는 상기 확대 중공부(111)의 외측 부분의 두께(d)와 내측 부분의 두께(e)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로포장에 줄눈(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성형줄눈재(100)의 몸통부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줄눈에 상기 성형줄눈재(100)를 삽입하여, 상기 줄눈(10)의 내벽과 상기 성형줄눈재(100)의 몸통부 외면이 접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포장공법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미리 제조되면서도, 도로포장의 줄눈을 그 크기 변화와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을 제시한다.
도 1은 도로포장의 줄눈 구조의 사시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단면도.
도 3은 사시도.
도 4는 제1 사용상태도.
도 5는 제2 사용상태도.
도 6은 제3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성형줄눈재(100)는 기본적으로, 도로포장의 줄눈(10)의 폭 변화에 대응하여 폭이 변화하도록 탄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줄눈(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형성된 몸통부; 몸통부의 양단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온도 변화에 따른 포장체의 수축 팽창에 의한 줄눈의 폭의 변화가 상당히 크므로, 탄성이 우수한 재질에 의한 성형줄눈재를 줄눈의 내벽에 접착시공하더라도, 줄눈이 좁아졌다가 팽창할 때, 줄눈의 내벽과 성형줄눈재 사이의 접착이 떨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줄눈의 트임부와 성형줄눈재의 상단 측방 사이에 자주 발생한다.
본 발명은 성형줄눈재(100)의 몸통부를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에 의해 형성하여 도로포장의 줄눈(10)의 폭 변화에 대응하여 몸통부의 폭이 변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몸통부의 양단에 상측으로 돌출부(130)가 돌출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몸통부의 측면의 면적이 확대되도록 하여, 줄눈의 내벽과 성형줄눈재(100)의 몸통부의 안정적인 접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몸통부와 별도로 돌출부(130)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므로, 돌출부(130) 자체가 줄눈의 내벽 상측과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어, 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성형줄눈재(100)는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시공될 수 있다.
도로포장에 줄눈(10)을 형성하고, 성형줄눈재(100)의 몸통부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줄눈(10)에 성형줄눈재(100)를 삽입하여, 줄눈의 내벽와 성형줄눈재(100)의 몸통부 외면이 접착하도록 하는 방식이 그것이다.
이러한 공법에 의해 시공되어, 성형줄눈재(100)의 몸통부 외면과 줄눈의 내벽이 접착되는 경우, 겨울철 포장체의 수축에 의해 줄눈의 간격이 벌어지는 경우라 하더라도, 성형줄눈재(100)가 그 몸통부의 탄성으로 인하여 쉽게 벌어짐에 따라 성형줄눈재(100)의 몸통부 외면과 줄눈의 내벽 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성형줄눈재(100)와 줄눈(10) 사이의 틈이 벌어짐에 따른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접착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아스팔트 바인더 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하면 되고,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에폭시 계열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면 된다.
줄눈(10)의 내부 폭에 대응하여, 몸통부의 외면이 줄눈(10)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몸통부의 심부에 중공부(110)가 형성되는 경우, 상술한 몸통부의 탄성구동(줄눈의 벌어짐 및 좁아짐에 대응하는 구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도 2 내지 5).
또한, 이와 같이 중공부(110)가 형성된 성형줄눈재(100)는 속이 찬 구조를 취하는 종래의 성형줄눈재와 달리 저온에서도 탄성팽창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동절기에 포장체의 수축에 의해 줄눈의 폭이 확대되는 경우라도, 본 발명에 의한 성형줄눈재(100)는 위 중공부(110)로 인하여 탄성팽창성능을 유지하여 줄눈의 내벽과의 밀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차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성형줄눈재(100)의 몸통부의 폭은 일반적인 줄눈(10)의 폭보다 넓게 형성하고, 이러한 구조의 성형줄눈재(100)를 좁은 폭의 줄눈(10)에 강제로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작업을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중공부(110)로 인하여 몸통부가 전체적으로 찌그러지면서(폭이 좁아지면서) 줄눈(10)에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성형줄눈재(100) 몸통부의 외면과 줄눈(10)의 내면의 밀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우수한 방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으로 인하여 줄눈(10)의 내부 폭이 다소 변화하더라도, 몸통부의 탄성 및 중공부로 인하여 성형줄눈재(100)의 크기가 그 줄눈의 변화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변화하게 되므로, 지속적인 방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몸통부의 상단 중앙에 함몰부(140)가 형성되는 경우, 줄눈(10)의 폭 변화에 대응하는 몸통부의 탄성구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줄눈으로부터 성형줄눈재(100)의 이탈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도 4,5).
함몰부(140)가 삼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위 탄성구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공부(110)의 상단은 이러한 함몰부(140)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부(110)의 상부에 양측으로 중공이 확대된 확대 중공부(112)가 형성되는 경우, 줄눈(10)의 폭 축소에 의해 성형줄눈재(100)가 오므라드는 구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도 4).
나아가, 중공부(110)의 외측 부분의 두께(a)가 확대 중공부(112)의 외측 부분의 두께(b)와 내측 부분의 두께(c)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포장체의 팽창으로 인하여 줄눈 간격이 최소로 축소된 상태에서, 중공부(110)의 양 외측 부분의 두께(2a)와 확대 중공부(111)의 양 외측 부분의 두께(2b)와 양 내측 부분의 두께(2c)의 합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므로, 줄눈 내벽에 유해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는 장점이 추가된다(도 2,6).
몸통부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는 경우(사다리꼴 단면구조), 몸통부의 외면과 줄눈의 내면이 더욱 밀착하게 되는바, 상술한 효과를 더 크게 얻을 수 있다(도 2).
다만, 몸통부의 하단 폭이 넓으면 줄눈(10) 입구에 대한 삽입작업이 다소 어려울 수 있는데, 몸통부의 하단에 접힘용 홈부(120)를 형성하는 경우, 위 삽입작업 시 몸통부의 하단이 접혀 삽입될 수 있으므로, 시공이 편해진다는 장점이 추가된다(도 2).
이러한 접힘용 홈부(120)는 삼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접힘 및 삽입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가장 바람직하다.
중공부(110)의 하단 또한 접힘용 홈부(120)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위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바람직하고, 중공부(110)의 하부에 양측으로 중공이 확대된 확대 중공부(111)가 형성되는 경우, 더욱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다.
나아가, 중공부(110)의 외측 부분의 두께(a)가 확대 중공부(111)의 외측 부분의 두께(d)와 내측 부분의 두께(e)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포장체의 팽창으로 인하여 줄눈 간격이 최소로 축소된 상태에서, 중공부(110)의 양 외측 부분의 두께(2a)와 확대 중공부(111)의 양 외측 부분의 두께(2d)와 양 내측 부분의 두께(2e)의 합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므로, 줄눈 내벽에 유해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는 장점이 추가된다(도 2,6).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줄눈 100 : 성형줄눈재
110 : 중공부 111,112 : 확대 중공부
120 : 접힘용 홈부 130 : 돌출부
140 : 함몰부

Claims (14)

  1. 삭제
  2. 도로포장의 줄눈(10)의 폭 변화에 대응하여 폭이 변화하도록 탄성 재질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줄눈(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형성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양단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줄눈(10)의 내부 폭에 대응하여, 상기 몸통부의 외면이 상기 줄눈(10)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몸통부의 심부에 중공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단 중앙에는 함몰부(1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140)는 삼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110)의 상단은 상기 함몰부(140)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110)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중공이 확대된 확대 중공부(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110)의 외측 부분의 두께(a)는
    상기 확대 중공부(112)의 외측 부분의 두께(b)와 내측 부분의 두께(c)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할수록 폭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줄눈(10)에 대한 삽입 시 접히도록,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형성된 접힘용 홈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용 홈부(120)는 삼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110)의 하단은 상기 접힘용 홈부(120)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110)의 하부에는 양측으로 중공이 확대된 확대 중공부(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110)의 외측 부분의 두께(a)는
    상기 확대 중공부(111)의 외측 부분의 두께(d)와 내측 부분의 두께(e)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줄눈재(100).
  14. 도로포장에 줄눈(10)을 형성하는 단계;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성형줄눈재(100)의 몸통부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줄눈에 상기 성형줄눈재(100)를 삽입하여, 상기 줄눈(10)의 내벽과 상기 성형줄눈재(100)의 몸통부 외면이 접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포장공법.
KR1020120035133A 2012-04-04 2012-04-04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101202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33A KR101202781B1 (ko) 2012-04-04 2012-04-04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133A KR101202781B1 (ko) 2012-04-04 2012-04-04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781B1 true KR101202781B1 (ko) 2012-11-19

Family

ID=4756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133A KR101202781B1 (ko) 2012-04-04 2012-04-04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412B1 (ko) * 2017-11-28 2018-07-11 (주)명덕건설 도로포장의 줄눈 시공방법
KR200492302Y1 (ko) 2020-03-31 2020-09-14 (주)라인크로스테크놀로지 성형 줄눈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3813A (ja) * 1999-03-26 2000-10-03 Kasei Kogyo Kk 道路境界ブロック用目地材
KR101071643B1 (ko) * 2011-04-27 2011-10-11 최형준 콘크리트 도로용 성형 줄눈재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3813A (ja) * 1999-03-26 2000-10-03 Kasei Kogyo Kk 道路境界ブロック用目地材
KR101071643B1 (ko) * 2011-04-27 2011-10-11 최형준 콘크리트 도로용 성형 줄눈재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412B1 (ko) * 2017-11-28 2018-07-11 (주)명덕건설 도로포장의 줄눈 시공방법
KR200492302Y1 (ko) 2020-03-31 2020-09-14 (주)라인크로스테크놀로지 성형 줄눈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6779C (en) Joint seal with resilient cap
KR101963836B1 (ko)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KR101036277B1 (ko)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KR101202781B1 (ko)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20150015555A (ko)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101071643B1 (ko) 콘크리트 도로용 성형 줄눈재 시공 방법
KR100358186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KR101202778B1 (ko)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100834516B1 (ko) 연성을 갖는 보도블록
JP2006144534A (ja) 地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1202780B1 (ko)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101293496B1 (ko) 미끄럼 방지구가 설치된 목재 데크
US20080115440A1 (en) Replacement expansion joint for cement
JP526069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375669Y1 (ko) 구조물이음부의 신축이음장치
KR20020085416A (ko) 지하차도 구조물 신축이음부 포장 층의 조인트 공법
KR102008627B1 (ko) 결로 방지 및 마감재 부착이 용이한 아파트의 외벽 부착용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아파트의 외단열 시공방법
KR101098530B1 (ko) 콘크리트 기초석의 배선공 성형용 튜브 어셈블리
KR100536368B1 (ko) 콘크리트 도로의 줄눈 시공 방법
JP3173280U (ja) 道路境界部の防草構造
KR101581375B1 (ko) 이중 결합부를 갖는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20110105487A (ko)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1119076B1 (ko) 줄눈 형성용 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줄눈 시공방법
KR20050079965A (ko) 경계석 줄눈 채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200403862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줄눈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