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426B1 - 업소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 Google Patents

업소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426B1
KR101202426B1 KR1020110001071A KR20110001071A KR101202426B1 KR 101202426 B1 KR101202426 B1 KR 101202426B1 KR 1020110001071 A KR1020110001071 A KR 1020110001071A KR 20110001071 A KR20110001071 A KR 20110001071A KR 101202426 B1 KR101202426 B1 KR 101202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rear absorber
bumper
vehicle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723A (ko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4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9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mprising a multiplicity of identical adjacent shock-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means outsid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범퍼 빔, 상기 범퍼 빔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업소버 및 상기 범퍼 빔과 업소버를 감싸는 범퍼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에 있어서, 상기 업소버는 전방 업소버 및 후방 업소버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업소버는 상기 전방 업소버와 계단식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에 관한 것으로, 업소버를 전방 업소버와 후방 업서버로 구분하고, 이들을 계단식 배열로 구성함으로써, 범퍼에 가해진 충격이 전방 업소버에서 후방 업소버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충격이 단계별로 완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업소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Bump for Vehicles comprising an absorber}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자동차의 차제 및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업소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범퍼 장치는 자동차의 앞뒤에서 충돌 등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자동차의 차체 및 자동차에 탑승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범퍼장치는 보통 5 마일 범퍼 충돌 법규 규정의 만족을 위해 15배 품 EPP(ExpandedPolypropylene)의 발포 재료로 이루어진 에너지 업소버, 백빔 및 범퍼커버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유럽지역에 적용중인 2.5 마일 범퍼 충돌 보행자 법규사항이 더욱 강화된 완충 성능을요구하고 있어서 45배 품 EPP의 발포재료(FOAM) 적용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강화된 법규에 대응하는 종래의 범퍼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0091320호(명칭: 에너지 흡수체를 갖는 범퍼 시스템)에 기재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비임(beam)과, 상기 비임에 결합되는 에너지 흡수체를 포함하고 그 위에 장착되는 범퍼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에너지 흡수체는 제 1 측부 및 상기 비임과 대면하는 제 2 대향 측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제 1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파쇄가능 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기 제 1 측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상부 파쇄가능 부재로부터 이격된 하부 파쇄가능 부재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에너지 흡수체가 구조적으로 파쇄되면서 충격을 완충시키는 것으로서, 에너지 흡수체가 범퍼 커버의 내부에서 쉽게 좌굴 및 파손되어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기는 하지만, 일단 좌굴의 굽힘점을 넘어서면 완충기능을 상당부분 상실하게 되어 에너지 흡수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하는데에는 어느 정도 기능할 수 있으나, 보행자와 충돌시 보행자의 손상을 최소화하는데에는 부족함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차량용 범퍼의 구조를 개선하여,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보행자와 충돌시 보행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범퍼 빔, 상기 범퍼 빔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업소버 및 상기 범퍼 빔과 업소버를 감싸는 범퍼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에 있어서, 상기 업소버는 전방 업소버 및 후방 업소버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업소버는 상기 전방 업소버와 계단식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방 업소버는 전방 업소버 전면 및 전방 업소버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업소버 전면은 상기 범퍼커버와 마주하고, 상기 전방 업소버 측면은 상기 전방 업소버 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방 업소버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방 업소버는 제1후방 업소버 및 제2후방 업소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후방 업소버는 상기 전방 업소버 측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후방 업소버 전면 및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후방 업소버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후방 업소버는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측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2후방 업소버 전면 및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후방 업소버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후방 업소버는 상기 제1후방 업소버와 계단식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전면은 상기 제1후방 업소버를 상기 전방 업소버와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들 사이의 제1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전면은 상기 제2후방 업소버를 상기 제1후방 업소버와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들 사이의 제2개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전면의 두께는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전면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개구부의 크기가 상기 제1개구부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범퍼에 따르면, 업소버를 전방 업소버와 후방 업서버로 구분하고, 이들을 계단식 배열로 구성함으로써, 범퍼에 가해진 충격이 전방 업소버에서 후방 업소버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충격이 단계별로 완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 업소버의 전면에 개구부들을 형성함으로써, 전방 옵서버를 통해 후방 업소버로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보행자와 충돌시 보행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업소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업소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업소버의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업소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업소버(100)는 전방 업소버(110) 및 후방 업소버(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 업소버(110) 및 상기 후방 업소버(1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업소버(10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업소버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업소버를 전방 업소버와 후방 업소버로 구분하는 것은 상기 전방 업소버가 먼저 범퍼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한 후, 다음으로 후방 업소버가 범퍼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이를 전방과 후방으로 구분하였을 뿐, 이들의 용어의 의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방 업소버(110)는 전방 업소버 전면(110a) 및 전방 업소버 측면(110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업소버 전면(110a)은 후술하는 범퍼커버와 마주하는 면이고, 상기 전방 업소버 측면(110b)은 상기 전방 업소버 전면(110a)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방 업소버(150)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면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전방 업소버 전면(110a) 및 전방 업소버 측면(110b)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절곡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90°의 각을 이룰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후방 업소버(150)는 제1후방 업소버(120), 제2후방 업소버(130) 및 제3후방 업소버(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후방 업소버가 3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후방 업소버는 적어도 1개 이상이면 무방하다.
상기 제1후방 업소버(120)는 상기 전방 업소버 측면(110b)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후방 업소버 전면(120a) 및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전면(120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후방 업소버 측면(12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전면(120a) 및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측면(120b)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절곡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90°의 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후방 업소버(130)는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측면(120b)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2후방 업소버 전면(130a) 및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전면(130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후방 업소버 측면(13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전면(130a) 및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측면(130b)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절곡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90°의 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후방 업소버(140)는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측면(130b)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3후방 업소버 전면(140a) 및 상기 제3후방 업소버 전면(140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후방 업소버 측면(14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후방 업소버 전면(140a) 및 상기 제3후방 업소버 측면(140b)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절곡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90°의 각을 이룰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방 업소버(150)는 상기 전방 업소버(110)와 계단식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후방 업소버들 간, 즉, 상기 제1후방 업소버(120), 상기 제2후방 업소버(130) 및 상기 제3후방 업소버(140)가 계단식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단식 배열이라 함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업소버의 전면들은 이격되면서, 각 업소버의 측면들의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등의 높이가 상이해 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업소버를 전방 업소버와 후방 업서버로 구분하고, 이들을 계단식 배열로 구성함으로써, 범퍼에 가해진 충격이 전방 업소버에서 후방 업소버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충격이 단계별로 완화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업소버를 2개 이상으로 구성하는 경우, 이들 후방 업소버들을 계단식 배열로 구성함으로써, 범퍼에 가해진 충격이 예를 들면, 제1후방 업소버에서 제2후방 업소버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충격이 단계별로 완화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후방 업소버들의 각각의 전면에는 지지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제1후방 업소버 전면(120a)은 상기 제1후방 업소버를 상기 전방 업소버와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지지부(121) 및 상기 제1지지부들 사이의 제1개구부(122)를 포함하고 있고, 제2후방 업소버 전면(130a)은 상기 제2후방 업소버를 상기 제1후방 업소버와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지지부(131) 및 상기 제2지지부들 사이의 제2개구부(132)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3후방 업소버 전면(140a)은 상기 제3후방 업소버를 상기 제2후방 업소버와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3지지부(141) 및 상기 제3지지부들 사이의 제3개구부(142)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후방 업소버들의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를 두는 것은 범퍼에 가해진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범퍼에 가해진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충격이 가해진 부분이 찌그러짐 등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야 하는데, 범퍼에 가해진 충격은 전방 업소버를 통해 후방 업소버로 전달되게 되고, 후방 업소버로 전달된 충격은 지지부로 전달되어, 지지부가 찌그러짐 등에 의해 형태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와 같이, 후방 업소버의 전면에 개구부들을 형성하면, 상기 개구부들의 영역에는 충격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동일한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개구부를 두지 않는 경우보다, 지지부에 더 큰 충격이 가해지므로, 충격이 지지부에 의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후방 업소버의 전면에 개구부들을 형성함으로써, 전방 옵서버를 통해 후방 업소버로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보행자와 충돌시 보행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를 기준으로 상측만을 설명하였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과 대응되도록 하측에도 후방 업소버가 위치할 수 있으며, 하측에 위치하는 후방 업소버는 상측에 위치하는 후방 업소버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업소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이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일 뿐,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옵서버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업소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200)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차폭방향으로 장착되는 범퍼 빔(220), 상기 범퍼 빔(2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업소버(100) 및 상기 범퍼 빔(220)과 업소버(100)를 감싸는 범퍼커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범퍼 빔(220)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구(2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범퍼 빔 및 범퍼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는 당업계에 있어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업소버(11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일 뿐,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옵서버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업소버의 변경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때,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업소버의 전부가 아닌 일부만이 표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옵서버는 전방 옵서버 및 후방 옵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옵서버는 제1후방 업소버, 제2후방 업소버 및 제3후방 업소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후방 업소버는 상기 전방 업소버 측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후방 업소버 전면(120a) 및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전면(120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후방 업소버 측면(12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후방 업소버는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측면(120b)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2후방 업소버 전면(130a) 및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전면(130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후방 업소버 측면(13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후방 업소버는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측면(130b)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3후방 업소버 전면(140a) 및 상기 제3후방 업소버 전면(140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후방 업소버 측면(14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1후방 업소버 전면(120a)은 상기 제1후방 업소버를 상기 전방 업소버와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지지부(121) 및 상기 제1지지부들 사이의 제1개구부(122)를 포함하고 있고, 제2후방 업소버 전면(130a)은 상기 제2후방 업소버를 상기 제1후방 업소버와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지지부(131) 및 상기 제2지지부들 사이의 제2개구부(132)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3후방 업소버 전면(140a)은 상기 제3후방 업소버를 상기 제2후방 업소버와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3지지부(141) 및 상기 제3지지부들 사이의 제3개구부(142)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업소버의 변경예는 상기 후방 업소버 전면들의 두께 및 상기 후방 업소버 지지부 사이의 개구부의 크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후방 업소버 전면(120a)은 t1의 두께로 형성되고, 제2후방 업소버 전면(130a)은 t2의 두께로 형성되며, 제3후방 업소버 전면(140a)은 t3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후방 업소버에서 제3후방 업소버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3후방 업소버 전면(140a)의 두께는 제2후방 업소버 전면(130a)의 두께보다 작고, 제2후방 업소버 전면(130a)의 두께는 제1후방 업소버 전면(120a)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범퍼에 가해진 충격은 전방 업소버를 통해 후방 업소버로 전달되게 되고, 후방 업소버로 전달된 충격은 지지부로 전달되는데, 후방 업소버로의 충격의 전달은 제1후방 업소버에서 제3후방 업소버로 순차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때문에, 제3후방 업소버에 전달되는 충격은 제1후방 업소버에 전달되는 충격보다 상대적으로 작게되고, 따라서, 후방으로 갈수록 충격흡수의 필요성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한편, 옵서버가 범퍼의 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아닌, 옵서버 자체의 하중 또는 차량 자체의 흔들림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범퍼에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옵서버 자체의 외형을 유지할 필요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후방으로 갈수록 옵서버에 충격흡수의 필요성이 점차 줄어드므로, 옵서버 자체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두기 위해, 제1후방 업소버에서 제3후방 업소버로 갈수록 후방 업소버 전면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일한 이유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지지부 사이의 개구부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3후방 업소버 전면(140a)의 개구부(142)의 크기가 제2후방 업소버 전면(130a)의 개구부(132)의 크기보다 작고, 제2후방 업소버 전면(130a)의 개구부(132)의 크기가 제1후방 업소버 전면(120a)의 개구부(122)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달리 표현하면, 각 후방 업소버의 전면의 길이가 동일하고, 지지부의 두께가 동일하다면, 후방으로 갈수록 지지부의 개수가 증가함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업소버 전면들의 두께 및 상기 후방 업소버 지지부 사이의 개구부의 크기를 서로 달리 구성함으로써, 범퍼의 충격흡수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옵서버 자체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업소버 110 : 전방 업소버
150 : 후방 업소버 120 : 제1후방 업소버
130 : 제2후방 업소버 140 : 제3후방 업소버
200 : 차량용 범퍼 220 : 범퍼 빔
210 : 범퍼커버

Claims (9)

  1. 차량에 장착되는 범퍼 빔, 상기 범퍼 빔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력을 흡수하는 업소버 및 상기 범퍼 빔과 업소버를 감싸는 범퍼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에 있어서,
    상기 업소버는 전방 업소버 및 후방 업소버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업소버는 상기 전방 업소버와 계단식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업소버는 전방 업소버 전면 및 전방 업소버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업소버 전면은 상기 범퍼커버와 마주하고, 상기 전방 업소버 측면은 상기 전방 업소버 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방 업소버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업소버 전면과 상기 전방 업소버 측면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업소버는 전방 업소버 전면 및 전방 업소버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업소버는 제1후방 업소버 및 제2후방 업소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후방 업소버는 상기 전방 업소버 측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후방 업소버 전면 및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후방 업소버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후방 업소버는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측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2후방 업소버 전면 및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후방 업소버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전면과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측면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절곡되고,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전면과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측면은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방 업소버는 상기 제1후방 업소버와 계단식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전면은 상기 제1후방 업소버를 상기 전방 업소버와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들 사이의 제1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전면은 상기 제2후방 업소버를 상기 제1후방 업소버와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들 사이의 제2개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방 업소버 전면의 두께는 상기 제1후방 업소버 전면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부의 크기가 상기 제1개구부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KR1020110001071A 2011-01-05 2011-01-05 업소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KR101202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071A KR101202426B1 (ko) 2011-01-05 2011-01-05 업소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071A KR101202426B1 (ko) 2011-01-05 2011-01-05 업소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723A KR20120079723A (ko) 2012-07-13
KR101202426B1 true KR101202426B1 (ko) 2012-11-16

Family

ID=46712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071A KR101202426B1 (ko) 2011-01-05 2011-01-05 업소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186A (ko)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캠스 접합구조 및 오리피스 원리를 적용한 에너지 업소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392A (ja) 2003-08-25 2005-03-17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のバンパー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392A (ja) 2003-08-25 2005-03-17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のバンパー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186A (ko)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캠스 접합구조 및 오리피스 원리를 적용한 에너지 업소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723A (ko) 201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444B2 (en) Anisotropic multi-sectional modular energy absorber and method for configuring same
US9120444B2 (e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JP5527828B2 (ja) 車両前部構造
US20090152881A1 (en) Bumper beam for vehicles
JP2008526590A (ja) エネルギー吸収装置を備えたバンパシステム
KR101864809B1 (ko) 개량된 에너지 흡수 시스템
JP2013521194A (ja) 歩行者のためのボンネットエネルギー吸収体
JP2004148915A (ja) 車両用バンパ装置
KR101660429B1 (ko) 엇갈린, 수직 배향 크러쉬 로브들을 구비한 에너지 완충기
JP2018131122A (ja) 車両の前部構造
JP2009515773A (ja) エネルギー吸収車両フェンダー
JP6224466B2 (ja) 衝撃吸収ブラケット
JP4931405B2 (ja) 車両用衝撃吸収部材
US7740293B2 (en) Combination bumper cover and stiffener for vehicles
JP2006168535A (ja) 衝撃エネルギー吸収材
JP2009515772A (ja) エネルギー吸収車両フェンダー
KR101467032B1 (ko) 에너지 흡수율을 향상시킨 복합 재료 범퍼 백빔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KR101202426B1 (ko) 업소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JP6584168B2 (ja) フロントバンパ
JP4457302B2 (ja) 自動車用衝撃吸収部材
JP2017136995A (ja) 車両用内装部品
US7484780B2 (en) Bumper beam for automobile
JP5675852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6133824B2 (ja) 車両用バンパー
JP6801502B2 (ja) 車両用フロントフ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