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882B1 - 구급장비용 보관함 - Google Patents

구급장비용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882B1
KR101201882B1 KR1020100109587A KR20100109587A KR101201882B1 KR 101201882 B1 KR101201882 B1 KR 101201882B1 KR 1020100109587 A KR1020100109587 A KR 1020100109587A KR 20100109587 A KR20100109587 A KR 20100109587A KR 101201882 B1 KR101201882 B1 KR 101201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locking device
lever member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127A (ko
Inventor
하윤호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주식회사 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주식회사 헤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Priority to KR102010010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8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와, 구급장비가 수용되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1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2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2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으로, 상기 제1 잠금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 상기 보관함 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잠금장치의 걸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급장비용 보관함{Cabinet for rescue equipment}
본 발명은, 구급장비용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급장비의 도난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이면서도 구급장비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관함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급장비용 보관함이란, 심장제세동기, 방독면, 구명복 등을 포함한 구급장비를 보관하고 있다가 구급 혹은 응급 상황시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보관함을 말한다. 이러한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이나 공공 장소 등에 스탠드형이나 벽걸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내부에 구급장비를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관함 몸체와, 보관함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잠금장치가 잠금 해제 상태로, 즉 열쇠가 없어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로 운용되는데, 이는 초를 다투는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되어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급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만약 잠금장치가 평상시 잠금 상태로 운용된다면, 구급장비용 보관함에서 구급장비를 꺼내기 위해서는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열쇠가 필요한데, 사용자가 열쇠를 찾지 못하거나 찾더라도 오랜 시간이 걸린 경우에는 구급장비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위와 같이 구급장비용 보관함을 운용할 경우에는, 아무런 제약 없이 누구나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보관된 구급장비가 도난당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급장비의 도난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면서도, 구급장비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관함을 운용함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구급장비가 보관된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의 잠금장치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와, 구급장비가 수용되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1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2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2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으로, 상기 제1 잠금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 상기 보관함 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잠금장치의 걸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잠금장치를 덮도록 상기 제1 도어의 전면에 부착되는 접착 시트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에서 상기 제1 개구부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 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수용공간 측에 위치하고, 상기 레버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폐쇄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방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부재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이동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와, 구급장비가 수용되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1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2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2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으로, 상기 보관함 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잠금장치의 걸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에서 상기 제1 개구부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 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폐쇄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방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와, 구급장비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1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1 도어와, 제2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2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에 있어서, 제1 잠금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통해 구급장비의 도난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면서도, 제1 잠금장치를 조작하는 대신에 프레임 부재와 레버 부재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1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구급장비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할 때마다 커버 부재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커버 부재와의 관계에서 갖는 이점 이외에도, 제1 잠금장치의 열쇠가 없더라도, 예컨대 열쇠가 분실되었더라도 프레임 부재와 레버 부재의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제1 도어를 개방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은, 보관함을 운용함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구급장비가 보관된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의 잠금장치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개방된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에서 프레임 부재와 레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프레임 부재와 레버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개방된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에서 프레임 부재와 레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프레임 부재와 레버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심장제세동기, 방독면, 구명복 등을 포함한 구급장비를 보관하고 있다가 구급 혹은 응급 상황시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이나 공공 장소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스탠드형 보관함으로 심장제세동기(defibrillator)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제안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급장비'라는 용어는 구급물품, 응급장비, 응급의료장비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보관함 몸체(110), 제1 도어(120), 제2 도어(130), 커버 부재(140), 프레임 부재(150) 및 레버 부재(16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도어(130) 및 제2 도어(140)에는 제1 잠금장치(125) 및 제2 잠금장치(135)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관함 몸체(110)는 구급장비 등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보관함 몸체(110)의 수용공간(1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구획벽(115)에 의해 제1 수용공간(111a)과 제2 수용공간(111b)으로 구획된다. 즉, 보관함 몸체(110)는 제1 수용공간(111a)과 제2 수용공간(111b)으로 구획되는 수용공간(11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수용공간(111a)과 제2 수용공간(111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된다. 즉, 보관함 몸체(110)는 상하 구획되는 수용공간(111)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1 수용공간(111a)과 제2 수용공간(111b)의 배치 구조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상하 배치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제1 수용공간(111a)과 제2 수용공간(111b)은 본 실시예와 다르게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용공간(111a)은 구급장비(본 실시예의 경우 '심장제세동기')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고, 제2 수용공간(111b)은 구급장비의 유지보수를 위한 도구(예컨대, '심장제세동기'의 경우 여분의 배터리)를 보관하거나, 사이렌 등의 부속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에서 구급장비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제1 수용공간(111a)이 아닌 제2 수용공간(111b)으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보관함 몸체(110)는 가로 대비 세로가 긴 사각 박스 형상으로 스탠드형으로 제작된 것이나, 보관함 몸체(110)의 형상, 타입 등은 구급장비의 종류 및 개수, 설치되는 장소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보관함 몸체(110)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것과 다르게 벽걸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보관함 몸체(110)는 통상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130)는 전술한 보관함 몸체(110)의 제1 수용공간(111a) 및 제2 수용공간(111b)을 각각 개폐한다. 먼저, 제1 도어(120)는 제1 수용공간(111a)을 개폐하도록 보관함 몸체(1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도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몸체(110)를 구성하는 오른쪽 측벽에 경첩(121) 등을 통해 힌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120)의 중앙 영역에는 유리 등의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시창(123)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시창(123)을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보관함 몸체(110)의 제1 수용공간(111a)에 보관된 구급장비의 유무 및 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2 도어(130)는 전술한 제1 도어(120)와 같은 방식으로 제2 수용공간(111b)을 개폐하도록 보관함 몸체(110)에 결합된다. 즉, 제2 도어(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몸체(110)를 구성하는 오른쪽 측벽에 경첩(131) 등을 통해 힌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130)의 세부 구성은 한편,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13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장치(125) 및 제2 잠금장치(135)가 각각 설치된다. 제1 잠금장치(125) 및 제2 잠금장치(135)는 보관함 몸체(110)에 대해 각각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130)를 잠그기 위한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잠금장치(125)와 제2 잠금장치(135)는 통상 '평면 핸들장치'라고 하는 잠금장치로 제공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 잠금장치(125)의 구성 및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제2 잠금장치(135)는 제1 잠금장치(12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잠금장치(125)는 핸들부(126), 열쇠부(127), 누름버튼부(128) 및 걸림부(129)를 포함한다. 제1 잠금장치(125)에서 잠금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 사이의 전환은 열쇠부(127)의 열쇠구멍(127a)에 삽입되는 열쇠(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잠금장치(125)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누름버튼부(128)가 눌러지면 핸들부(126)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앞으로 튀어나오고 이에 따라 걸림부(129)가 도 4(a)의 걸림 위치에서 도 4(b)의 걸림 해제 위치로 회전 이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잠금장치(125)의 걸림 해제 위치에서 제1 도어(120)는 개방될 수 있다. 반면, 잠금 상태에서 제1 잠금장치(125)는 핸들부(126) 및 걸림부(129)의 작동이 구속되므로, 누름버튼부(128)가 눌러지더라도 제1 도어(120)가 개방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 잠금장치(125)는 각종 보관함(예컨대, 소화전함, 사물함, 무인택배함 등)에서 도어를 잠그기 위한 수단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1 잠금장치(125)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구조, 즉 평면 핸들장치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구조를 갖는 잠금장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잠금장치(135) 또한 마찬가지이다.
한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을 운용함에 있어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제1 잠금장치(125)는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1 잠금장치(125)가 설치된 제1 도어(120)는 해당 열쇠가 없어도 누름버튼부(128)만 누르면 개방될 수 있는 상태로 운용된다. 이는 초를 다투는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되어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급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만약 제1 잠금장치(125)가 평상시 잠금 상태로 운용된다면, 보관함(100)에서 구급장비를 꺼내기 위해서는 제1 잠금장치(125)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열쇠가 필요한데, 사용자가 열쇠를 찾지 못하거나 찾더라도 오랜 시간이 걸린 경우에는 구급장비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렇게 운용할 경우, 보관함(100)에 보관된 구급장비가 도난당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는데, 이하 설명할 커버 부재(140)는 이러한 구급장비의 도난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부재(140)는 제1 잠금장치(12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제1 도어(12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장치(125)의 대부분을 덮도록 제1 도어(120)의 전면에 부착되는 접착 시트(140)로 제공된다. 접착 시트(140)는 다른 커버 부재 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커버 부재(140)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접착 시트(14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잠금장치(125)를 덮도록 제1 도어(120)에 부착 가능하면서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제1 도어(120)로부터 큰 어려움 없이 떼어낼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접착 시트(140)는 사용자가 제1 잠금장치(125)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다르게 불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접착 시트(140) 상에는 소정의 문구, 예컨대 "응급 상황 발생시 본 접착 시트를 떼어낸 후 잠금장치의 버튼을 누르면 도어가 열립니다" 및/또는 "응급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사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현재 CCTV 감시 중입니다"라는 문구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접착 시트(140)의 일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착 돌출부(145)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비접착 돌출부(145)는 접착 시트(140)의 일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1 도어(120)에 접착되지 않는 것으로, 접착 시트(140)를 제1 도어(120)로부터 신속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버 부재(140)가 구비됨으로써, 구급장비가 보관된 제1 수용공간(111a)을 개방하려면, 즉 제1 도어(120)를 열려면 제1 잠금장치(125)의 누름버튼부(128)를 누르기 앞서 또는 누른 다음에 제1 도어(120)에 부착된 커버 부재(140)를 떼어내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140)는 보관함(100)에 보관된 구급장비를 훔치려는 사람이나 응급 상황이 아닌데도 호기심 또는 장난으로 제1 도어(120)를 열어보려는 사람 등에게 심리적인 부담과 행동의 번거로움을 줌으로써, 구급장비의 도난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커버 부재(140)는 관리자가 구급장비를 주기적으로 관리 점검하거나 유지보수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관리자가 보관함(100)에 보관된 구급장비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제1 도어(120)를 열어 구급장비를 꺼내야 하는데, 이때 제1 도어(120)에 부착된 커버 부재(140)를 떼어내는 작업이 필요하고,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마치면 구급장비를 다시 보관함(100)에 넣은 후 제1 도어(120)에 새로운 커버 부재(140)를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할 때마다 커버 부재(140)를 교체해야 하므로, 여분의 커버 부재(140)를 다수개 미리 제작하여 준비해 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커버 부재(140)의 부작용은 프레임 부재(150) 및 레버 부재(160)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데,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 부재(150)는 보관함 몸체(110)에 마련되고 제1 잠금장치(125)의 걸림부(129)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155)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부재(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몸체(110)의 일 측벽(도 2에서 왼쪽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되, 수용공간(111)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마련된다. 이와 다르게, 프레임 부재(150)는 전체 수용공간(111) 중 제1 잠금장치(125)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한 일부 영역에만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단면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프레임 부재(150)는 단순히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는 제1 잠금장치(125)의 걸림 위치(도 4(a)의 위치)에서 걸림부(129)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걸림부(129)와 간섭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제1 개구부(155)는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레임 부재(150)는 제1 개구부(155)를 중심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슬롯(151,15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슬롯(151,15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5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슬롯(151,152)은 후술할 레버 부재(160)의 상하 이동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레버 부재(160)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레버 부재(160)는 프레임 부재(150)에 결합되어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를 개폐한다. 이때, 레버 부재(160)는 제2 도어(130)를 개방한 후 제2 수용공간(111b) 측에서 제1 개구부(155)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2 수용공간(111b) 측까지 연장된다. 즉, 레버 부재(160)의 일단부(상단부)는 제1 수용공간(111a) 측에 위치하는 반면, 레버 부재(160)의 타단부(하단부)는 제2 수용공간(111b) 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레버 부재(160)는 프레임 부재(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와 중첩되는 제2 개구부(165)를 포함한다. 제2 개구부(16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155)가 레버 부재(16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제1 개구부(155)에서 하측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레버 부재(160)에 의한 제1 개구부(155)의 개폐 조작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레버 부재(16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50)의 후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레버 부재(160)는 프레임 부재(150)와 마찬가지로 대략 'ㄴ'자 단면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 부재(150)의 내측에 삽입 배치된다. 다만, 레버 부재(160)는 형상 및 배치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레버 부재(160)는 단순히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레버 부재(160)는 한 쌍의 볼트(171,172)와 너트(171a,172a)를 통해 프레임 부재(150)와 결합하는데, 이를 위해 레버 부재(160)에는 프레임 부재(150)의 한 쌍의 슬롯(151,152)과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체결공(161,162)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볼트(171)는 프레임 부재(150)의 앞쪽에서 제1 슬롯(151)과 제1 체결공(161)을 차례로 관통하여 레버 부재(160)의 뒤쪽에서 제1 너트(171a)와 체결되고, 제2 볼트(172)는 프레임 부재(150)의 앞쪽에서 제2 슬롯(152)과 제2 체결공(162)을 차례로 관통하여 레버 부재(160)의 뒤쪽에서 제2 너트(172a)와 체결된다. 이때, 볼트(171,172)와 너트(171a,172a)는 레버 부재(16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지 않을 정도로 상호 체결된다. 이에 따라, 레버 부재(160)는 프레임 부재(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 부재(150)에 형성된 제1 및 제2 슬롯(151,152)을 따라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레버 부재(160)의 하단부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63)가 프레임 부재(15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부(163)는 관리자가 레버 부재(16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편의를 제공한다. 즉, 관리자는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의 개폐 조작이 필요할 때 핸들부(163)를 잡고 레버 부재(160)를 위쪽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의 작동 원리를 프레임 부재(150)와 레버 부재(16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레버 부재(160)는 평상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를 폐쇄하는 하강 위치에 있다. 이 경우, 제1 잠금장치(125)의 걸림부(129)는 레버 부재(160)와 간섭되기 때문에, 제1 도어(12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도어(120)에 부착된 커버 부재(140)를 떼어내고 제1 잠금장치(125)의 누름버튼부(128)를 눌러 제1 잠금장치(125)의 걸림부(129)가 걸림 위치(도 4a 참조)에서 걸림 해제 위치(도 4b 참조)로 이동하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레버 부재(160)가 위와 같은 하강 위치에 있다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위치로 이동하면, 레버 부재(160)의 제2 개구부(165)가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와 중첩되어 제1 개구부(155)를 개방한다. 이 경우, 제1 잠금장치(125)의 걸림부(129)는 프레임 부재(150)와 간섭되지 않음은 물론 레버 부재(160)와도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제1 도어(1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커버 부재(140)의 제거 및 제1 잠금장치(125)의 조작이 없이도 열리게 된다. 여기서, 레버 부재(160)의 조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도어(130)를 개방한 후 제2 수용공간(111b) 측에서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레버 부재(160)는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를 폐쇄하는 '하강 위치'와 레버 부재(160)의 제2 개구부(165)가 제1 개구부(155)와 중첩되어 제1 개구부(155)를 개방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레버 부재(160)의 이동 조작은 제2 도어(130)를 개방한 후 제2 수용공간(111b) 측에서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프레임 부재(150) 및 레버 부재(160)를 구비함으로써, 관리자가 구급장비를 주기적으로 관리 점검하거나 유지보수함에 있어서 커버 부재(140)로 인해 나타나는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구급장비에 대한 점검 및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프레임 부재(150)와 레버 부재(160)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1 도어(120)를 개방함으로써, 구급장비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할 때마다 커버 부재(140)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프레임 부재(150)와 레버 부재(160)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은 커버 부재(140)와의 관계를 떠나 다른 기술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관리상의 이유 등으로 제1 도어(120)에 설치된 제1 잠금장치(125)를 잠금 상태로 운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잠금장치(125)의 열쇠가 없더라도, 프레임 부재(150)와 레버 부재(160)의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제1 도어(120)를 개방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은 특히 관리자가 제1 잠금장치(125)의 열쇠를 분실하였거나 분실하지 않았더라도 보관함(10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프레임 부재(150)와 레버 부재(160)의 구성은 커버 부재(140)와의 관계에서 갖는 기술적 의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구급장비용 보관함
110 : 보관함 몸체
120 : 제1 도어
125 : 제1 잠금장치
129 : 제1 잠금장치의 걸림부
130 : 제2 도어
135 : 제2 잠금장치
140 : 커버 부재(접착 시트)
150 : 프레임 부재
155 : 제1 개구부
160 : 레버 부재
165 : 제2 개구부

Claims (12)

  1.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와, 구급장비가 수용되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1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2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2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으로,
    상기 제1 잠금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
    상기 보관함 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잠금장치의 걸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에서 상기 제1 개구부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 측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잠금장치를 덮도록 상기 제1 도어의 전면에 부착되는 접착 시트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수용공간 측에 위치하고, 상기 레버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폐쇄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방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이동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9.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와, 구급장비가 수용되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1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2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2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으로,
    상기 보관함 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잠금장치의 걸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에서 상기 제1 개구부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 측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폐쇄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방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KR1020100109587A 2010-11-05 2010-11-05 구급장비용 보관함 KR101201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587A KR101201882B1 (ko) 2010-11-05 2010-11-05 구급장비용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587A KR101201882B1 (ko) 2010-11-05 2010-11-05 구급장비용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127A KR20120048127A (ko) 2012-05-15
KR101201882B1 true KR101201882B1 (ko) 2012-11-15

Family

ID=4626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587A KR101201882B1 (ko) 2010-11-05 2010-11-05 구급장비용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006B1 (ko) * 2012-09-26 2014-04-21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구급장비용 보관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926A (ja) 2002-03-05 2003-09-10 Yukio Kashiwagi 不正開錠防止具
KR200447263Y1 (ko) 2007-10-26 2010-01-12 정옥교 조립식 옷장용 통합 기능 문짝 손잡이 체결구조
KR200450161Y1 (ko) * 2008-09-19 2010-09-08 주식회사 명성기업 무인 보관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3926A (ja) 2002-03-05 2003-09-10 Yukio Kashiwagi 不正開錠防止具
KR200447263Y1 (ko) 2007-10-26 2010-01-12 정옥교 조립식 옷장용 통합 기능 문짝 손잡이 체결구조
KR200450161Y1 (ko) * 2008-09-19 2010-09-08 주식회사 명성기업 무인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127A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1589A (en) Quick opening hand gun safe
KR101201882B1 (ko) 구급장비용 보관함
PH12016000224A1 (en) Hidden-lock door panel and containing device having the same
JP4942096B2 (ja) 非常用ボックス
US9816295B1 (en) Emergency entry control system
JP4593335B2 (ja) 南京錠保管箱
JP2009051642A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
US9216697B1 (en) Vehicle vault assembly
JP4638778B2 (ja) 保管庫
KR100947250B1 (ko)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KR101387006B1 (ko) 구급장비용 보관함
JP5364900B2 (ja) 施錠装置
JP2012052362A (ja) ロック機構
JP3148810U (ja) 地震の揺れによって鋼板製物置小屋の鍵を振り子式重錘で自動的に解錠する装置
JP2019037690A (ja) 消火器箱
JP5364899B2 (ja) 収納什器
JP6685211B2 (ja) 安全柵ならびにロックアウト装置
CN210144202U (zh) 自助存取柜
JP5856800B2 (ja) 緊急用備品保管庫
CN108868321A (zh) 一种智能锁低功耗安全装置
JP4102328B2 (ja) 店舗用避難装置
CN213882218U (zh) 一种智慧办公用安防装置
KR101598115B1 (ko) 화재용 손전등 수납함
KR200396880Y1 (ko) 비상탈출 방범창
KR200241286Y1 (ko) 비상출입문의 자동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