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006B1 - 구급장비용 보관함 - Google Patents

구급장비용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006B1
KR101387006B1 KR1020120106898A KR20120106898A KR101387006B1 KR 101387006 B1 KR101387006 B1 KR 101387006B1 KR 1020120106898 A KR1020120106898 A KR 1020120106898A KR 20120106898 A KR20120106898 A KR 20120106898A KR 101387006 B1 KR101387006 B1 KR 10138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rage
central portion
storage box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878A (ko
Inventor
옥치준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주식회사 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주식회사 헤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Priority to KR102012010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0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7/00First-aid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구급장비용 보관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구급장비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고 개구가 형성되는 보관함 도어; 상기 보관함 몸체에 대해 상기 보관함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잠금수단; 및 상기 개구를 덮도록 상기 보관함 도어와 결합하는 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시창은,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관함 도어와 결합하는 테두리부와, 비상시 상기 중앙부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상기 중앙부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마련되는 절취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급장비용 보관함{Cabinet for rescue equipment}
본 발명은, 구급장비용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급장비의 도난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이면서도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는 사용자가 구급장비를 신속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는 보관함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급장비용 보관함이란, 심장제세동기, 방독면, 구명복 등을 포함한 구급장비를 보관하고 있다가 구급 혹은 응급 상황시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보관함을 말한다. 이러한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이나 공공 장소 등에 스탠드형이나 벽걸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내부에 구급장비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와, 보관함 몸체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보관함 도어와, 보관함 몸체에 대해 보관함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잠금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도어잠금장치가 잠금 해제 상태로, 즉 열쇠가 없어도 보관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로 운용되는데, 이는 초를 다투는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되어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급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만약 도어잠금장치가 평상시 잠금 상태로 운용된다면, 구급장비용 보관함에서 구급장비를 꺼내기 위해서는 도어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열쇠가 필요한데, 사용자가 열쇠를 찾지 못하거나 찾더라도 오랜 시간이 걸린 경우에는 구급장비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위와 같이 구급장비용 보관함을 운용할 경우에는,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이 아닌 평상시에도 아무런 제약 없이 누구나 보관함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보관된 구급장비가 도난당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된 구급장치가 도난당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관리상의 이유로 평상시 보관함 도어에 설치된 도어잠금수단을 잠금 상태로 운용하더라도,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는 사용자가 구급장비를 신속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급장비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고 개구가 형성되는 보관함 도어; 상기 보관함 몸체에 대해 상기 보관함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잠금수단; 및 상기 개구를 덮도록 상기 보관함 도어와 결합하는 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시창은,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관함 도어와 결합하는 테두리부와, 비상시 상기 중앙부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상기 중앙부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마련되는 절취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창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와 상기 테두리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절취 수단은, 상기 중앙부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부와 상기 테두리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절취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취 리브는, 상기 중앙부의 두께나 상기 테두리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취 수단은, 상기 중앙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경계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절취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취 홈은,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상기 시창의 상기 중앙부가 당겨져서 절취되도록 상기 시창에 구비되는 당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김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보관함 도어의 안쪽으로 손을 넣어 상기 중앙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중앙부의 일 부분을 잘라내서 형성한 당김용 개구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급장비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보관함 도어; 및 상기 보관함 몸체에 대해 상기 보관함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관함 도어의 전면 프레임은, 중앙부와, 비상시 상기 중앙부가 상기 중앙부를 제외한 상기 전면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상기 중앙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절취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함 도어 전체 또는 상기 보관함 도어의 상기 전면 프레임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와 상기 나머지 부분은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절취 수단은, 상기 중앙부와 상기 나머지 부분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부와 상기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절취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취 리브는, 상기 중앙부의 두께나 상기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취 수단은, 상기 중앙부와 상기 나머지 부분의 경계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절취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취 홈은,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상기 보관함 도어의 상기 중앙부가 당겨져서 절취되도록 상기 보관함 도어에 구비되는 당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김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보관함 도어의 안쪽으로 손을 넣어 상기 중앙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중앙부의 일 부분을 잘라내서 형성한 당김용 개구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급장비용 보관함에 있어서 보관함 도어의 개구를 덮는 시창의 중앙부가 시창의 테두리부로부터 쉽고 안전하게 절취되거나 떨어져 나가도록 구성하거나, 보관함 도어의 중앙부가 중앙부를 제외한 보관함 도어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쉽고 안전하게 절취되거나 떨어져 나가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관된 구급장비가 도난당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관리상의 이유로 평상시 보관함 도어에 설치된 도어잠금수단을 잠금 상태로 운용하더라도,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 사용자가 시창의 중앙부나 보관함 도어의 중앙부를 쉽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관함 도어의 개구를 통해 구급장비를 신속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을 보관함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에서 시창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심장제세동기, 방독면, 구명복 등을 포함한 구급장비를 보관하고 있다가 구급 혹은 응급 상황시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이나 공공 장소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예시하고 있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스탠드형 보관함' 구조로 심장제세동기(defibrillator)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제공되는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벽걸이형 보관함' 구조로 제공되거나 심장제세동기 외의 다른 구급장비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급장비'라는 용어는 구급물품, 응급장비, 응급의료장비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을 보관함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에서 시창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보관함 몸체(110), 보관함 도어(120), 도어잠금수단(130) 및 시창(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스탠드형 보관함' 구조로 제2 보관함 도어(150) 및 제2 도어잠금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와 다르게 '벽걸이형 보관함' 구조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2 보관함 도어(150) 및 제2 도어잠금수단(160)은 생략될 수 있다.
보관함 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장제세동기 등의 구급장비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공간(111)이 형성되고 전측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보관함 몸체(110)는 제2 내부공간(112)이 더 형성되는데, 제2 내부공간(112)은 구급장비의 유지보수를 위한 도구(예컨대, '심장제세동기'의 경우 여분의 배터리)를 보관하거나, 사이렌 등의 부속 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이다. 이때, 내부공간(111)과 제2 내부공간(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구획벽(115)에 의해 구획된다.
보관함 몸체(110)는 가로 대비 세로가 긴 사각 박스 형상으로 스탠드형으로 제작된 것이나, 보관함 몸체(110)의 형상, 타입 등은 구급장비의 종류 및 개수, 설치되는 장소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는데, 예컨대 보관함 몸체(110)는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것과 다르게 벽걸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보관함 몸체(110)는 통상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보관함 도어(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몸체(110)의 내부공간(111)을 개폐하기 위한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보관함 도어(120)는 보관함 몸체(110)의 내부공간(111)을 개폐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몸체(110)의 오른쪽 측벽에 경첩(117) 등에 의해 힌지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보관함 도어(150)는 보관함 몸체(110)의 제2 내부공간(112)을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관함 도어(120)와 마찬가지로 보관함 몸체(110)의 오른쪽 측벽에 경첩(118) 등에 의해 힌지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보관함 도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프레임(121)의 중앙 영역에 개구(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121A)는 후술할 시창(140)에 의해 덮어지는 부분으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보관함 몸체(110)의 내부공간(111)에 보관된 구급장비의 유무 및 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기에 적절한 크기 및 형상으로 보관함 도어(12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잠금수단(130)은 보관함 몸체(110)에 대해 보관함 도어(120)를 잠그기 위한 수단이다. 도어잠금수단(130)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전함, 사물함, 무인택배함 등의 각종 보관함에 많이 사용되는 '평면 핸들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평면 핸들장치로 제공되는 도어잠금수단(1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31), 열쇠부(133), 누름버튼부(135) 및 걸림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잠금수단(130)에서 잠금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 사이의 전환은 열쇠부(133)에 삽입되는 열쇠(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어잠금수단(130)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누름버튼부(135)가 눌러지면 핸들부(13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앞으로 튀어나오고 이에 따라 걸림부(137)가 걸림 위치에서 걸림 해제 위치로 회전 이동하고 이러한 걸림 해제 위치에서 보관함 도어(120)는 개방될 수 있다. 반면, 잠금 상태에서 도어잠금수단(130)은 핸들부(131) 및 걸림부(137)의 작동이 구속되므로, 누름버튼부(135)가 눌러지더라도 보관함 도어(120)가 개방되지 않는다. 한편, 제2 도어잠금수단(160)은 보관함 몸체(110)에 대해 제2 보관함 도어(150)를 잠그기 위한 수단으로, 도어잠금수단(130)와 마찬가지로 통상 '평면 핸들장치'로 제공되어 제2 보관함 도어(150)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도어잠금수단(130) 및 제2 도어잠금수단(160)은 첨부된 도면들에 개시된 평면 핸들장치의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구조를 갖는 상용화된 도어잠금수단 중 어느 하나가 채택될 수 있다.
시창(140, 視窓)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보관함 몸체(110)의 내부공간(111)에 보관된 구급장비의 유무 및 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이나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시창(140)은 보관함 도어(120)의 개구(121A)를 덮도록 보관함 도어(120)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시창(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도어(120)의 안쪽에서 시창(140)의 테두리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보관함 도어(120)의 안쪽면에 견고히 부착하는 방식으로 보관함 도어(120)와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시창(140)과 보관함 도어(120)의 결합 방식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고 있는 접착제에 의한 부착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볼트체결방식이나 끼움 방식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결합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을 운용함에 있어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구급장비가 보관된 내부공간(111)을 개폐하는 보관함 도어(120)에 설치된 도어잠금수단(130)은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도어잠금수단(130)이 설치된 보관함 도어(120)는 해당 열쇠가 없어도 누름버튼부(135)만 누르면 개방될 수 있는 상태로 운용된다. 이는 초를 다투는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 신속하게 사용되어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급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만약 도어잠금수단(130)이 평상시 잠금 상태로 운용된다면,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에서 구급장비를 꺼내기 위해서는 도어잠금수단(1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열쇠가 필요한데, 사용자가 열쇠를 찾지 못하거나 찾더라도 오랜 시간이 걸린 경우에는 구급장비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렇게 운용할 경우, 구급장비를 의도적으로 훔치려하는 사람이나 응급 상황이 아닌데도 호기심 또는 장난으로 보관함 도어(120)를 열어본 사람 등에 의해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에 보관된 구급장비가 도난당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시창(140)의 구성은,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에 보관된 구급장비가 도난당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상시 도어잠금수단(130)을 잠금 상태로 운용하더라도,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 사용자가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으로부터 구급장비를 신속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에 그 기술적 의미가 있다.
시창(14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142), 테두리부(143) 및 절취 리브(145)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142)은 시창(14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시창(14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테두리부(143)는 중앙부(142)를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보관함 도어(120)와 결합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중앙부(142)와 테두리부(14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절취 리브(145)는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 중앙부(142)가 테두리부(143)로부터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중앙부(142)와 테두리부(143) 사이에 마련되는 절취 수단 중 하나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142)와 테두리부(143)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배치되어 중앙부(142)와 테두리부(143)를 연결한다. 이때, 절취 리브(145)는 평상시 테두리부(143)에 대해 중앙부(14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중앙부(142)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절취 리브(145)는 원형 단면을 갖는 바(bar) 형상으로 제공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창(140)을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 사용자가 손이나 임의의 공구를 사용하여 시창(140)의 중앙부(142)에 힘을 가하면, 시창(140)의 절취 리브(145)가 절단되거나 끊어져서 중앙부(142)는 테두리부(143)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때, 절취 리브(145)는 절단이 잘 이루어지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142)의 두께(d1)나 테두리부(143)의 두께(d2)보다 작은 두께(d3)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는 시창(140)의 중앙부(142)가 제거된 보관함 도어(120)의 개구(121A)를 통해 보관함 몸체(110)의 내부공간(111)에 보관된 구급장비를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시창(14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이나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유리 재질의 시창(140)의 경우에는 위와 같이 시창(140)의 중앙부(142)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리 파편에 의해 사용자가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시창(14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시창(140)은 아크릴 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참고로 아크릴은 매우 깨끗하고 투명하면서 단단하고 견고한 플라스틱으로 루시트(Lucite), 플렉시그래스(Plexiglas), 퍼스펙스(Perspex) 등의 상표를 갖는 제품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보관함 도어(120)의 개구(121A)를 덮는 시창(140)을 포함하되, 시창(140)의 중앙부(142)가 시창(140)의 테두리부(143)로부터 쉽고 안전하게 절취되거나 떨어져 나가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중앙부(142)와 테두리부(143)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배치되어 중앙부(142)와 테두리부(143)를 연결하는 절취 리브(145)를 절취 수단으로 마련함으로써, 보관된 구급장비가 도난당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관리상의 이유로 평상시 보관함 도어(120)에 설치된 도어잠금수단(130)을 잠금 상태로 운용하더라도,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 사용자가 보관함 도어(120)의 개구(121A)를 덮는 시창(140)의 중앙부(142)를 쉽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관함 도어(120)의 개구(121A)를 통해 구급장비를 신속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200)은 보관함 몸체(110), 보관함 도어(120), 도어잠금수단(130) 및 시창(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급장비용 보관함(200)은 제2 보관함 도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200)은 시창(240)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시창(24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242), 테두리부(243) 및 절취 홈(245)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앙부(242)은 시창(24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시창(24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이고, 테두리부(243)는 중앙부(242)를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보관함 도어(120)와 결합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르게 중앙부(242)와 테두리부(243)은 서로 이격 배치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된다. 즉, 중앙부(242)와 테두리부(243)은 하나의 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절취 홈(245)는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 중앙부(242)가 테두리부(243)로부터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중앙부(242)와 테두리부(243) 사이에 마련되는 절취 수단 중 하나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242)와 테두리부(243)의 경계선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절취 홈(245)은 시창(240)의 바깥쪽 표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다르게 시창(240)의 안쪽 표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창(240)을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200)은,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 사용자가 손이나 임의의 공구를 사용하여 시창(240)의 중앙부(242)에 힘을 가하면, 상대적으로 취약한 시창(240)의 절취 홈(245) 부분이 절단되거나 끊어져서 중앙부(242)는 테두리부(243)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때, 절취 홈(145)는 절단이 잘 이루어지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는 시창(240)의 중앙부(242)가 제거된 보관함 도어(120)의 개구(121A, 도 2 참조)를 통해 보관함 몸체(110)에 보관된 구급장비를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시창(240)에 관한 나머지 사항은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을 준용하기로 한다. 예컨대, 시창(24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특성을 갖는 아크릴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200)은 보관함 도어(120)의 개구(121A, 도 2 참조)를 덮는 시창(240)을 포함하되, 시창(240)의 중앙부(242)와 시창(240)의 테두리부(243)의 경계선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절취 홈(245)을 절취 수단으로 마련하여, 시창(240)의 중앙부(242)가 시창(240)의 테두리부(243)로부터 쉽고 안전하게 절취되거나 떨어져 나가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관된 구급장비가 도난당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관리상의 이유로 평상시 보관함 도어(120)에 설치된 도어잠금수단(130)을 잠금 상태로 운용하더라도,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 사용자가 보관함 도어(120)의 개구(121A)를 덮는 시창(240)의 중앙부(242)를 쉽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관함 도어(120)의 개구(121A)를 통해 구급장비를 신속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300)은 보관함 몸체(110), 보관함 도어(320) 및 도어잠금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급장비용 보관함(300)은 제2 보관함 도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3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시창(140) 구성을 생략하는 대신에 시창(140)의 기술적 특징을 보관함 도어(320)에 구현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보관함 도어(320)의 전면 프레임(32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322) 및 절취 리브(325)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322)는 보관함 도어(320)의 전면 프레임(321)의 중앙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절취 리브(325)는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 중앙부(322)가 중앙부(322)를 제외한 전면 프레임(321)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중앙부(322)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절취 수단 중 하나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322)와 상기 나머지 부분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배치되어 중앙부(322)와 상기 나머지 부분을 연결한다. 이때, 절취 리브(325)는 평상시 전면 프레임(321)의 상기 나머지 부분에 대해 중앙부(3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중앙부(322)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관함 도어(320) 전체 또는 적어도 그 전면 프레임(321)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특성을 갖는 아크릴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별도의 시창(140) 구성이 없더라도 시창(視窓)의 통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기타 보관함 도어(320)에 관한 사항은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을 준용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보관함 도어(320)를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300)은,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 사용자가 손이나 임의의 공구를 사용하여 보관함 도어(320)의 중앙부(322)에 힘을 가하면, 보관함 도어(320)의 절취 리브(325)가 절단되거나 끊어져서 중앙부(322)는 상기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보관함 도어(320)의 중앙부(322)가 제거됨으로써 보관함 도어(32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보관함 몸체(110)에 보관된 구급장비를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300)은 보관함 도어(320)의 중앙부(322)가 당겨져서 절취되도록 상기 보관함 도어(320)에 구비되는 당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당김 수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관함 도어(320) 안쪽으로 손을 넣어 중앙부(322)를 파지할 수 있도록 중앙부(322)의 일 부분을 잘라내서 형성한 당김용 개구(327)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당김용 개구(327)는 중앙부(322)의 절취 용이성 측면에서 중앙부(322)의 코너 부분을 잘라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당김 수단은 본 제3 실시예에서 개시된 당김용 개구(327)의 간단한 구조가 갖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보관함 도어(320)의 중앙부(322)에 당김용 손잡이(미도시)를 부착하거나 당김용 끈(미도시)을 매다는 등의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당김 수단은,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 사용자가 보관함 도어(320)의 중앙부(322)를 당겨서 보관함 도어(320)의 바깥쪽으로 절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관함 도어(320)의 중앙부(322)를 밀거나 타격하여 보관함 도어(320)의 안쪽으로 절취하는 경우 절취된 중앙부(322)가 보관함 몸체(110)의 내부공간(111)에 떨어져 사용자가 구급장비를 꺼내는 과정에서 방해가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당김 수단은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200)은 시창(140,240)의 중앙부(142,242)를 당겨서 절취할 수 있도록 상기 시창(140,240)에 구비되는 당김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당김 수단은 예컨대 본 제3 실시예의 당김용 개구(327)와 같은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300)은 보관함 도어(320)의 중앙부(322)가 중앙부(322)를 제외한 보관함 도어(32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쉽고 안전하게 절취되거나 떨어져 나가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중앙부(322)와 상기 나머지 부분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배치되어 중앙부(322)와 상기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는 절취 리브(325)를 절취 수단으로 마련함으로써, 보관된 구급장비가 도난당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관리상의 이유로 평상시 보관함 도어(320)에 설치된 도어잠금수단(130)을 잠금 상태로 운용하더라도,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 사용자가 보관함 도어(320)의 중앙부(322)를 쉽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관함 몸체(110)에 보관된 구급장비를 신속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을 전술한 제2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400)은 보관함 몸체(110), 보관함 도어(420) 및 도어잠금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급장비용 보관함(400)은 제2 보관함 도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400)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시창(240) 구성을 생략하는 대신에 시창(240)의 기술적 특징을 보관함 도어(420)에 구현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2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보관함 도어(420)의 전면 프레임(421)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422) 및 절취 홈(325)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322)는 보관함 도어(420)의 전면 프레임(421)의 중앙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절취 홈(425)는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 중앙부(422)를 제외한 전면 프레임(421)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중앙부(422)가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중앙부(422)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절취 수단 중 하나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422)와 상기 나머지 부분의 경계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절취 홈(425)은 전면 프레임(421)의 바깥쪽 표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다르게 전면 프레임(421)의 안쪽 표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관함 도어(420) 전체 또는 적어도 그 전면 프레임(421)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특성을 갖는 아크릴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시창(視窓)의 통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기타 보관함 도어(420)에 관한 사항은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을 준용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보관함 도어(420)를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400)은,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 사용자가 손이나 임의의 공구를 사용하여 보관함 도어(420)의 중앙부(422)에 힘을 가하면, 상대적으로 취약한 보관함 도어(420)의 절취 홈(425) 부분이 절단되거나 끊어져서 중앙부(422)는 중앙부(422)를 제외한 보관함 도어(42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때, 절취 홈(425)은 절단이 잘 이루어지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는 보관함 도어(420)의 중앙부(422)가 제거됨으로써 보관함 도어(42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보관함 몸체(110)에 보관된 구급장비를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400)은 전술한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관함 도어(420)의 중앙부(422)가 당겨져서 절취되도록 보관함 도어(420)에 구비되는 당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당김 수단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관함 도어(420)의 안쪽으로 손을 넣어 중앙부(422)를 파지할 수 있도록 중앙부(422)의 일 부분(바람직하게는, 코너 부분)을 잘라내서 형성한 당김용 개구(427)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당김 수단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3 실시예의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400)은 보관함 도어(420)의 중앙부(422)와 중앙부(422)를 제외한 보관함 도어(420)의 나머지 부분의 경계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절취 홈(425)을 절취 수단으로 마련하여, 보관함 도어(420)의 중앙부(422)가 상기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쉽고 안전하게 절취되거나 떨어져 나가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관된 구급장비가 도난당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상시 보관함 도어(420)에 설치된 도어잠금수단(130)을 잠금 상태로 운용하더라도,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등의 비상시에 사용자가 보관함 도어(420)의 중앙부(422)를 쉽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관함 몸체(110)에 보관된 구급장비를 신속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200,300,400 : 구급장비용 보관함
110 : 보관함 몸체
120,320,420 : 보관함 도어
130 : 도어잠금수단
140,240 : 시창
142,242,322,422 : 중앙부
143,243 : 테두리부
145,245,325,425 : 절취 수단(절취 리브 또는 절취 홈)
327,427 : 당김 수단(당김용 개구)
150 : 제2 보관함 도어
160 : 제2 도어잠금수단

Claims (16)

  1. 구급장비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고 개구가 형성되는 보관함 도어;
    상기 보관함 몸체에 대해 상기 보관함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잠금수단; 및
    상기 개구를 덮도록 상기 보관함 도어와 결합하는 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시창은,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를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관함 도어와 결합하는 테두리부와, 비상시 상기 중앙부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상기 중앙부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마련되는 절취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시창에는, 상기 중앙부가 당겨져서 절취되도록 당김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창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와 상기 테두리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절취 수단은, 상기 중앙부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부와 상기 테두리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절취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 리브는,
    상기 중앙부의 두께나 상기 테두리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 수단은,
    상기 중앙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경계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절취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 홈은,
    'V'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보관함 도어의 안쪽으로 손을 넣어 상기 중앙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중앙부의 일 부분을 잘라내서 형성한 당김용 개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9. 구급장비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보관함 도어; 및
    상기 보관함 몸체에 대해 상기 보관함 도어를 잠그기 위한 도어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관함 도어의 전면 프레임은, 중앙부와, 비상시 상기 중앙부가 상기 중앙부를 제외한 상기 전면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상기 중앙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절취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보관함 도어에는, 상기 중앙부가 당겨져서 절취되도록 당김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도어 전체 또는 상기 보관함 도어의 상기 전면 프레임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와 상기 나머지 부분은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절취 수단은, 상기 중앙부와 상기 나머지 부분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부와 상기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절취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 리브는,
    상기 중앙부의 두께나 상기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 수단은,
    상기 중앙부와 상기 나머지 부분의 경계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절취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 홈은,
    'V'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15. 삭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보관함 도어의 안쪽으로 손을 넣어 상기 중앙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중앙부의 일 부분을 잘라내서 형성한 당김용 개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KR1020120106898A 2012-09-26 2012-09-26 구급장비용 보관함 KR10138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98A KR101387006B1 (ko) 2012-09-26 2012-09-26 구급장비용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98A KR101387006B1 (ko) 2012-09-26 2012-09-26 구급장비용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878A KR20140040878A (ko) 2014-04-04
KR101387006B1 true KR101387006B1 (ko) 2014-04-21

Family

ID=5065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898A KR101387006B1 (ko) 2012-09-26 2012-09-26 구급장비용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0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225Y1 (ko) * 1989-03-10 1991-11-28 주식회사 지엔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서랍용 간막이판
KR200396880Y1 (ko) 2005-07-14 2005-09-27 신건진 비상탈출 방범창
KR20120048127A (ko) * 2010-11-05 2012-05-15 주식회사 헤드 구급장비용 보관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225Y1 (ko) * 1989-03-10 1991-11-28 주식회사 지엔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서랍용 간막이판
KR200396880Y1 (ko) 2005-07-14 2005-09-27 신건진 비상탈출 방범창
KR20120048127A (ko) * 2010-11-05 2012-05-15 주식회사 헤드 구급장비용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878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1589A (en) Quick opening hand gun safe
US20170251856A1 (en) Package Security System
US9573742B1 (en) Time capsule with clandestine key
CA2421667C (en) Columbarium with improved security
KR101387006B1 (ko) 구급장비용 보관함
JP4942096B2 (ja) 非常用ボックス
KR101201882B1 (ko) 구급장비용 보관함
US9566127B1 (en) Stairway apparatus for use with endoscope cabinets
JP4562564B2 (ja) 個室病室ユニット
US9816295B1 (en) Emergency entry control system
KR101797564B1 (ko) 완강기 보관함
KR20200003668A (ko) 화재 및 재난용 안전키트 케이스
CN103352628A (zh) 多功能生命保险柜
JP4250500B2 (ja) 耐衝撃扉
JP2021031282A (ja) エレベータ
ES2308900B1 (es) Protector para cerraduras de puertas.
JP6748845B2 (ja) 宅配ボックス
KR101598115B1 (ko) 화재용 손전등 수납함
CN216553528U (zh) 一种保密文件存放柜
CN212090591U (zh) 一种建筑用消防柜
KR20170034277A (ko) 재난 및 치한 대피용 안전 스토리지 캐비넷
JP2005120667A (ja) 避難用ボックス
JP3215889U (ja) 屋外設置用災害救助工具ボックス
JP6577752B2 (ja) 観察窓兼用ディスプレイボックス及び該ボックスを有する手洗い装置
JP3130176U (ja) 防犯ユニットル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