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081B1 -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초고주파 i/q 송수신기 - Google Patents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초고주파 i/q 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081B1
KR101200081B1 KR20100134877A KR20100134877A KR101200081B1 KR 101200081 B1 KR101200081 B1 KR 101200081B1 KR 20100134877 A KR20100134877 A KR 20100134877A KR 20100134877 A KR20100134877 A KR 20100134877A KR 101200081 B1 KR101200081 B1 KR 101200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armonic mixer
phases
magnitud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939A (ko
Inventor
김기진
안광호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2010013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081B1/ko
Priority to US13/325,722 priority patent/US8874064B2/en
Publication of KR2012007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6Multiple-frequency-changing
    • H03D7/161Multiple-frequency-changing all the frequency changers being connected in cascade
    • H03D7/163Multiple-frequency-changing all the frequency changers being connected in cascade the local oscill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frequency changers being derived from a single oscilla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6Multiple-frequency-changing
    • H03D7/165Multiple-frequency-changing at least two frequency changers being located in different paths, e.g. in two paths with carriers in quad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수신기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위상을 동기시키고, 위상이 동기된 제1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제1 크기만큼 하향 변환하여 제2 신호로 출력하는 주파수 발생부,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입력 받아 주파수 크기가 제2 크기만큼 하향 변환된 제3 신호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1 하모닉 믹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3 신호를 입력 받아 주파수 크기가 제3 크기만큼 하향 변환된 I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하모닉 믹서부와 제3 신호를 입력 받아 주파수 크기가 제3 크기만큼 하향 변환된 Q 신호를 출력하는 제3 하모닉 믹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초고주파 I/Q 송수신기{Ultrahigh frequency I/Q sender/receiver using multi-stage harmonic mixer}
본 발명은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초고주파 I/Q(In-phase/Quadrature)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I/Q(In-phase/Quadrature) 수신기는 직접 변환 수신기와 하모닉 믹서를 사용한 수신기가 있다. 이러한 수신기의 구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직접 변환 수신기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변환 수신기는 PLL(Phase Looked Loop, 위상 고정 루프)에 의해 발진이 안정화 된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는 입력 신호(RFin)와 같은 주파수이거나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만큼 차이 나는 주파수이다.
이 주파수를 I/Q로 분배해주는 회로를 거쳐 믹서에 인가해 주면, 입력 주파수와 VCO 주파수 차이가 나는 주파수의 신호가 I 경로와 Q 경로로 하향 변환(Down Converting)되는 구조이다. 이런 구조는 VCO 발진 주파수가 입력 신호와 같거나 유사한 주파수로 생성되면, 아주 간단한 블록들만으로도 수신기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초고주파 집적회로(IC)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초고주파 입력 신호와 같은 정도의 높은 주파수를 생성해내고 또 이를 안정적으로 만들기 위해 초고주파 PLL을 만드는 과정은 아주 어려운 작업으로, 도 1의 구조는 초고주파 회로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게다가 발진기의 주파수가 높아 질수록 발진기의 위상잡음은 빠르게 나빠지는 특성도 있어, 고주파 발진기 구조를 사용해야 하는 도 1의 구조는 잡음 측면에서도 좋지 않다.
한편 도 2는 일반적인 하모닉 믹서를 사용한 수신기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모닉 믹서를 사용한 수신기는 상기 도 1의 직접 변환 수신기와는 다르게 Vlo 주파수가 RFin 주파수의 절반만 되기 때문에 주파수 생성이 훨씬 쉽다. 또한, 위상 잡음도 낮아지는 구조이다.
그러나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I/Q 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45° 생성기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를 Vlo 주파수에서 만들기란 쉽지 않고 정확하지도 않아 수신기의 노이즈를 생성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진 주파수를 낮춰 위상 잡음을 줄이면서 I/Q 변환을 쉽게 할 수 있는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초고주파 I/Q 송수신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수신기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위상을 동기시키고, 위상이 동기된 제1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제1 크기만큼 하향 변환하여 제2 신호로 출력하는 주파수 발생부;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를 입력 받아 주파수 크기가 제2 크기만큼 하향 변환된 제3 신호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1 하모닉 믹서부; 상기 제3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크기가 제3 크기만큼 하향 변환된 I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하모닉 믹서부; 및 상기 제3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크기가 제3 크기만큼 하향 변환된 Q 신호를 출력하는 제3 하모닉 믹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송신기는,
제1 주파수 크기를 갖는 I 신호를 상향 조정하여 제2 주파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하모닉 믹서부; 제1 주파수 크기를 갖는 Q 신호를 상향 조정하여 제2 주파수 크기를 갖는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하모닉 믹서부;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입력 받아 제2 주파수 크기를 갖는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제3 하모닉 믹서부; 및 상기 제3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하여 낮은 위상 잡음을 갖는 지역 주파수를 쉽게 생성할 수 있으며, 쉽게 I/Q 변복조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발진 주파수를 낮추고도 I/Q 변복조기를 쉽게 생성하기 때문에, 전체 송수신 시스템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직접 변환 수신기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하모닉 믹서를 사용한 수신기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수신기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송신기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위상 필터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위상 필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초고주파 I/Q 송수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수신기의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신호 수신부(110), 주파수 발생부(120) 및 복수의 하모닉 믹서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하모닉 믹서부로 제1 하모닉 믹서부(130), 제2 하모닉 믹서부(140), 제3 하모닉 믹서부(150)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 수신부(110)는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하여 출력한다. 증폭된 신호는 제1 하모닉 믹서부(130)로 입력된다.
주파수 발생부(120)는 PLL에 의해 발진이 안정화 된 VCO의 주파수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주파수는 제1 하모닉 믹서부(130)로 입력된다. 이를 위해 주파수 발생부(120)는 위상 동기 회로(121)와 발진기(122)를 포함한다.
위상 동기 회로(121)는 신호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신호의 위상을 동기시킨다. 발진기(122)는 신호 수신부(110)로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크기의 1/3로 하향 변환 시킨다. 발진기(122)가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는 방법과 위상 동기 회로(121)가 신호의 위상을 동기시키는 방법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하모닉 믹서부(130)는 신호 수신부(110)가 수신한 입력 신호와 주파수 발생부(120)에서 출력된 주파수를 입력 받아 입력 신호 주파수의 1/3 크기를 가지며 네 개의 위상을 갖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1 하모닉 믹서부는 제1 하모닉 믹서(132) 및 다중 위상 필터(131)를 포함한다.
제1 하모닉 믹서(132)는 신호 수신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다중 위상 필터(131)는 주파수 발생부(120)에서 출력된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네 가지 위상을 출력한다.
여기서 하모닉 믹서란 믹서의 로컬 신호를 0도(°), 90도, 180도 및 270도의 네 가지 위상을 입력으로 취하는 믹서로, 네 가지 위상을 조합하여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줄여준다. 즉, 입력 신호(Fin)의 주파수를 DC로 하향 변환하기 위하여 하모닉 믹서의 로컬 입력은 Fin/2의 주파수만 이용하면 된다. 하모닉 믹서를 사용하는 이유는 믹서의 입력 주파수와 로컬 주파수를 다르게 하여 시 가변 DC 오프셋을 제거하고, 전력 증폭기 등에 의해 VCO가 Pulling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입력 신호의 주파수 크기가 60이라고 가정하고 출력을 0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수신기는 2단의 믹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첫 번째 믹서가 포함된 제1 하모닉 믹서부(130)에서는 40의 주파수 크기가 나오고, 두 번째 단의 믹서가 포함된 제2 하모닉 믹서부(140)와 제3 하모닉 믹서부(150)는 각각 20의 주파수 크기의 신호가 나오면 출력으로 0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제1 하모닉 믹서부(130)의 믹서가 하모닉 믹서이기 때문에, 주파수 크기 40의 절반에 해당하는 20의 주파수 크기의 신호가 출력이 된다. 결국, 제1 하모닉 믹서부(130)에서는 주파수 크기가 60인 신호를 입력 받아 20의 크기로 출력하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주파수 크기의 1/3 크기에 해당하는 신호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파수 발생부(120)에서는 제1 하모닉 믹서부(130)가 입력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1/3로 줄여줄 수 있도록 위상을 동기시키고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1/3로 하향 변환하면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하모닉 믹서부(140)와 제3 하모닉 믹서부(150)는 최초 입력된 신호의 주파수 크기의 1/6에 해당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것이다.
한편, 다중 위상 필터(131)는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위상 필터의 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위상 필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위상 필터(131)는 90도의 위상차를 실현한다. 제1 하모닉 믹서(132)는 네 가지 위상을 가지는 입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다중 위상 필터(131)는 주파수 발생부(120)의 출력단에 위치하여 네 가지 위상을 만들어 제1 하모닉 믹서(132)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다중 위상 필터(131)는 두 개의 입력 단자와 네 개의 출력 단자를 가진다. 두 개의 입력 단자는 증폭기(131-1)에서 증폭되어 위상 생성부(131-2)로 입력되고, 위상 생성부(131-2)는 두 개의 접지와 함께 90도 위상차를 갖는 네 개의 위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위상 생성부(131-2)가 두 개의 입력 단자와 두 개의 접지를 통해 네 개의 위상을 만드는 방법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다중 위상 필터(131)는 수동 소자이기 때문에 필터의 출력이 입력 대비 많이 상쇄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중 위상 필터(131)의 출력 부분에 인덕터(131-3)를 포함하여 생성된 위상을 공진시킨다. 인덕터(131-3)를 포함한 다중 위상 필터(131)의 특성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기가 존재하지 않는 일반적인 다중 위상 필터는 입력 신호의 20%만 출력으로 전달되는 반면, 인덕터(131-3)를 포함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위상 필터(131)는 입력 신호의 90% 가까운 전압을 전송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의 제2 하모닉 믹서부(140)와 제3 하모닉 믹서부(150)는 제1 하모닉 믹서부(130)에서 출력되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의 1/3 크기로 감쇄된 신호를 각각 입력 받아, 제2 하모닉 믹서부(140)에서는 I 신호를 출력하고, 제3 하모닉 믹서부150()에서는 Q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2 하모닉 믹서부(140)는 제2 하모닉 믹서(142) 및 제1 1/2 분주기(141)를 포함하며, 제3 하모닉 믹서부(150)는 제3 하모닉 믹서(152) 및 제2 1/2 분주기(151)를 포함한다.
먼저 제2 하모닉 믹서부(140)의 제2 하모닉 믹서(142)는 제1 하모닉 믹서부(130)에서 출력되는 입력 신호 주파수의 1/3 크기를 가지며 네 개의 위상을 갖는 신호를 입력 받아, 입력 신호 주파수의 1/6 크기를 갖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2 하모닉 믹서(142)도 네 개의 위상을 입력으로 필요로 하는데, 이는 제1 1/2 분주기(141)에서 생성한다.
즉, 제1 1/2 분주기(141)는 0도와 180도 위상을 하나의 입력으로 받아 0도, 45도, 180도 및 225도의 네 개의 위상으로 분배한다. 이렇게 분배된 위상은 제2 하모닉 믹서(142)로 입력된다. 제2 하모닉 믹서(142)는 제1 1/2 분주기(141)로부터 입력되는 위상과 제1 하모닉 믹서부(13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I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3 믹서부(150)의 제3 하모닉 믹서(152)는 제1 하모닉 믹서부(130)에서 출력되는 입력 신호 주파수의 1/3 크기를 가지며 네 개의 위상을 갖는 신호를 입력 받아, 입력 신호 주파수의 1/6 크기를 갖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3 하모닉 믹서(152)도 네 개의 위상을 입력으로 필요로 하는데, 이는 제2 1/2 분주기(151)에서 생성한다.
즉, 1/2 분주기(151)는 90도와 270도 위상을 하나의 입력으로 받아 90도, 135도, 270도 및 315도의 네 개의 위상으로 분배한다. 이렇게 분배된 위상은 제3 하모닉 믹서(152)로 입력된다. 제3 하모닉 믹서(152)는 제2 1/2 분주기(151)로부터 입력되는 위상과 제1 하모닉 믹서부(13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Q 신호를 출력한다.
결국 수신기는 0도, 90도, 180도, 270도, 45도, 135도, 225도 및 315도 위상을 가지는 1/6 주파수를 갖는 I 신호 및 Q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1/2 분주기(141) 및 제2 1/2 분주기(142)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에 대해 도 8을 참조로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하모니 믹서부(150)로 입력되는 Q 입력 신호(Fin_Q)와 제2 하모니 믹서부(140)로 입력되는 I 입력 신호(Fin_I)는 45도의 위상 차이를 나타낸다. 즉, Fin_I는 1/3 Fin 0° 신호를 의미하고, Fin_Q는 1/3 Fin 90° 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신호들이 제1 1/2 분주기(141) 및 제2 1/2 분주기(151)로 각각 입력되면, 먼저 I 입력 신호가 출력될 때에는 Fout_I_0°와 Fout_I_90°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입력 신호가 0도와 90도의 위상 차이를 나타내고 주파수 크기는 원래 입력 신호 주파수 크기의 1/6 크기로 하향 조정되어 출력된다. 이와 유사하게 Q 입력 신호는 Fout_Q_0°와 F_out_Q_90°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입력 신호가 0도와 90도의 위상 차이를 나타내며 주파수 크기는 원래 입력 신호 주파수 크기의 1/6 크기로 하향 조정되어 출력된다.
최초 입력된 Q 입력 신호와 I 입력 신호가 45도의 위상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Fout_I_0°와 Fout_I_90°로 입력된 신호는 0도, 45도, 90도 및 135도의 네 개의 위상을 나타내며 출력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Fout_Q_180°와 Fout_I_270°로 입력되는 신호는 180도, 225도, 270도 및 315도의 네 개의 위상을 나타내며 출력된다. 결국 네 개의 입력 신호에 대해 모두 1/6 주파수 크기로 하향 조정되고 8개의 위상을 나타내는 신호들이 출력된다.
한편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송신기 구조에 대하여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송신기의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수신기와 반대로 제1' 하모닉 믹서부(210)는 1/6 주파수 크기의 I 신호를 제2' 하모닉 믹서부(220)는 1/6 주파수 크기의 Q 신호를 입력 받아, 두 배 주파수 크기(즉, 원 신호의 1/3 주파수 크기)의 신호로 상향 조정하여 상향 조정된 신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신호는 제3' 하모닉 믹서부(230)로 입력되어, 주파수 생성부(250)에서 생성되어 입력된 4 개의 위상을 갖는 신호와 함께 세 배로 주파수 크기가 상향 조정(즉, 원 신호의 주파수 크기)되고, 이를 증폭기(240)에서 증폭하여 전송 신호로 출력한다. 이때, 주파수 생성부(250)에서 생성되는 4개의 위상은 상기 도 3의 수신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수신기에 있어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제1 신호의 위상을 동기시키고, 위상이 동기된 제1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제1 크기만큼 하향 변환하여 제2 신호로 출력하는 주파수 발생부;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를 입력 받아 주파수 크기가 제2 크기만큼 하향 변환된 제3 신호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1 하모닉 믹서부;
    상기 제3 신호를 입력 받아 주파수 크기가 제3 크기만큼 하향 변환된 I(In-phase)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하모닉 믹서부; 및
    상기 제3 신호를 입력 받아 주파수 크기가 제3 크기만큼 하향 변환된 Q(Quadrature) 신호를 출력하는 제3 하모닉 믹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모닉 믹서부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위상을 입력 받아 네 개의 위상으로 분배하는 제1 분주기; 및 상기 제1 분주기에서 분배된 네 개의 위상과 상기 제1 하모닉 믹서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3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3 크기만큼 하향 변환된 I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하모닉 믹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하모닉 믹서부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위상을 입력 받아 네 개의 위상으로 분배하는 제2 분주기; 및 상기 제1 분주기에서 분배된 네 개의 위상과 상기 제1 하모닉 믹서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3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3 크기만큼 하향 변환된 Q 신호를 출력하는 제3 하모닉 믹서
    를 포함하는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모닉 믹서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입력 받아 복수 개의 위상을 출력하는 다중 위상 필터; 및
    상기 다중 위상 필터에서 출력된 복수 개의 위상과 상기 제1 신호를 입력 받아, 주파수 크기가 상기 제2 크기만큼 하향 변환된 제3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1 하모닉 믹서
    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 위상 필터는
    상기 위상이 동기된 제1 신호를 입력 받아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제1 신호를 토대로 복수 개의 위상을 생성하는 위상 생성부; 및
    상기 위상 생성부에서 생성한 복수 개의 위상을 공진하여 출력하는 인덕터 를 포함하는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수신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주기는 0도 및 180도의 위상을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 받아 0도, 45도, 180도 및 225도 네 개의 위상으로 분배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분주기는 90도 및 270도의 위상을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 받아 90도, 135도, 270도 및 315도 네 개의 위상으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기는 상기 입력 신호의 주파수 크기의 1/3 크기에 해당하고, 상기 제2 크기는 상기 입력 신호의 주파수 크기의 1/6 크기에 해당하는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수신기.
  6.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송신기에 있어서,
    제1 주파수 크기를 갖는 I 신호를 상향 조정하여 제2 주파수 크기를 갖는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하모닉 믹서부;
    제1 주파수 크기를 갖는 Q 신호를 상향 조정하여 제2 주파수 크기를 갖는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하모닉 믹서부;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입력 받아 제2 주파수 크기를 갖는 제3 신호를 생성하는 제3 하모닉 믹서부; 및
    상기 제3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
    를 포함하는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송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모닉 믹서부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위상을 입력 받아 네 개의 위상으로 분배하는 제1 분주기; 및 상기 제1 분주기에서 분배된 네 개의 위상과 상기 I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2 주파수 크기를 갖도록 상향 변환된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하모닉 믹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모닉 믹서부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위상을 입력 받아 네 개의 위상으로 분배하는 제2 분주기; 및 상기 제1 분주기에서 분배된 네 개의 위상과 상기 Q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2 주파수 크기를 갖도록 상향 변환된 제2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하모닉 믹서
    를 포함하는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송신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모닉 믹서부는,
    위상이 동기된 신호를 입력 받아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토대로 복수 개의 위상을 생성하는 위상 생성부; 및
    상기 위상 생성부에서 생성한 복수 개의 위상을 공진하여 출력하는 인덕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위상과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2 주파수 크기만큼 상향 변환된 제3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3 하모닉 믹서
    를 포함하는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송신기.
KR20100134877A 2010-12-24 2010-12-24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초고주파 i/q 송수신기 KR101200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4877A KR101200081B1 (ko) 2010-12-24 2010-12-24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초고주파 i/q 송수신기
US13/325,722 US8874064B2 (en) 2010-12-24 2011-12-14 Ultrahigh frequency I/Q sender/receiver using multi-stage harmonic mix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4877A KR101200081B1 (ko) 2010-12-24 2010-12-24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초고주파 i/q 송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939A KR20120072939A (ko) 2012-07-04
KR101200081B1 true KR101200081B1 (ko) 2012-11-12

Family

ID=46316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4877A KR101200081B1 (ko) 2010-12-24 2010-12-24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초고주파 i/q 송수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74064B2 (ko)
KR (1) KR101200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05024B (zh) * 2015-12-02 2021-05-14 盈诺飞公司 宽带极坐标接收器架构及信号处理方法
US11563407B2 (en) * 2020-03-03 2023-01-24 Verisilicon Microelectronics (Shanghai) Co., Ltd. Mixing circuit with high harmonic suppression ratio
WO2023127988A1 (ko) * 2021-12-28 2023-07-0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의 믹서를 이용한 초저지연 통신을 위한 다중빔 수신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7478A1 (en) 2003-06-22 2004-12-23 Tung-Ming Su Harmonic mixer based television tuner and method of processing a received rf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9424A (en) * 1973-09-08 1976-02-17 Sony Corporation Radio receiver with a phase locked loop for a demodulator
US7180553B2 (en) * 2003-06-22 2007-02-20 Realtek Semiconductor Corp. Dual mode television tuner capable of processing both digital and satellite television signals and method thereof
US20090156155A1 (en) * 2007-12-17 2009-06-18 Infineon Technologies Ag Receiver, tuner and method of processing a television sig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7478A1 (en) 2003-06-22 2004-12-23 Tung-Ming Su Harmonic mixer based television tuner and method of processing a received rf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74064B2 (en) 2014-10-28
KR20120072939A (ko) 2012-07-04
US20120163493A1 (en)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0287B2 (en) Quadrature signal generator with feedback type frequency doubler
JP5829264B2 (ja) 周波数逓倍トランシーバ
JP5213789B2 (ja) 高周波発振源
JP6770606B2 (ja) デューティサイクルが可変な基準発振器、周波数合成器、及び基準発振器を備える信号レシーバー
JP5844795B2 (ja) 発振周波数調整装置、発振周波数調整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CN101136631B (zh) 频率合成器及其频率合成方法
KR101200081B1 (ko) 다단 하모닉 믹서를 이용한 초고주파 i/q 송수신기
CN102118164A (zh) 一种内插混频器的dds激励pll的微波频率合成方法及合成器
JP5843592B2 (ja) 自己注入同期発振器
US20070224961A1 (en) Receiver circuit
KR101298621B1 (ko) Fmcw 주파수 합성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4890198B2 (ja) 高周波発振源
US11206051B2 (en) Digital offset frequency generator based radio frequency transmitter
US10594342B1 (en) Power amplifying system and associated power amplifying method for bluetooth device
JP2013017037A (ja) レベル調整装置
KR102191295B1 (ko) 노치 필터링을 내재화한 주파수 삼배기
US8121558B2 (en) Local oscillator generator architecture using a wide tuning range oscillator
WO2015173306A1 (en) Combination of local oscillator system and sub-harmonic mixer
JP2012049790A (ja)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5984637B2 (ja) 高周波発振源
KR20080021247A (ko)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국부 발진기 및 그를 갖는 주파수합성기
Kuo et al. A broadband phase-locked Ka-band single-tuning VCO with reconfigurable loop filters
JP2012109695A (ja) 注入同期発振器
JP6667877B2 (ja) 無線システム
US9130737B1 (en) Signal-generating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