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457B1 -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 - Google Patents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9457B1 KR101199457B1 KR1020100048731A KR20100048731A KR101199457B1 KR 101199457 B1 KR101199457 B1 KR 101199457B1 KR 1020100048731 A KR1020100048731 A KR 1020100048731A KR 20100048731 A KR20100048731 A KR 20100048731A KR 101199457 B1 KR101199457 B1 KR 1011994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protrusion
- release
- container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손잡이가 용기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해제 버튼을 눌러야만 클램프 부재가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안전 레버를 부가하여 해제 버튼이 눌려질 염려가 없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이 배가되면서도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잡이가 용기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는 안전 레버를 작동시켜야만 해제 버튼이 눌려져 작동레버에 의해 클램프 부재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 용기는 손잡이가 고정식으로 장착된 경우 안전하게 사용할 수는 있는 반면 보관할 경우 손잡이로 인해 주방 용기를 겹쳐지게 쌓을 수 없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 용기로부터 착탈 가능한 손잡이가 특허출원 제10-2002-0030135호로 제안되어 있으며, 이것은 후방의 작동 레버(2)를 정회전시키면 이동캠(3)과 함께 클램프 부재(4)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용기(5)의 테두리(5a)를 물어주게 되며, 이 상태에서 작동 레버(2)를 역회전 시키면 클램프 부재(4)가 후퇴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손으로 쥐게 되는 손잡이 본체(1)의 후방에 돌출된 작동레버(2)를 회전시키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클램프 부재(4)가 용기(5)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작동레버(2)가 작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해제버튼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가 사용도중 용기(5)가 손잡이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가 용기를 물어준 상태에서는 잠금수단인 해제 버튼(6)을 누르고 작동 레버(2)를 회전시켜야만 클램프 부재(4)가 전진하여 용기에서 손잡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 등록특허 제10-0933007호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것은 손잡이를 쥔 상태에서 무의식중에 상기 해제 버튼(6)이 누르게 되면 작동 레버(2)를 동작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편심 결합된 회동판(7)이 스프링(8)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되어 클램프 부재(4)가 전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조리도중 용기가 손잡이로부터 이탈될 염려를 불식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해제 버튼(6)으로 인해 손잡이의 디자인이 비대칭을 이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불필요하게 길어지도록 제작할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손잡이가 용기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해제 버튼을 눌러야만 클램프 부재가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안전 레버를 부가하여 해제 버튼이 눌려질 염려가 없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이 배가되면서도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클램프 부재의 잠금상태가 마주 물리는 다수의 일방향 경사턱부에 의해 유지되도록 하여 해제 버튼을 눌러주기 전에는 클램부 부재가 용기를 흔들림 없이 물어줄 수 있도록 한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전방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저면 주변에 일방향의 제 1 경사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경사턱의 외측으로 대칭을 이루는 회전 장공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해제 스프링이 설치된 상부 커버;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회전 장공에 끼위지는 돌부가 형성된 회전 레버; 중앙에 기어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누름부의 하부로 돌봉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회전 레버의 통공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해제 버튼; 상면에 상기 제 1 경사턱에 대응하는 제 2 경사턱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기어공에 결합되어 상기 해제 버튼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기어부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돌봉이 통과하는 통공부가 형성된 피니언 부재; 전방에 용기 결착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부재가 통과하는 중앙의 장입부의 한쪽에는 상기 기어부가 치합되는 랙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해제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 되는 클램프 부재; 상부에 상기 피니언 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에는 돌봉에 대응하는 해제공이 형성되고 상기 해제공의 양쪽에 안내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 결착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상부 커버와 결합되는 하부 커버; 상기 요입부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 상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안내 장공에 끼워지는 후크부와 상기 해제공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 되게 설치된 안전 레버;로 이루어진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안전 레버를 후퇴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해제 버튼이 돌부에 의해 하부로 눌려질 수 없기 때문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1,2 경사턱이 물려있는 상태에서 클램프 부재가 용기의 테두리를 잡아줌으로써 손잡이로부터 용기가 이탈될 염려가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용기를 바닥에 내려 놓은 상태에서 안전 레버를 후퇴시키고 해제 버튼을 눌러주면 클램프 부재가 전진하여 용기에서 손잡이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사용상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착탈식 손잡이를 보인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착탈식 손잡이를 보인 제 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안전 레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용기를 잡아주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a,b는 본 발명의 안전 레버와 해제 버튼이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착탈식 손잡이를 보인 제 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안전 레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용기를 잡아주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a,b는 본 발명의 안전 레버와 해제 버튼이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부 커버(10)(20)와 클램프 부재(30), 회전 레버(40), 해제 버튼(50), 안전 레버(60) 및 상기 클램프 부재(30)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피니언 부재(70), 지지부재(8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커버(10)는 전방 중앙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의 저면 주변에 일방향의 제 1 경사턱(1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경사턱(12)의 외측으로 대칭을 이루는 회전 장공(13)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관통공(11)의 전방으로는 상기 클램프 부재(30)가 안내되는 홈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의 전후로 상기 하부 커버(20)에 결합되는 결합돌부(15)가 돌출 형성되며, 후방의 지지벽부(16)가 형성되어 해제 스프링(91)이 상기 클램프 부재(30)의 후방부위를 지지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 레버(40)는 중앙에 통공(41)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회전 장공(13)에 끼위지는 돌부(42)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돌부(42)에 상기 지지부재(80)가 나사(101)로 고정 설치 됨으로써 상기 회전 레버(40)에 의해 지지부재(80)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80)는 원판 모양으로 제작되어 중앙에 기어공(8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피니언 부재(70)가 상기 기어공(81)을 통과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해제 버튼(4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해제 버튼(50)은 누름부(51)의 하부로 돌봉(5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51)가 상기 회전 레버(40)의 통공(4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해제 버튼(50)은 피니언 부재(70)와 함께 하부 커버(20)에 설치된 스프링(9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피니언 부재(70)는 상면에 상기 제 1 경사턱(12)에 대응하는 제 2 경사턱(7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돌봉(52)이 통과하는 통공부(74)가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기 기어공(81)에 결합되어 상기 해제 버튼(5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기어부(71)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기어공(18)과 제 2 경사턱(72)사이에는 누름부(51)에 마주 닿게 설치되는 밀착면(7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30)는 전방에 용기 결착부(31)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부재(70)가 통과하는 중앙의 장입부(32)의 한쪽에는 상기 기어부(71)가 치합되는 랙 치형(33)이 형성된 것이다. 이 클램프 부재(30)는 상부 커버(10)의 해제 스프링(91)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상기 결합돌부(15)가 통과하는 장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커버(20)는 상부 전방에 포켓부(21)가 형성되어 이 포켓부(21)에 상기 피니언 부재(70)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92)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요입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22)에는 상기 돌봉(52)에 대응하는 해제공(23)이 형성되고 상기 해제공(23)의 양쪽에 안내 장공(24)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커버(20)에는 상부 커버(10)의 결합돌부(15)에 결합되는 결합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부 커버(10)(20)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클램프 부재(30)의 용기 결착부(31)가 상,하부 커버(10)(2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안전 레버(60)는 상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안내 장공(24)에 끼워지는 후크부(61)와 상기 해제공(23)에 대응하는 돌출부(62)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돌출부(62)는 상기 요입부(22)에 설치된 탄성부재(93)에 의해 후방으로 탄력지지 되게 설치된다.
상기 탄성 부재(93)는 강선을 구부려 상기 돌출부(62)가 끼워지는 통공부(93a)로부터 교차되게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상기 회전 레버(40)의 통공(41)에 해제 버튼(40)을 끼우고 상기 돌부(42)를 회전 장공(13)을 통해 지지부재(80)에 나사(101)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어공(81)에 기어부(71)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우고, 상기 용기 결착부(31)가 홈부(14)를 통해 상부 커버(10)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랙 치형(33)이 기어부(71)에 치합되는 동시에 후방이 해제 스프링(9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후크부(61)에는 통공부(93a)를 끼운 상태에서 후크부(61)를 안내 장공(24)에 끼워 돌출부(62)가 해제공(23)에 일치되도록 결합하고 포켓부(21)에 해제 스프링(91)을 넣은 상태에서 하부 커버(20)를 상기 상부 커버(10)와 결합한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93)에 의해 안전 레버(60)의 돌출부(62) 위치가 돌봉(52)의 하부에 놓이게 됨으로써 해제 버튼(50)을 잠금상태로 유지 시키며, 해제 스프링(91)은 피니언 부재(70)를 상부로 밀착시켜 제 1,2 경사턱(12)(72)이 맞물린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역활을 하게 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이와같이 결합된 본 발명은 용기 결착부(31)와 하부 커버(20)사이에 용기(110)의 테두리(111)를 끼우고 회전 레버(40)를 정회전 시키게 되면 지지부재(8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기어공(81)에 기어부(71)가 치합된 피니언 부재(70)가 회전하고, 기어부(71)에 랙 치형(33)이 치합된 클램프 부재(30)가 후퇴함으로써 용기 결착부(3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를 물어주게 된다. 이때 피니언 부재(70)는 제 1,2 경사턱(12)(72)이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며 해제 스프링(91)에 의해 지지되는 피니언 부재(70)는 상하로 이동되어 제 2 경사턱(72)이 제 1 경사턱(12)을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해제 스프링(91)은 클램프 부재(30)가 후퇴됨에 따라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 레버(40)가 역회전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경사턱(72)과 제 1 경사턱(71)의 수직부위가 맞닿아 회전하지 못하는 잠금상태가 됨으로써 손잡이로부터 용기(110)가 이탈될 염려가 없게 되는 동시에 상기 해제 버튼(50)의 돌봉(52)이 돌출부(62)에 일치하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눌려지지 않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클램프부재(30)는 일방향으로만 작동되는 랙방식에 의해 두께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용기(110)를 물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용기(110)를 포개지게 보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손잡이를 제거하려고 할 경우에는 상,하부 커버(10)(20)를 손에 쥔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으로 하부의 안전 레버(60)를 후퇴시킴으로써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62)가 해제공(23)에 위치한 돌봉(52)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 상기 후크부(61)는 안전 레버(60)를 후퇴시키면 안내 장공(24)을 따라 이동하며, 통공부(73a)가 상기 돌출부(62)에 끼워진 상기 탄성부재(93)의 발(93b)은 벌어지는 상태로 압축된다.
안전 레버(60)가 후퇴된 상태에서 해제 버튼(50)을 눌러주게 되면 누름부(51)가 피니언 부재(70)의 밀착면(73)을 눌러 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경사턱(12)으로부터 제 2 경사턱(72)이 이탈하게 되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스프링(91)의 복원력에 의해 클램프 부재(3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용기(110)로부터 본 발명의 손잡이를 분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상부 커버 12 : 제 1 경사턱
20 : 하부 커버 23 : 해제공
30 : 클램프 부재 32 : 장입부
33 : 랙 치형 40 : 회전 레버
51 : 누름부 51 : 돌봉
60 : 안전 레버 62 : 돌출부
70 : 피니언 부재 72 : 제 2 경사턱
80 : 지지부재
20 : 하부 커버 23 : 해제공
30 : 클램프 부재 32 : 장입부
33 : 랙 치형 40 : 회전 레버
51 : 누름부 51 : 돌봉
60 : 안전 레버 62 : 돌출부
70 : 피니언 부재 72 : 제 2 경사턱
80 : 지지부재
Claims (2)
- 전방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저면 주변에 일방향의 제 1 경사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경사턱의 외측으로 대칭을 이루는 회전 장공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해제 스프링이 설치된 상부 커버;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회전 장공에 끼위지는 돌부가 형성된 회전 레버; 중앙에 기어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누름부의 하부로 돌봉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회전 레버의 통공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해제 버튼; 상면에 상기 제 1 경사턱에 대응하는 제 2 경사턱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기어공에 결합되어 상기 해제 버튼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기어부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돌봉이 통과하는 통공부가 형성된 피니언 부재; 전방에 용기 결착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부재가 통과하는 중앙의 장입부의 한쪽에는 상기 기어부가 치합되는 랙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해제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 되는 클램프 부재; 상부에 상기 피니언 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에는 돌봉에 대응하는 해제공이 형성되고 상기 해제공의 양쪽에 안내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 결착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상부 커버와 결합되는 하부 커버; 상기 요입부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 상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안내 장공에 끼워지는 후크부와 상기 해제공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 되게 설치된 안전 레버;로 이루어진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강선을 구부려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통공부로부터 교차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8731A KR101199457B1 (ko) | 2010-05-25 | 2010-05-25 |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8731A KR101199457B1 (ko) | 2010-05-25 | 2010-05-25 |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9217A KR20110129217A (ko) | 2011-12-01 |
KR101199457B1 true KR101199457B1 (ko) | 2012-11-13 |
Family
ID=4549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8731A KR101199457B1 (ko) | 2010-05-25 | 2010-05-25 |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945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6017Y1 (ko) * | 2012-06-28 | 2013-03-27 | 양성원 |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4065Y1 (ko) | 2006-06-05 | 2006-08-14 | 킴스핸들 주식회사 |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
KR200425408Y1 (ko) | 2006-06-21 | 2006-09-11 | 주식회사 대성쿡웨어 | 조리용기용 손잡이 |
-
2010
- 2010-05-25 KR KR1020100048731A patent/KR1011994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4065Y1 (ko) | 2006-06-05 | 2006-08-14 | 킴스핸들 주식회사 |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
KR200425408Y1 (ko) | 2006-06-21 | 2006-09-11 | 주식회사 대성쿡웨어 | 조리용기용 손잡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9217A (ko) | 2011-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85167B2 (ja) |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 |
US9415504B2 (en) | Tool box unit | |
CN209136934U (zh) | 牙线棒存取装置及其底座和牙线棒存储盒 | |
JP2016501050A (ja) |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 |
JP2010260169A (ja) | 保持機構 | |
KR101199457B1 (ko) | 주방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 | |
KR101388869B1 (ko) |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
CN102415831B (zh) | 包括容纳有由电动机驱动旋转的切割工具的容器的烹饪制备家电设备 | |
CN201015848Y (zh) | 可自锁和自动解锁的大力钳 | |
KR101409024B1 (ko) |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 |
KR101300211B1 (ko) |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
KR200425408Y1 (ko) | 조리용기용 손잡이 | |
JP3240371U (ja) | 調理器具用取手 | |
KR200466017Y1 (ko) |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
KR100751239B1 (ko) | 조리용기용 손잡이 | |
JP5635197B2 (ja) | 着脱式ハンドル | |
KR101153924B1 (ko) | 주방용기의 착탈식 손잡이 장치 | |
EP2702921B1 (en) | Mop wringer machine | |
KR101244391B1 (ko) |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 |
KR101351830B1 (ko) | 제침 및 철침누름기능이 부가된 스테플러 | |
US20060214040A1 (en) | Dual-purpose grinder for seasoning | |
JP3170568U (ja) | 調理器具用取手 | |
KR20130047085A (ko) |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 |
JP3188024U (ja) | お玉の柄とお玉把持柄が分離可能に結合されるお玉 | |
CN209574483U (zh) | 带锁定结构的炊具把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