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892B1 -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892B1
KR101198892B1 KR1020100105489A KR20100105489A KR101198892B1 KR 101198892 B1 KR101198892 B1 KR 101198892B1 KR 1020100105489 A KR1020100105489 A KR 1020100105489A KR 20100105489 A KR20100105489 A KR 20100105489A KR 101198892 B1 KR101198892 B1 KR 101198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al
impeller
charging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087A (ko
Inventor
김경제
김옥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05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8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1/00Charging devices
    • C10B31/02Charging devices for charging ver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6Charging or discharging machines on travelling carri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탄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체류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탄의 부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균일하게 탄을 장입할 수 있으며, 설비 이상시에도 탄의 장입 작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장입차의 슈트 하단에 연통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탄을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로 불출하는 임펠러,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단에 연통설치되는 하부배출관와, 상기 하부배출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코크스 오븐 상단의 장입구와 연결되는 텔레스코픽관을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하우징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방사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우징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DEVICE FOR CHARGING COAL OF CHARGING CAR IN COKE OVEN}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의 장입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석탄을 안정적으로 장입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정에서 석탄의 건류는 코크스 공정에서 이루어진다. 코크스 공정에서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장입된 석탄은 일정시간 건류되어 코크스화된다. 코크스 오븐설비는 탄화실에 장입된 석탄을 건류하여 코크스로 제조하기 위한 설비이다.
이를 위해 코크스 오븐 설비는 건류가 이루어지는 코크스 오븐과 건류가 완료된 코크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압출기, 배출되는 코크스를 적재하는 트랜스퍼카, 코크스 오븐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되어 석탄을 장입하는 장입차를 포함한다.
이에 장입차가 코크스 오븐 상부를 주행하면서 코크스를 압출한 탄화실로 석탄을 장입하고, 건류된 코크스는 압출기에 의해 압출되어 트랜스퍼카로 배출된 후 전차를 통해 운송된다.
상기 장입차는 석탄을 밀어내기 위하여 하부에 탄 이송을 위한 스크류피더가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스크류피더를 이용하여 석탄을 장입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된다.
즉, 종래의 구조는 석탄 장입시 석탄이 장축의 스크류피더를 지나게 되는 데, 스크류피더 하우징 내에서 수분이 함유된 탄이 고온의 열기로 인해 하우징 내부에 부착된다. 이에 석탄이 이송되는 통로가 좁아져 이송스크류가 탄을 제대로 밀어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스크류와 하우징 내부의 부착탄 제거 작업을 수시로 실시해야 하며, 탄을 노상 바닥으로 불출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장입해야 하므로 작업 지연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또한, 장입차의 호퍼 내부의 탄이 모두 장입된 경우 탄 가스가 호퍼로 이송되어 대기중으로 방출됨으로써, 대기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한 스크류피더의 이상이 자주 발생함에 따라 탄의 균일 장입이 안되고 탄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건류불량으로 코크스 품질이 낮아지게 된다. 특히, 탄화실 내 발생가스 가스통로 확보가 안되어 대기중으로 가스가 누출되며 탄화실로 탄 장입량을 낮추게 되어 생산원가가 높아진다.
이에, 탄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체류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탄의 부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탄의 부착을 최소화하여 균일하게 탄을 장입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설비 이상시에도 탄의 장입 작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된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장입차의 슈트 하단에 연통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탄을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로 불출하는 임펠러,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단에 연통설치되는 하부배출관와, 상기 하부배출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코크스 오븐 상단의 장입구와 연결되는 텔레스코픽관을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하우징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방사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우징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적어도 두 개의 임펠러가 구비되어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두 개의 임펠러의 각 회전축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 임펠러의 회전축 선단에 설치되는 암도그클러치와, 타측 임펠러의 회전축 선단에 형성되는 스플라인, 상기 스플라인을 매개로 상기 회전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암도그클러치에 맞물리는 숫도그클러치, 상기 숫도그클러치에 연결되어 숫도그클러치를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숫도그클러치는 외주면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 선단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숫도그클러치를 이동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작동레버의 위치를 검출하여 숫도그클러치와 암도그클러치의 맞물림 상태를 확인하는 검출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탄 불출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는 임펠러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터치바와, 상기 회전축에 근접 설치되어 터치바를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동력전달부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전달부로 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장치에 의하면, 임펠러를 이용하여 탄을 상부에서 하부로 바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에서의 탄 체류시간을 줄여 탄 부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의 장입시간을 줄이고 임펠러의 균일한 회전을 통해 탄을 균일하게 장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코코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탄화실 내에 더 많은 양의 탄을 장입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임펠러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균일한 탄 장입이 가능하게 되어, 수작업을 최소화하고, 수작업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임펠러의 날개가 게이트 역할을 하게 되어 장치의 구성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대기 중 가스 누출을 감소하고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장입장치가 구비된 코크스 오븐 설비의 장입차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코크스 오븐 장입차에 설치된 장입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입장치의 임펠러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입장치의 동력전달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 설비의 장입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입차(100)는 코크스 오븐의 상단에 설치된 레일(110)을 따라 주행하면서 탄화실(200)로 석탄을 장입하게 된다.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200) 상단에는 석탄이 장입되는 장입구(210)가 구비되며, 장입구(210)는 도어(220)가 설치되어 필요시 개폐된다. 이에 장입차(100)는 코크스 오븐 상단을 주행하며 장입구(210)의 도어(220)를 개방한 후 장입구(210)를 통해 탄화실(200) 내부로 석탄을 장입하게 된다.
상기 장입차(100)는 상부에 탄이 저장되는 호퍼(120)가 구비되며, 각 호퍼(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슈트(130)에는 탄을 상기 장입구(210)를 통해 배출하는 장입장치(10)가 설치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입장치(10)는 장입차(100)의 슈트(130) 하단에 연통 설치되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 내부에 설치되어 탄을 하우징(12)의 개방된 하부로 불출하는 임펠러(20,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임펠러는 두 개가 구비되는 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2)의 개방된 하단에는 하부배출관(14)이 하부를 향해 연장 설치되고, 상기 하부배출관(14)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코크스 오븐 상단의 장입구(210)과 연결되는 텔레스코픽관(16)이 구비된다.
상기 텔레스코픽관(1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18)의 피스톤로드(19) 선단과 연결된다. 이에 구동실린더(18)가 신축작동되면 텔레스코픽관(16)은 하부배출관(14)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텔레스코픽관(16)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구동실린더(18)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실린더(18)의 피스톤로드(19) 일측에 감지편(3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배출관(14)에는 상기 감지편(30)을 검출하는 상한감지센서(32)와 하한감지센서(34)가 설치된다. 이에 피스톤로드(19)에 설치된 감지편(30)이 상기 상한감지센서(32) 또는 하한감지센서(34)에 검출되면 구동실린더(18)의 구동을 멈춰 텔레스코픽관(16)의 이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임펠러(20,20')는 호퍼(120)의 슈트(130)로부터 바로 아래로 탄을 배출시켜 장입구(210)로 장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2)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축(22,22')과, 상기 회전축(22,22')에 방사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우징(12)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24,24'), 상기 회전축(22,22')에 연결되어 회전축(22,22')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슈트(130) 하단을 따라 수평 설치되는 원통형태의 구조물로, 상단과 하단은 개방되어 슈트(130)와 연통된다. 상기 하우징(12) 내부에 임펠러(20,20')가 수평으로 배치된다. 이에 슈트(130)로 낙하된 탄은 하우징(12) 상부에서 회전되는 블레이드(24,24')에 의해 하우징(12) 내부로 이송되어 하우징(12)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회전축(22,22') 회전시 블레이드(24,24')가 이루는 회전반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원통형태를 이룬다. 이에 상기 블레이드(24,24')의 외측 선단은 하우징(12)의 내측면과 근접하거나 접한 상태를 이루며, 따라서 블레이드(24,24')에 의해 하우징(12)의 개방된 상단과 하단이 차단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24,24')는 탄을 이송시킴과 더불어 하우징(12)의 상하부를 막는 게이트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임펠러(20,20')는 상기 하우징(12) 내에 두 개가 구비되며, 각 임펠러(20,20')의 회전축(22,22')은 동일 축선상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임펠러(20,20')는 각각 구동부를 구비하여 서로 개밸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구동부는 임펠러(20,20')의 회전축(22,22')에 연결되는 구동모터(26,26')와, 구동모터(26,26')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회전축(22,22')으로 전달하는 감속기어(28,28')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임펠러(20,20')는 도면상 하우징(12)의 중앙에서 좌우측에 배치된다. 하우징(12)의 외측에는 구동모터(26,26')와 감속기어(28,28')가 좌우측에 설치되어 각각의 임펠러(20,20')의 회전축(22,22') 선단과 연결된다.
이에 상기 두 개의 임펠러(20,20')는 슈트(130)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각각 슈트(130)로부터 탄을 아래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본 장치는 임펠러(20,20')를 통한 탄의 장입량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임펠러(20,20')의 회전축(22,22')의 회전량을 확인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20,20')의 회전축(22,22')에 터치바(36)가 설치되고, 설비 상에는 상기 회전축(22,22')에 근접하여 회전축(22,22') 회전시 터치바(36)를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38)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스위치(38)는 하우징(12)의 내측에 별도의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바(36)는 하우징(12)의 중앙쪽을 향하는 각 임펠러(20,20')의 회전축(22,22') 선단에 설치되고, 리미트스위치(38) 역시 하우징(12)의 중앙쪽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리미스트위치를 통해 터치바(36)를 감지하여 회전축(22,22')의 회전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임펠러(20,20')에 의해 이송되어 장입되는 탄의 장입량을 정확히 연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장치는 상기 두 개의 임펠러(20,20')의 각 회전축(22,22')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두 개의 임펠러(20,20') 중 일측 임펠러가 작동이 정지된 경우 동력전달부를 통해 다른 쪽 임펠러의 동력을 정지된 임펠러로 전달하여 두 개의 임펠러를 모두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 임펠러(20)의 회전축(22) 선단에 설치되는 암도그클러치(40)와, 타측 임펠러(20,20')의 회전축(22,22') 선단에 형성되는 스플라인(42), 상기 스플라인(42)을 매개로 상기 회전축(22,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암도그클러치(40)에 맞물리는 숫도그클러치(44), 상기 숫도그클러치(44)에 연결되어 숫도그클러치(44)를 회전축(22,22')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작동레버(46)를 포함한다.
상기 암도그클러치(40)는 일측 임펠러(20)의 회전축(22) 선단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숫도그클러치(44)는 타측 임펠러(20')의 회전축(22')과 스플라인(42)을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축(22')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회전축(22')과 같이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레버(46)는 하우징(12)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별도의 구동수단이 연결되어 작동레버(46)를 회동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46)는 하우징(12) 외측에서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숫도그클러치(44)와 작동레버(46)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숫도그클러치(44)는 외주면을 따라 걸림홈(47)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레버(46) 선단에는 롤러(48) 등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걸림홈(47)에 끼워진다. 이에 상기 숫도그클러치(44)가 회전축(22')과 같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작동레버(46)의 롤러(48)는 자체적으로 회전하여 걸림홈(47)과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레버(46)가 당겨지면 롤러(48)에 걸린 걸림홈(47)으로 힘이 전달되어 숫도그클러치(44)가 롤러(48)에 밀려 회전축(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작동레버(46)의 위치를 검출하여 숫도그클러치(44)와 암도그클러치(40)의 맞물림 상태를 확인하는 검출센서(49)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검출센서는 하우징(12) 내측에서 작동레버(46)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본 장치는 상기 하우징(12)의 중앙부에 차단커버(50)가 설치되어 두 개의 임펠러(20,20') 사이로 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차단커버(50)는 두 개의 임펠러(20,20') 사이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에 탄이 두 개의 임펠러(20,20') 사이의 동력전달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차단커버(50)는 중앙부가 뾰족하게 솟은 삼각단면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차단커버 위로 떨어지는 탄을 좌우쪽의 임펠러(20,20')로 유도하게 된다.
이하,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200)에 장입된 탄이 고온에서 일정시간 건류 완료되면 압출기가 탄화실(200)로부터 코크스를 밀어낸다.
코크스 압출 완료 후 도어가 닫히면 장입차(100)가 콜빈에 탄을 채탄하여 상기 코크스가 압출된 탄화실(200)로 주행하게 된다. 장입차(100)가 탄화실(200)에 도착하게 되면 장입구(210)의 도어(220)를 개방하고 장입구(210)를 통해 탄을 장입시키게 된다. 도어(220)의 개방을 위해 리프터(140)가 전후진실린더(150)와 업다운실린더(16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된다. 리프터(140) 이동에 따라 리프터 선단에 설치된 마그네트(170)가 도어(220) 상부로 이동하고 마그네트의 구동에 따라 도어(220)가 마그네트에 부착되어 장입구(210)로부터 제거된다.
장입구(210)가 개방되면, 장입차(100)에 설치된 구동실린더(18)가 신장작동되어 하부배출관(14)에 연결된 텔레스코픽관(16)을 장입구(210)를 향해 내리게 된다. 텔레스코픽관(16)이 완전히 하강하여 장입구(210)에 밀착되면, 구동실린더(18)의 피스톤로드(19)에 설치된 감지편(30)이 하한감지센서(34)에 검출되고 상기 하한감지센서(34)의 신호에 따라 구동실린더(18)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하한감지센서(34)의 검출신호에 따라 본 장치가 가동되어 탄을 장입구(210)를 통해 탄화실(200)로 장입하게 된다.
본 장치가 가동되면, 하우징(12)에 설치된 모터(26,26')가 구동되어 두 개의 임펠러(20,20')를 구동하게 된다. 모터(26,26')가 구동되면 회전축(22,22')이 하우징(12)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22,22')에 설치된 블레이드(24,24')가 회전되면서 탄을 아래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탄은 슈트(130)로부터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임펠러(20,20')를 거쳐 하우징(12) 하단에 연통되어 있는 하부배출관(14)으로 정량 불출된다. 이렇게 이송된 탄은 하부배출관(14)과 연결된 텔레스코픽관(16)을 통해 장입구(210)로 장입된다.
여기서 탄은 슈트(130)에 바로 직결되어 있는 임펠러(20,20')를 통해 바로 밑으로 이송됨으로써, 임펠러(20,20')와의 접촉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탄 이송 과정에서 부착탄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임펠러(20,20')의 회전축(22,22')에 설치된 터치바(36)는 회전축(22,22')의 회전에 따라 같이 돌게 되고 리미트스위치(38)는 상기 터치바(36)의 회전량을 검출하게 된다. 이에 상기 리미트스위치(38)의 출력값에 따라 회전축(22,22')의 회전량을 카운팅함으로써, 임펠러(20,20')를 통해 이송되는 탄의 정확한 장입량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리미트스위치(38)를 통해 설정된 양만큼 탄이 탄화실(200)로 장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설정된 일정량의 탄이 장입되면, 구동모터(26,26')가 정지되고 장입 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구동실린더(18)가 수축작동되어 텔레스코픽관(16)이 상승하고, 리프터는 마그네트에 부착된 도어(220)를 원위치로 이동시켜 장입구(210)를 닫는다.
한편, 상기 작업 과정에서 하우징(12)에 구비된 두 개의 임펠러(20,20') 중 어느 하나가 고정나 정지된 경우에는 정상 작동되는 임펠러의 동력을 이용하여 고장난 임펠러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숫도그클러치(44)가 설치된 일측 임펠러(2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작동레버(46)를 회동시키게 되면 작동레버(46)에 연결되어 있는 숫도그클러치(44)가 임펠러(20')의 회전축(22')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에 상기 숫도그클러치(44)는 다른쪽 임펠러(20)의 회전축(22)에 설치된 암도그클러치(40)에 맞물려진다. 따라서 암도그클러치(40)와 이에 맞물려 있는 숫도그클러치(44)를 통해 정상 임펠러(20)의 구동모터(26)의 동력이 고장난 임펠러(20')의 회전축(22')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숫도그클러치(44)와 암도그클러치(40)를 통해 두 개의 임펠러(20,20')가 하나로 합체되어 고장난 임펠러(20') 또한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라서 고장난 임펠러(20')의 회전축(22')이 회전되면서 탄 장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장입장치 12 : 하우징
14 : 하부배출관 16 : 텔레스코픽관
18 : 구동실린더 20,20' : 임펠러
22,22' : 회전축 24,24' : 블레이드
26,26' : 구동모터 30 : 감지편
32 : 상한감지센서 34 : 하한감지센서
36 : 터치바 38 : 리미트스위치
40 : 암도그클러치 42 : 스플라인
44 : 숫도그클러치 46 : 작동레버
47 : 걸림홈 48 : 롤러
49 : 검출센서 50 : 차단커버

Claims (5)

  1. 장입차의 슈트 하단에 연통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탄을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로 불출하는 임펠러,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단에 연통설치되는 하부배출관와, 상기 하부배출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코크스 오븐 상단의 장입구와 연결되는 텔레스코픽관을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하우징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방사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우징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적어도 두 개의 임펠러가 구비되어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임펠러의 각 회전축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일측 임펠러의 동력을 타측 임펠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 임펠러의 회전축 선단에 설치되는 암도그클러치와, 타측 임펠러의 회전축 선단에 형성되는 스플라인, 상기 스플라인을 매개로 상기 회전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암도그클러치에 맞물리는 숫도그클러치, 상기 숫도그클러치에 연결되어 숫도그클러치를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탄 불출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임펠러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터치바와, 상기 회전축에 근접 설치되어 터치바를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전달부로 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커버를 더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
KR1020100105489A 2010-10-27 2010-10-27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 KR10119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489A KR101198892B1 (ko) 2010-10-27 2010-10-27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489A KR101198892B1 (ko) 2010-10-27 2010-10-27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087A KR20120044087A (ko) 2012-05-07
KR101198892B1 true KR101198892B1 (ko) 2012-11-07

Family

ID=4626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489A KR101198892B1 (ko) 2010-10-27 2010-10-27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8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446B1 (ko) * 2013-09-12 2015-06-05 주식회사 포스코 장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248U (ja) * 1981-07-14 1983-01-26 株式会社幸袋工作所 石炭装入車における石炭装入装置
KR100960384B1 (ko) * 2008-07-30 2010-05-28 주식회사 포스코 장입차의 장입구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248U (ja) * 1981-07-14 1983-01-26 株式会社幸袋工作所 石炭装入車における石炭装入装置
KR100960384B1 (ko) * 2008-07-30 2010-05-28 주식회사 포스코 장입차의 장입구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087A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7586B2 (en) Pack through eject panel
KR101198892B1 (ko)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장치
CN112193726B (zh) 一种刮板输送机自动防护装置
CN219097912U (zh) 一种配料绞龙检查口盖板结构
KR20190018006A (ko) 백 프레스 공급기 조립체
CN204197876U (zh) 改进后的无轴螺旋输送机结构
CN110745582B (zh) 一种闸门碎料式分隔下料装置
CN209341813U (zh) 一种全自动高效辊道炉设备
CN109178835B (zh) 一种灭菌柜自动进出料控制装置及方法
CN106185336A (zh) 一种污泥焚烧工艺中的气力输灰装置及其控制方法
CN108593097B (zh) 一种机械振动的测量设备
CN213595438U (zh) 垃圾处理系统的料口堵料处理装置
CN209775634U (zh) 一种全自动铁桶压扁机
CN108373929A (zh) 一种废橡胶或废塑料的裂解残渣连续输出装置和方法
CN110626643A (zh) 一种料斗
CN208266118U (zh) 一种废橡胶或废塑料的裂解残渣连续输出装置
KR101495438B1 (ko)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더스트 막힘 방지장치
CN106081514A (zh) 一种新型锁气器
CN205837838U (zh) 一种新型锁气器
CN201832618U (zh) 有机固体废物热解生成物气固相连续排放装置
CN220346027U (zh) 一种磨煤机
KR102125366B1 (ko) 부착탄 자동제거 시스템
CN204727225U (zh) 炉膛进料装置
CN220789311U (zh) 沥青混凝土再生设备和系统
KR20140011519A (ko) 압출기 람 자동 후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