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345B1 -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345B1
KR101197345B1 KR20100011773A KR20100011773A KR101197345B1 KR 101197345 B1 KR101197345 B1 KR 101197345B1 KR 20100011773 A KR20100011773 A KR 20100011773A KR 20100011773 A KR20100011773 A KR 20100011773A KR 101197345 B1 KR101197345 B1 KR 101197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plate
sensor
fixed arm
accelerator pedal
typ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1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388A (ko
Inventor
오호종
허원영
박위상
Original Assignee
(주) 디에이치홀딩스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에이치홀딩스,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 디에이치홀딩스
Priority to KR2010001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345B1/ko
Priority to CN 201010580546 priority patent/CN102050026B/zh
Priority to CN2010206501129U priority patent/CN201907415U/zh
Publication of KR20110092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34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풋플레이트(55)의 회전에 상관없이 센서(63)가 항상 고정된 상태의 설치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상기 센서(63)가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설치되는 장점이 있고, 상기 센서(63)와 트로틀 제어유니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71)의 길이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원가 절감과 중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71)의 꼬임에 의한 절손 우려도 없앨 수 있게 되며, 상기 센서(63)가 풋플레이트(55)의 답력확장부(55d) 및 측면패널부(55e)에 의해 가려져서 보호를 받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원치 않는 센서(63)의 손상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풋플레이트(55)의 답력확장부(55d)를 통해 운전자가 발로 밟게 주는 답력부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운전자의 조작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풋플레이트(55)의 복귀 동작시 고정암돌기(53h)와 접촉하는 쿠션부재(72)에 의해 불필요한 소음 발생을 없앨 수 있게 되므로 실내 정숙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Organ type electronic accelerator pedal apparatus}
본 발명은 운전석 하부의 플로어패널에 장착된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가속페달 장치는 장착구조에 따라 대시패널에 매달아 설치하는 펜던트 타입(pendant type)과 플로어패널에 설치하는 오르간 타입(organ type)이 있으며, 작동방식에 따라 액셀케이블을 통해 기화기내의 스로틀 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연소량을 조절하는 기계식과 액셀케이블의 사용을 배제시킨 구성으로 운전자의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면서 연료 소비율의 향상을 통해 연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전자식이 있다.
여기서,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의 종래 구조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풋플레이트(1)의 밑면에 플레이트하우징(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하우징(2)의 바깥쪽 일측면에 센서(3)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풋플레이트(1)의 회전시 상기 센서(3)도 함께 회전하는 구조로, 상기 풋플레이트(1)가 회전할 때마다 상기 센서(3)도 함께 회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센서(3)가 안정적인 설치구조를 갖고 있지 못한 단점이 있고, 상기 센서(3)와 트로틀 제어유니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4)의 길이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케이블(4)의 꼬임에 의한 절손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센서(3)가 외부로 노출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 등에 의한 외부의 충격을 직접 전달받을 수 있는 우려가 있고, 이럴 경우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는 상기 풋플레이트(1)가 압축스프링(5)의 힘을 이기고 고정암(6)쪽으로 회전하였다가 상기 압축스프링(5)의 복원력을 통해 도 3과 같이 복귀할 때에 상기 플레이트하우징(2)에 결합된 스토퍼핀(7)이 상기 고정암(6)의 밑면과 접촉하여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풋플레이트(1)의 복귀 회전각을 제어하는 구조인 바, 여기서 상기 스토퍼핀(7)은 스틸과 같은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상기 고정암(6)과의 접촉시 소음을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소음은 실내 정숙성을 해치게 되어 상품성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풋플레이트의 회전에 상관없이 센서가 항상 고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인 설치구조를 갖도록 개선하여, 상기 센서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센서와 트로틀 제어유니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원가 절감과 중량 감소 및 상기 케이블의 꼬임에 의한 절손 우려를 없앨 수 있도록 하는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풋플레이트의 형상 개선을 통해 센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풋플레이트에 의해 보호받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센서가 이물질 등에 의한 외부의 충격을 직접 전달받지 못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센서의 손상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가 풋플레이트에 의해 보호받는 구조로 개선됨에 따라 상기 풋플레이트의 답력부가 더 많이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풋플레이트의 복귀 동작시 불필요한 소음 발생을 없앨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는, 플로어브라켓을 매개로 운전석 하부의 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된 고정암과; 상기 고정암의 일단과 피봇핀을 매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풋플레이트와; 상기 풋플레이트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센서레버와; 상기 고정암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센서레버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센서레버의 회전에 따른 출력값의 변화를 검출하여 트로틀 제어유니트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는, 풋플레이트의 회전에 상관없이 센서가 항상 고정된 상태의 설치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상기 센서가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설치되는 장점이 있고, 상기 센서와 트로틀 제어유니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원가 절감과 중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의 꼬임에 의한 절손 우려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가 풋플레이트의 답력확장부 및 측면패널부에 의해 가려져서 보호를 받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원치 않는 센서의 손상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풋플레이트의 답력확장부를 통해 운전자가 발로 밟게 주는 답력부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운전자의 조작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풋플레이트의 복귀 동작시 고정암돌기와 접촉하는 쿠션부재에 의해 불필요한 소음 발생을 없앨 수 있게 되므로 실내 정숙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내부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우측면도와 좌측면도 및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암과 풋플레이트와 압축스프링 및 센서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 저면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는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브라켓(51)이 운전석 하부의 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플로어브라켓(51)에는 스크루(52)를 매개로 고정암(53)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암(53)의 일측에 상기 스크루(52)가 관통하는 스크루홀(53a)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루홀(53a)은 분리 가능한 캡(54)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플로어브라켓(51)의 일단 양측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플랜지(51a)가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51a)의 사이에 상기 고정암(53)의 일단이 삽입된다.
운전자가 발로 밟아 작동시키는 풋플레이트(55)는 일단의 양측면에 하단으로 돌출된 한 쌍의 플랜지(55a)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55a)의 사이에는 상기 플로어브라켓(51)의 플랜지(51a)가 삽입된다.
상기 풋플레이트(55)의 플랜지(55a)와 상기 플로어브라켓(51)의 플랜지(51a) 및 상기 고정암(53)의 일단은 피봇핀(56)이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피봇핀(56)의 끝에는 와셔(57)와 푸시너트(58)가 체결되어 상기 피봇핀(56)의 분해를 방지한다.
상기 플로어브라켓(51)의 플랜지(51a)와 상기 풋플레이트(55)의 플랜지(55a)사이에는 유격관리와 마찰로 인한 마모 방지를 위해 부시(59)가 각각 끼워져 설치되는데, 상기 부시(59)는 상기 피봇핀(56)에 의해 관통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암(53)과 상기 풋플레이트(55)는 압축스프링(61)을 매개로 설치된다.
즉, 상기 압축스프링(61)의 하단은 상기 고정암(53)에 지지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풋플레이트(55)의 밑면에 지지되도록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암(53)은 내부에 수용공간(53b)을 구비한 구조이고, 상기 수용공간(53b)을 이루는 바닥면에 상기 압축스프링(61)의 하단이 삽입되는 스프링설치홈(53c)이 형성되며, 상기 풋플레이트(55)의 밑면에는 스프링설치용돌기(55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설치용돌기(55b)의 저면에 상기 압축스프링(61)의 상단이 삽입되는 스프링설치홈(55c)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스프링(61)은 내측스프링(61a)과 외측스프링(61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내측스프링(61a)은 권선된 직경이 상기 외측스프링(61b)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스프링(61a)이 상기 외측스프링(61b)의 안쪽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상기 내측스프링(61a)과 상기 외측스프링(61b)사이에는 간섭방지를 위한 스펀지 재질의 패드부재(62)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풋플레이트(55)는 운전자가 답력을 가할 때 상기 피봇핀(56)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암(53)을 향하여 작동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압축스프링(61)은 압축되고, 운전자가 답력을 해제할 때에 상기 풋플레이트(55)는 상기 압축스프링(6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암(53)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복귀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압축되었던 상기 압축스프링(61)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고정암(53)의 일측면에는 센서(63)가 스크루(64)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센서(63)에 구비된 돌기홈(63a)에는 센서레버(65)의 일단에 구비된 레버돌기(65a)가 끼워져서 결합된다.
상기 센서레버(65)는 상기 고정암(53)의 수용공간(53b)속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센서레버(65)의 레버돌기(65a)는 상기 고정암(53)의 일측면을 관통한 후 상기 센서(63)의 돌기홈(63a)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암(53)의 일측면에는 돌기관통구멍(53d)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53b)속에 위치한 상기 센서레버(65)의 타단은 레버핀(66)을 매개로 상기 풋플레이트(55)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풋플레이트(55)에서 스프링설치용돌기(55b)의 일측면에는 핀결합용돌기(55h)가 일체로 형성되는 바, 상기 핀결합용돌기(55h)에 센서레버(65)의 타단이 레버핀(66)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핀결합용돌기(55h)가 상기 수용공간(53b)속에 위치한 상기 센서레버(65)의 타단과 레버핀(66)을 매개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핀결합용돌기(55h)를 포함한 상기 스프링설치용돌기(55b)가 함께 상기 수용공간(53b)속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고정암(53)의 윗면에는 상기 스프링설치용돌기(55b)와 핀결합용돌기(55h)가 함께 관통 삽입되는 상부구멍(53e)이 상기 수용공간(53b)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센서(63)는 상기 센서레버(65)의 회전에 따른 출력값의 변화를 검출하여 트로틀 제어유니트로 전기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고정암(53)은 상기 돌기관통구멍(53d)과 대향하는 반대쪽 측면이 개구된 구조이고, 개구된 측면에는 고정암커버(67)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풋플레이트(55)가 피봇핀(56)을 매개로 상기 고정암(53)과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풋플레이트(55)의 일측은 상기 고정암커버(67)가 있는 방향으로 개구된 구조를 갖고 있으며, 개구된 측면에는 플레이트커버(68)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고정암(53)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암(53)에서 상기 피봇핀(56)이 관통하는 일단과 상기 상부구멍(53e) 사이의 위치에는 2개의 스위치 장착홈(53f,53g)이 각각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장착홈(53f,53g)에는 킥 다운 스위치(69) 및 리미트 스위치(70)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자동변속기 차량은 D(주행)모드에서도 급속하게 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힘껏 밟아(kick) 스로틀 밸브가 활짝 개방되면 수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다운(shift down)과 같은 원리로 이후의 변속이 저단으로 자동 변속되면서 빠른 시간내에 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상기 킥 다운 스위치(69)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70)이다.
상기 킥 다운 스위치(69)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70)는 상기 풋플레이트(55)가 피봇핀(56)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암(53)쪽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풋플레이트(55)의 밑면과 접촉함으로써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미설명 도면번호 71은 상기 센서(63)와 상기 트로틀 제어유니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다.
한편, 상기 풋플레이트(55)에는 상기 풋플레이트(55)의 일측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암(53)의 일측면에 결합된 상기 센서(63)의 윗면을 커버링하는 답력확장부(55d)와, 상기 답력확장부(55d)의 끝에서 상기 센서(63)의 측면을 커버링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된 측면패널부(55e)가 일체로 더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답력확장부(55d)는 상기 센서(63)의 윗면을 커버링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발로 밟게 주는 답력부를 더욱 확장시키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인 바, 이에 따라 상기 풋플레이트(55)를 밟아주는 운전자의 조작성은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상기 고정암(53)의 윗면에는 상기 피봇핀(56)이 결합되는 일단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고정암돌기(53h)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풋플레이트(55)의 밑면에는 상기 풋플레이트(55)가 상기 피봇핀(56)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암(53)으로부터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회전을 할 때에 상기 고정암돌기(53h)와의 접촉으로 상기 풋플레이트(55)의 복귀 회전각을 제어하는 니은(ㄴ)자 단면 형상의 플레이트돌기(55f)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풋플레이트(55)의 복귀 회전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고정암돌기(53h)에 상기 플레이트돌기(55f)가 직접 접촉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 작동 소음이 발생하여 실내 정숙성을 해치게 되는 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돌기(55f)에 돌기홈(55g)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55g)에 쿠션부재(72)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쿠션부재(72)는 상기 풋플레이트(55)가 복귀 동작을 할 때에 상기 플레이트돌기(55f) 대신에 상기 고정암돌기(53h)와 직접 접촉하여 불필요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구비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을 이용하여 원형 단면을 갖춘 봉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쿠션부재(72)의 재질과 형상은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의 상태에서 운전자가 풋플레이트(55)에 답력을 가해주면 상기 풋플레이트(55)는 피봇핀(56)을 중심으로 플로어브라켓(51)을 향해 회전하여 도 11과 같이 되고, 이때 상기 풋플레이트(55)와 일단이 결합된 센서레버(65)도 함께 회전하며, 압축스프링(61)은 전체의 길이가 짧아지게 변형된다.
상기 센서레버(65)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암(53)에 결합되어 센서(63)는 상기 센서레버(65)의 회전동작에 따른 출력값의 변화를 검출하여 트로틀 제어유니트로 전기신호를 보내게 되며, 상기 트로틀 제어유니트는 제어신호를 보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스로틀 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연소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의 상태에서 풋플레이트(55)로부터 운전자의 답력이 제거되면, 압축스프링(61)의 복원력에 의해 풋플레이트(55)는 피봇핀(56)을 중심으로 고정암(53)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회전을 하여 도 10과 같은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이때 센서레버(65)도 함께 회전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풋플레이트(55)의 복귀 회전은 플레이트돌기(55f)에 결합된 쿠션부재(72)가 고정암돌기(53h)의 밑면에 접촉하여 걸려질 때까지 진행되며, 상기 쿠션부재(72)가 고정암돌기(53h)의 밑면에 걸려지면 상기 풋플레이트(55)는 항상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는 풋플레이트(55)의 회전에 상관없이 센서(63)가 항상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고정암(53)에 결합된 구조이기에, 상기 센서(63)는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설치되는 장점이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센서(63)는 오동작이 없어지게 되므로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63)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 구조이기기 때문에 상기 센서(63)와 트로틀 제어유니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71)의 길이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원가 절감과 중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71)의 꼬임에 의한 절손 우려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암(53)의 일측에 장착된 센서(63)가 풋플레이트(55)의 답력확장부(55d) 및 측면패널부(55e)에 의해 윗면과 측면이 가려져서 보호를 받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상기 센서(63)가 이물질 등에 의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구조가 되어 센서(63)의 손상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63)를 보호하는 풋플레이트(55)의 답력확장부(55d)가 운전자가 발로 밟게 주는 답력부를 더욱 확장시키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풋플레이트(55)를 밟아주는 운전자의 조작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풋플레이트(55)의 복귀 동작시 쿠션부재(72)가 고정암돌기(53h)와 접촉하여 상기 풋플레이트(55)의 복귀 회전각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상기 쿠션부재(72)에 의해 불필요한 소음 발생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실내 정숙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는 여유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고, 케이블의 장력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운전자의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연료 소비율의 향상을 통해 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풋플레이트(55)의 복귀 회전을 구속하는 쿠션부재(72) 및 2중 구조로 된 압축스프링(61)에 의해 안정성을 극대화시킨 장점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즉, 운전자의 답력에 의해 플로어브라켓(51)을 향해 회전한 풋플레이트(55)는 운전자의 답력이 제거되는 순간부터 압축스프링(61)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암(53)에 대해 들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의 신발이나 또는 옷이 상기 풋플레이트(55)에 걸려지게 되면 상기 풋플레이트(55)는 도 10과 같은 정상적인 초기 상태보다 더 많이 회전하여 뒤로 젖혀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은 경사가 심한 등판로를 주행할 때에도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쿠션부재(72)가 고정암돌기(53h)의 밑면에 걸려져서 풋플레이트(55)의 복귀 회전각을 구속하는 구성이므로, 상기와 같이 풋플레이트(55)가 정상적인 초기 상태보다 더 많이 회전하여 뒤로 젖혀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풋플레이트(55)는 항상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됨으로써,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반대로, 경사가 심한 내리막길을 주행할 때 풋플레이트(55)는 자중에 의해 플로어브라켓(51)을 향하여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되지만, 이때에는 압축스프링(61)의 지지력에 의해 상기 풋플레이트(55)의 회전을 구속하게 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에 안정성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스프링(61)을 구성하는 내측스프링(61a)이나 외측스프링(61b)중 어느 한 개의 스프링이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한 개의 스프링이 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이 역시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석 하부의 플로어패널에 플로어브라켓(51)이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플로어브라켓(51)만 교체하여 주면 모든 차종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차종에 따라 각각 다른 종류의 페달을 별도로 개발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발비용의 절감을 이룩할 수 있게 된다.
51 - 플로어브라켓 53 - 고정암
55 - 풋플레이트 56 - 피봇핀
63 - 센서 65 - 센서레버
55d - 답력확장부 55e - 측면패널부
53h - 고정암돌기 55f - 플레이트돌기
72 - 쿠션부재

Claims (9)

  1. 플로어브라켓(51)을 매개로 운전석 하부의 플로어패널에 고정 설치된 고정암(53)과;
    상기 고정암(53)의 일단과 피봇핀(56)을 매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풋플레이트(55)와;
    상기 풋플레이트(55)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센서레버(65)와;
    상기 고정암(53)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센서레버(65)의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센서레버(65)의 회전에 따른 출력값의 변화를 검출하여 트로틀 제어유니트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센서(63);를 포함하는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53)의 타단쪽 윗면에는 상기 피봇핀(56)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고정암돌기(53h)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풋플레이트(55)의 밑면에는 상기 풋플레이트(55)가 상기 피봇핀(56)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암(53)으로부터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회전을 할 때에 상기 고정암돌기(53h)와의 접촉으로 상기 풋플레이트(55)의 복귀 회전각을 제어하는 니은(ㄴ)자 단면 형상의 플레이트돌기(55f)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풋플레이트(55)에는,
    상기 풋플레이트(55)의 일측방향으로 확장 형성되어서 상기 센서(63)의 윗면을 커버링하는 답력확장부(55d)와;
    상기 답력확장부(55d)의 끝에서 상기 센서(63)의 측면을 커버링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된 측면패널부(55e)가 일체로 더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돌기(55f)에는 상기 고정암돌기(53h)와 상기 플레이트돌기(55f)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없앨 수 있도록 하는 쿠션부재(72)가 일체로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72)는 탄성을 구비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원형 단면을 갖춘 봉 모양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53)과 상기 풋플레이트(55)의 밑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풋플레이트(55)의 탄력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압축스프링(61);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61)은 내측스프링(61a)과 외측스프링(61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내측스프링(61a)은 권선된 직경이 상기 외측스프링(61b)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서 상기 내측스프링(61a)이 상기 외측스프링(61b)의 안쪽에 끼워져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내측스프링(61a)과 상기 외측스프링(61b)사이에는 간섭방지를 위한 패드부재(62)가 삽입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53)에 형성된 스위치 장착홈(53f,53g)으로 각각 삽입 설치되어서 상기 풋플레이트(55)와의 접촉으로 동작하는 킥 다운 스위치(69) 및 리미트 스위치(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20100011773A 2010-02-09 2010-02-09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101197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1773A KR101197345B1 (ko) 2010-02-09 2010-02-09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CN 201010580546 CN102050026B (zh) 2010-02-09 2010-12-09 风琴式电子加速踏板
CN2010206501129U CN201907415U (zh) 2010-02-09 2010-12-09 风琴式电子加速踏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1773A KR101197345B1 (ko) 2010-02-09 2010-02-09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388A KR20110092388A (ko) 2011-08-18
KR101197345B1 true KR101197345B1 (ko) 2012-11-05

Family

ID=4395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11773A KR101197345B1 (ko) 2010-02-09 2010-02-09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7345B1 (ko)
CN (2) CN20190741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345B1 (ko) * 2010-02-09 2012-11-05 (주) 디에이치홀딩스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CN102560838A (zh) * 2011-12-02 2012-07-11 常熟市浩通市政工程有限公司 织机踏板的限位装置
KR101462925B1 (ko) 2013-11-15 2014-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르간 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CN109733193A (zh) * 2019-02-27 2019-05-10 威廉姆斯(苏州)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地板式加速踏板
JP7095652B2 (ja) * 2019-05-21 2022-07-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796B1 (ko) * 2005-12-13 2006-11-15 (주) 동희산업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863B1 (ko) * 2002-10-04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답력 조절 기능을 갖춘 전자식 가속 페달 장치
US20070193401A1 (en) * 2006-02-02 2007-08-23 Cts Corporatio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CN101508243B (zh) * 2008-12-25 2012-11-07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车用电子油门踏板
KR101197345B1 (ko) * 2010-02-09 2012-11-05 (주) 디에이치홀딩스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796B1 (ko) * 2005-12-13 2006-11-15 (주) 동희산업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388A (ko) 2011-08-18
CN102050026A (zh) 2011-05-11
CN201907415U (zh) 2011-07-27
CN102050026B (zh)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345B1 (ko) 오르간 타입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US7717012B2 (en) Electronic organ type accelerator pedal
US11987118B2 (en) Foldable accelerator pedal apparatus for vehicle with hysteresis module
KR100718541B1 (ko) 기계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KR20220064791A (ko)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US7984664B2 (en) Organ type accelerator pedal for vehicle
US20070289402A1 (en) Accelerator Pedal Module And Full Load Indicator For Said Accelerator Pedal Module
KR100841924B1 (ko)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페달 모듈
KR20230096205A (ko) 오르간 타입 전자식 페달장치
KR101272946B1 (ko)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JP2007522986A (ja) アクセルペダルモジュール及びアクセルペダルモジュール用全負荷インジケータ
JP5092764B2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20100046653A (ko) 차량용 플로어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101272947B1 (ko)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JP2010143427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20120047143A (ko)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
JP2005014899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WO2015064156A1 (ja)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KR100580503B1 (ko) 클러치페달의 스프링 지지구조
AU2006225706B2 (en) Accelerator pedal operation device
KR101356146B1 (ko) 차량용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JP2019162923A (ja) アクセルペダル機構
KR100379680B1 (ko) 액셀레이터 페달 모듈
KR20210091932A (ko) 답력 조절형 가속 페달 장치
US6389926B1 (en) Adjustable pedal-integrated cable trans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