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230B1 - 요리 보온 장치 - Google Patents

요리 보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230B1
KR101197230B1 KR1020100052881A KR20100052881A KR101197230B1 KR 101197230 B1 KR101197230 B1 KR 101197230B1 KR 1020100052881 A KR1020100052881 A KR 1020100052881A KR 20100052881 A KR20100052881 A KR 20100052881A KR 101197230 B1 KR101197230 B1 KR 101197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ainer
salinity
module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253A (ko
Inventor
손동일
Original Assignee
손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동일 filed Critical 손동일
Priority to KR1020100052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23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요리 보온 장치는, 용기 및 용기 내부의 일 측에 구비된 온도측정센서와, 상기 온도 값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되 내주 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용기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용기접속부로 이루어진 용기부와, 상기 용기접속부와 나사산 결합되는 본체접속부, 상기 본체접속부의 외주면의 일 측에 구비되는 입력단자 및, 상기 본체접속부의 상면에 형성된 발열장치와 복수개의 키패드로 이루어진 조작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 상기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특정 요리/재질에 대한 적정 온도를 저장 처리한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특정 요리/재질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요리/재질 입력부, 상기 선택된 요리/재질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준온도 값을 추출하는 기준 온도 추출모듈, 상기 온도측정센서가 측정한 현재 온도 값을 수신하는 온도 파악 모듈, 상기 기준 온도 값 및 현재 온도 값을 비교하여 발열장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비교모듈, 발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발열장치구동모듈로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용기 내의 음식물이 항상 기준 온도와 유사한 온도로 유지되어 사용자의 미각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요리 보온 장치 {Food Warming Device}
본 발명은 요리 보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용기부와 본체부 및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식사하는 동안 음식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켜 특유의 미각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개개인에 따른 맞춤 설정이 가능하며, 용기의 재질과 요리의 종류에 따라 온도를 달리 설정하여 어떤 환경에서도 적정 온도의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용기 내에 조명이 반사되도록 하여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요리 보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음식은 생존을 위한 수단으로서 체내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인데, 현대에는 식생활 수준이 발전하여 생존을 위한 수단에 더하여 보다 맛있고 좋은 음식을 찾아 먹는 것에서 느끼는 행복이 중요시 되면서, 물질적인 것보다 정신적인 만족을 중시하는 식문화가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더욱 맛있는 음식을 더욱 맛있게 느껴지는 환경에서 먹고 싶어 하는데, 그 중 음식의 온도는 매우 중요한 환경 중 하나이다.
맛있는 찌개 등을 금방 끓여 내어도 식탁 위 식기 내로 옮겨 오면서 음식물은 자연적으로 식게 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더 식어서 따뜻할 때의 맛을 느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가열된 물을 직접 음식물에 넣어 온도를 올리는 방법을 사용하나, 추가된 물로 인하여 맛이 희석되고 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류, 가스, 파라핀, 숯 등과 같은 고체연료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별도의 장치를 장착해야 한다는 번거로움과 가스의 발생 및 직접적인 화염과 가연성 가스 등에 의한 화재 위험으로 많은 불편요소를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상술한 요소들을 보완함과 동시에 식사하는 동안 음식을 보온의 상태로 유지하여 특유의 미각을 즐기기 위하여,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342982호 '축열재를 이용한 보온용 이중식기'가 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기술은 이중으로 구성된 내부 식기와 외부 식기로 구성된 이중 그릇을 제작하고 이중 그릇의 사이에 축열재를 주입시켜 식기 자체를 가열하여 온도를 높이고 그 식기 안에 음식물을 담아 온도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보온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에 제한이 있을 뿐 아니라 수회 반복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등록 특허 제 10-0630299호 '보온 밥상'은 식탁 내지 밥상의 상판에 하측으로 함입형성된 보온부를 설치하고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온부에 음식을 담은 식기를 넣어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다른 장치 없이 식탁에서 깔끔하게 따뜻한 음식을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식탁 전체를 이용한 보온장치이다 보니 비용이 비싸고 식탁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보다 신규하고 진보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요리 보온 장치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 및 용기 내부의 일 측에 구비된 온도측정센서와, 상기 온도 값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되 내주 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용기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용기접속부로 이루어진 용기부와, 상기 용기접속부와 나사산 결합되는 본체접속부, 상기 본체접속부의 외주면의 일 측에 구비되는 입력단자 및, 상기 본체접속부의 상면에 형성된 발열장치와 복수개의 키패드로 이루어진 조작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 상기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특정 요리/재질에 대한 적정 온도를 저장 처리한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특정 요리/재질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요리/재질 입력부, 상기 선택된 요리/재질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준온도 값을 추출하는 기준 온도 추출모듈, 상기 온도측정센서가 측정한 현재 온도 값을 수신하는 온도 파악 모듈, 상기 기준 온도 값 및 현재 온도 값을 비교하여 발열장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비교모듈, 발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발열장치구동모듈로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보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의 내부 밑면에 리세스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온도측정센서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에서 상향 돌출되어 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온도측정센서가 용기의 온도에 방해받지 않고 음식물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된 요리/재질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기준온도 값을 사용자 설정 온도로 수정 입력하는 온도 입력부, 상기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기준온도 값을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설정 온도로 갱신 저장 처리하는 사용자설정모듈을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 특성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온도측정센서의 신호 발신 주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주기입력모듈과, 상기 주기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신호 발신 주기에 따라 온도측정센서를 제어하는 온도측정센서 제어모듈로 구성된 주기설정 컨트롤러를 추가로 구비하여 요리, 재질 및 소비 전력량을 고려하여 온도측정센서의 신호 발신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는 일 측에 조명램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비교모듈의 발열장치 작동신호를 받아 상기 조명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램프구동모듈을 추가로 구비하여 미각에 의한 만족에 시각에 의한 만족을 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용기부는 액체 속에 포함된 소금의 함량을 전기적 전도율의 차이로 센싱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 내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용기 안 내용물의 염도를 측정하여 염도 값 신호를 생성하는 염도측정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특정 요리/재질에 대한 적정 염도를 저장 처리한 기준염도 데이터베이스, 상기 선택된 요리/재질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염도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준염도 값을 추출하는 기준염도 추출모듈, 상기 염도측정센서가 측정한 현재 염도 값을 수신하는 염도 파악모듈, 상기 기준염도 값 및 현재 염도 값을 비교하여 알람장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염도 비교모듈, 상기 염도비교모듈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염도 값이 기준염도 값과 같거나 더 높은 경우 알람이 울리도록 하는 알람모듈을 추가로 포함하여 음식물이 기준염도 이상 짜지면 알람이 울려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열장치 구동모듈은, 상기 염도비교모듈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발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염도기준 발열장치 구동모듈을 더 포함하여 음식물이 기준염도 이상 짜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리 보온 장치는, 용기 및 용기 내부의 일 측에 구비된 온도측정센서와, 상기 온도 값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되 내주 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용기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 용기접속부로 이루어진 용기부와, 상기 용기접속부와 나사산 결합되는 본체접속부, 상기 본체접속부의 외주면의 일 측에 구비되는 입력단자 및, 상기 본체접속부의 상면에 형성된 발열장치와 복수개의 키패드로 이루어진 조작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 상기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특정 요리/재질에 대한 적정 온도를 저장 처리한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특정 요리/재질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요리/재질 입력부, 상기 선택된 요리/재질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준온도 값을 추출하는 기준 온도 추출모듈, 상기 온도측정센서가 측정한 현재 온도 값을 수신하는 온도 파악 모듈, 상기 기준 온도 값 및 현재 온도 값을 비교하여 발열장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비교모듈, 발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발열장치구동모듈로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의 내부 밑면에 리세스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온도측정센서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에서 상향 돌출되어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된 요리/재질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기준온도 값을 사용자 설정 온도로 수정 입력하는 온도 입력부, 상기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기준온도 값을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설정 온도로 갱신 저장 처리하는 사용자설정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도측정센서의 신호 발신 주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주기입력부와, 상기 주기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신호 발신 주기에 따라 온도측정센서를 제어하는 온도측정센서 제어모듈로 구성된 주기설정 컨트롤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일 측에 조명램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비교모듈의 발열장치 작동신호를 받아 상기 조명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램프구동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부는 액체 속에 포함된 소금의 함량을 전기적 전도율의 차이로 센싱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 내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용기 안 내용물의 염도를 측정하여 염도 값 신호를 생성하는 염도측정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특정 요리/재질에 대한 적정 염도를 저장 처리한 기준염도 데이터베이스, 상기 선택된 요리/재질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염도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준염도 값을 추출하는 기준염도 추출모듈, 상기 염도측정센서가 측정한 현재 염도 값을 수신하는 염도 파악모듈, 상기 기준염도 값 및 현재 염도 값을 비교하여 알람장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염도 비교모듈, 상기 염도비교모듈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염도 값이 기준염도 값과 같거나 더 높은 경우 알람이 울리도록 하는 알람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장치 구동모듈은, 상기 염도비교모듈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발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염도기준 발열장치 구동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리 보온 장치에 의하면,
1) 식사하는 동안 음식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여 특유의 미각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2) 사용자가 용기의 재질과 요리의 종류를 선택 입력하면 그에 따른 적정 온도 값이 추출되어 각기 선택된 사항에 알맞은 온도로 유지시키며,
3)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개개인에 따른 맞춤 설정이 가능함과 동시에,
4) 재질과 요리에 따라 기 설정된 적정 온도 값을 사용자가 직접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든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온도의 음식으로 최고의 만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5) 용기에 조명이 반사되도록 하여 시각적인 아름다움으로 인한 만족감을 추가적으로 도모하고,
6) 염도를 측정하여 기준 이상으로 짜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리보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리세스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나타낸 확대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에 사용자 설정모듈을 구비한 것을 나타낸 블록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주기설정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구동모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리보온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요리 보온 장치는 크게 용기부와 본체부 및 컨트롤러(10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부는 본체부와 연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용기접속부(10)와 온도측정센서(11) 및 출력단자(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1)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식을 담는 용기(1)를 뜻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접시, 컵, 밥그릇, 우동그릇 및 냄비, 프라이팬 등이 있고,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 및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의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온도측정센서(11) 등을 가동하기 위한 전원은 후술할 입력단자(23)에서 공급받거나 또는 소형의 배터리를 내장하여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전자의 방식은 용기(1) 내부에 얇은 직경의 전선(30)을 설치해, 입력단자(23)와 출력단자(13)의 전기적 접속으로 인해 전달된 전원을 상기 전선(30)을 통해 온도측정센서(11) 등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접속부(10)는, 용기(1) 밑면의 중앙에서 내측 상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 원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것으로, 용기부와 본체부가 기계적,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온도측정센서(11)는 용기(1) 내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용기(1) 안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값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 생성된 온도 값 신호는 본체부로 전송되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적인 데이터의 역할을 한다.
출력단자(13)는 상기 용기접속부(10)의 내주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접속부(10)가 후술할 본체접속부(20)와 연결되었을 때 온도측정센서(11)에서 생성된 온도 값 신호를 후술할 입력단자(23)를 통해 본체부에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23)를 통해 용기부 내에 전원을 공급받는 매개체의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는, 기본적으로 상기 용기부를 안착시켜 용기부에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모양은 특정한 것에 국한되지 않으나 아래에서는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부는 입력단자(23)를 구비한 본체접속부(20)와 발열장치(21), 디스플레이부(24) 및 조작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접속부(20)는 상기 용기접속부(10)와 연결되는 것으로 본체의 상면(윗면)에서 용기접속부(10)와 대응되는 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용기접속부(10)와 돌려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부와 본체부를 연결하는 매개 기능을 한다.
입력단자(23)는 상기 본체접속부(20)의 외주면의 일 측, 즉 상기 출력단자(13)와 접촉될 수 있는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출력단자(13)와 접촉식으로 접속되어 온도 값 신호를 전달받음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본체부에서 용기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발열장치(21)는, 본 발명에 따른 요리 보온 장치의 기본적인 가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체부 상면의 표면에 구비되되, 본체접속부(20)의 입력단자(23)가 발열장치(21)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손상 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접속부(20)의 둘레와 맞닿지 않도록 본체접속부(20)의 둘레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링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열장치(21)는 공지된 핫플레이트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가열의 수단은 다른 여러 가지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조작부(25)는 본체의 일 측면에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on/off 및 온도 조절, 음식 선택, 용기(1) 재질 선택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자 할 때에 사용자가 조작하게 하기 위해 구비한 것으로, 복수개의 버튼, 스위치, 조그셔틀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조작과 구성의 편의성을 위해 후술할 디스플레이부(24)의 내부에 터치스크린 형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24)는 본체의 일 측면에 구비되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정보 등을 나타내 주는 기능을 하며, 그 예로써 on/off표시, 온도표시 및 가동표시 등을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4)는 LCD창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특정한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컨트롤러(100)는 기본적으로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101,102),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103)와 요리 입력부(110) 및 재질 입력부(120), 기준온도 추출모듈(130), 온도 파악모듈(140), 온도 비교모듈(150), 온도기준 발열장치구동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요리 데이터베이스(101)는 국, 찜, 탕 등의 요리 종류에 따른 분류목록을 수록한 것이며, 재질 데이터베이스(102)는 도자기, 직화 유리,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크리스탈 등으로 구성된 분류목록을 수록한 것이다.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103)는 상기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101,102)의 특정 분류에 따른 적정 온도를 데이터 저장 처리한 것으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냄비(재질)에 담긴 미역국(요리)의 적정 온도는 75도(기준온도)와 같은 방식으로 특정 요리/재질에 따른 기준 온도 값이 수록되어 있다.
요리 입력부(110) 및 재질 입력부(120)는 상기 조작부(25)를 이용하여 상기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101,102)의 분류목록에 따라 사용자가 각종 요리 및 재질의 종류에 따른 분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는 사용자가 먹는 요리의 종류 내지 용기(1) 재질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온도에서 더욱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준온도 추출모듈(130)은 사용자가 입력한 요리 및 재질을 바탕으로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103)에서 기준 온도 값을 추출하여 후술할 온도 비교모듈(150)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온도 파악모듈(140)은 상기 온도측정센서(11)가 측정한 음식물의 현재 온도 값을 용기접속부(10) 및 본체접속부(20)의 입/출력 단자(13,23)를 매개로 수신하고, 수신한 현재 온도 값을 온도 비교모듈(150)로 전송한다.
온도 비교모듈(150)은 상기 기준 온도 값 및 현재 온도 값을 수신하여 두 값을 비교하는 바, 현재 온도 값이 기준 온도 값보다 높거나 혹은 낮은지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발열장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온도기준 발열장치 구동모듈(160)은 상기 온도 비교모듈(150)에서 전송된 발열장치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열장치(21)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현재 온도 값이 기준 온도 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발열장치(21)를 구동시키고, 발열장치(21)를 일정 시간 작동시킨 결과 현재 온도 값이 기준 온도 값보다 높아진 경우에는 상기 발열장치(21)의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컨트롤러(100)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요리 보온 장치의 대략적인 작용의 흐름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음식물을 용기(1)에 담고 용기접속부(10) 및 본체접속부(20)를 이용하여 서로 돌려 끼우는 방식으로 용기부를 본체부에 결합함으로써 용기부와 본체부는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후 사용자가 조작부(25)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종류와 상기 용기(1)의 재질을 입력하면 기준온도 추출모듈(130)이 기준온도 값을 추출하고, 동시에 상기 온도측정센서(11)가 측정한 현재 온도 값은 출력단자(13)와 입력단자(23)를 매개로 온도 파악모듈(140)에 수신된다. 온도 비교모듈(150)은 상기 기준 온도 값과 현재 온도 값을 모두 수신하여 두 값을 비교해 온도기준 발열장치 구동모듈(160)에 발열장치 구동신호를 보내게 되고, 온도기준 발열장치 구동모듈(160)은 온도 비교모듈(150)에서 전송받은 발열장치 구동신호에 따라 기준 온도 값보다 현재 온도 값이 낮으면 발열장치(21)를 구동시키고, 높으면 발열장치(21)의 작동을 중단시키거나 발열장치(21)가 작동대기상태로 되도록 제어하여 음식물의 온도를 기준 온도 값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기준 온도로 보온되는 음식을 보다 맛있게 섭취하고, 식사 후에는 용기부와 본체부를 서로 분리시켜 용이하게 용기(1)를 세척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도 본 발명의 목적을 일정 부분 달성하는 데에 무리가 없다고 할 것이나 용기(1)에 부착되어 있는 온도측정센서(11)가 음식물의 온도를 측정할 때 음식물 자체 보다 용기(1) 자체의 온도에 더욱 영향을 받아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용기(1)에 리세스(2)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에 리세스(2)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아 알 수 있듯이, 상기 온도측정센서(11)는 용기(1) 내부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1)에 담긴 음식물의 온도를 용기(1) 온도에 방해받지 않고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용기(1)의 내부 밑면에 하측 방향으로 리세스(2)를 구비하고, 이 리세스(2) 내에 상기 온도측정센서(11)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리세스(2)는 용기(1)의 밑면의 두께가 다른 부위보다 내측 함입된 부위를 지칭하는 것이며, 이러한 리세스(2) 안에 온도측정센서(11)를 돌출 바 형상으로 구비하되 상기 온도측정센서(11)는 용기(1)의 내부 바닥면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온도측정센서(11)가 외부 자극을 덜 받을 수 있도록 둥지 역할을 함으로써 온도측정센서(11)의 파손위험을 줄일 뿐만 아니라 온도측정센서(11)가 용기(1)에 직접 닿지 않아 용기(1) 내 음식물 자체의 온도를 정확히 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리세스(2) 내에 구비된 온도측정센서(11)는 상술한 형상으로 일체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나, 상기 리세스(2) 내에는 음식물의 잔여물이 남을 가능성이 크므로 용이한 세척을 위해 상기 온도측정센서(11)를 탈부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탈부착 방식에 있어서는 당업자가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응용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는 발명에 따른 온도 입력부(300)와 사용자 설정모듈(310)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기 작용으로 인해 음식물을 기 설정된 기준 온도에서 먹을 수 있는데, 상기 기준 온도가 사용자에게 너무 뜨겁거나 미지근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103)를 사용자가 직접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입력부(300) 및 사용자 설정모듈(31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입력부(300)와 사용자 설정모듈(310)은 컨트롤러(100) 내에 구성되는데, 온도 입력부(300)는 기준온도 추출모듈(130)에서 추출된 기준온도 값을 사용자 설정 온도로 수정 및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설정모듈(310)은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설정온도로 갱신하여 저장 처리한다.
이러한 사용자 설정모듈(310)에 의한 수정의 바람직한 적용예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요리 입력부(110) 및 재질 입력부(120)를 통하여 요리 및 재질을 선택 입력함으로써 기준온도 추출모듈(130)에 의해 추출된 기준 온도 값을, 상기 온도 입력부(300)로 수정하여 입력하고, 상기 사용자 설정모듈(310)을 통해 갱신 저장 처리함으로써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103)를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주기설정컨트롤러(4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요리 보온 장치에는 주기입력모듈(410)과 온도측정센서 작동 제어모듈(420)로 구성된 주기설정컨트롤러(4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주기설정컨트롤러(400)는 상기 온도측정센서(11)가 발신하는 신호의 주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주기입력모듈(410)에서 그 주기를 매초에서 수분까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온도측정센서 작동 제어모듈(420)이 상기 주기입력모듈(410)에서 입력된 바에 따라 온도측정센서(11)의 신호 발신 주기를 제어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음식의 종류, 용기(1) 재질 및 소비 전력량을 고려하여 발신 주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주기설정컨트롤러(400)는 용기부 또는 본체부 내에 구성될 수 있는데, 용기부 내에 구성되는 경우에는 배터리 혹은 출력단자(13)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형성되며, 본체부 내에 구성되는 경우에는 본체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으로 작동되되 입력단자(23)와 출력단자(13) 및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온도측정센서(11)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한다.
이러한 온도측정센서(11)의 신호발신주기는 상기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내에 추가로 수치화하여 저장해 놓아 요리 및 재질 입력부(120)에서 입력된 분류 값에 따라 지정되어 적용될 수 있으나, 불필요한 전력낭비방지 및 사용자 각각의 기호에 부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주기설정컨트롤러(40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또한, 상술한 두 방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요리 보온 장치는 상기 구성들의 작용으로 미각에 의한 만족을 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더욱 만족스러운 식사시간을 위하여 추가로 시각에 의한 만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구동모듈(500)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아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각 측에 모서리 방향을 따라 조명램프(26)를 복수 개 장착하고, 상기 용기(1)는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투명 내지 반투명 재질로 구비하며, 컨트롤러(100)에는 조명구동모듈(500)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시각에 의한 만족을 추구할 수 있으며, 용기(1)에 비춰질 빛의 색깔이나 형상은 여러 가지로 디자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작용예를 설명하면, 상기 기준온도 추출모듈(130) 및 온도 파악모듈(140) 등의 작용에 의해 상기 온도 비교모듈(150)이 발열장치(21)를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면, 그 신호를 조명구동모듈(500)이 감지하여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복수개의 조명램프(26)를 작동시키면 상기 조명램프(26)는 스스로 은은히 빛을 내거나 또는 용기(1)를 비춰 용기(1)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즐기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요리의 온도 유지로 인한 특유의 미각을 즐김과 동시에 조명램프(26)가 스스로 발하는 빛 내지 용기(1)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한 시각적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어 더욱 만족스러운 식사시간을 갖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염도제어모듈은 음식물이 기준온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수분이 증발되어 기준 이상으로 짜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염도측정센서(12), 기준염도 데이터베이스(203), 기준염도 추출모듈(230), 염도 파악모듈(240), 염도 비교모듈(250), 염도기준 발열장치 구동모듈(260) 및 알람모듈(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염도측정센서(12)는 액체 속에 포함된 소금의 함량을 전기적 전도율의 차이로 센싱하는 것으로, 용기(1) 내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용기(1) 안 내용물의 염도를 측정하여 염도 값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기준염도 데이터베이스(203)는 상기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101,102)의 특정 분류에 따른 적정 염도를 데이터 저장 처리한 것으로 상기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103)와 유사하다.
기준염도 추출모듈(230)은 사용자가 입력한 요리 및 재질을 바탕으로 기준염도 데이터베이스(203)에서 기준 염도 값을 추출하여 염도 비교모듈(250)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염도 파악모듈(240)은 상기 염도측정센서(12)가 측정한 음식물의 현재 염도 값을 용기접속부(10) 및 본체접속부(20)의 입,출력단자(23,13)를 매개로 수신하고, 수신한 현재 염도 값을 염도 비교모듈(250)로 전송한다.
염도 비교모듈(250)은 상기 기준 염도 값 및 현재 염도 값을 수신하여 두 값을 비교하는 바, 현재 염도 값이 기준 염도 값보다 높거나 혹은 낮은 지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일정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염도기준 발열장치 구동모듈(260)은 상기 염도 비교모듈(250)에서 전송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열장치(21)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현재 염도 값이 기준 염도 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발열장치(21)를 구동시키고, 발열장치(21)를 일정 시간 작동시킨 결과 현재 염도 값이 기준 염도 값보다 높아진 경우에는 상기 발열장치(21)의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알람모듈(270)은 상기 염도 비교모듈(250)에서 전송된 신호를 전달받아 현재 염도 값이 기준 염도 값과 같거나 더 높은 경우 알람이 울리도록 하는 것으로, 알람은 본체 일 측에 스피커를 장착하여 이를 통해 방송된다.
이러한 염도제어모듈은 음식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발열장치(21)를 가동함에 따라 음식물이 짜지는 것을 방지하고 알람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하게 함으로써 육수를 추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염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맛 내지 사용자의 건강 또한 지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염도제어모듈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컨트롤러(100)의 온도 유지 기능과 충돌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기준 온도 이하로 현재 온도가 내려감과 동시에 현재 염도도 기준 염도보다 높아진 상황이 되었을 때 상기 온도기준 발열장치 구동모듈(160) 및 염도기준 발열장치 구동모듈(260)은 기능 상 충돌하게 된다. 이런 상황을 대비하여 사용자는 미리 온도와 염도 중 자신이 우선시할 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충돌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요리 보온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용기 2: 리세스
10: 용기접속부 11: 온도측정센서
12: 염도측정센서 13: 출력단자
20: 본체접속부 21: 발열장치
23: 입력단자 24: 디스플레이부
25: 조작부 26: 조명램프
30: 전선 100: 컨트롤러
101: 요리 데이터베이스 102: 재질 데이터베이스
103: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 110: 요리 입력부
120: 재질 입력부 130: 기준온도 추출모듈
140: 온도 파악모듈 150: 온도 비교모듈
160: 온도기준 발열장치 구동모듈 203: 기준염도 데이터베이스
230: 기준염도 추출모듈 240: 염도 파악모듈
250: 염도 비교모듈 260: 염도기준 발열장치 구동모듈
270: 알람모듈 300: 온도 입력부
310: 사용자 설정모듈 400: 주기설정컨트롤러
410: 주기입력모듈 420: 온도측정센서 작동 제어모듈
500: 조명구동모듈

Claims (7)

  1. 용기 및 용기 내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용기 내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값 신호를 생성하는 온도측정센서와, 용기 밑면 일 측에서 일정 길이 함입 형성되되 내주 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용기접속부 및, 상기 용기접속부의 내주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온도 값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로 이루어진 용기부;

    상면의 일부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용기접속부와 나사산 결합되는 본체접속부, 상기 본체접속부의 외주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출력단자에서 전달되는 온도 값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자 및, 상기 본체접속부의 상면에서 상기 용기의 밑면과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장치와 복수개의 키패드로 이루어진 조작부 및 컨트롤러와, 일 측면에 구비되어 작동정보 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컨트롤러는,
    요리 및 재질의 종류에 따른 분류 목록을 각각 수록한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 상기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특정 요리/재질에 대한 적정 온도를 저장 처리한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 상기 조작부를 통하여 상기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요리/재질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요리/재질 입력부, 상기 선택된 요리/재질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준온도 값을 추출하는 기준 온도 값 추출모듈, 상기 온도측정센서가 측정한 현재 온도 값을 수신하는 온도 파악 모듈, 상기 기준 온도 값 및 현재 온도 값을 비교하여 발열장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온도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서 발열장치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발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도기준 발열장치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보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의 내부 밑면에 리세스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온도측정센서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에서 상향 돌출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보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된 요리/재질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기준온도 값을 사용자 설정 온도로 수정 입력하는 온도 입력부;
    상기 기준온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기준온도 값을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설정 온도로 갱신 저장 처리하는 사용자설정모듈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보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온도측정센서의 신호 발신 주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주기입력모듈과, 상기 주기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신호 발신 주기에 따라 온도측정센서를 제어하는 온도측정센서 제어모듈로 구성된 주기설정 컨트롤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보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일 측에 조명램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비교모듈의 발열장치 작동신호를 받아 상기 조명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램프구동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보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액체 속에 포함된 소금의 함량을 전기적 전도율의 차이로 센싱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 내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용기 안 내용물의 염도를 측정하여 염도 값 신호를 생성하는 염도측정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요리/재질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특정 요리/재질에 대한 적정 염도를 저장 처리한 기준염도 데이터베이스, 상기 선택된 요리/재질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염도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준염도 값을 추출하는 기준염도 추출모듈, 상기 염도측정센서가 측정한 현재 염도 값을 수신하는 염도 파악모듈, 상기 기준염도 값 및 현재 염도 값을 비교하여 알람장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염도 비교모듈, 상기 염도비교모듈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염도 값이 기준염도 값과 같거나 더 높은 경우 알람이 울리도록 하는 알람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보온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장치 구동모듈은, 상기 염도비교모듈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발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염도기준 발열장치 구동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보온 장치.
KR1020100052881A 2010-06-04 2010-06-04 요리 보온 장치 KR101197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881A KR101197230B1 (ko) 2010-06-04 2010-06-04 요리 보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881A KR101197230B1 (ko) 2010-06-04 2010-06-04 요리 보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253A KR20110133253A (ko) 2011-12-12
KR101197230B1 true KR101197230B1 (ko) 2012-11-02

Family

ID=4550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881A KR101197230B1 (ko) 2010-06-04 2010-06-04 요리 보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7716A (en) * 2012-09-05 2014-05-14 Grant Instr Cambridge Ltd A modular temperature control system
FR3033995B1 (fr) * 2015-03-27 2017-03-10 Seb Sa Dispositif de gestion de la cuisson muni d'un systeme de reconnaissance d'un recipient de cuiss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253A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20002B2 (en) Wirelessly controlled cooking system
AU2017220032B2 (en) User interface for a cooking system
CN105933451B (zh) 一种智能烹饪方法及其系统
US10094812B2 (en) Cooking control device, cooking control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6618149A (zh) 多功能烹调器
TWI226231B (en) Electric cooking apparatus
KR20150006489A (ko) 조리 기구, 조리용기 및 조리 방법
CN102697391B (zh) 便携式电饭煲
KR101197230B1 (ko) 요리 보온 장치
CN109798542A (zh) 灶具火力控制装置、方法及灶具
KR102123679B1 (ko) 전기밥솥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32067B1 (ko) 음식 보온 장치 및 이와 연결되는 단말기
JP2008293890A (ja) 加熱調理器
KR101425615B1 (ko) 육수 가열장치
ES2924035T3 (es) Aparato y método de cocción
CN208058956U (zh) 一种智能灶具
CN203633967U (zh) 电饭煲
CN208784372U (zh) 一种可自动排气泄压的陶瓷锅
CN202665245U (zh) 便携式电饭煲
CN208784499U (zh) 一种新型互联网中式智能炒锅
CN201767737U (zh) 鼓形多功能电饭锅
CN202287740U (zh) 控温准确的电热烹饪器具
KR101921003B1 (ko) 음식 보온 장치
CN203953374U (zh) 一种炕饼灶
KR101922345B1 (ko) 음식 보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