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710B1 -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 - Google Patents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710B1
KR101196710B1 KR1020120009302A KR20120009302A KR101196710B1 KR 101196710 B1 KR101196710 B1 KR 101196710B1 KR 1020120009302 A KR1020120009302 A KR 1020120009302A KR 20120009302 A KR20120009302 A KR 20120009302A KR 101196710 B1 KR101196710 B1 KR 101196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filter glass
support
glass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에스이
Priority to KR1020120009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0Glass recyc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량처리되는 컬러필터글라스를 컬러필터처리 하기 전 최초의 투명글라스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재생공정에서 상기 컬러필터글라스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수평으로 눕혀 세척컨베어로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함과, 별도의 세척거치대가 필요 없게 한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는,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구간의 세척컨베어 일측에 연결설치되며, 사각형태의 장착판(10) 상에 컬러필터글라스의 후면을 받침과 동시에 이송가능하도록 일정간격 배열구성된 다수의 전동롤러(20)와, 상기 전동롤러(20)의 일측에 컬러필터글라스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밑면을 받칠 수 있도록 일정간격 배열구성된 다수의 받침롤러(30)와, 상기 장착판(10)의 후측면에 회동축(40)과, 작동축(50)을 가지도록 부착구성한 지지프레임(60)과, 상기 회동축(40)을 지지하는 양측 지지유닛(70)와, 상기 지지프레임(60)의 후측에 실린더(CL)의 몸체를 회동가능케 설치한 고정유닛(80)와,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작동축(50)에 힌지결합한 실린더(CL)의 작동봉(CS)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Loader For Color Filter Glass Recycling Process}
본 발명은 불량처리되는 컬러필터글라스를 컬러필터처리 하기 전 최초의 투명글라스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재생공정에서 상기 컬러필터글라스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수평으로 눕혀 세척컨베어로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함과, 별도의 세척거치대가 필요 없게 한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에 관한 것이다.
컬러필터글라스라 함은 각종 TV, 모니터, 노트북, 휴대용단말기, 각종 전자기기의 액정표시장치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LCD컬러필터기판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컬러필터글라스의 제조순서를 살펴보면 도1과 같이, ①먼저 투명글라스(GL)가 제공되고, ②상기 투명글라스 상에 블랙매트릭스(B/M; black matrix) 셀(call)을 형성한 다음, ③각 셀 안에 염료나 안료를 사용하여 적(R; red), 녹(G; green), 청(B; blue)의 반복되는 패턴으로 컬러필터(C/F; collar filter)를 형성한 후, ④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을 덮도록 유기 오버코팅층(O/C; over coating layer)이 형성한 다음, ⑤그 위에 중금속 도전층으로 되는 공통전극막(ITO; Indium Tin Oxide)을 형성한 후, ⑥그 위에 다시 LCD컬러필터글라스와 TFT글라스 사이의 셀갭(Call gap)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기 위한 플라스틱제 컬럼스페이서(C/S; column spacer)를 형성하여서 컬러필터글라스를 완성한다.
이렇게, 완성되는 컬러필터글라스는 최종적으로 검사를 하여 양산하고 있는데, 상기 검사과정에서 점막, 오염물질, 등으로 불량판정되는 컬러필터글라스는 원래의 투명글라스의 상태로 되돌리는 재생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재생공정은 제조순서와 역순으로 각 층을 순차적으로 약품 처리하면서 제거해 나가면 되는데, 이러한 컬러필터글라스의 재생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염산혼합물로 중금속 도전층으로 되는 공통전극막을 제거한다. 이때, 플라스틱제 컬럼스페이서는 공통전극막이 제거되면서 같이 제거된다. ⓑ그런 다음, 알카리혼합물로 염료 또는 안료로 필터링된 컬러필터와 블랙매트릭스를 제거한다. ⓒ그 후, 유리세정혼합물로 유리표면에 남은 유기막을 제거한다. ⓓ그 다음, 세척, 건조, 검사 등의 과정을 거쳐 포장하여서 컬러필터 제조업체로 다시 납품하게 된다.
종래에 실시하고 있었던 컬러필터글라스의 재생방식을 살펴보면, 도2와 같이 먼저 상기의 ⓐⓑⓒ공정에 필요한 각자의 침전조와, 각자의 침전조 일측에 침전 전후에 글라스를 간이세척하기 위한 거치대와, 각 구간의 거치대와 거치대 사이에 컬러필터글라스를 정밀세척 이송전달할 수 있는 세척컨베어와, 마지막 구간의 세척컨베어에는 건조컨베어를 연결설치한다.
이에 각 구간에서 컬러필터글라스를 침강, 간이세척, 한 후, 세척컨베어로 투입하고, 다음 구간에서는 세척컨베어에서 컬러필터글라스를 전달받아 다시 상기 공정을 반복하는 형태로 재생공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여기에서, 컬러필터글라스의 침강, 간이세척, 이동을 종래에는 모두 인력에 의존한 수작업으로 행하고 있었다.
특히, 컬러필터글라스를 침강 전후 간이세척을 할 때 작업이 용이하도록 컬러필터글라스 수직으로 세워서 행하고 있고, 세척컨베어는 고압세척 및 이송전달이 용이하도록 수평으로 눕힌 채 이송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간이세척된 컬러필터글라스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수평으로 눕혀 세척컨베어로 투입해야 하는데, 이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컬러필터글라스에 사용되는 투명글라스는 특성상 자체가 매우 얇고, 면적이 넓으며, 고정밀의 평판도를 갖는 유리임으로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취급에 상당히 유의하여야 함은 물론, 쉽게 파손될 수 있어 파손시 발생시 안전상의 문제와, 흠집의 발생시 재사용이 불가능해지고, 불량률이 현저히 높은 문제점이 대두 되고 있었다.
더욱이, 지속적인 글라스의 개발이 점차 세대를 뛰어넘으면서, 더 얇고 더 넓은 면적의 차세대 글라스가 양산되고 있는데, 종래에 시행해오던 방식은 1100mm×1300mm의 6세대 글라스, 1950mm×2250mm의 7세대 글라스까지는 인력에 의한 취급이 가능하였지만, 2200mm×2500mm의 8세대 글라스가 공급되면서 두께는 0.5~0.7mm, 무게는 20kg에 육박하게 되어 더 이상 인력에 의한 취급이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현재까지 인력에 의존해 오던 회동작업과 전달작업을 기계적 방식으로 자동화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로써, 종래에 수작업으로 불가능하던 8세대 이상의 글라스에 대한 취급과, 컬러필터용으로 사용되는 글라스의 특성상 유발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 그리고 불량문제와, 등을 한꺼번에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는,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구간의 세척컨베어 일측에 연결설치되며, 사각형태의 장착판 상에 컬러필터글라스의 후면을 받침과 동시에 이송가능하도록 일정간격 배열구성된 다수의 전동롤러와, 상기 전동롤러의 일측에 컬러필터글라스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밑면을 받칠 수 있도록 일정간격 배열구성된 다수의 받침롤러와, 상기 장착판의 후측면에 회동축과, 작동축을 가지도록 부착구성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회동축을 지지하는 양측 지지유닛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측에 실린더의 몸체를 회동가능케 설치한 고정유닛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작동축에 힌지결합한 실린더의 작동봉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컬러필터글라스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수평으로 눕힐 수 있는 회동작업과, 눕힌 상태에서 수평이송시킬 수 있는 전달작업이 자동화됨으로써, 세대를 뛰어 넘는 어떠한 글라스 크기에 대해서도 취급이 가능해 짐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불량률을 대폭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세척거치대가 불필요해짐은 물론, 이에 따른 공간확보에 유리한 등의 또 다른 이점이 있다.
도 1은 컬러필터글라스의 단면 예시도
도 2는 종래 재생공정의 간략도
도 3은 본 발명을 평면에서 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측면에서 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정면에서 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수압분출구를 부가한 예시도
도 7은 도 6을 측면에서 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전동스토퍼를 부가한 예시도
도 9은 도 8을 정면에서 본 예시도
도 10은 도 8의 실시 예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통상의 기술에 대한 구조, 작용,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작동을 달성하기 위한 기계적 수단들 역시 바람직한 예로써 도면상의 도시 또는 간단한 부호설명만으로 이를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는, 장착판(10), 전동롤러(20), 받침롤러(30), 회동축(40), 작동축(50), 지지프레임(60), 지지유닛(70), 고정유닛(80), 실린더(CL), 작동봉(CS)의 유기적 결합으로 이송수단과, 회동수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이송수단은, 도3과 같이 장착판(10) 상에 컬러필터글라스의 후면을 받침과 동시에 이송가능하도록 일정간격 배열구성된 다수의 전동롤러(20)와, 상기 전동롤러(20)의 일측에 컬러필터글라스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밑면을 받칠 수 있도록 일정간격 배열구성된 다수의 받침롤러(30)로 구성된다.
상기의 회동수단은, 도4,도5와 같이 장착판(10)의 후측면에 회동축(40)과, 작동축(50)을 가지도록 부착구성한 지지프레임(60)과, 상기 회동축(40)을 지지하는 양측 지지유닛(70)와, 상기 지지프레임(60)의 후측에 실린더(CL)의 몸체를 회동가능케 설치한 고정유닛(80)와,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작동축(50)에 힌지결합한 실린더(CL)의 작동봉(CS)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컬러필터글라스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수평으로 눕힐 수 있고, 눕힌 상태에서 수평이송시킬 수 있는 전달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즉, 작동순서를 간단히 설명하면, 도4와 같이 최초 장착판(10)를 수직에서 약간 경사진 상태로 놓이게 한 후, 침강조에 꺼낸 컬러필터글라스(A)를 거치한 다음, 수작업에 의한 간이세척을 하고, 간이세척이 끝나면 회동수단에 의해 컬러필터글라스를 세운 상태에서 수평으로 눕히고, 눕혀진 상태에서 이송수단으로 컬러필터글라스를 세척컨베어로 전달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의 간이세척시 사용되던 거치대가 불필요해짐은 물론, 이에 따른 공간확보에 유리한 이점이 있고, 자동화에 의해 작업자의 사고율과 불량률을 대폭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세대를 뛰어 넘는 어떠한 글라스 크기에 대해서도 취급이 가능해 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6 내지 도10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도7과 같이, 장착판(10) 상에 설치하며, 상기 전동롤러(20) 및 받침롤러(30)에 의해 받쳐진 컬러필터글라스의 후면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배열구성된 다수의 수압분출구(90)를 부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간이세척시 컬러필터글라스 후면에 대한 세척은 불필요해지는 이점이 생긴다.
즉, 간이세척할 때 후면세척을 위해서는 컬러필터글라스를 상단을 전방으로 회동시킨 채 후면에 물을 분사해야함으로 이 과정에서 위험의 초례가 높은데, 이 작업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간이세척에 대한 편의성과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8,도9와 같이, 장착판(10) 상에 설치하며, 상기 전동롤러(20) 및 받침롤러(30)에 의해 받쳐진 컬러필터글라스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양측면을 결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의 전동스토퍼(100)를 부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장착판로(41)부터 컬러필터글라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도 후면의 간이세척이 가능해 진다.
그리고, 도10과 같이 전방에 컬러필터글라스를 파지이송할 수 있는 리프트를 구비한다면, 컬러필터글라스의 이송을 자동으로 인수인계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를 활용하여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 전체의 완전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종래처럼 수작업에 의존하는 것에 비해 재생공정의 신속성, 정확성, 정밀성, 생산성, 안전성, 경제성, 등이 월등히 향상되는 또 다른 효과를 낳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예 및 실시 예를 서술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제시한 도면은 예시도로 써, 특징을 부각시키고자 도법에는 맞지 않을 수 있고 요지를 흐릴 수 있는 부분은 편의상 일부 삭제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도면만으로도 충분히 실현 가능할 것으로 보이고,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용이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A: 컬러필터글라스 10: 장착판
20: 전동롤러 30: 받침롤러
40: 회동축 50: 작동축
60: 지지프레임 70: 지지유닛
80: 고정유닛 90: 수압분출구
100: 전동스토퍼 101: 고정편
M: 서브모터 G1: 구동기어
G2: 피동기어 GS: 가이드축
GB: 가이드브라켓 CL: 실린더
CB: 실린더봉

Claims (3)

  1. 삭제
  2.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구간의 세척컨베어 일측에 연결설치되며, 사각형태의 장착판(10) 상에 컬러필터글라스의 후면을 받침과 동시에 이송가능하도록 일정간격 배열구성된 다수의 전동롤러(20)와, 상기 전동롤러(20)의 일측에 컬러필터글라스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밑면을 받칠 수 있도록 일정간격 배열구성된 다수의 받침롤러(30)와, 상기 장착판(10) 상에 설치하며, 상기 전동롤러(20) 및 받침롤러(30)에 의해 받쳐진 컬러필터글라스의 후면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배열구성된 다수의 수압분출구(90)와, 상기 장착판(10)의 후측면에 회동축(40)과, 작동축(50)을 가지도록 부착구성한 지지프레임(60)과, 상기 회동축(40)을 지지하는 양측 지지유닛(70)와, 상기 지지프레임(60)의 후측에 실린더(CL)의 몸체를 회동가능케 설치한 고정유닛(80)와,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작동축(50)에 힌지결합한 실린더(CL)의 작동봉(CS)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10) 상에 설치하며, 상기 전동롤러(20) 및 받침롤러(30)에 의해 받쳐진 컬러필터글라스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양측면을 결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의 전동스토퍼(100);가 부가됨을 포함하는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
KR1020120009302A 2012-01-31 2012-01-31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 KR101196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302A KR101196710B1 (ko) 2012-01-31 2012-01-31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302A KR101196710B1 (ko) 2012-01-31 2012-01-31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710B1 true KR101196710B1 (ko) 2012-11-07

Family

ID=4756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302A KR101196710B1 (ko) 2012-01-31 2012-01-31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7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883Y1 (ko) * 2003-01-15 2003-04-21 주식회사 이강테크 복층유리제조용 유리판의 피막층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883Y1 (ko) * 2003-01-15 2003-04-21 주식회사 이강테크 복층유리제조용 유리판의 피막층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330B1 (ko)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검사장치
CN105607414B (zh) 掩膜板清洗装置及清洗方法
CN203955670U (zh) 一种玻璃自动清洗设备
US7547245B2 (en) Substrate production apparatus for producing a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CN104691075A (zh) 一种全自动贴合机
KR20100006418A (ko)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및 그 방법
TWI380856B (zh) Glass substrat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CN203599147U (zh) 光学镜头清洁装置
US962576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 filter substrate, color filte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N202124565U (zh) 一种apr板的异物清除装置和涂布设备
KR101196710B1 (ko)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로더
CN202828949U (zh) 一种传送组件、传送装置及应用此传送装置的设备
CN109669288A (zh) 基板破片检测系统及基板破片检测方法
KR101025907B1 (ko) 보호필름 자동 부착장치 및 방법
CN101963720A (zh) 一种液晶面板的彩色滤光片结构
CN202196244U (zh) 聚酰亚胺膜涂布设备
CN204777651U (zh) 玻璃片自动转架装置
KR101132254B1 (ko) 컬러필터글라스의 자동재생장치
KR101132248B1 (ko)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리프트
CN215494465U (zh) 一种lcd封口装置
US8717522B2 (en) Method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CN203143367U (zh) 玻璃运输架
CN106186717A (zh) 玻璃基板涂布装置
CN209906641U (zh) 一种喷淋式玻璃基板减薄线
KR102009883B1 (ko) 표시모듈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