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503B1 - 제조 설비 - Google Patents

제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503B1
KR101196503B1 KR1020107016608A KR20107016608A KR101196503B1 KR 101196503 B1 KR101196503 B1 KR 101196503B1 KR 1020107016608 A KR1020107016608 A KR 1020107016608A KR 20107016608 A KR20107016608 A KR 20107016608A KR 101196503 B1 KR101196503 B1 KR 101196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tool
workpiece
processing
machine
mach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184A (ko
Inventor
게이지 미즈타
나오유키 후지와라
마나부 가사노
하루히코 니이타니
츠구마루 야마시타
노리타카 후지무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2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41/00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according to classes B21, B23, or B24
    • B23Q41/02Features relating to transfer of work between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41/00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according to classes B21, B23, or B24
    • B23Q41/06Features relating to organisation of working of machi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379Master monitors controllers, updates production progress, allocates resour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259Flexibility, polyvalent machine, large buffers, permutation operations, alternativ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265Waiting, queue time, buf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96Multiple station with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설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제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는 제조 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 때문에, 공작물(11)을 가공하는 복수의 공작 기계(31, 32, 33, 34)와, 공작물(11)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16)와, 공작 기계(31, 32, 33, 34) 및 반송 장치(16)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41)를 구비하며, 공작 기계(31, 32, 33, 34)가, 자체 공정의 가공과 이전 공정의 가공 및 후속 공정의 가공을 공작물에 대해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제어 장치(41)가 복수의 공작 기계(31, 32, 33, 34)에 의한 공작물(11)의 가공 상황에 따라 공작물(11)에 대해 연속적으로 각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공작 기계(31, 32, 33, 34) 및 반송 장치(16)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제조 설비{PRODUCTION FACILITY}
본 발명은 공작물을 공작 기계로 가공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공작물을 공작 기계로 가공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 설비로서, 예컨대 공작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의 반송 경로와 평행으로 복수 대의 공작 기계가 인접하여 배치되는 설비가 있었다. 이 제조 설비에서는, 하나의 공작 기계가 하나의 공정의 가공을 담당하고 있으며, 각 공작 기계에서 가공이 종료된 공작물은 하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공작 기계로 순차적으로 보내지고 있었다.
또한, 하나의 공정의 가공마다 복수 대의 공작 기계로 이루어진 유닛을 구비하는 설비가 있었다. 이 제조 설비에서는, 하나의 유닛에서 가공이 종료된 공작물은 해당 유닛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유닛으로 순차적으로 보내지고 있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복수의 공작 기계에 의해 공정을 분할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트랜스퍼 머신(transfer machine)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트랜스퍼 머신은 서로 인접한 이전 공정(preceding process)의 공작 기계와 다음 공정(succeeding process)의 공작 기계 사이에 독립하여 마련된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반송 장치는 이전 공정의 공작 기계로부터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로 공작물을 직접 반송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 3111843 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 3173309 호 명세서
그런데, 상술한 하나의 공작물의 반송 경로를 따라 복수 대의 공작 기계가 배치된 제조 설비에 있어서는, 복수 대의 공작 기계 중 1대가 고장 등에 의해 정지하면, 정지한 공작 기계가 담당하는 공정의 가공을 공작물에 대해 실행할 수 없었다. 그 결과, 제품의 생산율의 저하를 야기하고 있었다. 또한, 제조 설비의 제품의 생산 능력에 대해서 제품의 수요가 변화하면, 제품의 생산 비용이 증가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하나의 공정의 가공마다 복수 대의 공작 기계로 이루어진 유닛을 구비하는 제조 설비에서는, 하나의 공작 기계의 정지에 의한 제품의 생산율의 저하의 억제나, 유닛 내의 공작 기계의 수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제품의 수요에 따라 그 생산량의 조정을 실행할 수 있지만, 유닛마다 복수의 공작 기계를 설치하므로 제조 설비 자체가 커져 버린다. 그 결과, 설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없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트랜스퍼 머신에서는, 반송 장치가 독립하여 마련되어 있으므로 부설 면적을 최소로 할 수 있지만, 복수 대의 공작 기계 중 1대가 고장 등에 의해 정지하면, 정지한 공작 기계가 담당하는 공정의 가공을 공작물에 대해서 실행할 수 없었다. 그 결과, 제품의 생산율의 저하를 야기하고 있었다. 또한, 하나의 공정을 복수 대의 공작 기계에서 담당했을 경우에는, 복수의 공작 기계를 부설하므로 부설 면적이 커져, 설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설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제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는 제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1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는, 공작물을 가공하는 복수의 공작 기계와, 상기 공작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공작 기계 및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공작 기계가 자체 공정(own process)의 가공과 이전 공정의 가공 및 후속 공정의 가공을 상기 공작물에 대해서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에 의한 공작물의 가공 상황에 따라 상기 공작물에 대해 연속적으로 각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상기 공작 기계 및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2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는, 제 1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로서, 상기 공작 기계마다 상기 공작물을 대기시키는 대기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공작 기계에서 상기 공작물에 대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되는 한편 해당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에 공작물이 없는 경우, 해당 공작 기계에 의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된 공작물에 대해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상기 공작 기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3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는, 제 2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로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공작 기계에서 상기 공작물에 대한 다음 공정의 가공 중에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에서 상기 공작물과 상이한 다른 공작물에 대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되는 한편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에 공작물이 없는 경우, 상기 공작물에 대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중단하도록 상기 공작 기계를 제어하며, 다음 공정의 가공을 중단한 공작물을 상기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로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4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는, 제 3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로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의 공정 진척도를 감시하고, 각 시점으로부터 각 공작 기계가 그 가공 공정을 진행시킨 상태를 예측하며, 상기 공작물에 대한 가공 범위를 지시하여 그 공정 종료 시점에서 해당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에 공작물이 있도록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 및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5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는, 제 1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제조 설비로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공작 기계가 고장났을 경우, 고장난 공작 기계를 통과하여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로 공작물을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6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는, 제 1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제조 설비로서,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가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7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는, 제 6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로서,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가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정의 순서대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8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는, 제 1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제조 설비로서,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가 상기 반송 장치의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제 9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는, 제 1 내지 제 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제조 설비로서,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가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여 제품이 될 때까지의 공정으로 하나의 셀(cell)을 이루며, 상기 셀을 복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에 의하면, 공작물을 가공하는 복수의 공작 기계와, 상기 공작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공작 기계 및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공작 기계가 자체 공정의 가공과 이전 공정의 가공 및 후속 공정의 가공을 상기 공작물에 대해서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에 의한 공작물의 가공 상황에 따라 상기 공작물에 대해 연속적으로 각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상기 공작 기계 및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에 의한 공작물의 가공 및 공작물의 반송처를 선택하여,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의 가동률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공작 기계는, 해당 공작 기계에 의한 자체 공정의 가공과, 이전 공정의 가공 및 후속 공정의 가공을 공작물에 대해서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공작 기계의 부설 면적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제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에 의하면, 상기 공작 기계마다 상기 공작물을 대기시키는 대기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공작 기계에서 상기 공작물에 대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되는 한편 해당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에 공작물이 없는 경우, 해당 공작 기계에 의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된 공작물에 대해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상기 공작 기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 외에, 자체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는 공작물이 없는 것에 의한 공작 기계의 가동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에 의하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공작 기계에서 상기 공작물에 대한 다음 공정의 가공 중에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에서 상기 공작물과 상이한 다른 공작물에 대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되는 한편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에 공작물이 없는 경우, 상기 공작물에 대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중단하도록 상기 공작 기계를 제어하고, 다음 공정의 가공을 중단한 공작물을 상기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로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2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 외에, 상기 공작 기계에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는 것에 따라, 자체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는 공작물이 없는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한 공작 기계의 가동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에 의하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의 공정 진척도를 감시하고, 각 시점으로부터 각 공작 기계가 그 가공 공정을 진행시킨 상태를 예측하며, 상기 공작물에 대한 가공 범위를 지시하여 그 공정 종료 시점에서 해당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에 공작물이 있도록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 및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3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와 같이, 상기 공작 기계에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는 것에 따라, 자체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는 공작물이 없는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한 공작 기계의 가동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생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에 의하면,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공작 기계가 고장났을 경우, 고장난 공작 기계를 통과하여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로 공작물을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 외에, 고장난 공작 기계의 자체 공정의 가공을 다른 공작 기계에서 담당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가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에 의해, 제 1 내지 제 5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 외에,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한 상기 공작물의 반송이 용이해져서, 상기 공작물의 반송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제품의 생산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가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정의 순서대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에 의해, 제 6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와 같이,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한 상기 공작물의 반송이 용이해져서, 상기 공작물의 반송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제품의 생산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8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가 상기 반송 장치의 주위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제 1 내지 제 5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 외에, 설비의 추가적인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9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가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여 제품이 될 때까지의 공정으로 하나의 셀을 이루며, 상기 셀을 복수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제 1 내지 제 8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 외에, 제품의 수요에 따라 셀마다 그 설치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제품의 생산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의 제 1 실시형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의 제 2 실시형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의 제 3 실시형태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의 제 4 실시형태의 개략 구성도.
본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의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를 4 공정의 가공에 의해 제품을 제조하는 설비에 적용했을 경우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조 설비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50)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작물[워크(work)](11)이 반입되어 반송 장치(16)에 보내진다. 이 반송 장치(16)는 공작물(11)을 파지하는 로봇 아암(12)을 구비한다. 로봇 아암(12)은 지지대(13)에 마련된다. 지지대(13)는 반송대(14)에 고정되어 있다. 이 반송대(14)는 레일(15) 상에 배치되어 있어 해당 레일(15) 위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로봇 아암(12)의 신장 범위에는 공작물(11)을 가공하여 제품(19)을 제조하는 하나의 셀(30)이 배치된다. 이 셀(30)에는, 공작물(11)을 가공하는 복수 대(도시예에서는 4대)의 공작 기계(31, 32, 33, 34)가 직선 형상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공작 기계(31, 32, 33, 34)로서는, 예컨대 서로 방향이 다른 2축 이상 6축 이내의 회전 공구 주축을 가지며 각 축이 동시에 가공할 수 있는 금속 부품의 절삭 가공 기계를 들 수 있다.
공작 기계(31)의 한 쪽의 측부 측에, 셀(30) 내에 반입되는 공작물(11)을 대기시키는 대기대(21)가 설치된다. 공작 기계(31)와 공작 기계(32) 사이, 공작 기계(32)와 공작 기계(33) 사이, 공작 기계(33)와 공작 기계(34) 사이에는, 공작 기계(31, 32, 33)에 의한 가공이 실행된 공작물(11)을 대기시키는 대기대(22, 23, 24)가 각각 설치된다. 공작 기계(34)의 한 쪽의 측부 측에는 제품(19)을 대기시키는 대기대(25)가 설치된다. 이들 대기대(21, 22, 23, 24, 25)로서는, 적어도 2개의 공작물(11) 또는 제품(19)을 대기시킬 수 있는 대를 들 수 있다.
상술한 반송 장치(16) 및 공작 기계(31, 32, 33, 34)는 신호선(42a, 42b, 42c, 42d, 42e)을 거쳐 제어 장치(41)와 접속된다. 이들 신호선(42a, 42b, 42c, 42d, 42e)은 신호를 쌍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장치(16) 및 공작 기계(31, 32, 33, 34)와 제어 장치(41)는 쌍방향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공작 기계(31, 32, 33, 34)는 해당 공작 기계(31, 32, 33, 34) 자신이 실행하는 자체 공정의 가공, 및 해당 공작 기계(31, 32, 33, 34)의 자체 공정의 가공 전에 실행하는 이전 공정의 가공, 및 해당 공작 기계(31, 32, 33, 34)의 자체 공정의 가공 후에 실행하는 후속 공정의 가공이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 1 공작 기계(31)는 해당 제 1 공작 기계(31)가 실행하는 제 1 공정의 가공, 및 인접하는 제 2 공작 기계(32)가 실행하는 제 2 공정의 가공을 실시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공작 기계(32)는, 해당 제 2 공작 기계(32)가 실행하는 제 2 공정의 가공, 인접하는 제 1 공작 기계(31)가 실행하는 제 1 공정의 가공, 및 인접하는 제 3 공작 기계(33)가 실행하는 제 3 공정의 가공을 실시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제 3 공작 기계(33)는 해당 제 3 공작 기계(33)가 실행하는 제 3 공정의 가공, 인접하는 제 2 공작 기계(32)가 실행하는 제 2 공정의 가공, 및 인접하는 제 4 공작 기계(34)가 실행하는 제 4 공정의 가공을 실시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제 4 공작 기계(34)는 해당 제 4 공작 기계(34)가 실행하는 제 4 공정의 가공, 및 인접하는 제 3 공작 기계(33)가 실행하는 제 3 공정의 가공을 실시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제어 장치(41)는 반송 장치(16) 및 공작 기계(31, 32, 33, 34)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어 장치(41)는, 공작 기계(31, 32, 33, 34)에 의한 공작물(11)의 가공 상황에 따라 공작물(11)에 대해 연속적으로 각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공작 기계(31, 32, 33, 34) 및 반송 장치(16)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41)는 이하의(Ⅰ)~(Ⅳ)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Ⅰ)의 기능
제어 장치(41)는, 공작 기계(31, 32, 33)에서 공작물(11)에 대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되는 한편 해당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21, 22, 23)에 공작물(11)이 없는 경우, 해당 공작 기계(31, 32, 33)에 의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된 공작물(11)에 대해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공작 기계(31, 32, 33)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Ⅱ)의 기능
제어 장치(41)는, 공작 기계(31, 32, 33)에서 공작물(11)에 대한 다음 공정의 가공 중에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32, 33, 34)에서 상기 공작물과 상이한 다른 공작물에 대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되는 한편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22, 23, 24)에 공작물이 없는 경우, 상기 공작물에 대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중단하도록 공작 기계(31, 32, 33)를 제어하며, 다음 공정의 가공을 중단한 공작물을 상기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32, 33, 34)로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16)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Ⅲ)의 기능
제어 장치(41)는, 공작 기계(31, 32, 33, 34)의 공정 진척도를 감시하고, 각 시점으로부터 각 공작 기계(31, 32, 33, 34)가 그 가공 공정을 진행시킨 상태를 예측하며, 공작물(11)에 대한 가공 범위를 지시하여 그 공정 종료 시점에서 해당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21, 22, 23, 24)에 공작물(11)이 있도록 공작 기계(31, 32, 33, 34) 및 반송 장치(16)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Ⅳ)의 기능
제어 장치(41)는, 공작 기계(31, 32, 33, 34) 중 하나가 고장났을 경우, 고장난 공작 기계를 통과하여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로 공작물(11)을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16)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조 설비(50)에 의하면, 공작물(11)을 가공하는 복수의 공작 기계(31, 32, 33, 34)와, 공작물(11)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16)와, 공작 기계(31, 32, 33, 34) 및 반송 장치(16)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41)를 구비하며, 공작 기계(31, 32, 33, 34)가 자체 공정의 가공과 이전 공정의 가공 및 후속 공정의 가공을 상기 공작물에 대해서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제어 장치(41)가, 복수의 공작 기계(31, 32, 33, 34)에 의한 공작물(11)의 가공 상황에 따라 공작물(11)에 대해 연속적으로 각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공작 기계(31, 32, 33, 34) 및 반송 장치(16)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공작 기계(31, 32, 33, 34)에 의한 공작물(11)의 가공 및 공작물(11)의 반송처를 선택하여, 공작 기계(31, 32, 33, 34)의 가동률을 최대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공작 기계(31, 32, 33, 34)의 고장률이 종래와 같은 경우에서도, 종래의 제조 설비보다 평균 가동률이 향상된다. 또한, 하나의 공작 기계는, 해당 공작 기계에 의한 자체 공정의 가공과, 이전 공정의 가공 및 후속 공정의 가공을 공작물(11)에 대해서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나의 공정의 가공을 복수의 공작 기계에서 담당하는 유닛을 각 공정마다 마련한 빗살식의 제조 설비와 비교하여 공작 기계의 부설 면적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제품(19)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제품(19)의 수요가 저하했을 경우에는, 공작 기계(31, 32, 33, 34)가 해당 공작 기계(31, 32, 33, 34)에 의한 자체 공정의 가공과, 이전 공정의 가공 및 후속 공정의 가공을 공작물(11)에 대해서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공작 기계(31, 32, 33, 34)의 가동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품(19)의 수요가 증대했을 경우에는, 셀(30) 단위로 증설할 수 있다.
제어 장치(41)가, 공작 기계(31, 32, 33)에서 공작물(11)에 대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되는 한편 해당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21, 22, 23)에 공작물(11)이 없는 경우, 해당 공작 기계(31, 32, 33)에 의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된 공작물(11)에 대해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공작 기계(31, 32, 33)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자체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는 공작물이 없는 것에 의한 공작 기계의 가동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19)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41)가, 공작 기계(31, 32, 33)에서 공작물(11)에 대한 다음 공정의 가공 중에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32, 33, 34)에서 상기 공작물과 상이한 다른 공작물에 대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되는 한편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22, 23, 24)에 공작물이 없는 경우, 상기 공작물에 대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중단하도록 공작 기계(31, 32, 33)를 제어하며, 다음 공정의 가공을 중단한 공작물을 상기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32, 33, 34)로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16)를 제어함으로써, 공작 기계(31, 32, 33)에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는 것에 따라, 자체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는 공작물이 없는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한 공작 기계(32, 33, 34)의 가동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19)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제어 장치(41)가, 공작 기계(31, 32, 33, 34)의 공정 진척도를 감시하고, 각 시점으로부터 각 공작 기계(31, 32, 33, 34)가 그 가공 공정을 진행시킨 상태를 예측하며, 공작물(11)에 대한 가공 범위를 지시하여 그 공정 종료 시점에서 해당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21, 22, 23, 24)에 공작물(11)이 있도록 공작 기계(31, 32, 33, 34) 및 반송 장치(16)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공작 기계(31, 32, 33)에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는 것에 따라, 자체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는 공작물이 없는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한 공작 기계(32, 33, 34)의 가동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19)의 생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 장치(41)가, 공작 기계(31, 32, 33, 34)의 어느 것이 고장났을 경우, 고장난 공작 기계를 통과하여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로 공작물(11)을 반송하도록 반송 장치(16)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고장난 공작 기계의 자체 공정의 가공을 다른 공작 기계에서 담당할 수 있어, 제품(19)의 생산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공작 기계(31, 32, 33, 34)가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에 의해, 반송 장치(16)에 의한 공작물(11)의 반송이 용이해져서, 공작물(11)의 반송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제품(19)의 생산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공작 기계(31, 32, 33, 34)가 공작물(11)을 가공하는 공정의 순서대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에 의해, 반송 장치(16)에 의한 공작물(11)의 반송이 용이해져서, 공작물(11)의 반송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제품(19)의 생산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레일(15) 위를 주행 가능하게 마련되어 공작물(11)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16)를 구비하는 제조 설비(50)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각 공작 기계(31, 32, 33, 34) 사이의 공작물(11)의 반송 및 공작물(11)의 반입 및 제품(19)의 반출을 실행하는 반송 장치로서 무인 반송차를 구비하는 제조 설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조 설비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조 설비(50)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를 4 공정의 가공에 의해 제품을 제조하는 설비에 적용했을 경우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 2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제조 설비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50)가 갖는 반송 장치(16) 및 공작 기계(31, 32, 33, 34)의 배치를 변경한 것이며, 그 이외는 같은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50)와 동일 장치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10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장치(16)의 주위에 4개의 공작 기계(31, 32, 33, 34)가 배치되는 셀(8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셀(80)에서는 제 1 공작 기계(31)에 인접하여 제 2 공작 기계(32) 및 제 3 공작 기계(33)가 배치된다. 이 제 2 공작 기계(32) 및 제 3 공작 기계(33)에 인접하여 제 4 공작 기계(34)가 배치된다. 제 1 공작 기계(31)에 인접하여 대기대(21)가 배치된다. 제 2 공작 기계(32)에 인접하여 대기대(22)가 배치된다. 제 1 공작 기계(31)와 제 3 공작 기계(33) 사이에 대기대(23)가 배치된다. 제 2 공작 기계(32)와 제 4 공작 기계(34) 사이에 대기대(24)가 배치된다. 제 4 공작 기계(34)에 인접하여 대기대(25)가 배치된다. 또한, 부호(67a)는 공작물(11)을 대기대(21)에 반입하는 반입 장치이며, 부호(67b)는 제품(19)을 반출하는 반출 장치이다.
제어 장치(41)는 상술한 (Ⅰ) 내지 (Ⅳ)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공작 기계(31, 32, 33, 34)에 의한 공작물(11)의 가공 상황에 따라 공작물(11)에 대해 연속적으로 각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공작 기계(31, 32, 33, 34) 및 반송 장치(16)를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조 설비(100)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50)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 외에, 반송 장치(16)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공작 기계(31, 32, 33, 34)를 배치함으로써, 공작 기계(31, 32, 33, 34) 및 반송 장치(16)의 부설 면적을 최소로 할 수 있어, 설비의 추가적인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장치(16)가 구비하는 하나의 로봇 아암(12)으로 공작물(11)을 반송하는 제조 설비(100)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복수의 로봇 아암으로 공작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제조 설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조 설비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조 설비(100)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를 4 공정의 가공에 의해 제품을 제조하는 셀을 3개 구비하는 설비에 적용했을 경우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조 설비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50)가 갖는 셀(30)의 수를 변경한 것이어, 그 이외는 같은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50)와 동일 장치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20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셀(30A, 30B, 30C)을 갖는다. 각 셀(30A, 30B, 30C)의 각 공작 기계(31, 32, 33, 34)는 신호선(242a, 242b, 242c)을 거쳐 제어 장치(241)와 접속하고 있다. 또한, 부호(216)는 공작물(11) 및 제품(19)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이다. 이 반송 장치(216)는 신호선(도시하지 않음)을 거쳐 제어 장치(241)와 접속하고 있다.
제어 장치(241)는 상술한 (Ⅰ) 내지 (Ⅳ)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공작 기계(31, 32, 33, 34)에 의한 공작물(11)의 가공 상황에 따라 공작물(11)에 대해 연속적으로 각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공작 기계(31, 32, 33, 34) 및 반송 장치(216)를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조 설비(200)에 의하면, 복수의 공작 기계(31, 32, 33, 34)가 공작물(11)을 가공하여 제품(19)이 될 때까지의 공정으로 하나의 셀(30)을 이루며, 이 셀을 3개 구비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50)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 외에, 제품(19)의 수요에 따라 셀마다 그 설치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제품(19)의 생산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를 4 공정의 가공에 의해 제품을 제조하는 셀을 3개 구비하는 설비에 적용했을 경우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조 설비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100)가 갖는 셀(80)의 수를 변경한 것이며, 그 이외는 같은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100)와 동일 장치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30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셀(80A, 80B, 80C)을 갖는다. 각 셀(80A, 80B, 80C)의 반송 장치(16)는 신호선(342a, 343a, 344a)을 거쳐 제어 장치(341)와 접속하고 있다. 각 셀(80A, 80B, 80C)의 각 공작 기계(31, 32, 33, 34)는 신호선(342b, 343b, 344b)을 거쳐 제어 장치(341)와 접속하고 있다. 또한, 부호(317a)는 공작물(11)을 각 셀(30A, 30B, 30C)의 대기대(21)로 반입하는 반입 장치이다. 부호(317b)는 각 셀(30A, 30B, 30C)의 대기대(25)로부터 제품(19)을 반출하는 반출 장치이다. 반입 장치(317a) 및 반출 장치(317b)는 신호선(도시하지 않음)을 거쳐 제어 장치(341)와 접속하고 있다.
제어 장치(341)는 상술한 (Ⅰ) 내지 (Ⅳ)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공작 기계(31, 32, 33, 34)에 의한 공작물(11)의 가공 상황에 따라 공작물(11)에 대해 연속적으로 각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공작 기계(31, 32, 33, 34) 및 반송 장치(16, 317a, 317b)를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조 설비(300)에 의하면, 복수의 공작 기계(31, 32, 33, 34)가 공작물(11)을 가공하여 제품(19)이 될 때까지의 공정으로 하나의 셀(80)을 이루며, 이 셀을 3개 구비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설비(100)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 외에, 제품(19)의 수요에 따라 셀마다 그 설치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제품(19)의 생산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제조 설비의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4 실시형태에서는, 공작물(11)에 대해서 4개의 공정의 가공으로 제품(19)을 제조하는 셀을 구비하는 설비에 적용한 제조 설비(50, 100, 200, 300)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3대의 공작 기계에 의해 공작물에 대해서 3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셀이나, 5대 이상의 공작 기계에 의해 공작물에 대해서 5 공정 이상의 가공을 실행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셀을 구비하는 제조 설비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조 설비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조 설비(50, 100, 200, 300)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11 : 공작물 16 : 반송 장치
19 : 제품 21 내지 25 : 대기대
31 내지 34 : 공작 기계 41, 241, 341 : 제어 장치
42, 242, 342, 343, 344 : 신호선 30, 80 : 셀
50, 100, 200, 300 : 제조 설비

Claims (9)

  1. 공작물을 가공하는 복수의 공작 기계와, 상기 공작물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공작 기계마다 상기 공작물을 대기시키는 대기대와, 상기 공작 기계 및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공작 기계는 자체 공정의 가공과 이전 공정의 가공 및 후속 공정의 가공을 상기 공작물에 대해서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에 의한 공작물의 가공 상황에 따라 상기 공작물에 대해 연속적으로 각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상기 공작 기계 및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공작 기계에서 상기 공작물에 대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되는 한편 상기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에 공작물이 없는 경우, 상기 공작 기계에 의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된 공작물에 대해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실행하도록 상기 공작 기계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공작 기계에서 상기 공작물에 대한 다음 공정의 가공 중에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에서 상기 공작물과 상이한 다른 공작물에 대한 자체 공정의 가공이 종료되는 한편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에 공작물이 없는 경우, 상기 공작물에 대한 다음 공정의 가공을 중단하도록 상기 공작 기계를 제어하고, 다음 공정의 가공을 중단한 공작물을 상기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로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설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의 공정 진척도를 감시하고, 각 시점으로부터 각 공작 기계가 그 가공 공정을 진행시킨 상태를 예측하며, 상기 공작물에 대한 가공 범위를 지시하여 그 공정 종료 시점에서 상기 공작 기계용의 대기대에 공작물이 있도록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 및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설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공작 기계가 고장났을 경우, 고장난 공작 기계를 통과하여 다음 공정의 공작 기계로 공작물을 반송하도록 상기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설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는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는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정의 순서대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설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는 상기 반송 장치의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설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작 기계는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여 제품이 될 때까지의 공정으로 하나의 셀을 이루며,
    상기 셀을 복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설비.
KR1020107016608A 2008-01-25 2008-11-06 제조 설비 KR101196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14456 2008-01-25
JP2008014456A JP2009172722A (ja) 2008-01-25 2008-01-25 製造設備
PCT/JP2008/070224 WO2009093368A1 (ja) 2008-01-25 2008-11-06 製造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184A KR20100102184A (ko) 2010-09-20
KR101196503B1 true KR101196503B1 (ko) 2012-11-01

Family

ID=40900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608A KR101196503B1 (ko) 2008-01-25 2008-11-06 제조 설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30185A1 (ko)
EP (1) EP2239093A4 (ko)
JP (1) JP2009172722A (ko)
KR (1) KR101196503B1 (ko)
CN (1) CN101918174A (ko)
TW (1) TW200940249A (ko)
WO (1) WO20090933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956A (ko) 2017-02-27 2018-09-05 (주)지컴 도킹 스테이션이 구비된 프레스 몰드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6006A (ja) 2008-09-24 2010-04-08 Mitsubishi Heavy Ind Ltd 加工ラインモジュール及び加工設備
JP5741616B2 (ja) * 2013-03-18 2015-07-01 株式会社安川電機 生産システム及び製品の生産方法
DE102013008065A1 (de) * 2013-05-10 2014-11-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lage zur Herstellung von Produkten
DE102014101874A1 (de) * 2014-02-14 2015-08-20 Mag Ias Gmbh Fertigungssystem mit einer Mehrzahl von Werkzeugmaschin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ertigungssystems
DE102014101867A1 (de) * 2014-02-14 2015-08-20 Mag Ias Gmbh Fertigungssystem mit einer Mehrzahl von Werkzeugmaschin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ertigungssystems
CN107042414B (zh) * 2017-04-13 2023-11-10 北京理工大学 一种可重构的加工系统
GB201721309D0 (en) 2017-12-19 2018-01-31 Renishaw Plc Production and measurement of workpie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9745A (ja) * 1983-05-13 1984-11-28 Toyoda Mach Works Ltd パレツト搬入搬出装置
JPH11188579A (ja) * 1997-12-25 1999-07-13 Toyota Motor Corp マトリクス式生産設備
JP2003285250A (ja) * 2002-03-26 2003-10-07 Toyota Motor Corp 工作機械のワーク搬入出・搬送装置及び自動生産ライ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6540A (en) * 1967-11-20 1971-04-27 Sundstrand Corp Plural machine tool and part handling control system
JPH0730223Y2 (ja) * 1986-12-24 1995-07-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ロボツトの制御装置
EP0437634B1 (en) * 1989-08-10 1996-11-20 Fujitsu Limited Control system for manufacturing process
JP3111843B2 (ja) 1995-01-19 2000-11-27 豊田工機株式会社 トランスファマシン
JP3173309B2 (ja) 1995-02-22 2001-06-04 豊田工機株式会社 トランスファマシン
JP3541510B2 (ja) * 1995-07-28 2004-07-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ロボット制御装置
US6104965A (en) * 1997-05-01 2000-08-15 Motorola, Inc. Control of workstations in assembly lines
ATE255736T1 (de) * 2000-04-01 2003-12-15 Abb Research Ltd Verfahren und system zur adaptiven steuerung komplexer fertigungskett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9745A (ja) * 1983-05-13 1984-11-28 Toyoda Mach Works Ltd パレツト搬入搬出装置
JPH11188579A (ja) * 1997-12-25 1999-07-13 Toyota Motor Corp マトリクス式生産設備
JP2003285250A (ja) * 2002-03-26 2003-10-07 Toyota Motor Corp 工作機械のワーク搬入出・搬送装置及び自動生産ライ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956A (ko) 2017-02-27 2018-09-05 (주)지컴 도킹 스테이션이 구비된 프레스 몰드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18174A (zh) 2010-12-15
JP2009172722A (ja) 2009-08-06
TWI369269B (ko) 2012-08-01
EP2239093A1 (en) 2010-10-13
US20110030185A1 (en) 2011-02-10
WO2009093368A1 (ja) 2009-07-30
EP2239093A4 (en) 2012-01-25
TW200940249A (en) 2009-10-01
KR20100102184A (ko) 201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503B1 (ko) 제조 설비
US7168548B2 (en) Flexible production l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decoupling modules for machining workpieces arranged on pallets.
CN101990476B (zh) 用于加工曲轴的端部的机械装置及方法
US20150132084A1 (en) Interlinking System for Overhead Transfer Devices
CN112775678A (zh) 一种车床主轴零件加工的柔性生产线及加工工艺
JP7018112B2 (ja) 石炭採掘スクレーパコンベアの中央溝及び液圧マウント構造部材のためのアイランド型溶接製造ライン、並びに製造方法
US4251957A (en) Workpiece transfer apparatus for a plurality of machine tools
JP6286934B2 (ja) フレキシブル生産システム
CN105537626A (zh) 一种拉伸试棒自动化生产系统及方法
CN105855997B (zh) 柔性生产线控制系统及方法
CN215357209U (zh) 一种车床主轴零件加工的柔性生产线
CN103170653A (zh) 双机头全自动数控车床
CN108217119B (zh) 工件移送系统
US9334125B2 (en) Conveyance system for machining apparatus
US7086518B1 (en) Method of supplying workpieces to workstations using an autoloader
KR20110080228A (ko) 선박의 패키지화 건조방법
US2013022632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bricating integrated circuits with local processing management
CN111745414B (zh) 自动化流水线及其控制方法
KR100246851B1 (ko) 반도체 생산 청정실의 레이아웃 및 이를 통한 웨이퍼 이송방법
JP2004070469A (ja) 生産ラインにおける搬送装置の制御方法
CN108290202A (zh) 在压机中装载冲模
JP3988463B2 (ja) 生産ライン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9237713A (ja) 製造システム
JP3058982B2 (ja) 製造ラインにおけるトラッキング制御方法
JPH0756623A (ja) セル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