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163B1 - 전자 변환기 - Google Patents

전자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163B1
KR101196163B1 KR1020110015184A KR20110015184A KR101196163B1 KR 101196163 B1 KR101196163 B1 KR 101196163B1 KR 1020110015184 A KR1020110015184 A KR 1020110015184A KR 20110015184 A KR20110015184 A KR 20110015184A KR 101196163 B1 KR101196163 B1 KR 101196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eiling surface
electronic converter
voice coil
magnetic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504A (ko
Inventor
?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for diaphragms or their outer suspe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or their suspension covered by H04R7/00 but not provided for in H04R7/00 or in H04R2307/00
    • H04R2207/021Diaphragm extensions, not necessarily integrally formed, e.g. skirts, rims, fl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5Diaphragms comprising polyme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204Material aspects of the outer suspension of loudspeake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24Tensioning by means acting directly on free portions of diaphragm or c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26Damping by means acting directly on free portion of diaphragm or c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적은 부품 구성의 이중 지지 구조로 진동판을 피스톤 진동시키도록 하여, 성능이 뛰어난 전자 변환기를 얻는 것이다. 전자 변환기(10)는, 영구 자석(13a, 13b), 이 영구 자석(13a, 13b)의 한쪽의 자극면을 고정하는 하측 프레임(12), 다른 쪽의 자극측에 개구(11a)를 형성한 상측 프레임(11), 및 다른 쪽의 자극면에 고정한 플레이트(14a, 14b)로 이루어지는 자기회로와, 길이 방향의 측면부(15b, 15c) 및 천정면부(15a)에 보이스 코일 패턴(15g)을 배치한 진동판(15)을 갖는다. 이들 측면부(15b, 15c)의 사이를 돌출부(15i, 15j)가 연결한다. 진동판(15)의 천정면부(15a) 주연부는 상측 개스킷(16)을 거쳐서 상측 프레임(11)의 개구(11a) 주연부에 접합된다. 또한, 진동판(15)의 4개의 측면부 선단 주연부의 플랜지부(15f)는 하측 개스킷(18)을 거쳐서 상측 프레임(11)의 내주면, 즉 자기회로 내부에 접합된다.

Description

전자 변환기{ELECTROMAGNETIC CONVERTER}
본 발명은 영구 자석과 진동판을 조합하여 오디오 신호로부터 음성 재생을 실시하는 전자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진동판과 보이스 코일 패턴을 일체화한 구성의 종래의 스피커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평면형 음향 변환 장치와, 특허문헌 2의 스피커가 있다.
특허문헌 1의 평면형 음향 변환 장치는, 열강화성 수지의 폴리이미드, 또는 열가소성 수지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혹은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시트에 나선 형상의 보이스 코일 패턴을 형성하며, 양단측을 절곡하여 단면 ㄷ자형으로 성형한 진동판을 갖는다. 진동판의 천정면부와 프레임을 탄성을 갖는 에지에서 접합하여, 진동판 양단측의 보이스 코일 패턴이 자기회로의 자속 발생 부분에 오도록 보지된다. 이 때문에, 진동판의 진폭이 커져도, 보이스 코일 패턴의 상하 변위폭을 자속 발생 부분 안에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진동판은 길이 방향의 양단측을 절곡했을 뿐이며, 폭 방향의 양단측은 절곡되지 않기 때문에 강성이 낮고, 진동에 수반하는 불필요한 공진에 의해 이음(異音)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진동판을 프레임에 고정하는 에지 등의 지지계도 진동판의 천정면부 외에 다른 곳에는 접합할 수 없기 때문에, 대진폭시에 피스톤 진동이 교란되며, 롤링에 의한 자기 갭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도 있었다.
이에 비하여, 특허문헌 2의 스피커는 폴리이미드 시트 또는 유리 수지와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의 프리프레그 등의 열강화성 수지 시트에 미리 보이스 코일 패턴을 형성하고, 가열 성형하여 단면 U자 형상의 돔형의 진동판을 갖는다. 진동판의 전체 둘레와 프레임을 에지에서 접합하는 동시에, 진동판의 내측에 지지판을 고정하고, 이 지지판을 프레임측의 댐퍼에 접합한다. 이 때문에, 진동판을 돔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진동판의 지지 구조를 부분적이지만 이중으로 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113368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102094 호 공보
종래의 전자 변환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특허문헌 1의 구성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진동판의 강성이 낮은 것에 의한 이음 발생 및 피스톤 진동의 교란에 의한 자기 갭 불량 발생이라는 과제가 있었다.
이에 비하여, 특허문헌 2의 구성의 경우에는, 진동판의 강성 부족 문제는 해결할 수 있지만, 댐퍼를 부분적으로밖에 마련할 수 없기 때문에 피스톤 진동이 교란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없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구성의 경우, 프레임에 댐퍼를 고정하기 위해서 자기회로를 분할해야 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증가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자기회로를 분할 배치하면, 자속 밀도가 균일하지 못하거나 자속 밀도가 저하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열강화성 수지 시트를 이용하여 특허문헌 2의 형상의 입체 구조의 진동판을 얻으려면, 보이스 코일 패턴을 형성한 열강화성 수지 시트를 입체 구조로 성형한 후에 가열 처리에 의해 경화시키면 좋지만,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이용하여 입체 구조의 진동판을 얻으려면, 보이스 코일 패턴을 형성한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열 프레스에 의한 드로잉 성형으로 늘려서 입체 형상을 얻을 필요가 있다. 이때,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신장율과 이 시트 상에 형성된 보이스 코일 패턴의 신장율이 다르기 때문에, 드로잉 성형을 하면 코일이나 시트가 파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열강화성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에 비해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적은 부품 구성의 이중 지지 구조로 진동판을 피스톤 진동시키도록 하여 성능이 뛰어난 전자 변환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변환기는, 영구 자석, 해당 영구 자석의 한쪽의 자극면을 고정하며 다른 쪽의 자극측은 개구한 프레임, 및 다른 쪽의 자극면에 고정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자기회로와, 플레이트를 덮는 위치에 있는 천정면부, 해당 천정면부로부터 영구 자석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플레이트와 프레임 개구의 사이에 위치하는 4개의 측면부, 및 대향하는 2개의 측면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부를 가지며, 편면 또는 양면에 보이스 코일 패턴이 형성된 진동판과, 진동판의 천정면부 주연부와 프레임 개구 주연부에 접합하여 진동판을 변위 가능하게 보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진동판의 측면부 선단측 주연부와 프레임 내주면에 접합하여 진동판을 변위 가능하게 보지하는 제 2 지지부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판의 천정면부 주연부를 프레임 개구 주연부에 접합하는 동시에, 측면부 선단측 주연부를 프레임 내주면에 접합하도록 했으므로, 적은 부품 구성의 이중 지지 구조로 진동판을 피스톤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성능이 뛰어난 전자 변환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 변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 변환기를 도 1의 A-A선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 변환기를 도 1의 B-B선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 변환기 중 진동판을 도 1의 C-C선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를 도 4의 (a)에 도시하며, 도 4의 (b)는 그 이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 변환기의 출력 특성의 그래프,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 변환기에 있어서 진동판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 변환기에 있어서 진동판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 변환기(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A-A선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를 도 2에 도시하며, B-B선에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를 도 3에 도시한다. 또한, C-C선에 따라서 절단한 진동판(15)의 단면도를 도 4의 (a)에 도시하며, 이면측의 구성을 도 4의 (b)에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하는 전자 변환기(10)는, 상측 프레임(11), 하측 프레임(12), 2개의 영구 자석(13a, 13b) 및 2개의 플레이트(14a, 14b)로 이루어지는 자기회로와, 진동판(15)과, 이 진동판(15)을 자기회로 상측에서 보지하기 위한 상측 개스킷(16) 및 에지(17)로 이루어지는 제 1 지지부와, 진동판(15)을 자기회로 내부에서 보지하기 위한 하측 개스킷(18) 및 댐퍼(19)로 이루어지는 제 2 지지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설명을 위해서 상하를 구별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어느 면이 위가 되어도 좋다.
하측 프레임(12)은 영구 자석(13a, 13b) 각각의 한쪽의 자극면을 고정하며, 상측 프레임(11)은 영구 자석(13a, 13b)마다 하측 프레임(12)을 피복하고, 영구 자석(13a, 13b) 각각의 다른 쪽의 자극면과 대략 동일 높이 위치에 개구(11a)를 갖는다. 영구 자석(13a, 13b) 각각의 다른 쪽의 자극면 상에는 플레이트(14a, 14b)가 각각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4a, 14b)와 개구(11a)가 대략 동일 높이 위치가 되어, 플레이트(14a, 14b)와 개구(11a) 사이의 자속 밀도가 높아진다.
또한, 영구 자석(13a, 13b) 및 플레이트(14a, 14b)는 진동판(15)의 길이 방향의 측면부(15b,15c)의 하부에 형성한 돌출부(15i, 15j)에 닿지 않게 분할하여 배치되어 있다.
진동판(15)에는 PEI(폴리에테르이미드),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T,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의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이용한다. 입체 성형하기 전의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편면 또는 양면의, 천정면부(15a)와 길이 방향의 측면부(15b, 15c)에 상당하는 위치에, 도체박(동, 알루미늄 등)을 에징하여 보이스 코일 패턴(15g)을 형성하며, 열 프레스 성형에 의해 입체 구조로 한다. 열 프레스 성형에 의해, 진동판(15)의 네 변을 천정면부(15a)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측면부(15b 내지 15e)로 성형함으로써 진동판(15)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측면부(15b, 15c)는 천정면부(15a)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폭 방향의 측면부(15d, 15e)는 천정면부(15a)로부터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보이스 코일 패턴(15g)이 형성된 길이 방향의 측면부(15b, 15c)는 열 프레스 성형시에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늘리지 않고 성형할 수 있으므로, 신장율의 차이에 의한 파단의 우려는 없다.
또한, 측면부(15b 내지 15e)의 선단측에는 플랜지부(15f)를 성형한다. 이 플랜지부(15f)는 진동판(15)을 댐퍼(19)에 접착할 때의 고정부가 된다.
또한, 측면부(15b)와 측면부(15c)의 선단측의 일부에,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연장한 설형의 돌출부(15i, 15j)를 형성한다. 이들 돌출부(15i, 15j) 중 일방에 끼워 맞춤용 볼록부(15k)를 형성하고 타방에 구멍을 형성하며, 끼워 맞춤용 볼록부(15k)를 구멍에 끼워 맞춤 접착해서 띠 형상으로 함으로써, 구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대한 보강부가 된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보이스 코일 패턴(15g)을 진동판(15)의 표리 양면에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진동판(15)의 길이 방향의 측면부(15b, 15c)의 각각의 표리 양면에 형성한 보이스 코일 패턴(15g)을 표면의 패턴과 이면의 패턴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진동판(15)의 강성을 높인다.
에지(17)의 개구(17a) 주연부는 진동판(15)의 천정면부(15a) 주연부에 접합되고, 에지(17)의 외주연부는 상측 개스킷(16)의 개구(16a) 주연부에 접합된다. 상측 개스킷(16)은 상측 프레임(11)의 상측 표면에 고착되어 있다. 이들 상측 개스킷(16) 및 에지(17)가 제 1 지지부가 되어 진동판(15)을 상하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상측 개스킷(16)을 이용하지 않고, 에지(17)의 외주연부를 직접 상측 프레임(11)에 접합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진동판(15)이 상하 변위했을 때에 플레이트(14a, 14b)에 충돌하지 않게 천정면부(15a)와 플레이트(14a, 14b)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측 프레임(11)의 상면의 일부를 상방으로 돌출 설치시켜 높이 위치 맞춤을 하거나, 에지(17)의 외주연부를 상측 프레임(11) 상면으로 연장시키면 좋다.
댐퍼(19)의 개구(19a) 주연부는 진동판(15) 측면부 선단 주연부의 플랜지부(15f)에 접합되며, 댐퍼(19)의 외주부는 하측 개스킷(18)의 개구(18a) 주연부에 접합된다. 하측 개스킷(18)은 상측 프레임(11)의 상측 이면, 즉 자기회로 내부에 고착되어 있다. 이들 하측 개스킷(18) 및 댐퍼(19)가 제 2 지지부가 되어 진동판(15)을 상하 변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하측 개스킷(18)을 이용하지 않고, 댐퍼(19)의 외주연부를 직접 상측 프레임(11) 내부에 접합해도 좋다.
일반적인 원추형의 진동판을 갖는 전자 변환기에서는, 에지에 공기의 투과성이 없는 재질을 이용하지만,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전자 변환기(10)에서는 에지(17)에 공기의 투과성이 좋은 재질 또는 공기가 투과하는 구조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진동판(15)의 측면부(15b, 15c)로부터 발생하는 음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진동판(15)의 측면부(15b, 15c)로부터 발생하는 음이 에지(17)를 투과하여, 천정면부(15a)로부터 발생하는 음에 합성됨으로써, 전자 변환기(10)의 고음 재생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 5는, 에지(17)의 재질의 차이에 의한 전자 변환기(10)의 재생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며, 종축은 음압 레벨을, 횡축은 주파수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에지(17)를 공기가 투과하지 않는 엘라스토머로 구성한 경우(점선으로 도시함)와, 공기가 투과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성글게 직조한 크로스로 구성한 경우(실선으로 도시함)의 전자 변환기(10)의 주파수 특성을 예시한다. 이 그래프로부터, 공기 투과성을 갖는 에지(17)를 이용하는 편이, 보다 좋은 고음역 특성을 얻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댐퍼(19)는 진동판(15)의 배면으로부터 나오는 역위상의 음을 전자 변환기(10)의 전면으로 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가 투과하지 않는 재질 또는 공기가 투과하지 않는 구조로 한다.
다음으로, 전자 변환기(1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보이스 코일 패턴(15g)에 전류(오디오 신호)가 공급되면, 보이스 코일 패턴(15g)을 흐르는 전류와, 상측 프레임(11)의 개구(11a)와 플레이트(14a, 14b)의 사이에 발생하고 있는 자속이 전자적으로 결합하여,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서 구동력이 발생한다. 발생한 구동력에 의해, 진동판(15)이 상하 방향으로 피스톤 진동하여 음파가 발생한다. 진동판(15)의 천정면부(15a) 전체 둘레 및 플랜지부(15f) 전체 둘레는 제 1 및 제 2 지지부에 의해 각각 상하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대진폭시라도 상하 평행 이동하는 피스톤 진동이 교란되는 경우가 없다. 그 때문에, 롤링에 의한 자기 갭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돌출부(15i, 15j)를 끼워 맞춤하여 접착한 보강부가 측면부(15b, 15c)의 불필요한 공진을 억제하기 때문에, 진동판(15)이 영구 자석(13a, 13b) 및 플레이트(14a, 14b)에 충돌하지 않아서, 충돌음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진동판(15)의 길이 방향의 측면부(15b, 15c)의 보이스 코일 패턴(15g)이 표면과 이면에서 일부 서로 겹치는 구성 때문에, 측면부(15b, 15c)의 강성이 높아져 불필요한 공진이 적게 된다. 그 때문에,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전자 변환기(10)는, 영구 자석(13a, 13b), 이들 영구 자석(13a, 13b)의 한쪽의 자극면을 고정하는 하측 프레임(12), 다른 쪽의 자극측에 개구(11a)를 형성한 상측 프레임(11), 및 다른 쪽의 자극면에 고정한 플레이트(14a, 14b)로 이루어지는 자기회로와, 이들 플레이트(14a, 14b)를 덮는 위치에 있는 천정면부(15a) 및 이 천정면부(15a)로부터 영구 자석(13a, 13b)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플레이트(14a, 14b)와 상측 프레임(11)의 개구(11a) 사이에 위치하는 4개의 측면(15b 내지 15e)을 가지며, 편면 또는 양면에 보이스 코일 패턴(15g)이 형성된 진동판(15)과, 상측 프레임(11)의 개구(11a) 주연부에 접착하는 상측 개스킷(16)과, 진동판(15)의 천정면부(15a) 주연부 및 상측 개스킷(16)의 개구(16a) 주연부에 접합하여 진동판(15)을 변위 가능하게 보지하는 에지(17)와, 상측 프레임(11)의 내주면에 접착하는 하측 개스킷(18)과, 진동판(15)의 플랜지부(15f) 및 하측 개스킷(18)의 개구(18a) 주연부에 접합하여 진동판(15)을 변위 가능하게 보지하는 댐퍼(19)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진동판(15)을 적은 부품 구성의 이중 지지 구조로 지지하여 피스톤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자기회로를 분할할 필요가 없게 되어, 부품 점수가 증가하는 일도 비용이 증가하는 일도 없다. 또한, 자기회로를 분할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속 밀도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일도 자속 밀도가 저하하는 일도 없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진동판(15)은,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길이 방향의 양측단 및 폭 방향의 양측단을 열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한 4개의 측면부(15b 내지 15e)를 가지며, 보이스 코일 패턴(15g)을 길이 방향의 측면부(15b, 15c) 및 천정면부(15a)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때문에, 고비용의 열강화성 수지가 아닌, 저비용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결과, 염가의 전자 변환기(1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진동판(15)의 대향하는 2개의 측면부(15b, 15c)를 연장하여 설형의 돌출부(15i, 15j)를 성형해서 접착함으로써, 측면부(15b, 15c)의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부를 구성하였다. 이 때문에, 진동판(15)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새롭게 마련하는 일 없이 적은 부품으로 진동판(15)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중에 표기는 없지만, 진동판(15)의 설형의 돌출부(15i, 15j)에, 진동판(15)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리브 구조 또는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도 좋다. 측면부(15b, 15c)에 연결된 띠 형상의 돌출부(15i, 15j)에 보강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진동판(15)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전자 변환기(10)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측면부(15b, 15c)의 사이의 연결은 돌출부(151, 15j)의 접착에 의한 1개소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복수 개소에 돌출부를 성형하여 연결수를 많게 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의하면, 보이스 코일 패턴(15g)은, 진동판(15)의 측면부(15b, 15c)의 표리 양면에 형성되며, 표면의 패턴과 이면의 패턴의 일부가 서로 겹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때문에, 높은 강성을 갖는 동, 알루미늄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체 패턴에 비해 강도가 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만의 부분을 없애서, 진동판(15)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전자 변환기(10)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에지(17)를 공기가 투과하는 재질 또는 구조로 했으므로, 진동판(15)의 천정면부(15a) 및 측면부(15b 내지 15e)로부터 발생하는 음이 전자 변환기(10)의 전면에서 나오게 되어, 고음역의 재생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댐퍼(19)를 공기가 투과하지 않는 재질 또는 구조로 하면, 진동판(15)의 배면으로부터 나오는 역위상의 음이 전자 변환기(10)의 전면으로부터 나오지 않게 할 수 있어서 전자 변환기(10)의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진동판(15)의 천정면부(15a)에 진동판(15)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보강 구조(15h)를 형성하여도 좋다. 도 6 및 도 7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진동판(15)에 마련한 보강 구조(15h)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보강 구조(15h)는 리브 구조 또는 요철 구조에 의해서 실현하면 좋으며, 또한, 리브 또는 요철의 형성 방향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진동판(15)의 길이 방향이어도, 폭 방향이어도 좋다. 천정면부(15a)에 보강 구조(15h)를 마련함으로써 진동판(15)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전자 변환기(10)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진동판(15)을 열 프레스 성형하기 전에 에징에 의해 보이스 코일 패턴(15g)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입체 성형 전의 진동판(15)에 보이스 코일 패턴(15g)을 프린트하여 형성하여도 좋고, 또는 입체 성형 후의 진동판(15)에 코일을 부착하여 보이스 코일 패턴(15g)을 형성하여도 좋다.
10 : 전자 변환기 11 : 상측 프레임(프레임)
lla, 16a, 17a, 18a, 19a : 개구 12 : 하측 프레임(프레임)
13a, 13b : 영구 자석 14a, 14b : 플레이트
15 : 진동판 15a : 천정면부
15b, 15c, 15d, 15e : 측면부 15f : 플랜지부
15g : 보이스 코일 패턴 15h : 보강 구조
15i, 15j : 돌출부 15k : 끼워 맞춤용 볼록부
16 : 상측 개스킷(제 1 지지부) 17 : 에지(제 1 지지부)
18 : 하측 개스킷(제 2 지지부) 19 : 댐퍼(제 2 지지부)

Claims (7)

  1. 영구 자석, 상기 영구 자석의 한쪽의 자극면을 고정하고 다른 쪽의 자극측은 개구한 프레임, 및 상기 다른 쪽의 자극면에 고정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자기회로와,
    상기 플레이트를 덮는 위치에 있는 천정면부, 및 상기 천정면부로부터 상기 영구 자석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 개구 사이에 위치하는 4개의 측면부를 갖는 진동판으로서, 상기 진동판의 표면 및 이면 중 적어도 한쪽 면에는, 보이스 코일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천정면부 주연부와 상기 프레임 개구 주연부에 접합하여 상기 진동판을 변위 가능하게 보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진동판의 측면부 선단측 주연부와 상기 프레임 내주면에 접합하여 상기 진동판을 변위 가능하게 보지하는 제 2 지지부를 구비하는
    전자 변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판은 열가소성 수지 시트의 길이 방향의 양측단 및 폭 방향의 양측단을 열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한 4개의 측면부를 가지며, 보이스 코일 패턴이 상기 길이 방향의 양측면부 및 천정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진동판은 대향하는 2개의 측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띠 형상의 보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진동판은 천정면부에 보강용의 리브 구조 또는 요철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진동판은 띠 형상의 보강부에 보강용의 리브 구조 또는 요철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이스 코일 패턴은 진동판의 측면부의 표리 양면에 형성되며, 표면의 패턴과 이면의 패턴의 일부가 서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지지부는 공기가 투과하는 재질 또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변환기.
KR1020110015184A 2010-02-22 2011-02-21 전자 변환기 KR101196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36151 2010-02-22
JP2010036151A JP5328691B2 (ja) 2010-02-22 2010-02-22 電磁変換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504A KR20110096504A (ko) 2011-08-30
KR101196163B1 true KR101196163B1 (ko) 2012-11-02

Family

ID=4446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184A KR101196163B1 (ko) 2010-02-22 2011-02-21 전자 변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22728B2 (ko)
JP (1) JP5328691B2 (ko)
KR (1) KR101196163B1 (ko)
CN (1) CN1021643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3090B1 (en) * 2009-10-09 2013-04-30 Cloud Microphones, Inc. Ribbon microphone with rounded magnet motor assembly, backwave chamber, and phantom powered JFET circuit
CN102523543B (zh) * 2011-11-29 2015-01-21 宁波东源音响器材有限公司 一种音响驱动器的振膜及其制备方法
US9426578B2 (en) * 2011-12-20 2016-08-23 Aac Acoustic Technologies (Shenzhen) Co., Ltd. Electromagnetic transducer
CN202873041U (zh) * 2012-09-26 2013-04-10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复合振膜及应用所述复合振膜的扬声器
CN202873039U (zh) * 2012-09-26 2013-04-10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复合振膜及应用所述复合振膜的扬声器
WO2016020835A1 (en) * 2014-08-04 2016-02-11 Katz David Micah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with non-circular voice coil
CN110383213B (zh) * 2017-03-07 2022-02-18 索尼公司 内容呈现系统、内容呈现装置和风呈现装置
KR102211558B1 (ko) * 2019-09-16 2021-02-03 김동만 평판 스피커용 가동 코일
JP7399580B2 (ja) 2020-05-21 2023-12-18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スピーカ
CN217135691U (zh) 2022-04-06 2022-08-05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发声单体
CN217693701U (zh) 2022-04-06 2022-10-28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发声器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3235A1 (en) 2004-05-27 2008-03-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oudspeaker
KR101057842B1 (ko) 2009-04-23 2011-08-19 미쓰비시 덴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변환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9411A (ko) * 1975-02-03 1976-08-05
JPS5754391Y2 (ko) * 1978-02-24 1982-11-25
JPS57195293U (ko) * 1981-06-04 1982-12-10
JP3846063B2 (ja) 1998-09-28 2006-11-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
US6526151B1 (en) * 2000-06-29 2003-02-25 Meiloon Industrial Co., Ltd. High stability loudspeaker
JP2003284187A (ja) * 2002-03-20 2003-10-0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平面スピーカ
JP4473068B2 (ja) * 2003-08-19 2010-06-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
JP2006129155A (ja) * 2004-10-29 2006-05-18 Victor Co Of Japan Ltd 電気音響変換器
JP2008113368A (ja) * 2006-10-31 2008-05-15 Fps:Kk 平面型音響変換装置及び平面型音響変換装置の製造方法
JP5198123B2 (ja) * 2008-04-03 2013-05-15 ミネベア株式会社 スピーカ
JP4545222B1 (ja) * 2009-07-13 2010-09-15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磁変換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3235A1 (en) 2004-05-27 2008-03-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oudspeaker
KR101057842B1 (ko) 2009-04-23 2011-08-19 미쓰비시 덴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변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28691B2 (ja) 2013-10-30
CN102164331A (zh) 2011-08-24
US8422728B2 (en) 2013-04-16
KR20110096504A (ko) 2011-08-30
JP2011172157A (ja) 2011-09-01
CN102164331B (zh) 2014-11-12
US20110206231A1 (en)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163B1 (ko) 전자 변환기
KR101064071B1 (ko) 전자 변환기
US6863153B1 (en) Loudspeaker diaphragm
CN204392554U (zh) 扬声器
US8059857B2 (en) Voice coil bobbin and speaker system
CN111641902A (zh) 一种发声器件
JP4305228B2 (ja) スリムスピー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モジュール、電子機器および装置
US11228841B2 (en) Speaker
CN111935616B (zh) 发声器件
KR102085845B1 (ko) 보이스코일의 락킹 제한 구조물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CN103338426A (zh) 微型扬声器及其振动系统制作方法
CN201839420U (zh) 微型动圈式电声转换器
US10506335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CN213094478U (zh) 发声器件
CN208386928U (zh) 扬声器模组和电声转换器
CN218387872U (zh) 扬声器
CN208798217U (zh) 扬声器模组
JP2002281587A (ja) スピーカ
CN102348153B (zh) 微型动圈式电声转换器
CN210093497U (zh) 一种扬声器
KR101012862B1 (ko) 음향 변환 장치
JP4556565B2 (ja) スピー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モジュール、電子機器および装置
KR101024034B1 (ko) 스피커
CN110062313A (zh) 一种振膜及电声转换装置
JP2004304497A (ja) スピーカ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