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589B1 -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 Google Patents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589B1
KR101195589B1 KR1020120060017A KR20120060017A KR101195589B1 KR 101195589 B1 KR101195589 B1 KR 101195589B1 KR 1020120060017 A KR1020120060017 A KR 1020120060017A KR 20120060017 A KR20120060017 A KR 20120060017A KR 101195589 B1 KR101195589 B1 KR 101195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chloride
chloride solution
drive shaft
wa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to KR102012006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10Dissolving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1Centrifugal stirrers, i.e. stirrers with radial outlets; Stirrers of the turbine type, e.g. with means to guide the flow
    • B01F27/1111Centrifugal stirrers, i.e. stirrers with radial outlets; Stirrers of the turbine type, e.g. with means to guide the flow with a flat disc or with a disc-like element equipped with blades, e.g. Rushton turb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9Preventing lumping, or comminuting lumps, during feeding or discharging, e.g. by means of vibrations, or by 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20Halides
    • C01F11/24Chlo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8Mixing water in water-taps with other ingredients, e.g. air, detergents or disinfe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除雪)용 염화칼슘 용액의 제조에 사용하는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한 수평형 교반 구조를 이루게 한 것에 의해, 완성된 염화칼슘용액을 배출하면서도 연속하여 염화칼슘 용액의 제조작업을 가능하게 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Multi-Line Mixer with Crusher}
본 발명은 제설(除雪)용 염화칼슘 용액의 제조에 사용하는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장의 바닥에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는 수평형 교반 구조를 이루게 한 것에 의해, 제조 완료된 염화칼슘용액을 배출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염화칼슘 용액의 제조작업을 가능하게 한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에 관한 것이다.
제설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염화칼슘을 물에 용해시킨 염화 칼슘용액을 사용함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러한 염화칼슘 용액은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특허문헌에 표시된 바와 같은 염화칼슘 용액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염화칼슘용액 제조장치는, 하기 특허문헌의 표시와 같이, 염화칼슘과 물을 투입하는 원료 투입구와 그리고 염화칼슘용액을 배출하는 용액 배출구를 갖는 탱크와 이 탱크의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로 이루어진 구성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하여 염화 칼슘 용액을 제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완성된 염화칼슘용액을 용액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완료시까지는 염화칼슘 용액 제조 장치의 작동을 중단하지 않으면 안 되는 염화칼슘용액의 제조 작업성은 물론 생산성의 결여로 제설작업에도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의 직립형의 경우, 밸브의 개방시 제대로 용해되지 않은 염화칼슘까지도 그대로 배출되어 지게 하여 제설 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 또한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완성된 염화칼슘용액을 배출하면서도 필요로 하는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작업은 중단없이 작동할 수 있는 제설용 염화칼슘 용액제조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1.국내 특허등록번호 10-470886호, 도로제설용 염화칼슘용액의 제조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제조 완료된 염화칼슘용액을 배출하면서도 필요로 하는 염화칼슘용액은 계속 제조할 수 있게 하는, 제설용 염화칼슘 용액의 제조 작업성 향상과 아울러 생산성 또한 향상되게 하였고,
또 염화칼슘이 물에 잘 용해되게 파쇄하여 공급하여 항시 제설 작업에 최적인 염화칼슘용액을 제조할 수 있게 한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는, 염화칼슘 원료 및 물 투입구와 용액 배출구를 제외하고 사방이 폐쇄된 장방형 통체로 이루어져 수평으로 배치되며, 내부는 격벽들에 의해 상호 연락되는 다수개의 교반조들이 구획되고 상기 격벽들에는 각각 상.하부 관통문이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염화칼슘 원료 및 물 투입구와 연락되는 박스형태의 호퍼와 이 호퍼의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롤러들로 이루어져,상기 투입구를 향하여 공급되는 염화칼슘과 물 중에서 혹시 덩어리 형태로 있게 되는 크고 작은 덩어리 형태의 염화칼슘을 상기 롤러들에 의하여 미리 파쇄하여 물과 같이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유입되게 하는 파쇄기; 상기 본체와 격벽들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구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의 상기 교반조와의 대응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교반조들을 따라서 지속적으로 유동되는 염화칼슘과 물을 잘 혼합되게 교반하는 와류 및 혼합된 염화칼슘용액을 상기 상.하부 관통문을 통해 계속하여 유동시키기 위한 추력(推力)을 유발하는 다수의 임펠러;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구동축에 부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에서 상부관통문에는 이물질 제거 필터 및 가이드 판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펠러는 상기 구동축에 일체로 설치된 회전판체 및 회전 판체의 주연(周緣)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날개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날개는 회전판에 대하여 수직 혹은 경사각도를 이루게 설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완료된 염화칼슘용액을 용액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동안에도 염화칼슘 용액 제조 장치의 작동을 중단하지 않으면서도 필요로 하는 염화칼슘용액은 계속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작업성 향상 및 생산성을 향상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도로의 제설 작업 또한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염화칼슘을 사전에 분쇄하여 공급함에 의해 염화칼슘이 물에 잘 용해되게 하여 항시 제설 작업에 최적인 염화칼슘용액을 공급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의 외관을 보이게 표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1의 I-I선 방향에 따른 횡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선 방향에 따른 절단면도이고,
도 4는 동도(同圖)의 III-III선 방향에 따른 절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의 외관을 보이게 표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1의 I-I선 방향에 따른 횡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선 방향에 따른 절단면도이고, 도 4는 동도(同圖)의 III-III선 방향에 따른 절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의 표시와 같이,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100)은 원료투입구(112)와 용액 배출구(114)를 제외하고는 사방이 폐쇄되고, 단면에서 보아 바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대략 직사각형에 가까운 통체로 이루어져 바닥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할 수 있게 한 본체(11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서 보아 , 상기 본체(110)의 오른쪽 상단에 설치한 원료투입구(112)를 통해서는 염화칼슘과 물(이하 염화칼슘과 물 모두를'원료'라 칭한다.)이 동시에 공급된다. 원료투입구(112)를 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원료가 계속하여 공급되는 동안에도,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중단없이 계속 작동할 수 있게 한 교반 수단의 교반 작업에 의해 염화칼슘용액을 지속적으로 제조하여 상기 투입구(112)와 반대 쪽에 형성된 용액배출구(114)를 통하여 계속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는 격벽들(113a,113b)에 의해 다수개의 교반조들(115a,115b,115c)로 구획되어 있다. 이 교반조들(115a,115b,115c)는 상기 격벽들(113a,113b)에 각각 설치된 상.하부관통문들(116,117)에 의하여 상호 연락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원료투입구(112)를 통하여 공급되는 원료들은 제일 먼저 상기 교반조들(115a,115b,115c)중에서 제1교반조(115a)에 수용되지만, 원료투입구(112)를 통하여 계속공급되는 원료에 의한 중력(重力)과 후술하는 교반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추력(推力)이 같이 작용되어 인접된 제2교반조(115b)의 내부로 상기 하부관통문(117)을 통하여 신속히 유입되며, 또한 제2교반조(115b)의 내부로 유입된 염화칼슘과 물의 혼합 용액 또한 상기와 동일하게 반복되는 작용에 의하여 상기 상부관통문(116)을 통하여 제3교반조(115c)로 유입된 후, 상기 용액배출구(1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내지 제3교반조들(115a,115b,115c)로부터 염화칼슘용액을 유동되게 하는 상.하부관통문들(116,117)의 높.낮이를 달리하게 설치한 이유는, 상기 제1내지 제3교반조들(115a,115b,115c)에서 염화칼슘과 물을 혼합 교반시 물에 용해되지 않게 되는 염화칼슘은 교반조들(115a,115b,115c)의 바닥에 가라앉게 하는 반면, 잘 용해된 염화 칼슘용액만이 상부 관통문(116)을 통하여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염화칼슘과 물의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염화칼슘 용액만이 상기 용액 배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되게 한 것이다.
상기 상부관통문(116)에는 이 상부관통문(116)을 통하여 유동되는 염화칼슘용액에 혹시 함유되어 있을지 모르는 이물질(염화칼슘에 들어 있던 이물질이나, 물에 잘 용해되지 않은 염화칼슘 덩어리 등)을 걸러 내기 위한 필터(118)가 탈착되게 설치되어 있다. 필터(118)의 탈착은 도1의 표시와 같이, 본체(110)의 천장벽판(10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고정판(111)을 본체(110)로부터의 나사(111a)분리에 의하여 본체(110)의 상부관통문(116)으로부터 쉽게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필터(118)을 소제 혹은 교환을 할 수 있다. 상기 필터(118)의 앞쪽에는 좌.우와 그리고 하부만을 개방되게 한 가이드 판(119)이 설치되어 제2 교반조(115b)에서 물과 혼합 교반되는 염화칼슘이 직접적으로 필터(118)에 충돌되면서 여과는 되는 일이 없게 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는, 본체(110)의 내부에 소정공간을 이루며 구획 형성된 상기 제1내지 제3교반조들(115a,115b,115c)에 유입되어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염화칼슘과 물을 골고루 혼합되게 하는 강한 와류를 발생하거나 혹은 혼합된 염화칼슘용액을 용액 배출구(114)쪽으로 이동하기 위한 추력을 발생하는 교반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교반수단은 상기 제1내지 제3교반조들(115a, 115b,115c)을 경유하도록 본체(110)와 격벽들(113a,113b)를 관통하여 본체(110)와 격벽(113a,113b)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구동축(120)과, 상기 구동축(120)의 제1내지 제3교반조들(115a,115b,115c)과의 대응부위에 설치한 임펠러들(121,1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임펠러들(121,122)는 구동축(120)과 같이 회전되도록 하고자, 구동축(120)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120)에 장착된 구동모터(130)의 구동시 구동모터(130)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120)과 아울러 임펠러들(121,122)이 회전 된다. 임펠러들(121,122)의 회전 작동은 상기 제1내지 제3 교반조들 (115a,115b,115c)의 내부에 격렬한 와류(渦流)와 추력(推力)을 유발하여 물과 같이 공급된 염화칼슘을 물에 잘 용해되게 하는 작용과 아울러 혼합된 염화칼슘 용액이 상기 제1내지 제3 교반조들(115a,115b,115c)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수 있게 하는 추력을 유발되게 한다. 상기 임펠러들(121,122)로부터의 와류와 추력은 상기 임펠러들(121,122)에 설치된 날개들에 의하여 발생된 다.
도3 및 도4의 표시와 같이, 상기 임펠러들(121,122)는 상기 구동축(120)에 일체로 설치된 회전판체(123) 및 회전 판체(123)의 주연(周緣)을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된 날개(124a,124b)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날개들(124a,124b)의 설치 형태에 따라 추력 혹은 와류형(터빈형)임펠러들(121,12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들(121,122)에서 임펠러(121)은 와류를 발생하는 터빈형 임펠러인데, 터어빈형 임펠러(121)는 날개(124a)를 회전판체(123)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게 배치하여 각 교반조 내에서 회전시 날개(124a)로부터 격심한 와류를 발생하게 하였다.
또한,상기 임펠러(122)는 추력형 임펠러로서 날개(124b)를 회전판체(123)로부터 경사각을 이루게 배치하여 각 교반조 내에서 회전시 염화칼슘용액을 인접된 교반조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강한 추력을 발생되게 한다.
상기 본체(112)의 원료 투입구(112)에는, 도1 및 도2의 표시와 같이, 파쇄기(140)가 장착되어 있다. 파쇄기(140)는 원료투입구(112)와 연락되는 박스형태의 호퍼(143)와, 이 호퍼(143)의 내부에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롤러(142)로 이루어져, 상기 원료 투입구(112)를 향하여 공급되는 염화칼슘과 물 중에서 혹시 덩어리 형태로 있게 되는 크고 작은 덩어리 형태의 염화칼슘을 상기 롤러(142)에 의하여 미리 파쇄하여 물과 같이 원료투입구(112)를 통하여 유입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파쇄기(140)은 염화칼슘이 물에 보다 잘 용해되도록 하기 위하여, 덩어리 형태의 염화칼슘을 미리 파쇄 후 원료 투입구(112)로 공급되게 하는 전처리 작업을 실시 한다.
본 발명은, 완성된 염화칼슘용액을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는 동안에도 염화칼슘 용액을 지속적으로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생산성 향상으로 제설 작업 또한 중단없이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한 유용성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할 것이다.
100 :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110 : 본체,
112: 원료 투입구,
114: 용액 배출구,
115a,115b,115c : 교반조,
120 : 구동축,
121,122 : 교반용 임펠러,
130: 구동축,
140 : 파쇄기

Claims (4)

  1. 염화칼슘 원료 및 물 투입구와 용액 배출구를 제외하고 사방이 폐쇄된 장방형 통체로 이루어져 수평으로 배치되며, 내부는 격벽들에 의해 상호 연락되는 다수개의 교반조들이 구획되고 상기 격벽들에는 각각 상.하부 관통문이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염화칼슘 원료 및 물 투입구와 연락되는 박스형태의 호퍼와 이 호퍼의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롤러들로 이루어져,상기 투입구를 향하여 공급되는 염화칼슘과 물 중에서 혹시 덩어리 형태로 있게 되는 크고 작은 덩어리 형태의 염화칼슘을 상기 롤러들에 의하여 미리 파쇄하여 물과 같이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유입되게 하는 파쇄기;
    상기 본체와 격벽들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구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의 상기 교반조와의 대응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파쇄기로부터 유입되면서 상기 교반조들을 따라서 지속적으로 유동되는 염화칼슘과 물을 잘 혼합되게 교반하는 와류 및 혼합된 염화칼슘용액을 상기 상.하부 관통문을 통해 계속하여 유동시키기 위한 추력(推力)을 유발하는 다수의 임펠러; 및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구동축에 부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통문에는 이물질 제거 필터 및 가이드 판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구동축에 일체로 설치된 회전판체 및 회전 판체의 주연(周緣)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날개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회전판에 대하여 수직 혹은 경사각도를 이루게 설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KR1020120060017A 2012-06-04 2012-06-04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KR101195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017A KR101195589B1 (ko) 2012-06-04 2012-06-04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017A KR101195589B1 (ko) 2012-06-04 2012-06-04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589B1 true KR101195589B1 (ko) 2012-10-30

Family

ID=4728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017A KR101195589B1 (ko) 2012-06-04 2012-06-04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5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956B1 (ko) * 2013-11-18 2015-10-19 강석근 고속 교반기
KR101907076B1 (ko) * 2018-03-19 2018-10-11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5700A (ja) 2006-04-03 2007-10-25 Meisho Press:Kk バイオ式生ゴミ処理装置
JP2010240562A (ja) 2009-04-03 2010-10-28 Mitsuhisa Matsuoka 微細気泡分散水の製造装置
KR101027974B1 (ko) 2009-03-11 2011-04-13 게이자부로 노구치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5700A (ja) 2006-04-03 2007-10-25 Meisho Press:Kk バイオ式生ゴミ処理装置
KR101027974B1 (ko) 2009-03-11 2011-04-13 게이자부로 노구치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JP2010240562A (ja) 2009-04-03 2010-10-28 Mitsuhisa Matsuoka 微細気泡分散水の製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956B1 (ko) * 2013-11-18 2015-10-19 강석근 고속 교반기
KR101907076B1 (ko) * 2018-03-19 2018-10-11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용해 호퍼 및 이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87726U (zh) 一种化工用固液物料混合反应釜
CN210256709U (zh) 一种复合再生轻集料预拌混泥土搅拌机
KR101452392B1 (ko) 혐기성 소화조
CN106732094A (zh) 一种混合均匀的搅拌装置
CN111905628B (zh) 一种注水井调剖用悬浮剂调配装置
KR101195589B1 (ko)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JP4772537B2 (ja) 汚泥処理システム
CN212528221U (zh) 一种装配式建筑化工物料混合设备
CN207243488U (zh) 碳酸锂生产处理系统
CN105688729B (zh) 流体力学自控的三级混合装置
CN208912715U (zh) 羟乙基/羟丙基甲基纤维素中氯化钠漂洗系统
CN212732592U (zh) 一种机械搅拌式浮选机
CN109225015B (zh) 一种采用水涡冲击的芦荟果肉果汁混配罐
CN108858746B (zh) 一种混凝土一体化搅拌装置
CN206121581U (zh) 一种多角度紊流液体搅拌机
CN212068580U (zh) 一种高效化工原料混合装置
CN208213052U (zh) 一种建筑工程用高效搅拌装置
CN210103530U (zh) 一种环保型造纸用废水处理装置
CN209679928U (zh) 一种高速矿浆分散桶
KR0148443B1 (ko) 액체와 공기의 혼합장치
CN207448801U (zh) 一种石膏天花板原料二级搅拌机
KR200441708Y1 (ko) 호퍼용 교반장치
KR101218056B1 (ko) 뒤채움 재료 제조 장치
CN203635108U (zh) 一种料浆搅拌机
CN205599068U (zh) 自控式三级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