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974B1 -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974B1
KR101027974B1 KR1020090020802A KR20090020802A KR101027974B1 KR 101027974 B1 KR101027974 B1 KR 101027974B1 KR 1020090020802 A KR1020090020802 A KR 1020090020802A KR 20090020802 A KR20090020802 A KR 20090020802A KR 101027974 B1 KR101027974 B1 KR 101027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waste
treatment
rotating shaft
treatment tan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914A (ko
Inventor
박충길
게이자부로 노구치
Original Assignee
게이자부로 노구치
박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이자부로 노구치, 박충길 filed Critical 게이자부로 노구치
Priority to KR102009002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9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유기성폐기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처리실을 복수 개 가지는 처리탱크, 이 처리탱크에 투입된 유기성폐기물이 각 처리실을 경유한 후 배출되도록 유기성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바, 서로 다른 부류의 미생물이 서로 다른 공간(즉, 처리실)에서 활동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미생물마다 다른 생육조건을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유기성폐기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20802
교반, 격벽, 미생물, 발효, 유기성폐기물, 음식물쓰레기, 퇴비

Description

유기성폐기물 처리기{Organic waste disposal machine}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유기성폐기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전까지는 유기성폐기물의 처리방법으로서 매립과 소각이 주로 이용되어 왔는데, 매립처리는 메탄가스, 침출수 등에 의하여 매립지에서 악취가 발생하고 수질과 토양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고, 소각처리는 다이옥신 등 각종의 유해성분이 배출되어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유기성폐기물을 미생물에 의하여 생물학적으로 분해, 안정화시켜 퇴비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부산물을 생성하는 처리방법이 각광 받기에 이르렀고, 이를 위한 처리기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생물을 이용하는 유기성폐기물 처리기는 처리탱크, 가열장치, 교반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처리탱크의 처리실에는 유기성폐기물과 미생물이 투입되고, 처 리실에 투입된 유기성폐기물은 가열장치와 교반장치, 미생물에 의하여 가열되고 교반되면서 발효된다.
이러한 처리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순조로운 처리를 위하여 이상적인 발효환경을 유지하여야 한다는 것인데, 여기에서의 이상적인 발효환경이란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할 수 있도록 산소, 수분, 습도, 온도 등 생육조건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조건을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면, 발효를 담당하는 미생물은 활발히 활동하여 증식하고 유기성폐기물을 분해하며 유기성폐기물에 포함된 병원균을 사멸한다. 물론, 발효 후 잘 숙성된 유기성폐기물(즉, 부산물)은 안정하고 병원균이 사멸되어 악취가 발생되거나 급격히 분해되지 않는 깨끗한 퇴비가 된다.
그러나 종래의 미생물을 이용하는 유기성폐기물 처리기는 그 대부분이 한 공간(즉, 처리실)에서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여러 부류의 미생물을 이용하면 처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생물마다 다른 최적의 생육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곤란하여 그 효과의 향상 정도가 기대한 만큼 큰 편이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적인 발효환경을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는 유기성폐기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양쪽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서는 유기성폐기물이 처리되는 처리탱크 본체와; 서로 다른 부류의 미생물을 서로 다른 공간에서 생육할 수 있도록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내부를 복수 개의 처리실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처리실이 횡으로 일렬 배치되도록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세워지며 처리실 간 유기성폐기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구멍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과; 상기 격벽을 관통하고 있도록 상기 처리탱크 본체에 횡으로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각 처리실에 적어도 하나씩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면 상기 처리탱크 본체에 투입된 유기성폐기물을 교반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복수 개의 교반이송날개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축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유기성폐기물 처리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처리기는 상기 격벽에 달라붙는 유기성폐기물을 떼어 내는 격벽용의 부착물 분리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착물 분리수단은 상기 격벽의 양면 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된 분리날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각 분리날개는 상기 회전축에 세워지고 앞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격벽과 마주하는 날개부 재와; 상기 날개부재의 뒤쪽에 마련된 리브 구조의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처리기는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좌우 내벽에 달라붙는 유기성폐기물을 떼어 내는 벽면용의 부착물 분리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탱크 본체는 그 바닥이 상기 회전축과 동심이면서 하측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탱크 본체는 그 상측에 점검구가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는데, 상기 점검구는 점검구 도어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점검구 도어는 적어도 그 일부분이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내부가 네 개의 처리실로 구획되도록 세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처리실이라 함은 상기 투입구에 투입하는 유기성폐기물을 제공받는 제1처리실과; 상기 배출구와 통하는 제4처리실과; 상기 제1처리실과 제4처리실 사이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2처리실 및 제3처리실을 말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처리실과 제2처리실 사이의 제1격벽은 그 높이가 다른 격벽에 비하여 낮을 수 있다. 또, 상기 제3처리실과 제4처리실 사이의 제3격벽은 그 상단이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천장과 맞닿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4처리실은 상기 제1처리실 내지 제3처리실을 거치면서 발효된 유기성폐기물을 숙성시키 는 숙성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송구멍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여 있도록 상기 교반이송날개의 회전반경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교반이송날개는 축 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일정한 각도 경사진 상태로 상기 회전축에 세워질 수 있고, 아울러 그 끝 부분의 폭이 확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끝 부분의 폭이 확장된 구조로는 T자형을 그 예로 들 수 있겠다.
이와 같은 각 교반이송날개는 그 양면 중 적어도 한쪽에 리브 구조의 보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처리기는 상기 처리탱크 본체에 열을 가하는 가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처리기는 상기 처리탱크 본체에 연결된 탈취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부류의 미생물을 서로 다른 공간에서 생육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처리실을 가지며 이 복수 개의 처리실 중 한 처리실에 유기성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다른 한 처리실로부터 유기성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가지는 처리탱크와; 상기 처리탱크에 투입된 유 기성폐기물이 상기 각 처리실을 경유한 후 배출되도록 투입된 유기성폐기물을 교반하면서 이송하는 교반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유기성폐기물 처리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처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처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A-A선,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처리기는 미생물을 이용, 유기성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으로 처리할 수 있는 유기성폐기물은 발효과정을 통하여 퇴비 등으로 이용이 가능한 부산물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이 없지만, 주된 대상은 가정이나 식품 관련 업체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와 축산시설 등에서 발생되는 가축분뇨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처리기는 내부를 유기성폐기물 처리공간으로 하는 처리탱크(3), 이 처리탱크(3)의 내부에 투 입된 유기성폐기물을 교반하는 것과 동시에 투입 측과 배출 측 사이를 왕복 이송시키는 교반이송장치, 이 교반이송장치에 의하여 교반되고 이송되는 과정에서 처리탱크(3)의 내벽 등에 달라붙는 유기성폐기물을 떼어 내는 부착물 분리수단, 처리탱크(3)에 열을 가하는 가열장치(5), 유기성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장치(7)를 포함한다.
처리탱크(3)는 내부공간에서 미생물에 의한 유기성폐기물의 처리가 진행되는 처리탱크 본체(10), 이 처리탱크 본체(10)의 내부를 복수 개의 처리실(S1~S4)로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21,23,25)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그 처리탱크(3)에 복수의 처리실(S1~S4)이 마련되는바, 서로 다른 부류의 미생물(즉, 유기성폐기물의 처리에 이용되는 미생물)을 서로 다른 처리실(S1~S4)에 투입하여 서로 다른 공간에서 활동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다른 부류의 미생물 간 간섭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나아가서는 처리실(S1~S4)마다 미생물에 대한 생육조건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면 처리실(S1~S4)별로 해당 미생물에 맞춘 생육조건을 조성하여 해당 미생물을 최적의 환경 하에서 생육할 수 있다. 물론, 이 같이 미생물에 대한 부류별 맞춤식 생육조건을 조성하는 것은 처리실(S1~S4)이 복수 개인 까닭에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다.
처리탱크 본체(10)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대략 횡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바닥이 하측으로 볼록한 반원형으로 형성된 탱크(10a), 이 탱크(10a)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폐쇄하는 탱크 커버(10b)를 포함한다.
또한, 처리탱크 본체(10)는 그 좌우 양쪽에 처리할 유기성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 및 처리된 유기성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가 각각 형성된다. 투입구(11)는 탱크 커버(10b)의 한쪽에 마련되고 투입구 도어(13)에 의하여 개폐된다. 배출구(12)는 탱크(10a)의 한쪽 벽에 마련된다.
배출구(12)에는 배출관(14)이 연결된다. 도시된 바 없으나, 배출관(14)에는 관로를 여닫는 개폐수단이 설치된다.
탱크(10a)와 탱크 커버(10b)는 탱크(10a)의 상부를 탱크 커버(10b)로 폐쇄한 때 서로 대응하는 플랜지(15)(16)를 가지는데, 이 두 플랜지(15)(16)는 볼트, 너트 등 체결수단에 의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탱크(10a)와 탱크 커버(10b)의 접촉면 또는 두 플랜지(15)(16) 사이에는 패킹과 같은 밀봉재가 개재된다.
격벽(21,23,25)은 복수 개의 처리실(S1~S4)이 횡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탱크(10a)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바, 투입구(11)와 배출구(12)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격벽(21,23,25)은 처리실(S1~S4)이 다음과 같이 네 개로 구분되도 록 세 개 구비된다.
1. 투입구(11)의 하측에 위치되어 투입구(11)로 투입되는 유기성폐기물을 제공받는 제1처리실(S1)
2. 배출구(12)와 통하는 제4처리실(S4)
3. 제1처리실(S1)과 제4처리실(S4)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2처리실(S2) 및 제3처리실(S3)
격벽(21,23,25)이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1,23,25)에는 이송구멍(22,24,26)이 적어도 한 개씩 형성된다. 제1처리실(S1)에 투입된 유기성폐기물은 교반이송장치의 이송작용으로 인하여 제2 내지 제4처리실(S2~S4)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뒤 배출되는바, 이송구멍(22,24,26)을 통하여 다른 처리실로 이송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각 격벽(21,23,25)의 이송구멍(22,24,26)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송구멍(22,24,26)의 형상은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 이 뿐만이 아니라 이송구멍(22,24,26)은 배열이나 크기 등도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처리실(S1)과 제2처리실(S2) 사이의 제1격벽(21)은 그 높이가 제2 및 제3격벽(23,25)에 비하여 낮도록 형성된다. 이는 처리할 유기성폐기물이 과도하게 투 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유기성폐기물을 정량 이상으로 투입하면 유기성폐기물의 일부가 제1처리실(S1)에서 제1격벽(21)을 넘어 제2처리실(S2)에 유입되므로, 이를 통하여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처리실(S1~S4) 중 제1 내지 제3처리실(S1~S3)은 발효실로 이용되고 제4처리실(S4)은 제1 내지 제3처리실(S1~S3)에서 발효된 유기성폐기물을 숙성시키는 숙성실로 이용된다.
제3처리실(S3)과 제4처리실(S4) 사이에 위치하는 제3격벽(25)은 처리탱크 본체(10)의 천장을 구성하는 탱크 커버(10b)에 상단이 맞닿는 높이로 형성된다. 즉, 숙성실로 이용되는 제4처리실(S4)이 나머지 처리실(S1~S3)과 제3격벽(25)의 이송구멍(26)으로만 소통되도록 격리시켜 숙성과정이 보다 원활히 진행되도록 한 것이다.
유기성폐기물의 처리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이용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제1처리실(S1)에 사상균, 제2처리실(S2)에 방선균, 제3처리실(S3)에 세균을 투입하여 제1 내지 제3처리실(S1~S3)에 서로 다른 부류의 미생물이 각각 활동하도록 하였다. 참고로, 유기성폐기물의 처리과정 중 사상균은 당질과 아미노산 등을 분해하고, 방선균은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 등을 분해하며, 세균은 섬유조직 따위를 분해한다.
한편, 처리탱크 본체(10)는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17)를 가지는데, 여기에서 는 두 개 구비하였다. 점검구(17)는 탱크 커버(10b)에 마련되는 것으로, 둘 중 하나는 제1격벽(21)과 제3격벽(25) 사이(즉, 제2처리실과 제3처리실 사이)에 있는 제2격벽(23)의 상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제4처리실(S4)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점검구(17)는 점검구 도어(18)에 의하여 개폐되는데, 이 점검구 도어(18)는 바람직하게는 투명창 따위에 의하여 적어도 그 일부분이 투명하도록, 즉 들여다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교반이송장치는 격벽(21,23,25) 모두를 관통하고 있도록 횡으로 설치된 회전축(30), 네 처리실(S1~S4)에 적어도 하나씩 위치하도록 이 회전축(30)에 장착된 복수 개의 교반이송날개(40), 회전축(30)을 정/역회전시키는 축 구동수단(50)을 포함한다.
회전축(30)은 그 축심이 탱크(10a)의 바닥을 구성하는 반원형 부분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즉, 동심배치) 회전축(30)은 또, 길게 형성되고 그 양단 부분이 탱크(10a)의 좌우 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바, 이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 등의 지지를 받는다.
도 6은 회전축(30)과 이 회전축(30)에 장착된 교반이송날개(40)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교반이송날개(40)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교반이송날개(40)는 처리탱크 본체(10)에 투입된 유기성폐기물을 교반하면서 축 방향(즉, 횡 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인바, 이것이 가능한 구조의 날개부재를 각각 가진다.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이송날개(40)의 각 날개부재는 회전축(30)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이 상태에서 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 경사지도록 좌우로 틀어진 세로판(41), 이 세로판(41)의 끝에 수직을 이루도록 가운데 부분이 일체로 연결되어 세로판(41)의 폭 방향 양쪽으로 연장된 형태의 가로판(42)을 포함하는바, 이 구성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그 끝 부분의 폭이 확장된 구조인 T자형으로 형성되어 유기성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교반하고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재는 또, 모두 그 회전반경이 탱크(10a)의 바닥을 구성하는 반원형 부분의 반경에 비하여 약간 작도록 형성된다.
각 세로판(41)의 양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리브로서의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형의 보강부재(43)가 수직으로 세워진다. 참고로, 여기에서는 각 세로판(41)의 양면에 이 보강부재(43)를 한 개씩 마련하여 세로판(41)과 함께 십(十)자형의 구조를 이루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교반이송날개(40)는 축 구동수단(50)을 작동시켜 회전축(30)을 회전시키면 이 회전축(3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처리탱크 본체(10)에 투입된 유기성폐기물은 이 회전하는 교반이송날개(40)의 날개부재와 보강부재(43)에 의 하여 퍼 올리어지면서 교반되는 것과 동시에 축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교반이송날개(40)가 퍼 올리는 유기성폐기물의 양은 가로판(42)과 보강부재(43)에 의하여 증대된다.
한편, 격벽(21,23,25)의 각 이송구멍(22,24,26)은 교반이송날개(40)가 퍼 올리는 유기성폐기물이 유입되도록 교반이송날개(40)의 회전반경 이내에 위치되되 회전축(30)의 위치보다 높게 배치된다.
또한, 탱크(10a)의 배출구(12)도 이송구멍(22,24,26)과 마찬가지로 교반이송날개(40)가 퍼 올리는 유기성폐기물이 유입되도록 배치된다.
축 구동수단(50)은 모터(51)와 이 모터(51)의 회전력을 회전축(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데, 모터(51)는 모터 축이 회전축(30)과 나란하게 있도록 구비된다.
동력전달기구는 모터(51)의 모터 축에 장착된 구동 스프로킷 휠(52), 처리탱크(3)의 밖에 위치하도록 회전축(30)에 장착된 종동 스프로킷 휠(53), 구동 스프로킷 휠(52)과 종동 스프로킷 휠(53)에 걸려 있도록 감은 체인(54)을 포함한다. 즉, 동력전달기구는 체인전동 타입인 것이다. 물론, 동력전달기구로는 이 체인전동 대신 기어전동이나 벨트전동 타입이 적용될 수도 있다.
유기성폐기물은 일반적으로 끈끈하기 때문에 교반 및 이송과정 중 탱크(10a) 의 좌우 벽면이나 격벽(21,23,25)에 붙을 수 있다. 이렇게 달라붙는 유기성폐기물을 떼어 내는 것이 앞서 언급한 부착물 분리수단인데, 이 수단은 격벽(21,23,25)에 붙는 유기성폐기물을 떼어 내는 제1분리수단과 탱크(10a)의 좌우 벽면에 붙는 유기성폐기물을 떼어 내는 제2분리수단으로 구분된다.
제1분리수단은 각 격벽(21,23,25)의 양면 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위치하도록 회전축(30)에 장착된 분리날개(61)를 포함하는데, 이 각각의 분리날개(61)는 격벽(21,23,25)과 마주하고 있도록 회전축(30)에 수직으로 세워진 플레이트형의 날개부재(62), 이 날개부재(62)의 뒷면(앞면은 격벽과 마주하는 면)에 리브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플레이트 타입의 보강부재(63)를 포함한다.(도 6 참조) 이때, 도면에는 날개부재(62)의 앞면 전체가 격벽(21,23,25)과 마주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날개부재(62)는 그 앞면의 일부만이 격벽(21,23,25)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1분리수단의 각 분리날개(61)는 회전축(30)이 회전되면 이 회전축(3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격벽(21,23,25)에 붙은 유기성폐기물은 이 회전하는 분리날개(61)의 날개부재(62)가 쳐 내는 작용에 의하여 격벽(21,23,25)에서 떨어져 낙하되고 교반이송날개(40)에 의하여 교반된다. 이렇게 격벽(21,23,25)에 붙는 유기성폐기물을 떼어 내는 중 분리날개(61)의 보강부재(63)는 유기성폐기물을 퍼 올리면서 교반한다.
살펴본 분리날개(61)에 따르면, 교반이송날개(40)에 의한 유기성폐기물의 교 반을 빠짐없이 이룰 수 있고, 교반이송날개(40)와 보강부재(63)의 동시적인 교반작용으로 한층 향상된 교반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보강부재(63)에 의한 분리날개(61)의 구조적인 강도 향상으로 격벽(21,23,25)에 달라붙은 유기성폐기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떼어 내고 교반할 수 있다. 또, 날개부재(62)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강부재(63)가 이 날개부재(62)의 뒷면에 세워져 있으므로, 분리날개(61)를 격벽(21,23,25)에 근접하여 있도록 장착하는 데 유리하다.
한편,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제1분리수단은 각 격벽(21,23,25)에 진동을 가하는 바이브레이터와 각 격벽(21,23,25)을 향하여 양쪽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분리날개(61) 대신 바이브레이터와 에어 노즐 중 적어도 하나만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2분리수단의 경우에도 살펴본 제1분리수단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분리날개(65)를 포함하는데, 이 제2분리수단의 분리날개(65)는 탱크(10a)의 좌우 벽면 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위치하도록 회전축(30)에 장착된다. 또, 제2분리수단의 분리날개(65)도 날개부재(66)와 보강부재(67)를 각각 포함하는데, 이 날개부재(66)와 보강부재(67)는 제1분리수단의 그것과 비교하여 볼 때 대향 대상이 탱크(10a)의 좌우 벽면이라는 점만이 상이할 뿐, 구성 및 작용효과는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2분리수단도 제1분리수단과 같이 바이브레이터와 에어 노즐 중 적어 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분리날개(65) 대신 바이브레이터와 에어 노즐 중 적어도 하나만이 적용될 수도 있다.
가열장치(5)는 처리실(S1~S4)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 같은 가열장치(5)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를 포함한다.
히터는 일례로 네 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각 처리실(S1~S4)의 하측에 하나씩 위치하도록 탱크(10a)의 저면에 장착된다. 물론, 이는 처리실(S1~S4)의 온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탈취장치(7)는 그 내부에 흡입 팬과 필터(둘 모두 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되고 그 흡입관의 끝 부분이 제3처리실(S3)의 벽을 관통하고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탈취장치(7)는 그 흡입 팬을 작동시키면 이 팬의 흡입력에 의하여 처리실(S1~S4)의 공기가 탈취장치(7)의 내부로 흡입되는데, 이 흡입된 공기는 필터에 의하여 악취가 제거된 후 토출된다. 물론, 이 과정 중에는 처리실(S1~S4)의 수증기도 함께 배출된다. 즉, 탈취장치(7)는 처리실(S1~S4)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도 겸하는 것이다.
필터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면 어떠한 타입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나, 여기에서는 백금촉매필터를 적용하였다.
한편, 위의 설명과 달리 탈취장치(7)의 흡입관은 각 처리실(S1~S4)에 하나씩 연결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중 1은 케이싱인데, 이 케이싱(1)에는 앞서 설명한 처리탱크(3), 교반이송장치, 부착물 분리수단, 가열장치(5) 및 탈취장치(7)가 수용된다. 이 같은 케이싱(1)은 수용된 처리탱크(3)의 탱크 커버(10b)가 노출되도록 그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케이싱(1) 대신 프레임을 주재료로 하여 구성한 프레임구조물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부호 9는 캐스터인데, 캐스터(9)는 복수 개 구비되며 케이싱(1)의 저면에 장착되어 이동성을 부여한다.
또한, 도 2, 4에 도시된 컨트롤 박스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전자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바, 처리탱크 본체(10)에 투입된 유기성폐기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에 의한 자동화는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 매우 유용하겠다.
축 구동수단(50)의 모터(51)를 계속하여 한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처리 중인 유기성폐기물은 미처리된 상태로 배출될 것이다. 반면에, 모터(51)를 장시간 작동시키지 않으면, 미생물은 교반불충분으로 산소공급량이 부족하여 활발히 활동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모터(51)가 일정한 분(예를 들어, 6분) 간격으로 정방향, 정지, 역방향 순의 작동을 반복하도록 설정한다면 유기성폐기물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겠다.
한편, 처리탱크(3)는 복수 개의 받침대(2)에 의하여 케이싱(1)의 바닥으로부 터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탈취장치(7)는 그 토출관의 끝 부분이 케이싱(1)의 바닥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는 처리실(S1~S4)이 일직선형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처리실(S1~S4)은 일렬이되 적어도 한 번 꺾인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샤프트(30)는 꺾인 횟수에 비례하여 분할되어야 하고, 이 분할된 샤프트들 사이에는 기어 등 서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수단이 개재되어야 하겠다.
또한, 샤프트(30)는 그 길이가 과도하게 긴 경우 휨 등이 방지되도록 분할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분할된 샤프트들 사이에는 축 커플링이 개재된다.
또한, 위에서는 축 구동수단(50)이 하나 구비되고 축 구동수단(50)의 회전력이 샤프트(30)의 어느 한쪽 끝 부분에 전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축 구동수단(50)은 두 개 구비하여 각각의 회전력을 샤프트(30)의 양쪽 끝 부분에 각기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처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처리기의 격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폐기물 처리기의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교반이송날개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교반이송날개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 : 처리탱크 5 : 가열장치
7 : 탈취장치 10 : 처리탱크 본체
11 : 투입구 12 : 배출구
21,23,25 : 격벽 22,24,26 : 이송구멍
30 : 회전축 40 : 교반이송날개
50 : 축 구동수단 61,65 : 분리날개
S1~S4 : 처리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양쪽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서는 유기성폐기물이 처리되는 처리탱크 본체,
    서로 다른 부류의 미생물을 서로 다른 공간에서 생육할 수 있도록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내부를 복수의 처리실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처리실이 횡으로 일렬 배치되도록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세워지며 처리실 간 유기성폐기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구멍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
    상기 격벽을 관통하고 있도록 상기 처리탱크 본체에 횡으로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축 구동수단,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각 처리실에 적어도 하나씩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이 회전축이 회전되면 상기 처리탱크 본체에 투입된 유기성폐기물을 교반함과 동시에 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교반이송날개,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횡 방향인 좌우 내벽 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이 회전축이 회전되면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좌우 내벽에 달라붙는 유기성폐기물을 쳐 내어 낙하시키는 복수의 분리날개,
    상기 격벽에 달라붙는 유기성폐기물을 떼어 내고자 상기 격벽을 향하여 양쪽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좌우 내벽용 각 분리날개는, 앞면이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좌우 내벽과 마주하고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세워진 플레이트형의 날개부재, 상기 날개부재의 뒷면에 세워진 리브구조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5. 양쪽에 투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서는 유기성폐기물이 처리되는 처리탱크 본체,
    서로 다른 부류의 미생물을 서로 다른 공간에서 생육할 수 있도록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내부를 복수의 처리실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처리실이 횡으로 일렬 배치되도록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세워지며 처리실 간 유기성폐기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구멍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
    상기 격벽을 관통하고 있도록 상기 처리탱크 본체에 횡으로 설치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축 구동수단,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각 처리실에 적어도 하나씩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이 회전축이 회전되면 상기 처리탱크 본체에 투입된 유기성폐기물을 교반함과 동시에 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복수의 교반이송날개,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횡 방향인 좌우 내벽 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이 회전축이 회전되면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좌우 내벽에 달라붙는 유기성폐기물을 쳐 내어 낙하시키는 복수의 분리날개,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좌우 내벽에 달라붙는 유기성폐기물을 떼어 내고자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좌우 내벽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좌우 내벽용 각 분리날개는, 앞면이 상기 처리탱크 본체의 좌우 내벽과 마주하고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세워진 플레이트형의 날개부재, 상기 날개부재의 뒷면에 세워진 리브구조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6. 삭제
  7. 삭제
KR1020090020802A 2009-03-11 2009-03-11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KR101027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802A KR101027974B1 (ko) 2009-03-11 2009-03-11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802A KR101027974B1 (ko) 2009-03-11 2009-03-11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2903A Division KR100898750B1 (ko) 2008-09-22 2008-09-22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914A KR20100033914A (ko) 2010-03-31
KR101027974B1 true KR101027974B1 (ko) 2011-04-13

Family

ID=4218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802A KR101027974B1 (ko) 2009-03-11 2009-03-11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9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589B1 (ko) 2012-06-04 2012-10-30 주식회사 자동기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KR101988904B1 (ko) * 2018-12-03 2019-06-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처리용 미세 버블 펌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655B1 (ko) * 2011-12-28 2013-09-23 금호산업주식회사 수평형 혐기성소화조의 교반기
KR101278709B1 (ko) * 2012-03-14 2013-06-25 (주)에코트로닉스 유기성 고형폐기물의 무폐수 자원화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532144B1 (ko) * 2013-10-21 2015-06-26 금호산업주식회사 수평형 혐기성소화조
CN112605112B (zh) * 2020-11-25 2023-08-04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有机物污染净化处理装置
KR102549676B1 (ko) * 2021-07-05 2023-06-30 이재선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2494089B1 (ko) * 2021-12-22 2023-01-31 빛나매크로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파쇄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548B1 (ko) * 1996-06-18 1999-06-15 유철진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200186976Y1 (ko) * 2000-02-10 2000-06-15 두루환경위생주식회사 죽은 동물 및 폐기 육류 처리용 발효·소멸처리기
JP2006167561A (ja) * 2004-12-15 2006-06-29 Yuichi So 有機質廃棄物の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548B1 (ko) * 1996-06-18 1999-06-15 유철진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200186976Y1 (ko) * 2000-02-10 2000-06-15 두루환경위생주식회사 죽은 동물 및 폐기 육류 처리용 발효·소멸처리기
JP2006167561A (ja) * 2004-12-15 2006-06-29 Yuichi So 有機質廃棄物の処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589B1 (ko) 2012-06-04 2012-10-30 주식회사 자동기 파쇄장치를 갖는 멀티라인 믹서
KR101988904B1 (ko) * 2018-12-03 2019-06-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처리용 미세 버블 펌프 장치
WO2020116710A1 (ko) * 2018-12-03 2020-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처리용 미세 버블 펌프 장치
US11358894B2 (en) 2018-12-03 2022-06-14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Micro-bubble pump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914A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974B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KR100898750B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기
US5710042A (en) Solid organic waste processing apparatus
CN1317241C (zh) 有机废物处理装置
KR101667008B1 (ko) 슬러지 발효 감량장치
WO201604365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KR2006004056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7708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0718453U (zh) 一种生物有机肥料杀菌烘干装置
KR20040076914A (ko) 수직다단식 퇴비발효장치
CN110845256B (zh) 一种一体式高温生物发酵餐厨垃圾无害化处理设备
KR101219729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JP2020006325A (ja) 有機廃棄物発酵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KR101133925B1 (ko) 공기공급 시스템이 구비된 유기성폐기물 처리장치
KR100506535B1 (ko) 탈취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1876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303974B1 (ko) 발효·분해작용을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00050008A (ko) 유기성 쓰레기의 고속 소멸처리장치
JP3218111U (ja) 駆除動物分解処理装置
KR100756432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5215524B2 (ja) 堆肥発酵処理システム及び排気方法
KR102223631B1 (ko) 공기분사노즐 및 퇴비발효기
KR100539418B1 (ko) 수직다단식 퇴비발효장치
JP5757033B2 (ja) 有機廃棄物の処理装置
JP2004050172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