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507B1 - 폐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507B1
KR101195507B1 KR1020100061182A KR20100061182A KR101195507B1 KR 101195507 B1 KR101195507 B1 KR 101195507B1 KR 1020100061182 A KR1020100061182 A KR 1020100061182A KR 20100061182 A KR20100061182 A KR 20100061182A KR 101195507 B1 KR101195507 B1 KR 10119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creen
inlet
sort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747A (ko
Inventor
진수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웅비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웅비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웅비기계
Priority to KR1020100061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5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생활쓰레기 또는 건설 등 각종 산업폐기물들의 재활용을 위해 크기 또는 종류별로 선별 회수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선별장치는 처리를 위한 폐기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입ㆍ출구가 전ㆍ후단에 구비되고 프레임상에서 상기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출구 측으로 가며 점차 낮아지는 소정의 기울기로 설치되어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 단계적으로 소ㆍ대의 망목들과 이 망목의 주연에 상기 스크린의 외주벽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폐기물의 선별 시 폐수지들이 인접한 상기 망목들에 걸치어 휘감기는 현상을 방지하는 관형상의 엉킴억제요소가 구비되는 드럼형의 스크린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폐기물들을 스크린의 기울기에 의해 출구 측으로 흘러내리게 하면서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유기성 또는 가연성의 재활용물들을 구분 선별해내는 폐기물 선별장치로서, 엉킴억제요소는 입구에서 출구 측으로 가며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나팔관형으로 이룬 것과, 나팔관형으로 이루는 엉킹억제요소의 출구 측 단부에 폐수지의 끝부분이 말린 것을 간편히 절단해내는 절단날을 갖추어 망목에서 적체현상이나 사후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폐기물 선별장치{Apparatus for sorting industrial waste}
본 발명은 일반 생활쓰레기 또는 건설 등 각종 산업 현장에서 유출되는 폐기물들의 재활용을 위해 크기 또는 종류별로 선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별과정에서 스크린에 폐수지들의 엉킴현상을 방지하여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가정에서 유출되는 생활쓰레기 또는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 등에서 유출되는 각종 산업폐기물들의 재활용을 위해 크기 또는 종류별, 그 일례로 건설 폐기물의 경우를 보면 재사용이 가능한 모래, 자갈 등의 골재들 또는 농촌이나 생활쓰레기들은 종이, 유리병 플라스틱이나 폐수지들을 선별하여 처리하는 장치는 현재까지 여러가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선별장치는 가장 보편적으로 트롬멜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트롬멜은 대략 수평적으로 배치되고 처리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입.출구가 전.후단에 구비되는 드럼형의 스크린이 입구 측으로부터 출구 측으로 가며 점차 낮아지는 소정의 기울기로 설치되어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하고, 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처리물들을 그 기울기에 의해 출구 측으로 흘러내리게 하면서 처리물들을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선별을 이루어 재활용물들을 회수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트롬멜에서 처리대상물인 폐기물들의 선별은 상기에서와 같이 드럼형의 스크린에서 크기 또는 종류별로 이루는, 다시 설명하면 스크린에 구비되는 소.대의 망목에 따라 폐기물들을 크기 또는 종류별로 선별해내고 있는데, 이때 회전하는 드럼형의 스크린 내에서 처리물들을 스크린의 회전력에 의해 정점 측으로 끌어올렸다 자유낙하는 것으로 비산시키어 처리물에 함유된 모래 등 미세물들을 떨어냄과 분산효과를 얻어야 하나 처리물들을 스크린의 정점 측으로 끌어 올리지 못하고 하측에서 멤돌고 있어 처리효율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또 스크린의 망목에 폐수지들의 엉킴현상이 일어나는, 즉 스크린의 망목 크기와 같거나 작은 크기의 폐수지들은 망목을 원할히 통과되어 선별되나, 그 선별단계에서 미처 선별되지 못한, 예를 들어 스크린의 망목보다 큰 크기의 폐수지들은 망목을 쉬웁게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린의 회전력과 정전기 현상 등에 의해 인접한 망목 측으로 휘감아지는 엉킴현상이 일어나 스크린에 막힘현상을 일으키어 선별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처리장치에 치명적인 결함을 주게되는 주 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근래와 스크린의 망목 주연에 그 외주벽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고 설치되어 폐기물의 선별 시 폐수지들이 인접한 상기 망목들에 걸치어 휘감기는 현상을 방지하는 관형상의 엉킴억제요소를 갖추어 상기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으나, 망목의 주연에 설치되는 엉킴억제요소는 대략 직관형상, 즉 입ㆍ출구가 동일한 내경으로 이루어 그 엉킴억제요소에 감긴 폐수지로 인하여 내경이 좁아지는 경우 출구 측에서 적체현상이 일어나고 심경우에는 망목이 막히어 선별을 수행하는 못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으며, 그리고 엉킴억제요소의 높이 보다 긴 길이의 폐수지 경우 그 폐수지의 양단이 엉킴억제요소를 지나 끝부분이 서로 말리는 현상이 일어나 선별작업 후 작업자가 망목에 말려 있는 폐수지들을 별도 처리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망목에 말려 있는 폐수지의 풀림이 용이하지 않고 심하게 꼬여 있는 경우에는 뜯어내는 작업이 불가하여 별도의 절단도구를 이용해 끊어내어야 하는 등 그 사후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선별장치의 스크린 망목 주연에 선별되지 못한 폐수지들이 인접한 망목들에 걸치어 휘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엉킴억제요소를 입구에서 출구 측으로 가며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나팔관형상으로 이룸과 아울러, 그 주벽을 계단형으로 이루어 폐수지의 감긴 길이를 늘림과 동시, 그 단부에 말린 폐수지를 간편히 처리시킬 수 있는 절단날을 갖춤으로써, 망목의 막힘현상을 완전방지하여 선별성은 물론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고 사후처리작업이 용이한 폐기물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생활쓰레기 또는 건설 등 각종 산업폐기물들의 재활용을 위해 크기 또는 종류별로 선별 회수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선별장치는 처리를 위한 폐기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입ㆍ출구가 전ㆍ후단에 구비되고 프레임상에서 상기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출구 측으로 가며 점차 낮아지는 소정의 기울기로 설치되어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 단계적으로 소ㆍ대의 망목들과 이 망목의 주연에 스크린의 외주벽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폐기물의 선별 시 폐수지들이 인접한 상기 망목들에 걸치어 휘감기는 현상을 방지하는 관형상의 엉킴억제요소가 구비되는 드럼형의 스크린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폐기물들을 스크린의 기울기에 의해 출구 측으로 흘러내리게 하면서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유기성 또는 가연성의 재활용물들을 구분 선별해내는 폐기물 선별장치로서, 엉킴억제요소는 입구에서 출구 측으로 가며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나팔관형으로 이룬 것과, 나팔관형으로 이루는 엉킹억제요소의 출구 측 단부에 폐수지의 끝부분이 말린 것을 간편히 절단해내는 절단날을 갖추어 망목에서 적체현상이나 사후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 폐기물 선별장치에 따르면, 스크린의 각 망목 외주연에서 폐수지가 휘감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엉킴억제요소를 입구에서 출구 측으로 가며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나팔관형상으로 이루어 처리물들이 정체현상 없이 원할하게 배출되게 함으로써, 망목의 막힘현상으로 인한 치명적인 기계적인 문제점을 배제시킴과 아울러, 선별효율은 높이고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발명은 나팔관형상의 엉킴억제요소 단부에 절단날을 구비하여 엉킴억제요소에 말린 폐수지를 간편히 절단해내어 처리시키게 함으로써, 장치의 사후관리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폐기물 선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폐기물 선별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폐기물 선별장치에 적용되는 스크린의 정면도.
도 4의 (a)(b)는 도 3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 및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 B-B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절단날의 예시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형으로 이루는 폐기물 선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정면 및 측면도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 폐기물 선별장치는 프레임(10) 상에서 받침롤러(12)들을 이용해 탑재되어 별도의 구동모터(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주위를 하우징(13)으로 감싸아 밀폐공간 내에 설치되는 드럼형의 스크린(20)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13)의 상부 전ㆍ후방에 폐기물의 처리과정 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출방식으로 처리하는 집진구(21,22)들을 갖는다.
또 스크린(20)의 하부에는 전ㆍ후 2부분으로 나누어 설치되는 배출통로(13a,13b)를 통해 스크린(20)에서 선별된 폐기물을 구분하여 받아내는 유기물 배출컨베이어(23)과 가연물 배출컨베이어(2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스크린(20)의 출구(26) 하부에는 스크린(20)에서 선별되지 못한 폐기물들을 재선별시키기 위한 피드백 컨베이어(27)가 구비되며, 유기물,가연물 배출컨베이어(23,24)의 하부에 선별된 폐기물들을 다음 처리공정으로 운반시키기 위한 이송컨베이어(27a)들이 연이어 설치된다.
그리고 드럼형의 스크린(20)은 그 전ㆍ후단에 처리를 위한 폐기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입ㆍ출구(25,26)가 구비되고, 입구(25) 측으로부터 출구(26) 측으로 가며 점차 낮아지는 소정의 기울기로 설치되어 구동모터(14)에 의해 다단계적으로 구비되는 소ㆍ대의 망목(20a)들을 이용해 폐기물들을 입구(25) 측에서 출구(26) 측으로 흘러내리게 하면서 크기 또는 유기성 또는 가연성 등의 재활용물들을 순차적으로 종류별로 선별해 내게 될 것이다.
또 투입되는 폐기물들을 스크린(20) 내에서 원할하게 분산시킴과 동시, 폐기물들 내의 폐수지들이 스크린(20)의 망목(20a)들에 휘감기어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게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20)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3에서와 같이 스크린(20)의 입구(25) 내주연에 그 주벽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고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투입되는 폐기물들을 스크린(20)의 정점 측으로 퍼올리어 분산시키는 날개형의 디퍼(28)들을 갖는다.
이러한 디퍼(28)들은 스크린(20)의 입구(25) 내주벽에서 폐기물들을 처리 진행방향으로 밀어내도록 나선상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로서, 스크린(20) 각기의 망목(20a) 들 주연에 스크린(20)의 외주벽으로부터 망목(20a)들의 간격보다 큰 높이를 가지고 설치되어 폐수지들의 선별 시 망목(20a)들을 통과하지 못한 긴 길이의 폐수지들이 인접한 망목(20a)들에 걸치어 휘감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관형상의 엉킴억제요소(30)를 갖추게 되는데, 이러한 엉킴억제요소(30)는 도면에서와 같이 입구에서 출구 측으로 가며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나팔관형으로 이루어서 통과되는 폐기물의 정체현상 요인을 완전 배제하게 된다.
또 이와 같이 구성된 나팔관형의 엉킴억제요소(30) 주벽이 적어도 1이상의 계단형으로 이루어 그 주벽의 길이를 늘이어 엉킴억제요소(30)에 걸치어지는 폐수지의 길이를 보다 길게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나팔관형의 엉킴억제요소(30)의 출구 측 단부에 말린 폐수지를 간편히 처리시킬 수 있는 절단날(32)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 절단날(32)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은 일반적인 칼날이거나 톱날형상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폐기물 선별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린(20)는 구동모터(14)에 의해 적당한 속도를 가지고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의 회전속도는 가능한 저속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회전하는 스크린(20)의 입구(25) 측에 전단계에서 분쇄나 파쇄기 등을 이용해 일차 처리된 폐기물들이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해 투입되고, 투입된 처리물들은 입구(25) 내주벽에 구비시킨 디퍼(28)들에 의해 스크린(20) 정점 측으로 퍼올린 후 상부 측에서 낙하시키어 원할 한 비산효과를 얻어 미세먼지는 집진구(21)들을 통해 흡출해내면서 서로 엉킨 처리물들을 분산하게 된다.
그리고 스크린(20)의 그 기울기에 의해 처리물들은 출구(26) 측으로 구름작용과 동시 흘러내리면서 소ㆍ대의 망목(20a)들에 의해 선별되어 유기성 처리물은 유기물 배출컨베이어(23)로, 또 가연성 처리물은 가연물 배출컨베이어(24)로 처리되고 선별되지 않은 미처리 폐기물들은 출구(26)를 통해 배출될 것이다.
이때 스크린(20)의 망목(20a)들 외주연에 구비되는 엉킴억제요소(30)의 높이에 의해 망목(20a)들의 크기보다 긴 길이의 폐수지들이 인접한 망목(20a)에 스크린(20)의 회전력 또는 폐수지물의 정전기 등에 의해 휘감기어 엉키는 현상을 예방하여 폐수지들에 의한 망목의 막힘을 완전방지하고 따라서 장치의 신뢰성은 물론 선별작업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엉킴억제요소(30)가 나팔관형상으로 이루어서 망목(20a)을 통해 엉킹억제요소(30)로 통과하는 폐기 처리물들의 정체현상을 예방함은 물론 그 단부에 구비되는 절단날(32)를 이용해 감긴 폐수지들을 간편히 절단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스크린 20a :망목
25 :입구 26 :출구
28 :디퍼 30 :엉킴억제요소
32 :절단날

Claims (3)

  1. 처리를 위한 폐기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입ㆍ출구(25,26)가 전ㆍ후단에 구비되고 프레임(10)상에서 상기 입구(25) 측으로부터 상기 출구(26) 측으로 가며 점차 낮아지는 소정의 기울기로 설치되어 별도의 구동모터(14)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 단계적으로 소ㆍ대의 망목(20a)들과 이 망목(20a)의 주연에 스크린(20)의 외주벽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폐기물의 선별 시 폐수지들이 인접한 망목(20a)들에 걸치어 휘감기는 현상을 방지하는 관형상의 엉킴억제요소(30)가 구비되는 드럼형의 스크린(20)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입구(25)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폐기물들을 스크린(20)의 기울기에 의해 출구(26) 측으로 흘러내리게 하면서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유기성 또는 가연성의 재활용물들을 구분 선별해내는 폐기물 선별장치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것;
    상기 엉킴억제요소(30)는 입구(25)에서 출구(26) 측으로 가며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나팔관형으로 이룬 것;
    상기 나팔관형으로 이루는 엉킹억제요소(30)의 출구(26) 측 단부에 구비되어 폐수지의 끝부분이 말린 것을 절단해내는 절단날(32)을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팔관형으로 이루는 엉킴억제요소(30)의 주벽이 계단형으로 이룬 것을 더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32)은 톱날형으로 이룬 것을 더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장치.
KR1020100061182A 2010-06-28 2010-06-28 폐기물 선별장치 KR10119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182A KR101195507B1 (ko) 2010-06-28 2010-06-28 폐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182A KR101195507B1 (ko) 2010-06-28 2010-06-28 폐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47A KR20120000747A (ko) 2012-01-04
KR101195507B1 true KR101195507B1 (ko) 2012-11-01

Family

ID=4560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182A KR101195507B1 (ko) 2010-06-28 2010-06-28 폐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1469A (zh) * 2016-10-11 2017-02-15 李斌凯 住建工程用分离立式筛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4509A (zh) * 2015-08-11 2017-05-24 李智路 一种滚筒筛式城市垃圾中转站归类、分拣、封存系统
KR102627995B1 (ko) 2023-10-27 2024-01-23 최석규 생활폐기물 분리용 선별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5257A (ja) 2003-02-25 2004-09-16 Chikasuke Ikai 瓶、缶、その他のゴミ類・収容袋分離装置
JP2007312632A (ja) 2006-05-24 2007-12-06 Yukihisa Oe 草木根混入土の分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5257A (ja) 2003-02-25 2004-09-16 Chikasuke Ikai 瓶、缶、その他のゴミ類・収容袋分離装置
JP2007312632A (ja) 2006-05-24 2007-12-06 Yukihisa Oe 草木根混入土の分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1469A (zh) * 2016-10-11 2017-02-15 李斌凯 住建工程用分离立式筛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47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793B1 (ko) 이물질처리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1195507B1 (ko) 폐기물 선별장치
KR101197299B1 (ko) 폐기물 선별장치
US2050458A (en) Apparatus for preparing aggregates
CN105688489B (zh) 一种滚筒筛分机
KR101196306B1 (ko) 폐합성수지 및 토사선별을 위한 회전디스크 선별장치
KR101746363B1 (ko) 파봉기
KR102259772B1 (ko) 트롬멜 선별기
KR101952538B1 (ko) 건축 자재용 골재 생산을 위한 파쇄 플랜트 시스템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CN105945037B (zh) 一种再生回收物料的疏解、摊铺和筛选装置及方法
KR101943380B1 (ko) 일체형 복합 선별 장치와 그 방법
KR20170114328A (ko) 멍게선별기
KR101883989B1 (ko) 건설폐기물 재활용 골재선별장치
KR20030026681A (ko) 재생골재 선별기
KR20120042573A (ko) 병렬타입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2165173B1 (ko) 경량이물질 제거판 및 제거판의 청소를 위한 클리닝 모듈을 구비한 경량이물질 선별용 트롬멜 및 이를 구비한 건설폐기물의 선별분리장치
KR102143492B1 (ko) 걸림부재와 제거패널을 이용한 경량폐기물 선별가능 구조의 트롬멜 및 이를 구비한 건설폐기물의 선별분리장치
KR20050012079A (ko) 선별장치
KR20120046889A (ko) 트로멜 및 이 트로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KR101629369B1 (ko) 폐비닐 선별 시스템
JP6508452B2 (ja) シート製造装置
KR101659409B1 (ko) 복합 폐기물 분리장치
KR20050084718A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1240073B1 (ko) 트로멜 및 이 트로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