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038B1 - Siderwalk for bridge - Google Patents

Siderwalk for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038B1
KR101195038B1 KR1020120057879A KR20120057879A KR101195038B1 KR 101195038 B1 KR101195038 B1 KR 101195038B1 KR 1020120057879 A KR1020120057879 A KR 1020120057879A KR 20120057879 A KR20120057879 A KR 20120057879A KR 101195038 B1 KR101195038 B1 KR 101195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bridge
fixed
coupled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8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건설
문지훈
주식회사에이치아이엠건설
주식회사 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건설, 문지훈, 주식회사에이치아이엠건설, 주식회사 아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건설
Priority to KR102012005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0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0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URPOSE: A temporary sidewalk for a bridge is provided to improve durability by dispersing loads applied to anchor bolts for coupling a bridge deck and the temporary sidewalk to each other. CONSTITUTION: A temporary sidewalk for a bridge comprises a walking portion(110), a main support portion, and a sub support portion. The walking portion is installed in a lin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bridge deck(S) and comprises a base bracket and a walking plate. The main support portion comprises first and second supports and a connection. The first support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walking portion. The second support is coupled to a bridge. The connection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to each other. The sub support portion comprises a fixed post and an ascending and descending post. One end of the fixed pos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portio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ost is coupled to the fixed post, and 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walking portion.

Description

교량용 가설인도{Siderwalk for bridge}Sidewalk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가설인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상판, 교각 등 교량 일정 영역의 하부에서 가설인도의 하부까지 이어져 설치되는 동시에 교량 일정 영역 및 가설인도의 하부에 간격을 조절하며 고정되는 받침구조를 포함하여 이러한 받침구조가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가설인도에 호환 적용되면서 가설인도를 지지하고 이를 통해 교량상판과 가설인도의 결합용 앵커볼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완화시켜 교량에 대한 견고한 설치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교량용 가설인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struction of temporary construction for bridges, and in particular, the support structure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temporary construction of the bridge top area, such as bridge decks, bridges and installed at the same time while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area of the bridg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In addition, this supporting structure is compatible with temporary delivery of various shapes and sizes, supporting the temporary delivery, and distributing and reducing the load on the anchor bolts for joining the bridge deck and the temporary delivery. It is about sustainable bridge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바다, 협곡 등을 건너다니도록 만든 시설물을 말하며, 그 설치되는 장소의 주변 환경 및 사용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공법으로 시공된다.In general, a bridge refers to a facility made to cross rivers, seas, canyons, and the like, and is constructed in various forms and methods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use of the site where the bridge is installed.

이러한 교량은 거더(girder)와 상판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 및 상기 상부 구조물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교각과 교대로 크게 구분되며, 상부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단순교, 연속교, 게르버교, 트러스교, 슬래브교, 아치교, 라멘교, 현수교 및 사장교 등으로 구분된다.These bridges are largely divided into an upper structure including a girder and a top plate and an pier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upper structure, a simple bridge, a continuous bridge, a Gerber bridge, a truss bridge, a slab It is divided into bridge, arch bridge, ramen bridge, suspension bridge and cable-stayed bridge.

그리고 교량에는 차량 통행을 위한 차도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통행을 위한 인도가 함께 설치되기도 하며, 이때 교량의 인도는 별도의 방법에 의해 설치되기 보다는 차도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난간 등으로 구획시켜 형성한다.In addition, the bridge may be provided with sidewalks for the passage of pedestrians as well as roads for vehicle traffic. At this time, the sidewalks of the bridge are formed by partitioning the edge of the roadway with railings, rather than being installed by a separate method.

또한, 최근에 시공되거나 시공 중인 교량은 대부분 인도가 함께 설치되나, 과거 차량 통행을 주목적으로 했던 교량에는 인도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이와 같이 인도를 설치하지 않은 교량에 보행자의 통행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기시공된 교량 양측에 별도의 인도를 설치해야 한다. 여기서 인도를 별도의 교량 형태로 설치할 경우 과다한 비용 소요 등 비효율적인 측면이 많고, 상기 이유로 기존 차도의 일부분을 인도로 대체할 경우 상대적으로 차도가 좁아져 차량의 원활한 통행에 지장을 받게 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한다.In addition, most of the bridges that are being constructed or under construction are often provided with sidewalks, but in the past, bridges that were primarily intended for vehicle traffic were often not installed. Thus, bridges without sidewalks are provided with pedestrian traffic functions. In order to do this, separate sidewalks should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structed bridge. In this case, when sidewalks are installed in a separate bridge form, there are many inefficient aspects such as excessive costs, and when a part of the existing roadway is replaced with sidewalks, the sidewalks are relatively narrowed, which hinders smooth traffic. Occurs.

따라서 통상적으로 기시공된 교량에 인도를 가설하는 방식이 사용된다.Therefore, in general, the method of laying the sidewalk in the construction bridge is used.

도 1은 기시공된 교량에 보도를 가설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용 가설인도(10)는 베이스플레이트(11), I빔브라켓(12), 발판(13), 보행자 보호난간(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struction of the sidewalk on the bridge, as shown,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for the construction 10 is a base plate 11, I beam bracket 12, scaffolding 13, pedestrian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ard rail (14).

베이스플레이트(11)는 교량의 상판(1, 이하 “교량상판”이라 함) 양측 또는 교량상판(1)의 일측 단부에 체결수단(11a)을 통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고, I빔브라켓(12)은 베이스플레이트(11)에 용접되어 교량상판(1)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발판(13)은 I빔브라켓(12)의 위에 고정된다. 또한, 보행자 보호난간(14)은 I빔브라켓(12)의 외측 상단부에 체결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1)의 교량상판(1)에 대한 체결수단(11a)으로써 통상 복수의 앵커볼트가 사용된다.Base plate 11 is fixed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fastening means (11a) on both sides of the top plate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bridge top plate") of the bridge or one end of the bridge top plate, I beam bracket 12 Is welded to the base plate 11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1, and the foot plate 13 is fixed on the I beam bracket 12. In addition, the pedestrian guardrail 14 is fixed to the outer upper end of the I-beam bracket 12 in a fastening manner. And a plurality of anchor bolts are usually used as the fastening means (11a) to the bridge top plate 1 of the base plate (1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량용 가설인도는 그 구조물 전체가 교량상판에 대한 앵커볼트의 체결된 힘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고정 설치되고, 이때 앵커볼트는 교량상판에 수평 방향의 체결을 하는 반면, 교량용 가설인도는 보행자로부터 수직 방향의 하중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교량용 가설인도는 시공 후 보행자들의 보행 및 그에 따른 수직 방향의 하중 작용 시, 그 하중이 교량상판에 대한 앵커볼트의 체결 부위에 집중되고, 이러한 현상은 계속해서 반복되므로 교량상판의 앵커볼트를 체결한 부분에 마모 및 훼손이 조금씩 지속 발생되고 결국에는 앵커볼트가 교량상판에 견고히 체결되지 못하는 상태까지 악화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ridge construction guide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structure is fixed and completely installed depending on the fastening force of the anchor bolts to the bridge deck, where the anchor bolts are fast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bridge deck, while for bridges The hypothesis delivery receives a vertical load from the pedestrian. Accordingly, the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for the pedestrian walks after construction and the loa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anchor bolt to the bridge deck, this phenomenon is repeated repeatedly anchors of the bridge deck Abrasion and damage occurs little by little on the part where the bolt is fastened, and eventually, the anchor bolt may worsen until it is not firmly fastened to the bridge deck.

그리고 이는 교량용 가설인도가 교량에 견고히 결합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져, 교량용 가설인도를 지나는 보행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유발시키는 동시에 신속히 보수 조치를 하지 않을 경우 보행자의 실제 추락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is may result in the bridge construction not being firmly coupled to the bridge, causing psychological anxiety of the pedestrian passing through the bridge construction and leading to the actual crash of the pedestrian if the measures are not taken quick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교량상판, 교대(교각), 거더 등 교량 일정 영역의 하부로부터 가설인도의 하부까지 이어져 설치되어 가설인도의 하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가설인도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당 량 교량으로 전달하고 이를 통해 교량상판과 가설인도의 결합용 앵커볼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완화시켜 교량에 대한 견고한 설치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교량용 가설인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install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constant area, such as bridge deck, alternating (pier), girder to the lower part of the hypothesis India is supported while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hypothesis guidance It provides the bridge construction guide for the long-term maintenance of the solid installation state of the bridge by distributing and reducing the load on the anchor bolt for joining the bridge deck and construction guide.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교량상판, 교대(교각), 거더 등 교량 일정 영역의 하부 및 가설인도의 하부와 간격을 조절하며 고정되는 받침구조를 포함하여 이러한 받침구조가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가설인도에 호환 적용되면서 가설인도를 지지하고 이를 통해 교량상판과 가설인도의 결합용 앵커볼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완화시켜 교량에 대한 견고한 설치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교량용 가설인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tible with the hypothesi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including a support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bridge, such as bridge deck, bridges (girder), girder and the gap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hypothesis delivery and fix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emporary construction guide for bridges that can support the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and to disperse the load applied to the anchor bolts of the bridge deck and constru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는, 교량상판의 폭 방향 측면에 상기 교량상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상태로 설치되는 보행부와,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고정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교량상판을 포함한 교량에 고정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제2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메인 받침부와,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받침부에 결합되는 서브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k portion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on the width direction side of the bridge top plate, the adjustment of the fixed heigh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 portion A main support portion including a first support coupled to a state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bridge including the bridge top plate and a second support coupled to a state in which a fixed height is adjustable,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One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ortion, and at least a par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b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main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메인 받침부는 그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각각 상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부메랑 형태이며, 상기 서브 받침부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상기 보행부의 하부 및 상기 메인 받침부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포스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support part may have a boomerang shape in which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r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based on a cross-sectional shape cut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reof, and the sub support part has a length in the length direction thereof. Both ends are in the form of a pos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각각 그 일단에 관 형태의 회전형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보행부는 그 하부에 상기 회전형 너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하강 안내볼트가 상기 회전형 너트의 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s provided with a rotary nut of tubular shape at one end thereof, and the walking portion is a lifting guide bolt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tary nu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nu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more than the number of.

그리고, 상기 서브 받침부는 상기 메인 받침부에 그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포스트 및 상기 고정포스트의 타단과 간격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고정포스트에 결합되는 동시에 그 일단은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승하강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b support portion is coupled to the fixed post in such a state that the end of the sub support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can be adjusted, and one end thereof is scre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post.

그리고, 상기 메인 받침부의 제2 지지부는 상기 교량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서브 받침부의 서로 결합되는 고정포스트와 승하강 포스트의 여러 쌍 중 적어도 하나의 쌍은 상기 교량상판의 폭 방향 일단과 인접한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upport part of the main support part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upper plate, and at least one pair of several pairs of fixed posts and lifting posts coupled to each other of the sub support part is adjacent to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upp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 portion.

그리고, 상기 고정포스트와 승하강 포스트는 각각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받침부는 상기 고정포스트 및 승하강 포스트의 제1 고정홀과 대응되는 제2 고정홀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고정포스트 및 승하강 포스트의 마주하는 양측을 이어 감싸는 포스트 연결부재, 및 상기 포스트 연결부재의 제2 고정홀과 상기 고정포스트나 승하강 포스트의 제1 고정홀에 차례로 끼워져 상기 포스트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고정포스트와 승하강 포스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포스트 연결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ed post and the lifting post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fixing hole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sub support part has a second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hole of the fixing post and the lifting post. A post connection member which surrounds the opposite sides of the fixed post and the elevating post, and a second fixing hole of the post connecting member and a first fixing hole of the fixed post or the elevating post in order to form the pos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st connection bolt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fixed post and the elevating post via a connecting member.

또한, 상기 메인 받침부는 상기 교량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포스트 및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포스트 그리고 상기 제1 포스트와 제2 포스트의 마주하는 각 타단을 상호 간격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support part may include a first post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a second post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ortion, and each other end facing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in a state capable of adjusting the mutual spacing.

그리고, 상기 제1 포스트는 상기 교량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 및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포스트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포스트는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 및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포스트 그리고 상기 연결포스트의 타단에 상기 제2 포스트의 전체 길이 조절을 위해 나사 결합되는 제2포스트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ost includes a fixed bracket coupled to the bridge and a first post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bracket, and the second post includes a fixed bracke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ar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ost that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and the second post body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ost for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second post.

그리고, 상기 제1 포스트는 상기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post is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pier or alternating.

그리고, 상기 제1 포스트 및 제2 포스트는 각각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포스트 및 제2 포스트의 제1 고정홀과 대응되는 제2 고정홀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제1 포스트 및 제2 포스트의 마주하는 상기 타단을 이어 감싸는 포스트 연결부재, 및 상기 포스트 연결부재의 제2 고정홀과 상기 제1 포스트나 제2 포스트의 제1 고정홀에 차례로 끼워져 상기 포스트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제1 포스트와 제2 포스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포스트 연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has a plurality of first fixing holes formed along its length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means has a second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holes of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A post connection member which surrounds the other end facing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with a hole formed therein, and a second fixing hole of the post connection member and a first fixing hole of the first post or the second post. Inserted in order to include a post connection bolt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via the post connection member.

그리고, 상기 서브 받침부는 상기 교량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포스트 및 상기 고정 포스트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및 선택 고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고정 포스트 그리고 상기 고정 포스트의 타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어 상기 메인 받침부의 제2 포스트와 결속되는 포스트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ub support portion is fixed to th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and one e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and the inclined upwardly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And a post support bar engaged with the second post of the main support part.

그리고, 상기 선택고정 포스트는 상기 고정 포스트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및 선택 고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스트본체 및 상기 포스트본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본체의 고정 시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lection fixing pos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ost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post body and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 when fixing the post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bracket.

그리고, 상기 포스트본체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포스트본체 및 상기 제1 포스트본체의 타단에 상기 포스트본체의 전체 길이 조절을 위해 나사 결합되는 제2포스트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st body may include a first post body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and a second post body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ost body for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post body. It features.

그리고, 상기 고정 포스트는 상기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xed post is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pier or alternating.

그리고, 상기 포스트 지지바는 상기 제2 포스트의 결속용 벨트를 삽입 후 내면에 지지시키는 벨트권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ost support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lt winding groove for supporting the inner belt after the binding belt of the second post is 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는, 교량상판의 폭 방향 측면에 상기 교량상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상태로 설치되는 보행부와, 상기 보행부의 하부 및 교량상판의 하부에 양측이 각각 고정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그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중앙의 절곡부로부터 좌우 양측이 각각 상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형태의 제1 메인받침부와, 상기 교량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포스트 및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포스트 그리고 상기 제1 포스트와 제2 포스트의 마주하는 각 타단을 상호 간격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제2 메인받침부와, 상기 교량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포스트 및 상기 고정 포스트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및 선택 고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고정 포스트 그리고 상기 고정 포스트의 타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어 상기 메인 받침부의 제2 포스트와 결속되는 포스트 지지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the temporary construction for th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k portion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on th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the lower side of the walk por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bridge top plate respectively fixed height The first main support portion is coupled to the adjustable state, the first main support portion of the form extending inclin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from the bent portion in the center on the basis of the cross-sectional shape cut along the width direction, once in the bridge The first post coupled to the rotatable and the second post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 portion and the connection connecting the opposite ends of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in a state capable of mutually adjustable A second main bearing portion including means, a fixed post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and one end at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It is obliquely extends up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election the rotation and the fixed selection possibly combined fixed post and the fixing pos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r support post that is bound to the second post of the main suppor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제1 메인받침부는, 상기 제1 메인받침부의 절곡부나 경사지게 연장된 양측에 그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포스트 및 상기 고정포스트의 타단과 간격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고정포스트에 결합되는 동시에 그 일단은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승하강 포스트를 포함하는 보조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main support portion is coupled to the fixed post in a state in which a fixed post and one end of which are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the bent portion or the obliquely extending side of the first main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are adjustable. At the same time, the one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support including a lifting post scre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ortion.

또한, 보행부는 상기 교량상판의 폭 방향 측면에 그 폭 방향의 측면이 적어도 하나의 앵커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베이스 브래킷과 상기 베이스 브래킷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lk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se bracket coupled to the width direction side of the bridge top plate by at least one anchor bolt and a walking plate which is installed on the base bracket.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용 가설인도의 보행부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구조가 보행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보행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당 량 교량으로 전달하며, 이에 따라 교량상판과 보행부의 결합용 앵커볼트에 가해지는 하중이 사방으로 분산되는 동시에 받침구조의 지지 작용에 의해서 교량용 가설인도는 처짐이나 하중에 의한 유동 현상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교량에 대한 견고한 설치 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structur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ortion of the bridge construction in India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ransfers the load applied to the walking portion to a considerable amount of bridges, accordingly the anchor for coupling the bridge plate and the walking portion The load applied to the bolts is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supporting structure can maintain the rigid installation state of the bridge semi-permanently without causing sag or load flow phenomenon.

또한, 교량용 가설인도를 지지하는 받침구조가 그 전체적인 길이 조정 기능을 통해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받침부에 호환 적용될 수 있는 동시에 받침구조와 교량상판 간 거리에 별다른 구애를 받지 않으면서 설치되어 보행부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structure supporting the temporary construction of bridges can be applied to the supporting part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through the overall length adjustment function, and it is installed without any regard for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 and the bridge deck. Can support the lower part.

도 1은 종래 교량용 가설인도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에서 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에서 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를 보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mporary bridge for the conventional bridg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a temporary construction for the bridg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bridge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temporary construction guide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a temporary construction for the bridg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bridge
5 and 6 are enlarged views of main parts in a temporary construction guide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is a view showing a hypothesis for the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의 보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reinforcement apparatus of the temporary guideway for th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의 구성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교량용 가설인도는 보행부 및 이러한 보행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메인 받침부 및 서브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Prior to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struction of a temporary construction guid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temporary construction guide for a bridge includes a walking part and a main supporting part and a sub supporting part supporting the walking part from below. .

보행부는 교량상판의 폭 방향 측면에 상기 교량상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상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보행부는 그 폭 방향의 측면이 상기 교량상판의 폭 방향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메인 받침부는 보행부의 하부에 고정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교량상판을 포함한 교량에 고정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제2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브 받침부는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받침부에 결합된다.The walking part is installed in a stat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side of the bridge top plate, the walking side is fixed to the width direction side of the bridge top plate through at least one anchor bolt. The main support par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art in a state capable of adjusting a fixed height, and a second support part coupled to a bridge including the bridge top plate in a state capable of adjusting a fixed height, and the first support part and a first support part.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connection part which connects 2 support parts. In addition, one side of the sub support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support portion is coupl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교량용 가설인도는 교량상판에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그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 받침부 및 서브 받침부를 통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교량용 가설인도를 통한 보행자의 보행 시, 교량용 가설인도에 가해지는 하중이 앵커볼트, 메인 받침부, 서브 받침부에 분산되어 전달되고, 이는 교량용 가설인도가 그 설치 후 오랜 기간 보행자의 하중을 전달받더라도 쉽게 하방향으로 처지거나 교량상판과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현상 없이 견고하고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하는 결과로 나타난다.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temporary construction guide for the bridge is fixed to the bridge plate through the anchor bolt, and at the same time is supported through the main support portion and the sub support portion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Accordingly, when the pedestrian walks through the bridge construction guide, the load applied to the bridge construction guide is distributed to the anchor bolt, the main support section, and the sub support section, which is a long tim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bridge construction guide. Even when receiving the pedestrian load, it is easy to sag downward and maintain a stable and stable installation without weakening the coupling force with the bridge deck.

그러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Next, embodiments of the hypothesis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에서 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bridge construction guid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ridge,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bridge construction guide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100)는 보행부(110), 메인 받침부(120), 서브 받침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bridge construction hypothesi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king part 110, a main support part 120, and a sub support part 130.

보행부(110)는 교량상판(S)의 폭 방향 측면에 교량상판(S)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보행부(110)는 베이스 브래킷(113)과 보행 플레이트(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베이스 브래킷(113)은 그 폭 방향의 측면이 교량상판(S)의 폭 방향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앵커볼트(112)에 의해 결합되고, 보행 플레이트(114)는 이러한 베이스 브래킷(113)의 상부에 설치된다.The walking part 110 is installed in the stat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upper plate (S) on th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upper plate (S). The walking part 1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bracket 113 and the walking plate 114, the base bracket 113 is a side of the width direction at least one anchor on th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S) Coupled by bolts 112, the walking plate 114 is installed on top of this base bracket 113.

메인 받침부(120)는 그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부메랑 형태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메인 받침부(120)는 중앙의 연결부(121)로부터 제1 지지부(122)와 제2 지지부(123)가 각각 교량상판(S)의 하부를 향해 상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여기서, 제1 지지부(122)와 제2 지지부(123)의 일단에는 각각 관 형태의 회전형 너트(122a,123a)가 구비되고, 보행부(110)의 베이스 브래킷(113)에는 회전형 너트(122a,123a)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하강 안내볼트(111)가 회전형 너트(122a,123a)의 수 이상으로 구비된다.The main support part 120 is formed in a boomerang shape based on the cross-sectional shape cut along the width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main support portion 120 is a form in which the first support portion 12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3 exten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21 at the cent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top plate S, respectively. Here,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122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23 is provided with tubular rotary nuts 122a and 123a, and the base bracket 113 of the walking part 110 has a rotary nut ( Lifting guide bolt 111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122a, 123a is provided with more than the number of the rotary nut (122a, 123a).

이에 따라 메인 받침부(120)는 승하강 안내볼트(111)에 대한 회전형 너트(122a,123a)의 나사 결합 위치를 조정하여 그 설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인 받침부(120)는 승하강 안내볼트(111)의 회전 조작을 통해 승하강 안내볼트(111)를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설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형 너트(122a,123a)의 하단에는 승하강 안내볼트(111)를 외부로부터 가리기 위한 캡(123b)이 결합되고, 승하강 안내볼트(111)의 상단과 보행부(110)의 베이스 브래킷(113) 하면 사이에 패드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in support portion 120 by adjusting the screw engagement position of the rotary nut (122a, 123a) with respect to the elevating guide bolt 111 can be adjusted the installation height. In other words, the main support portion 120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elevating guide bolt 111 throug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elevating guide bolt 111 can be adjusted the installation height. Then, the cap 123b for covering the lifting guide bolt 111 from the outside is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rotatable nuts 122a and 123a, and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guide bolt 111 and the base of the walking part 110. The pad member 14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rfaces of the bracket 113.

서브 받침부(130)는 그 일단이 메인 받침부(120)에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포스트(131) 및 이러한 고정포스트(131)의 타단과 간격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포스트(131)에 결합되는 승하강 포스트(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승하강 포스트(132)의 일단은 보행부(110)의 하부에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브래킷(113)의 하부에는 승하강 포스트(132)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결합브래킷(135)이 설치된다.The sub support part 130 is coupled to the fixed post 131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part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131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131 are adjustab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fting post 132, one end of the lifting post 132 is scre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ortion (110). Accordingly, a coupling bracket 135 for screwing the elevating post 132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bracket 113 is installed.

그리고 메인 받침부(120)의 제2 지지부(122)는 교량상판(S)의 하부에 결합되며, 서브 받침부(130)의 서로 결합되는 고정포스트(131)와 승하강 포스트(132)의 여러 쌍 중 적어도 하나의 쌍은 교량상판(S)의 폭 방향 일단과 인접한 베이스 브래킷(113)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량상판(S)과 보행부(110) 간의 서로 접하는 인접 영역이 서브 받침부(130)의 고정포스트(131)와 승하강 포스트(132) 그리고 메인 받침부(120)에 의해 견고히 지지된다.The second support part 122 of the main support part 1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top plate S, and the fixed post 131 and the lifting post 132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of the sub support part 130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least one pair of pairs may b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e bracket 113 adjacent to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S). Accordingly, adjacent areas between the bridge top plate S and the walking part 110 are firmly supported by the fixed post 131, the lifting post 132, and the main support part 120 of the sub support part 130. do.

부연 설명하면, 기존 교량용 가설인도들은 보행 영역에 가해지는 하중이 가설인도와 교량상판을 결합시키는 앵커볼트에 집중되고 이러한 앵커볼트에 대한 하중 집중 현상이 가설인도의 구조적 안정성을 방해하는 주요인이므로, 고정포스트(131) 및 승하강 포스트(132)를 통해 앵커볼트(112)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보행부(110)의 앵커볼트(112) 하부 영역을 직접 지지시킨다. 따라서 보행부(110)는 교량상판(S)과 베이스 브래킷(113)의 앵커볼트(112)를 통한 결합 부분을 견고한 결합 상태로 장기간 유지시키고, 이를 통해 처짐이나 하중 전달시 상하로 유동하는 현상을 발생하지 않은 채 반영구적으로 최초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existing bridge construction guides, the load applied to the walking area is concentrated on the anchor bolts connecting the construction guide and the bridge deck, and the load concentration phenomenon on the anchor bolts is the main factor that hinder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onstruction guide.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anchor bolt 112 through the fixed post 131 and the elevating post 132 and directly supports the lower region of the anchor bolt 112 of the walking part 110. Therefore, the walking unit 110 maintains the coupling portion through the anchor bolt 112 of the bridge top plate (S) and the base bracket 113 for a long time in a rigid coupling state, through which the phenomenon of flowing up and down during deflection or load transmission. You can maintain the initial installation semi-permanently without any occurrence.

그리고 서브 받침부(130)는 포스트 연결부재(133) 및 포스트 연결볼트(134)를 더 포함하여 그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형태일 수 있고, 이를 위해 고정포스트(131)와 승하강 포스트(132)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고정홀(131a, 132a)이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b receiv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post connecting member 133 and a post connecting bolt 134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thereof, and for this purpose, the fixed post 131 and the elevating post 1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fixing holes 131a and 132a are formed, respectively.

포스트 연결부재(133)는 고정포스트(131)의 제1 고정홀(131a) 및 승하강 포스트(132)의 제1 고정홀(132a)과 대응되는 제2 고정홀(133a)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포스트 연결부재(133)는 고정포스트(131) 및 승하강 포스트(132)의 마주하는 양측을 이어 감싸는 형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포스트 연결부재(133)가 고정포스트(131) 및 승하강 포스트(132)의 마주하는 양측을 내측에 수용하는 상태로 감싸 연결하는 한 쌍의 반원형 부재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스트 연결부재(133)는 고정포스트(131)와 승하강 포스트(132)의 상호 연결된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로 고정포스트(131)와 승하강 포스트(132)를 연결시키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post connection member 133 forms a second fixing hole 133a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hole 131a of the fixing post 131 and the first fixing hole 132a of the elevating post 132. The post connection member 133 is connect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pposite sides of the fixed post 131 and the elevating post 13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t connection member 133 is a pair of semi-circular members that wrap and connect in a state in which the opposite sides of the fixed post 131 and the elevating post 132 are accommodated inside, for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t connection member 133 may move the fixed post 131 and the elevating post 132 in a state capable of adjusting the total interconnected length of the fixed post 131 and the elevating post 132.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range that satisfies the connection conditions.

포스트 연결볼트(134)는 포스트 연결부재(133)의 제2 고정홀(133a) 및 고정포스트(131)나 승하강 포스트(132)의 제1 고정홀(131a,132a)에 차례로 끼워져 포스트 연결부재(133)를 매개로 고정포스트(131)와 승하강 포스트(132)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제2 고정홀(133a) 및 제1 고정홀(131a,132a)에 대한 포스트 연결볼트(134)의 끼움 위치를 달리하여 고정포스트(131)와 승하강 포스트(132), 다시 말해 서브 받침부(13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승하강 포스트(132)는 보행부(110)의 베이스 브래킷(113)에 결합브래킷(135)과 나사 결합되는 것이므로, 승하강 포스트(132)와 결합브래킷(135) 간 나사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서브 받침부(13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post connecting bolt 13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hole 133a of the post connecting member 133 and the first fixing hole 131a and 132a of the fixing post 131 or the elevating post 132 in order to post the connecting member. The fixed post 131 and the elevating post 1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133. In this case, the fixing post 131 and the raising and lowering post 132, that is, the sub, are changed by changing the fitting positions of the post connecting bolts 134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second fixing holes 133a and the first fixing holes 131a and 132a. The entire length of the support 130 may be adjusted. In addition, since the elevating post 132 is screwed to the coupling bracket 135 to the base bracket 113 of the walking portion 110, by adjusting the screw coupling degree between the elevating post 132 and the coupling bracket 135 The entire length of the sub support 130 may be adjust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보행부(110)는 메인 받침부(120) 및 서브 받침부(13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베이스 브래킷(113)의 앵커볼트(112)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교량상판(S)에 대한 최초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받침부(120)와 서브 받침부(130)는 메인 받침부(120)의 고정 높이 조절 기능 및 서브 받침부(130)의 고정 높이 조절 기능과 전체 길이 조절 기능을 통해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보행부(110)에 호환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교량용 가설인도(100)는 다양한 두께와 크기의 모든 교량상판(S)에 호환 적용되면서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alking part 110 may be supported by the main support part 120 and the sub support part 130 and at the same time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anchor bolt 112 of the base bracket 113. It is thus possible to permanently maintain the first firm coupling state to the bridge deck (S). In addition, the main support portion 120 and the sub support portion 130 has a variety of shapes and sizes through the fixed height adjustment function of the main support portion 120 and the fixed height adjustment function and the overall length adjustment function of the sub support portion 130 The walkable part 110 may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and thus, the bridge construction guide 100 may be installed stably while being compatible with all bridge top plates S having various thicknesses and sizes.

다음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ures 4 to 6 will be described a hypothesis for the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에서 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는 메인 받침부를, 도 6은 서브 받침부를 나타낸 것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bridge construction guidew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ridge, Figures 5 and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in the bridge construction gu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shows the main support part, and FIG. 6 shows the sub support part.

설명에 앞서 교량상판(S) 및 교각(L) 등 교량의 전체 구성은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과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 동시에 도 2 및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ridge, such as the bridge deck S and the bridge L, is the same as that of the bri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2 and 3,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implementation according to FIGS. 2 and 3 will be omitted. Use the same sign as the exampl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200)는 보행부(110), 메인 받침부(220), 서브 받침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보행부(110)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부와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메인 받침부(220)와 서브 받침부(23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As shown, the temporary construction guide 200 for th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alking portion 110, the main support portion 220, the sub support portion 230. Since the walking unit 110 is the same as the walking uni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S. 2 and 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main supporting unit 220 and the sub supporting unit 230 will be described.

메인 받침부(220)는 교각(L)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포스트(221) 및 보행부(110)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포스트(222) 그리고 제1 포스트(221)와 제2 포스트(222)의 마주하는 각 타단을 상호 간격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2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제1 포스트(221)가 교량의 교각(L)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포스트(221)는 교량의 교대나 거더 등 다른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The main support part 220 includes a first post 221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piers L and a second post 222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art 110. It comprises a connecting means 223 for connecting the opposite ends of the post 221 and the second post 222 to each other in a state capable of adjusting the interval.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ost 2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L) of the bridge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first post 221 is the bridge or the girder of the bridge It may be a form rotatably coupled to other parts, such as.

그리고 제1 포스트(221)는 교각(L)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221a) 및 이러한 고정브래킷(221a)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포스트본체(221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 포스트(222)는 보행부(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222a) 및 이러한 고정브래킷(222a)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포스트(222b) 그리고 연결포스트(222b)의 타단에 제2 포스트(222)의 전체 길이 조절을 위해 나사 결합되는 제2포스트본체(22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post 221 includes a fixing bracket 221a coupled to the pier L and a first post body 221b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221a, and the second post 221a includes: The post 222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fixing bracket 222a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art 110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post 222b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222a and the connecting post 222b. The second post body 222c is screwed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two post 222 is configured.

연결수단(223)은 포스트 연결부재(223a) 및 포스트 연결볼트(22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necting means 223 includes a post connecting member 223a and a post connecting bolt 223b.

포스트 연결부재(223a)는 제1 포스트(221) 및 제2 포스트(222)의 제1 고정홀(221c, 222d)과 대응되는 제2 고정홀(223c)을 형성한 상태로 제1 포스트(221) 및 제2 포스트(222)의 마주하는 양측을 이어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포스트 연결부재(223a)가 제1 포스트(221) 및 제2 포스트(222)의 마주하는 양측을 내측에 수용하는 상태로 감싸 연결하는 한 쌍의 반원형 부재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스트 연결부재(223a)는 제1 포스트(221)와 제2 포스트(222)의 상호 연결된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로 제1 포스트(221)와 제2 포스트(222)를 연결시키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post connecting member 223a has a first fixing hole 223c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holes 221c and 222d of the first post 221 and the second post 222. ) And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post 222. In this embodiment, the post connection member 223a is a pair of semi-circular members that wrap and connect in a state accommodating both opposing sides of the first post 221 and the second post 222 to the insid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t connection member 223a may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first post 221 and the second post 222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for connecting the 222.

포스트 연결볼트(223b)는 포스트 연결부재(223a)의 제2 고정홀(223c) 및 제1 포스트(221)나 제2 포스트(222)의 제1 고정홀(221c, 222d)에 차례로 끼워져 포스트 연결부재(223a)를 매개로 제1 포스트(221)와 제2 포스트(222)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제2 고정홀(223c) 및 제1 고정홀(221c, 222d)에 대한 포스트 연결볼트(223b)의 끼움 위치를 달리하여 제1 포스트(221)와 제2 포스트(222), 다시 말해 메인 받침부(2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post connection bolt 223b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hole 223c of the post connecting member 223a and the first fixing holes 221c and 222d of the first post 221 or the second post 222. The first post 221 and the second post 2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member 223a. At this time, the first post 221 and the second post 222, that is, the position of the post connection bolt 223b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second fixing holes 223c and the first fixing holes 221c and 222d are different. The overall length of the main support portion 220 can be adjusted.

서브 받침부(230)는 교량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포스트(231) 및 이러한 고정 포스트(231)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및 선택 고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고정 포스트(232) 그리고 고정 포스트(231)의 타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어 메인 받침부(220)의 제2 포스트(221)와 결속되는 포스트 지지바(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선택고정 포스트(232)는 고정 포스트(231)에 대한 회전 결합 부위를 중심축으로 그 회전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정 포스트(231)의 전체 길이 또는 교각(L)과 교량상판(S) 간의 간격 등을 고려하여 그 회전 각도를 달리하면서 교량상판(S)에 대한 고정 부위를 조정할 수 있다.Sub support portion 230 is a fixed post 231,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and the optional fixing post 232,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231 and fixed The post support bar 233 extends inclined upwardly from the other end of the post 231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post 221 of the main support part 220. In this case, the selective fixing post 232 may adjust various rotation angles of the rotational coup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post 231 as a central axis, and through this, the entire length or the bridge L and the bridge deck of the fixing post 231.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S) and the like, the fixing portion to the bridge deck (S) can be adjusted while varying its rotation angl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포스트(231)가 교량의 교각(L, or 교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스트 지지바(233)는 벨트 권취홈(233a)을 형성하고 있어, 이러한 벨트권취홈(233a)에 제2 포스트(222) 결속에 사용되는 벨트(240)가 삽입되어 그 폭 방향 둘레 면을 벨트권취홈(233a) 내면에 지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post 2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L, or alternating) of the bridg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post support bar 233 forms a belt winding groove 233a, and the belt 240 used to bind the second post 222 is inserted into the belt winding groove 233a, and the widthwis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t may be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winding groove (233a).

그리고 서브 받침부(230)의 선택고정 포스트(232)는 포스트 본체(232a) 및 고정브래킷(232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포스트 본체(232a)는 그 일단이 고정 포스트(232b)의 일측에 회전 및 선택 고정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고정브래킷(232b)은 포스트 본체(232a)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포스트 본체(232a)의 고정 시 보행부(110)의 하부에 고정된다. 또한, 포스트본체(232a)는 고정브래킷(232b)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포스트본체(232a-1) 및 이러한 제1 포스트본체(232a-1)의 타단에 포스트본체(232a)의 전체 길이 조절을 위해 나사 결합되는 제2포스트본체(232a-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And the selection fixing post 232 of the sub support unit 2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st body 232a and the fixing bracket 232b, the post body 232a is one end of the fixed post 232b It is coupled in a state capable of rotation and selective fixing, the fixing bracket 232b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ost body 232a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 portion 110 when fixing the post body 232a. In addition, the post body 232a may include a first post body 232a-1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232b and a post body 232a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post body 232a-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post body (232a-2) is screwed for the overall length adjustment.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보행부(110)는 메인 받침부(220) 및 서브 받침부(23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베이스 브래킷(113)의 앵커볼트(112)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교량상판(S)에 대한 최초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받침부(220)가 그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인 동시에 서브 받침부(230)가 그 전체 길이의 조정 및 선택고정 포스트(232)의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보행부(110)에 호환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교량용 가설인도(200)는 다양한 두께와 크기의 모든 교량상판(S)에 호환 적용되면서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alking part 110 may be supported by the main support part 220 and the sub support part 230 and at the same time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anchor bolt 112 of the base bracket 113. It is thus possible to permanently maintain the first firm coupling state to the bridge deck (S). In addition, the main support portion 220 is a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overall length and the sub support portion 230 is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an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selection fixing post 232, various shapes It can be applied to the walking unit 110 of the size and size, and therefore, the bridge hypothesis 200 for the bridge can be installed stably while being compatible to all the bridge top plate (S) of various thicknesses and sizes.

다음은 도 7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에 대해 설명한다.Next, FIG. 7 illustrates a hypothesis for bridge constru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idge is installed on the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교량상판 및 교각 등 교량의 전체 구성은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량과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 동시에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ridge, such as the bridge deck and the bridge, is the same as the bri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6,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6 will be omitted. us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300)는 보행부(110), 제1 메인받침부(320), 제2 메인받침부(330), 서브 받침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300)는 제1 메인 받침부(320)에 설치되는 보조받침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보행부(110)는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부와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메인 받침부(320)와 제2 메인 받침부(330) 및 서브 받침부(34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As shown, the temporary construction guide 300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alking part 110, a first main support part 320, a second main support part 330, and a sub support part 340. It is configured by. In addition, the temporary construction guide 300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part 350 installed on the first main support part 320. Since the walking part 110 is the same as the walking par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S. 2 to 6,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first main support part 320, the second main support part 330, and the sub part may be omitte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340.

제1 메인 받침부(320)는 보행부(110)의 하부 및 교량상판의 하부에 양측이 각각 고정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그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중앙의 절곡부로부터 좌우 양측이 각각 상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형태이다. The first main support portion 32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walking portion 1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top plate in a state in which both sides of the fixed height can be adjusted, respectively, based on the cross-sectional shape cut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re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ent portion extend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제2 메인 받침부(30)는 교량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포스트(31) 및 보행부(110)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포스트(332) 그리고 제1 포스트(331)와 제2 포스트(332)의 마주하는 각 타단을 상호 간격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3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main support part 30 includes a first post 31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and a second post 332 and one first post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art 110. It comprises a connecting means 334 for connecting each other end of the 331 and the second post 332 facing each other in a state capable of mutually adjustable.

서브 받침부(340)는 교량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포스트(341) 및 이러한 고정 포스트(341)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및 선택 고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고정 포스트(342) 그리고 고정 포스트(341)의 타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어 제2 메인 받침부(330)의 제2 포스트(332)와 결속되는 포스트 지지바(3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ub support portion 340 is a fixed post 341,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341, one end is fixed to the fixed selection post 34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fixed and fixed The post support bar 343 extends obliquely up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post 341 and is engaged with the second post 332 of the second main support part 330.

마지막으로 보조 받침부(350)는 제1 메인받침부(320)의 절곡부나 경사지게 연장된 양측에 그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포스트 및 이러한 고정포스트의 타단과 간격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포스트에 결합되는 동시에 그 일단은 보행부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승하강 포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 받침부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100)의 서브 받침부(130)와 동일한 구성이나 이를 참조하면 된다.Finally, the auxiliary support unit 350 is fixed to the fixed post in which one end thereof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main support unit 320 or both sides of the inclined extens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is adjustable. At the same time the one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fting post that is scre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 Such an auxiliary support part may be the same as the sub support part 130 of the temporary construction guide 100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2 and 3, or may refer to the sam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300)의 작용은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100,200)의 작용과 유사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operation of the bridge construction guid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bridge construction guide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6,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술한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에 의해서, 보행부 하부에 설치되는 메인 받침부 및 서브 받침부가 보행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보행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당 량 교량으로 전달하며, 이에 따라 교량상판과 보행부의 결합용 앵커볼트에 가해지는 하중이 사방으로 분산되는 동시에 메인 받침부와 서브 받침부의 지지 작용에 의해서 교량용 가설인도는 처짐이나 하중에 의한 유동 현상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교량에 대한 견고한 설치 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e bridge construction hypo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upport portion and the sub-support portion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ortion support the walking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a considerable amount of load applied to the walking portion bridge As a result, the load applied to the anchor bolt for joining the bridge deck and the walking part is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and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f the bridge leads to the deflection or flow due to the load by the supporting action of the main support part and the sub support part. To maintain a permanent installation on the bridge semi-permanently.

또한, 메인 받침부 및 서브 받침부가 그 전체적인 길이 조정 기능을 통해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받침부에 호환 적용될 수 있는 동시에 메인 받침부 및 서브 받침부의 교량에 대한 고정위치와 교량상판 간 거리에 별다른 구애를 받지 않으면서 설치되어 보행부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support part and the sub support part can be applied to the support part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through the overall length adjustment fun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articular concern about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support part and the sub support part's fixed position and the bridge deck. It can be installed without receiving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walk.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가설인도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just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hypothe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any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 교량용 가설인도 110 : 보행부
111 : 승하강 안내볼트 112 : 앵커볼트
113 : 베이스 브래킷 114 : 보행 플레이트
120, 220 : 메인 받침부 121 : 연결부
122 : 제1 지지부 122a, 123a : 회전형 너트
123 : 제2 지지부 123 : 캡
130 : 서브 받침부 131 : 고정포스트
131a, 132a : 제1 고정홀 132 : 승하강 포스트
133 : 포스트 연결부재 133a : 제2 고정홀
134 : 포스트 연결볼트 135 : 결합브래킷
140 : 난간 150 : 패드
221 : 제1 포스트 222 : 제2 포스트
221a,222a : 고정브래킷 221b : 제1 포스트본체
222b : 연결포스트 222c : 제2 포스트본체
221c,222d : 제1 고정홀 223 : 연결수단
223a : 포스트 연결부재 223c : 제2 고정홀
223b : 포스트 연결볼트 230 : 서브 받침부
231 : 고정포스트 232 : 선택고정포스트
232a : 포스트본체 232a-1 : 제1 포스트본체
232a-2 : 제2 포스트본체 232b : 고정브래킷
233 : 포스트 지지바 233a : 벨트 권취홈
234 : 고정브래킷 240 : 벨트
250,260 : 베이스부
100: bridge construction 110: walk
111: guide bolt to descend 112: anchor bolt
113: base bracket 114: walking plate
120, 220: main support portion 121: connection portion
122: first support part 122a, 123a: rotatable nut
123: second support 123: cap
130: sub receiving portion 131: fixed post
131a, 132a: first fixing hole 132: elevating post
133: post connection member 133a: second fixing hole
134: post connecting bolt 135: coupling bracket
140: handrail 150: pad
221: first post 222: second post
221a, 222a: fixing bracket 221b: first post body
222b: connection post 222c: second post body
221c, 222d: first fixing hole 223: connecting means
223a: post connection member 223c: second fixing hole
223b: Post connection bolt 230: Sub support part
231: fixed post 232: fixed post
232a: post body 232a-1: first post body
232a-2: second post main body 232b: fixed bracket
233: post support bar 233a: belt winding groove
234: fixing bracket 240: belt
250,260: Base part

Claims (18)

교량상판의 폭 방향 측면에 상기 교량상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상태로 설치되는 보행부;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고정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교량상판을 포함한 교량에 고정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제2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메인 받침부;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받침부에 결합되는 서브 받침부를 포함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A walking part installed in a stat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on a width direction side surface of the bridge top plate;
A first support par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art in a state capable of adjusting a fixed height and a second support part coupled to a bridge including the bridge top plate in a state capable of adjusting a fixed height, and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A main support portion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ortion is a hypothesis for the bridge including a sub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main suppor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부는
상기 교량상판의 폭 방향 측면에 그 폭 방향의 측면이 적어도 하나의 앵커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베이스 브래킷;
상기 베이스 브래킷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alking unit
A base bracket coupled to a width side surface of the bridge deck by at least one anchor bolt;
Bridge construction hypothesis comprising a walking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bracke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받침부는 그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각각 상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부메랑 형태이며,
상기 서브 받침부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상기 보행부의 하부 및 상기 메인 받침부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포스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in support portion has a boomerang shape extending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on the basis of the cross-sectional shape cut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reof.
The sub support portion is a hypothesis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form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support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각각 그 일단에 관 형태의 회전형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보행부는 그 하부에 상기 회전형 너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하강 안내볼트가 상기 회전형 너트의 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are each provided with a rotary nut in a tubular shape at one end thereof, and the walking portion has a lifting guide bolt for guiding vertical movement of the rotary nut at the bottom thereof. The provisional guide for bridge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abov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받침부는 상기 메인 받침부에 그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포스트 및 상기 고정포스트의 타단과 간격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고정포스트에 결합되는 동시에 그 일단은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승하강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b support portion is coupled to the fixed post in such a state that the one e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is adjustable, and one end thereof is scre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er. A construction hypothesis for a bridge comprising a descending pos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받침부의 제2 지지부는 상기 교량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서브 받침부의 서로 결합되는 고정포스트와 승하강 포스트의 여러 쌍 중 적어도 하나의 쌍은 상기 교량상판의 폭 방향 일단과 인접한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support part of the main support part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upper plate, and at least one pair of several pairs of fixed posts and lifting posts coupled to each other of the sub support part is the gait adjacent to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upper plate. A temporary construction guide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포스트와 승하강 포스트는 각각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받침부는
상기 고정포스트 및 승하강 포스트의 제1 고정홀과 대응되는 제2 고정홀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고정포스트 및 승하강 포스트의 마주하는 양측을 이어 감싸는 포스트 연결부재; 및
상기 포스트 연결부재의 제2 고정홀과 상기 고정포스트나 승하강 포스트의 제1 고정홀에 차례로 끼워져 상기 포스트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고정포스트와 승하강 포스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포스트 연결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xed post and the elevating post are each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fixing holes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b support portion
A post connection member which surrounds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xed post and the elevating post in a state in which a second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hole of the fixed post and the elevating post is formed; And
And a post connection bolt which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hole of the post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fixing hole of the fixed post or the elevating post, and integrally connects the fixed post and the elevating post via the post connecting member. Temporary road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받침부는 상기 교량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포스트 및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포스트 그리고 상기 제1 포스트와 제2 포스트의 마주하는 각 타단을 상호 간격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in support portion has a first post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a second post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walk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Hypothesis for bridges comprising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in an adjustable sta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스트는 상기 교량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 및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포스트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포스트는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 및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포스트 그리고 상기 연결포스트의 타단에 상기 제2 포스트의 전체 길이 조절을 위해 나사 결합되는 제2포스트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post includes a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bridge and a first post body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The second post is a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 portion and a connecting post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bracket and a second screw threaded for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second post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st Bridge construction hypothesis comprising a post bod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스트는 상기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post is a hypothesis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or the bridge of the bridg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스트 및 제2 포스트는 각각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포스트 및 제2 포스트의 제1 고정홀과 대응되는 제2 고정홀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제1 포스트 및 제2 포스트의 마주하는 상기 타단을 이어 감싸는 포스트 연결부재; 및
상기 포스트 연결부재의 제2 고정홀과 상기 제1 포스트나 제2 포스트의 제1 고정홀에 차례로 끼워져 상기 포스트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제1 포스트와 제2 포스트를 일체로 연결하는 포스트 연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are each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fixing hol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means
A post connection member which surrounds the other end of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facing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a second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hole of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is formed; And
A post connecting bolt which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hole of the post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fixing hole of the first post or the second post in order to integrally connect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via the post connecting member; Hypothesis for bridges comprising th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받침부는 상기 교량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포스트 및 상기 고정 포스트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및 선택 고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고정 포스트 그리고 상기 고정 포스트의 타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어 상기 메인 받침부의 제2 포스트와 결속되는 포스트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The method of claim 8,
The sub support portion has a fixed post that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and a selection fixed post that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and extends obliquely up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to the main A bridge construction hypothesis comprising a post support bar that is engaged with the second post of the supporting por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고정 포스트는 상기 고정 포스트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및 선택 고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스트본체 및 상기 포스트본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스트본체의 고정 시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lection fixing pos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ost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post body and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k when fixing the post body Hypothesis for bridges comprising the bracke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본체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포스트본체 및 상기 제1 포스트본체의 타단에 상기 포스트본체의 전체 길이 조절을 위해 나사 결합되는 제2포스트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The method of claim 13,
The post body may include a first post body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and a second post body screwed to adjust the entire length of the post body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post body. Hypothesis for bridge to sa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포스트는 상기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xing post is a hypothesis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pier or alternating.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지지바는 상기 제2 포스트의 결속용 벨트를 삽입 후 내면에 지지시키는 벨트권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ost support bar is a temporary construction guide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lt winding groove is formed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after inserting the binding belt of the second post.
교량상판의 폭 방향 측면에 상기 교량상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상태로 설치되는 보행부;
상기 보행부의 하부 및 교량상판의 하부에 양측이 각각 고정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그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중앙의 절곡부로부터 좌우 양측이 각각 상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형태의 제1 메인받침부;
상기 교량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포스트 및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포스트 그리고 상기 제1 포스트와 제2 포스트의 마주하는 각 타단을 상호 간격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제2 메인받침부;
상기 교량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포스트 및 상기 고정 포스트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및 선택 고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고정 포스트 그리고 상기 고정 포스트의 타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어 상기 메인 받침부의 제2 포스트와 결속되는 포스트 지지바를 포함하는 서브 받침부를 포함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A walking part installed in a stat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top plate on a width direction side surface of the bridge top plate;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walking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top plate in a state in which a fixed height can be adjusted. An extended main first support;
The first pos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the second pos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alk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each other facing the first post and the second post state can be adjusted A second main support portion including a connecting mean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 fixed post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bridge, an optional fixed post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and extending upwardly obliquely from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to the second main support part; A construction hypothesis for a bridge including a sub support portion including a post support bar engaged with a pos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받침부는, 상기 제1 메인받침부의 절곡부나 경사지게 연장된 양측에 그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포스트 및 상기 고정포스트의 타단과 간격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고정포스트에 결합되는 동시에 그 일단은 상기 보행부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는 승하강 포스트를 포함하는 보조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가설인도.
The method of claim 17,
The first main support portion is coupled to the fixed post in a state in which the one e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ent portion or the obliquely extending both sides of the first main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post is adjustable. And one end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support including a lifting post screw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alking part.
KR1020120057879A 2012-05-31 2012-05-31 Siderwalk for bridge KR1011950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79A KR101195038B1 (en) 2012-05-31 2012-05-31 Siderwalk for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79A KR101195038B1 (en) 2012-05-31 2012-05-31 Siderwalk for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5038B1 true KR101195038B1 (en) 2012-10-29

Family

ID=4728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879A KR101195038B1 (en) 2012-05-31 2012-05-31 Siderwalk for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0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169B1 (en) * 2012-12-28 2013-05-02 (주)효명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bridge footw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09B1 (en) 2011-05-06 2012-03-13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Apparatus for supporting footboard in an additional bridge provided at a main bridg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09B1 (en) 2011-05-06 2012-03-13 주식회사 천봉아이엔에스 Apparatus for supporting footboard in an additional bridge provided at a main bridg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169B1 (en) * 2012-12-28 2013-05-02 (주)효명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bridge footw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346B2 (en) Corrugated metal plate bridge with composite concrete structure
KR101271446B1 (en) Washer platr of construction sidewalk for bridge
KR102024209B1 (en) Bridges and retaining walls expanded footbridge
KR20130082052A (en) Road for extending breadth of road on slope face
KR100960725B1 (en) Road for bicycle and walker constructing on the slope of road
KR101116740B1 (en) Sidewalk bridge having service hole
JP6347088B2 (en) Concrete slab structure and precast concrete slab
KR101727124B1 (en) Sidewalk for a bridge using hang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ootbridge for landscape using hang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516156B1 (en) Traffic-uncontrolled bridge raising system combining function keeping apparatus in the existing bridge with fabricated temporary junction bridge capable of adjusting height when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raised, and method for lifting up the bridge without traffic roadblocking using the system
KR101684438B1 (en) A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669464B2 (en) Sidewalk super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idewalk superstructure
KR101195038B1 (en) Siderwalk for bridge
KR101295823B1 (en) Extension sidewalk and constuction method
KR101171041B1 (en) Bikeway using longitudinal girder with different height and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178814B1 (en) A guardrail or a fence that can adjust an angle in the slope-ground
CN211113119U (en) Temporary bridge device
KR101259169B1 (en)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bridge footway
KR101185431B1 (en) A constructed footway for bridge
KR101753245B1 (en) A Joint Form Structure for Foot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KR100918828B1 (en) A constructed foodway for bridge
KR101300519B1 (en) Grade adjustable bridge
KR200338414Y1 (en) Traffic-uncontrolled bridge raising system combining function keeping apparatus in the existing bridge with fabricated temporary junction bridge capable of adjusting height when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raised
KR100733004B1 (en) Structure of flap prevent of bridge upper part institution
KR101296749B1 (en) Secondary road structure for bridge
KR100958410B1 (en) Transit of the petal at the rivers breast wall and the bridge back spatial-temporal that transit 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