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899B1 - 석회분말 용해장치 - Google Patents

석회분말 용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899B1
KR101194899B1 KR1020120092375A KR20120092375A KR101194899B1 KR 101194899 B1 KR101194899 B1 KR 101194899B1 KR 1020120092375 A KR1020120092375 A KR 1020120092375A KR 20120092375 A KR20120092375 A KR 20120092375A KR 101194899 B1 KR101194899 B1 KR 101194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me
storage tank
supply pipe
lim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현
Original Assignee
박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현 filed Critical 박승현
Priority to KR1020120092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02Oxides or 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0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in the form of helices, e.g. screw 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Lime, magnesia or dolomite
    • C04B2/02Li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회분말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석회분말과 물을 1차 혼합 및 용해시켜서 저장탱크로 투입함에 따라 석회유의 수화반응을 촉진하고 생산성 향상 및 품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본 발명은, 저장탱크에 석회분말과 물을 투입하여 골고루 교반하며 석회유를 제조하도록 된 석회분말 용해장치에 있어서, 석회원료공급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석회분말을 에어시스템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에 의해 강제 이송하는 원료공급관체 및; 상기 에어시스템에 연결되고 에어를 저장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관체와; 상기 저장탱크의 석회유(물)를 펌프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급수관체와; 상기 급수관체에 연결하여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관체와;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원료공급관체를 통해 유입되는 석회원료와 상기 급수관체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혼합하여 1차 용해시킨 후 저장탱크로 투입하기 위한 워터믹싱스크류와;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의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분말 용해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석회분말 용해장치{Lime powder mel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석회분말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석회분말과 물을 1차 혼합 및 용해시켜서 저장탱크로 투입함에 따라 석회유의 수화반응을 촉진하고 생산성 향상 및 품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되는 석회분말 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회유는 생석분말(생석회)를 물과 섞어 백색의 유탁액으로 된 것으로,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폐기물을 중화처리하는 알칼리성 중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석회유[Ca(OH)2]에 관한 제조방법 또는 제조장치 등이 다수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석회유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특허문헌)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국내특허출원 제1994-0012292호(1994.01.01.)의 '액상 소석회의 제조방법' 내지는 국내특허출원 제1997-073802호(1997.12.19.)의 '소석회의 제조방법', '국내특허출원 제2010-0073302호(2010.07.29.)의 '액상 소석회의 제조장치' 등이 공지된 바에 있으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국내특허출원 제2011-0082550호(2011.08.19.)의 '석회유 제조장치'에 관해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BCT차량(벌크시멘트트레일러) 등으로 운반되어 진 생석회 또는 용수를 석회유탱크에 구비되는 공급관을 통해 탱크 내부로 투입하고 교반기로 교반하여 석회유를 제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행기술은 미세한 석회분말 및 분진 등이 다량 발생하게 되며 교반 및 제조시간이 아주 길고 공정트러블이 빈번히 발생하며 또, 잦은 고장으로 인해 생산성 및 효율성,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보수 및 유지관리가 까다롭고 인력낭비가 심하며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석회유의 농도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농도가 일정하지 않고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며 품질(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날씨나 온도, 습도, 기후변화 등에 따라 탱크 내부에 석회유가 뭉치거나 굳어지고 스케일 등이 발생하게 되며, 낭비가 심하고 처리가 곤란하며 유지관리가 까다로운 문제점들이 있었다.
1.국내특허출원 제1994-0012292호(1994.01.01.) '액상 소석회의 제조방법' 2.국내특허출원 제1997-073802호(1997.12.19.) '소석회의 제조방법' 3.국내특허출원 제2010-0073302호(2010.07.29.) '액상 소석회의 제조장치' 4.국내특허출원 제2011-0082550호(2011.08.19.) '석회유 제조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석회분말과 물을 워터믹싱스크류에서 강제 혼합하면서 1차 용해시켜서 석회유의 용해 및 수화반응을 촉진하게 되며 또, 저장탱크에서 재차 용해가 이루어지면서 품질이 안정화되고 생산성 및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석회분말 용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탱크에 담기는 석회유가 급수관체를 따라 상기 워터믹싱스크류로 강제 순환하게 되면서 석회유의 수화율(용해율)을 더욱 높이고 또, 워터믹싱스크류의 챔버 내에 스케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석회분말 용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석회원료공급수단 및 소정의 에어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에어를 석회유에 투입하여 폭기시킴에 따라, 상기 석회유의 수화반응을 촉진시키고 점성을 떨어뜨려 임펠라가 원활하게 회전하게 되면서 과부하를 방지하고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석회분말 용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저장탱크에 석회분말과 물을 투입하여 골고루 교반하며 석회유를 제조하도록 된 석회분말 용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내의 석회유에 에어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에어를 투입하기 위한 에어공급관체와; 상기 저장탱크의 석회유(물)를 펌프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급수관체와; 상기 급수관체에 연결하여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관체와;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구비되며, 석회원료공급수단에 연결되는 원료공급관체를 통해 제공되는 석회원료와 상기 급수관체(24)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혼합하여 1차 용해시킨 후 저장탱크로 투입하기 위한 워터믹싱스크류와;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의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분말 용해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워터믹싱스크류는, 일측에 구비되는 원료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석회원료가 투입되는 제1챔버 및, 상기 제1챔버의 일측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다단으로 구비되며 내부 단면적이 단계별로 확장 형성되는 제2 내지 제4챔버와; 상기 제1챔버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체가 연결되는 제1분사구와; 상기 제2 내지 제4챔버에 편심 결합하여 원주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와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제2 내지 제4분사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료공급관체와 에어공급관체 사이에 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탱크는 상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석회유를 혼합시키는 임펠러와; 저부에 배출관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탱크를 수용하고 내부에 용수가 담기는 외부탱크를 구비하여 상기 저장탱크 내에서 발생하는 석회유의 반응열에 의해 온수를 발생시키고, 상기 외부탱크에 온수관체를 통해 연결되고 온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석회분말과 물을 워터믹싱스크류에서 고속으로 교반하면서 1차 용해시킨 후 저장탱크에서 완전히 용해 및 수화하게 되면서 석회유의 수화반응이 촉진되고 Ca와 OH의 용해율(수화율)을 높이며, 침전부피는 물론 농도, 품질이 향상되고 급속도로 안정화되며, 석회유의 제조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 및 상품성을 월등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워터믹싱스크류에서 석회유가 원주(나선)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류현상을 발생시켜 수화율을 증대시키고, 챔버 내부에 스케일의 발생을 방지하며, 또 용수관체를 통해 용수를 투입하여 내부를 깨끗이 세척하는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석회유에 에어를 투입하여 폭기시켜 상기의 석회유가 수화반응이 촉진되고 온도 상승 및 점성을 저하시켜 임펠라가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과부하를 방지하고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석회분말 용해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석회유(액상소석회)의 특성을 살펴보면, 초미립(UF)제품의 일종인 상기 석회유를 일정시간(6시간) 동안 정치한 후에 해당 침전부피가 97~99%이상으로 매우 증가하게 됨은 알 수가 있고, 저장탱크 내에 침전이나 스케일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서 내부 청소가 필요하지 않고, 임펠러의 수명이 연장되고 내구성이 증대되며, 장치와 연결되는 배관라인, 밸브, 측정기 등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선행기술에 따른 석회분말 용해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석회분말 용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믹싱스크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도 3의 "A"-"A"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상기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석회분말 용해장치(10)는, 저장탱크(12)에 석회분말과 물을 투입하여 골고루 교반하며 석회유를 제조하도록 된 석회분말 용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12) 내의 석회유에 에어시스템(102)으로부터 제공되는 에어를 투입하기 위한 에어공급관체(22)와; 상기 저장탱크(12)의 석회유(물)를 펌프(26)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급수관체(24)와; 상기 급수관체(24)에 연결하여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관체(28)와; 상기 저장탱크(12)의 상부에 구비되며, 석회원료공급수단(100)에 연결되는 원료공급관체(20)를 통해 제공되는 석회원료와 상기 급수관체(24)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혼합하여 1차 용해시킨 후 저장탱크(12)로 투입하기 위한 워터믹싱스크류(30)와;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의 제어하는 컨트롤러(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석회분말 용해장치(10)는 석회유가 담기는 저장탱크(10)와,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구비되는 워터믹싱스크류(30)와, 석회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열수단(40)과, 컨트롤러(5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탱크(10)는 석회분말과 물이 혼합된 석회유를 담아 두며, 이렇게 제조된 석회유는 밸브(V7)를 가지는 드레인(16)을 통해 방출하게 되며 수요에 따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 일측에 커버를 가지는 점검구(17)를 구비하여 내부 점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상기 저장탱크(12) 내측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된 임펠라(14)가 상부 구동모터(15)에 의해 회전하면서 석회유를 혼합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15)는 변속기 또는 기어박스를 구비하여 회전력 및 변속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2)는 상부에 구비된 수위감지센서(18)가 내부 석회유의 수위를 검출하여 컨트롤러(50)에 전기적인 신호로 전달하게 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18)는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감지센서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 내의 석회유 온도를 제1온도센서(38a)가 검출하여 컨트롤러(50)에 전기적인 신호로 전달하므로써, 지속적인 적정온도 설정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워터믹싱스크류(30)는 원료투입구(35)를 통해 유입되는 석회원료와 급수관체(24)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혼합하여 1차 용해시키게 되고, 이 석회유를 상기 저장탱크(12)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원료공급관체(20)는 원료투입구(35)와 소정의 석회원료공급수단(100)을 연결하여 석회분말을 워터믹싱스크류에 투입시키며, 상기 에어시스템(102)으로 제공되는 고압의 에어(공기압)에 의해 석회분말을 효과적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관체(22)는 저장탱크와 에어시스템(102)을 연결하여 고압의 에어를 석회유에 주입하여 폭기시킴으로써, 점성을 떨어뜨리고 석회유의 수화반응을 촉진하고 용해율을 높이다.
상기 급수관체(24)는 저장탱크(12)의 저부에 구비되고 밸브(V2)로 개폐되며, 물(석회유)을 펌프(26)로 흡입하여 상기 워터믹싱스크류로 강제 순환시켜 재차 고속으로 혼합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워터믹싱스크류(30)는, 일측에 구비되는 원료투입구(35)를 통해 공급되는 석회원료가 투입되는 제1챔버(32a) 및, 상기 제1챔버(32a)의 일측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다단으로 구비되며 내부 단면적이 단계별로 확장 형성되는 제2 내지 제4챔버(32b,32c,32d)와; 상기 제1챔버(32a)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체(24)가 연결되는 제1분사구(36a)와; 상기 제2 내지 제4챔버(32b,32c,32d)에 편심 결합하여 원주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와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제2 내지 제4분사구(36b,36c,36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워터믹싱스크류(30)는 제1분사구(36a)의 추진력과 제2 내지 제4분사구(36b,36c,36c)의 회전력이 더해져 회전이 증대되고 혼합 및 용해율이 우수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챔버(36a,36b,36c,36d)는 원통이고 도 3에서처럼 단계적으로 단면적(직경)이 확장되며 일측 단부를 순차적으로 끼움 조립하여 다단으로 조립되고, 각 챔버 사이에 공간부(34)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제2 내지 제4챔버에 구비되는 제2 내지 제4분사구(36b,36c,36d)를 통해 물을 분사하여 석회분말과 함께 회전하면서 혼합된다.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4분사구(36b,36c,36d)는 공간부(34)의 일측에 편심된 채 원주방향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유체(물)가 나선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력에 의한 와류가 발생하고 혼합효율성이 증대되며, 타측 제4챔버 측으로 전진하여 출구를 통해 저장탱크로 투입된다. 상기 제2 내지 제4분사구에는 밸브(V4,V5,V6)를 각각 구비하여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챔버(36a,36b,36c)는 일측 끝단의 개구부가 경사면(33)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분사구(36a)의 추진력과 제2 내지 제4분사구(36b,36c,36c)의 회전력이 자연스럽게 합해지고 혼합 및 용해율을 한층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워터믹싱스크류(30)는 처음에는 용수관체(28)를 통해 급수관체(24)에 물이 공급되며, 일정량의 물이 공급한 후에는 용수관체의 밸브(V3)를 차단하고 상기 저장탱크 내의 석회유를 펌프(26)로 압송하여 재차 혼합 및 용해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석회원료의 량을 조절하면서 석회유의 농도 조절이 용이하고 또, 농도 편차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석회분말 용해장치는 상기 용수관체(28)에 용수 또는, 공정수를 투입하여 버려지기 쉬운 폐열을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워터믹싱스크류(30)에는 제2온도센서(38b)를 구비하여 챔버의 내부온도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의 제1, 제2온도센서(38a,38b)는 석회유의 반응온도에 따라 석회원료(석회분말)와 물의 투입량을 조절하고 농도도 조절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석회분말과 물의 수화반응에 최적의 적정온도 이상이 되면 물을 투입하고 온도가 내려가면 석회분말을 투입하면서 반응온도(반응상태)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워터믹싱스크류(30)에 의해 매우 신속하게 반응 및 활성화되고 안정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료공급관체(20)와 에어공급관체(22) 사이에 밸브(V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밸브(V1)를 개방시켜 에어시스템(102)의 에어를 원료투입구(35)로 투입함에 따라, 챔버 내의 혼합 및 수화 반응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고 또, 상기 제1챔버 내지 제4챔버의 내부의 스케일이나 이물질 등을 분리시키고 깨끗이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가열수단(40)은 석회유를 가열(열교환)하여 온도 및 점성을 상승시키며 또, 생석회(석회분말)와 물이 화학반응하는 적정반응온도(중화열)를 유지시키게 되며, 석회유의 용해 및 수화반응을 촉진하고 활성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40)은 전기에너지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 또는, 저장탱크 내에 구비되는 열교환용 튜브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을 통과시켜 석회유와 열교환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탱크(12)는 상부 일측에 수증기배출구(42)를 구비하여 석회유 제조과정에서 생석회(석회분말)와 물의 반응하면서 고온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송풍팬(44)으로 송풍시켜 방출하게 되며, 상기 수증기배출구(42)는 수증기를 액체상태로 변환시켜 밸브(V8)를 가지는 회수관(46)을 통해 저장탱크로 다시 투입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탱크(12)를 수용하고 내부에 용수가 담기는 외부탱크(13)를 구비하여 상기 저장탱크(12) 내에서 발생하는 석회유의 반응열에 의해 온수를 발생시키고, 상기 외부탱크(13)에 온수관체(62)를 통해 연결되고 온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저장탱크(12)의 외측에 외부탱크(13)가 구비된 2중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생석회의 반응열을 저장하도록 된다. 이는, 상기 저장탱크(12) 내에서 발생하는 석회유의 반응열(반응에너지)에 의해 외부탱크(13)에 담긴 물(용수, 열매체)를 열교환하여 온수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하는 온수는 저장탱크에서 생산된 석회유가 비워진 후, 다시 석회유를 생산시에 상대적으로 저온상태인 석회유와 열교환하여 반응을 돕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탱크(13)가 밸브(V9)를 가지는 온수관체(62)를 통해 온수탱크(60)에 연결되어 온수를 저장하고 수요에 따라 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후 상기 온수탱크(60)는 급수관체(24)에 연결되는 온수공급관체(64)를 통해 밸브의 개폐동작에 따라 워터믹싱스크류에 온수를 공급함에 따라, 석회유의 반응효율 및 활성화를 돕고 성능을 한층더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탱크(13)에는 용수관체(28)에 연결된 물보충관체(54)를 통해 물을 보충하며, 상기 물보충관체(54)의 끝단에는 볼탑, 수위감지센서 등을 포함하는 급수개폐구(55)를 구비하여 외부탱크 내에 투입되는 물이 일정수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급수가 중단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탱크(13)는 물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3온도센서(38c)와, 안전변(56)이 구비되며, 보온재(58)로 감싸서 열손실을 최소화한다.
한편, 상기 밸브(V1,V2,V3,...V9)는 수동개폐밸브 또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전자밸브로 구성이 되며, 바람직하게는 전자밸브로 구성함으로써 컨트롤러(50)의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컨트롤러(50)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피엘씨(PLC)제어를 위한 하드웨어모듈(회로) 및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이 구비되며,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와, 온도계, 유량계, 조작스위치 등이 구비된다.
상기 석회원료공급수단(100)은 생석회, 석회분말 등을 저장, 운반, 이송하는 BCT차량 또는 석회원료 저장용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시스템(102)은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콤프레서)가 바람직하며, 상기 BCT차량과 같은 수화물운반차량의 압축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탱크(12)의 무게를 검출하여 중량감지센서(52)가 구비된다. 상기 중량감지센서(52)는 저장탱크(12)의 저면에 복수 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의 무게를 측정하고 컨트롤러에 전달하여 무게변화를 감지한다. 이에 석회유의 생산량을 측정하고, 물 또는 석회분말의 투입량(무게)을 조절하면서 석회유의 농도를 조절하게 된다.
10:석회분말 용해장치 12:저장탱크 13:외부탱크
14:임펠러 15:구동모터 16:드레인
17:점검구 18:수위감지센서 20:원료공급관체
22:에어공급관체 24:급수관체 26:펌프
28:용수관체 30:워터믹싱스크류 32a,32b,32c,32d:챔버
33:경사면 34:공간부 35:원료투입구
36a,36b,36c,36d:분사구 40:가열수단 42:수증기배출구
44:송풍팬 46:회수관 50:컨트롤러
52:중량감지센서 54:물보충관체 55:급수개폐구
56:안전변 58:보온재 60:온수탱크
62:온수관체 100:석회원료공급수단 102:에어시스템
V1~V9:밸브

Claims (6)

  1. 저장탱크(12)에 석회분말과 물을 투입하여 골고루 교반하며 석회유를 제조하도록 된 석회분말 용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12) 내의 석회유에 에어시스템(102)으로부터 제공되는 에어를 투입하기 위한 에어공급관체(22)와;
    상기 저장탱크(12)의 석회유(물)를 펌프(26)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급수관체(24)와;
    상기 급수관체(24)에 연결하여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관체(28)와;
    상기 저장탱크(12)의 상부에 구비되며, 석회원료공급수단(100)에 연결되는 원료공급관체(20)를 통해 제공되는 석회원료와 상기 급수관체(24)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혼합하여 1차 용해시킨 후 저장탱크(12)로 투입하기 위한 워터믹싱스크류(30)와;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의 제어하는 컨트롤러(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분말 용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믹싱스크류(30)는,
    일측에 구비되는 원료투입구(35)를 통해 공급되는 석회원료가 투입되는 제1챔버(32a) 및, 상기 제1챔버(32a)의 일측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다단으로 구비되며 내부 단면적이 단계별로 확장 형성되는 제2 내지 제4챔버(32b,32c,32d)와;
    상기 제1챔버(32a)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체(24)가 연결되는 제1분사구(36a)와;
    상기 제2 내지 제4챔버(32b,32c,32d)에 편심 결합하여 원주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와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제2 내지 제4분사구(36b,36c,36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분말 용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관체(20)와 에어공급관체(22) 사이에 밸브(V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분말 용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12)는,
    상부 구동모터(15)에 의해 회전하면서 석회유를 혼합시키는 임펠러(14)와;
    저부에 배출관체(1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분말 용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12)는,
    상기 저장탱크(12) 내의 석회유를 가열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수단(40)과;
    상부에 수증기를 방출시키기 위한 수증기배출구(4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분말 용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12)를 수용하고 내부에 용수가 담기는 외부탱크(13)를 구비하여 상기 저장탱크(12) 내에서 발생하는 석회유의 반응열에 의해 온수를 발생시키고, 상기 외부탱크(13)에 온수관체(62)를 통해 연결되고 온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분말 용해장치.
KR1020120092375A 2012-08-23 2012-08-23 석회분말 용해장치 KR101194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375A KR101194899B1 (ko) 2012-08-23 2012-08-23 석회분말 용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375A KR101194899B1 (ko) 2012-08-23 2012-08-23 석회분말 용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899B1 true KR101194899B1 (ko) 2012-10-25

Family

ID=4728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375A KR101194899B1 (ko) 2012-08-23 2012-08-23 석회분말 용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89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060A (ko) * 2013-06-12 2014-12-22 니혼 스핀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분체의 흡인 용해 분산장치
KR101832104B1 (ko) * 2017-09-05 2018-02-26 이지헌 폐열회수라인이 구비된 석회유 제조장치
KR101832105B1 (ko) * 2017-09-05 2018-02-26 이지헌 폐열회수라인을 이용한 석회유 제조방법
KR101840281B1 (ko) 2016-03-17 2018-05-04 (주)지알씨 액상소석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9050221A1 (ko) * 2017-09-05 2019-03-14 이지헌 폐열회수라인이 구비된 석회유 제조장치 및 폐열회수라인을 이용한 석회유 제조방법
CN110102210A (zh) * 2019-04-15 2019-08-09 浙江川洋新材料股份有限公司 高热稳定性车用聚氨酯海绵的染料配色系统的混料机构
KR102259049B1 (ko) * 2020-12-09 2021-05-31 유원식 시멘트용 방수액 제조장치
KR102411993B1 (ko) * 2021-07-15 2022-06-22 이지헌 스팀이송관이 구비된 석회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4797646A (zh) * 2022-01-22 2022-07-29 张朝贵 一种石灰钙水溶性肥制备装置及其制备工艺
CN116764470A (zh) * 2023-08-23 2023-09-19 天津高能时代水处理科技有限公司 旋流分布混合、旋转导流和气升动力回流的流化反应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067B1 (ko) 1999-10-11 2002-04-10 김승희 분체약품투입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067B1 (ko) 1999-10-11 2002-04-10 김승희 분체약품투입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658B1 (ko) 2013-06-12 2016-02-16 니혼 스핀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분체의 흡인 용해 분산장치
KR20140145060A (ko) * 2013-06-12 2014-12-22 니혼 스핀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분체의 흡인 용해 분산장치
KR101840281B1 (ko) 2016-03-17 2018-05-04 (주)지알씨 액상소석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11739025B2 (en) 2017-09-05 2023-08-29 Ji Heon LEE Milk of lime preparation apparatus comprising waste heat recovery line, and milk of lime preparation method using waste heat recovery line
KR101832104B1 (ko) * 2017-09-05 2018-02-26 이지헌 폐열회수라인이 구비된 석회유 제조장치
KR101832105B1 (ko) * 2017-09-05 2018-02-26 이지헌 폐열회수라인을 이용한 석회유 제조방법
WO2019050221A1 (ko) * 2017-09-05 2019-03-14 이지헌 폐열회수라인이 구비된 석회유 제조장치 및 폐열회수라인을 이용한 석회유 제조방법
JP2020532488A (ja) * 2017-09-05 2020-11-12 ジホン リー, 廃熱回収ラインが備えられた石灰乳製造装置及び廃熱回収ラインを用いた石灰乳製造方法
CN110102210A (zh) * 2019-04-15 2019-08-09 浙江川洋新材料股份有限公司 高热稳定性车用聚氨酯海绵的染料配色系统的混料机构
KR102259049B1 (ko) * 2020-12-09 2021-05-31 유원식 시멘트용 방수액 제조장치
KR102411993B1 (ko) * 2021-07-15 2022-06-22 이지헌 스팀이송관이 구비된 석회유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4797646A (zh) * 2022-01-22 2022-07-29 张朝贵 一种石灰钙水溶性肥制备装置及其制备工艺
CN116764470A (zh) * 2023-08-23 2023-09-19 天津高能时代水处理科技有限公司 旋流分布混合、旋转导流和气升动力回流的流化反应器
CN116764470B (zh) * 2023-08-23 2023-11-07 天津高能时代水处理科技有限公司 旋流分布混合、旋转导流和气升动力回流的流化反应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899B1 (ko) 석회분말 용해장치
CN105417912B (zh) 一种脱水污泥厌氧干发酵的装置
US6779539B1 (en) Dispensing apparatus for delivering controlled amounts of water soluble material to a process stream
CN202241671U (zh) 搅拌装置
CN101297676B (zh) 饲料生产的多液体添加系统
CN205392308U (zh) 射流搅拌系统
CN201058469Y (zh) 用于搅拌凝固性材料或者用于混合泥浆或类似材料的设备
CN217068593U (zh) 一种中空纤维膜芯液配料系统
CN208717073U (zh) 一种畜禽沼液处理系统
CN205386878U (zh) 一种适用于压延膜设备的冷式搅拌送料装置
CN204522838U (zh) 专用界面剂自动配比生产系统
CN207385226U (zh) 一种自循环搅拌配液装置
CN110049786A (zh) 用于优化混合系统的混合和能量使用的控制系统
CN207694640U (zh) 一种具有温度控制功能的自动化物料搅拌设备
CN207951246U (zh) 一种带控制系统的调节池
CN207446248U (zh) 水处理药剂生产装置
CN221107784U (zh) 一种硝酸铵溶液罐
CN204907814U (zh) 用于发酵池的盐水注入装置
CN205275510U (zh) 用于降解材料的改性膨润土的生产系统
CN217221303U (zh) 一种节能型具有温度稳定功能的自动加药机
CN213791070U (zh) 试剂配制装置
CN111715163B (zh) 连续进料、出料的反应系统
CN206444674U (zh) 一种生产环保水性烘干磁漆的砂磨装置
CN205394871U (zh) 一种用于压延膜设备的定时式搅拌送料装置
CN219454265U (zh) 一种可调水温的混合水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