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604B1 - 에폭시 코팅 락볼트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폭시 코팅 락볼트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604B1
KR101192604B1 KR1020120021987A KR20120021987A KR101192604B1 KR 101192604 B1 KR101192604 B1 KR 101192604B1 KR 1020120021987 A KR1020120021987 A KR 1020120021987A KR 20120021987 A KR20120021987 A KR 20120021987A KR 101192604 B1 KR101192604 B1 KR 101192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bolt
coating
epoxy
bolt
r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웅 방
Original Assignee
웅 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 방 filed Critical 웅 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4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 C09D5/4407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with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5/4415Copolymers wherein one of the monomers is based on an epoxy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 코팅 락볼트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이나 토목 등의 모든 기초공사에 사용되는 철근을 이용한 락볼트에 부식방지를 위하여 락볼트 표면에 에폭시 코팅을 통한 락볼트 철근의 부식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내구성 증대 및 수명을 연장하는 에폭시 코팅 락볼트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송롤러(21)의 지지홈(22)에 공급한 락볼트(100)를 공급하며 상기 락볼트(100)의 외경에 쇼트 볼(32)을 고압 분사하여 전처리한 후 고주파를 이용한 인덕션히터(41)로 예열하고, 정전 스프레이 도장법으로 고전압 하에서 에폭시 분체를 분사하여 80~380㎛의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한 락볼트(100)를 자연건조와 냉각수에 담가 냉각하여 에폭시를 경화시킨 후 배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폭시 코팅 락볼트와 그 제조방법 {epoxy coating Rock bolt and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에폭시 코팅 락볼트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이나 토목 등의 모든 기초공사에 사용되는 철근을 이용한 락볼트에 부식방지를 위하여 락볼트 표면에 에폭시 코팅을 통한 락볼트 철근의 부식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내구성 증대 및 수명을 연장하는 에폭시 코팅 락볼트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이나 토목(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사면 보강, 터널 보강 구축시공 등)의 모든 터파기공사에서 토압으로 인하여 붕괴가 예상되는 굴착 벽면을 보호, 유지하기 위하여 흙막이벽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흙막이벽의 변형을 막고, 배면 지반을 안정시키기 위한 공법에는 락볼트(앵커) 공법과 쏘일 네일링 공법이 있다. 앵커 공법은 토목 또는 건축물 공사에 있어서 설치되는 정착장치로, 지하 구조물의 구축을 위하거나 굴착 시에 주변 침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토류벽을 가설하고, 상기 토류벽을 지탱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락볼트 공법은 설치를 목적으로 하는 곳에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일정한 깊이와 경사각으로 지반에 볼트 홀을 천공하고, 일정한 길이로 사전에 조립된 락볼트를 상기 볼트 홀에 삽입하고, 그라우팅을 통하여 지반과 락볼트를 고정한다.
상기 그라우팅은 몰탈 등을 이용하여 지반과 락볼트를 고정한다. 상기 지반에 고착된 락볼트의 네일을 인장하고, 토류벽 내지 기타 장비와 네일을 연결하여 상기 토류벽 내지 기타 장비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정착한다.
상기 볼트 홀에 락볼트를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정착제는 통상 몰탈이나 발포성 합성수지를 이용한다.
종래 특허등록번호 제0213467호에는 밀폐된 비닐튜브 내에 구획막을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2개의 수장실을 구비하고, 그 일측 수장실에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주재 조성물을, 그리고 타측 수장실에는 벤조일과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경화제 조성물을 충전하여서 된 락볼트 고착용 몰탈 레진이 개시되어 있다.
그래서 볼트 홀 속에 상기 몰탈 레진이 충진되어 있는 비닐튜브와 락볼트를 삽입하고, 오거 작업을 통해 상기 비닐튜브를 파열하면서 상기 주재 조성물과 경화제 조성물이 서로 반응하여 팽창 및 경화되면서 락볼트를 볼트 홀 내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처럼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락볼트 정착제는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락볼트가 시공되는 암반에 수분이 많거나 볼트 홀 속으로 지하수가 유출되는 경우, 상기 수지 성분이 희석되어 반응성이 급격하게 떨어지며, 락볼트의 인발강도가 저하되는 등 시공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건축이나 토목공사의 기초 등에 사용되는 락볼트는 주성분이 철(Fe)로서 해수나 용수에 쉽게 부식이 진행되며, 사용 전 야적 상태에서도 빗물 등에 쉽게 노출되어 부식이 진행되므로, 터널 공사나 해수와 접촉이 있는 공사 및 사면의 보강 공사 등에 사용할 때에는 강도 유지하기가 어렵고, 또 내구성이 약한 문제로 사용에 제한이 있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776620호(2007. 11. 08.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0213467호(1999. 05. 13.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547230호(2006. 01. 20. 등록) 문헌 4. 특허공개번호 제2005-0061629호(2005. 06. 23.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락볼트 표면에 에폭시 피복을 입혀 각종 염화물로부터 락볼트를 차단, 보호시키는 것에 의해 부실 공사를 방지하고 락 볼트의 내구성 및 수명을 연장하며 내부식성과 내충격성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락볼트에 대하여 내구성과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외부 표면에 분말로 이루어진 에폭시 수지(C)를 80~380㎛의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송롤러의 지지홈에 공급한 락볼트를 공급하며 상기 락볼트의 외경에 쇼트 볼을 고압 분사하여 전처리한 후 고주파를 이용한 인덕션히터로 예열하고, 정전 스프레이 도장법으로 고전압 하에서 에폭시 분체를 분사하여 80~380㎛의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한 락볼트를 자연건조와 냉각수에 담가 냉각하여 에폭시를 경화시킨 후 배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복되지 않은 락볼트를 공급 대기판에 대기한 도입부에서 이송롤러에 10~30cm의 간격으로 형성한 지지홈에 5?8개의 락볼트를 공급하는 도입단계(S1);
상기 도입단계(S1)에서 공급하는 락볼트의 표면을 밀 스케일, 녹,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여 에폭시 수지의 고른 접착력 증대를 위해 고압 분사기에서 미세한 쇼트볼을 고압 분사하여 가공하는 전처리단계(S2);
상기 전처리단계(S2)에서 가공된 락볼트는 육안으로 식별되는 산화가 일어나기 전에 예열부에서 고주파를 이용한 인덕션 히터를 통하여 예열처리하는 예열단계(S3);
상기 예열단계(S3)에서 예열처리한 락볼트는 피복부에 공급되어 스프레이건의 스프레이 노즐로부터 정전 스프레이 도장법으로 고전압하에서 음(-)으로 대전된 에폭시 분체를 접지된 락볼트에 균일하게 분사하여 80~380㎛의 두께를 갖도록 전기적으로 부착시킨 후 용해하여 도막화 시키는 피복단계(S4);
상기 피복단계(S4)에서 에폭시 분체를 피복시킨 후 자연건조부의 건조대에 락볼트를 공급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균일한 도막 두께를 얻기 위해 상온에서 자연 경화시키는 자연건조 단계(S5);
상기 자연건조 단계(S5)에서 피막이 고르게 자연 건조된 후 냉각수 탱크에 상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부에 락볼트를 잠수시켜 냉각을 수행하는 냉각단계(S6); 및
상기 냉각단계(S6)에서 냉각된 락볼트를 배출부의 이송롤러에 공급하여 건조되면서 표면의 도막이 손상되지 않게 이송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단계(S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철근으로 사용되는 락볼트의 재질 외주면을 에폭시 수지로 80~380㎛의 두께를 갖도록 코팅하여 방수 및 오염, 기타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재질의 고유 성상을 영구히 유지할 수 있으며, 락볼트 사용 및 시공 개소인 사면, 해안, 호안, 접안부 등의 출수와 용출수가 산성, 염기성 또는 기타 성질의 부식성 수질에 대해 내부식성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장소와 기상 조건에 관계없이 토목, 토건 기타 공사 작업 현장의 야적 내지 실내 보관 및 장소와 기상 조건에 관계없이 전천후로 적치, 보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제조한 락볼트의 확대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제조장치의 구성상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도입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전처리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예열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피복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자연건조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와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냉각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배출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조과정 블럭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제조한 락볼트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으로, 나선형으로 홈부(120)와 돌출부(110)가 연속해서 형성되며, 상기 홈부(120)와 돌출부(110)에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피복부(130)를 형성하는 락볼트(100)를 제공하여 부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복부(130)는 외부 표면에 분말로 이루어진 에폭시 수지(C)를 80~380㎛의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하여 부식의 원인을 해결함으로써, 락볼트(100)를 사용하는 모든 시설물의 내구 수명을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구조물의 안전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제조장치의 구성상태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철(Fe)로 돌출부와 홈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락볼트를 공급하는 도입부(10)의 일측으로 이송부(20)를 설치하여 5~8 가닥을 10~30cm 간격에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이송부(20)에서 공급하는 락볼트의 표면 밀 스케일, 녹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부(30)를 설치한다.
상기 전처리부(30)에서 공급되는 락볼트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가열하여 표면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고주파를 이용한 인덕션 히터를 사용하여 예열처리하는 예열부(40)를 설치하고, 상기 예열부(40)에서 공급되는 락볼트를 에폭시 분체를 분사하여 분체도장 하는 방법으로 락볼트가 코팅되도록 하는 피복부(50)를 설치한다.
상기 피복부(50)에서 공급되는 피복된 락볼트가 균일한 두께의 피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연 경화시키는 자연 건조부(60)를 설치하고, 상기 자연 건조부(60)에서 공급되는 피복된 락볼트를 물에 잠수시켜 냉각시키는 냉각부(70)를 설치하며, 상기 냉각부(70)에서 냉각된 락볼트의 도막(피복부)이 손상되지 않게 배출되는 배출부(80) 및 상기 락볼트를 안전하게 공급하여 보관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보관부(9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입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철(Fe)로 돌출부(110)와 홈부(120)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도록 가공한 락볼트(100)를 보관하는 공급 대기판(11)에 쌓아 놓고 전방의 이송롤러(21)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하는 도입부(10)와;
상기 도입부(10)에서 공급된 락볼트(100)를 이송롤러(21)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홈(22)을 형성하여 락볼트(100)가 상기 지지홈(22)에 각각 하나씩 공급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부(20)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롤러(21)에 공급하는 락볼트(100)의 개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5~8개의 범위에서 10~30cm의 간격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처리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송롤러(21)의 상측에 공급하는 락볼트(100)는 전처리부(30)에 공급되어 양쪽에 설치한 고압 분사기(31)에서 쇼트볼을 고압 분사하여 피복되지 않은 표면의 밀 스케일, 녹, 기타 이물질 제거를 통해 에폭지 수지가 고르게 피복될 수 있도록 가공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열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표면이 가공된 락볼트(100)가 락볼트 공급구멍(43)으로 각각 공급되어 이송하는 과정에서 고주파를 이용하여 예열처리되는 예열부(40)를 설치한다.
상기 예열부(40)는 락볼트 공급구멍(43)의 외측으로 고주파 유도장치인 코일(42)이 감겨져 있어서 고주파를 이용한 인덕션 히터에 의해 예열 처리되는 것이다.
상기 예열부(40)에서 락볼트(100) 표면의 피복면이 완전히 경화될 수 있도록 2~8초간 180~240℃의 온도를 가하여 예열하되; 과열에 의한 락볼트(100)의 청록산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피복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예열 처리된 락볼트(100)가 공급되며 양쪽에서 스프레이건(51)의 선단에 설치한 스프레이 노즐(52)에서 정전 스프레이 도장법으로 고전압 하에서 음(-)이온으로 대전된 에폭시 수지를 균일하게 분사하여 80~380㎛의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하여 분체도장을 수행하는 피복부(50)를 설치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연건조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과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락볼트(10O)의 돌출부(110)와 홈부(120)에 에폭시 수지(C)를 80~380㎛의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하여 공급하는 과정에서 건조대(61)의 상측에서 100~140초 동안 공기 중에 통과하면서 자연 경화시켜 피막이 고르게 응고되도록 하는 자연건조부(60)를 설치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냉각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자연건조한 락볼트(100)를 냉각수 탱크(71)의 내부로 공급한 상온의 냉각수(72)에 잠수시켜 상온으로 냉각되도록 냉각하는 냉각부(70)를 설치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출부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냉각, 건조된 락볼트(100)를 이송롤러(82)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되어 도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배출하는 배출부(80)와;
상기 배출부(80)에서 배출되는 락볼트(100)를 이송대(83)에 공급하여 하측의 락볼트 배출장치(84)에서 생산공간(91)으로 배출하여 공급하는 보관부(90)를 설치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과, 도 10의 제조과정 블럭도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피복되지 않은 락볼트(100)를 공급 대기판(11)에 대기한 도입부(10)에서 이송롤러(21)에 10~30cm의 간격으로 형성한 지지홈(22)에 락볼트(100)를 공급하는 이송부(20)로 이루어진 도입단계(S1)와;
상기 도입단계는 지지홈(22)의 개수에 따라서 락볼트(100)의 공급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나, 5~8개의 범위에서 공급하는 것이 좋다.
상기 락볼트(100)를 5개 이하로 공급하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8개 이상하면 자동 생산이 어렵고 설비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6개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입단계(S1)에서 공급하는 락볼트(100)의 표면을 밀 스케일, 녹,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여 에폭시 수지의 고른 접착력 증대를 위해 고압 분사기(31)에서 미세한 쇼트볼(32)을 고압 분사하여 가공하는 전처리부(30)에서 전처리단계(S2)를 수행한다.
상기 전처리단계(S2)는 가공된 락볼트(100)의 금속 표면이 회백색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처리단계(S2)에서 가공된 락볼트(100)는 육안으로 식별되는 산화가 일어나기 전에 예열부(40)의 락볼트 공급구멍(43)에 공급하면 고주파를 이용한 인덕션 히터(41)로 이루어진 코일(42)을 통하여 2~8초간 180~240℃의 온도로 예열처리하는 예열단계(S3)를 수행한다.
상기 예열단계(S3)에서 락볼트(100)의 표면이 완전히 경화될 수 있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과열에 의한 락볼트(100)의 청록산호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상기 예열단계(S3)에서 예열처리한 락볼트(100)는 피복부(50)에 공급되어 스프레이건(51)의 스프레이 노즐(52)로부터 정전 스프레이 도장법으로 고전압하에서 음(-)으로 대전된 에폭시 분체를 접지된 락볼트(100)에 균일하게 분사하여 80~380㎛의 두께를 갖도록 전기적으로 부착시킨 후 용해하여 도막화 시키는 피복단계(S4)를 수행한다.
상기 피복단계(S4)에서 에폭시 분체를 피복시킨 후 자연건조부(60)의 건조대(61)에 락볼트(100)를 공급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균일한 도막 두께를 얻기 위해 상온에서 180~240초 동안 자연 경화시켜 피막을 고르게 안정시키는 자연건조 단계(S5)를 수행한다.
상기 자연건조 단계(S5)에서 피막이 고르게 자연 건조된 후 냉각수 탱크(71)에 상온의 냉각수(72)를 공급하는 냉각부(70)에 락볼트(100)를 잠수시켜 완전한 냉각을 수행하는 냉각단계(S6)를 수행한다.
상기 냉각단계(S6)에서 냉각된 락볼트(100)를 배출부(80)의 이송롤러(82)에 공급되어 건조되면서 표면의 도막이 손상되지 않게 이송되고, 락볼트 배출장치(84)의 이송대(83)에서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단계(S7)를 수행한다.
상기 배출단계(S7)에서 공급되는 락볼트(100)는 보관부(90)의 생산공간(91)에 저장되어 포장 작업에 의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급속한 부식을 일으키는 해사, 해수 등의 구조물 공사에서는 일반 락볼트를 사용할 수 없었으며, 사면 보강공사나 터널 보강 구축시공 등에도 용출수에 의한 철근 부식으로 내구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에폭시가 피복된 락볼트(100)는 사면, 호안 접안부 등의 출수와 용출부는 물론 해사, 해수 등의 산성, 염기성 또는 기타 성질의 부식성 수질에 대해 내 부식성의 내구성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에폭시 코팅 락볼트(100)는 우수한 곡 가공성으로 일반 철근과 동일하게 굽힘 가공이 가능하며, 최대 120°까지 굽힘 가공하더라도 피막손상이 없고, 내 충격성 역시 망치 등으로 강한 충격을 주어도 미미한 부분 손상으로 그 면적은 1~2㎟에서 5㎟ 정도로 도막 보수를 하지 않아도 콘크리트의 내식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아울러, 토목, 토건 기타 공사 작업 현장의 야적과 실내 보관 등이 장소와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단품 상태로 전천후로 적치, 보관 가능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에폭시 코팅 락볼트는 사면, 호안 접안부 등의 출수와 용수는 물로 해사, 해수 등의 산성, 염기성 또는 기타 성질의 부식성 수질에 대해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토목, 토건 등 기타 작업 현장의 야적과 보관 등이 장소와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단품 상태로 전천후 적치, 보관이 가능하여 경비를 혁신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도입부 11 : 공급 대기판
20 : 이송부 21, 82 : 이송롤러
22 : 지지홈 30 : 전처리부
31 : 고압 분사기 32 : 쇼트 볼
40 : 예열부 41 : 인덕션 히터
42 : 코일 43 : 락볼트 공급구멍
50 : 피복부 51 : 스프레이 건
52 : 스프레이 노즐 60 : 자연건조부
61 : 건조대 70 : 냉각부
71 : 냉각수 탱크 72 : 냉각수
80 : 배출부 83 : 이송대
84 : 락볼트 배출장치 90 : 보관부
91 : 생산공간 100 : 락볼트
110 : 돌출부 120 : 홈부
130 : 피복부

Claims (4)

  1. 이송롤러(21)의 지지홈(22)에 공급한 락볼트(100)를 공급하며 상기 락볼트(100)의 외경에 쇼트 볼(32)을 고압 분사하여 전처리한 후 고주파를 이용한 인덕션히터(41)로 예열하고, 정전 스프레이 도장법으로 고전압 하에서 에폭시 분체를 분사하여 80~380㎛의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한 락볼트(100)를 자연건조와 냉각수에 담가 냉각하여 에폭시를 경화시킨 후 배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폭시 코팅 락볼트.
  2. 피복되지 않은 락볼트를 공급 대기판에 대기한 도입부에서 이송롤러에 10~30cm의 간격으로 형성한 지지홈에 5?8개의 락볼트를 공급하는 도입단계(S1);
    상기 도입단계(S1)에서 공급하는 락볼트의 표면을 밀 스케일, 녹,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여 에폭시 수지의 고른 접착력 증대를 위해 고압 분사기에서 미세한 쇼트볼을 고압 분사하여 가공하는 전처리단계(S2);
    상기 전처리단계(S2)에서 가공된 락볼트는 육안으로 식별되는 산화가 일어나기 전에 예열부에서 고주파를 이용한 인덕션 히터를 통하여 예열처리하는 예열단계(S3);
    상기 예열단계(S3)에서 예열처리한 락볼트는 피복부에 공급되어 스프레이건의 스프레이 노즐로부터 정전 스프레이 도장법으로 고전압하에서 음(-)으로 대전된 에폭시 분체를 접지된 락볼트에 균일하게 분사하여 80~380㎛의 두께를 갖도록 전기적으로 부착시킨 후 용해하여 도막화 시키는 피복단계(S4);
    상기 피복단계(S4)에서 에폭시 분체를 피복시킨 후 자연건조부의 건조대에 락볼트를 공급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균일한 도막 두께를 얻기 위해 상온에서 자연 경화시키는 자연건조 단계(S5);
    상기 자연건조 단계(S5)에서 피막이 고르게 자연 건조된 후 냉각수 탱크에 상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부에 락볼트를 잠수시켜 냉각을 수행하는 냉각단계(S6); 및
    상기 냉각단계(S6)에서 냉각된 락볼트를 배출부의 이송롤러에 공급하여 건조되면서 표면의 도막이 손상되지 않게 이송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단계(S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폭시 코팅 락볼트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단계(S2)의 가공된 락볼트는 육안으로 식별되는 산화가 일어나기 전에 예열부의 락볼트 공급구멍에 공급하여 고주파를 이용한 인덕션 히터를 통하여 2~8초간 180~240℃의 온도로 예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폭시 코팅 락볼트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단계(S4)는 에폭시 분체를 피복시킨 후 자연건조부의 건조대에 락볼트를 공급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균일한 도막 두께를 얻기 위해 상온에서 180~240초 동안 자연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폭시 코팅 락볼트의 제조방법.
KR1020120021987A 2011-08-19 2012-03-02 에폭시 코팅 락볼트와 그 제조방법 KR101192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03 2011-08-19
KR20110083403 2011-08-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604B1 true KR101192604B1 (ko) 2012-10-18

Family

ID=4728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987A KR101192604B1 (ko) 2011-08-19 2012-03-02 에폭시 코팅 락볼트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6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60B1 (ko) * 2013-06-28 2014-10-13 이상헌 무공해 납 낚시추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4054B1 (ko) * 2015-01-14 2015-08-12 주식회사 명성쇼트기계 길이부재 자동 표면처리 도장장치
KR101577393B1 (ko) 2015-02-17 2015-12-28 임규한 H빔 코팅장치
KR20160064279A (ko) * 2014-11-27 2016-06-08 (주)케이씨엠티 노출식 락볼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009Y1 (ko) * 2005-09-14 2006-02-07 (주)용마공영 지중 앵커파일용 트레드바
JP2010005535A (ja) * 2008-06-26 2010-01-14 Neturen Co Ltd 鋼棒の塗装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009Y1 (ko) * 2005-09-14 2006-02-07 (주)용마공영 지중 앵커파일용 트레드바
JP2010005535A (ja) * 2008-06-26 2010-01-14 Neturen Co Ltd 鋼棒の塗装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60B1 (ko) * 2013-06-28 2014-10-13 이상헌 무공해 납 낚시추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64279A (ko) * 2014-11-27 2016-06-08 (주)케이씨엠티 노출식 락볼트 시공방법
KR101690003B1 (ko) * 2014-11-27 2016-12-28 (주)케이씨엠티 노출식 락볼트 시공방법
KR101544054B1 (ko) * 2015-01-14 2015-08-12 주식회사 명성쇼트기계 길이부재 자동 표면처리 도장장치
KR101577393B1 (ko) 2015-02-17 2015-12-28 임규한 H빔 코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604B1 (ko) 에폭시 코팅 락볼트와 그 제조방법
CA2908895C (en) A method to create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by means of profiles made from a shape-memory alloy as well as structure built according to the method
CN103758358B (zh) 钢板角钢组合构造柱和粘锚钢板砌体加固结构及施工方法
CN110359915B (zh) 一种适用于四级围岩双线轨道的防水型单层衬砌结构及其制作方法
KR101522832B1 (ko) 섬유복합패널과 배출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US20080248302A1 (en) Rod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OA13199A (en) Shrapnel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0819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ve coating of reinforcement
KR102193762B1 (ko) 속건성 충진보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보수공법
KR100772329B1 (ko) 칙소성 우레탄과 섬유시트를 이용한 방수 및 바닥재시공방법
CN104775567A (zh) 一种新型frp-钢复合受力筋及其制备方法
KR102297706B1 (ko) 방수몰탈을 이용한 단면복구 및 방수시공 방법
US20180037999A1 (en) Method of producing cathodic corrosion protection for protection of reinforcing steel in a ferroconcrete structure
CA2970317A1 (en) Intumescent mesh coating
KR102279044B1 (ko) 복합탄성중합체 조성물과 구조보강용 층 그리고 복합탄성중합체의 시공방법
KR10114390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ㆍ보강용 고인장 박판패널 시공방법
KR100403076B1 (ko) 시트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과 그 시트부재
CN112962636A (zh) 一种斜向钢管支护边坡的定位装置及施工方法
JP2016172983A (ja) 構造物
JP2004218352A (ja) コンクリート片の剥離剥落箇所の補修法
CN109989360A (zh) 一种铁路桥墩竖向裂缝加固装置及其加固方法
KR20110032921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고강도 보강재
JP2010101128A (ja) スレート屋根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3875601B2 (ja) 塩害を受け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CN109440949B (zh) 一种用于钢材防锈的磁流体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