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531B1 -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531B1
KR101192531B1 KR1020100102502A KR20100102502A KR101192531B1 KR 101192531 B1 KR101192531 B1 KR 101192531B1 KR 1020100102502 A KR1020100102502 A KR 1020100102502A KR 20100102502 A KR20100102502 A KR 20100102502A KR 101192531 B1 KR101192531 B1 KR 101192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mounting plate
motor
caulk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502A (ko
Inventor
히데히코 히다카
시게오 하야시
마사노리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86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5593958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3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531B1/ko

Links

Images

Abstract

모터는, 정지부와, 상하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정지부에 지지된 회전부와, 정지부가 고정된 설치판과, 설치판의 상면측에 배치되며, 정지부에 대하여 회전부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 회로가 실장된 회로 기판을 구비한다. 정지부는 회로 기판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일방측에 위치하고, 회로 기판은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타방측에 위치하는 커넥터를 갖는다. 설치판은, 회로 기판의 상면에 접촉하여 회로 기판을 고정하는 코킹부를 갖는다. 코킹부는 커넥터의 일방측의 단부로부터 타방측의 위치에 적어도 1개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의 휨이 발생하기 쉬운 커넥터의 근방에서, 설치판에 회로 기판이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설치판의 상면에 회로 기판을 강제하는 일 없이 설치판에 회로 기판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후에 설치판으로부터 회로 기판이 뜨는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MOTOR AND DISK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디스크 구동 장치에는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브러시리스 모터가 탑재되어 있다. 종래의 브러시리스 모터의 구조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262540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해당 공보에 기재된 브러시리스 모터는 모터 설치를 위한 설치 베이스부와, 모터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실장한 프린트 기판을 갖는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262540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262540 호 공보에 기재된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프린트 기판은 설치 베이스부에 대하여 양면 테이프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각종 전자 부품이 프린트 기판에 납땜될 때에, 프린트 기판이 열에 의해 휘어지는 경우가 있다. 휨이 발생한 프린트 기판을 설치 베이스부에 고정할 때에는, 설치 베이스부에 프린트 기판을 강제하여 프린트 기판의 휨을 교정하면서, 프린트 기판을 설치 베이스부에 양면 테이프로 접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프린트 기판을 설치 베이스부에 고정했다고 해도,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보다 프린트 기판의 휨의 힘이 강하면, 일단 접착된 프린트 기판이 다시 휘어진다. 그 결과, 프린트 기판의 일부가 설치 베이스부로부터 뜨는 경우가 있다. 설치 베이스부로부터 뜬 프린트 기판의 일부는, 디스크 구동 장치 내의 다른 부재와 간섭하여 디스크 구동 장치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이 떠 버리면, 프린트 기판이 뜬 만큼 디스크 구동 장치의 두께를 늘려야만 한다. 즉, 프린트 기판이 뜨는 현상은 디스크 구동 장치의 박형화를 저해하는 요인이나 된다.
프린트 기판에 커넥터가 실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커넥터의 근방에서 프린트 기판의 휨이 특히 발생하기 쉽다. 이 휨은 커넥터에 마련된 다수의 단자 핀을 납땜할 때에 발생한다.
또한, 프린트 기판이 부분적으로 잘록한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프린트 기판의 휨이 발생하기 쉽다. 이는 프린트 기판에 있어서의 굴곡 위치에서 휨의 응력이 집중되기 쉽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판의 상면에 회로 기판을 강제하는 일 없이 설치판에 회로 기판을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 후에 설치판으로부터 회로 기판이 뜨는 현상도 억제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 모터를 구비한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모터는, 정지부와, 상하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정지부에 지지된 회전부와, 상기 정지부가 고정된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상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정지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 회로가 실장된 회로 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정지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일방측에 위치한다. 상기 회로 기판은 커넥터와 에지를 갖는다. 커넥터는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타방측에 위치한다. 에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 또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다른 면의 경계에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설치판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일방측의 단부로부터 타방측에 위치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모터는, 정지부와, 상하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정지부에 지지된 회전부와, 상기 정지부가 고정된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상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정지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 회로가 실장된 회로 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회로 기판은 협애부를 갖는다. 협애부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가 상기 길이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인접하는 부분보다 짧다. 상기 정지부는 상기 협애부로부터 상기 일방측에 위치한다. 상기 회로 기판은 에지를 갖는다. 상기 에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 또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다른 면의 경계에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설치판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협애부 또는 상기 협애부로부터 상기 타방측에 위치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모터에 의하면, 회로 기판의 휨이 발생하기 쉬운 커넥터의 근방에서 설치판과 회로 기판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터의 제조 시에, 회로 기판이 설치판의 상면에 강제되는 일 없이 설치판에 고정된다. 또한, 회로 기판을 설치판에 고정한 후, 회로 기판의 일부가 설치판으로부터 뜨는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모터에 의하면, 회로 기판의 협애부에 휨이 발생한 경우에, 회로 기판이 뜨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서, 설치판과 회로 기판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터의 제조 시에, 회로 기판이 설치판의 상면에 강제되는 일 없이 설치판에 고정된다. 또한, 회로 기판이 설치판에 고정된 후, 회로 기판의 일부가 설치판으로부터 뜨는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모터의 상면도,
도 2는 모터의 상면도,
도 3은 디스크 구동 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종단면도,
도 5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상면도,
도 6은 외연 코킹부의 종단면도,
도 7은 버링 코킹부의 종단면도,
도 8은 나사 고정부를 갖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상면도,
도 9는 나사 고정부의 종단면도,
도 10은 설치판에 회로 기판을 고정하는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1은 브러시리스 모터의 상면도,
도 12는 대향부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모터의 중심축에 따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며, 설치판에 대해 회로 기판측을 위로 하여 각 부분의 형상이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하 방향을 정의한 것이다. 이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가 실제의 기기에 탑재되었을 때의 설치 자세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회로 기판 유닛>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13)의 상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13)는 정지부(102)와 회전부(103)와 설치판(104)과 회로 기판(105)을 구비한다.
정지부(102)는 설치판(104)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부(103)는 정지부(10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부(103)는 상하로 연장되는 중심축(109)을 중심으로 하여 정지부(10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로 기판(105)은 설치판(104)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105)에는 정지부(102)에 대하여 회전부(103)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 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정지부(102)는 회로 기판(105)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Xc)로부터 일방측(Xa)에 위치한다. 또한, 회로 기판(105)은 커넥터(154)를 갖는다. 커넥터(154)는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Xc)로부터 타방측(Xb)에 위치한다. 회로 기판(105)은 코킹부(140)에 의해 설치판(104)에 고정되어 있다. 코킹부(140)는, 설치판(104)의 일부가 회로 기판(105)의 상면에 접촉한 것이다.
회로 기판(105)에서, 코킹부(140)는 커넥터(154)의 일방측(Xa)의 단부로부터 타방측(Xb)의 위치에 적어도 1개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154)의 근방에서는 회로 기판(105)의 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커넥터(154)의 근방에서, 설치판(104)과 회로 기판(105)이 코킹부(1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터(113)의 제조 시에, 회로 기판(105)이 설치판(104)의 상면에 강제되는 일 없이 설치판(104)에 고정된다. 또한, 회로 기판이 설치판에 고정된 후, 회로 기판의 일부가 설치판(104)으로부터 뜨는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서는, 코킹부(1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5)의 상면에 접촉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외의 구조로서, 코킹부(140)는 회로 기판(105)의 상면과 다른 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에지에 접촉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코킹부(140)와 동일한 위치에 코킹부(140)를 대신하여 나사 고정부를 마련해도 좋다. 나사 고정부는, 회로 기판(105) 및 설치판(104)에 나사를 삽입하고 회로 기판(105)의 상면에 나사의 헤드부를 접촉시킨 것으로 하면 좋다.
즉, 코킹부(140)나 나사 고정부와 같은 고정부에 의해, 회로 기판(105)은 설치판(104)에 고정된다.
<2.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회로 기판 유닛>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213)의 상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213)는 정지부(202)와 회전부(203)와 설치판(204)과 회로 기판(205)을 구비한다.
정지부(202)는 설치판(204)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부(203)는 정지부(202)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하로 연장되는 중심축(209)을 중심으로 정지부(20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로 기판(205)은 설치판(204)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205)에는 정지부(202)에 대하여 회전부(203)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 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회로 기판(205)은, 그 길이 방향(X)에 직교하는 폭 방향(Y)의 길이가 길이 방향(X)의 일방측(Xa) 및 타방측(Xb)에 인접하는 부분보다 짧은 협애부(253)를 갖는다. 정지부(202)는 협애부(253)로부터 길이 방향(X)의 일방측(Xa)에 위치한다. 회로 기판(205)은 코킹부(240)에 의해 설치판(204)에 고정되어 있다. 코킹부(240)는, 설치판(204)의 일부가 회로 기판(205)의 상면에 접촉한 것이다.
코킹부(240)는 협애부(253) 또는 협애부(253)로부터 길이 방향(X)의 타방측(Xb)의 위치에 적어도 1개 배치되어 있다. 협애부(253)에서는 회로 기판(205)의 휨에 의해서 생기는 응력이 집중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협애부(253)에서는 회로 기판(205)이 뜨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 기판(205)이 뜨기 쉬운 위치에서, 설치판(204)과 회로 기판(205)이 코킹부(240)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터(213)의 제조 시에, 회로 기판(205)이 설치판(204)의 상면에 강제되는 일 없이 설치판(204)에 고정된다. 또한, 회로 기판(205)이 설치판(204)에 고정된 후, 회로 기판(205)의 일부가 설치판(204)으로부터 회로 기판(205)이 뜨는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서는, 코킹부(2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205)의 상면에 접촉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외의 구조로서, 코킹부(240)는 회로 기판(205)의 상면과 다른 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에지에 접촉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코킹부(240)와 동일한 위치에, 코킹부(240)를 대신하여 나사 고정부를 설치해도 좋다. 나사 고정부는, 회로 기판(205) 및 설치판(204)에 나사를 삽입하고 회로 기판(205)의 상면에 나사의 헤드부를 접촉시킨 것으로 하면 좋다.
즉, 코킹부(240)나 나사 고정부와 같은 고정부에 의해, 회로 기판(205)은 설치판(204)에 고정될 수 있다.
<3.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3-1. 디스크 구동 장치의 구성>
도 3은 디스크 구동 장치(1)의 종단면도이다. 디스크 구동 장치(1)는 중심축(9)을 중심으로 광디스크(90)[이하, 단순히 「디스크(90)」라 함]를 회전시키면서, 「정보의 판독」 및 「정보의 기입」를 실행하는 장치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구동 장치(1)는, 하우징(11)과 디스크 트레이(12)와 브러시리스 모터(13)와 액세스부(14)를 구비한다.
하우징(11)은 디스크 트레이(12), 브러시리스 모터(13) 및 액세스부(14)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이다. 디스크 트레이(12)는 디스크(90)를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하우징(11)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하우징(11)에 대하여, 디스크(90)는 반입 및 반출된다. 브러시리스 모터(13)는 디스크 트레이(12)에 고정되어 있다. 디스크(90)는 브러시리스 모터(13)의 회전부(3)에 보지되며, 브러시리스 모터(13)에 의해 중심축(9)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액세스부(14)는 광픽업 기능을 구비한 헤드(14a)를 갖는다. 액세스부(14)는 브러시리스 모터(13)에 의해 회전하는 디스크(90)의 기록면을 따라 헤드(14a)를 이동시켜서 「정보의 판독」 및 「정보의 기입」를 실행한다. 또한, 액세스부(14)의 헤드(14a)는 디스크(90)의 기록면에 대하여 「정보의 판독」 및 「정보의 기입」 중 어느 하나만을 실행하는 것이어도 좋다.
<3-2. 브러시리스 모터의 구성>
이어서, 상기의 브러시리스 모터(1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브러시리스 모터(13)의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러시리스 모터(13)는 정지부(2)와 회전부(3)와 설치판(4)과 회로 기판(5)을 구비한다.
정지부(2)는 설치판(4)에 고정되어 있다. 정지부(2)는 정지 베어링 유닛(21)과 스테이터 유닛(22)을 갖는다. 정지 베어링 유닛(21)은 샤프트(31)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기구이다. 스테이터 유닛(22)은 복수개의 티스부(23a)를 갖는 스테이터 코어(23)와, 각 티스부(23a)에 감긴 코일(24)을 갖는다. 코일(24)의 하단부는 회로 기판(5)의 상면과 간극을 거쳐 대향한다.
회전부(3)는 정지부(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부(3)는 샤프트(31)와 턴테이블(32)과 로터 마그넷(33)과 체킹부(34)를 갖는다. 샤프트(31)는 중심축(9)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턴테이블(32)은 샤프트(31)에 고정되어 샤프트(31)와 함께 회전하는 부재이다. 로터 마그넷(33)은 턴테이블(32)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 마그넷(33)은 대략 원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로터 마그넷(33)의 내주면은 스테이터 코어(23)의 티스부(23a)의 단면에 대향하는 자극면으로 되어 있다.
턴테이블(32)은 내측 원통부(32a)와 평판부(32b)와 외측 원통부(32c)를 갖는다. 내측 원통부(32a)는 샤프트(31)에 압입에 의해 체결된 대략 원통형의 부위이다. 평판부(32b)는 내측 원통부(32a)의 하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펼쳐지는 부위이다. 또한, 외측 원통부(32c)는 평판부(32b)의 외연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부위이다. 외측 원통부(32c)의 내측에는 로터 마그넷(33)이 보지되어 있다.
외측 원통부(32c)의 하단부나 로터 마그넷(33)의 하단부는 회로 기판(5)의 상면과 간극을 거쳐 대향한다.
턴테이블(32)의 상면에는 대략 원환 형상의 탑재 부재(35)가 고정되어 있다. 디스크(90)는 그 하면을 탑재 부재(35)의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턴테이블(32) 상에 탑재된다. 또한, 디스크(90)의 내주부는 체킹부(34)에 보지된다. 즉, 턴테이블(32), 탑재 부재(35) 및 체킹부(34)가 디스크(90)를 보지하는 보지부를 구성한다.
정지부(2)의 코일(24)에 외부 전원(도시 생략)으로부터 구동 전류가 인가되면, 스테이터 코어(23)의 복수의 티스부(23a)에 자속이 발생한다. 그리고, 각 티스부(23a)와 로터 마그넷(33) 사이의 자속의 작용에 의해 원주 방향의 토크가 발생한다. 이 토크에 의해, 회전부(3)가 중심축(9)을 중심으로 하여 정지부(2)에 대해 회전한다. 회전부(3)에 보지된 디스크(90)는 회전부(3)와 함께 중심축(9)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설치판(4)은 정지부(2) 및 회로 기판(5)을 지지하는 판재이다. 설치판(4)은 디스크 구동 장치(1)의 디스크 트레이(12)에 고정되어 있다. 정지부(2), 회전부(3) 및 회로 기판(5)의 높이 위치는 설치판(4)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되어 있다. 설치판(4)의 재료는 회로 기판(5)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가 이용된다. 예컨대, 설치판(4)의 재료로서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이 이용된다.
회로 기판(5)은 설치판(4)의 상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5)에는 전자 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이 전자 회로는 정지부(2)의 코일(24)에 구동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 기판(5)으로서 상면 및 하면의 쌍방에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양면 기판이 사용된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5)의 하면과 설치판(4)의 상면 사이에는 전기적인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 시트(6)가 개재되어 있다.
도 5는 브러시리스 모터(13)의 상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판(4) 및 회로 기판(5)은 부분적으로 잘록한 부분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설치판(4) 및 회로 기판(5)의 짧은 변에 따른 폭 방향(Y)은 디스크 구동 장치(1)에 있어서의 디스크 트레이(12)의 이동 방향에 해당한다. 또한, 설치판(4) 및 회로 기판(5)의 긴 변에 따른 길이 방향(X)은 디스크 트레이(12)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해당한다.
회로 기판(5)은 제 1 광역부(51)와 제 2 광역부(52)와 협애부(53)를 갖는다. 제 1 광역부(51)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영역이다. 제 1 광역부(51)는 협애부(53)의 길이 방향(X)의 일방측(Xa)에 위치한다. 제 2 광역부(52)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영역이다. 제 2 광역부(52)는 협애부(53)의 길이 방향(X)의 타방측(Xb)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광역부(52)의 길이 방향(X)의 길이 및 폭 방향(Y)의 길이는 어느 것이나 제 1 광역부(51)의 길이 방향(X)의 길이 및 폭 방향(Y)의 길이보다 짧다.
협애부(53)는 제 1 광역부(51)와 제 2 광역부(52) 사이에서 폭 방향(Y)으로 잘록해진 부위이다. 즉, 협애부(53)의 폭 방향(Y)의 길이는 제 1 광역부(51)의 폭 방향(Y)의 길이 및 제 2 광역부의 폭 방향(Y)의 길이보다 짧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회로 기판(5)에는 폭 방향(Y)의 길이가 극소가 되는 2개소의 극소부(53a, 53b)가 존재한다. 본 실시형태의 협애부(53)는 이들 2개의 극소부(53a, 53b)를 포함한다.
세세한 부분을 제외하고, 설치판(4)은 회로 기판(5)의 외연부에 따른 윤곽을 갖는다. 설치판(4)에도 회로 기판(5)의 협애부(53)에 대응하는 잘록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세스부(14)의 헤드(14a)는 길이 방향(X) 및 폭 방향(Y)에 대해 비스듬하게 이동한다. 헤드(14a)는 브러시리스 모터(13)에 접근하여 디스크(90)의 내주부의 근방의 영역으로부터 정보를 판독 및 기입한다.
헤드(14a)가 브러시리스 모터(13)에 가장 접근한 때에는, 헤드(14a)의 각부(14b)는 중심축(9)의 근방까지 접근한다. 회로 기판(5)에 협애부(5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각부(14b)가 회로 기판(5)과 설치판(4)에 간섭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부(14b)가 회로 기판(5)과 설치판(4)과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회로 기판(5)에, 각부(14b)에 대응하는 협애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설치판(4)에도 각부(14b)에 대응하는 잘록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즉, 헤드(14a)가 브러시리스 모터(13)에 접근한 때에 헤드(14a)의 각부(14b)는 협애부(53)에 접근하게 된다. 그때, 각부(14b)는 협애부(53)에 위치하게 된다. 그 때문에, 회로 기판(5)과 각부(14b)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설치판(4)에도 협애부(53)에 대응하는 잘록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14a)가 브러시리스 모터(13)에 접근한 때, 각부(14b)는 이 잘록한 부분의 위치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설치판(4)과 각부(14b)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헤드(14a)가 브러시리스 모터(13)의 정지부(2) 및 회전부(3)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지부(2) 및 회전부(3)는 제 1 광역부(5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지부(2) 및 회전부(3)는 회로 기판(5)의 길이 방향(X)의 중앙 위치(Xc)로부터 길이 방향(X)의 일방측(Xa)에 배치되어 있다. 턴테이블(32)의 하방 위치에 있어서는, 설치판(4)의 외연부는 턴테이블(32)의 외연부에 따르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헤드(14a)가 정지부(2) 및 회전부(3)에 보다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회로 기판(5)은 제 1 커넥터(54) 및 제 2 커넥터(55)를 갖는다. 제 1 커넥터(54) 및 제 2 커넥터(55)는 케이블을 거쳐서 각각 디스크 구동 장치(1) 내의 다른 부위와 접속된다. 제 1 커넥터(54) 및 제 2 커넥터(55)는 각각 회로 기판(5)과 다른 부위 사이에서 전원 전류나 제어 신호를 주고받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완수한다. 제 1 커넥터(54) 및 제 2 커넥터(55)는 복수의 단자 핀을 갖는다. 단자 핀의 수는 적어도 10개 이상(10개를 포함함)으로 할 수 있다. 각 단자 핀은 회로 기판(5)에 납땜되어 있다.
제 1 커넥터(54) 및 제 2 커넥터(55)는 모두 회로 기판(5)의 길이 방향(X)의 중앙 위치(Xc)로부터 타방측(Xb)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커넥터(54)는 회로 기판(5)의 상면측에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커넥터(54)의 일부분은 협애부(53)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커넥터(54)의 다른 부분은 제 2 광역부(52)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커넥터(55)는 회로 기판(5)의 하면측에 길이 방향(X) 및 폭 방향(Y)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 2 커넥터(55)는 그 전체가 제 2 광역부(52)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5)은 복수의 코킹부(41~47)에 의해 설치판(4)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킹부의 수는 7개이다. 코킹부(41~47)는 모두 설치판(4)을 부분적으로 소성 변형시켜서 회로 기판(5)의 상면에 접촉시킨 것이다.
도 6은 코킹부(41)를 길이 방향(X)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코킹부(41)는 설치판(4)의 외연부를 소성 변형시킨 외연 코킹부이다.
코킹부(41)를 형성할 때에는, 우선, 프레스 가공 또는 절삭 가공에 의해 설치판(4)의 외연부에 도 6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발톱부(4a)를 형성한다. 도 6에서는, 코킹 전의 발톱부(4a)가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설치판(4)의 상면에 절연 시트(6)를 거쳐서 회로 기판(5)을 배치한다. 그 후, 발톱부(4a)를 코킹에 의해 내측(도 6에서 좌측)으로 절곡하여 회로 기판(5)의 상면에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설치판(4)의 상면과 절곡된 발톱부(4a) 사이에 회로 기판(5)을 끼워 고정한다. 도 6에서는, 코킹 후의 발톱부(4a)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킹부(41)는 설치판(4)의 외연부에 형성된 발톱부(4a)를 이용하여 회로 기판(5)을 설치판(4)에 고정한다. 이 때문에, 코킹부(41)를 마련하기 위해서, 회로 기판(5)에 구멍이나 절결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회로 기판(5) 상의 실장 스페이스를 크게 감소시키는 일 없이 설치판(4)에 회로 기판(5)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회로 기판(5)의 외연부에서는 설치판(4)에 대해 회로 기판(5)이 뜨는 현상이 특히 발생하기 쉽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킹부(41)는 회로 기판(5)의 외연부를 설치판(4)에 고정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설치판(4)에 대해 회로 기판(5)의 외연부가 뜨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킹부(41)의 발톱부(4a)에는 단면에서 볼 때 대략 V자 형상의 홈(4b)이 형성되어 있다. 홈(4b)의 최심부의 높이 위치(H1)는 회로 기판(5)의 상면의 높이 위치(H2)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톱부(4a)는 회로 기판(5)의 상면보다 상방에서 단면적이 최소가 되는 부분을 갖는다. 발톱부(4a)를 코킹할 때에는, 홈(4b)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발톱부(4a)가 회로 기판(5)의 상면측으로 절곡된다. 이에 의해, 특정의 위치에서 발톱부(4a)를 절곡할 수 있다.
또한, 홈(4b)이 마련됨으로써, 발톱부(4a)는 회로 기판(5)의 에지(5a)와 간섭하는 일 없이 절곡된다. 절곡된 후의 발톱부(4a)는 회로 기판(5)의 상면과 면 접촉하며, 회로 기판(5)에 대해 하향으로 압력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코킹부(41)에 기인하여 설치판(4)에 대해 회로 기판(5)이 뜨는 현상이 억제된다.
도 7은 코킹부(42, 43, 44, 45, 46 또는 47)의 종단면도이다. 코킹부(42~47)는 버링 코킹부이며, 설치판(4)의 외연부 이외의 부위를, 버링 가공을 실행하여 코킹함으로써 형성된다.
코킹부(42~47)를 형성할 때에는, 우선, 설치판(4)에 대해 버링 가공을 실행하여, 도 7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원통부(4c)를 형성한다. 도 7에서는 코킹 전의 원통부(4c)가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회로 기판(5)에는 원통부(4c)에 대응하는 복수의 원형 구멍(5b)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4c)는 원형 구멍(5b)에 삽입된다.
그 후, 원통부(4c)의 상단부를 코킹에 의해 외측에 절곡하여 회로 기판(5)의 상면에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회로 기판(5)이 설치판(4)의 상면과 절곡된 원통부(4c)에 의해 끼워져서 고정된다.
또한, 코킹부(42~47)는 회로 기판(5)의 상면에 면 접촉하도록 절곡되어도 좋다. 또한, 코킹부(42~47)는, 도 7과 같이, 회로 기판(5)의 상면과 원형 구멍(5b)을 규정하는 원통면과의 경계에 위치하는 에지에 접촉하도록 절곡되어도 좋다.
코킹부(42~47)의 원통부(4c)는 중심축(9)에 직교하는 모든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 때문에, 코킹부(42~47)는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에 관해서도 설치판(4)에 대하여 회로 기판(5)을 고정밀도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링 코킹부인 코킹부(42~47)가 복수의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설치판(4)에 대한 회로 기판(5)의 회전 방향의 어긋남도 억제된다.
회로 기판(5) 상에는, 라이트스크라이브용의 센서(예컨대, 포토 센서)나 홀 소자 등과 같이, 디스크(9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실장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들 센서에는 회전부(3)에 대한 높은 위치 정밀도가 요구된다. 만약, 설치판(4)에 대한 회로 기판(5)의 위치 정밀도가 낮으면 이들 센서에 의한 회전체(3)의 위치 등의 검출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코킹부(42~47)는 설치판(4)과 회로 기판(5)을 고정하는 동시에, 설치판(4)에 대하여 회로 기판(5)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센서가 회로 기판(5) 상에 배치되는 경우라도, 이들 센서의 회전부(3)에 대한 위치 결정의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판(4)의 상면에 회로 기판(5)이 배치될 때에는, 회로 기판(5)에 형성된 원형 구멍(5b)에, 절곡되기 전의 원통부(4c)가 삽입된다. 이에 의해, 설치판(4)에 대한 회로 기판(5)의 위치가 가결정된다. 이 때문에, 별도로 지그를 준비하여 설치판(4)에 대한 회로 기판(5)의 위치를 가결정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설치판(4)에 대한 회로 기판(5)의 위치를 가결정하기 위해, 설치판(4) 및 회로 기판(5)에, 위치 결정용의 지그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마련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회로 기판(5) 상의 실장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코킹부(45~47)가 제 1 커넥터(54)의 길이 방향(X)의 일방측(Xa)의 단부로부터 타방측(Xb)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5)의 휨이 발생하기 쉬운 제 1 커넥터(54)의 근방에서 설치판(4)과 회로 기판(5)이 코킹부(45~4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협애부(53) 및 제 2 광역부(52)에 3개의 코킹부(45~47)가 배치되어 있다. 협애부(53) 및 제 2 광역부(52)는, 협애부(53)에 휨이 발생한 경우에, 회로 기판(5)이 뜨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영역이다. 그러한 영역에서, 설치판(4)과 회로 기판(5)이 코킹부(45~4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 기판(5)이 휘거나 뜨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 코킹부(45~47)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러시리스 모터(13)의 제조 시에, 회로 기판(5)이 설치판(4)의 상면에 강제되는 일 없이 설치판(4)에 고정된다. 또한, 회로 기판(5)이 설치판(4)에 고정된 후, 회로 기판(5)이 설치판(4)으로부터 뜨는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54)의 다수의 단자 핀(54a)은 길이 방향(X)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 단자 핀(54a)을 회로 기판(5)에 납땜할 때, 회로 기판(5)에 열이 가해져서 회로 기판(5)에 길이 방향(X)의 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커넥터(54)의 길이 방향(X)의 양단부의 근방에 코킹부(44, 47)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커넥터(54)에 기인하는 회로 기판(5)의 길이 방향(X)의 휨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협애부(53)에 제 1 커넥터(54)의 일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협애부(53)에서는 휨의 응력이 집중되기 쉽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협애부(53)를 갖는 회로 기판(5)에서는 휨이 특히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코킹부(45~47)를 마련함으로써, 회로 기판(5)이 휘거나 뜨는 문제를 억제하면서, 제 1 커넥터(54)를 협애부(53)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 기판(5)의 길이 방향(X)의 중앙 위치(Xc)로부터 일방측(Xa)의 영역에도 4개의 코킹부(41~44)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로 기판(5)의 길이 방향(X)의 중앙 위치(Xc)로부터 일방측(Xa)에 있어서도 회로 기판(5)이 설치판(4)로부터 뜨는 현상이 억제된다.
특히, 정지부(2)의 코일(24)이나 회전부(3)의 턴테이블(32)이나 회전부(3)의 로터 마그넷(33)은 회로 기판(5)에 근소한 간극을 거쳐 대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코일(24), 턴테이블(32) 또는 로터 마그넷(33)의 하방 위치에 코킹부(43)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로 기판(5)이 떠서 코일(24), 턴테이블(32) 또는 로터 마그넷(33)에 접촉하게 되는 현상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은 설치판(4)의 단연부로부터 튀어나온 부분을 갖는다. 예컨대, 회로 기판(5)의 제 2 광역부(52) 중 제 2 커넥터(55)가 배치되는 영역은 설치판(4)의 단연부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회로 기판(5)의, 설치판(4)의 단연부로부터 튀어나온 부분은 특히 휘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치판(4)의 단연부 중 회로 기판(5)의 튀어나온 부분의 근방에 코킹부(45~47)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설치판(4)으로부터 튀어나온 부분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5)의 휨이 억제된다. 특히, 코킹부(45, 46)는 제 2 커넥터(55)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2 커넥터(55)에 기인하는 회로 기판(5)의 휨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코킹부(41~47)에 의해, 설치판(4)과 회로 기판(5)을 고정한다. 이 때문에, 설치판(4)과 회로 기판(5)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 시트(6)에는 접착성을 갖지 않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절연 시트(6)로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브러시리스 모터(13)의 제조 비용이 삭감된다. 또한, 접착성을 갖지 않는 절연 시트(6)를 사용하면, 모터의 제조 공정에서 절연 시트(6)를 설치판(4)에 배치할 때에, 절연 시트(6)로부터 박리지를 벗기는 작업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 시트(6)를 접착성이 없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치판(4)과 절연 시트(6)를 설치판(4)에 접착하기 위한 면적(접착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치판(4)에 비원형의 개구부인 두께 제거부(48a~48d)가 형성되어 있다. 두께 제거부(48a~48d)는 다른 부재와의 고정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이 두께 제거부(48a~48d)의 면적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설치판(4)이 경량화된다.
또한, 절연 시트(6)는 탄력성을 갖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한 개소의 코킹부에서 회로 기판(5)이 가압되면, 회로 기판(5)의 다른 부위가 뜨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개소에 코킹부(41~47)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킹부에 기인하는 회로 기판(5)의 이차적인 뜨는 현상도 억제된다.
특히, 외연 코킹부에 의한 이차적인 뜨는 현상은 외연 코킹부의 발톱부의 정상부가 절곡된 방향에서 발생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킹부(41)의 발톱부(4a)의 정상부가 절곡된 방향으로 다른 코킹부[예컨대, 코킹부(42)]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코킹부(41)에 기인하는 이차적인 뜨는 현상이 억제된다.
또한, 다른 코킹부의 위치는, 코킹부(41)의 발톱부(4a)의 정상부가 절곡된 방향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5)의 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이면, 다른 위치여도 좋다.
<3-3. 나사 고정부를 갖는 예>
상기의 브러시리스 모터(13)에서는, 복수의 코킹부(41~47)에 의해, 설치판(4)에 회로 기판(5)이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설치판(4)에 회로 기판(5)을 고정하기 위해서, 코킹부와 다른 수단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리스 모터(313)의 상면도이다. 도 8의 브러시리스 모터(313)는 도 5의 브러시리스 모터(13)와 거의 동일한 구조이다. 도 5의 브러시리스 모터(13)와 달리, 도 8의 브러시리스 모터(313)는 나사 고정부(60)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8의 브러시리스 모터(313)에 대하여, 상기의 브러시리스 모터(13)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의 브러시리스 모터(13)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서는, 복수의 코킹부(41~44, 46, 47)와 나사 고정부(60)에 의해, 설치판(4)에 회로 기판(5)이 고정되어 있다. 즉, 도 8에서는, 복수의 코킹부(41~44, 46, 47)와 나사 고정부(60)가 설치판(4)에 회로 기판(5)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9는 나사 고정부(60)의 종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 고정부(60)는 회로 기판(5)의 상면측으로부터 회로 기판(5) 및 설치판(4)에 삽입된 나사(61)를 갖는다.
나사(61)는, 그 외주면에 나선 형상의 나사산 및 나사홈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축부(61a)와, 축부(61a)의 상부에 배치되며 축부(61a)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61b)를 갖는다.
축부(61a)는 회로 기판(5)에 형성된 관통 구멍(5c)에 삽입되는 동시에, 설치판(4)에 나사 결합으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61b)의 하면은 납땜부(56)를 거쳐 회로 기판(5)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설치판(4)의 상면과 헤드부(61b)의 하면 사이에 회로 기판(5)이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브러시리스 모터(313)에서는, 나사 고정부(60)는 협애부(53)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5)이 휘거나 뜨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협애부(53)에서, 설치판(4)에 회로 기판(5)이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나사 고정부(60)는 제 1 커넥터(54)의 길이 방향(X)의 일방측(Xa)의 단부로부터 타방측(Xb)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5)의 휨이 발생하기 쉬운 제 1 커넥터(54)의 근방에서 설치판(4)과 회로 기판(5)이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의 상면에는 그라운드 패턴(57)이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패턴(57)은 회로 기판(5) 상의 전자 회로의 기준 전위를 잡기 위한 패턴이다. 그라운드 패턴(57)은 회로 기판(5) 상의 각종 전자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컨대, 그라운드 패턴(57)은 제 1 커넥터(54)의 일부의 단자 핀(54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 고정부(60)에서는, 그라운드 패턴(57)과 나사(61)의 헤드부(61b) 사이에 납땜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라운드 패턴(57)은 납땜부(56) 및 나사(61)를 거쳐 설치판(4)과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라운드 패턴(57)의 전위가 기준 전위로 유지되어 있다. 즉, 나사 고정부(60)는 설치판(4)에 회로 기판(5)을 고정하는 역할과, 그라운드 패턴(57)과 설치판(4)의 전기적 도통을 확보하는 역할의 쌍방을 완수한다.
또한, 도 9에서는 나사(61)의 헤드부(61b)와 회로 기판(5) 사이에 납땜부(56)를 개재시키고 있다. 그러나, 회로 기판(5) 상에 나사(61)의 헤드부(61b)를 직접적으로 접촉시켜서, 헤드부(61b)의 외주면과 그라운드 패턴(57)을 납땜부(56)로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9에서는, 나사(61)는 설치판(4)에 직접적으로 나사 결합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나사(61)는 너트와 함께 설치판에 나사 결합되어도 좋다. 너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설치판(4)의 하면측으로 돌출된 축부(61a)에 너트를 나사 결합시키고, 이 너트를 거쳐서 나사(61)와 설치판(4)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10은 도 8의 브러시리스 모터(313)에 있어서 설치판(4)에 회로 기판(5)을 고정하는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우선, 설치판(4)을 부분적으로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코킹부(41~44, 46, 47)를 형성한다[스텝(S1)]. 그리고, 그 후에, 나사 고정부(60)에 있어서의 나사(61)의 조임을 실행한다[스텝(S2)].
상기의 스텝(S1)에서는 2개소 이상의 코킹부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설치판(4)에 대하여 회로 기판(5)이 수평 방향으로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되며, 설치판(4) 및 회로 기판(5)의 나사(61)를 삽입해야 할 개소가 고정밀도로 일치한다. 따라서, 스텝(S2)에서, 설치판(4) 및 회로 기판(5)에 용이하게 나사(61)를 삽입할 수 있다.
<4.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한 설치판(4) 및 회로 기판(5)의 형상이나, 코킹부(41~47)의 레이아웃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예이다. 코킹부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개소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코킹부의 수는 1~6개이어도 좋고, 8개 이상(8개를 포함함)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종류의 코킹부(외연 코킹부와 버링 코킹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코킹부는 외연 코킹부 및 버링 코킹부 중 어느 한쪽만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외연 코킹부는 1개소뿐만 아니라 복수 개소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외연 코킹부는 적어도 1개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사 고정부(60)의 위치나 수에 대해서도 도 8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중의 코킹부(42~44, 46, 47)를 대신하여, 이들과 동일한 위치에 나사 고정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도 8에서는, 브러시리스 모터(313) 내에서 코킹부(41~44, 46, 47)와 나사 고정부(60)가 병용되어 있었다. 그러나, 코킹부를 마련하는 일 없이, 나사 고정부만으로 설치판(4)에 회로 기판(5)이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즉, 코킹부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고정부(60)를 갖는 구조로 해도 좋다.
다만, 복수의 나사 고정부를 마련하면, 나사(61)를 조이는 작업이 복수 회 발생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증가된다. 따라서, 브러시리스 모터의 제조 공정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나사 고정부(60)를 한 개소 이하로 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개소를 코킹부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부는 상기의 코킹부(41~47)나 나사 고정부(6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로서 아일릿이나 리벳을 이용하여, 설치판(4)과 회로 기판(5)을 상하로부터 끼워서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즉, 본 발명의 고정부는 회로 기판(5)의 상면 또는 회로 기판(5)의 상면과 다른 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에지에 접촉하여, 설치판(4)에 회로 기판(5)을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것이면 좋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판(4)의 형상은 회로 기판(5)보다 작은 형상이어도 좋다. 즉, 설치판(4)의 윤곽과 회로 기판(5)의 윤곽이 부분적으로 크게 상이해도 좋다.
도 11에서는, 제 2 광역부(52)의 대부분에 있어서, 회로 기판(5)의 하면측에 설치판(4)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형상이라도, 협애부(53) 또는 커넥터(54)의 일방측(Xa)의 단부로부터 타방측(Xb)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가 배치되어 있으면, 설치판(4)에 대한 회로 기판(5)의 뜨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시트(6)로서 접착성을 갖는 시트가 사용되어도 좋다. 즉, 코킹부(41~47) 등의 고정부에 의한 기계적 고정과 절연 시트(6)에 의한 접착 고정의 쌍방에 의해서, 설치판(4)에 회로 기판(5)이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절연 시트(6)를 대신하여, 설치판(4)의 상면 또는 회로 기판(5)의 하면이 절연 코팅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회로 기판(5)으로서 편면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연 시트(6)나 절연 코팅이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외연 코킹부(41)의 발톱부(4a)의 홈(4b)은 반드시 단면에서 볼 때 V자 형상이 아니어도 좋다. 예컨대, 발톱부(4a)의 홈(4b)은 단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이나 U자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홈(4b)을 대신하여, 발톱부(4a)의 길이 방향(X)의 양단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외연 코킹부(41)를 대신하여,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도 12의 예에서는, 대향부(49)가 설치판(4)의 외연부에 회로 기판의 상면과 간극을 거쳐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향부(49)를 형성할 때에는, 우선, 프레스 가공 또는 절삭 가공에 의해 설치판(4)의 외연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발톱부(4a)를 형성한다. 도 12에서는, 코킹 전의 발톱부(4a)가 이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음에, 설치판(4)의 상면에, 절연 시트(6)를 거쳐서 회로 기판(5)을 배치한다. 그 후, 발톱부(4a)를 코킹에 의해 내측으로 절곡하여, 간극을 거쳐 회로 기판(5)의 상면과 대향시킨다.
도 12의 구조를 채용하면, 회로 기판(5)의 단연부에 휨이 발생한 경우에, 대향부(49)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회로 기판(5)이 뜨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의 외연 코킹부(41)와 달리, 대향부(49)는 회로 기판(5)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대향부(49)에 기인하는 회로 기판(5)의 이차적인 뜨는 현상도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광디스크(90)를 회전시키기 위한 브러시리스 모터(13)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모터는 자기 디스크 등의 다른 기록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등장한 요소를, 모순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조합해도 좋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 디스크 구동 장치 2, 102, 202 : 정지부
3, 103, 203 : 회전부 4, 104, 204 : 설치판
5, 105, 205 : 회로 기판 6 : 절연 시트
9, 109, 209 : 중심축 11 : 하우징
12 : 디스크 트레이 13, 313 : 브러시리스 모터
14 : 액세스부
41, 42, 43, 44, 45, 46, 47, 140, 240 : 코킹부
48a, 48b, 48c, 48d : 두께 제거부
49 : 대향부 51 : 제 1 광역부
52 : 제 2 광역부 53, 253 : 협애부
54 : 제 1 커넥터 54a, 54b : 단자 핀
55 : 제 2 커넥터 56 : 납땜부
57 : 그라운드 패턴 60 : 나사 고정부
61 : 나사 90 : 디스크
113, 213 : 모터 154 : 커넥터

Claims (17)

  1. 정지부와,
    상하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정지부에 지지된 회전부와,
    상기 정지부가 고정된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상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정지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 회로가 실장된 회로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정지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일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타방측에 위치하는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 또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다른 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에지에 접촉하여 상기 설치판에 상기 회로 기판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상기 커넥터의 상기 일방측의 단부로부터 타방측의 위치에 적어도 1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상기 일방측에 적어도 1개 배치되어 있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가 상기 일방측 및 상기 타방측에 인접하는 부분보다 짧은 협애부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협애부에 위치하는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근방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어 있는
    모터.
  4. 삭제
  5. 정지부와,
    상하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정지부에 지지된 회전부와,
    상기 정지부가 고정된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상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정지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 회로가 실장된 회로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회로 기판은,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가 상기 길이 방향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인접하는 부분보다 짧은 협애부를 갖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협애부로부터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 또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다른 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에지에 접촉하여 상기 설치판에 상기 회로 기판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상기 협애부 또는 상기 협애부로부터 상기 타방측의 위치에 적어도 1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상기 일방측에 적어도 1개 배치되어 있는
    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협애부에 적어도 1개 배치되어 있는
    모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은,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 또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다른 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에지에 접촉하여 상기 회로 기판을 고정하는 코킹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코킹부를 포함하는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설치판의 외연부가 절곡되어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에 접촉된 외형 코킹부를 포함하는
    모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 코킹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보다 상방에 단면적이 최소가 되는 부분을 갖는
    모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 코킹부의 정상부가 절곡된 방향으로, 다른 상기 코킹부가 배치되어 있는
    모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설치판의 외연부 이외의 부위가 버링 가공되어 형성된 원통부가 절곡되어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 또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다른 면의 경계에 위치하는 에지에 접촉된 버링 코킹부를 포함하는
    모터.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설치판에 나사를 삽입하여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나사의 헤드부를 접촉시킨 나사 고정부를 포함하는
    모터.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설치판의 단연부로부터 튀어나온 부분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판의 상기 단연부의 근방에 적어도 1개 배치되어 있는
    모터.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에 간극을 거쳐 대향하면서 회전하는 회전 부재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하방에 적어도 1개 배치되어 있는
    모터.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은 비원형의 개구인 두께 제거부를 갖는
    모터.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의 외연부가 절곡되어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간극을 거쳐 대향하는 대향부를 더 구비하는
    모터.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부에 보지된 디스크에 대해 정보의 판독 및 기입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액세스부와,
    상기 모터 및 상기 액세스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디스크 구동 장치.
KR1020100102502A 2009-10-21 2010-10-20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KR101192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2150 2009-10-21
JP2009242150 2009-10-21
JPJP-P-2010-186793 2010-08-24
JP2010186793A JP5593958B2 (ja) 2009-10-21 2010-08-24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502A KR20110043502A (ko) 2011-04-27
KR101192531B1 true KR101192531B1 (ko) 2012-10-17

Family

ID=4391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502A KR101192531B1 (ko) 2009-10-21 2010-10-20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2531B1 (ko)
CN (1) CN1020449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9649B2 (ja) * 2011-04-25 2016-04-06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474A (ja) * 1998-07-29 2000-02-18 Optrex Corp 薄板状ベース基板に対する平板部品の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9073A (ja) * 1999-12-28 2001-07-10 Mitsumi Electric Co Ltd フロッピー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配線構造
JP4780362B2 (ja) * 2000-12-01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5033897A (ja) * 2003-07-10 2005-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駆動装置
JP4111196B2 (ja) * 2005-02-08 2008-07-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474A (ja) * 1998-07-29 2000-02-18 Optrex Corp 薄板状ベース基板に対する平板部品の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502A (ko) 2011-04-27
CN102044936B (zh) 2015-01-21
CN102044936A (zh)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8483B2 (en) Spindle motor including annular magnetic member and disk drive apparatus including such a spindle motor
CN201133933Y (zh) 磁场测量设备和具有该磁场测量设备的电动机
US20080309204A1 (en) Circuit board and brushless motor using the same
US9064530B1 (en) Motor and disk drive apparatus
US20180115224A1 (en) Motor
JP5593958B2 (ja)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7267521A (ja) 温度検出素子取り付け部材,温度検出部材,および回転電機
KR101192531B1 (ko)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JP5963392B2 (ja) モータ
US20090072638A1 (en) Brushless motor
JP6091628B2 (ja) ブラシレスdcモ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器
US9148036B2 (en) Base member of a motor which includes specific surface structure
US9520754B2 (en) Motor and disk drive apparatus
JP5790087B2 (ja)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US20110307911A1 (en) Circuit board, motor, disk drive apparatus an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JP5899649B2 (ja)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KR20110034557A (ko) 회로 기판 유닛, 회로 기판 유닛을 구비한 모터, 및 회로 기판 유닛과 회로 기판 유닛을 구비한 모터를 갖는 디스크 구동 장치
JP4369918B2 (ja) ターンテーブル装置およびこ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を搭載したブラシレスモータ
JP3684143B2 (ja) 永久磁石型同期モータ
US20140091679A1 (en) Base unit, motor and disk drive apparatus
JP7276647B2 (ja) モータ
CN202268760U (zh) 马达以及光盘驱动装置
JP2020137357A (ja) モータ
JP2020137359A (ja) 搬送車
JP2020137356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