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941B1 -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의 차실 개방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의 차실 개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941B1
KR101190941B1 KR1020107019075A KR20107019075A KR101190941B1 KR 101190941 B1 KR101190941 B1 KR 101190941B1 KR 1020107019075 A KR1020107019075 A KR 1020107019075A KR 20107019075 A KR20107019075 A KR 20107019075A KR 101190941 B1 KR101190941 B1 KR 101190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asing member
flange
gas turbine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088A (ko
Inventor
겐이찌 아라세
에이고 가또오
마사또 다께우찌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23R3/60Support structures; Attaching or mou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43Flange connections; Bol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46Fastening of diaphragms or stator-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1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70Dis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80Repairing, retrofitting or upgrad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R2900/00017Assembling combustion chamber liners or sub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가스 터빈(1)은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기(39)에 의해 발생시킨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0)와, 복수로 분할된 복수의 케이싱 부재가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로터(50)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복수의 케이싱 부재 중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는 별도의 제3 상부 케이싱 부재(63U)를 내부로부터 연결하는 제2 상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62Uhbi) 및 제3 상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63Uhai)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싱(6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의 차실 개방 방법 {GAS TURBINE, AND INTERIOR OPENING METHOD FOR THE GAS TURBINE}
본 발명은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의 차실 개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료를 연소시킨 연소 가스로부터 에너지를 취출하는 장치로서 가스 터빈이 있다. 가스 터빈은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연소 가스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로터로부터 회전 에너지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외부 공기를 상부 차실 케이싱 내부에 공급하는 밸브가 설치되어, 가스 터빈 운전 정지 시에 있어서, 상부 차실 케이싱으로부터 차실 케이싱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상부 차실 케이싱을 냉각하여, 차실 케이싱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37855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특허 문헌 1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실 케이싱이, 연소부 차실부에 의해 분할되어 플랜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소부 차실부는 가스 터빈에 형성되는 차실 중에서도 비교적 고압의 유체가 존재하는 차실이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케이싱의 분할 부분에 작용하는 힘이 저감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분할 부분에 설치되는 플랜지가 대형화되어 케이싱이 대형화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케이싱의 분할 부분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크기를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가스 터빈은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기에 의해 발생시킨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와, 복수로 분할된 복수의 케이싱 부재가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케이싱 부재 중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는 별도의 제2 케이싱 부재를 상기 내부로부터 연결하는 내측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가스 터빈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도 연결부로서 내측 연결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제1 케이싱 부재와 제2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는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측 연결부가 축소되어도, 상기 케이싱의 내부의 유체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확보된다.
또한, 상기 가스 터빈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내측 연결부만큼,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형성되는 상기 외측 연결부가 축소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은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싱의 직경 방향의 크기가 저감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은 수송될 때에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가 수송 제한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을 우려가 저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에 형성되는 제1 내측 연결부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케이싱 부재에 형성되는 제2 내측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측 연결부와 상기 제2 내측 연결부는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가스 터빈은 연결 부재로서,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상기 제1 내측 연결부와 상기 제2 내측 연결부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측 연결부가 축소되어도, 상기 가스 터빈의 제1 케이싱 부재와 제2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의 유체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확보된다.
또한, 상기 가스 터빈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내측 연결부만큼,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형성되는 상기 외측 연결부가 축소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은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싱의 직경 방향의 크기가 저감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은 수송될 때에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가 수송 제한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을 우려가 저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싱 부재는 상기 내측 연결부를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가스 터빈은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에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제2 케이싱 부재에 형성되는 연결부 사이의 간극이 메워져, 보다 적절하게 상기 케이싱 내의 공간이 밀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연소기가 배치되는 연소부 차실을 구성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소부 차실은 가스 터빈의 차실 중에서도 비교적 고압의 유체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부 차실을 구성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의 제1 케이싱 부재와 제2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내측 연결부만큼,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형성되는 상기 외측 연결부가 축소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은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싱의 직경 방향의 크기가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 터빈은 수송될 때에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가 수송 제한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을 우려가 저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케이싱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에 의해 분할되고,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에 의해 분할된 분할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의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에 의해 분할된 분할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내측 연결부만큼,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형성되는 상기 외측 연결부가 축소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은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에 의해 분할된 분할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싱의 직경 방향의 크기가 저감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은 수송될 때에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가 수송 제한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을 우려가 저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 중, 상기 회전체가 배치되는 상기 내부와는 반대측의 외부로부터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외측 연결부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의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부분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경우, 상기 가스 터빈의 케이싱 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내측 연결부가 설치되는 부분에 상기 외측 연결부가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은 상기 케이싱 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싱의 직경 방향의 크기가 더욱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 터빈은 수송될 때에 상기 연결부가 수송 제한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을 우려가 더욱 저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케이싱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면에 의해 상부 케이싱 부재와 하부 케이싱 부재로 분할되고,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상부 케이싱 부재에는 설치되지 않고, 상기 하부 케이싱 부재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은, 예를 들어 보수 점검 시에 상기 상부 케이싱 부재가 용이하게 제거된다. 또한, 상기 가스 터빈은 상기 하부 케이싱 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기 하부 케이싱 부재의 직경 방향의 크기가 더욱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 터빈은 수송될 때에 상기 하부 케이싱 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가 수송 제한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을 우려가 더욱 저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내측 연결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케이싱의 측주위부의 내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환형상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은 상기 케이싱의 측주위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싱의 직경 방향의 크기가 저감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 터빈은 수송될 때에 상기 케이싱의 측주위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환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가 수송 제한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을 우려가 더욱 저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케이싱을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부재는 상기 연소부 차실의 외부에만 설치되는 연결부에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가스 터빈은 상기 연소부 차실을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소부 차실의 외부로부터 제거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은, 예를 들어 보수 점검 시에 상기 연소부 차실을 구성하는 부재가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케이싱에 끼워 넣어지는 부분을 갖고 상기 연소부 차실의 내부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연소기를 지지하는 중간축 커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가스 터빈의 상기 중간축 커버는 상기 케이싱에 끼워 넣어져 있는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케이싱에,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완전히 고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가스 터빈은, 예를 들어 보수 점검 시에, 작업원이 상기 연소부 차실로 들어가 상기 케이싱과 상기 중간축 커버의 연결 부분에 액세스하지 않아도, 상기 케이싱이 제거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은 상기 케이싱에 끼워 넣어지는 부분을 갖는 상기 중간축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스 터빈의 보수 점검 시의 필요한 작업 공정수가 저감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스 터빈은 보수 점검 시에 작업원에 대해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터빈은 보수 점검 시에 필요로 하는 작업 시간이 저감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가스 터빈의 차실 개방 방법은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기에 의해 발생시킨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와, 복수로 분할된 복수의 케이싱 부재가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케이싱 부재 중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는 별도의 제2 케이싱 부재를 상기 내부로부터 연결하는 내측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연소기가 배치되는 연소부 차실을 구성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을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부재는 상기 연소부 차실의 외부에만 설치되는 연결부에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가스 터빈의 차실을 개방할 때, 상기 연소기가 배치되는 연소부 차실을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부재를 상기 연소부 차실의 외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가스 터빈의 차실 개방 방법을 사용하면, 상기 연소부 차실을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부재가, 상기 연소부 차실의 외부로부터 제거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보수 점검 시에, 상기 연소부 차실을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부재를 상기 연소부 차실의 외부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상기 가스 터빈의 상기 차실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상기 케이싱에 끼워 넣어지는 부분을 갖고 상기 연소부 차실의 내부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연소기를 지지하는 중간축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 상기 연소부 차실을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부재를 상기 연소부 차실의 외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가스 터빈의 차실 개방 방법을 사용하면, 상기 중간축 커버는 상기 케이싱에 끼워 넣어져 있을 뿐이고, 상기 케이싱에,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보수 점검 시에 작업원이 상기 연소부 차실 내로 들어가 상기 케이싱과 상기 중간축 커버의 연결 부분에 액세스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보수 점검 시, 상기 중간축 커버를 제거하지 않아도, 상기 케이싱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상기 가스 터빈의 상기 차실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의 분할 부분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크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터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터빈의 케이싱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 및 제3 상부측 제2 종플랜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 및 제3 상부측 제2 종플랜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상부 케이싱 부재측의 중간축 커버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하부 케이싱 부재측의 중간축 커버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상부 케이싱 부재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 및 제2 하부 케이싱 부재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를 로터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면으로 잘라낸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상부 케이싱 부재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 및 제2 하부 케이싱 부재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를 로터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면으로 잘라낸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하부 케이싱 부재의 수송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상부 케이싱 부재의 수송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함)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소위 균등한 범위의 것이 포함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터빈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터빈(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의 흐름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순서대로, 압축부(20)와, 연소부(30)와, 터빈부(10)와, 배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축부(20)는 공기를 가압하여, 연소부(30)로 가압된 공기를 송출한다. 연소부(30)는 상기 가압된 공기에 연료를 공급한다. 그리고, 연소부(30)는 연료를 연소시킨다. 터빈부(10)는 연소부(30)로부터 송출된 상기 연소 가스가 갖는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한다. 배기부(40)는 상기 연소 가스를 대기로 배출한다.
압축부(20)는 공기 도입구(21)와, 압축부 케이싱(22)과, 압축부측 정익(23)과, 압축부측 동익(24)과, 추기 매니폴드(25)를 갖는다. 공기 도입구(21)는 대기로부터 공기를 압축부 케이싱(22)으로 도입한다.
압축부 케이싱(22) 내에는 복수의 압축부측 정익(23)과 복수의 압축부측 동익(24)이 교대로 설치된다. 추기 매니폴드(25)는 압축부측 정익(23) 및 압축부측 동익(24)의 외측에 설치되어, 압축부(20)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연소부(30)로 유도한다.
연소부(30)는 연소부 케이싱(31)과, 연소기(39)를 갖는다. 연소부 케이싱(31)의 내부에는 연소부 차실(36)이 형성된다. 연소기(39)는 연소기 라이너(32)와, 테일 파이프(33)와, 연료 노즐(34)과, 연소기 라이너 공기 도입구(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소기 라이너(32)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압축 공기의 통로로서 연소부 차실(36)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연소부 차실(36)에는 압축 공기의 통로로서 테일 파이프(33)가 설치된다. 테일 파이프(33)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테일 파이프(33)의 내부에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 영역(37)이 형성된다.
연소기 라이너(32)의 축방향의 단부 중, 한쪽의 단부는 테일 파이프(33)가 접속된다. 또한, 연소기 라이너(32)의 테일 파이프(33)와는 반대측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연소기 라이너(32)의 내부에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노즐(3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소기 라이너(32)의 외주면에는 연소기 라이너(32)의 내부에 압축 공기를 도입하는 연소기 라이너 공기 도입구(35)가 복수 형성된다.
연료는 연소기 라이너 공기 도입구(35)를 통해 연소기 라이너(32)의 내부에 도입된 압축 공기에 대해 연료 노즐(34)로부터 분사되어, 테일 파이프(33) 내부의 연소 영역(37)으로 유도된다. 연소 영역(37)으로 도입된 연료는 버너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됨으로써 운동 에너지를 가진 연소 가스로 된다.
터빈부(10)는 터빈부 케이싱(15)의 내부에, 터빈 차실(11)과, 터빈부측 정익(12)과, 터빈부측 동익(13)을 갖는다. 터빈 차실(11) 내에는 복수의 터빈부측 정익(12)과 복수의 터빈부측 동익(13)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배기부(40)는 배기부 케이싱(42)의 내부에 배기 디퓨저(41)를 갖는다. 배기 디퓨저(41)는 터빈부(10)에 접속되어, 터빈부(10)를 통과한 연소 가스, 즉 배기 가스의 동압을 정압으로 변환한다.
가스 터빈(1)은 회전체로서의 로터(50)를 갖는다. 로터(50)는 압축부(20), 연소부(30), 터빈부(10), 배기부(4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로터(50)는 압축부(20)측의 단부가 베어링(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배기부(40)측의 단부가 베어링(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50)는 케이싱(6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축(RL)을 축으로 회전한다. 로터(50)는 복수의 디스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크(14)는 압축부측 동익(24) 및 터빈부측 동익(13)이 연결된다. 또한, 로터(50)의 압축부(20)측의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발전기의 구동축이 연결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우선, 압축부(20)의 공기 도입구(21)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복수의 압축부측 정익(23)과 압축부측 동익(24)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고온ㆍ고압의 압축 공기로 된다. 계속해서, 연소부(30)에서 상기 압축 공기에 대해 소정의 연료가 공급되어, 상기 연료는 연소된다.
그리고, 이 연소부(30)에서 생성된 작동 유체인 고온ㆍ고압의 연소 가스가 갖는 에너지는, 터빈부(10)를 구성하는 복수의 터빈부측 정익(12)과 복수의 터빈부측 동익(13)을 통과할 때에 회전 에너지로 변환된다. 상기 회전 에너지는 터빈부측 동익(13)을 통해 로터(50)로 전달되어, 로터(50)가 회전 운동한다. 이에 의해, 가스 터빈(1)은 로터(50)에 연결된 발전기를 구동한다. 또한, 터빈부(10)를 통과한 후의 배기 가스는 배기부(40)의 배기 디퓨저(41)에 의해 동압이 정압으로 변환되어 대기로 방출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터빈의 케이싱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가스 터빈(1)은 케이싱(60)의 구성에 특징이 있다. 케이싱(60)은 제작에 사용하는 공작 기계의 크기의 제한 및 수송 시에 설치되는 크기의 제한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할되어 형성된다.
케이싱(60)은 도 1에 도시하는 로터(50)의 회전축(RL)을 포함하는 면에 의해 분할된다. 여기서, 가스 터빈(1)이 설치될 때에 바닥(GND)측의 케이싱(60)을 하부 케이싱 부재(60D), 하부 케이싱 부재(60D)보다 바닥(GND)으로부터 먼 쪽의 케이싱(60)을 상부 케이싱 부재(60U)로 한다.
또한, 케이싱(60)은 회전축(RL)에 직교하는 면에 의해, 예를 들어 5개소의 분할 부분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케이싱(60)은 회전축(RL)에 직교하는 면에 의해 6분할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회전축(RL)을 포함하는 면에 의한 분할에 맞추어, 케이싱(60)은 합계 12개의 케이싱 부재로 분할된다.
상부 케이싱 부재(60U)는 가스 터빈(1)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 또는 연소 가스의 흐름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상부 케이싱 부재(61U)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63U)와, 제4 상부 케이싱 부재(64U)와, 제5 상부 케이싱 부재(65U)와, 제6 상부 케이싱 부재(66U)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하부 케이싱 부재(60D)는 가스 터빈(1)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 또는 연소 가스의 흐름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하부 케이싱 부재(61D), 제2 하부 케이싱 부재(62D), 제3 하부 케이싱 부재(63D), 제4 하부 케이싱 부재(64D), 제5 하부 케이싱 부재(65D), 제6 하부 케이싱 부재(66D)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하, 공기 또는 연소 가스를 단순히 유체라고 한다.
이와 같이 12개로 분할된 케이싱(60)의 부재는 서로 형성된 연결부로서의 플랜지가 연결됨으로써 조립된다. 여기서, 회전축(RL)을 포함하는 면에 의한 분할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횡플랜지라고 한다. 즉, 횡플랜지는 회전축(RL)을 따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상부 케이싱 부재(61U)는 제1 상부측 횡플랜지(61Uw)가 형성된다. 제1 하부 케이싱 부재(61D)는 제1 하부측 횡플랜지(61Dw)가 형성된다. 제1 상부 케이싱 부재(61U)와 제1 하부 케이싱 부재(61D)는 제1 상부측 횡플랜지(61Uw)와 제1 하부측 횡플랜지(61Dw)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는 제2 상부측 횡플랜지(62Uw)가 형성된다. 제2 하부 케이싱 부재(62D)는 제2 하부측 횡플랜지(62Dw)가 형성된다.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 제2 하부 케이싱 부재(62D)는 제2 상부측 횡플랜지(62Uw)와 제2 하부측 횡플랜지(62Dw)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3 상부 케이싱 부재(63U)는 제3 상부측 횡플랜지(63Uw)가 형성된다. 제3 하부 케이싱 부재(63D)는 제3 하부측 횡플랜지(63Dw)가 형성된다. 제3 상부 케이싱 부재(63U)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63D)는 제3 상부측 횡플랜지(63Uw)와 제3 하부측 횡플랜지(63Dw)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4 상부 케이싱 부재(64U)는 제4 상부측 횡플랜지(64Uw)가 형성된다. 제4 하부 케이싱 부재(64D)는 제4 하부측 횡플랜지(64Dw)가 형성된다. 제4 상부 케이싱 부재(64U)와 제4 하부 케이싱 부재(64D)는 제4 상부측 횡플랜지(64Uw)와 제4 하부측 횡플랜지(64Dw)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5 상부 케이싱 부재(65U)는 제5 상부측 횡플랜지(65Uw)가 형성된다. 제5 하부 케이싱 부재(65D)는 제5 하부측 횡플랜지(65Dw)가 형성된다. 제5 상부 케이싱 부재(65U)와 제5 하부 케이싱 부재(65D)는 제5 상부측 횡플랜지(65Uw)와 제5 하부측 횡플랜지(65Dw)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6 상부 케이싱 부재(66U)는 제6 상부측 횡플랜지(66Uw)가 형성된다. 제6 하부 케이싱 부재(66D)는 제6 하부측 횡플랜지(66Dw)가 형성된다. 제6 상부 케이싱 부재(66U)와 제6 하부 케이싱 부재(66D)는 제6 상부측 횡플랜지(66Uw)와 제6 하부측 횡플랜지(66Dw)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여기서, 회전축(RL)에 직교하는 면에 의한 분할 부분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종플랜지라고 한다. 종플랜지는 케이싱(60)의 측주위부를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상부 케이싱 부재(61U)는 제1 상부측 제1 종플랜지(61Uha)와 제1 상부측 제2 종플랜지(61Uhb)가 형성된다.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는 제2 상부측 제1 종플랜지(62Uha)와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62Uhb)가 형성된다.
제1 상부 케이싱 부재(61U)는 제1 상부측 제1 종플랜지(61Uha)가 공기 도입구(21)의 개구와 연결된다. 또한, 제1 상부 케이싱 부재(61U)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는 제1 상부측 제2 종플랜지(61Uhb)와 제2 상부측 제1 종플랜지(62Uha)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3 상부 케이싱 부재(63U)는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63Uha)와 제3 상부측 제2 종플랜지(63Uhb)가 형성된다.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63U)는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62Uhb)와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63Uha)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4 상부 케이싱 부재(64U)는 제4 상부측 제1 종플랜지(64Uha)와 제4 상부측 제2 종플랜지(64Uhb)가 형성된다.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3U)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64U)는 제3 상부측 제2 종플랜지(63Uhb)와 제4 상부측 제1 종플랜지(64Uha)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5 상부 케이싱 부재(65U)는 제5 상부측 제1 종플랜지(65Uha)와 제5 상부측 제2 종플랜지(65Uhb)가 형성된다. 제4 상부 케이싱 부재(64U)와 제5 상부 케이싱 부재(65U)는 제4 상부측 제2 종플랜지(64Uhb)와 제5 상부측 제1 종플랜지(65Uha)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6 상부 케이싱 부재(66U)는 제6 상부측 제1 종플랜지(66Uha)가 형성된다. 제5 상부 케이싱 부재(65U)와 제6 상부 케이싱 부재(66U)는 제5 상부측 제2 종플랜지(65Uhb)와 제6 상부측 제1 종플랜지(66Uha)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1 하부 케이싱 부재(61D)는 제1 하부측 제1 종플랜지(61Dha)와 제1 하부측 제2 종플랜지(61Dhb)가 형성된다. 제2 하부 케이싱 부재(62D)는 제2 하부측 제1 종플랜지(62Dha)와 제2 하부측 제2 종플랜지(62Dhb)가 형성된다.
제1 하부 케이싱 부재(61D)는 제1 하부측 제1 종플랜지(61Dha)가 공기 도입구(21)의 개구와 연결된다. 또한, 제1 하부 케이싱 부재(61D)와 제2 하부 케이싱 부재(62D)는 제1 하부측 제2 종플랜지(61Dhb)와 제2 하부측 제1 종플랜지(62Dha)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3 하부 케이싱 부재(63D)는 제3 하부측 제1 종플랜지(63Dha)와 제3 하부측 제2 종플랜지(63Dhb)가 형성된다. 제2 하부 케이싱 부재(62D)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63D)는 제2 하부측 제2 종플랜지(62Dhb)와 제3 하부측 제1 종플랜지(63Dha)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4 하부 케이싱 부재(64D)는 제4 하부측 제1 종플랜지(64Dha)와 제4 하부측 제2 종플랜지(64Dhb)가 형성된다. 제3 하부 케이싱 부재(63D)와 제4 하부 케이싱 부재(64D)는 제3 하부측 제2 종플랜지(63Dhb)와 제4 하부측 제1 종플랜지(64Dha)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5 하부 케이싱 부재(65D)는 제5 하부측 제1 종플랜지(65Dha)와 제5 하부측 제2 종플랜지(65Dhb)가 형성된다. 제4 하부 케이싱 부재(64D)와 제5 하부 케이싱 부재(65D)는 제4 하부측 제2 종플랜지(64Dhb)와 제5 하부측 제1 종플랜지(65Dha)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제6 하부 케이싱 부재(66D)는 제6 하부측 제1 종플랜지(66Dha)가 형성된다. 제5 하부 케이싱 부재(65D)와 제6 하부 케이싱 부재(66D)는 제5 하부측 제2 종플랜지(65Dhb)와 제6 하부측 제1 종플랜지(66Dha)에 의해 간극 없이 연결된다.
케이싱(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상부 케이싱 부재(61U)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63U)와, 제4 상부 케이싱 부재(64U)와, 제5 상부 케이싱 부재(65U)와, 제6 상부 케이싱 부재(66U)와, 제1 하부 케이싱 부재(61D)와, 제2 하부 케이싱 부재(62D)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63D)와, 제4 하부 케이싱 부재(64D)와, 제5 하부 케이싱 부재(65D)와, 제6 하부 케이싱 부재(66D)가 조립 부착된다.
도 3은 종래의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 및 제3 상부측 제2 종플랜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가스 터빈(3)의 상부 케이싱 부재(360U)는 제2 상부 케이싱 부재(362U)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363U)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상부 케이싱 부재(362U)는 제2 상부측 제1 종플랜지(362Uha)와,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362Uhb)가 형성된다. 제3 상부 케이싱 부재(363U)는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363Uha)와, 제3 상부측 제2 종플랜지(363Uhb)가 형성된다.
여기서, 가스 터빈은 수송 차량에 의해 수송될 때에 크기에 제한이 마련된다. 도 3에 도시하는 수송 높이 제한(LIMh)은 상기 수송 차량에 의해 수송할 수 있는 최대의 높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높이라 함은, 예를 들어 지면으로부터의 연직 방향의 거리를 말한다. 상기 수송 차량은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했을 때, 수송 높이 제한(LIMh) 이하의 부재를 수송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부 케이싱 부재(362U)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363U)는 연소부 차실(36)을 내부에 수용한다. 여기서, 연소부 차실(36)은 가스 터빈(3)의 차실 중에서도 비교적 고압의 유체가 존재한다. 따라서, 제2 상부 케이싱 부재(362U)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363U)의 연결부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362Uhb)와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363Uha)가 대형화될 우려가 있다. 이에 의해, 가스 터빈(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362Uhb)와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363Uha)가 수송 높이 제한(LIMh)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 및 제3 상부측 제2 종플랜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가스 터빈(1)의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63U)는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62Uhb)와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63Uha)가 연결될 때에, 연소부 차실(36)의 외측 및 연소부 차실(36)의 내측으로부터 볼트(70)에 의해 연결된다.
통상, 플랜지는 연소부 차실(36)의 외측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62Uhb)는 연소부 차실(36)의 외측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외측 연결부로서의 제2 상부측 제2 종외측 플랜지(62Uhbo)와, 연소부 차실(36)의 내측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측 연결부로서의 제2 상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62Uhbi)를 갖는다.
또한,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63Uha)는 연소부 차실(36)의 외측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외측 연결부로서의 제3 상부측 제1 종외측 플랜지(63Uhao)와, 연소부 차실(36)의 내측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측 연결부로서의 제3 상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63Uhai)를 갖는다.
제2 상부측 제2 종외측 플랜지(62Uhbo)는 제3 상부측 제1 종외측 플랜지(63Uhao)와 외측 볼트(70o)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제2 상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62Uhbi)는 제3 상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63Uhai)와 내측 볼트(70i)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제2 상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62Uhbi)와 제3 상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63Uhai)는 내측 볼트(70i)에 추가하여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가스 터빈(1)은 제2 상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62Uhbi)와 제3 상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63Uhai)의 간극이 메워져, 보다 적절하게 연소부 차실(36)이 밀봉된다. 또한, 제2 하부 케이싱 부재(62D)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63D)의 연결부도,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63U)의 연결부와 마찬가지로 연소부 차실(36)의 내측과 외측의 양쪽으로부터 연결된다.
케이싱(60)은, 우선 제2 하부 케이싱 부재(62D)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63D)가 내측과 외측의 양쪽으로부터 연결된다. 다음에, 케이싱(60)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63U)가 내측과 외측의 양쪽으로부터 연결된다. 다음에, 케이싱(60)은 일체로 된 제2 하부 케이싱 부재(62D) 및 제3 하부 케이싱 부재(63D)와, 일체로 된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 및 제3 상부 케이싱 부재(63U)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60)은 도 2에 도시하는 제2 상부측 횡플랜지(62Uw)와 제2 하부측 횡플랜지(62Dw)가 연결되고, 제3 상부측 횡플랜지(63Uw)와 제3 하부측 횡플랜지(63Dw)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가스 터빈(1)은 연소부 차실(36)의 내부에도 연결부로서 제2 상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62Uhbi)와 제3 상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63Uhai)를 갖는다. 이에 의해,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63U)의 연결부는 연소부 차실(36)의 내부의 유체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확보된다.
또한, 가스 터빈(1)은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62Uhb)와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63Uha)의 연결부에 있어서의 케이싱(60)의 직경 방향의 크기가 저감된다. 이에 의해, 가스 터빈(1)은 수송될 때에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62Uhb)와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63Uha)의 연결부가 수송 높이 제한(LIMh)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을 우려가 저감된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상부 케이싱 부재측의 중간축 커버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하부 케이싱 부재측의 중간축 커버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부(30)의 연소기(39)는 중간축 커버(38)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하는 종래의 가스 터빈(3)의 중간축 커버(338)는 제2 상부 케이싱 부재(362U)에,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중간축 커버(38)는 상부 케이싱 부재(60U)의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다. 중간축 커버(38)는 도 5의 부분 A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축 커버(38)에 형성되는 중간축 커버측 끼워 맞춤부(38a)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에 형성되는 제2 부재측 끼워 맞춤부(62Uc)가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중간축 커버(38)는, 도 6의 부분 B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 부재(60D)의 제2 하부 케이싱 부재(62D)에 볼트(38b)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하는 상부 케이싱 부재(60U)는 가스 터빈(1)의 보수 점검 시에 제거되지만, 도 6에 도시하는 하부 케이싱 부재(60D)는 가스 터빈(1)의 보수 점검 시에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중간축 커버(38)는 보수 점검 시에 제거되지 않는 하부 케이싱 부재(60D)의 제2 하부 케이싱 부재(62D)에 볼트(38b)에 의해 충분히 고정되고, 보수 점검 시에 제거되는 상부 케이싱 부재(60U)에는 중간축 커버측 끼워 맞춤부(38a)와 제2 부재측 끼워 맞춤부(62Uc)에 의해 끼워 맞추어진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하는 가스 터빈(3)은 보수 점검 시에, 우선 제3 상부 케이싱 부재(363U)가 제거된다. 다음에, 작업원이 연소부 차실(36)로 들어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362U)와 중간축 커버(338)의 연결 부분의 볼트를 제거한다. 다음에, 가스 터빈(3)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362U)가 제거된다. 이에 의해, 가스 터빈(3)은 보수 점검 시, 연소기(39)가 노출된다.
한편, 도 4, 도 5, 도 6에 도시하는 가스 터빈(1)은 보수 점검 시에, 우선 도 5에 도시하는 상부 케이싱 부재(60U)의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가 제거된다. 이때, 중간축 커버(38)는 상부 케이싱 부재(60U)의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에 끼워 넣어져 있을 뿐이고, 상부 케이싱 부재(60U)의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가스 터빈(1)은 작업원이 연소부 차실(36)로 들어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 중간축 커버(38)의 연결 부분에 액세스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가스 터빈(1)은 보수 점검 시, 상부 케이싱 부재(60U)의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가 제거되는 것만으로, 연소기(39)가 노출된다.
이와 같이, 가스 터빈(1)은 상부 케이싱 부재(60U)에 끼워 넣어지는 중간축 커버(38)를 구비함으로써, 가스 터빈(1)의 보수 점검 시의 필요한 작업 공정수가 저감된다. 이에 의해, 가스 터빈(1)은 보수 점검 시에 작업원에 대해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가스 터빈(1)은 보수 점검 시에 필요로 하는 작업 시간이 저감된다.
또한, 중간축 커버(38)는 상부 케이싱 부재(60U)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 넣기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간축 커버(38)는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도 좋다. 단, 이 경우, 중간축 커버(38)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를 연결하는 볼트는 연소부 차실(36)의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된다.
이에 의해, 연소부 차실(36) 내로 작업원이 들어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 중간축 커버(38)의 연결 부분에 액세스하지 않아도, 상기 작업원은 연소부 차실(36)의 외부로부터 상기 볼트를 제거함으로써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를 중간축 커버(38)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터빈(1)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 제2 하부 케이싱 부재(62D) 중 적어도 한쪽의 일부에 작업원이 연소부 차실(36) 내에 액세스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부를 구비해도 좋다.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막는 덮개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케이싱(60)에 연소부 차실(36)의 외부로부터만 연결 부재로서의 볼트에 의해 연결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중간축 커버(38)는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도 좋다. 작업원은, 우선 연소부 차실(36)의 외부로부터 상기 덮개 부재를 케이싱(60)에 고정하는 볼트를 제거한다. 상기 작업원은 연소부 차실(36) 내로 들어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와 중간축 커버(38)의 연결 부분의 볼트를 제거한다. 이에 의해, 가스 터빈(1)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62U)가 중간축 커버(38)로부터 제거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상부 케이싱 부재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 및 제2 하부 케이싱 부재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를 로터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면으로 잘라낸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상부 케이싱 부재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 및 제2 하부 케이싱 부재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를 로터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면으로 잘라낸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터빈(2)은 부분적으로 플랜지가 연소부 차실(36)의 내측과 외측의 양쪽으로부터 연결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가스 터빈(2)의 상부 케이싱 부재(260U)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부 케이싱 부재(262U)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263U)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상부 케이싱 부재(262U)는 제2 상부측 제1 종플랜지(262Uha)와,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262Uhb)가 형성된다. 제3 상부 케이싱 부재(263U)는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263Uha)와, 제3 상부측 제2 종플랜지(263Uhb)가 형성된다.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262Uhb)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62Uhb)와는 달리 연소부 차실(36)의 내부에 제2 상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62Uhbi)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262Uhb)는 연소부 차실(36)의 외부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만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263Uha)도, 도 4에 도시하는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63Uha)와는 달리 연소부 차실(36)의 내부에 제3 상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63Uhai)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263Uha)는 연소부 차실(36)의 외부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만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스 터빈(2)의 하부 케이싱 부재(260D)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부 케이싱 부재(262D)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263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하부 케이싱 부재(262D)는 제2 하부측 제1 종플랜지(262Dha)와, 제2 하부측 제2 종플랜지(262Dhb)가 형성된다. 제3 하부 케이싱 부재(263D)는 제3 하부측 제1 종플랜지(263Dha)와, 제3 하부측 제2 종플랜지(263Dhb)가 형성된다.
제2 하부측 제2 종플랜지(262Dhb)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부 차실(36)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제2 하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262Dhbi)가 형성된다. 제2 하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262Dhbi)는 연소부 차실(36)의 내부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플랜지이다.
또한, 제2 하부측 제2 종플랜지(262Dhb)는 연소부 차실(36)의 외부에도 로터(50)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외측 연결부로서의 제2 하부측 제2 종외측 플랜지(262Dhbo)가 형성된다. 단, 제2 하부 케이싱 부재(262D)는, 제2 하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262Dhbi)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제2 하부측 제2 종외측 플랜지(262Dhbo)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3 하부측 제1 종플랜지(263Dha)는 연소부 차실(36)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제3 하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263Dhai)가 형성된다. 제3 하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263Dhai)는 연소부 차실(36)의 내부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플랜지이다.
또한, 제3 하부측 제1 종플랜지(263Dha)는 연소부 차실(36)의 외부에도 로터(50)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3 하부측 제1 종외측 플랜지(263Dhao)가 형성된다. 단, 제3 하부 케이싱 부재(263D)는 제3 하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263Dhai)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제3 하부측 제1 종외측 플랜지(263Dhao)가 형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케이싱(260)이 수송될 때, 제2 하부측 횡플랜지(262Dw)와 제3 하부측 횡플랜지(263Dw)가 형성되는 부분이 가장 케이싱(26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커진다. 또한, 상기 폭이라 함은, 지면을 따르고, 또한 운송 차량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크기를 말한다. 상기 수송 차량은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했을 때, 도 8에 도시하는 수송 폭 제한(LIMw) 이하의 부재를 수송할 수 있다.
제2 하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262Dhbi)는, 예를 들어 제2 하부측 횡플랜지(262Dw)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하부측 제2 종외측 플랜지(262Dhbo)는 제2 하부측 횡플랜지(262Dw)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제3 하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263Dhai)는, 예를 들어 제3 하부측 횡플랜지(263Dw)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하부측 제1 종외측 플랜지(263Dhao)는 제3 하부측 횡플랜지(263Dw)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가스 터빈(2)은 하부 케이싱 부재(260D)가 수송될 때, 제2 하부측 횡플랜지(262Dw)와 제3 하부측 횡플랜지(263Dw)가 형성되는 부분의 폭이 저감된다. 이에 의해, 하부 케이싱 부재(260D)가 수송될 때, 가스 터빈(2)은 제2 하부측 횡플랜지(262Dw)와 제3 하부측 횡플랜지(263Dw)가 형성되는 부분에 있어서 수송 폭 제한(LIMw)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을 우려가 저감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부 케이싱 부재(262U) 및 제3 상부 케이싱 부재(263U)를 제2 하부 케이싱 부재(262D) 및 제3 하부 케이싱 부재(263D)와 함께 수송하면, 제2 상부 케이싱 부재(262U)의 제2 상부측 횡플랜지(262Uw)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263U)의 제3 상부측 횡플랜지(263Uw)가 수송 폭 제한(LIMw)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 케이싱(260)의 수송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하부 케이싱 부재의 수송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하부 케이싱 부재(260D)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부 케이싱 부재(262D) 및 제3 하부 케이싱 부재(263D)가 수송 폭 제한(LIMw)의 범위 내에 들어간다. 또한, 하부 케이싱 부재(260D)를 구성하는 제1 하부 케이싱 부재(61D), 제4 하부 케이싱 부재(64D), 제5 하부 케이싱 부재(65D)도 수송 폭 제한(LIMw)의 범위 내에 들어간다.
따라서, 하부 케이싱 부재(260D)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부 케이싱 부재(61D)와, 제2 하부 케이싱 부재(262D)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263D)와, 제4 하부 케이싱 부재(64D)와, 제5 하부 케이싱 부재(65D)가 조립 부착된 상태에서, 수송 차량(TR)에 의해 수송된다.
또한, 수송 차량(TR)에 적재할 수 있으면, 도 2에 도시하는 제6 하부 케이싱 부재(66D)도 제1 하부 케이싱 부재(61D)와, 제2 하부 케이싱 부재(262D)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263D)와, 제4 하부 케이싱 부재(64D)와, 제5 하부 케이싱 부재(65D)와 함께 조립 부착된 상태로 수송된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상부 케이싱 부재의 수송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상부 케이싱 부재(260U)를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도 7에 도시하는 제2 상부 케이싱 부재(262U) 및 제3 상부 케이싱 부재(263U)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 부재(260D)와는 별도로 수송된다. 이에 의해, 가스 터빈(2)은 도 7에 도시하는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262Uhb) 및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263Uha)가 수송 높이 제한(LIMh)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을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터빈(2)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부 차실(36)의 내부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제2 하부측 횡플랜지(262Dw) 및 제3 하부측 횡플랜지(263Dw)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스 터빈(2)은 연소부 차실(36)의 내부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제2 하부측 횡플랜지(262Dw) 및 제3 하부측 횡플랜지(263Dw)가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제2 하부측 횡플랜지(262Dw) 및 제3 하부측 횡플랜지(263Dw)가 형성되는 부분 이외이면, 가스 터빈(2)은 연소부 차실(36)의 내부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와 연소부 차실(36)의 외부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함께 설치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제2 하부 케이싱 부재(262D)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263D)의 연결 부분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제2 하부 케이싱 부재(262D)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263D)는 제2 하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262Dhbi)와 제3 하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263Dhai)가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가스 터빈(2)은 제2 하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262Dhbi)와 제3 하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263Dhai)의 간극이 메워져, 보다 적절하게 연소부 차실(36)이 밀봉된다.
여기서, 가스 터빈(2)의 제2 상부 케이싱 부재(262U)와 제3 상부 케이싱 부재(263U)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부 차실(36)의 외측으로부터 볼트(7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가스 터빈(2)은 보수 점검 시, 종래의 가스 터빈(3)과 동일한 수순으로 분해된다. 즉, 가스 터빈(2)은 보수 점검 시에, 우선 제3 상부 케이싱 부재(263U)가 제거된다.
다음에, 작업원이 연소부 차실(36)로 들어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262U)와 중간축 커버(238)의 연결 부분의 볼트를 제거한다. 다음에, 가스 터빈(2)은 제2 상부 케이싱 부재(262U)가 제거된다. 이에 의해, 가스 터빈(2)은 보수 점검 시, 연소기(39)가 노출된다. 이와 같이, 중간축 커버(238)는 중간축 커버(38)와 같은 상부 케이싱 부재(60U)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 넣기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스 터빈(2)은 수송 폭 제한(LIMw)의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을 우려가 가장 큰 제2 하부 케이싱 부재(262D)와 제3 하부 케이싱 부재(263D)의 연결부에 차실의 내부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설치되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스 터빈(2)은 도 2에 도시하는 제1 하부 케이싱 부재(61D)와 도 7에 도시하는 제2 하부 케이싱 부재(262D)의 연결부, 도 7에 도시하는 제3 하부 케이싱 부재(263D)와 도 2에 도시하는 제4 하부 케이싱 부재(64D)의 연결부, 제4 하부 케이싱 부재(64D)와 제5 하부 케이싱 부재(65D)의 연결부, 제5 하부 케이싱 부재(65D)와 제6 하부 케이싱 부재(66D)의 연결부에 있어서도 차실의 내부에 로터(50)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가스 터빈(2)은 케이싱(260)의 크기가 저감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의 차실 개방 방법은, 분할되어 구성되는 가스 터빈의 케이싱에 유용하고, 특히 케이싱의 분할 부분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크기가 저감되는 가스 터빈에 적합하다.
1, 2, 3 : 가스 터빈
10 : 터빈부
11 : 터빈 차실
12 : 터빈부측 정익
13 : 터빈부측 동익
14 : 디스크
15 : 터빈부 케이싱
20 : 압축부
21 : 공기 도입구
22 : 압축부 케이싱
23 : 압축부측 정익
24 : 압축부측 동익
25 : 추기 매니폴드
30 : 연소부
31 : 연소부 케이싱
32 : 연소기 라이너
33 : 테일 파이프
34 : 연료 노즐
35 : 연소기 라이너 공기 도입구
36 : 연소부 차실
37 : 연소 영역
38 : 중간축 커버
38a : 중간축 커버측 끼워 맞춤부
38b : 볼트
39 : 연소기
40 : 배기부
41 : 배기 디퓨저
42 : 배기부 케이싱
50 : 로터
51 : 베어링
52 : 베어링
60 : 케이싱
60D : 하부 케이싱 부재
60U : 상부 케이싱 부재
61D : 제1 하부 케이싱 부재
61Dha : 제1 하부측 제1 종플랜지
61Dhb : 제1 하부측 제2 종플랜지
61Dw : 제1 하부측 횡플랜지
61U : 제1 상부 케이싱 부재
61Uha : 제1 상부측 제1 종플랜지
61Uhb : 제1 상부측 제2 종플랜지
61Uw : 제1 상부측 횡플랜지
62D : 제2 하부 케이싱 부재
62Dha : 제2 하부측 제1 종플랜지
62Dhb : 제2 하부측 제2 종플랜지
62Dw : 제2 하부측 횡플랜지
62U : 제2 상부 케이싱 부재
62Uc : 제2 부재측 끼워 맞춤부
62Uha : 제2 상부측 제1 종플랜지
62Uhb : 제2 상부측 제2 종플랜지
62Uhbi : 제2 상부측 제2 종내측 플랜지
62Uhbo : 제2 상부측 제2 종외측 플랜지
62Uw : 제2 상부측 횡플랜지
63D : 제3 하부 케이싱 부재
63Dha : 제3 하부측 제1 종플랜지
63Dhb : 제3 하부측 제2 종플랜지
63Dw : 제3 하부측 횡플랜지
63U : 제3 상부 케이싱 부재
63Uha : 제3 상부측 제1 종플랜지
63Uhai : 제3 상부측 제1 종내측 플랜지
63Uhao : 제3 상부측 제1 종외측 플랜지
63Uhb : 제3 상부측 제2 종플랜지
63Uw : 제3 상부측 횡플랜지
64D : 제4 하부 케이싱 부재
64Dha : 제4 하부측 제1 종플랜지
64Dhb : 제4 하부측 제2 종플랜지
64Dw : 제4 하부측 횡플랜지
64U : 제4 상부 케이싱 부재
64Uha : 제4 상부측 제1 종플랜지
64Uhb : 제4 상부측 제2 종플랜지
64Uw : 제4 상부측 횡플랜지
65D : 제5 하부 케이싱 부재
65Dha : 제5 하부측 제1 종플랜지
65Dhb : 제5 하부측 제2 종플랜지
65Dw : 제5 하부측 횡플랜지
65U : 제5 상부 케이싱 부재
65Uha : 제5 상부측 제1 종플랜지
65Uhb : 제5 상부측 제2 종플랜지
65Uw : 제5 상부측 횡플랜지
66D : 제6 하부 케이싱 부재
66Dha : 제6 하부측 제1 종플랜지
66Dw : 제6 하부측 횡플랜지
66U : 제6 상부 케이싱 부재
66Uha : 제6 상부측 제1 종플랜지
66Uw : 제6 상부측 횡플랜지
70 : 볼트
70i : 내측 볼트
70o : 외측 볼트
GND : 바닥
LIMh : 수송 높이 제한
LIMw : 수송 폭 제한
RL : 회전축
TR : 수송 차량

Claims (12)

  1.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기에 의해 발생시킨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와,
    복수로 분할된 복수의 케이싱 부재가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케이싱 부재 중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는 별도의 제2 케이싱 부재를 상기 내부에서 연결하는 내측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에 의해 분할되고,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에 의해 분할된 분할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에 형성되는 제1 내측 연결부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케이싱 부재에 형성되는 제2 내측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 내측 연결부와 상기 제2 내측 연결부는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싱 부재는 상기 내측 연결부를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연소기가 배치되는 연소부 차실의 내측에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싱 부재의 연결부 중, 상기 회전체가 배치되는 상기 내부와는 반대측의 외부에서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외측 연결부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의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7.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면에 의해 상부 케이싱 부재와 하부 케이싱 부재로 분할되고,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상부 케이싱 부재에는 설치되지 않고, 상기 하부 케이싱 부재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연결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케이싱의 측주위부의 내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환형상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9.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을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부재는 상기 연소부 차실의 외부에만 설치되는 연결부에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끼워 넣어지는 부분을 갖고 상기 연소부 차실의 내부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연소기를 지지하는 중간축 커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11.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기에 의해 발생시킨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와,
    복수로 분할된 복수의 케이싱 부재가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케이싱 부재 중 제1 케이싱 부재와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와는 별도의 제2 케이싱 부재를 상기 내부에서 연결하는 내측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에 의해 분할되고,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면에 의해 분할된 분할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케이싱 부재에 형성되는 제1 내측 연결부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케이싱 부재에 형성되는 제2 내측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 내측 연결부와 상기 제2 내측 연결부는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내측 연결부는 상기 연소기가 배치되는 연소부 차실을 구성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을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부재는 상기 연소부 차실의 외부에만 설치되는 연결부에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가스 터빈의 차실을 개방할 때,
    상기 연소기가 배치되는 연소부 차실을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부재를 상기 연소부 차실의 외부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의 차실 개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끼워 넣어지는 부분을 갖고 상기 연소부 차실의 내부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연소기를 지지하는 중간축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 상기 연소부 차실을 구성하는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부재를 상기 연소부 차실의 외부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의 차실 개방 방법.
KR1020107019075A 2008-02-28 2009-01-27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의 차실 개방 방법 KR101190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48250 2008-02-28
JP2008048250 2008-02-28
PCT/JP2009/051277 WO2009107437A1 (ja) 2008-02-28 2009-01-27 ガスタービン及びガスタービンの車室開放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088A KR20100117088A (ko) 2010-11-02
KR101190941B1 true KR101190941B1 (ko) 2012-10-12

Family

ID=4101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075A KR101190941B1 (ko) 2008-02-28 2009-01-27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의 차실 개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68094B2 (ko)
EP (1) EP2246544B1 (ko)
JP (2) JP5145408B2 (ko)
KR (1) KR101190941B1 (ko)
CN (1) CN101946072B (ko)
WO (1) WO2009107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0565B2 (en) * 2011-12-05 2015-12-01 Siemens Energy, Inc. Full hoop casing for midframe of industrial gas turbine engine
US10072528B2 (en) 2012-07-11 2018-09-11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Axial-flow exhaust turbine
US9279342B2 (en) * 2012-11-21 2016-03-08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ine casing with service wedge
US9260281B2 (en) 2013-03-13 2016-02-16 General Electric Company Lift efficiency improvement mechanism for turbine casing service wedge
DE102013213115A1 (de) 2013-07-04 2015-01-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Rotor für eine Turbine
EP2851522A1 (de) * 2013-09-19 2015-03-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Drehvorrichtung für eine Gasturbine und Verfahren zum Drehen eines Bauteils
US20150159873A1 (en) * 2013-12-10 2015-06-11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ressor discharge casing assembly
JP5869051B2 (ja) * 2014-06-09 2016-02-2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機械及び回転機械の組立方法、回転機械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5758529B1 (ja) * 2014-06-26 2015-08-0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部品の取付又は取外し方法、この方法を実行する装置、この装置の設置方法
JP6654039B2 (ja) 2015-12-25 2020-02-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
JP6625427B2 (ja) 2015-12-25 2019-12-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
WO2024075569A1 (ja) * 2022-10-04 2024-04-11 三菱パワー株式会社 中間軸カバー、及びこれを備えるガスタービ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1038A (ja) * 1998-12-08 2000-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2595A (en) * 1972-12-26 1974-10-22 Gen Electric Modular gas turbine engine
FR2437544A1 (fr) * 1978-09-27 1980-04-25 Snecma Perfectionnements aux joints a labyrinthe
US4435121A (en) * 1979-09-27 1984-03-06 Solar Turbines Incorporated Turbines
NO800935L (no) 1980-03-31 1981-10-01 Moss Rosenberg Verft As Fremdriftsmaskineri for lng-skip.
GB2081392B (en) * 1980-08-06 1983-09-21 Rolls Royce Turbomachine seal
GB2108202B (en) * 1980-10-10 1984-05-10 Rolls Royce Air cooling systems for gas turbine engines
US4417848A (en) * 1982-02-01 1983-11-29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ontainment shell for a fan section of a gas turbine engine
JPS5996305U (ja) * 1982-12-20 1984-06-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タ−ビンのケ−シング構造
JPS6169408U (ko) * 1984-10-12 1986-05-12
GB2168755B (en) * 1984-12-08 1988-05-05 Rolls Royc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s turbine engines
US4840026A (en) * 1988-02-24 1989-06-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Band clamp apparatus
GB8905894D0 (en) * 1989-03-15 1989-04-26 Rolls Royce Plc Fluid-tight joints
US5259725A (en) * 1992-10-19 1993-11-09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turbine engin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3238299B2 (ja) * 1995-04-17 2001-12-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
JPH1026006A (ja) * 1996-07-09 1998-01-27 Mitsubishi Heavy Ind Ltd 一重車室蒸気タービン
JPH10306707A (ja) * 1997-05-09 1998-11-17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タービン
FR2777318B1 (fr) 1998-04-09 2000-05-12 Snecma Procede de reduction du jeu existant entre une chemise et un distributeur de turbine d'un turboreacteur
US7370467B2 (en) * 2003-07-29 2008-05-13 Pratt & Whitney Canada Corp. Turbofan case and method of making
JP2005061273A (ja) * 2003-08-08 2005-03-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ガスタービンのケーシング
JP4153446B2 (ja) * 2004-02-19 2008-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
JP2006037855A (ja) 2004-07-28 2006-02-09 Mitsubishi Heavy Ind Ltd 車室ケーシング及びガスタービン
US7435050B2 (en) 2006-01-11 2008-10-14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Split flange V-groove and anti-rotation m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1038A (ja) * 1998-12-08 2000-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088A (ko) 2010-11-02
JP2012062900A (ja) 2012-03-29
WO2009107437A1 (ja) 2009-09-03
CN101946072B (zh) 2014-04-02
US20100296926A1 (en) 2010-11-25
EP2246544B1 (en) 2016-11-16
EP2246544A1 (en) 2010-11-03
JP5145408B2 (ja) 2013-02-20
EP2246544A4 (en) 2015-05-27
JP5502847B2 (ja) 2014-05-28
CN101946072A (zh) 2011-01-12
JPWO2009107437A1 (ja) 2011-06-30
US8568094B2 (en)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941B1 (ko) 가스 터빈 및 가스 터빈의 차실 개방 방법
US10815898B2 (en) Seal assembly for a static structure of a gas turbine engine
JP5134680B2 (ja) ガスタービン及びガスタービンの車室開放方法
US9995179B2 (en) Compressor assembly for turbocharger burst containment
CN106014493A (zh) 用于冷却涡轮发动机的系统
US20130069313A1 (en) Turbomachine secondary seal assembly
US20130323046A1 (en) Seal land for static structure of a gas turbine engine
US20170298987A1 (en) Gas distribution labyrinth for bearing pad
CN107084010A (zh) 具有环阻尼件的燃气涡轮发动机
KR101890955B1 (ko) 터보축 엔진용 무윤활 구조
US20160017737A1 (en) Gas turbine engine rotor disk-seal arrangement
US20140069100A1 (en) Compact double grounded mechanical carbon seal
US20130323045A1 (en) Seal land for static structure of a gas turbine engine
CN106545368B (zh) 陶瓷基质复合物环形护罩固持方法-cmc销头
US9447794B2 (en) Inducer and diffuser configuration for a gas turbine system
US6431756B2 (en) Bearing damper
US20170321565A1 (en) Ingestion seal
US20230399960A1 (en) Device for pressurizing turbomachine downstream enclosure, and corresponding turbomachine
JP6998248B2 (ja) 翼の取り外し方法及び支持リング
WO2023086286A1 (en) Turbine containment
JP2005337082A (ja) 二軸式ガスタービン及びその冷却空気導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