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601B1 -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601B1
KR101190601B1 KR1020120028988A KR20120028988A KR101190601B1 KR 101190601 B1 KR101190601 B1 KR 101190601B1 KR 1020120028988 A KR1020120028988 A KR 1020120028988A KR 20120028988 A KR20120028988 A KR 20120028988A KR 101190601 B1 KR101190601 B1 KR 101190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tank
supply
silo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3108A (ko
Inventor
박승모
이신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그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그린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그린시스
Priority to KR102012002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60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36Devices for emptying from the top
    • B65G65/38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8Devices for emptying storage spaces as completely as pos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65G2814/0217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emptying as completely as possible
    • B65G2814/0229Air je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65G2814/0217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emptying as completely as possible
    • B65G2814/0235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emptying as completely as possible using liqui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의 건조공기를 이용한 선행기술은 장기간 가동하지 않을 경우 분체가 자중에 의해 굳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여 필요시 정량의 분체공급이 어려웠고, 휘날리는 분체 먼지의 집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일로탱크(100)와; 사일로탱크(100)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공기공급관(110a); 분체를 일정하게 배출시키는 빈 액티베이터(120); 분체 배출량을 계량하는 호퍼스케일(200); 분체를 용해시키는 교반기(300);로 분체 공급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빈 액티베이터(120)의 분체배출구(121)와 호퍼스케일(200)의 유입구(201) 중심을 일정 거리 편심되게 한 후 그 사이에 게이트밸브(702)가 설치된 출구(701)를 통해 유입구(201)로 분체를 이송 낙하시키는 분체공급이송부(700)를 설치하고, 분체공급이송부(700)에서 분체를 받아 사일로탱크(100)로 순환시키는 분체순환이송부(500)를 설치하며, 사일로탱크(100)와 집진탱크(600) 사이에 주에어벤트라인(150)과 보조에어벤트라인(160)을 설치하여 분체가 주기적으로 순환되면서 사일로탱크 내에서 발생되는 분체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입니다.

Description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Moisture barrier and circulating powder supply for silo tank}
본 발명은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사일로탱크 내부에 저장되었다가 혼화지로 공급되는 분말 형태의 활성탄과 같은 약품 분체(이하 '분체'라 칭함)를 탱크 내부에 장기간 방치 보관시 분체가 수분 침투되는 외에도 자중에 의해 저절로 뭉쳐져 굳어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활성탄 분체 외에도 분말로 된 여러가지의 약품 분체를 공급하는 장치라면 모두 본 발명을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이를 "분체"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물은 우리 인류가 살아나가는데 있어서 가장 친숙하고 중요한 자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들어 세계의 인구 증가 및 급격한 산업발달과 국토개발 등으로 인해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물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어 세계 각국의 물부족 문제는 매우 심각한 상태이다.
즉, 전 세계적으로 각종 산업 발달과 생활수준이 바뀜으로 인해 환경 및 수질은 점차 오염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산업발전 및 생활 환경에 필요한 수자원은 점차 고갈되고 있어 외국의 여러 나라에서는 현재 물부족 현상이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또한 2000년대 들어서 해마다 전국의 평균 강수량이 점차 줄어들고 있어 국민 1인당 연간 이용 가능한 가용 수자원량이 기준인 1667㎥ 에 미달하는 1450㎥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연구 결과가 알려져 있어 물부족 국가에 속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현재 국가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 마련으로 4대강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점차 오염되어 고갈되는 수자원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대형 댐을 많이 만들어 수자원량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하수처리장 방류수 등을 고도의 정수 처리를 하여 각종 산업용수(공업, 농업, 조경, 축산, 상수) 사용 기준에 부합되는 물로 재 사용토록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고도 정수 처리하는 과정을 일례로 들면 오,폐수가 모이는 집수조, 유량조정조, 폭기조, 침전도, 여과조, 소포 및 방류조로 구성되어 이들을 차례로 거치는 동안 처리수에 함유된 BOD, SS, COD 처리는 물론 질소(T-N)와 인(T-P)을 효과적으로 제거토록 하고 있으며, 그래야만 환경 위생적으로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고도 정수 처리할 때 하수의 역한 냄새 탈취 및 탈색과 오염물질의 흡착 제거를 위해서는 활성탄을 이용하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표면적이 넓은 다공질로 흡착성이 매우 강한 탄소질의 재. 목재. 갈탄. 토탄을 활성화제인 염화 아연이나 인산을 촉매로 하여 건류하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해 만들며, 그 중 야자나무 열매껍질로 만드는 야자껍질 활성탄은 매우 잘 알려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활성탄의 원 재료로는 나무 톱밥, 야자껍질, 역청탄, 갈탄, 코코넛, 리그린 등 다양하게 있으며, 상기 목재 등 탄소물질을 태워서 제조한 활성탄은 흡착성이 강한 분상 또는 입상다공성 물질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1g당 500~1500㎡ 정도의 표면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활성탄은 특히 냄새가 심하고 독성이 강한 농약이나 유기화학 물질의 과다 사용 등으로 인한 광범위한 오염 물질 및 발암 물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흡착 제거하거나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탄은 그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말형태의 활성탄 분체와 입상활성탄 및 생물활성탄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분말형태의 활성탄 분체는 각종 용액과 식품류의 탈색, 탈취, 정제용으로 사용되고, 입상활성탄은 가스 정제용으로 탈진, 탈황, 정수용으로 페놀, 수은, 세제의 제거 및 용제회수 등 다방면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분말 형태의 분체를 공급하는 장치의 경우는 대부분 사일로탱크 등에 저장시킨 다음 필요시마다 탱크에서 적당량의 활성탄 분체를 물과 함께 용해조로 공급되게 하여 활성탄 분체가 물에 용해되게 한 다음 정수처리를 위해 여러 약품들이 혼합되는 혼화지로 공급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탱크에 보관된 분체는 매일 자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적게는 2개월~3개월 간격, 많게는 6개월~1년 간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은 분체를 사일로탱크에 장기간 그대로 방치 보관할 경우는 대기중에 함유된 수분이 잘 침투하게 됨은 물론 자중에 의해 매우 단단하게 뭉쳐져 굳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추운 겨울철에는 탱크 내,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현상으로 생긴 습기가 분체에 침투되어 굳는 현상이 잘 발생되며, 이러한 결로 현상 방지를 위해 별도의 보온장치를 가동할 경우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분체 투입장치는 분체가 수분과 결합되면 쉽게 응고되어 내부의 피더 등 장치 내부에 협착되어 굳음에 따라 기기 장치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내부 통로를 점차 폐쇄시킴에 따라 분체가 혼화지에 정량 투입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정수장 등지에서 고도의 정수 처리를 위해 사일로탱크에 저장시킨 활성탄 분체가 쉽게 굳는 현상을 방지하여 정량의 분체를 적시 공급되게 하려면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여야만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하기 선행기술 특허문헌(0001)에 기재된 한국 등록특허 제10-0995131호(공고일자: 2010년 11월 18일)의 "활성탄 고착 방지 용해조 및 이를 이용한 활성탄 공급장치"가 있다.
즉, 도 1 은 상기 선행기술 특허문헌의 발명 전체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분말형태의 활성탄 분체를 공급하기 위해 저장하는 분체저장조(100), 상기 분체저장조(100)로부터 배출되는 활성탄 분체를 일정하게 배출하기 위한 빈 액티베이터(200), 상기 빈 액티베이터(200)로부터 배출되는 분체를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피더(300), 상기 피더(300)로부터 배출되는 활성탄 분체를 용해수와 혼합하기 위한 분체용해조(400), 상기 분체용해조(400)의 하부에 연결되어 분체용해조(400) 내부에서 진공압(부압)에 의해 용해조 내부를 따라 일정하게 흘러내려 배출되는 혼합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이젝터(50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는 선행기술문헌의 분체저장조(100)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는 원통형으로 된 상부 쉘(Shell) 및 원뿔형으로 된 하부 콘(Cone)이 일체형으로 된 분체저장용 사일로탱크(110)와; 건조공기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사일로탱크(110)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입관(120); 및 상기 공기유입관(120)에 연결되어 사일로탱크(110) 내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에어패드(1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문헌의 발명은 탱크로리 차량에서 활성탄 분체를 분체저장조(100)에 투입할 때 사일로탱크(110) 상부 중앙에 구비된 개구부의 덮개를 닫고 행하면 사일로탱크(110) 내부에 분체가 채워지는 만큼 점차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므로 어느 단계에 도달하면 내부 압력이 과다하여 활성탄 분체의 투입이 안되는 경향이 있다.
이를 위해 개구부의 덮개를 열고 분체를 투입하면 투입구에서 바닥을 향해 떨어지는 분체로 인해 사일로탱크(110) 내부에서는 상당량의 활성탄 분체가 휘날리게 되는데, 상기 선행기술은 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구조 및 기능이 없으며, 이러한 분체들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 주변 공기를 오염시키게 되므로 작업자들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일로탱크 내에서 발생되는 분체 먼지는 주변장치인 집진기를 이용하여 집진하여 제거하여야만 하며, 종래에는 여과식 집진장치인 백필터를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는 백필터에 쌓인 분진층을 수시로 털어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털어낸 분진을 다시 별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집진에 필요한 송풍기 운전에 따른 전력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은 분체저장조(100)에서 분체를 분체용해조(400)로 공급하는 량을 피더(300)에서 일정하게 공급할 뿐으로서 필요에 따라 분체의 공급량을 다양하게 조절하지 못하였고, 그 분체 공급량에 알맞는 용해수의 공급 조절도 어려워 분체의 용해 농도를 최적 상태로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패드를 통한 건조공기를 사일로탱크(110) 내부에 공급한다고 하더라도 그 공급되는 건조공기가 에어패드와 근접된 부위의 분체에만 영향을 미칠 뿐 에어패드에서 떨어진 부위까지는 미치치 못하므로 이러한 상태로 장기간 방치 보관될 경우 탱크 내의 분체가 자중에 의해 저절로 단단하게 뭉쳐지면서 굳게되는 현상은 방지하지 못하여 이로 인해 분체를 적시에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95131호(공고일자: 2010년 11월 18일, 발명의 명칭: 활성탄 고착 방지 용해조 및 이를 이용한 활성탄 공급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일로탱크에 저장시킨 분체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고 보관시 일정 시간마다 분체가 순환되게 하므로서 분체가 자중에 의해 저절로 뭉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필요시 적시에 분체를 공급할 수 있는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탱크로리 등을 이용하여 활성탄 분말을 포함한 여러 약품의 분체을 사일로탱크 내부로 공급할 때 탱크 내부의 압력조절이 손쉬워 분체 공급이 용이하면서도 휘날리는 분체를 양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일로탱크에서 분체용해교반기로 공급되는 분체의 량을 보다 정확하게 계량하고 그 계량된 분체량에 알맞는 용수가 공급되게 함으로서 활성탄의 용해 농도를 최적 상태로 만들어 공급할 수 있는 사일로탱크의 분체 수분 차단 및 순환식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외부에서 분체가 공급되는 사일로탱크의 하단부를 상광하협의 원뿔 형태로 형성하고, 사일로탱크 내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탱크 외주면 상하에 다수 설치된 건조공기공급관과; 사일로탱크의 분체를 받아 일정하게 공급하는 빈 액티베이터; 및 빈 액티베이터에서 배출되는 분체량을 자동 계량하는 호퍼스케일과; 분체와 용수가 유입되면 분체를 교반 용해시킨 후 주배출배관을 통해 외부로 공급하는 교반기;로 사일로탱크의 분체 공급장치를 구성하되 빈 액티베이터의 분체배출구와 호퍼스케일의 유입구 중심을 서로 편심되게 이격시키고, 편심된 분체배출구와 유입구 사이에는 게이트밸브가 설치된 출구를 통해 분체를 유입구로 낙하시키는 전동식 분체공급이송부를 설치하며, 분체공급이송부 끝단에는 분체를 받아 사일로탱크의 상단 내부로 순환 공급시키는 전동식 분체순환이송부를 설치하여 사일로탱크 내의 분체를 주기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세정수 및 건조공기가 주입되는 집진탱크와 상기 사일로탱크 사이에는 주에어벤트라인과 보조에어벤트라인를 설치하여 사일로탱크에서 휘날리는 분진 먼지를 집진하여 혼화지나 교반기로 공급되게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식 사일로탱크의 분체 투입기의 단점인 공기중의 수분으로 쉽게 응고되어 저장부 내부나 피더 등의 주변 장치 내부에 고착되는 문제점을 1차적으로는 외부에서 공급하는 건조공기로, 2차적으로는 분체 순환방식에 의해 해결되게 한 것으로서, 필요시 언제라도 분체의 정량 투입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스크류 피더를 사용하는 건식 용적 계량방식과 중량계량 방식을 동시의 장점을 활용하여 병용하는 것이므로 실시간 투입량은 체적계량을 하고 누적 중량계량에 의해 실시간 투입량을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교반기로 공급되는 분체량에 알맞는 용수를 공급하여 분체의 용해 농도를 최적 상태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부에서 사일로탱크로 분체를 공급할 때 탱크 내부의 압력이 항시 알맞게 조절되므로 분체 공급이 용이하며, 사일로탱크 내의 분체 먼지를 세정식 집진탱크를 이용하여 집진한 다음 혼화지로 자동 공급되게 한 것이므로 사용상 편리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선행기술인 특허문헌(0001)의 발명 전체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 는 선행기술인 특허문헌(0001)의 발명중 분체저장조 구조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이 실시된 사일로탱크의 분체 수분 차단 및 순환식 공급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이 실시된 사일로탱크의 분체 수분 차단 및 순환식 공급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중에서, 상부에 분체투입구(101)가 구비되고, 하단부가 상광하협의 원뿔 형태로 형성된 사일로탱크(100)와; 사일로탱크(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하에 다수의 열로 설치되며, 건조공기공급부를 통해 외부에서 건조공기가 공급되는 건조공기공급관(110a); 및 건조공기공급관(110a)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사일로탱크(100) 내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다수의 에어패드(111);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일로탱크(100) 하부에서 낙하되는 분체를 받아 일정하게 분체배출구(121)로 배출시키는 빈 액티베이터(120); 빈 액티베이터(120)에서 배출되는 분체가 유입구(201)로 유입되면 그 양을 자동 계량하면서 하부로 배출시키는 호퍼스케일(200); 호퍼스케일(200)에서 배출되는 분체가 용수와 함께 유입되면 그 분체를 교반 용해시킨 후 주배출배관(310)을 통해 외부로 공급하는 교반기(300); 또한 일반적인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빈 액티베이터(120)의 분체배출구(121) 중심과 호퍼스케일(200)의 유입구(201) 중심을 서로 편심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시키고, 분체배출구(121)와 유입구(201) 사이에 분체배출구(121)에서 분체를 받아 출구(701)로 낙하시키는 전동식 분체공급이송부(700)를 설치하며, 유입구(201)와 연결되는 출구(701)에는 게이트밸브(702)를 설치한 것에 있다.
그리고, 분체공급이송부(700) 끝단에는 분체공급이송부(700)에서 이송되는 분체를 수직으로 상향 이송시키는 전동식 분체순환이송부(500)를 설치하고, 사일로탱크(100)의 상단부에는 분체순환이송부(500)에 의해 상승되는 분체를 사일로탱크(100) 내부로 투입되게 하는 순환투입구(102)와 개폐밸브(10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일로탱크(100)의 상면에는 밸브(151)가 설치된 주에어벤트라인(150)과 체크밸브(161)가 설치된 보조에어벤트라인(160)의 일단을 설치하고, 주에어벤트라인(150)과 보조에어벤트라인(160)의 타단은 건조공기공급라인(620)과 세정수라인(610)을 통해 건조공기와 세정수가 분사되는 노즐(430) 및 레듀서(400)가 1단 또는 다단으로 설치된 집진탱크(600)에 연결하여 혼화지나 상기 교반기(300)로 공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호퍼스케일(200)과 교반기(300) 사이에 설치되는 레듀서(400)에는 용수유량계(410)가 설치된 용수배관(410)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 및 건조공기공급관(110b)을 통해 공급되는 건조공기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노즐(430)을 설치하여 교반기(300)로 용수를 공급허가나 호퍼스케일(200)내부를 향해 건조공기가 공급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체배출구(121)에는 슬라이드형 게이트밸브(130)와 회전수에 의해 투입량 측정이 가능한 로터리밸브(14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체공급이송부(700)와 분체순환이송부(500)는 스크류콘베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 중 분체순환이송부(500)의 모터(M4)는 정,역회전이 가능토록 하여 분체순환이송부(500)가 정,역회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체순환이송부(500)의 하단에는 개폐용 밸브(511)로 입구가 개폐되는 수동무게측정구(510)를 설치하여 분체순환이송부(500)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분체의 무게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0)은 사일로탱크(100)에 설치되어 사일로탱크(100) 내에 투입된 분체의 중량을 측정하는 로드셀이고, (210)은 호퍼스케일(200)에 설치된 로드셀이며, (M)은 교반기(300)에 설치된 교반모터, (320)는 수위계이며, (P)는 교반기(300)의 주배출배관(310)에 설치된 배출펌프, (330)은 맥동흡수관, (340)는 배출유량계이며, (350)는 보조배출배관이고, (360)는 교반기(300)로 세척용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배관 이며, (M1)(M2)(M3)는 모터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외부에서 탱크로리 등을 통해 공급되는 분체를 분체투입구(101)를 통해 사일로탱크(100) 내부에 주입하여 공급하는 것이며, 공급된 분체는 보관하다가 필요시 교반기(300)로 공급하여 용해시킨 다음 혼화지 등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즉, 사일로탱크(100)에 저장시킨 분체를 교반기(300)로 보내어 용해시킨 후 혼화지 등으로 공급하고자 할 때는 분체공급이송부(700)의 출구(701)에 설치된 게이트밸브(130)를 열어준 상태에서 빈 액티베이터(120)로 사일로탱크(100) 내부의 분체를 공급하면 되는 것으로서, 빈 액티베이터(120)를 통해 분체공급이송부(700)로 공급된 분체는 열려있는 출구(701)를 통해 호퍼스케일(200)로 유입되어 통과량이 측정된 후 교반기(300)로 유입된다.
여기서, 외부에서 탱크로리 등을 통해 사일로탱크(100)로 분체를 낙하 공급할 때는 사일로탱크(100) 내부에 분체가 떨어져 쌓일수록 사일로탱크(100) 내부의 압력은 점차 증가하게 되고, 탱크 내부에는 상당량의 분체 먼지가 휘날리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주에어벤트라인(150)의 밸브(151)를 열어주면 탱크 내부의 상승되는 압력에 의해 휘날리는 분체 먼지들은 주에어벤트라인(150)을 통해 집진탱크(600)로 신속하게 공급되며, 이때 노즐(601)을 통해서는 건조공기와 세정수를 밸브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집진탱크(600) 위에 설치된 복수의 노즐(601)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 분체 먼지들은 분진을 포함한 공기가 1,2차에 걸쳐 세정수에 흡수되어 레듀서를 통해 집진탱크(600)에 집진된 다음 혼화지나 교반기(300)로 보내어지는 것으로서, 사일로탱크(100) 내에서 휘날리는 분체 먼지들을 매우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뜨거운 여름철과 같은 계절에는 분체를 장기 저장중인 사일로탱크(100)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사일로탱크(100)의 평상시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보조에어벤트라인(160)의 체크밸브(161)가 열리면서 탱크 내부의 높아진 압력이 집진탱크(600) 또는 혼화지 등으로 빠져 나가게 되므로 사일로탱크(100) 내부의 압력을 항시 적정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일로탱크(100)에서 분체를 교반기(300)에 공급할 때 사일로탱크(100) 밑면에 빈 액티베이터(120) 외에 슬라이드 게이트밸브(130)와 로터리밸브(140)가 함께 설치되어 통과되는 분체 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분체를 보다 일정한 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분체공급이송부(700)의 출구(701) 하부에 호퍼스케일(200)이 설치되어 교반기(300)로 공급되는 분체 량을 2차적으로 측정하여 정확성을 기할 수 있고, 이에 알맞는 용수를 용수유량계(410)에 의해 교반기(300)로 공급하므로 용해되는 약품 농도를 최적 상태로 조절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노즐(430)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는 레듀서(400)에서 분체와 1차 혼합되면서 교반기(300)로 공급되어 2차 교반이 되고, 교반모터(M)로 회전되는 임펠러가 설치된 교반기(300)에는 수위계(320)가 구비되어 적정량의 수위 조절로 분체의 용해가 매우 신속 양호하게 이루어지며, 배출펌프(P)에 의해 주배출배관(310)으로 배출되는 유량은 배출유량계(340)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일로탱크(100)에 저장시킨 분체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분체배출구(121)의 슬라이드 게이트밸브(130)와 분체공급이송부(700)의 출구(701)에 설치된 게이트밸브(702)를 닫아 놓는다. 그러면 교반기(300)에서 상부쪽으로 증발되는 수분이 사일로탱크(100) 내의 분체에 미치지 않도록 2단계에 걸쳐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사일로탱크(100)에 저장시킨 분체 공급을 오랫동안 중단하는 경우에는 사일로탱크(100) 내부의 분체가 자중에 의해 딱딱하게 굳을 우려가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사일로탱크(100) 내의 분체를 순환시킴으로써 분체가 굳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분체배출구(121)의 슬라이드 게이트밸브(130)는 열어주고 분체공급이송부(700)의 출구(701)에 설치된 게이트밸브(702)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빈 액티베이터(120)와 로터리밸브(140) 및 분체공급이송부(700)와 분체순환이송부(50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분체공급이송부(700)에 의해 이송되는 분체는 출구(701)의 게이트밸브(702)가 막혀 있으므로 호퍼스케일(200)로는 공급되지 않고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분체순환이송부(500)로 유입되며, 분체순환이송부(500)는 분체공급이송부(700)에서 공급되어온 분체를 수직으로 이송시킨 다음 개폐밸브(103)가 열려있는 순환투입구(102)를 통해 사일로탱크(100) 의 내부로 떨어져 순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일로탱크(100) 내의 분체 공급을 장기간 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분체 순환을 주기적으로 행하여주면 사일로탱크(100) 내의 분체가 자중에 의해 굳을 우려는 전혀 없게 된다.
그리고, 분체 순환동작을 중단하고자 할 경우는 분체배출구(121)의 슬라이드 게이트밸브(130)를 닫아준 상태에서 분체공급이송부(700)와 분체순환이송부(500)를 일정시간 더 구동시키면 대부분의 분체는 사일로탱크(100) 내부로 순환 투입되지만 일부 분체가 이송부에 잔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분체순환이송부(500)를 구동시키는 모터(M4)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것이므로 분체순환이송부(500) 하단에 설치된 수동무게측정구(510)의 밸브(511)를 열어준 후 분체순환이송부(500)는 역회전시키고 분체공급이송부(700)는 정회전시키면 각각의 내부에 잔류되어 있던 분체가 수동무게측정구(510)를 통해 아래로 떨어지면서 배출되는 분체량이 측정되므로 사일로탱크(100)에서 배출된 분체 량을 보다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호퍼스케일(200)과 교반기(300) 사이의 레듀서(400) 내에 구비된 노즐(430)을 통해 건조공기를 호퍼스케일(200) 내부에 주기적으로 분사하면 수분에 의해 호퍼스케일(200) 내주면에 부착되는 일부 분체들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분체가 호퍼스케일(200) 내부에 부착되어 굳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반기(300)의 하단에 분체가 용해된 물이 배출되는 보조배출배관(350)을 구비하고, 이 보조배출배관(350)에 용수배관(360)을 연결하여 용수배관(360)을 통해서 교반기(300) 내부로 공급되는 용수로는 교반기(300) 내부를 청소하고, 배출펌프의 고장시에는 보조배출배관(350)을 통해 배출되게 한 것이다.
100 : 사일로탱크 101 : 분체투입구
102 : 순환투입구 110a,110b: 건조공기공급관
120 : 빈 액티베이터 130 : 슬라이드 게이트밸브
140 : 로터리밸브 150 : 주에어벤트라인
160 : 보조에어벤트라인 200 : 호퍼스케일
300 : 교반기 310 : 주배출배관
330,410 : 용수배관 420 : 유량계
430,601: 노즐 500 : 분체순환이송부
510 : 수동무게측정구 600 : 집진탱크
700 : 분체공급이송부 702 : 게이트밸브

Claims (6)

  1. 상부에 분체투입구(101)가 있고, 하단부가 원뿔 형태인 사일로탱크(100)와; 사일로탱크(100)의 외주면 상하에 다수의 열로 설치되어 외부의 건조공기를 일정 간격 배치된 에어패드(111)를 통해 사일로탱크(100)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공기공급관(110a); 사일로탱크(100)의 분체를 받아 분체배출구(121)로 배출시키는 빈 액티베이터(120); 빈 액티베이터(120)에서 분체가 유입구(201)로 유입되면 그 양을 자동 계량하여 배출시키는 호퍼스케일(200); 호퍼스케일(200)의 분체가 용수와 함께 유입되면 분체를 교반 용해시킨 후 주배출배관(310)을 통해 외부로 공급하는 교반기(300);로 수분차단되는 분체 공급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빈 액티베이터(120)의 분체배출구(121) 중심과 호퍼스케일(200)의 유입구(201) 중심을 서로 편심되게 일정 거리 이격시키고, 분체배출구(121)와 유입구(201) 사이에는 이송되는 분체를 게이트밸브(702)가 설치된 출구(701)를 통해 유입구(201)로 낙하시키는 전동식 분체공급이송부(700)를 설치하며,
    분체공급이송부(700) 끝단에는 분체공급이송부(700)에서 분체를 받아 사일로탱크(100) 상단의 개폐밸브(103)가 구비된 순환투입구(102)를 통해 사일로탱크(100)로 분체를 순환시키는 전동식 분체순환이송부(500)를 설치하여 사일로탱크(100) 내의 분체를 주기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일로탱크(100)의 상면에는 밸브(151)가 설치된 주에어벤트라인(150)과 체크밸브(161)가 설치된 보조에어벤트라인(160)의 일단을 설치하고,
    주에어벤트라인(150)과 보조에어벤트라인(160)의 타단은 건조공기공급라인(620)과 세정수라인(610)을 통해 건조공기와 세정수가 분사되는 노즐(601) 및 레듀서(602)가 1단 또는 다단으로 설치된 집진탱크(600)에 연결하여
    집진탱크(600)에 모인 분체 용해수를 혼화지나 상기 교반기(300)로 공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교반기(300)에는 용수유량계(410)가 설치된 용수배관(410)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 및 건조공기공급관(110b)을 통해 공급되는 건조공기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노즐(430)과 레듀서(400)를 설치하여 교반기(300)로의 용수 공급 및 호퍼스케일(200) 내부로의 건조공기공급이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분체배출구(121)에는 슬라이드형 게이트밸브(130)와 회전수에 의해 투입량 측정이 가능한 로터리밸브(14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체공급이송부(700)와 분체순환이송부(500)는 스크류콘베어로 구성되고,
    그 중 분체순환이송부(500)는 정,역회전되는 모터(M4)에 의해 정,역회전 가능토록 하며,
    분체순환이송부(500)의 하단에는 개폐용 밸브(511)로 입구가 개폐되는 수동무게측정구(510)를 설치하여 분체순환이송부(500)의 역회전시 분체순환이송부(500)에서 아래로 배출되는 분체의 무게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
  6. 삭제
KR1020120028988A 2012-03-21 2012-03-21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 KR10119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988A KR101190601B1 (ko) 2012-03-21 2012-03-21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988A KR101190601B1 (ko) 2012-03-21 2012-03-21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108A KR20120093108A (ko) 2012-08-22
KR101190601B1 true KR101190601B1 (ko) 2012-10-12

Family

ID=4688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988A KR101190601B1 (ko) 2012-03-21 2012-03-21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48059A (zh) * 2021-06-09 2022-12-09 菲吉乐科(山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25-oh-d3的复合维生素生产用上料仪
CN115303821A (zh) * 2022-07-05 2022-11-08 宁夏金海东泰洁能有限公司 一种兰炭末端成型处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251A (ja) * 2000-12-19 2002-06-26 Hokko Kakoki Kk ホッパー付大型貯槽における先入れ先出し装置
KR100995131B1 (ko) * 2010-02-17 2010-11-18 주식회사 제너럴시스템 활성탄 고착 방지 용해조 및 이를 이용한 활성탄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251A (ja) * 2000-12-19 2002-06-26 Hokko Kakoki Kk ホッパー付大型貯槽における先入れ先出し装置
KR100995131B1 (ko) * 2010-02-17 2010-11-18 주식회사 제너럴시스템 활성탄 고착 방지 용해조 및 이를 이용한 활성탄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108A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234B1 (ko) 쓰레기 분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1536156B1 (ko) 촉매 순환형 폐플라스틱·유기물의 분해 장치
KR101921692B1 (ko) 슬러지와 가축분뇨와 음식물쓰레기와 음폐수의 교반 소멸장치
KR101034569B1 (ko) 슬러지 고화처리장치
US9169147B2 (en) Precision lime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ewage sludge
KR101190601B1 (ko) 사일로탱크의 수분 차단 및 순환식 분체 공급장치
KR101233694B1 (ko) 음식폐기물의 고형물 농도 조절장치
CN109005854B (zh) 一体化滴灌系统
ES2703364T3 (es) Procedimiento e instalación de acondicionamiento de lodos antes del secado
CN213001806U (zh) 一种污染土壤修复装置
CN107265778A (zh) 箱式高效混凝沉淀脱氮设备
KR100824290B1 (ko) 폐수처리장치
ES2933706T3 (es) Procedimiento de descontaminación de aguas por adsorción sobre carbón activado
CN209602336U (zh) 一种动物防疫专用的污水处理装置
EP2431333A2 (en) Effluent treatment
KR100995131B1 (ko) 활성탄 고착 방지 용해조 및 이를 이용한 활성탄 공급 장치
US201400345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me Stabilization of Liquid Sludge
CN109821872B (zh) 基于淋洗法治理污染土壤的系统及治理方法
DK3015157T3 (en) Filter and filter system
KR100667012B1 (ko) 여상 회전 순환식 오수여과장치
KR101374650B1 (ko) 오염토양 경작 설비
JP2004195280A (ja) 有機性廃棄物処理装置
AU667913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husbandry dung to produce manure
CN219851344U (zh) 一种土壤修复处理装置
CN209393292U (zh) 一种复合净水剂碎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