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221B1 -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 Google Patents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221B1
KR101190221B1 KR1020100050819A KR20100050819A KR101190221B1 KR 101190221 B1 KR101190221 B1 KR 101190221B1 KR 1020100050819 A KR1020100050819 A KR 1020100050819A KR 20100050819 A KR20100050819 A KR 20100050819A KR 101190221 B1 KR101190221 B1 KR 101190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brick
holder
vegetation block
bloc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398A (ko
Inventor
김광원
김상훈
Original Assignee
김상훈
김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훈, 김광원 filed Critical 김상훈
Priority to KR102010005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22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을 개시한다.
개시된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은 하부가 지면에 매립되도록 다수개의 황토벽돌을 격자형으로 반복적으로 배열하되, 상기 황토벽돌의 하부에는 황토벽돌의 정확한 배치 및 견고한 배치를 위해 매트형 벽돌홀더를 구비하여서 된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벽돌홀더는, 틀 형태의 홀더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몸체로 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돌기들 사이에 상기 황토벽돌을 끼워넣어 고정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황토식생블록 구조물{Loess vegetation block costration}
본 발명은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황토벽돌을 정확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듯이, 사람의 통행이 많은 근린공원, 유원지, 관공서, 아파트 공원 등의 넓은 광장이나 주차장의 바닥면은 대부분 불투수성 제품인 아스콘이나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되어 있어서 잔디의 식생이 어렵다.
하여, 최근에는 블록의 내부에 잔디 식생이 가능한 홀 또는 구멍을 형성하여, 이 홀이나 구멍에 잔디를 식생시키거나, 다수개의 블록을 가두리 방식(격자형)으로 배치하여 블록들 사이에 식생공간을 형성시켜서 이에 잔디를 파종하거나 심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식생블록의 일 예로서, 국내공개특허 제10-2010-25128호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종래 (잔디)식생블록은 동일형태로 양 분할된 제1,2 단위블록을 서로 대칭되게 조합하여 시공하되, 양 분할된 제1,2 단위블록을 하나로 조합하기 위해서 이들 블록의 하측에는 밑판이 필수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식생블록은 밑판과 식생블록이 1:1로 결합되므로 식생블록이 많이 설치되는 경우 일일이 낱개의 밑판을 배열한 후, 이 배열된 밑판에 개개별로 식생블록을 조합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시행해야 하므로 시공작업이 더디고 이로 인해 공기(工期)가 지연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밑판을 배열함에 있어서, 예컨대, 밑판을 일렬로 배열하는 경우 밑판의 정확하게 일렬로 배열하기가 어렵고, 밑판의 배열이 불규칙하게 되면 이에 조립되는 식생블록의 설치위치도 자연적으로 틀려지게 되므로 시공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며, 설사 밑판을 일렬로 정확하게 배열한다 하더라도 이의 배열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야 하므로 공기 지연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식생블록은 2개로 양 분할된데다가 이를 조합하기 위한 밑판이 개개별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들의 운반 및 보관이 원활치 않고 유실의 우려도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벽돌홀더의 홀더몸체들이 연결부재를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를 지면에 설치할 때 벽돌홀더를 펼치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별도의 도구 없이도 홀더몸체들을 일렬로 배치하기가 수월하여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는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벽돌홀더는 홀더몸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가요성 재질로 되어 있어서 두루마리 형태 또는 접철 형태로 접이가 가능하므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은, 하부가 지면에 매립되도록 다수개의 황토벽돌을 격자형으로 반복적으로 배열하되, 상기 황토벽돌의 하부에는 황토벽돌의 정확한 배치 및 견고한 배치를 위해 매트형 벽돌홀더를 구비하여서 된 식생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벽돌홀더는, 틀 형태의 홀더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몸체로 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돌기들 사이로 상기 황토벽돌을 끼워넣어 고정되어지며, 상기 홀더몸체가 다수개로 구성되어지되, 각 홀더몸체는 연결부재에 의해 일렬로 연결된 것이다.
삭제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은, 상기 연결부재가 접철 및 절곡이 가능하도록 가요성 재질의 띠 형태로 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은, 상기 연결부재가 2줄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은, 상기 황토벽돌의 저면에 상기 연결부재가 끼움될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은, 상기 황토벽돌의 지상을 향하는 면에는, 미생물의 이동통로, 토사의 이동통로 및 배수를 위한 통로역할을 하는 홈부가 형성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은,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구멍을 갖는 다수개의 황토벽돌을 그 하부가 지면에 매립되도록 격자형으로 반복적으로 배열하되, 상기 황토벽돌의 하부에는 황토벽돌의 정확한 배치 및 견고한 배치를 위해 매트형 벽돌홀더를 구비하여서 된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벽돌홀더는, 틀 형태의 홀더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몸체로 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돌기에 상기 황토벽돌의 구멍중 어느 한 구멍을 끼워넣어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른 실시예의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은, 홀더몸체가 다수개로 구성되되, 각 홀더몸체는 연결부재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접철 및 절곡이 가능하도록 가요성 재질로 된 적어도 2줄의 띠 형태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다른 실시예의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은, 상기 황토벽돌의 구멍 형성면중 어느 한 면에는, 미생물의 이동통로, 토사의 이동통로 및 배수를 위한 통로역할을 하는 홈부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은, 벽돌을 조립 및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홀더몸체들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를 지면에 설치할 때 벽돌홀더를 펼치기만 하면 벽돌홀더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벽돌홀더의 설치 작업은 물론 철거 작업이 간편하다. 따라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나아가 공기 단축의 효과를 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은, 간편하게 설치된 벽돌홀더에 의해 황토벽돌을 격자형으로 설치하기 위한 설치위치가 마련되므로 이에 황토벽돌을 조립하면 되므로 황토벽돌을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 단축은 물론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홀더몸체들이 가요성의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있어서 벽돌홀더를 두루마리 및 접철형태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어서 보관 및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가 2개의 띠형으로 되어 있어서 이중 하나의 연결띠를 절단하게 되면 홀더몸체를 곡선형태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황토벽돌의 곡선배치가 가능하므로 황토벽돌의 배치형태를 다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의 제1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황토벽돌의 제1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벽돌홀더의 제1 접이형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벽돌홀더의 제2 접이 형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벽돌홀더의 일부분을 방향 전환하여 설치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의 제2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의 제1 배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의 제2 배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의 제3 배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의 제1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황토벽돌의 제1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벽돌홀더의 제1 접이형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벽돌홀더의 제2 접이 형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벽돌홀더의 일부분을 방향 전환하여 설치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의 제2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식생블록 구조물(100)은 다수의 황토벽돌(200) 및 상기 황토벽돌 들을 고정하기 위한 벽돌홀더(300)를 포함한다.
황토벽돌(20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면(201), 상면과 직각으로 만나는 4개의 측면(204) 및 측면과 직각으로 만나는 하면(206)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황토벽돌(200)은 강도강화 및 재료절감의 목적으로 상기 상면(201) 및 하면(206)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구멍(208)을 갖는다.
황토벽돌(200)의 4개의 측면중 긴 길이의 2개의 측면을 제1 측면(204a)이라 하고, 짧은 길이의 2개의 측면을 제2 측면(204b) 이라 하며, 상면(201)과 하면(206) 사이를 높이(h)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측면(204a)중 지면을 향하는 면에는 높이(h)방향으로 다수의 요홈(210)을 갖는다.
요홈(210)의 단면 형태는 원호형, 각형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요홈(210)으로는 후술될 연결부재(350)가 요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황토벽돌(200)의 제1 측면(204a)중 지상을 향하는 측면 및/또는 상면(201)에는 소정깊이의 홈부(220)을 가질 수 있다. 홈부(220)는 원호형, 각형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홈부(220)는 미생물의 이동통로 및 토사의 이동통로 및 배수를 위한 통로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벽돌홀더(300)는 상기 황토벽돌(200)들을 격자형으로 배치할 때, 배치위치를 지정함과 아울러 배치된 황토벽돌을 견고하게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벽돌홀더(300)는 매트형의 홀더몸체(310) 및 상기 홀더몸체(310)로 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돌기(3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몸체(310)는 재료 절감 차원에서 사각틀, 다각틀 또는 원형틀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고정돌기(330)는 상기 홀더몸체(310)의 내측변(311), 외측변(312), 상면(313)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나, 상면(313)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고정돌기(330)가 내측변(311) 또는 외측변(312)에 형성되는 경우 홀더몸체(310)의 볼륨 및 중량이 증가하여 취급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또한, 홀더몸체(310)가 사각틀 형태를 가질 경우, 상기 고정돌기(330)는 도 1에서와 같이 홀더몸체(310)의 상면(313)중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거나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모서리와 모서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330)의 형성위치는 황토벽돌(200)의 고정구조에 따라 다르게 해야 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홀더몸체(310)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홀더몸체(310)의 사이는 연결부재(35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다수의 홀더몸체(310)는 연결부재(350)에 의해 일렬로 연결될 수 있고, 이와는 다르게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횡렬 및 종렬로도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취급 및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일렬로 연결된 것을 제안한다.
상기 연결부재(350)는 접철 및 절곡이 가능하도록 가요성 재질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50)는 띠형으로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50)는 적어도 2줄 또는 그 이상의 띠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연결부재(350)를 2줄의 띠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이중 하나의 연결띠를 절단하게 되면 홀더몸체(310)를 방향 전환하여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홀더몸체(310) 상에 고정되는 황토벽돌(200) 또한 곡선배치가 가능하므로 황토벽돌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2줄의 연결부재(350)를 모두 절단하게 되면, 홀더몸체(310) 사이거리를 소원하는 만큼 이격시켜 배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50)에는 손쉬운 절단을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연결부재(350) 상의 소정부위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절취부(351)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몸체(310) 및 연결부재(350)는 제작의 간편성, 경량화 및 가격절감을 위해 일체형의 플라스틱 사출물로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각각 제작하여 조립하는 형태도 가능하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소재의 와이어 매시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부재(350)는 변형이 자유로운 가요성 재질로 된다. 이 경우, 다수개의 홀더몸체(310)를 가요성 재질의 연결부재(350)를 매개로 하여, 도 3과 같이 홀더몸체(310)들이 지그재그로 적층되게 접철할 수 있고, 이와는 다르게 도 4와 같이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감을 수도 있다. 따라서, 벽돌홀더(300)를 보관하거나 또는 운반하기가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위의 벽돌홀더(300)에 의한 황토벽돌(200)의 여러 가지 배치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아래에 설명되는 황토벽돌(200)의 배치 형태는 몇가지를 예시한 것일 뿐 이외에도 다른 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우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구조물에 있어서 황토벽돌의 제1 배치 형태도이다.
편의상, 벽돌홀더(300)는,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치되는 벽돌홀더들을 차례로 제1, 2, 3 벽돌홀더(H1,H2,H3)라 정의하고, 각 벽돌홀더(300)의 도면상 상측에 위치하는 홀더몸체를 상부 홀더몸체(h1), 도면상 하측에 위치하는 홀더몸체를 하부 홀더몸체(h2)라 정의한다.
또한, 황토벽돌(200)은, 도면상 상부 라인에 배치된 황토벽돌을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제1, 2, 3 황토벽돌(B1,B2,B3)이라 정의하고, 도면상 중간 라인에 배치된 황토벽돌을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제4, 5, 6 황토벽돌(B4,B5,B6)이라 정의하며, 도면상 하부 라인에 배치된 황토벽돌을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제7, 8, 9 황토벽돌(B7,B8,B9)이라 정의한다.
위의 정의로 부터, 상기 제2 벽돌홀더(H2)에는 상측 홀더몸체(h1)의 고정돌기 사이를 관통하도록 제2 황토벽돌(B2)을 종방향으로 끼워넣고, 제1 벽돌홀더(H1) 및 제3 벽돌홀더(H3)의 각 상부 홀더몸체(h1)의 고정돌기(330) 사이를 관통하도록 제1 황토벽돌(B1)과 제3 황토벽돌(B3)을 횡방향으로 각각 끼워넣되, 이미 끼워진 제2 황토벽돌(B2)과 밀착되게 끼워넣는다. 그러면, 제1, 2, 3 황토벽돌(B1,B2,B3)이 열십자(十)형으로 배치된 형태가 만들어진다.
마찬가지로, 제2 벽돌홀더(H2)의 하측 홀더몸체(h2) 및 제1,3 벽돌홀더(H1,H3)의 각 하측 홀더몸체(h2)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8 황토벽돌(B8), 제7 황토벽돌(B7) 및 제9 황토벽돌(B9)을 끼워넣는다. 그러면, 제7, 8, 9 황토벽돌(B7,B8,B9)이 열십자(十)형으로 배치된 형태가 만들어진다.
다음, 제1, 2, 3 벽돌홀더(H1,H2 ,H3)의 각 상측 홀더몸체(h1)와 하측 홀더 몸체(h2) 사이에는 제4, 5, 6 황토벽돌(B4,B5,B6)을 영문 에이치(H)자 형태로 배치한다.
즉, 제1 벽돌홀더(H1)의 상측 홀더몸체(h1)와 하측 홀더몸체(h2)의 마주하는 고정돌기에 제4 황토벽돌(B4)의 각 단부를 종방향으로 걸쳐 끼우고, 마찬가지로 제3 벽돌홀더(H3)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6 황토벽돌(B6)을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4, 6 황토벽돌(B4,B6) 사이 및 상기 제2, 8 황토벽돌(B2,B8) 사이에는 제5 황토벽돌(B5)을 종방향으로 끼워넣는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제5 황토벽돌(B5)의 바닥에 마련된 요홈(210)으로 연결부재(350)가 요입됨으로써 제5 황토벽돌(B5)이 고정돌기들에 의해 고정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에 의하면, 제1,2,4,5 황토벽돌(B1,B2,B4,B5)들 사이, 제2,3,5,6 황토벽돌(B2,B3,B5,B6)들 사이, 제4,5,7,8 황토벽돌(B4,B5,B7,B8)들 사이, 제5,6,8,9 황토벽돌(B5,B6,B8,B9)들 사이에는 잔디를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S)이 각각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식재공간(S)에는 잔디 또는 나무를 식재하여도 되지만, 이와는 다르게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광고판이나 컬러판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배치형태는 최소한의 단위 형태로서, 이들 단위형태를 반복하여 배치하면 보다 넓은 면적의 식생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구조물에 있어서 황토벽돌의 제2 배치 형태도이다.
편의상, 벽돌홀더(300)는,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치되는 벽돌홀더들을 차례로 제1, 2, 3 벽돌홀더(H1,H2,H3)라 정의하며, 각 벽돌홀더(H1,H2,H3)의 도면상 상측에 위치하는 홀더몸체를 상부 홀더몸체(h1)라 정의한다.
또한, 황토벽돌(200)은, 도면상 좌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제1,2,3,4 황토벽돌(B1,B2,B3,B4)이라 정의한다.
위의 정의로 부터, 제1 벽돌홀더(H1)의 상부 홀더몸체(h1)의 상하측에는 고정돌기(330)사이로 제2,4 황토벽돌(B2,B4)을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접촉되도록 끼워넣고, 상부 홀더몸체(h1)의 좌우측에는 고정돌기에 제1,3 황토벽돌(B1,B3)의 일단부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끼워넣는다. 그러면 제1,2,3,4 황토벽돌(B1,B2,B3,B4)은 열십자(十) 형태가 만들어진다.
마찬가지로, 제1,2 벽돌홀더(H1,H2)의 상부 홀더몸체(h1)에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황토벽돌들을 끼워넣으면 황토벽돌들이 격자형으로 배치된 형태를 이루게 되며, 황토벽돌들 사이에는 잔디를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S)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식재공간(S)에는 잔디 또는 나무를 식재하여도 되지만, 이와는 다르게 광고판이나 컬러판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배치형태는 최소한의 단위 형태로서, 이들 단위형태를 반복하여 배치하면 보다 넓은 면적의 식생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구조물에 있어서 황토벽돌의 제3 배치 형태도이다. 여기서의 벽돌홀더(300)는 도 6에 도시된 벽돌홀더가 적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벽돌홀더(300)의 각 홀더몸체(310)는 장방형상을 이루고 있어서 한 쌍의 마주하는 변은 상대적으로 길고(이하 "장변"이라 함), 다른 한 쌍의 마주하는 변은 상대적으로 짧게(이하 "단변"이라 함) 구성됨을 전제한다.
편의상, 황토벽돌(200)은, 도면상 좌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제1,2,3,4 황토벽돌(B1,B2,B3,B4)라 정의하며, 벽돌홀더(300)는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홀더몸체를 상부 홀더몸체(h1)라 하고, 그 아래에 위치하는 홀더몸체를 하부 홀더몸체(h2)라 정의한다.
위의 정의로 부터, 홀더몸체(310)의 한 쌍의 장변에 배치되는 고정돌기(330)에는 제2 황토벽돌(B2) 및 제4 황토벽돌(B4)가 서로 접촉되도록 도면상 종방향으로 조립된다.
또, 홀더몸체(310)의 한 쌍의 단변에 배치되는 고정돌기(330)에는 제1 황토벽돌(B1) 및 제3 황토벽돌(B3)이 도면상 횡방향으로 조립되되, 제1,3 황토벽돌(B1,B3)이 이미 조립된 제2,4 황토벽돌(B2,B4)에 밀착되도록 조립한다. 그러면 이들 제1,2,3,4 황토벽돌(B1,B2,B3,B4)은 열십자(十) 형태를 이루게 되며, 이러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부 홀더몸체(h2) 및 이외의 홀더몸체 들에 반복적으로 황토벽돌을 조립하게 되면 십자형으로 배열된 황토벽돌들 사이로 식재공간(S)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식재공간(S)에는 잔디 또는 나무를 식재하여도 되지만, 이와는 다르게 광고판이나 컬러판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배치형태는 최소한의 단위 형태로서, 이들 단위형태를 반복하여 배치하면 보다 넓은 면적의 식생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200 : 황토벽돌
210 : 요홈 220 : 홈부
300 : 벽돌홀더 310 : 홀더몸체
330 : 고정돌기 350 : 연결부재

Claims (9)

  1. 하부가 지면에 매립되도록 다수개의 황토벽돌(200)을 격자형으로 반복적으로 배열하되, 상기 황토벽돌(200)의 하부에는 황토벽돌(200)의 정확한 배치 및 견고한 배치를 위해 매트형 벽돌홀더(300)를 구비하여서 된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벽돌홀더(300)는 틀 형태의 홀더몸체(310)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몸체(310)로 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33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돌기(330)들 사이에 상기 황토벽돌(200)을 끼워넣어 고정되어지며, 상기 홀더몸체(310)는 다수개로 구성되어지되, 각 홀더몸체(310)는 연결부재(350)에 의해 일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50)는 접철 및 절곡이 가능하도록 가요성 재질의 띠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50)는 2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벽돌(200)의 지면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연결부재(350)가 끼움될 수 있도록 요홈(2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벽돌(200)의 지상을 향하는 면에는, 미생물의 이동통로, 토사의 이동통로 및 배수를 위한 통로역할을 하는 홈부(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7.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구멍(208)을 갖는 다수개의 황토벽돌(200)을 그 하부가 지면에 매립되도록 격자형으로 반복적으로 배열하되, 상기 황토벽돌(200)의 하부에는 황토벽돌(200)의 정확한 배치 및 견고한 배치를 위해 매트형 벽돌홀더(300)를 구비하여서 된 황토식생블록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벽돌홀더(300)는, 틀 형태의 홀더몸체(310)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몸체(310)로 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33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돌기(330)에 상기 황토벽돌(300)의 구멍(208)중 어느 한 구멍을 끼워넣어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310)는 다수개로 구성되되, 각 홀더몸체(310)는 연결부재(350)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350)는 접철 및 절곡이 가능하도록 가요성 재질로 된 적어도 2줄의 띠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벽돌(200)의 구멍 형성면중 어느 한 면에는, 미생물의 이동통로, 토사의 이동통로 및 배수를 위한 통로역할을 하는 홈부(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KR1020100050819A 2010-05-31 2010-05-31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KR101190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819A KR101190221B1 (ko) 2010-05-31 2010-05-31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819A KR101190221B1 (ko) 2010-05-31 2010-05-31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398A KR20110131398A (ko) 2011-12-07
KR101190221B1 true KR101190221B1 (ko) 2012-10-16

Family

ID=4549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819A KR101190221B1 (ko) 2010-05-31 2010-05-31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2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3175A (ja) * 2003-03-27 2004-10-21 Aiekusu:Kk 緑化路面用ベースプレ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緑化路面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3175A (ja) * 2003-03-27 2004-10-21 Aiekusu:Kk 緑化路面用ベースプレ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緑化路面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398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359B1 (ko) 식물 재배 매트
ES2298867T3 (es) Diseño constructivo de piscina modular.
US9725871B2 (en) Retaining wall kit having interconnecting units
KR101331840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1993519B1 (ko) 인접구역간의 경계가이드 구조체
KR101190221B1 (ko) 황토식생블록 구조물
KR20200007335A (ko)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KR20130015926A (ko) 평판형 원형 수로관
US20160286730A1 (en) Support track system for landscaping materials
KR200417403Y1 (ko) 조립식 블럭
KR101003526B1 (ko)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JPH033166Y2 (ko)
KR20110051712A (ko) 인공지반 녹화용 보행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9776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KR102157856B1 (ko) 조립식 포트
JPH11217812A (ja) 篭シート及びそれにより構築した擁壁
JP3936692B2 (ja) ガーデニングキット
KR200186040Y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
JP3227567U (ja) 目地枠利用のレンガ積み、ブロック積み構造物
JP2005348680A (ja) 壁体及びその単位素片
JP3774459B2 (ja) 組立柵工
KR200372001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0465986Y1 (ko) 블록설치용 식생 파레트
KR100467089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록 설치구조
KR102191982B1 (ko) 조립식 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8